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337A -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그리고 교재 - Google Patents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그리고 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337A
KR20170081337A KR1020160000263A KR20160000263A KR20170081337A KR 20170081337 A KR20170081337 A KR 20170081337A KR 1020160000263 A KR1020160000263 A KR 1020160000263A KR 20160000263 A KR20160000263 A KR 20160000263A KR 20170081337 A KR20170081337 A KR 20170081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language
sentence
language
unit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칠
신해자
박준형
Original Assignee
박한칠
박준형
신해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칠, 박준형, 신해자 filed Critical 박한칠
Priority to KR1020160000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1337A/ko
Publication of KR2017008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그리고 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학습 능력 향상에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및 교재를 제공함으로써 단기간 내에 현저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그리고 교재 {DEVICE, METHOD AND TEACHING MATERIAL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그리고 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국어 문장과 그 번역문, 그리고 발음을 명확히 쉽게 암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문장 구조를 이해하기 용이하게 하여 다른 상황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그리고 교재에 관한 것이다.
국제화 기류에 발맞추어 외국어 능력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그에 따라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외국어 공부에 매진하고 있다.
그러나 효율성이 낮은 공부방법에 의하면 많은 시간을 외국어 공부에 투자하더라도 목적한 만큼의 능력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오랜 기간에 걸쳐 외국어 공부를 꾸준히 이어 온 학생들도 실제 외국어 능력을 평가해보면, 외국어 공부에 투자한 시간이나 노력에 비해 부족한 실력을 가진 경우가 많다.
따라서 효율적인 외국어 공부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1796호는 '외국어 학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발화 텍스트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기, 사용자의 수준 정보 및 대화 문맥 정보를 이용하여 발화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발화 의도를 추출하는 발화 의도 인식기, 그리고 사용자 발화 의도 및 사용자의 발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표현을 추출하는 피드백 처리기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학습자와 장치가 외국어 대화를 나누는 것만으로 외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러한 장치를 보유하거나 사용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많은 학습자가 이러한 장치와 방법으로 외국어를 학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학습 능력 향상에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및 교재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특히 외국어 문장의 암기 및 이해에 도움이 되는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및 교재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국어 공부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및 교재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외국어 학습 방법은, 외국어 학습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외국어 학습 장치에 저장된 문장데이터에 포함된 외국어 문장의 국어 번역문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국어 번역문을 의미단위로 나눈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한 국어 번역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문장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국어 번역문에 포함된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외국어 어순에 따라 배열한 국어 번역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국어 어순에 따라 배열한 각각의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외국어로 작문한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를 입력 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문장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외국어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외국어 학습 교재는, 하나의 외국어 문장의 국어 번역문이 인쇄되고, 상기 국어 번역문 아래에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국어 번역문을 의미단위로 나눈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한 국어 번역문을 입력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의미단위 국어 어구 기재란이 제공되며, 상기 의미단위 국어 어구 기재란의 아래에는, 외국어 어순으로 배열한 의미단위 국어 어구가 인쇄되고, 상기 외국어 어순에 따라 재배열한 의미단위 국어 어구 아래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국어 어순에 따라 배열한 각각의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외국어로 작문한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를 입력 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 기재란이 제공되며, 상기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 기재란의 아래에는, 상기 외국어 문장이 인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외국어 학습 장치는, 하나의 외국어 문장, 상기 외국어 문장의 국어 번역문, 그리고 상기 국어 번역문을 의미단위로 구분한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외국어 어순으로 배열한 문장을 포함하는 문장데이터를 하나 이상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가 학습할 문장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문장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문장데이터에 포함된 국어 번역문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국어 번역문을 의미단위로 나눈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한 국어 번역문을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문장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국어 번역문에 포함된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외국어 어순에 따라 배열한 국어 번역문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국어 어순에 따라 배열한 각각의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외국어로 작문한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를 입력 받은 후, 상기 선택된 문장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외국어 문장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학습 능력 향상에 효율적인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및 교재를 제공함으로써 단기간 내에 현저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특히 외국어 문장의 암기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문장 단위의 말하기, 쓰기, 듣기, 읽기를 모두 단번에 가능하게 하여 다른 상황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성인들이 주옥을 꿰놓은 것 같은 명연설문을 학습하거나, 학업성적의 향상을 위하여 학생들이 외국어 교과서 한권을 통째로 암기하고자 할 때에 확실한 지름길을 제공한다. 학습 동기부여가 확실한 긴 문장의 명연설문이나 교과서를 통째로 암기하여 읽기, 말하기, 쓰기, 듣기의 4가지를 동시에 학습해야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때 원어민의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읽고 말하는 훈련을 하지 않으면 미세한 소리나 관사, 전치사 등 문장전체를 말하고 듣는 것이 어려워, 외국어를 수년간 학습하더라도 외국어로 논문을 쓰거나 외국어로 토론을 하는데에는 또 다시 벽에 부딪치게 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읽기, 말하기 쓰기, 듣기를 동시에 수행하되 원어민의 읽고 말하는 속도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일례로 똑같은 문장을 원어민의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학습자가 말하기 훈련을 수차례 수행한 후 원어민의 음성을 다시 들으면, 학습 전에 체감했던 속도보다 원어민의 말이 느리게 들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원어민이 말하는 문장 전체를 정확하게 들을 수 있다. 또한 외국어 학습을 하다보면 학습진로를 크게 가로막는 큰 산이 단어 암기 문제이다. 단어를 수차례 암기하더라도 쉽게 잊혀지는데,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문장속에서 자연스럽게 단어 학습을 반복함으로써 저절로 문장에 포함된 단어들이 암기될 뿐아니라, 그 문장속에서 쓰이는 단어의 활용례도 정확히 이해되어, 다른 상황에서 해당 단어를 응용 구사할 때에도 어휘를 정확히 선택하게 되어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외국어로 문장을 통째로 외우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바와 같이 의미단위로 나눠놓은 국어 번역문을 눈으로 읽고, 머리로 생각하여 입으로는 이에 상응하는 외국어 의미단위로 수차례 반복하여 말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단어 암기가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외국어 공부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외국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또는 교재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영어 학습 자료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과 동일한 유형의 양식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또는 교재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중국어 학습 자료의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외국어 학습 방법과, 이러한 방법으로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외국어 학습 교재, 그리고 외국어 학습 장치로 구분된다.
외국어 학습 교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에 따라 단계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문장 단위로 구성되는 학습 자료가 인쇄되는 인쇄물일 수 있다.
그리고 외국어 학습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에 따라 단계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문장 단위로 구성되는 학습 자료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정보처리장치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또는 교재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영어 학습 자료의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또는 교재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중국어 학습 자료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국어 학습 장치(10)는 저장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국어 학습 장치(1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외국어 학습 장치(10)의 저장부(11)에는 외국어 학습을 위한 문장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이때 각 문장 데이터들은 학습할 대상이 되는 외국어 문장, 외국어 문장의 국어 번역문, 외국어 문장 및/또는 국어 번역문을 의미단위로 구분한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 및/또는 의미단위 국어 어구, 그리고 하나의 외국어 문장의 국어 번역문에 포함되는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외국어 어순으로 배열한 문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나아가 문장 데이터는 외국어 문장이나 그 국어 번역문에 포함되는 단어의 의미나 발음기호, 품사, 강세, 성조 등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저장부(11)는 각 문장 데이터에 연관된 음성 데이터, 예를 들어 외국어 문장을 읽는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를 문장 데이터와 연관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1)는 이러한 외국어 학습을 위한 문장 데이터들을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외국어 학습 서버(미도시)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외국어 학습 서버는 상술한 문장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각각의 외국어 학습 장치(10)로 유료 또는 무료로 문장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외국어 학습 장치(10)는 제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는 외국어 학습 장치(10)가 정상 동작하는데 필요한 각종 명령의 처리, 데이터의 연산 등을 담당한다. 특히 제어부(12)는 저장부(11)로부터 문장 데이터를 추출하고 필요에 따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다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의 외국어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12)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또한 외국어 학습 장치(10)는 출력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는 문장 데이터에 포함된 각종 정보를 후술할 외국어 학습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화상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문장 데이터와 연관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13)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문장 데이터와 관련한 각종 정보를 단계적으로 가공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외국어 학습 장치(10)는 입력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는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는 어떤 수단이라도 될 수 있다. 입력부(14)는 출력부(13)를 통해 출력된 문장 데이터와 관련한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12)로 전달한다.
한편 제어부(12)의 구체적인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외국어 학습 방법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외국어 학습 방법은 외국어 학습 장치(10)의 제어부(12)가 출력부(13)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학습할 외국어 문장의 국어 번역문을 제공하는 단계(S11)로부터 시작된다. 제어부(12)는 각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 또는 각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외국어 문장을 선택하고, 해당 외국어 문장에 대응하여 저장부(11)에 저장된 국어 번역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에 따르면, 외국어 학습 장치(10)는 S11단계에서 “I am happy to join with you today in what will go down in history as the greatest demonstration for freedom in the history of our nation”라는 영어 문장의 국어 번역문 “나는 우리나라의 역사상 자유를 위한 가장 위대한 시위로서 역사에 기록될 오늘 여러분과 함께해서 기쁩니다”라는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예시에 따르면, 중국어 문장 “今天 我高興 同大家一起加 這次將成爲 我國歷史上 爲取自由 而擧行的 最偉大的 示威集會.”의 국어 번역문 ““나는 여러분과 함께 이번에 장차 우리나라 역사적으로 될 오늘 자유를 쟁취하기 위하여, 그래서 거행한 가장 위대한 집회시위에 참가해서 기쁩니다”라는 정보를 출력한다.
이어서 외국어 학습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S11단계에서 표시된 국어 번역문에 포함되는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현재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 어순에 따라 재배열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국어 번역문을 의미단위로 나누어 의미단위 국어 어구로 구분하고, 이를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S12).
그에 따라 사용자가 S12단계에서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한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입력하면, 외국어 학습 장치(10)는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외국어 어순의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의 구분 및 배열이 정확한지 확인할 수 있도록, 의미단위로 나누어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한 국어 번역문을 표시한다(S13).
도 3에 도시된 예를 들면, 영어 문장의 국어 번역문 “나는 우리나라의 역사상 자유를 위한 가장 위대한 시위로서 역사에 기록될 오늘 여러분과 함께해서 기쁩니다”를 각각의 의미단위 국어 어구 “나는 기쁩니다”, “ 여러분과 함께해서”, “오늘”, “기록될”, “역사에”, “가장 위대한 시위로서”, “자유를 위한”, “우리나라의 역사상”를 영어 어순으로 배열하여 “나는 기쁩니다/여러분과 함께해서/오늘/기록될/역사에/가장 위대한 시위로서/자유를 위한/우리나라의 역사상”을 배열하여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중국어 학습 방법도 마찬가지일 뿐만 아니라, 세계의 어떤 외국어도 모두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나아가 외국어 학습 장치(10)는 다시 사용자로부터 의미단위로 나누어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한 외국어 문장을 입력받는다(S14). 즉 S13단계에서 표시한 외국어 어순의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각각 외국어로 번역한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를 어순 변경 없이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미단위 국어 어구 “나는 기쁩니다”의 영어 번역 결과로서, 의미단위 영어 어구 “I am happy”를 입력받고, 의미단위 국어 어구 “여러분과 함께해서”에 대응하는 의미단위 영어 어구 “to join with you”를 입력받는다. 이때 사용자는 이미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영어 어순으로 배열하여 입력하는 학습을 수행하였고, 또한 S13단계에서 외국어 학습 장치(10)로부터 영어 어순으로 정렬된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제공받았으므로, 이를 단순히 의미단위로 영작함으로써 S14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S11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국어 번역문에 대응하는 영어 문장을 작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국문을 외국어로 작문하는 학습이 수행되도록 하되, 이를 의미단위로 나누어 외국어 어순을 학습하는 단계(S12, S13)와 각 의미단위를 외국어로 작문하는 단계(S14)로 구분하여 학습되도록 함으로써, 각 학습단계의 난이도를 낮추고 문장을 의미단위로 나누어 문장구조를 이해하고 외국어 어순에 친숙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어서 외국어 학습 장치(10)는 의미단위로 나누어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한 외국어 문장을 표시함으로써(S15), 사용자가 S14단계에서 입력한 정보가 맞는지 또는 틀린지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S15단계에서 표시되는 외국어 문장은 S11단계에서 표시된 국어 번역문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외국어 문장과 동일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15단계에서 외국어 문장을 표시하면서 동시에 외국어 문장의 국어 발음을 병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외국어 학습 장치(10)는 외국어 문장 또는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단어의 의미나 발음기호, 강세, 품사에 대한 정보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택적으로 S15단계에서 표시된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각각의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의 국어 발음을 보고, 이를 다시 외국어 문장으로 쓰는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각 외국어 어구의 발음을 국문으로 학습하면서 이를 다시 외국어로 기재함으로써, 생소한 외국어 발음에 친숙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외국인이 외국어로 말하고 쓰는 속도를 따라갈 수 있다.
이미 모국어 발음에 발성기관이 익숙해진 외국인으로서는 전체 문장의 발음을 외국어 발음기호로 발성연습을 하려면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숙달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그에 따라 원어민이 말하는 속도를 외국인이 따라가기 어렵다. 특히 외국어 어구의 발음을 국문으로 학습함으로써 원어민의 말 전체가 또렷하게 들리지 않아 특히 전치사, 관사 등의 발음을 학습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대상 문장이 중국어 문장인 경우, S15단계에서 외국어 학습 장치(10)는, S11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국어 번역문에 대응하여 저장부(11)에 저장된 중국어 문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동시에 해당 중국어 문장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단어에 대한 국어 발음이나 성조, 발음기호 등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S15단계 이후에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S15단계에서 중국어 문장 아래에 표기된 국어 발음을 보고 이를 다시 중국어 문장으로 바꾸어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외국어 학습 교재는, 도 3이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의 가장 윗부분에는 특정 외국어 문장의 국어 번역문을 표시하고, 그 아래에는 사용자가 표시된 국어 번역문에 포함된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하여 기재할 수 있도록 의미단위 국어 어구 기재란을 제공한다. 다시 그 아래에, 사용자가 자신이 재배열한 의미단위 국어 어구의 배열 순서나, 각 의미단위 국어 어구가 올바로 기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된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제공할 수 있다.
외국어 문장에 나오는 단어의 뜻을 알고, 그 문장의 의미가 무엇인지 대략 이해한다면, 그 외국어 문장의 정확한 국어 번역문을 놓고 외국어로 바꾸는 방식으로 학습자가 학습해야만 암기가 용이하다. 외국어 문장을 보고 한국어로 생각하는 방식은 다소 소극적이라 할 수 있다. 한국어를 보고 외국어로 작문하는 방식은 보다 적극적인 학습방법으로서 암기가 용이하고 오래 기억되어 다른 상황에서 응용할 수 있으나 소극적 방식에 따라 암기하면 문장을 쉽게 망각하게 된다.
또한 그 아래에는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된 의미단위 국어 어구 각각을 외국어로 번역하여 기재할 수 있도록,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 기재란을 제공한다. 외국어와 국어는 말하는 순서가 서로 상이하다. 서로 상이한 어순을 습관화 될 때까지 부단히 숙달시키기 위하여 이와 같이 우선 국어 문장의 어순을 먼저 외국어 어순으로 배열해보는 훈련을 실시한다.
이때 각각의 기재란은 사용자의 연습을 위해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고, 도 3 내지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재란에는 가장 아래의 기재란부터 사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아래부터 '1회', '2회', '3회'라고 표기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미 연습한 것을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사용자의 기억을 끌어내거나 기억되지 않았을 때는 다시 시도해보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 기재란에 사용자가 기재한 정보가 맞는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 기재란 아래에는, 외국어 어순으로 배열된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들이 나열된 문장, 즉 가장 상단에 제공된 국어 번역문에 대응하는 외국어 문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의 의미, 발음기호, 국문 발음, 강세나 성조 등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강세와 성조는 외국어 문장과 국어 발음 위에 각각 병기할 수 있다.
이때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 기재란 아래에 표시되는 외국어 문장의 하단에는 다시 외국어 문장의 국어 발음이 함께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외국어 문장의 국어 발음이 인쇄된 아래에는, 외국어 문장의 국어 발음을 보고 이를 다시 외국어 문장으로 바꾸어 쓰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외국어 문장 기재란이 제공될 수 있다. 한글은 소리글자로 세계의 모든 외국어 발음을 문자로 표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성 연습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고 쉽고 정확하게 발음을 숙달시킬 수 있다. 특히 연음, 강조, 발음의 생략, 약화 또는 변화를 학습하는데 한글 표기가 유용하다. 또한 한글 표기가 어려운 일부 발음, 예를 들어 영어 알파벳 표기 중 'th', 'r', 'f', 'v' 등의 발음에 대해서는 한글 표기에 이들을 병기하여 학습자가 정확한 발음을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외국어 학습 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외국어 학습 장치(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내지 4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외국어 학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외국어 학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외국어 학습 장치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외국어 학습 장치에 저장된 문장데이터에 포함된 외국어 문장의 국어 번역문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국어 번역문을 의미단위로 나눈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한 국어 번역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문장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국어 번역문에 포함된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외국어 어순에 따라 배열한 국어 번역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국어 어순에 따라 배열한 각각의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외국어로 작문한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를 입력 받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문장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외국어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학습 방법은,
    상기 국어 번역문을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외국어 문장과,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한 상기 국어 번역문과, 상기 각각의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한 국어 번역문을 서로 연관하여 하나의 문장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단어의 의미, 발음기호, 품사, 강세, 성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외국어 문장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외국어 문장의 하단에, 상기 외국어 문장의 발음을 국어로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국어 학습 방법은,
    상기 외국어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국어 문장을 다시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5. 외국어 학습 교재로서,
    하나의 외국어 문장의 국어 번역문이 인쇄되고,
    상기 국어 번역문 아래에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국어 번역문을 의미단위로 나눈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한 국어 번역문을 입력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의미단위 국어 어구 기재란이 제공되며,
    상기 의미단위 국어 어구 기재란의 아래에는, 외국어 어순으로 배열한 의미단위 국어 어구가 인쇄되고,
    상기 외국어 어순에 따라 재배열한 의미단위 국어 어구 아래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국어 어순에 따라 배열한 각각의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외국어로 작문한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를 입력 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 기재란이 제공되며,
    상기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 기재란의 아래에는, 상기 외국어 문장이 인쇄되는, 외국어 학습 교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단위 국어 어구 기재란 및 상기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 기재란은,
    각각 상기 외국어 학습 교재의 상하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기재란을 포함하며,
    각각의 기재란의 일측에는 하방에 구비되는 기재란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할수록 높은 연습 회차의 기재란임이 표시되는, 외국어 학습 교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문장에는, 상기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단어의 의미, 발음기호, 품사, 강세, 성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상기 외국어 문장과 함께 인쇄되는, 외국어 학습 교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국어 학습 교재는,
    상기 외국어 문장이 인쇄된 아래에, 상기 외국어 문장의 국어 발음이 함께 인쇄되고,
    적어도 일부의 국어발음에는 발음기호와 강세,성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가 부기되며,
    상기 외국어 문장의 국어 발음이 인쇄된 아래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국어 문장을 입력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외국어 문장 기재란이 제공되는, 외국어 학습 교재.
  9. 하나의 외국어 문장, 상기 외국어 문장의 국어 번역문, 그리고 상기 국어 번역문을 의미단위로 구분한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외국어 어순으로 배열한 문장을 포함하는 문장데이터를 하나 이상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가 학습할 문장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문장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문장데이터에 포함된 국어 번역문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국어 번역문을 의미단위로 나눈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외국어 어순으로 재배열한 국어 번역문을 입력받고, 상기 선택된 문장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국어 번역문에 포함된 의미단위 국어 어구들을 외국어 어순에 따라 배열한 국어 번역문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국어 어순에 따라 배열한 각각의 의미단위 국어 어구를 외국어로 작문한 의미단위 외국어 어구를 입력 받은 후, 상기 선택된 문장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외국어 문장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장치.
KR1020160000263A 2016-01-04 2016-01-04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그리고 교재 KR20170081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63A KR20170081337A (ko) 2016-01-04 2016-01-04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그리고 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63A KR20170081337A (ko) 2016-01-04 2016-01-04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그리고 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37A true KR20170081337A (ko) 2017-07-12

Family

ID=5935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263A KR20170081337A (ko) 2016-01-04 2016-01-04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그리고 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133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8111A (zh) * 2017-12-14 2018-09-14 李敏 一种汉语语言教学信息系统及其使用方法
CN108877313A (zh) * 2018-07-03 2018-11-23 黑龙江工业学院 一种日语与俄语互译教学设备
KR101994453B1 (ko) 2018-12-10 2019-06-28 박종원 영작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03260A (ko) * 2020-02-13 2021-08-23 이효정 언어 체계 스위칭 기반으로 영어 어순을 체화하는 스위치nh 학습방법 및 장치
KR102393996B1 (ko) * 2021-08-09 2022-05-03 박정아 동시통역카드를 이용한 영어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32686A (ko) 2022-09-02 2024-03-12 주식회사 플랭 언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38111A (zh) * 2017-12-14 2018-09-14 李敏 一种汉语语言教学信息系统及其使用方法
CN108877313A (zh) * 2018-07-03 2018-11-23 黑龙江工业学院 一种日语与俄语互译教学设备
KR101994453B1 (ko) 2018-12-10 2019-06-28 박종원 영작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03260A (ko) * 2020-02-13 2021-08-23 이효정 언어 체계 스위칭 기반으로 영어 어순을 체화하는 스위치nh 학습방법 및 장치
KR102393996B1 (ko) * 2021-08-09 2022-05-03 박정아 동시통역카드를 이용한 영어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32686A (ko) 2022-09-02 2024-03-12 주식회사 플랭 언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1337A (ko) 외국어 학습 장치, 방법, 그리고 교재
US20160019816A1 (en) Language Learning Tool
Bürki et al. Orthography and second language word learning: Moving beyond “friend or foe?”
Mompean et al. Phonetic symbols in contemporary pronunciation instruction
Al Rowais et al. An Arabic framework for dyslexia training tools
Baker et al. Pronunciation pairs: an introduction to the sounds of English
TW202103121A (zh) 英語文本的拼讀標注方法、拼讀方法、存儲介質和電子設備
CN101137979A (zh) 用于翻译器的短语构造器
Potier Watkins et al. Automatic construction of a phonics curriculum for reading education using the transformer neural network
KR101107472B1 (ko) 표의문자 학습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Yusuf English pronunciation based on the phonetic transcription application (Study of ToPhonetics. App)
KR20160001332A (ko) 영어 연음 학습 시스템 및 그의 방법
Cunningham African American language is not good English
US201602678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aching foreign languages
Caballero-Morales On the development of speech resources for the mixtec language
Butterweck et al. Easy construction of multimedia online language textbooks and linguistics papers with LARA
KR102453876B1 (ko) 외국어 스피킹 훈련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Roux et al. Incorporating Speech Synthesis in the Development of a Mobile Platform for e-learning.
KR20160086169A (ko) 알파벳과 한글 상호간 오버래핑 방식이 적용된 학습용 단말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 방법 및 학습용 단말기를 이용한 파닉스 학습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amazares Linguistic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s for teaching Portuguese to Spanish speakers
KR102624908B1 (ko) 숫자를 이용한 한국어 발음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62910A (ko) 개선된 프랑스어 발음 학습 제공 시스템
KR102236440B1 (ko) 1음절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129284A (ko) 언어학습용 문장 도해 제공 장치 및 방법
Müller et al. Segments, letters and gestures: Thoughts on doing and teaching phonetics and transcri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2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121

Effective date: 202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