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790Y1 - 쓰레받기 - Google Patents

쓰레받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790Y1
KR200489790Y1 KR2020180002971U KR20180002971U KR200489790Y1 KR 200489790 Y1 KR200489790 Y1 KR 200489790Y1 KR 2020180002971 U KR2020180002971 U KR 2020180002971U KR 20180002971 U KR20180002971 U KR 20180002971U KR 200489790 Y1 KR200489790 Y1 KR 200489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bottom plate
plate
inle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호
Original Assignee
황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상호 filed Critical 황상호
Priority to KR2020180002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2Dust pans; Crumb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쓰레기가 들어오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후방에 쓰레기가 담겨지는 공간(S)이 형성된 몸체부(10); 몸체부(10) 유입구(11)의 바닥판 단부에서 공간(S) 측으로 바닥판과 점차 이격되면서 경사져 형성된 역류방지부(20); 역류방지부(20)의 공간(S) 측 단부에 형성된 빗자루의 모 사이에 엉켜있는 이물질 제거용 빗살(22); 몸체부(10)의 후면에는 공간(S)에 담긴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출부(12); 몸체부(10)의 상부 양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지지부(31)와, 2개의 지지부(31)가 연결된 부분에서 몸체부(10)의 후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파지부(32)와, 파지부(32)에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도록 형성된 2개의 관통구(32a)로 구성된 손잡이부(30)로 이루어진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쓰레받기{Dustpan}
본 고안은 쓰레받기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쓰레기가 들어오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후방에 쓰레기가 담겨지는 공간(S)이 형성된 몸체부(10); 몸체부(10) 유입구(11)의 바닥판 단부에서 공간(S) 측으로 바닥판과 점차 이격되면서 경사져 형성된 역류방지부(20); 역류방지부(20)의 공간(S) 측 단부에 형성된 빗자루의 모 사이에 엉켜있는 이물질 제거용 빗살(22); 몸체부(10)의 후면에는 공간(S)에 담긴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출부(12); 몸체부(10)의 상부 양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지지부(31)와, 2개의 지지부(31)가 연결된 부분에서 몸체부(10)의 후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파지부(32)와, 파지부(32)에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도록 형성된 2개의 관통구(32a)로 구성된 손잡이부(30)로 이루어진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받기는 바닥에 떨어진 이물질(쓰레기)를 빗자루로 쓸어 담아 버릴 때 사용되는 청소도구이다.
구체적으로는, 노면 등의 바닥에 떨어져 있는 먼지 등과 같이 미세한 입자의 이물질과 작은 입자의 형태로 되어 있는 쓰레기 및 액체가 혼합되어 있는 쓰레기 등을 빗자루로 쓸어 담아서 쓰레기를 버리는 곳에서 쓰레기를 버리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종래로부터 사용되어 왔던 쓰레받기는 빗자루 등을 이용하여 쓰레받기의 내부로 바깥에 떨어져 있는 이물질 등의 쓰레기를 쓸어담은 다음, 이를 쓰레기통이나 쓰레기를 버리는 폐기장소로 이동하여 버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나, 쓰레받기에 쓸어 담은 쓰레기를 폐기하기 위하여 폐기장소로 일정 거리를 이동할 때,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바람에 날리거나 이동 중 쓰레받기가 기울어져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유입구를 통해 다시 바닥에 떨어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고, 쓰레기통에 쓰레기를 폐기하는 과정에서도 쓰레기통의 입구가 유입구보다 좁을 경우에는 쓰레기가 쓰레기통의 외부로 떨어져 쓰레기통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쓰레받기에 쓰레기가 담긴 상태에서 다시 쓰레기를 쓰레받기로 쓸어 담기 위해 쓰레받기를 기울일 경우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쓰레받기의 유입구를 통해 쓰레받기 외부로 흘러내리는 문제점도 종종 발생하였다.
관련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고 제20-0358183호 (2004.08.07. 공고)에 기재된 쓰레받기가 있다.
상기 기술은 집안에서 먼지 쓰레기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쓰레받이에 관한 것으로, 함체의 배면판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쓰레받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배면판에 상부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주위로 처리봉투를 착탈하기 위한 적어도 4개의 걸고리가 형성되고, 손잡이는 끼움홈과 끼움돌기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결합핀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은, 본 출원인이 제안하는 쓰레받이의 몸체부(10)의 후면에는 공간(S)에 담긴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출부(12)의 구성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본 출원 고안에 구비된 쓰레받기에 구비된 몸체부(10) 유입구(11)의 바닥판(2)에서 공간(S)으로 바닥판(2)과 이격되면서 경사져 형성된 역류방지부(20); 역류방지부(20)의 공간(S) 측 단부에 형성된 빗자루의 모 사이에 엉켜있는 이물질 제거용 빗살(22); 몸체부(10)의 상부 양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지지부(31)와, 2개의 지지부(31)가 연결되되 몸체부(10) 후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파지부(32)와,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도록 파지부(32)에 형성된 2개의 관통구(32a)로 구성된 손잡이부(30)가 결여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고 제20-0358183호 (2004.08.07공고)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바람에 날리거나 이동 중 쓰레받기가 기울어져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유입구를 통해 다시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쓰레받기에 쓰레기가 담긴 상태에서 다시 쓰레기를 쓰레받기로 쓸어 담을 때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쓰레받기의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한다.
또한, 빗자루에 엉겨붙은 먼지 및 쓰레기를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쓰레받기로 쓰레기를 쓸어담거나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를 배출할 때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쉽게 쓰레받기를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구비된 쓰레받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쓰레받기는,
전방에 쓰레기가 들어오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후방에 쓰레기가 담겨지는 공간(S)이 형성된 몸체부(10); 몸체부(10)의 유입구(11) 바닥판(2) 단부에서 공간(S) 측으로 바닥판(2)과 점차 이격되면서 경사져 형성된 역류방지부(20); 몸체부(10)의 상부 양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역류방지부(20)는 몸체부(10) 유입구(11)의 바닥판(2) 단부에서 공간(S) 측으로 바닥판(2)과 점차 이격되면서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경사부(21)와 경사부(21)의 공간(S) 측 단부에 경사부(21)의 축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빗살(22)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 유입구(11)의 바닥판(2) 단부에서 공간(S) 측으로 바닥판(2)과 점차 이격되면서 경사져 형성된 역류방지부(20)에 의해 바닥판(2)과 역류방지부(20)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과 역류방지부(2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의해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유입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후면에는 공간(S)에 담긴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손잡이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양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지지부(31)와, 2개의 지지부(31)가 연결된 부분에서 몸체부(10)의 후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파지부(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공간(S)은 바닥판(2), 바닥판의 양측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측면판(3), 양 측면판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판(5), 바닥판(2)의 후면에서 연장되어 상부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 경사판(2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2) 및 상부판(5)은 유입구에서 배출구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에는 양측면에는 측면판(3)이 구비되되, 상기 측면판은 '
Figure 112018063699848-utm00001
' 형태를 갖는 제1 측면판(3a), 제2 측면판(3b) 및 제3 측면판(3c)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판(3)은, 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측면판(3a), 상기 제1 측면판(3a)에서 상부로 연장된 지지부를 형성하는 제2 측면판(3b), 제2 측면판(3b)에서 몸체부(10)의 후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어 파지부(32)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3 측면판(3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는 몸체부(10)의 양측에 형성된 제1 측면판(3a)의 상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2개의 제2 측면판(3b)과, 상기 2개의 제2 측면판(3b) 상측 단부로부터 배출구(12) 방향으로 굴곡된 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된 2개의 제3 측면판(3c)과, 상기 제2 측면판(3b)과 제3 측면판(3c)의 사이에 형성되는 파지부(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32)에는 사용자의 쓰레받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2개의 관통구(3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에 의하면,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바람에 날리거나 이동 중 쓰레받기가 기울어져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유입구를 통해 다시 바닥에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쓰레받기에 쓰레기가 담긴 상태에서 다시 쓰레기를 쓰레받기로 쓸어 담을 때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쓰레받기의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자루에 엉겨붙은 먼지 및 쓰레기를 쉽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쓰레받기로 쓰레기를 쓸어담거나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를 배출할 때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 쉽게 쓰레받기를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받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배출하는 실시예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고안은 쓰레받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에 쓰레기가 들어오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후방에 쓰레기가 담겨지는 공간(S)이 형성된 몸체부(10); 몸체부(10) 유입구(11)의 바닥판 단부에서 공간(S) 측으로 바닥판과 점차 이격되면서 경사져 형성된 역류방지부(20); 역류방지부(20)의 공간(S) 측 단부에 형성된 빗자루의 모 사이에 엉켜있는 이물질 제거용 빗살(22); 몸체부(10)의 후면에는 공간(S)에 담긴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출부(12); 몸체부(10)의 상부 양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지지부(31)와, 2개의 지지부(31)가 연결된 부분에서 몸체부(10)의 후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파지부(32)와, 파지부(32)에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도록 형성된 2개의 관통구(32a)로 구성된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받기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면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배출하는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받기는, 몸체부(10), 역류방지부(20) 및 손잡이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전방이 개방된 유입구(11)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빗자루로 쓰레기를 유입구(11)를 통해 쓸어 담으면 몸체부(10)에 형성된 공간(S)에 쓰레기가 담기게 되는데, 몸체부(10)의 공간(S)은 몸체부(10) 양 측면판(3)과 상부판(5)과 바닥판(2)과 경사판(2a)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2)은, 몸체부(10)의 저면에 형성되되, 전단부가 넓고 후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바닥판(2)의 후단부에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판(2a)이 연장되는데, 상기 경사판(2a)은 상부로 연장될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3)은, 몸체부(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판(3)은, '
Figure 112018063699848-utm00002
' 형태를 갖는 제1 측면판(3a), 제2 측면판(3b) 및 제3 측면판(3c)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판(3)은 몸체부(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측면판(3a), 상기 제1 측면판(3a)에서 상부로 연장된 지지부(31)를 형성하는 제2 측면판(3b), 제2 측면판(3b)에서 몸체부(10)의 후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파지부(32)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3 측면판(3c)으로 구성된다.
즉, 제1 측면판(3a)은 몸체부(1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것이고, 제2 측면판(3b)은 몸체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판(3a)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이며, 제3 측면판(3c)은 제2 측면판(3b)에서 몸체부(10)의 후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파지부(32)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5)은 공간(S)의 상부면으로 몸체부(10)의 양측면판 사이에 형성되며, 전단부는 유입구(11)의 상부, 후단부는 배출구(12)의 상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판(5)은 바닥판(2)과 같이 유입구(11)에서 배출구(12)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몸체부(10)의 구성에 의해 몸체부(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S)은 전단부인 유입구(11) 측이 넓고 후단부인 배출구(12)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몸체부(10)의 바닥판(2)에는 공간(S)으로 들어온 쓰레기가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유입구(11)의 바닥판(2) 단부에서 공간(S) 측으로 갈수록 바닥판과 점차 이격되면서 경사져 형성된 역류방지부(20)가 구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10) 유입구(11)의 바닥판(2) 단부에서 공간(S) 측으로 바닥판(2)과 점차 이격되면서 경사져 형성된 역류방지부(20)에 의해 바닥판(2)과 역류방지부(20)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과 역류방지부(2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의해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유입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역류방지부(20)는 경사부(21) 및 빗살(22)로 구성되는데, 상기 경사부(21)는 몸체부(10) 유입구(11)의 바닥판(2) 단부에서 공간(S) 측으로 바닥판(2)과 점차 이격되면서 경사진 형태를 가지며, 경사부(21)의 공간(S) 측 단부에는 빗살(22)이 형성된다.
상기 빗살(22)은 경사부(21)의 축 방향으로 빗살(22)이 복수 개 형성되는데, 이러한 빗살(22)은 빗자루의 모에 엉겨붙은 먼지 및 쓰레기를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빗자루 모에 빗살의 길이 방향으로 끼워서 당기면 빗자루 모에 엉겨붙은 먼지 및 쓰레기가 빗살(22)에 의해 제거되며, 빗자루 모에서 제거된 먼지 및 쓰레기는 몸체부(10)의 공간(S)에 담기기 때문에 빗자루 모에 엉겨붙은 먼지 및 쓰레기를 제거가 쉬울 뿐만 아니라, 빗자루 모에 엉겨붙은 먼지 및 쓰레기를 제거할 때 빗자루 모에서 떨어진 먼지 및 쓰레기가 주변이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몸체부(10) 공간(S)에 담긴 쓰레기는 몸체부(10) 후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되는데, 상기 배출구(12)는 도 2와 같이 몸체부(10)의 공간(S) 및 유입구(11)와 연통되는 관통홈 형태를 갖되, 유입구(11)의 크기보다 작은 홈으로 형성된다.
이는 빗자루로 쓰레기를 유입구(11)를 통해 용이하게 쓰레받기에 쓸어 담고, 쓰레받기에 쓸어 담긴 쓰레기를 배출구(12)를 통해 쓰레통과 같은 쓰레기 배출 장소에 버릴 때 쓰레기가 주변으로 날리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쓰레기 배출장소인 쓰레기통이나 쓰레기 봉투의 입구가 유입구보다 좁은 경우에도 쓰레받기에 쓸어 담긴 쓰레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출구(12)의 하측에는 바닥판(2)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판(2a)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경사판(2a)은 빗자루를 이용하여 몸체부(10) 공간(S)으로 쓰레기를 담을 때 배출구(12)를 통해 쓰레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역류방지부(20)의 경사부(21) 상에 있는 쓰레기를 공간(S)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쓰레받기의 뒤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기울 때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배출구(12)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사판(2a)의 경사진 각도는 몸체부(10)의 공간(S)에 담긴 쓰레기를 배출구(12)를 통해 버릴 때, 경사진 경사판(2a)에 의해 쓰레기가 배출구(12)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정도의 경사 각도와, 빗자루를 이용하여 몸체부(10) 공간(S)으로 쓰레기를 담을 때 배출구(12)를 통해 쓰레기가 배출되지 않는 정도의 경사 각도와, 역류방지부(20)의 경사부(21) 상에 있는 쓰레기를 공간(S)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쓰레받기의 뒤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기울 때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배출구(12)로 배출되지 않는 정도의 경도 각도면 충분하다.
상기 몸체부(10)에는 사용자가 빗자루를 이용하여 쓰레받기(1)에 쓰레기를 쓸어담거나 쓰레받기(1)의 공간(S)에 쓸어 담은 쓰레기를 배출구(12)로 버리기 위해 사용자가 쓰레받기를 손으로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이나 팔 등에 무리가 생기지 않으면서 쉽게 쓰레받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10) 상부에 손잡이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0)는, 몸체부(10)의 양측에 형성된 제1 측면판(3a)의 상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2개의 제2 측면판(3b)과, 상기 2개의 제2 측면판(3b) 상측 단부로부터 배출구(12) 방향으로 굴곡된 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된 2개의 제3 측면판(3c)과, 상기 제2 측면판(3b)과 제3 측면판(3c)의 사이에 형성되는 파지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측면판(3b)은 지지부(31)를 형성하는 것으로, 몸체부(1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제1 측면판(3a)의 상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10)의 상부판(5), 제2 측면판(3b) 및 파지부(32)에 의해 이들 사이에는 관통된 홈부(31a)가 형성되는데, 상기 홈부(31a)를 통해 사용자가 쓰레받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지부(32)는, 한쌍의 지지부(31) 상부에서 몸체부의 후단부 방향으로 굴곡되어 경사져 연장되되, 한쌍의 지지부(31) 상부를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부(32)는,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쓰레받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2개의 관통구(32a)가 형성된다. 이러한 2개의 관통구(32a) 사이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잡고 쓰레받기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쓰레받기로 쓰레기를 쓸어담거나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를 배출할 때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쉽게 쓰레받기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쓰레받기를 들어서 사용할 때, 파지부(32)가 지지부(31)를 통해 사용자의 손목에 전달되는 쓰레받기의 무게를 분산할 수 있도록 2개의 지지부(31)를 연결된 부분에서 몸체부(10)의 후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고, 파지부(32)에 사용자가 쓰레받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2개의 관통구(32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쓰레받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에는 무리가 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 : 쓰레받기
2 : 바닥판
2a : 경사판
3 : 측면판
3a : 제1 측면판
3b : 제2 측면판
3c : 제3 측면판
4 : 정면판
5 : 상부판
10 : 몸체부
10a : 바닥판 10b : 측면판
10c : 정면판 10d : 후면판
11 : 유입구
12 : 배출구
20 : 역류방지부
21 : 경사부
22 : 빗살
30 : 손잡이부
31 : 지지부
31a : 홈부
32: 파지부
32a : 관통구

Claims (9)

  1. 전방에 쓰레기가 들어오는 유입구(11)가 형성되며, 후방에 쓰레기가 담겨지는 공간(S)이 형성된 몸체부(10); 몸체부(10)의 유입구(11) 바닥판(2) 단부에서 공간(S) 측으로 바닥판(2)과 점차 이격되면서 경사져 형성된 역류방지부(20); 몸체부(10)의 상부 양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역류방지부(20)는 몸체부(10) 유입구(11)의 바닥판(2) 단부에서 공간(S) 측으로 바닥판(2)과 점차 이격되면서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경사부(21)와 경사부(21)의 공간(S) 측 단부에 경사부(21)의 축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빗살(22)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 유입구(11)의 바닥판(2) 단부에서 공간(S) 측으로 바닥판(2)과 점차 이격되면서 경사져 형성된 역류방지부(20)에 의해 바닥판(2)과 역류방지부(20) 사이에는 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2)과 역류방지부(2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의해 쓰레받기에 담긴 쓰레기가 유입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후면에는 공간(S)에 담긴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몸체부(10)의 상부 양측면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지지부(31)와, 2개의 지지부(31)가 연결된 부분에서 몸체부(10)의 후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파지부(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쓰레받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공간(S)은 바닥판(2), 바닥판의 양측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측면판(3), 양 측면판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판(5), 바닥판(2)의 후면에서 연장되어 상부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 경사판(2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2) 및 상부판(5)은,
    유입구(11)에서 배출구(12)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양측면에는 측면판(3)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측면판(3)은 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측면판(3a), 상기 제1 측면판(3a)에서 상부로 연장된 지지부를 형성하는 제2 측면판(3b), 제2 측면판(3b)에서 몸체부(10)의 후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어 파지부(32)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3 측면판(3c)을 포함하여 '
    Figure 112019053170921-utm00009
    '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0)는,
    몸체부(10)의 양측에 형성된 제1 측면판(3a)의 상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2개의 제2 측면판(3b)과, 상기 2개의 제2 측면판(3b) 상측 단부로부터 배출구(12) 방향으로 굴곡된 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된 2개의 제3 측면판(3c)과, 상기 제2 측면판(3b)과 제3 측면판(3c)의 사이에 형성되는 파지부(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9.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32)는,
    사용자의 쓰레받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2개의 관통구(3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받기.
KR2020180002971U 2018-06-28 2018-06-28 쓰레받기 KR200489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71U KR200489790Y1 (ko) 2018-06-28 2018-06-28 쓰레받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71U KR200489790Y1 (ko) 2018-06-28 2018-06-28 쓰레받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790Y1 true KR200489790Y1 (ko) 2019-08-07

Family

ID=6758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971U KR200489790Y1 (ko) 2018-06-28 2018-06-28 쓰레받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9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655A (ja) * 1995-08-28 1997-03-04 Hirotoshi Sato ごみ捨て口付ちり取り
US6643892B1 (en) * 2002-03-14 2003-11-11 Kevin M. Murphy Dust funnel
KR200358183Y1 (ko) 2004-04-30 2004-08-07 황효상 쓰레받이
CN202269998U (zh) * 2011-10-13 2012-06-13 陈叔宝 梳理刷簸箕
US8875339B2 (en) * 2012-11-15 2014-11-04 Eben W. Dobson, III Dustpa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655A (ja) * 1995-08-28 1997-03-04 Hirotoshi Sato ごみ捨て口付ちり取り
US6643892B1 (en) * 2002-03-14 2003-11-11 Kevin M. Murphy Dust funnel
KR200358183Y1 (ko) 2004-04-30 2004-08-07 황효상 쓰레받이
CN202269998U (zh) * 2011-10-13 2012-06-13 陈叔宝 梳理刷簸箕
US8875339B2 (en) * 2012-11-15 2014-11-04 Eben W. Dobson, III Dustp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46452C1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US5580111A (en) Animal waste and litter scoop
US6401660B1 (en) Self-cleaning cat liter box
US7942460B2 (en) Pet litter scooper
US5741036A (en) Pet waste scoop assembly
KR200489790Y1 (ko) 쓰레받기
US20020149215A1 (en) Litter scoop
US6286177B1 (en) Under cabinet vacuum device
WO2005094658A1 (en) Scalloped edge dustpan
CN204105913U (zh) 一种可清理扫帚的簸箕
CN213548943U (zh) 一种高效猫砂铲
KR101818533B1 (ko) 쓰레받기
CN210841070U (zh) 猫砂盆
CN211025289U (zh) 一种污水处理设备的前端过滤装置
US20110181064A1 (en) Pet mess tool
JP2007160059A (ja) ちりとり
CN208426062U (zh) 多功能簸箕
JP3214191U (ja) 吸引移送具
JP2022536675A (ja) 庭園のゴミを収集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2007244366A (ja) ネコトイレ用糞便除去ネット
AU2018100595A4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nimal excrement
CN218402042U (zh) 一种带梳齿垃圾桶
JP3190357U (ja) 落ち葉清掃具
CN208022192U (zh) 一种环卫用垃圾清扫装置
EP3409159A2 (de) Einfach entleerbarer in der hand gehaltenen akkubetriebenen staubsau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