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123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123B1
KR101056123B1 KR1020100093147A KR20100093147A KR101056123B1 KR 101056123 B1 KR101056123 B1 KR 101056123B1 KR 1020100093147 A KR1020100093147 A KR 1020100093147A KR 20100093147 A KR20100093147 A KR 20100093147A KR 101056123 B1 KR101056123 B1 KR 101056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locking film
holes
block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용
Original Assignee
(주)씰링테크
박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씰링테크, 박현용 filed Critical (주)씰링테크
Priority to KR102010009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04B9/3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for flexible tensioned memb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6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flashing, e.g. with rotating reflector or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06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films, filters or screens, being rolled up around a 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08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simulation of a starry sky or firma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설치대상면에 설치되는 조명부;와, 판면에 다수의 제1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조명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차단막; 및, 판면에 다수의 제2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1차단막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관찰자의 시점에 따라 별빛과 같이 반짝거리는 조명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찰자의 시점에 따라 별빛과 같이 반짝거리는 조명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빛은 인간이 삶을 영위하고 창조활동을 하기 위하여 없어서는 안되는 환경요소의 하나로서 사물을 인지하고 물체의 형태와 색을 구별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인간으로 하여금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사회환경의 미적(美的) 요소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산업이 발달하면서 빛은 단순히 밝기만을 위한 일차적인 기능에서 벗어나 공간의 미적 요소로서의 예술적 기능을 충족시켜주는 환경미학적 요소로서 그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다.
과학의 발달로 인공조명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공조명은 태양빛인 주광(Daylight)이 부족할 때 사용하던 단순한 기능으로부터 탈피하여 다양한 변화가 가능한 환경디자인의 한 요소로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고, 이와 같은 인공조명을 통한 새로운 공간의 창출은 건축가, 예술가, 디자이너들에게 또 다른 미적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명부와 제1차단막의 제1통공과 제2차단막의 제2통공이 일치하는 위치에서는 제2패널의 제2통공을 통해 조명이 제공되고, 제1통공과 제2통공이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서는 조명부의 조명이 차단되므로 관찰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패널의 제2통공들을 통해 제공되는 조명이 별빛과 같이 반짝거리는 조명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을 연신가능한 수지재질의 시트로 구성하고,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설치대상면을 마감함으로써, 설치대상면의 미려한 마감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대상면에 설치되는 조명부;와, 판면에 다수의 제1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조명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1차단막; 및, 판면에 다수의 제2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1차단막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차단막;을 포함하는 조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차단막의 제2통공은 제1차단막의 제1통공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대상면의 적어도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의 단부를 고정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은 비투광성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이 이격 형성되며, 상기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의 단부는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부와 제1차단막의 제1통공과 제2차단막의 제2통공이 일치하는 위치에서는 제2패널의 제2통공을 통해 조명이 제공되고, 제1통공과 제2통공이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서는 조명부의 조명이 차단되므로 관찰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패널의 제2통공들을 통해 제공되는 조명이 별빛과 같이 반짝거리는 조명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을 연신가능한 수지재질의 시트로 구성하고,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설치대상면을 마감함으로써, 설치대상면의 미려한 마감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조명장치의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의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조명장치에 따른 조명효과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조명장치는 조명부(L)와, 제1차단막(110)과, 제2차단막(120) 및,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명부(L)는 설치대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서, 형광등, 백열등, LED와 같이 전원의 공급에 의해 빛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조명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설치대상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차단막(110)은 판면에 다수의 제1통공(111)들이 형성되어 상기 조명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차단막(120)은 판면에 다수의 제2통공(121)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1차단막(110)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차단막(120)의 제2통공(121)의 직경(D2)은 제1차단막(110)의 제1통공(111)의 직경(D1) 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차단막(110) 및 제2차단막(120)은 연신 가능한 특성을 갖는 비투광성 시트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고정부재(H)가 고정되며, 재질은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수지재료인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시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30)은 설치대상면의 적어도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차단막(110)과 제2차단막(120)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제1차단막(110)과 제2차단막(120)의 고정부재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제1고정홈(131)과 제2고정홈(132)이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1차단막(110)과 제2차단막(120)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130)은 제1고정홈(131)과 제2고정홈(132)으로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단턱부가 제1고정홈(131)과 제2고정홈(132)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차단막(110)과 제2차단막(1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30)의 제1고정홈(131)과 제2고정홈(132)으로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재는 제1차단막(110)과 제2차단막(120)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서 절곡 형성되는 후크부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차단막(110)과 제2차단막(120)의 단부를 별도로 분리된 형태 또는 프레임(130)측에 마련된 고정부재를 통해 제1차단막(110)과 제2차단막(120)을 프레임(130)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본 발명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의 결합 및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조명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설치대상면에 조명부(L)가 설치되고, 설치대상면의 적어도 양측에 프레임(130)이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제1차단막(110)의 단부가 각각 고정부재에 의해 프레임(130)의 제1고정홈(131)에 고정되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어서 제2차단막(120)의 단부가 각각 고정부재에 의해 프레임(130)의 제2고정홈(132)에 고정되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30)의 제1고정홈(131)과 제2고정홈(132)은 이격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차단막(110)과 제2차단막(120)이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격배치된 제1차단막(110)과 제2차단막(120)은 판면에 각각 제1통공(111)과 제2통공(121)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통공(111)과 제2통공(121)이 직선방향으로 연통하는 방향으로 조명부(L)의 빛이 통과하게 되고, 연통하지 않는 부분 부분은 제1차단막(110)과 제2차단막(120)이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실내공간으로 조명부(L)의 빛이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첨부도면 중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조명장치에 따른 조명효과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작용의 설명을 위해 제1차단막(110)의 제1통공(111)의 위치에 따라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111a ~ 111c로 표시하였고, 제2차단막(120)의 제2통공(121)의 위치에 따라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121a ~ 121f로 표시하였다.
먼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찰자가 V1의 위치에서 제2차단막(120)을 바라보는 경우, V1으로 표시된 관찰자의 시점에서 두번째 제2통공(121b)과 첫번째 제1통공(111a)이 연통되고, 다섯번째 제2통공(121e)과 세번째 제1통공(111c)이 연통되면서 제2차단막(120)의 두번째 제2통공(121b)과 다섯번째 제2통공(121e)을 통해 조명부(L)의 빛이 관찰된다. 이때, 나머지 제2차단막(120)의 제2통공들(121a, 121c, 121d, 121f)는 제1차단막(110)의 제1통공(111a~111c)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가려져 조명부(L)의 빛이 관찰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찰자가 V1의 위치로부터 V2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V2로 표시된 관찰자의 시점에서 두번째 제2통공(121b)과 제1차단막(110)의 첫번째 제1통공(111a)이 연통되고, 네번째 제2통공(121d)과 두번째 제1통공(111b)이 연통되고, 다섯번째 제2통공(121e)과 세번째 제1통공(111c)이 연통되면서 제2차단막(120)의 두번째 제2통공(121b)과 네번째 제2통공(121d) 및 다섯번째 제2통공(121e)을 통해 조명부(L)의 빛이 관찰된다. 또한, 나머지 제2차단막(120)의 첫번째, 세번째, 여섯번째 제2통공들(121a,121c,121f)은 제1차단막(110)의 제1통공(111a~111c)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가려져 조명부(L)의 빛이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찰자가 V2의 위치로부터 V3의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V3으로 표시된 관찰자의 시점에서 네번째 제2통공(121d)과 두번째 제1통공(111b)이 연통되면서 제2차단막(120)의 네번째 제2통공(121d)을 통해서만 조명부(L)의 빛이 관찰되고, 나머지 제2차단막(120)의 첫번째 내지 세번째와 제2통공과, 다섯번째, 여섯번째 제2통공들(121a,121b,121c,121e,121f)은 제1차단막(110)의 제1통공(111a~111c)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가려져 조명부(L)의 빛이 관찰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찰자의 시점에 따라 특정 위치의 제2통공(121)을 통해 조명부(L) 빛을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해당 위치의 제2통공(121)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통공(111)과 제2통공(121)의 직경과, 제1차단막(110)과 제2차단막(120)의 이격 거리 및, 제1차단막(110)의 제1통공(111)들의 간격, 제2차단막(120)의 제2통공(121)들의 간격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값들은 설치환경에 따라 최적의 조명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제1차단막, 111:제1통공, 120:제2차단막,
121:제2통공, 130:프레임, 131:제1고정홈,
132:제2고정홈, L:조명부, H:고정부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설치대상면의 적어도 양측면에 설치되어 제1차단막 및 제2차단막의 단부를 고정하는 프레임;
    설치대상면에 설치되는 조명부;
    비투광성 시트로 이루어지며, 판면에 다수의 제1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조명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제1고정홈에 고정되는 제1차단막; 및,
    비투광성 시트로 이루어지며, 판면에 상기 제1차단막의 제1통공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2통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제1차단막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프레임의 제2고정홈에 고정되는 제2차단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2차단막의 제2통공은 제1차단막의 제1통공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00093147A 2010-09-27 2010-09-27 조명장치 KR101056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147A KR101056123B1 (ko) 2010-09-27 2010-09-27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147A KR101056123B1 (ko) 2010-09-27 2010-09-27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6123B1 true KR101056123B1 (ko) 2011-08-10

Family

ID=4493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147A KR101056123B1 (ko) 2010-09-27 2010-09-27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1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5424A (zh) * 2014-02-12 2014-06-04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软膜天花吊顶
US20160024801A1 (en) * 2014-07-24 2016-01-28 Normalu Lighted Rail For A False Wall With A Stretched Canvas and False Wall Comprising Such a Rail
CN110056113A (zh) * 2019-05-30 2019-07-26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装配式双重软膜的吊顶结构
KR20210050663A (ko) * 2019-10-29 2021-05-10 금일금속(주) 이격된 평판을 이용한 내벽 인테리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622A (ja) * 2000-03-15 2001-09-28 Shinko Sangyo Kk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6622A (ja) * 2000-03-15 2001-09-28 Shinko Sangyo Kk 照明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35424A (zh) * 2014-02-12 2014-06-04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软膜天花吊顶
US20160024801A1 (en) * 2014-07-24 2016-01-28 Normalu Lighted Rail For A False Wall With A Stretched Canvas and False Wall Comprising Such a Rail
US9714514B2 (en) * 2014-07-24 2017-07-25 Normalu Lighted rail for a false wall with a stretched canvas and false wall comprising such a rail
CN110056113A (zh) * 2019-05-30 2019-07-26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装配式双重软膜的吊顶结构
KR20210050663A (ko) * 2019-10-29 2021-05-10 금일금속(주) 이격된 평판을 이용한 내벽 인테리어 장치
KR102350678B1 (ko) 2019-10-29 2022-01-14 금일금속(주) 이격된 평판을 이용한 내벽 인테리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2004003423D1 (de) Diffraktives sicherheitselement mit einem halbtonbild
KR101056123B1 (ko) 조명장치
JP5022860B2 (ja) 演出用照明装置
US20090190334A1 (en) Animated light with dynamic ornamental effect
KR200439900Y1 (ko) 야외 계단 및 난간 내부에 결합되는 조명등 고정장치
US20140071671A1 (en) T-bar lamp
US7789521B2 (en) Ornamental light
KR20090036307A (ko) 경관조명 가로등 지주
CN104595818A (zh) 一种隐形艺术灯笼
US20170278438A1 (en) Simulating neon lamp
KR101823436B1 (ko) Led 선팅지
CN103216784B (zh) 可发光的灯罩
CN203273675U (zh) 可发光的灯罩
CN202157485U (zh) 一种多功能半导体照明天花板
CN205555812U (zh) 一种具有光导纤维面板的电梯轿厢吊顶
CN106247215A (zh) 一种可磁力拼接组合的led发光体
CN207262083U (zh) 照明系统及其照明模组
CN204005511U (zh) 一种led泛光灯
CN203082689U (zh) 一种可更换发光图案的装饰灯
JP2011189104A (ja) 変化する絵画
WO2014035002A1 (en) Concrete lighting apparatus
JP6846174B2 (ja) 照明装飾具
KR200382642Y1 (ko) 방수기능을 갖는 led 발광 장치
CN105020666A (zh) 一种led壁灯
KR101418834B1 (ko) 무드 등이 구비된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