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346A -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 Google Patents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346A
KR20170142346A KR1020160075639A KR20160075639A KR20170142346A KR 20170142346 A KR20170142346 A KR 20170142346A KR 1020160075639 A KR1020160075639 A KR 1020160075639A KR 20160075639 A KR20160075639 A KR 20160075639A KR 20170142346 A KR20170142346 A KR 20170142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double
lamp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욱
신대로
Original Assignee
(주)에핏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핏라이트 filed Critical (주)에핏라이트
Priority to KR102016007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2346A/ko
Publication of KR2017014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4The moulding materials being inject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29C45/1866Feeding multipl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86Electric wire or cable guides, e.g. for 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7Lightn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간에는 투명의 투광부를 통해 외부에서 고정패널이 그대로 식별되어 기존과 같은 마감재의 기능을 수행하고, 야간에는 발광부에서 빛이 투사되어 조명기능뿐만 아니라 인테리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이중구조의 조명등에 대한 마감기능과 조명기능 및 인테리어기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설치면에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부(12)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2)의 대응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사출면(14)을 포함하는 고정패널(10)과; 상기 고정패널(10)의 사출면(14)에 위치되고 이중사출방식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투광부(20); 및 상기 고정패널(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외주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투광부(20)의 전체에서 균일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빛을 투사하여 같은 공간에서 전혀 다른 연출이 가능하여 조명기능과 인테리어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하는 발광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A double injection structure luminaires}
본 발명은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간에는 투명의 투광부를 통해 외부에서 고정패널이 그대로 식별되어 기존과 같은 마감재의 기능을 수행하고, 야간에는 발광부에서 빛이 투사되어 조명기능뿐만 아니라 인테리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조명등에 대한 마감기능과 조명기능 및 인테리어기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인광고나 인테리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장치는 통상 경질의 인쇄회로기판(PCB)에 다수의 발광소자 즉, 발광다이오드들을 원하는 배열로 배치시킨 구성이다.
한편, 차량용 실내 내장 인테리어 및 건축용 실내 내장 인테리어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광원은 최종 표현물의 효과를 배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인테리어물의 원형을 손상시키지 않는 보조장치의 역할로 그 표현물을 두드러지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장치는 현장조건 즉, 표현물의 형태나 설치부분의 환경, 외부적인 영향 등 다양한 조건에 만족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종래 광고용 발광조명장치는 차량용 실내 인테리어 및 건축용 실내 내장 인테리어의 형태에 부응하여 경질의 인쇄회로기판을 성형하여 사용하는 방식과 인쇄회로기판을 작은 사이즈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방식,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양끝단부에 콘넥터를 설치하여 인쇄회로기판들을 연결시켜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경우, 첫번째의 경우 차량용 실내 인테리어 및 건축용 실내 내장 인테리어의 제작시 표현물의 문자나 문양의 형태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경질의 인쇄회로기판과 회로패턴을 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양산성이 결여됨은 물론 제작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게 되고, 특히 곡선을 갖는 표현물의 경우 그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의 경우 역시 경질의 인쇄회로기판을 작은 사이즈로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뿐만 아니라, 작은 사이즈의 인쇄회로기판을 계속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해야 되므로 설치가 어렵고 각 기판간의 광량 차이에 의해 고른 조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상기한 두 인쇄회로기판의 경우 그 자체가 경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곡선의 경우에 면발광을 위한 발광소자의 간격조절에 많은 제약이 따르며, 그에 따라 점발광, 부분적인 어두움, 그림자 등이 발생하게 되고, 간격조절을 위해 발광소자의 리드를 구부리는 조작을 행하기도 하나, 기판자체가 경질이라는 근본적인 한계뿐만 아니라 발광소자 하나 하나를 일일이 조절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상기한 두 가지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세 번째의 경우는 띠 형상을 갖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발광소자들을 배열한 구성으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2003-79814호 등 많은 사례들이 제시되어 있다.
한편,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의 경우 그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반드시 설치되고,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식당, 전시장, 연회장 등 상기한 조명등은 거의 모든 시설의 내부에 설치된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조명등은 건축물의 실내 천정에 장착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실내의 측벽이나 실외에 설치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등에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천정용 조명등은 내부에 램프와 안정기 등이 장착된 고정본체와, 그 고정본체의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램프의 빛을 고르게 확산 및 분포시키는 조명커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본체는 비교적 얇은 두께로 된 금속의 절곡체로 이루어져 있어 건축물의 천정 등에 견고하게 장착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반면, 상기한 조명커버는 유백색으로 된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그 본체 내부의 램프가 점등되면 이를 고르게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조명등은 조명본체와 전등커버로 된 기본적인 분할구조를 갖고 있어 설계의 다양성에 있어 큰 제약이 뒤따르게 되어 보다 다양한 디자인과 입체감 등을 추구하는 사용자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즉, 대부분의 조명등은 본체와 커버의 형태의 변경을 통해 설계 및 디자인의 변화를 고려하고 있으나, 원형이나 사각형태 등 기본적인 형태의 변화에 의한 제한적인 변형만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표면의 색상 변화나 무늬 등을 가미하여 설계하는 등 극히 제한적인 요소만을 반복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극히 단순하여 무난한 설치 형태를 제공하는 면은 있으나, 실내 인테리어와의 부조화를 초래하게 되고 일반적인 형태로부터 식상해하는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못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638280호의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수지를 공급하는 제1압출기와, 안료가 배합된 반투명수지를 공급하는 제2압출기에 의해 이중 압출성형되는 프레임체를 성형하되, 상기 프레임체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ㄴ'자 형상으로 압출하여, 상기 'ㄴ'자 형상의 압출물 내측에는 반투명부가 형성되고 압출물의 외측에는 투명부가 형성되어, 이들 경계부는 서로 용융상태에서 일체로 접합되게 하며, 상기 투명부의 내측면에는 반복 형성된 요철무늬를 형성하고, 상기 반투명부에는 일체로 돌출된 삽입유도부를 형성하여, 이에 의해 조명커버의 측단부가 프레임체의 일측으로 삽입고정되며, 조명본체 내측의 빛은 투명부의 요철무늬 투시 및 그 내부공간을 통한 반투명부가 입체적으로 투시 관측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조명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조명등 설계의 다양성을 제공하면서도 그 프레임이 갖는 이중 압출 성형구조에 의해 내부 반투명부가 은은하게 투시 관측되게 하여 더욱 고급스럽고 부드러운 심미감을 제공하는 것이며, 투명부를 통해 비쳐 보이는 내부의 요철무늬와 상기 반투명부는 간결하고 심플한 외형을 연출하면서도 내부 공간부를 통해 비쳐보이는 반투명부는 관측 위치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표현하므로 조명등의 실내 장식효과를 가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명등은 단순히 장식미만을 강조하고 있어, 단순한 인테리어효과만 기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자동차의 실내 장식으로 사용되는 인테리어 몰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무늬모양이나 색채만을 강조하는 1차적인 장식미에 의해 장식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차량용 실내 인테리어 및 건축용 실내 내장 인테리어는 외부에 식별되는 무늬모양에 의한 장식미만을 강조하는 1차적인 장식효과만을 기대할 수 밖에 없는 장식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99873호(2005.10.31.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638280호(2006.10.31.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간에는 투명의 투광부를 통해 외부에서 고정패널이 그대로 식별되어 기존과 같은 마감재의 기능을 수행하고, 야간에는 발광부에서 빛이 투사되어 조명기능뿐만 아니라 인테리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이중 사출물 구조의 조명등에 대한 마감기능과 조명기능 및 인테리어기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설치면에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부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대응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사출면을 포함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사출면에 위치되고 이중사출방식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투광부; 및 상기 고정패널의 일측에 구성되어 외주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투광부의 전체에서 균일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빛을 투사하여 같은 공간에서 전혀 다른 연출이 가능하여 조명기능과 인테리어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에는, 고정패널의 사출면 또는 투광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발광부의 빛 산란을 통한 균일한 조명 및 장식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패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에는, 투광부의 보호 및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에는, 무늬패턴이 외주면에 형성되거나, 인쇄 또는 시트나 반투과 증착처리된 증착면을 형성함으로써, 장식효과 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에는, 발광부의 조명상태를 제어하여 사용목적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이루어져 장식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은, 자동차의 실내장식 또는 건축물 실내인테리어;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간에는 투명의 투광부를 통해 외부에서 고정패널이 그대로 식별되어 기존과 같은 마감재의 기능을 수행하고, 야간에는 발광부에서 빛이 투사되어 조명기능뿐만 아니라 인테리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이중 사출물 구조의 조명등에 대한 마감기능과 조명기능 및 인테리어기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식용 프레임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 실내 인테리어 몰드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를 차량의 실내에 적용한 개략적인 참고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의 적용사례를 도시한 참고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6a는 사출면에 패턴이 적용된 참고도이고, 6b는 투광부에 패턴이 적용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의 개략적인 참고 사시도로서,
7a는 사출면에 패턴이 적용된 참고도이고, 7b는 투광부에 패턴이 적용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에 다영한 패턴이 적용된 일례를 보인 참고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의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패널(10)과, 투광부(20), 및 발광부(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패널(10)은 조명등(1)을 설치하고자 하는 설치면에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10)은 기준에 사용되는 마감재를 통칭한다. 예컨대, 자동차의 경우 데쉬보드, 팔걸이 등과 같은 실내 내장재이고, 건축물 실내 내장재 또는 생활용품의 경우 외장패널, 파티션 등과 같이 외부에서 노출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10)은 설치면에 안정적인 고정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 및 리브를 포함하는 고정부(12)가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부(12)는 설치목적 또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고정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한 통한 접착방식이나 체결수단을 통한 체결방식을 포함하고, 이에 맞춰 상기 고정부(12)의 형태가 변형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10)은 상기 고정부(12)의 대응되는 면 즉, 외부로 표출되는 부분에는 투광부(20)가 위치되는 사출면(14)이 형성된다.
상기 사출면(14)은 상기 고정부(12)의 걸림턱 또는 리브 등이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불투명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12)와 사출면(14)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거나 또는 이종(異種)의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출면(14)은 외부에서 식별되는 부분임으로써,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목적 또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 또는 색상을 부가시켜 마감재의 기능 및 인테리어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10)은 제조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를 이용한 사출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광부(20)는 상기 고정패널(10)의 사출면(14)에 형성되어 발광부(40)를 통해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투사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투광부(20)는 상기 고정패널(10)의 사출면(14)에 형성되어 발광부(40)의 빛이 외부로 투사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광부(20)는 상기 고정패널(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이중사출방식으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고정패널(10)과 투광부(20)를 접착제 등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할 경우 상기 고정패널(10)과 투광부(20)의 밀착면에 의한 이질감으로 인테리어효과의 저감과 함께 발광부(40)의 발광효과가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투광부(20)는 조명효과 및 인테리어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색채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광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패널(10)의 사출면(14) 전체에 형성되거나 또는 일부분에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광부(20)는 발광부(40)의 빛이 고정패널(10)의 전체에서 휘도 및 균일한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광판기능을 가지도록 아크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투광부(20)는 발광부(40)의 빛을 균일하게 조명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발광부(40)는 상기 고정패널의 일측에 구성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투사하는 수단이다.
상기 발광부(40)는 고정패널(10)의 길이에 비례하여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40)는 LED임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목적 및 설치위치에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패널(10)을 사출성형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패널(1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부(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설치공이 형성된다.
이어서, 1차 성형된 고정패널(10)의 사출면(14)에 투광부(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사출 성형한다.
또는, 상기 고정패널(10)과 투광부(20)를 이중사출방식으로 동시에 사출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정패널(10)의 설치공에 발광부(40)를 설치한다. 이 경우, 상기 발광부(40)에 연결되는 전선은 상기 고정패널(10)에 구성된 불투명의 고정부(12)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이중 사출물 구조의 조명등(1)은 고정패널(10)의 고정부(12)를 통해 설치면에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주간에는 투명의 투광부(20)를 통해 외부에서 고정패널(10)이 그대로 식별되어 기존과 같은 마감재의 기능을 수행하고, 야간에는 발광부(40)에서 빛이 투사되어 조명기능뿐만 아니라 인테리어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이중구조의 조명등에 대한 마감기능과 조명기능 및 인테리어기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한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1)의 고정패널(10) 사출면(14) 또는 투광부(20)의 표면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60)이 형성된다.
상기 패턴(60)은 발광부(40)의 빛이 산란되도록 하여, 인테리어효과의 향상 미 조명기능의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패턴(60)은 상기 고정패널(10)의 사출면(14)에 음각 또는 양각형태로 성형될 경우,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투광부(20)와의 접촉면적을 확대시켜 상기 고정패널(10)과 투광부(2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패턴(60)은 상기 투광부(20)의 표면에 직접 음각 또는 양각 형태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패턴(60)은 상기 투광부(20)에 인쇄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턴(60)은 사용목적 또는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모양 또는 무늬이거나 회사로고 앰블럼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모양 또는 무늬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무늬모양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목적 또는 위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화 가능하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의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1)에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패널(10)의 일측에 일체로 성형된 투광부(20)를 보호 또는 인테리어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커버(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투광부(20)의 보호뿐만 아니라 장식효과를 가지도록 설치한다.
예컨대, 상기 커버(30)를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하여 발광부(40)에서 투사되는 빛이 감쇄시켜 은은한 무드등 효과를 가지도록 하여 실내인테리어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커버(30)에는 고정패널(10) 또는 투광부(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착탈구조로 형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커버(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접착방식이거나 또는 체결수단을 이용한 체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30)에는 빛 투사가 가능한 재질 예컨대, 폴리우레탄 등을 덧씌워서, 덧씌워진 질감에 의해 독특한 인테리어효과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자동차의 실내에 위치될 경우, 가죽시트의 질감을 가지도록 하여, 주간에는 가죽시트에 의해 자동차 실내의 동질감을 가지도록 하고, 야간에 발광부(40)를 통해 투사되는 빛에 의해 은은한 무드등의 효과를 가지도록 하여 동일한 공간 내에서 전혀 다른 연출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또는, 상기 커버(30)에는 빛 투과가 가능한 시트를 부착시켜 금속질감을 연출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인쇄방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커버(30)에는 금속질감 즉, 메탈의 느낌을 나게 하여 점등시에 빛이 투과되어 발광됨에 따라 조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반 투과 증착처리를 한 증착면을 포함한다.
즉, 상기 커버(30)에는 제2실시 예의 패턴(60)을 가지면서 인쇄방식, 시트 부착방식, 증착처리한 증착면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제4실시 예>
제1 내지 제3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 예의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1)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0)는 발광부(40)의 조도 또는 색채를 제어함으로써, 빛에 의해 2차적인 장식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발광부(40)가 점등 또는 점멸 등과 같이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는 무선신호 송수신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지한 무선신호기에 의해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발광부(40)의 제어가 가능하여 다양한 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 10: 고정패널
12: 고정부 14: 사출면
20: 투광부 30: 커버
40: 발광부 50: 제어부
60: 패턴

Claims (6)

  1. 설치면에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부(12)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2)의 대응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사출면(14)을 포함하는 고정패널(10)과;
    상기 고정패널(10)의 사출면(14)에 위치되고 이중사출방식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투광부(20); 및
    상기 고정패널(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외주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투광부(20)의 전체에서 균일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빛을 투사하여 같은 공간에서 전혀 다른 연출이 가능하여 조명기능과 인테리어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하는 발광부(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1)에는,
    상기 고정패널(10)의 사출면(14) 또는 투광부(20)의 표면에 형성되어 발광부(40)의 빛 산란을 통한 균일한 조명 및 장식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패턴(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1)에는,
    투광부(20)의 보호 및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에는,
    무늬패턴이 외주면에 형성되거나, 인쇄 또는 시트나 반투과 증착처리된 증착면을 형성함으로써, 장식효과 연출이 가능;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1)에는,
    상기 발광부(40)의 조명상태를 제어하여 사용목적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이루어져 장식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제어부(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사출물 구조 조명등(1)은,
    자동차의 실내장식 또는 건축물 실내인테리어;
    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KR1020160075639A 2016-06-17 2016-06-17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KR20170142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639A KR20170142346A (ko) 2016-06-17 2016-06-17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639A KR20170142346A (ko) 2016-06-17 2016-06-17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346A true KR20170142346A (ko) 2017-12-28

Family

ID=6093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639A KR20170142346A (ko) 2016-06-17 2016-06-17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234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283U (ja) * 1993-12-28 1995-07-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室内灯
KR200317706Y1 (ko) * 2003-01-28 2003-06-25 박준호 발광장치가 전면부에 장착된 차량용 수납함
JP2007030774A (ja) * 2005-07-28 2007-02-08 Toyoda Gosei Co Ltd 車両室内照明装置
JP2012045992A (ja) * 2010-08-25 2012-03-08 Koito Mfg Co Ltd 車両用室内照明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283U (ja) * 1993-12-28 1995-07-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室内灯
KR200317706Y1 (ko) * 2003-01-28 2003-06-25 박준호 발광장치가 전면부에 장착된 차량용 수납함
JP2007030774A (ja) * 2005-07-28 2007-02-08 Toyoda Gosei Co Ltd 車両室内照明装置
JP2012045992A (ja) * 2010-08-25 2012-03-08 Koito Mfg Co Ltd 車両用室内照明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1157B2 (en)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vehicle
US20170291536A1 (en) Interior trim part of a motor vehicle
JP6333519B2 (ja) 車両用加飾部品
RU116813U1 (ru) Внутренняя панель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6016127A (zh) 一种具有不同功能的车灯照明装置
CN209484460U (zh) 一种图案隐藏式氛围灯
CA2940899A1 (en) Lighting device embedded in vehicle pan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3530869A (ja) 選択的照光部分を有するサイドミラーアセンブリ
US10184630B1 (en) Double-layer decorative lamp
KR101056123B1 (ko) 조명장치
JP2013091451A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170142346A (ko) 이중 사출물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US20180345856A1 (en) Lighting Module of a Vehicle
CN103775940A (zh) 光信号装置
KR100638280B1 (ko) 이중 압출 성형에 의한 조명등의 장식용 프레임 제조방법및 그 프레임
CN213746560U (zh) 一种车灯结构及车辆
CN110949102B (zh) 全景天窗车顶总成和应用其的汽车
JP2001347898A (ja) スカッフプレート
CN111059489B (zh) 发光装置及终端设备
CN212529475U (zh) 一种装饰用塑料件
JP2014180936A (ja) 乗物用の室内照明装置
KR102100979B1 (ko) 차량용 앰비언트 조명 장치
CN219674039U (zh) 一种发光结构、氛围灯以及汽车
CN105371459A (zh) 空调器的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JP2006044329A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