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741A - 한글 기반의 발음기호 표시방법, 발음기호가 표시된 매체 및 발음기호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한글 기반의 발음기호 표시방법, 발음기호가 표시된 매체 및 발음기호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741A
KR20170140741A KR1020160073446A KR20160073446A KR20170140741A KR 20170140741 A KR20170140741 A KR 20170140741A KR 1020160073446 A KR1020160073446 A KR 1020160073446A KR 20160073446 A KR20160073446 A KR 20160073446A KR 20170140741 A KR20170140741 A KR 20170140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pronunciation
hangul
voice
pho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기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신영 filed Critical (주)기신영
Priority to KR1020160073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40741A/ko
Publication of KR2017014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6F17/226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매체를 이용한 발음기호 표시 방법에 있어서,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한글형 음성 기호에 기초한 자음 및 모음으로 변환한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한글 기반의 발음기호 표시방법, 발음기호가 표시된 매체 및 발음기호 표시 장치{A METHOD FOR PRESENTING PHONETICS, A MEDIA PRESENTING PHONETICS AND A PHONETICS PRESENTING DEVICE BASED ON HANGUL}
본 발명은 발음기호 표시 방법, 그 발음기호가 표시된 매체 및 표시 장치에 대한 것으로, 한글을 기반으로하는 효과적인 제2 언어의 발음기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글 표기의 우수성으로 세계의 여러나라의 소수민족에서는 한글을 자국의 표기어로 사용하고 있다. 전 세계에는 7천 개에 가까운 언어가 있으며 이중 합리적 표기어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는 소수에 불과하며 소리음에 가장 가깝게 만들어진 한글의 자음과 모음은 점차 세계의 많은 소수민족이 자국어의 표기법으로 사용할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한글의 경우 그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국제 음성기호의 모든 음을 표기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제 음성기호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영어 발음 기호와 같은 것으로서, 유럽학자들이 만든 라틴어 기반의 국제음성기호: IPA(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를 통해 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영어 낱말은 소리음 이기는 하지만 약 70%만 소리대로 표기되고 나머지는 철자대로 발음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사전에 들어 있는 상기 국제음성기반 발음기호대로 발음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제음성기호는 영어 문자 18개와 라틴어와 그리스어 문자 26개로 되어 있어서 영어를 처음 배우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 전문적인 영어학습을 하였다 하더라도 각 기호가 가리키는 음소의 발음을 바르게 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로 인해 이 국제음성기호를 제대로 가르치거나 배우는 것이 쉽지 않은 까닭에, 처음 영어를 접하는 초등학생 또는 영어 초심자들은 알파벳 철자를 접하며 어떻게 발음하여야 할까 어려움을 겪게되고 또, 어려움의 대안으로 영어 발음을 한글로 써서 배우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father'라는 영어 낱말의 발음을 [파더]라고 적어 놓고 발음을 하게 되면 이것은 제대로 된 영어 발음이라고 할 수가 없게 되며 정확한 발음을 배울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제 음성 기호의 모든 음성기호를 한글로 표기화할 수 있는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제공하여, 한글을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한국어에 없는 국제음성 기호를 빠르고 쉽게 배울 수 있고, 한글의 원형을 훼손 하지 않으면서도 한글을 아는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한글화된 음성 발음 기호를 기반으로 국제 음성기호를 발음할수 있도록 하는 한글 기반의 발음기호 표시방법, 발음기호가 표시된 매체 및 발음기호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매체를 이용한 발음기호 표시 방법에 있어서,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한글형 음성 기호에 기초한 자음 및 모음으로 변환한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표시 매체를 이용한 발음기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한글형 음성 기호에 기초한 자음 및 모음으로 변환한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체는 상기 방법에 의해 표시되는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가 기록된 교육용 교보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국제 음성 기호의 모든 음성기호를 한글로 표기화할 수 있는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변환 결과가 출력되는 표시 장치 또는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글을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한국어에 없는 국제음성 기호를 빠르고 쉽게 배울 수 있고, 한글의 원형을 훼손 하지 않으면서도 한글을 아는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한글화된 음성 발음 기호를 기반으로 국제 음성기호를 발음할수 있게 된다.
또한, 세계가 하나가 되는 국제화 시대에 국제 음성기호를 모두 표기할수 있는 한글 음성기호의 개발과 이의 보급을 통해 한글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국위를 신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음 기호 변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형 발음 기호에 대한 설명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형 발음 기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매체는 표시 장치, 교육용 교보재, 광고 매체, 교육 매체 등 다양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표시 장치(100) 및 데이터베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표시 장치(100)는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한글형 음성 기호에 기초한 자음 및 모음으로 변환한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 장치(100)는 제어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국제음성기호 처리부(140) 및 한글형 음성 발음기호 처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는 제어부(110)를 통해 발음기호 변환 데이터베이스(200)에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거나, 상기 발음기호 변환 데이터베이스(2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위해, 표시 장치(100)와 발음기호 변환 데이터베이스(200) 각각은 표시 장치(100) 및 발음기호 변환 데이터베이스(200)와 유/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표시 장치(100)와 발음기호 변환 데이터베이스(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송신된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수신된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모뎀(modem)과, RF 신호를 처리하는 RF 프론트 엔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표시 장치(100) 동작 제어 및 발음기호 입력을 위한 키 조작부 및 터치 패드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만약, 터치 패드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을 경우 키 조작부는 전원의 온/오프 등을 위한 최소한의 기능키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보드 인터페이스(Keyboard interface),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표시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가 발음 학습 모드인 경우 발음 학습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통상적으로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발음 학습, 영상 출력, 음향 출력,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금융 거래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는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획득하고, 한글형 음성 기호에 기초한 자음 및 모음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사용자 특수 입력에 따라 입력된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변환을 위해, 제어부(110)는 국제음성기호 처리부(140)를 통해, 상기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발음기호 변환 데이터베이스(200)에서 미리 저장된 발음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한글형 음성 발음기호 처리부(150)를 통해 상기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기호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국제음성기호 처리부(140)를 통해, 먼저 국제음성기반 발음 기호 정보를 회득한다(S101).
그리고,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한글형 음성 기호에 기초한 자음 및 모음으로 변환한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글형 음성 발음기호 처리부(150)는 발음기호 변환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거나, 별도 저장부에 저장된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한글형 음성 기호에 기초한 자음 및 모음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음 기호 변환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음 기호 변환 테이블에 의해 국제 음성 기호(IP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GEPS, Gisineng English Pronunciation Symbols)에 매칭될 수 있다.
먼저, 자음(Consonant)의 경우, 각각 상기 국제음성기호의 특정 자음에 대응되며, 기본음을 구성하는 제1 자음; 및 상기 국제음성기호의 자음 중 상기 제1 자음에 매칭되지 않은 자음을 표현하기 위해 상기 제1 자음부에 부가되는 첨자부를 포함한다.
특히, 도 3의 색상 표시된 자음은 IPA에 대응되는 한글 자음이 없는 경우로서, 이 경우 상기 첨자부를 부가하거나, 기존의 자음으로부터 변형된 제1 자음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 중 7, 9, 10, 13, 14, 16, 17, 21, 23, 24번 자음의 경우, 각각 제1 자음을 기본자음으로 하되, 다른 기호 ㅂ, ㅈ, ㅟ, +, ㄹ 등을 첨자부에 부가함으로써 IPA에 매칭되는 자음을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FISH의 경우, [ㅍ쉬]와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색상 표시된 모음은 IPA에 대응되는 한글 모음이 없는 경우로서, 상기 국제음성기호의 모음 중 상기 제1 자음에 매칭되지 않은 자음을 표현하기 위해 상기 제1 모음에 부가되는 엑센트 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Λ]의 경우, 이에 매칭되는 제1 모음은 없으므로, 유사음에 부가되는 엑센트 점자를 추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Λ]는 한글형 발음 기호 [ㅓ.]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형 발음 기호에 대한 설명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글형 발음 기호 중 기존 한글의 제1 자음 또는 제1 모음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의 발음기호 조합 및 발음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설명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설명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 정보는 자음, 모음, 무성츰 및 기호에 대한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음의 경우 ㄹ은 ㅔ[r]에 매칭되는 것으로, 혀를 최대한 뒤로 말아 꼬아서 ㄹ발음을 두배로 한다는 느낌으로 발음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ㅍ은 [f]에 매칭되는 것으로, 윗니 뒷면으로 아랫 입술을 가볍게 누르면서 ㅍ에 ㅂ을 살짝 섞어서 발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는 [v]에 매칭되는 것으로, 아랫 입술을 윗니에 가볍게 대며 발음되는 ㅂ을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ㅅ은 [θ]에 매칭되는 것으로, 혀를 내밀어 윗니를 살짝 치는 느낌으로 ㅅ에 ㅈ이 살짝 섞인 발음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 ㄷ은 [σ]에 매칭되는 것으로, 혀를 내밀어 윗니를 살짝 치는 느낌(성대울림)ㄷ에 ㅈ이 살짝 섞인 발음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모음의 경우에는 ㅗ와 ㅓ의 경우에 엑센트 점자가 부가될 수 있으며, 기본적인 '오' 도는 '어' 발음보다 입모양을 크게 하는 비음섞인 발음으로 셜명될 수 있다.
한편, 무성음의 경우, 단어끝에 모음이 없이 ㅌ, ㄷ, ㅅ, 또는 쉬로 끝나는 경우에 무성음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한글형 발음 기호는 기존의 기호체계와 동일한 체계를 가짐으로써, 한글을 아는 사람이면 발음기호를 배우지 않은 누구나,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형 국제음성 기호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한글화된 국제 음성기호를 발음할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형 발음 기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형 발음 기호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발음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한글형 발음 기호를 입력받기 위한 특수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 중 특수자음, 무성음 또는 특수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특수 키 조합을 통해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모두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가 2벌식 키보드 자판인 경우, 상기 특수 키는 컨트롤(Ctrl)키 또는 알트(Alt) 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120)는 컨트롤 키 또는 알트키 중 적어도 하나와 조합되는 자음 또는 모음 키 입력에 따라, 첨자부 또는 엑센트 점자가 조합되는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 입력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0)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가 용이하게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매체를 이용한 발음기호 표시 방법에 있어서,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한글형 음성 기호에 기초한 자음 및 모음으로 변환한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음기호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미리 저장된 발음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음기호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의 자음은
    각각 상기 국제음성기호의 특정 자음에 대응되며, 기본음을 구성하는 제1 자음; 및
    상기 국제음성기호의 자음 중 상기 제1 자음에 매칭되지 않은 자음을 표현하기 위해 상기 제1 자음부에 부가되는 첨자부를 포함하는
    발음기호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의 모음은
    각각 상기 국제음성기호의 특정 모음에 대응되며, 기본음을 구성하는 제1 모음; 및
    상기 국제음성기호의 모음 중 상기 제1 모음에 대응되지 않는 모음을 표현하기 위해 상기 제1 모음에 부가되는 엑센트 점자를 포함하는
    발음기호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의 자음, 모음 및 무성음에 대응하는 설명 정보상기 매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음기호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 중 특수자음, 무성음 또는 특수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특수 키 조합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음기호 표시 방법.
  7.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한글형 음성 기호에 기초한 자음 및 모음으로 변환한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표시함에 따라 형성되는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가 기록된 교육용 교보재.
  8. 표시 매체를 이용한 발음기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한글형 음성 기호에 기초한 자음 및 모음으로 변환한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발음기호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획득하는 국제음성기호 처리부; 및
    미리 저장된 발음 변환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대상 단어의 국제음성기호 기반 발음기호를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로 변환하는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발음기호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의 자음은
    각각 상기 국제음성기호의 특정 자음에 대응되며, 기본음을 구성하는 제1 자음; 및
    상기 국제음성기호의 자음 중 상기 제1 자음에 매칭되지 않은 자음을 표현하기 위해 상기 제1 자음부에 부가되는 첨자부를 포함하는
    발음기호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의 모음은
    각각 상기 국제음성기호의 특정 모음에 대응되며, 기본음을 구성하는 제1 모음; 및
    상기 국제음성기호의 모음 중 상기 제1 모음에 대응되지 않는 모음을 표현하기 위해 상기 제1 모음에 부가되는 엑센트 점자를 포함하는
    발음기호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한글형 음성 발음 기호 중 특수자음, 무성음 또는 특수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특수 키 조합을 입력받는
    발음기호 표시 장치.
KR1020160073446A 2016-06-13 2016-06-13 한글 기반의 발음기호 표시방법, 발음기호가 표시된 매체 및 발음기호 표시 장치 KR20170140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46A KR20170140741A (ko) 2016-06-13 2016-06-13 한글 기반의 발음기호 표시방법, 발음기호가 표시된 매체 및 발음기호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46A KR20170140741A (ko) 2016-06-13 2016-06-13 한글 기반의 발음기호 표시방법, 발음기호가 표시된 매체 및 발음기호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41A true KR20170140741A (ko) 2017-12-21

Family

ID=6093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446A KR20170140741A (ko) 2016-06-13 2016-06-13 한글 기반의 발음기호 표시방법, 발음기호가 표시된 매체 및 발음기호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07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637A1 (ko) * 2021-07-06 2023-01-12 이옥재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30085653A (ko) * 2021-12-07 2023-06-14 이수연 훈민정음 창제원리를 이용한 한국어발음교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2637A1 (ko) * 2021-07-06 2023-01-12 이옥재 세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30085653A (ko) * 2021-12-07 2023-06-14 이수연 훈민정음 창제원리를 이용한 한국어발음교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5890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US20140315163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group reading environment
CN111462740A (zh) 非语音字母语言的话音辅助应用原型测试的话音命令匹配
KR20170140742A (ko) 영어식 표현방식 학습을 위한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70081337A (ko)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그리고 교재
US200302234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using a portable device
KR101111487B1 (ko) 영어 학습장치 및 방법
JP2019053235A (ja) 言語学習システム及び言語学習方法
KR20170140741A (ko) 한글 기반의 발음기호 표시방법, 발음기호가 표시된 매체 및 발음기호 표시 장치
KR101094715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학습용 훈련 장치
JP2011209730A (ja) 中国語学習装置、中国語学習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60001332A (ko) 영어 연음 학습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102125375B1 (ko) 한글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94634A (ko) 일본어 및 중국어 음성 인식 훈련을 위한 동적 발음 지원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KR20090087402A (ko) 중국어 발음 교육전용의 한글표기 방법과 그 입력장치
JP7307301B2 (ja) 発音表示装置、発音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21724B1 (ko) 동영상을 이용한 언어학습방법
TW201104643A (en) Language teaching system
KR20170009487A (ko) 청크 기반 언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KR20220030664A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한글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220030666A (ko) 리듬과 운율을 가진 언어에 대한 음성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US20060192765A1 (en) Chinese character auxiliary input method and device
TW200926085A (en) Intelligent conversion method with system for Chinese and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KR20150136309A (ko) 언어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