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997A - 쓰레받기 - Google Patents

쓰레받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997A
KR20170140997A KR1020160073868A KR20160073868A KR20170140997A KR 20170140997 A KR20170140997 A KR 20170140997A KR 1020160073868 A KR1020160073868 A KR 1020160073868A KR 20160073868 A KR20160073868 A KR 20160073868A KR 20170140997 A KR20170140997 A KR 2017014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broom
garbage
dustbin
dust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8533B1 (ko
Inventor
박국서
Original Assignee
플라텍 주식회사
박국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텍 주식회사, 박국서 filed Critical 플라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3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533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02Scra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1Storing of cleaning tools, e.g. containers therefor
    • A47L13/512Clamping devices for hanging th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20/00Type of materials or objects being removed
    • B08B2220/02Chewing gum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를 받아내는 기구인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달라붙은 껌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scraper)를 안전하게 보관하였다가 필요 시 신속하게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쓰레받기를 구성하는 몸체(60)에 가이드레일(71) 및 삽입부(72)를 갖는 삽입편(70)을 형성하고 스크레이퍼(80)에는 탄성부(81)를 형성하여 스크레이퍼(80)의 양측면이 삽입편(70)의 가이드레일(71)에 안내되도록 삽입함과 함께 탄성부(81)를 압축하여 스크레이퍼(80)가 삽입부(70)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쓰레받기{Dustpan}
본 발명은 쓰레기를 받아내는 기구인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바닥에 달라붙은 껌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scraper)를 안전하게 보관하였다가 필요 시 신속하게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받기는 청소 작업시 쓰레기를 담는 도구로써, 일 측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몸체와, 상기 쓰레기 수납부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로 구성된다.
이러한 쓰레받기는 몸체에 손잡이가 일체로 성형된 타입과, 몸체에 손잡이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타입으로 대별된다.
통상 환경미화원들은 빗자루와 쓰레받기는 물론이고 비교적 큰 쓰레기를 수거하는 집게 그리고 바닥에 달라붙은 껌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레이퍼 등의 청소도구를 휴대하여 차도는 물론이고 도로변에 버려진 각종 쓰레기를 깨끗하게 청소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쓰레받기와 빗자루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쓰레받기에 빗자루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로써, 일 측이 전면으로 개방된 개방부(50)의 좌, 우측에 형성된 탄성편(40)으로 구성된 수납홀더(20)가 쓰레받기 몸체(10)의 전면 상측에 형성되어 있어 쓰레받기 몸체(10)의 전면 상측에 형성된 수납홀더(20)의 전면 개방부(50)에 환봉 형태의 빗자루(30)를 밀어 넣으면, 상기 개방부(50)의 좌, 우측에 형성된 탄성편(40)의 탄성에 의해 개방부(50)가 확장되어 빗자루(30)가 수납홀더(20)에 수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개방부(50)의 좌, 우측에 형성된 탄성편(40)이 수축되면서 빗자루(30)를 지지하게 되므로 도 2와 같이 쓰레받기 몸체(10)에 빗자루(30)를 일체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바닥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탄성편(40)에 의해 지지되었던 빗자루(30)를 파지한 다음 잡아당기면 수납홀더(20)의 탄성편(40)이 벌어지면서 빗자루(30)가 개방부(50)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 빗자루(30)를 이용하여 바닥의 청소가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을 청소하다가 바닥에 껌 또는 사탕 등의 이물질이 달라붙어 있으면 작업자가 스크레이퍼(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2-0003640(2012.05.25.공개)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쓰레받기는 빗자루를 쓰레받기에 결합하여 일체로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어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으나, 바닥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레이퍼를 보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금속재질의 스크레이퍼를 작업자의 주머니에 넣어 휴대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날카로운 스크레이퍼에 의해 옷이 찢어지거나, 심한 경우에는 허벅지 등을 찔리는 사고가 발생되었다.
또한, 쓰레받기의 몸체에 손잡이가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고정되어 있어 빗자루를 쓰레받기 몸체에 결합하였을 때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쏠려 거치상태가 불안정하므로 쓰레받기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쓰레받기가 빗자루와 함께 쉽게 넘어지는 사용상의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쓰레받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금속재질의 스크레이퍼를 안전한 상태로 보관하였다가 필요 시에 쓰레받기에서 꺼내 바닥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쓰레받기의 손잡이를 몸체로부터 경사지게 설치하여 쓰레받기에 빗자루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함에 따라 쓰레받기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쓰레받기가 빗자루와 함께 손쉽게 넘어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쓰레받기 몸체로부터 손잡이가 고정된 봉을 착탈 가능하게 형성하여 쓰레받기의 통신 판매 또는 운반 및 보관에 따른 포장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쓰레받기를 구성하는 몸체에 가이드레일 및 삽입부를 갖는 "ㄷ"형태의 삽입편을 형성하고 스크레이퍼에는 탄성부를 형성하여 스크레이퍼의 양측면이 삽입편의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도록 삽입함과 함께 탄성부를 압축하여 스크레이퍼가 삽입부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쓰레받기 몸체에 스크레이퍼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삽입편이 형성되어 있어 필요할 때마다 스크레이퍼를 삽입편에서 신속하게 꺼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삽입편의 삽입부에 스크레이퍼의 탄성부가 압축된 상태로 탄력적으로 끼워져 있어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를 쓰레기통이나, 리어카 등에 버릴 때 스크레이퍼가 삽입부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쓰레받기의 손잡이가 몸체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어 쓰레받기에 빗자루를 결합한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쏠리지 않게 되므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쓰레받기가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넷째, 쓰레받기 몸체로부터 손잡이가 고정된 봉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어 쓰레받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통신 판매에 따른 포장 시 부피를 최소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운반 및 보관 시에도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쓰레받기와 빗자루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쓰레받기에 빗자루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몸체에 스크레이퍼를 분리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몸체에 형성된 보스에 봉이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쓰레받기에 빗자루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쓰레받기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몸체에 스크레이퍼를 분리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몸체에 형성된 보스에 봉이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쓰레받기를 구성하는 몸체(60)에 가이드레일(71) 및 삽입부(72)를 갖는 삽입편(70)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레이퍼(80)에는 탄성부(8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크레이퍼(80)의 양측면을 삽입편(70)의 가이드레일(71)에 안내되도록 삽입함과 함께 탄성부(81)를 압축하여 스크레이퍼(80)가 삽입부(70)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60)에 형성된 삽입편(70)에 끼워지는 스크레이퍼(8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71)에 안내되는 가이드편(82)과, 상기 삽입부(72)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탄성부(81)와, 상기 스크레이퍼를 파지하는 손잡이부(83)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편(82)의 사이에 위치하는 목부위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엠보싱부(84)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부(83)에는 끈(85)을 고정하기 위한 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크레이퍼(80)의 구멍(86)에 일단이 고정되는 끈(85)의 타단은 몸체(60)의 보스(61) 또는 봉(91)에 묶어두게 된다.
상기 몸체(60)에 형성되는 삽입편(70)을 몸체(60)의 바닥을 제외한 몸체(60)의 내부는 물론이고 외부의 어느 곳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나, 외부에서 스크레이퍼(80)의 장착을 식별할 수 없도록 도 4 및 도 5와 같이 몸체(60)의 천장부(62)에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60)의 상면에 걸림공(63)을 갖는 보스(61)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90)에는 빗자루(30)의 자루(31)가 끼워지는 클립(93)이 형성되어 있으며 봉(91)의 하단에는 보스(61)의 걸림공(63)에 걸리는 탄성돌기(92)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쓰레받기에 빗자루(30)를 결합하였을 때 무게중심이 쓰레받기의 앞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여 쓰레받기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빗자루(30)와 함께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손잡이(90)에 클립(93)을 형성하여 클립에 빗자루(30)를 지지함에 따라 쓰레받기에 빗자루(30)를 안정적으로 걸어 둘 수도 있으며, 쓰레받기에 빗자루(30)를 걸어둠에 따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쓰레받이 내부에 담겨져 있던 쓰레기도 빗자루(30)에 의해 가려져서 쓰레기를 채워서 버릴 수도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때, 상기 몸체(60)의 전면 상부에 빗자루(30)의 자루(31)가 위치하는 홈(64)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빗자루(3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쓰레받기에 결합된 빗자루(30)가 좌, 우로 유동되지 않는다.
또한, 쓰레받기의 손잡이(90)는 잡기 편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쓰레받기를 한 손으로 파지하여 버릴 때, 파지하기 편리하도록 설계하였으며, 클립(93)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빗자루(30)의 자루(31) 직경 19mm와, 다소 굵은 22mm를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홈(리브)을 만들어 끼울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쓰레받기를 몸체(60)와 손잡이(90)가 고정된 봉(91)으로 분할 형성한 이유는 쓰레받기를 통신 판매하거나, 운반 및 보관 시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스(61)에 배수구(6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보스(61)의 내부로 빗물 등이 유입되었을 때 배수구(65)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90)가 고정된 봉(91)의 탄성돌기(92)를 몸체(60)의 상부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보스(61)의 내부로 밀어넣으면 탄성돌기(92)가 보스(61)에 형성된 걸림공(63)에 걸리게 되므로 쓰레받기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쓰레받기의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금속재질의 스크레이퍼(80)를 몸체(60)의 천장부(62)에 형성된 삽입편(70)에 조립하여야 되는데, 스크레이퍼(8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편(82)을 삽입편(70)의 가이드레일(71)에 밀어 넣으면 스크레이퍼(80)의 선단(이물질 제거부)이 삽입부(72)에 도달하지만, 스크레이퍼(80)의 선단에 탄성부(81)가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어 탄성부(81)의 선단이 삽입부(70)에 삽입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탄성부(81)가 압축되도록 눌러 탄성부(81)의 높이를 삽입부(72)에 끼워지도록 낮추어 준 상태에서 손잡이부(83)를 이용하여 스크레이퍼(80)의 탄성부(81)를 삽입부(72)의 내부로 밀어 넣은 후 스크레이퍼(80)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스크레이퍼(80)가 삽입편(70)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스크레이퍼(80)를 몸체(60)에서 인위적으로 빼내지 않는 한, 쓰레받기의 몸체(60)에 담긴 쓰레기를 버릴 때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에 물기가 있어 몸체(60)를 리어카 등에 충격을 가해 두드리더라도 삽입편(70)에 탄력적으로 끼워진 스크레이퍼(80)가 빠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빗자루(30)의 자루(31)를 쓰레받기의 손잡이(90)에 형성된 클립(93)에 끼워 도 7과 같이 함께 보관하는 데, 만약 몸체(60)의 내부에 미처 버리지 못한 쓰레기가 담겨져 있더라도 클립(93)에 끼워진 빗자루(30)가 몸체(60)의 개구부를 폐쇄하게 되므로 수거된 쓰레기가 몸체(60)에서 빠져나오지 않는 이점도 갖는다.
따라서 바닥에 흩어진 쓰레기를 치우기 위해서는 클립(93)에 끼워진 빗자루(30)를 분리하여 바닥에 흩어져 있던 쓰레기를 한데 모았다가 쓰레받기의 몸체(60)에 담아 버리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의 쓰레기를 치우는 과정에서 바닥에 껌과 같은 이물질이 발견되면 스크레이퍼(80)를 이용하여 이를 제거하여야 되는 데, 본 발명은 몸체(60)의 천장부(62)에 형성된 삽입편(70)에 스크레이퍼(80)가 삽입되어 있어 스크레이퍼(80)의 손잡이부(83)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몸체(60)로부터 스크레이퍼(80)가 분리되므로 스크레이퍼(80)를 이용하여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스크레이퍼(80)를 파지하여 바닥에 붙은 이물질을 힘껏 제거할 때 가이드편(82)의 사이에 엠보싱부(84)가 형성되어 있어 강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스크레이퍼(80)가 변형되는 현상 또한 방지하게 된다.
한편, 바닥의 쓰레기는 물론이고 껌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나면 삽입편(70)에 스크레이퍼(80)를 전술한 바와 같이 끼워 결합함과 동시에 빗자루(30)를 손잡이(90)에 형성된 클립(93)에 끼우면 빗자루(30)의 자루(31)가 몸체(6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홈(64)에 위치되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됨은 물론 빗자루(30)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빗자루(30)가 결합된 쓰레받기를 보관 시 쓰레받기의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 : 빗자루 60 : 몸체
61 : 보스 63 : 걸림공
64 : 홈 70 : 삽입편
71 : 가이드레일 72 : 삽입부
80 : 스크레이퍼 81 : 탄성부
82 : 가이드편 84 : 엠보싱부
90 : 손잡이 91 : 봉
92 : 탄성돌기 93 : 클립

Claims (5)

  1. 쓰레받기를 구성하는 몸체(60)에 가이드레일(71) 및 삽입부(72)를 갖는 삽입편(70)을 형성하고 스크레이퍼(80)에는 탄성부(81)를 형성하여 스크레이퍼(80)의 양측면이 삽입편(70)의 가이드레일(71)에 안내되도록 삽입함과 함께 탄성부(81)를 압축하여 스크레이퍼(80)가 삽입부(70)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편(70)이 몸체(60)의 천장부(62)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60)의 상면에 걸림공(63)을 갖는 보스(61)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손잡이(90)에는 빗자루(30)의 자루(31)가 끼워지는 클립(93)을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90)가 고정된 봉(91)에는 보스(61)의 걸림공(63)에 걸리는 탄성돌기(9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60)의 전면 상부에 빗자루(30)의 자루(31)가 위치하는 홈(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90)가 몸체(60)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KR1020160073868A 2016-06-14 2016-06-14 쓰레받기 KR101818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68A KR101818533B1 (ko) 2016-06-14 2016-06-14 쓰레받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868A KR101818533B1 (ko) 2016-06-14 2016-06-14 쓰레받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997A true KR20170140997A (ko) 2017-12-22
KR101818533B1 KR101818533B1 (ko) 2018-01-15

Family

ID=6093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868A KR101818533B1 (ko) 2016-06-14 2016-06-14 쓰레받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5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75996A (zh) * 2020-02-12 2020-06-12 于洋 一种应急交通灯
KR20200139072A (ko) * 2019-06-03 2020-12-11 플라텍 주식회사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1267B2 (ja) * 1996-05-31 2001-08-2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ビニルフェニル基含有シラン化合物用重合禁止剤
JP2007038180A (ja) * 2005-08-05 2007-02-15 Maana:Kk ブラ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72A (ko) * 2019-06-03 2020-12-11 플라텍 주식회사 자루 접이식 쓰레받기
CN111275996A (zh) * 2020-02-12 2020-06-12 于洋 一种应急交通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533B1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4771A (en) WC brush with handle and brush sections and brush storage device
US4447082A (en) Excrement clean-up tool and bagger
US4659045A (en) Trash bagging kit
KR101818533B1 (ko) 쓰레받기
US20060225234A1 (en) Mop head retaining clamp
US7108150B1 (en) Trash receptacle unit
KR101085787B1 (ko) 다기능 쓰레받기
KR200454921Y1 (ko) 생체 적응형 쓰레받기
KR200487886Y1 (ko) 밀대 청소기
KR20150061871A (ko) 먼지 털이 빗자루
KR20180001802U (ko) 머리카락 거르개와 작은 솔이 부착된 쓰레받기
US9770094B1 (en) Multi-purpose floor cleaning device
KR200411813Y1 (ko) 다용도 청소용구함
KR102028350B1 (ko) 쓰레받기
KR20100001216U (ko) 쓰레받기
KR200481386Y1 (ko) 유연한 연결관을 갖는 쓰레받기
US2932049A (en) Holder for floor and wall cleaning devices
KR101197550B1 (ko) 빗자루
KR102371955B1 (ko)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
CN212591978U (zh) 一种清洁工具放置箱
JP3126817U (ja) 粉末洗剤容器
CN2891957Y (zh) 隐帚簸箕
CN102058358B (zh) 一种方便除尘纸拖把
KR200489790Y1 (ko) 쓰레받기
KR20110004964U (ko) 한 손 청소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