KR20170143356A -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3356A
KR20170143356A KR1020160077506A KR20160077506A KR20170143356A KR 20170143356 A KR20170143356 A KR 20170143356A KR 1020160077506 A KR1020160077506 A KR 1020160077506A KR 20160077506 A KR20160077506 A KR 20160077506A KR 20170143356 A KR20170143356 A KR 20170143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fe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5663B1 (ko
Inventor
소경민
이현정
김민지
김민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6007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663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5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식품 원료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소화 및 흡수를 증진시키고, 배변활동을 개선시키며, ALP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경제적이고 안전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EED COMPOSITION FOR COMPANION ANIMAL USING FOOD MATERIAL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식품 원료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소화 및 흡수를 증진시키고, 배변활동을 개선시키며, ALP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영양학적으로 우수하여 장기간 섭취가 가능하며, 경제적인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출산에 따른 가족 수의 감소와 독신자, 노부부 등 1~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향후에도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2004년과 2007년, 미국과 캐나다에서 멜라민이 함유된 중국산 애완동물 사료를 먹은 개와 고양이가 급성신부전 등으로 사망한 사건 이후 소비자들은 식품 수준의 안전한 사료를 위해 가정에서 직접 만들고 싶어 하는 경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다나 허친슨(Dana Hutchinson)등의 2012년 보고서에는 영양 불균형 수제사료(가정식)로 양육한 강아지에서의 발작 및 중증 영양결핍증 증례보고가 게시되어 있어, 영양학적으로 전문지식이 반영된 수제 사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수요자 중심의 수제사료 레시피 개발 및 수제사료 조성물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며, 특히 시판 배합사료의 경우, 경제성 논리에 치중한 사업용 사료 생산 기술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어, 소비자가 고품질의 안전한 원료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극히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감안한 영양성분의 조절이 가능해야 하나, 시판 배합 사료로는 반려 동물에 따른 영양성분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KR101448949B1는 숙성시킨 야채 및 과일을 몰딩 및 급속 냉동하고, 숙성된 육류를 결합한 사료 덩어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냉동을 통하여 화학반응을 방지하여 인공 보존제 없이도 오랜 기간 보존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의 소화 및 흡수를 증진시키고, 배변활동을 개선시키며, ALP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하여 장기간 섭취가 가능하며, 경제적이고 안전한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의 소화 및 흡수를 증진시키고, 배변활동을 개선시키며, ALP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하여 장기간 섭취가 가능하며, 경제적이고 안전한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의 소화 및 흡수를 증진시키고, 배변활동을 개선시키며, ALP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하여 장기간 섭취가 가능하며, 경제적이고 안전한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품 원료 분말 30~40 중량부, 조리된 밥 40~50 중량부 및 정제수 20~30 중량부를 포함하고, 단백질원, 지방원, 비타민 및 미네랄원을 포함하는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사에너지가(MEdiet)를 기준으로 상기 조성물 중 단백질은 25~35중량부, 지방은 18~28 중량부 및 가용무질소물(NFE)은 43~5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미네랄 프리믹스(Vit-Min premix), 트립토판 및 콜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사과 분태 및 당근 분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식물성 기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말은 난황, 난각, 표고버섯, 파래, 감자, 고구마, 닭가슴살, 멸치, 브로콜리, 양배추, 및 들깨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황 5~10 중량부, 난각 0.1~1 중량부, 표고버섯 0.1~2 중량부, 파래 0.5~2 중량부, 감자 5~20 중량부, 닭가슴살 5~10 중량부, 멸치 1~10 중량부, 브로콜리 0.5~2 중량부, 양배추 0.5~2 중량부, 및 들깨 1~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황 5~10 중량부, 난각 0.1~1 중량부, 표고버섯 0.1~2 중량부, 파래 0.5~2 중량부, 고구마 5~20 중량부, 닭가슴살 5~10 중량부, 멸치 1~10 중량부, 브로콜리 0.5~2 중량부, 양배추 0.5~2 중량부, 및 들깨 1~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개용 수제 사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의 성분을 혼합하여 1차 반죽을 한 후 증숙하는 증숙 단계; 상기 증숙된 조성물을 냉각하는 냉각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조성물에 열에 약한 성분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2차 반죽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차 반죽은 상기 정제수를 원료 분말 총량에 대해 60~110%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차 반죽은 감자 분말 총량에 대해 80~110%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차 반죽은 고구마 분말 총량에 대해 60~90%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증숙 단계는 증숙기에서 90~110℃에서 10~40분간 증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냉각 단계는 조성물을 30~40℃까지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차 반죽 단계 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영양학적 지식을 갖추지 않아도 소비자가 경제적으로 고품질의 안전한 원료를 직접 선택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반려 동물의 ALP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분 함유량이 높여 반려동물의 소화 및 흡수를 증진시키고, 배변활동을 개선할 수 있는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소화 및 흡수를 증진시키고, 배변활동을 개선시키며, ALP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하여 장기간 섭취가 가능하며, 경제적이고, 안전한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급여에 따른 체중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품 원료 분말 30~40 중량부, 조리된 밥 40~50 중량부 및 정제수 20~30 중량부를 포함하고, 단백질원, 지방원, 비타민 및 미네랄원을 포함하는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식품 원료 분말, 조리된 밥 및 정제수를 적절한 분량으로 혼합하여 반려동물의 소화 및 흡수를 증진시키고, 배변활동을 개선시키며, 경제적으로 고품질의 안전한 원료를 직접 선택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수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원료 분말은 30 중량부 미만 또는 40 중량부 초과로 함유되면 영양학적 균형을 잡기 어렵고, 반려동물의 소화 및 흡수 증진, 배변활동 개선 효과 및 수제 사료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조리된 밥은 40 중량부 미만 또는 50 중량부 초과로 함유되면 영양학적 균형을 잡기 어렵고, 반려동물의 소화 및 흡수 증진, 배변활동 개선 효과 및 수제 사료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조리된 밥은 백미 또는 잡곡을 취반 또는 호화시켜 소정의 수분의 함유량이 가지고 있으면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정집 또는 일반 식당 등에서 조리된 밥, 시판되는 백미 또는 잡곡의 냉장 또는 냉동된 즉석밥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koreanfood.rda.go.kr)을 통한 식품영양, 기능성 정보 DB에 따르면, 상기 조리된 밥은 에너지, 수분,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 회분,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비타민B1, 비타민 B2, 나이아신, 비타민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20 중량부 미만 또는 30 중량부 초과로 함유되면 영양학적 균형을 잡기 어렵고, 반려동물의 소화 및 흡수 증진, 배변활동 개선 효과 및 수제 사료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정제수는 음용수를 포함하며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백질원(단백질 및 아미노산), 지방원, 비타민, 미네랄원(고분자 미네랄원 및/또는 미량 미네랄원)은 공지된 식품 원료 분말을 이용할 수 있고, 예시적으로 표 1 내지 3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에 상응하는 균등물일 수 있다. 상기 비타민은 수용성 및 지용성 비타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미네랄 프리믹스(Vit-Min premix), 트립토판 및 콜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미네랄 프리믹스(Vit-Min premix)는 다양한 판매회사를 통해 구입할 수 있으며,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C, 비타민 E, 엽산, 판토텐산칼슘, 질산염, 피리독신염산염, 레티닐아세트산염, 결정셀롤로오스, 유당(우유), 전분, 카르복시메탈셀롤로오스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말토덱스트린, 아산화규소, 젖산철, 젖산칼슘, L-아르기닌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아라비아검 구연산삼나트륨 구연산 DL-알파-토코페롤 염화크롬) 및 합성착색료(코팅제제)와 합성착향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대사에너지가(MEdiet)를 기준으로 상기 조성물 중 단백질은 25~35 중량부, 지방은 18~28 중량부 및 가용무질소물(NFE)은 43~5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에 의하면 소화 및 흡수를 증진시키고, 배변활동을 개선시키며, ALP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하고 경제적이고 안전한 사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사과 및 당근 분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과 및 당근 분태를 첨가하면 반려동물의 소화와 흡수 증진 및 배변활동 개선 효과를 더욱 증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식물성 기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기름은 참기름, 들기름, 올리브유, 카놀라유, 포도씨유, 및 해바라기씨유 등 공지의 식물성 기름을 이용할 수 있으며, 리놀레산이 함유된 생들기름이 적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말은 난황, 난각, 표고버섯, 파래, 감자, 고구마, 닭가슴살, 멸치, 브로콜리, 양배추 및 들깨에서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분말은 진공 또는 동결 건조 후 분쇄함으로 수득할 수 있으며, 5~40㎛ 크기의 입자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황 5~10 중량부, 난각 0.1~1 중량부, 표고버섯 0.1~2 중량부, 파래 0.5~2 중량부, 감자5~20 중량부, 닭가슴살 5~10 중량부, 명치 1~10 중량부, 브로콜리 0.5~2 중량부, 양배추 0.5~2 중량부, 및 들깨 1~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비율은 상기 범위 내에서 반려동물의 영양 상태를 감안하여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황 5~10 중량부, 난각 0.1~1 중량부, 표고버섯 0.1~2 중량부, 파래 0.5~2 중량부, 고구마 5~20 중량부, 닭가슴살 5~10 중량부, 명치 1~10 중량부, 브로콜리 0.5~2 중량부, 양배추 0.5~2 중량부, 및 들깨 1~2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비율은 상기 범위 내에서 반려동물의 영양 상태를 감안하여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개용 수제 사료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의 성분을 혼합하여 1차 반죽을 한 후 증숙하는 증숙 단계; 상기 증숙된 조성물을 냉각하는 냉각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조성물에 열에 약한 성분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2차 반죽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증숙은 쪄서 익히는 과정을 의미하며, 상기 1차 반죽을 통하여 열에 강한 원료를 혼합하여 증숙하고, 2차 반죽을 통해 열에 약한 성분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영양성분을 보존하면서 사료 내 수분 함유량을 높여 소화효율을 향상시키는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열에 약한 성분은 예를 들어 비타민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차 반죽은 상기 정제수를 원료 분말 총량에 대해 60~110%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 함량 범위에 의해 사료 내 수분 함유량을 높여 소화와 흡수 증진 및 배변활동 개선 효과를 더욱 증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차 반죽은 상기 정제수를 감자 분말 총량에 대해 80~110%로 첨가할 수 있다. 감자분말이 사용된 경우, 총량 대비 정제수의 첨가량이 88~121%의 범위를 가지며, 정세수의 양이 88%이하의 경우, 섭취가 용이하지 않고, 121%이상일 경우 성형성에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 80~1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91~99%가 적합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차 반죽은 상기 정제수를 고구마 분말 총량에 대해 60~90%로 첨가할 수 있다.
고구마 분말이 사용된 경우, 분말 총량 대비 정제수 첨가량이 60~90%의 범위를 가지며, 정제수의 양이 60%이하의 경우, 섭취가 용이하지 않고, 90%이상의 경우, 성형성에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 60~70%, 더욱 바람직하게 66~67%가 적합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증숙 단계는 증숙기에서 90~110℃에서 10~40분간 증숙할 수 있다. 상기 증숙 조건으로 증숙하면 식품 원료의 영양성분을 보존하면서 사료 내 수분 함유량을 높여 소화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냉각 단계는 조성물을 30~40℃까지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단계에 의해 열에 약한 비타민 등 식품 원료의 영양성분을 보존하여 균형 잡힌 수제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고, 수제 사료의 성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차 반죽 단계 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사료를 자르기 용이하도록 가래떡 모양으로 성형하거나 바로 알갱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성형된 사료는 기호도 테스트를 위하여 즉시 급여하거나 급여 전까지 냉장 보관될 수 있다. 수제 사료는 보존제 등이 첨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1주일 이내에 급여하거나 보관 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식품 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주요 식품원료별 표준 영양성분 조사분석
시중에서 구입이 용이한 주요 식품 원료를 이용하여 식품(닭가슴살, 계란, 즉석 밥, 고구마 등)별 영양성분 분석 및 배합비 작성 시 활용하기 위하여 사료 또는 식품 검정기관을 통한 표준분석을 실시하였다.
식품영양성분 분석 결과를 활용한 성견 유지용 수제사료 레시피 모델 설정
AAFCO(The Association of American Feed Control Officials) Dog Food Nutrient Profiles를 고려한 사료 배합비율 결정을 위하여, 사료 에너지 밀도를 건물 기준으로 3500 kcal ME/kg 이상 ~ 4000 kcal ME/kg이하로 하고, 성견 유지용 영양성분 최소권장량(CP 18.0%, Fat 5.0%, Ca 0.6%, P 0.5%, Ca : P = 1 : 1 등)을 충족하도록 맞추며, 영양성분별 에너지 제공 비율(ME 열량%, 권장)을 고려한 사료 배합비율을 결정하였다. 또한, 부족한 비타민 및 미네랄의 보충 필요량을 추산 하고 배합비를 보완하였다.
시판 배합사료와 수제 시험사료의 급여 효과 비교
시판 배합사료와 본 발명의 시험사료의 급여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견 24두가 비교 되었다. 대조구로는 시판배합사료(로얄캐닌)을 사용하였고, 처리구로는 본 발명의 수제 시험사료(처리구 2)가 이용되었다. 급여기간은 총 12주였으며, 주요 조사항목으로는 전체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TG), 고밀도콜레스테롤(HDL-C), 저밀도콜레스테롤(LDL-C),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레이즈(Alanine Aminotransferase, ALT), 혈중 요소 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크레아티닌(Creatinine) 등이 조사되었다.
결과
영양성분 분석 결과
주요 식품원료별 표준 영양성분 조사분석을 위하여 주요 식품원료 15종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식품 원료는 분말 형태로 난황, 난각, 표고버섯, 파래, 고구마, 자색고구마, 닭가슴살, 멸치, 브로콜리, 양배추, 및 들깨를 이용하였고, 분태 형태로 사과 및 당근을 이용하였고, 쌀 제품으로는 즉석밥을 이용하였고, 식물성 기름으로 생들기름을 이용하였다.
또한, 분석항목은 35종(6종: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칼로리, 10종: Ca, P, K, Na, Mg, Fe, Cu, Mn, Zn, Se, 18종: ASP, THR, SER, GLU, GLY, ALA, VAL, ILE, LEU, TYR, PHE, LYS, HIS, ARG, PRO, TRP, CYS, MET 및 1종: 리놀레산)이 분석되었다.
상기 분석은 총 2회(다만, 당근 1회 / 셀레늄 1회 / 리놀레산 1회 분석)가 실시되었으며, 표 1은 상기 15종의 식품원료를 6종 즉,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칼로리에 대한 2회 실험의 평균값(조성물 총중량에 대한 중량%)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1
표 2는 상기 15종의 식품원료를 10종 즉, Ca, P, K, Na, Mg, Fe, Cu, Mn, Zn, Se의 함량(mg/kg)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2
표 3은 상기 15종의 식품원료를 18종 즉, ASP, THR, SER, GLU, GLY, ALA, VAL, ILE, LEU, TYR, PHE, LYS, HIS, ARG, PRO, TRP, CYS, MET의 함량(조성물 총중량에 대한 중량%)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리놀레산은 각각 난황분말 7.67, 들깨분말 7.27, 생들기름 11.76이었다.
Figure pat00003
레시피 모델 설정 결과
상기 원료 영양성분 분석 결과를 활용한 성견 유지용 수제사료 레시피 모델 설정하기 위하여, 대조구로는 수입산 사료(로얄캐닌 - 미니 인도어 어덜트)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수입산 사료는 원료로서, 쌀, 탈수 가금육, 마이즈, 동물성 지방, 식물성 단백질 분리물(L.I.P.), 가수분해 동물 단백질, 사탕무 과육, 콩 오일, 식물성 식이섬유, 가수분해 효모, 생선 오일, 프럭토-올리고당, 미네랄, 비타민, 보존제(항산화제 등)가 포함되었으며, 대조구의 사료 입고 가격은 대략 12,375~12,650원/kg이었다.
표 4는 대조구에 대한 대사에너지가(MEdiet)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4
본 발명의 수제 사료 제조 기술 확립
개에서 안전성이 확인된 식재료를 중심으로 사료 원료를 선정하였다.
믹싱 볼에 준비된 원료를 넣고 원료를 혼합하고 초벌 반죽을 하였으며, 반죽을 위한 정제수 또는 음용수 첨가량은 분말 형태인 사료원료 총합의 66~67% (시작점)이며, 예를 들어 분말 330g의 경우 물 220ml를 첨가한 후 반죽상태를 고려하여 중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반죽은 찜기를 이용하여 100℃에서 20~30분간 열처리 후 2차 반죽이 가능할 수 있을 정도 (35~36℃)까지 냉각시켰다.
2차 반죽에는 열에 약한 원료, 비타민제 등을 투입하였다.
사료 반죽은 자르기 좋도록 가래떡 모양으로 성형하거나 바로 알갱이로 성형하였다. 가래떡 모양으로 성형한 경우 도마와 칼을 이용하여 급여하기 수월한 크기로 자를 수 있다.
기호도 테스트를 위하여 즉시 급여 또는 급여 전까지 냉장 보관하고, 사료 제조 후 1 주일 이내에 급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기간의 연장을 원할 경우 건조 처리가 필요하다(도 1 참조).
표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제 사료의 배합비의 일예이다. 원료의 구매는 15,000원/kg 미만으로 자가 제조 가능하며, 평균 수제 사료의 소비자가(평균 30,000원/kg(최저 15,000원/kg, 최고 95,000원/kg) 현황과 비교 시 본 발명에 의한 수제 사료는 효율성과 경제성을 모두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식품원료만으로는 부족한 영양소를 Vit-Min premix를 통해 보완하였으며, 이를 통해 영양학적으로 검증된 수제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표 6은 본 발명의 수제사료 레시피에 포함된 Vit-Min premix의 성분에 관한 일 예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표 7은 조성물을 제조단계에서 감자 분말 또는 고구마 분말의 사용시 정제수의 양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제조 시 고구마분말을 사용하면 감자 분말의 사용 시 보다 적은 정제수의 양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표 6은 본 발명의 수제사료 레시피에 포함된 Vit-Min premix의 성분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6
표 7은 조성물을 제조단계에서 감자 분말 또는 고구마 분말의 사용시 정제수의 양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표 8은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영양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pat00008
시판 배합사료와 수제 시험사료의 급여 효과 비교
시판 배합사료와 본 발명의 수제 시험사료의 급여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견 24두(슈나우저(MS) 9, 푸들(P) 9, 말티즈(M) 6)가 실험 되었으며, 대조구로는 시판 배합사료를 실시예 1 및 2(처리구 1 및 2)로는 본 발명의 수제 시험사료(수준2)가 이용되었다. 표 9은 1일 2회(Portion-Controlled Feeding) 제공되었으며, 실험 구별을 위해 1회 제공 사료를 이용하였다. 표 10은 상기 조건에 따른 대조구, 실시예 1 및 2(처리구 1 및 2)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시험의 급여 기간은 12주간(15. 8. 13. ~ 15. 11. 5.)이며, 주요 조사 항목으로는 전체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트리글리세리드(TG), 고밀도콜레스테롤(HDL-C), 저밀도콜레스테롤(LDL-C), ALT, BUN, 크레아티닌(Creatinine) 등이 검사되었다. 이에 따른 혈청 생화학 검사 결과는 표 11에 개시하였다. 임상적 건강 지표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혈청 내 생화학 지표 12종을 분석한 결과, 개시시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험 종료 시에는 대조구 대비 시험사료만 급여한 실시예 2(처리구 2, T2)에서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ALP) 지표가 유의적으로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식품 등급의 원료를 주로 하여 제조한 시험사료를 급여하는 것이 ALP 활성이 높은 세포와 조직의 건강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조직에 이로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12는 사료 및 에너지 섭취량, 분 특성 및 소화율 분석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며, 건물기준, 사료와 에너지 섭취량이 대조구 대비 실시예 2(처리구 2, T2)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원물 기준으로 분 배설량에서 대조구와 실시예 2(처리구 2, T2)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건물 기준으로 수제 시험사료에서 분 배설량이 대조구 대비 낮은 경향성을 보이고, 배설분의 건물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아 대조구 사료 대비 시험사료 급여 시 분변 내 수분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관적 평가(fecal score, data not shown)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수분을 많이 함유하여 부드러운 분변을 만들어냄으로써 배변 활동을 개선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건물 소화율은 대조구 대비 실시예 2(처리구 2, T2)에서 더 높은 경향성을 보였고, 단백질 소화율은 실시예 2(처리구 2, T2)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사양시험 기간 중 시험 종료 시까지 유의적인 체중 감소가 없었으므로, 시험사료를 성견용 유지사료로 사용하더라도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도 2 참조).
Figure pat00009
표 10은 시판배합사료와 수제 시험사료의 급여 효과 비교한 것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10
표 11은 혈청 생화학 검사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1
표 12은 사료 및 에너지 섭취량, 분 특성 및 소화율 분석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2

Claims (17)

  1.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품 원료 분말 30~40 중량부, 조리된 밥 40~50 중량부 및 정제수 20~45 중량부를 포함하고,
    단백질원, 지방원, 비타민 및 미네랄원을 포함하는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대사에너지가(MEdiet)를 기준으로 상기 조성물 중 단백질은 25~35 중량부, 지방은 18~28 중량부 및 가용무질소물(NFE)은 43~53 중량부로 포함되는 수제 사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타민 미네랄 프리믹스(Vit-Min premix), 트립토판 및 콜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제 사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사과 분태 및 당근 분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제 사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물성 기름을 더 포함하는 수제 사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은 난황, 난각, 표고버섯, 파래, 감자, 고구마, 닭가슴살, 멸치, 브로콜리, 양배추, 및 들깨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제사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황 5~10 중량부, 난각 0.1~1 중량부, 표고버섯 0.1~2 중량부, 파래 0.5~2 중량부, 감자 5~20 중량부, 닭가슴살 5~10 중량부, 멸치 1~10 중량부, 브로콜리 0.5~2 중량부, 양배추 0.5~2 중량부, 및 들깨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제 사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황 5~10 중량부, 난각 0.1~1 중량부, 표고버섯 0.1~2 중량부, 파래 0.5~2 중량부, 고구마 5~20 중량부, 닭가슴살 5~10 중량부, 멸치 1~10 중량부, 브로콜리 0.5~2 중량부, 양배추 0.5~2 중량부, 및 들깨 1~2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제 사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개용 수제 사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의 성분을 혼합하여 1차 반죽을 한 후 증숙하는 증숙 단계;
    상기 증숙된 조성물을 냉각하는 냉각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조성물에 열에 약한 성분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2차 반죽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반죽은 상기 정제수를 원료 분말 총량에 대해 60~110%로 첨가하는 수제 사료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반죽은 감자 분말 총량에 대해 80~110%로 첨가하는 수제 사료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반죽은 고구마 분말 총량에 대해 60~90%로 첨가하는 수제 사료 제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 단계는 증숙기에서 90~110℃에서 10~40분간 증숙하는 수제 사료 제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는 조성물을 30~40℃까지 냉각하는 수제 사료 제조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반죽 단계 후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제 사료 제조 방법.
KR1020160077506A 2016-06-21 2016-06-21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55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506A KR101855663B1 (ko) 2016-06-21 2016-06-21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506A KR101855663B1 (ko) 2016-06-21 2016-06-21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356A true KR20170143356A (ko) 2017-12-29
KR101855663B1 KR101855663B1 (ko) 2018-05-08

Family

ID=6093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506A KR101855663B1 (ko) 2016-06-21 2016-06-21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66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865B1 (ko) * 2018-06-29 2019-08-13 조향선 해조류, 허브류, 천연칼슘 및 스피루리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뼈 강화 및 치석제거 파우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3222B1 (ko) 2018-11-08 2020-01-08 변경림 양파 껍질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KR20200050121A (ko) 2018-11-01 2020-05-11 주식회사 개화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6162A (ko) * 2019-08-29 2021-03-10 세븐스타제주영농조합법인 반려동물용 영양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영양사료 제조방법
KR20220009785A (ko) 2020-07-16 2022-01-25 정해인 반려동물용 단미사료
KR102393699B1 (ko) * 2021-12-27 2022-05-02 강명학 애견 사료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애견 사료
KR102453957B1 (ko) * 2021-09-15 2022-10-14 김태형 반려동물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반려동물 사료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865B1 (ko) * 2018-06-29 2019-08-13 조향선 해조류, 허브류, 천연칼슘 및 스피루리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뼈 강화 및 치석제거 파우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50121A (ko) 2018-11-01 2020-05-11 주식회사 개화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3222B1 (ko) 2018-11-08 2020-01-08 변경림 양파 껍질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KR20210026162A (ko) * 2019-08-29 2021-03-10 세븐스타제주영농조합법인 반려동물용 영양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영양사료 제조방법
KR20220009785A (ko) 2020-07-16 2022-01-25 정해인 반려동물용 단미사료
KR102453957B1 (ko) * 2021-09-15 2022-10-14 김태형 반려동물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반려동물 사료
KR102393699B1 (ko) * 2021-12-27 2022-05-02 강명학 애견 사료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애견 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663B1 (ko)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663B1 (ko) 식품 원료를 이용한 반려동물용 수제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1715897B (zh) 滋补强体蛋鸡有机饲料
Sosnówka-Czajka et al. Effect of organic production system on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two purebred slow-growing chicken breeds
CN103798544A (zh) 一种含有桑枝叶的草本蛋鸡饲料
Sałek et al. The effects on the quality of poultry meat of supplementing feed with zinc-methionine complex
US20180295861A1 (en) Wet pet food and processe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1253945A (zh) 一种成年宠物犬用营养组合物
KR101390725B1 (ko) 유황이 함유된 양돈 사료 및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CN102823773B (zh) 一种改善猪肤色、毛色的饲料添加剂,预混料及配合料
CN105532578B (zh) 一种肉牛育肥方法及牛肉排酸方法
Silva et al. Levels of feed supplementation on the qualitative aspects of meat from crossbred goats finished on caatinga
CN105076680A (zh) 一种新型宠物香肠
CN109601775A (zh) 一种巴沙鱼稚鱼专用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RU2464790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ареных колбас из конины
KR101627909B1 (ko) 파프리카 순이 함유된 어묵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파프리카 순 어묵
CN105614049A (zh) 一种狗粮
CN114176169A (zh) 一种鲜食猫粮及其制备方法
CN109997986A (zh) 一种鸡饲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Badawy et al. Utilization of olive cake by-product for improvement of shelf life and quality of chicken meat
RU221282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аштета для диетического и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HaÅ et al. THE EFFECT OF BEE POLLEN ON BROILER BREAST AND THIGH MEAT COLOUR L* a* b
CN106306381A (zh) 藏羊快速育肥用tmr日粮配制
RU271423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корма "Серебряная линия" "Мясное ассорти" для котят с 6 месяцев и кошек
CN105341440A (zh) 一种宠物猫食用饼干及其制备方法
Oyelese et al. Shelflife of fishmeal, paste and cake of Tilapia niloticus and supplementation of conventional fishmeal with tilapia fishmeal in the diet of Clarias gariepinus fingerl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