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955B1 -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955B1
KR102371955B1 KR1020210029826A KR20210029826A KR102371955B1 KR 102371955 B1 KR102371955 B1 KR 102371955B1 KR 1020210029826 A KR1020210029826 A KR 1020210029826A KR 20210029826 A KR20210029826 A KR 20210029826A KR 102371955 B1 KR102371955 B1 KR 102371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plate
discharge
collection space
dust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동현
김명식
Original Assignee
여동현
김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동현, 김명식 filed Critical 여동현
Priority to KR102021002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부위가 개구되며 일정크기의 수거공간(12)이 형성되는 수거통(11), 수거통(11)의 상측 중앙부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3), 수거공간(12)의 좌우 내면에서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며 돌출되는 가이드단(14)이 형성되는 수거부; 수거공간(12)의 개구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하되 좌우 양측부위에 오목홈(22)이 형성되어 가이드단(14)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배출판(21), 하측부위는 배출판(21)의 상측 중앙부위에 결합되고 상측부위는 가이드홈(13)의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손잡이(26)가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Dustpan with easy discharging tool}
본 발명은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청소 과정에서 수거통 내부에 쓰레기가 채워지면 배출손잡이를 간단하게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매우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적인 생활이나 업무 등의 과정에서 쓸모가 없어 버려진 쓰레기 등은 쓰레받기에 수거된 다음에 쓰레기통이나 종량제 봉투 등에 담겨진다. 집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청소를 하거나 또는 회사나 야외 등에서 청소를 할 땐,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쓰레받기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쓰레받기에는 전방부위가 개구된 박스 형태의 수거통이 구비되는데, 수거통의 내부공간이 일정깊이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대량의 쓰레기 수거에 용이하다. 또한, 수거통에 마련되는 손잡이는 일정수직 높이를 구성되어 허리를 굽히지 않고 선 상태로 쓰레기 수거가 가능하여 힘들이지 않고 청소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 제안되거나 유통되고 있는 쓰레받기 대부분은 청소 이후에 수거통에 채워진 쓰레기를 배출시킬 때, 손잡이나 수거통을 들어서 수거통의 개구부가 쓰레기통으로 향한 상태로 뒤집어서, 수거통 내부공간에 위치한 쓰레기가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쓰레기가 어느 정도 중량을 가질 때는 이러한 자유 낙하 방식이 매우 유용하나, 종이 등과 같이 쓰레기가 가볍거나 쓰레기가 서로 엉켜 있는 경우에는 배출 자체가 곤란하여, 청소자가 힘을 가해 수거통을 흔들거나 아니면 손을 수거통에 넣어 쓰레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5787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거통에 채워진 쓰레기를 보다 편리하면서도 위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쓰레받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방부위가 개구되며 일정크기의 수거공간(12)이 형성되는 수거통(11), 수거통(11)의 상측 중앙부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3), 수거공간(12)의 좌우 내면에서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며 돌출되는 가이드단(14)이 형성되는 수거부; 수거공간(12)의 개구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하되 좌우 양측부위에 오목홈(22)이 형성되어 가이드단(14)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배출판(21), 하측부위는 배출판(21)의 상측 중앙부위에 결합되고 상측부위는 가이드홈(13)의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손잡이(26)가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거통(11)의 수거공간(12) 후방에는 배출판(21)의 하단부위가 안치될 수 있는 일정깊이의 안치홈(16)이 형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배출판(21)의 전면 중앙부위에는 보강부(2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거통의 수거공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배출판을 마련함으로써, 청소 과정에서 수거통 내부에 쓰레기가 채워지면 배출손잡이를 간단하게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매우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받기의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받기의 개략적인 결합 구성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받기의 횡단면도를 이용한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
도 4는 종래 쓰레받기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수거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는 쓰레받기로서, 수거부는 쓰레기 등이 일시 수납되는 부분이며, 배출부는 수거부에 일시 수납된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부분이다. 이들 수거부와 배출부를 이루는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수거부는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수거통(11), 그리고 수거통(11)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3) 및 가이드단(14)으로 이루어진다. 수거통(11)에는 일정크기의 수거공간(12)이 형성되며, 일측부위는 개구되며 타측부위는 폐쇄된다.
도면에는 폐쇄된 수거통(11)의 후측부위가 수거통(11)과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수거통(11)의 후측부위가 별도 제작되어 수거통(11)과 결합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가이드홈(13)은 후술할 손잡이(26)의 하측부위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부분으로, 수거통(11)의 상측 중앙부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된다. 가이드단(14)은 배출판(21)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도면과 같이 수거공간(12)의 좌우 내면에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며, 일정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도면부호 17은 이동손잡이이다.
이때,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수거통(11)의 수거공간(12) 후방에는 일정 폭으로 하측으로 돌출되는 안치단(15)이 형성되며, 안치단(15) 내부에는 도 3a와 같이 일정깊이의 안치홈(16)이 형성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안치홈(16)은 배출판(21)의 하단부위가 안치되는 공간이다.
배출판(21)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데, 배출판(16)이 이처럼 안치홈(16)에 안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청소 과정에서 배출판(21)이 움직이게 되면 수거통(11)에 담겨진 쓰레기가 밖으로 다시 배출될 수도 있고, 수거통(11)의 수거공간(12)이 줄어드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수거통(11)의 수거공간(12)에 안치홈(16)이 형성되는 경우, 도 3a에 개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홈(13)의 후단은 후술할 배출판(21)의 하단부위가 안치홈(16)에 용이하게 안치될 수 있는 정도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거통(11)의 수거공간(12)에 안치홈(16)이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단(14) 각각의 후단은 전술한 가이드홈(13)의 경우와 달리, 안치홈(16)에 미치지 못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각각은 배출판(21)의 용이한 안치를 위함이다.
배출부는 도 2와 같이 배출판(21) 및 배출손잡이(26)로 이루어진다. 배출판(21)은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도면과 같이 수거공간(12)에 수직하게 위치한다. 배출판(21)의 좌우 양측부위 각각에는 수거통(11)의 가이드단(14)에 대응되는 오목홈(2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출판(21)이 수거통(11)의 수거공간(12)에 수직하게 삽입되면, 배출판(21)은 가이드단(14)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달리, 배출판(21)의 좌우 양측에 가이드단이 돌출 형성되고, 수거통(11)의 내면 좌우에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배출손잡이(26)는 사용자가 배출판(21)을 조작하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으로, 그 하측부위는 배출판(21)의 상측 중앙부위에 결합되고, 상측부위는 가이드홈(13)의 외부로 노출된다. 도면부호 24, 28 각각은 미도시된 체결수단이 관통 삽입되는 체결홀이다.
배출손잡이(26)이 하측부위는 도면과 같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결합판(27)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결합판(27) 사이 공간으로 배출판(21)의 상측 중앙부위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다만, 이는 배출손잡이(26)와 배출판(21)의 결합을 위한 일례일 뿐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배출판(21)의 전면 중앙부위에 보강부(23)가 마련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배출판(21)이 판상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파손되거나 휘면서 정상적인 작동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럴 경우, 배출판(21)에 보강부(23)가 마련되면 장시간 안정적인 작동을 담보할 수 있다. 보강부는 착탈식으로 배출판에 결합 및 분리될 수도 있다.
한편, 청소하는 과정에서 수거통(11)에 수납되는 쓰레기는 대개의 경우 수거공간(12)의 중앙부위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판(21)은 일정면적의 판상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배출판이 균일한 두께를 가지게 되면 중앙부위의 강도가 가장 취약하다.
때문에, 배출판(21)에 보강부(23)를 부가하는 경우, 부가된 보강부(23)의 형상을 도면과 같이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모서리를 형성시켜 돌출시키면, 배출 과정에서 쓰레기들은 자연스럽게 좌우로 배분될 수 있어, 장시간 배출판의 안정적인 작동은 물론 쓰레기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을 전술한 설명 및 도 3a, 3b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청소하기 직전 또는 보관시의 쓰레받기에 있어 배출판(21)은 안치홈(16)에 안치된다. 즉, 배출손잡이(26)를 최대한 뒤로 밀면, 배출판(21)의 가이드홈(22)이 수거통(11)의 가이드단(14)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따라 배출판(21)의 하측부위는 수거통(11)의 안치홈(16)에 안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빗자루 등을 이용하여 쓰레기(B)를 수거통(11)의 수거공간(12)에 밀어 넣는다. 청소가 완료되거나 또는 수거공간(12)에 쓰레기가 가득 차면, 쓰레받기를 쓰레기통의 상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3b와 같이 배출손잡이(26)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배출판(21)이 일정깊이의 안치홈(16)에 안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배출판(21)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때는 배출손잡이(26)를 수직 상방으로 약간 들어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배출판(21)의 오목홈(22)이 수거통(11)의 가이드단(14)과 결합되고, 그 상태에서 전방으로 서서히 이동시키면 된다.
외력에 의해 배출판(21)이 가이드단(14)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 수거통(11)의 수거공간(12)에 채워져 있던 쓰레기들이 수거통(11)의 개구부 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최종적으로 수거통(11)의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어 쓰레기통에 담겨진다. 이후, 배출손잡이(26)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배출판(21)의 하측부위를 안치홈(16)에 안치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청소는 완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 : 수거통 12 : 수거공간
13 : 가이드홈 14 : 가이드단
16 : 안치홈 17 : 이동손잡이
21 : 배출판 22 : 오목홈
23 : 보강부 26 : 배출손잡이

Claims (3)

  1. 전방부위가 개구되며 일정크기의 수거공간(12)이 형성되는 수거통(11), 수거통(11)의 상측 중앙부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가이드홈(13), 수거공간(12)의 좌우 내면에서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며 돌출되는 가이드단(14)이 형성되는 수거부;
    수거공간(12)의 개구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하되 좌우 양측부위에 오목홈(22)이 형성되어 가이드단(14)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배출판(21), 하측부위는 배출판(21)의 상측 중앙부위에 결합되고 상측부위는 가이드홈(13)의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손잡이(26)가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거통(11)의 수거공간(12) 후방에는 배출판(21)의 하단부위가 안치될 수 있는 일정깊이의 안치홈(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판(21)의 전면 중앙부위에는 보강부(2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
KR1020210029826A 2021-03-08 2021-03-08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 KR102371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26A KR102371955B1 (ko) 2021-03-08 2021-03-08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826A KR102371955B1 (ko) 2021-03-08 2021-03-08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955B1 true KR102371955B1 (ko) 2022-03-08

Family

ID=8081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826A KR102371955B1 (ko) 2021-03-08 2021-03-08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9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41343U (zh) * 2009-04-29 2010-04-28 山东科技职业学院 一种撮箕
CN201492391U (zh) * 2009-06-23 2010-06-02 王中梁 一种伸缩簸箕
KR101085787B1 (ko) 2011-08-25 2011-11-25 임홍길 다기능 쓰레받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41343U (zh) * 2009-04-29 2010-04-28 山东科技职业学院 一种撮箕
CN201492391U (zh) * 2009-06-23 2010-06-02 王中梁 一种伸缩簸箕
KR101085787B1 (ko) 2011-08-25 2011-11-25 임홍길 다기능 쓰레받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961Y1 (ko) 보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봉투 거치용 쓰레기통
JPH07215407A (ja) すくい具付き貯蔵容器蓋
WO1998019855A1 (en) Manual refuse compactor
KR102371955B1 (ko)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
US5088531A (en) Waste collection device
KR101926762B1 (ko) 음식물 쓰레기통
CN211109201U (zh) 一种垃圾分类用垃圾箱的稳固机构
KR101930712B1 (ko) 쓰레받기 일체형 쓰레기통
CN212075170U (zh) 便于清理的垃圾桶
CN112591337A (zh) 无接触便携式分类垃圾运送倾倒器
KR102088225B1 (ko) 쓰레받기 일체형 쓰레기통의 쓰레받기 승강장치
KR20170140997A (ko) 쓰레받기
KR200368808Y1 (ko) 저장공간이 구비된 쓰레받기
CN112502071A (zh) 一种使用方便的宠物粪便捡拾器
US2791374A (en) Waste handling device
CN220683581U (zh) 一种防超重的分类垃圾箱
CN211643127U (zh) 一种垃圾桶
CN220350706U (zh) 一种新型家用塑料垃圾桶
CN112023998A (zh) 一种医学检验用超净工作台
JP3061601U (ja) ゴミ容器
CN210557111U (zh) 一种多功能垃圾桶
KR200492960Y1 (ko) 쓰레기봉투 거치용 쓰레기통
CN215515187U (zh) 一种具有分类机构的水产品零售用废物箱
CN220097376U (zh) 一种与喀斯特景观协调的生态旅游垃圾桶
CN211811503U (zh) 一种生活垃圾分类收集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