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0052A - 음향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052A
KR20170140052A KR1020160115046A KR20160115046A KR20170140052A KR 20170140052 A KR20170140052 A KR 20170140052A KR 1020160115046 A KR1020160115046 A KR 1020160115046A KR 20160115046 A KR20160115046 A KR 20160115046A KR 20170140052 A KR20170140052 A KR 20170140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housing
piezoelectric element
output uni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347B1 (ko
Inventor
박성철
박상훈
정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Publication of KR2017014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0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 H04R23/02Transducers using more than one principle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05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using a piezoelectric polym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9Manufacturing aspects of enclosures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음향 출력부;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 제 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의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음향 출력 장치{Sound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은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음 대역 및 고음 대역을 포함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전 소자는 전기적 에너지와 기계적 에너지를 서로 간에 변화시킬 수 있는 특성을 지닌 소자를 말한다. 즉, 압전 소자는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압전 효과), 전압을 가하면 내부의 압력 변화로 인한 부피나 길이의 증감이 발생한다(역압전 효과). 압전 소자는 압전층과 그 상부에 마련되는 전극으로 구성되어 전극을 통해 압전층에 가해지는 전압에 따라 압력이 변화한다.
이러한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압전 스피커, 진동 장치 등 다양한 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 그중에 압전 스피커는 압전 소자의 기계적 움직임을 진동판에 의해 음향적으로 변환시켜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부품이다. 압전 스피커는 기존의 다이나믹 스피커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전력소모가 적은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소형, 박형, 경량이 요구되는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압전 스피커는 고음이 강하고 저음이 약하여 음악을 오래도록 들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음악 재생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다이나믹 스피커는 마그넷의 자기장 내에 있는 보이스 코일에 음성 신호 전류를 흘리면 그 전류의 세기에 따라 기계적인 힘이 보이스 코일에 작용하여 운동을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그러나, 다이나믹 스피커는 저음을 구현하는 데에는 적합하지만, 고음을 구현하기에는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고음질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압전 스피커와 다이나믹 스피커를 결합한 음향 출력 장치를 출원하였다(한국특허출원 제2015-0171719호).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음향 출력 장치는 압전 스피커와 다이나믹 스피커가 하우징 내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며, 다이나믹 스피커로부터의 출력 음향이 방출되도록 하우징의 소정 영역에 방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압전 스피커 및 다이나믹 스피커에서 각각 출력된 음향이 하우징 내부에서 혼합되지 않고 외부에서 혼합된다. 즉, 압전 스피커의 음향은 그대로 출력되고 다이나믹 스피커의 음향은 방출 홀을 통해 출력된 후 하우징의 외부에서 두 음향이 혼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음향 출력 장치는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즉, 압전 스피커의 음향은 그대로 출력되지만 다이나믹 스피커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해 방출 홀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전체적인 사이즈, 즉 하우징의 사이즈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물론, 하우징의 사이즈를 줄이고 그에 따라 압전 스피커 및 다이나믹 스피커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지만, 이 경우 출력되는 음향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14-0083860호 한국특허등록 제10-1212705호
본 발명은 압전 스피커의 장점과 다이나믹 스피커의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이면서 저음 특성과 고음 특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압전 스피커의 사이즈는 유지하고 하우징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음향 특성은 유지하고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제 1 음향 출력부;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 제 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의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는 압전 소자 및 진동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스피커를 포함한다.
상기 압전 소자의 직경 대비 상기 하우징의 외경은 100% 내지 130%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제 1 음향 출력부;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제 2 음향 출력부;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압전 소자 및 진동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스피커이고, 상기 압전 소자의 직경 대비 상기 하우징의 외경은 100% 내지 130%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제 1 음향 출력부;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제 2 음향 출력부;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압전 소자 및 진동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스피커이고, 상기 하우징의 외경은 13㎜ 미만이다.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동 소자의 직경은 상기 하우징의 외경과 동일하다.
상기 개구는 상기 압전 소자 및 진동 소자의 동일 위치를 관통하고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구는 상기 압전 소자 직경의 3% 내지 70%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개구는 상기 압전 소자 면적의 0.1% 내지 50%의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코팅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는 동일 레벨의 신호에 의해 동시에 구동된다.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이 상기 개구를 통해 방출되어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과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섞인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하우징 내에 다이나믹 스피커와 압전 스피커를 소정 간격 이격시켜 마련한다. 따라서, 저음 특성이 우수한 다이나믹 스피커와 고음 특성이 우수한 압전 스피커를 하나의 하우징 내에 마련함으로써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압전 스피커의 소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다이나믹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개구를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다이나믹 스피커와 압전 스피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음향이 하우징 밖에서 섞이도록 하여 음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압전 스피커의 소정 영역에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에 개구를 형성하지 않고, 그에 따라 하우징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압전 스피커의 사이즈를 유지하여 음향 특성은 유지하고 하우징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음향 출력 장치의 전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음향 출력 장치는 스피커 및 이어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음향 출력 장치는 이어폰으로 구현되어 이어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변형 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압전 스피커에 개구가 형성된 음향 출력 장치와 비교 예에 따른 하우징에 방출 홀이 형성된 음향 출력 장치의 특성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결합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제 1 음향 출력부의 변형 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제 1 음향 출력부(100)와, 제 1 음향 출력부(100) 상에 마련되는 제 2 음향 출력부(200)와,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100, 200)의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100, 200)가 하우징(300) 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음향 출력부(100)는 보이스 코일(140) 및 진동판(150)을 포함하여 보이스 코일(140)의 전류 변화에 따라 진동하고 이를 이용하여 진동판(150)을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하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음향 출력부(200)는 압전 소자(210) 및 진동 소자(220)를 포함하여 압전 소자(210)의 기계적 움직임을 진동 소자(220)에 의해 음향적으로 변환시키는 압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1. 제 1 음향 출력부
제 1 음향 출력부(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대략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음향 출력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요크(110) 및 프레임(115)과, 요크(110) 내의 수용 공간에 마련된 마그넷(120)과, 마그넷(120) 상에 마련된 플레이트(130)와, 프레임(115)의 내측으로부터 요크(110)와 마그넷(120) 사이에 마련되는 보이스 코일(140)과, 플레이트(130)의 상부에 마련되고 가장자리가 프레임(115)에 고정되며 보이스 코일(140)이 고정되는 진동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110)는 소정의 높이를 갖고 대략 원형으로 마련되고, 프레임(115)은 요크(110)의 상측에 마련되며 소정의 높이를 갖고 대략 원형으로 마련된다. 이때, 프레임(115)의 높이는 요크(110)의 높이보다 높고 프레임(115)의 폭은 요크(11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물론, 프레임(115)의 높이는 요크(110)의 높이와 같거나 낮을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15)의 상측 가장자리가 하우징(300)의 적어도 일 영역과 접촉되어 하우징(3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요크(110)의 내측에 마그넷(120) 및 플레이트(130)가 수용되고, 프레임(115)의 내측에 보이스 코일(140)이 수용되며, 진동판(150)은 프레임(115)을 덮도록 그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요크(110) 및 프레임(115)은 마그넷(12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플레이트(130) 측으로 유도하며 보이스 코일(140)에 마그넷(120)에 의한 자기력을 최대로 미치도록 한다.
마그넷(120)은 요크(11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즉, 마그넷(120)의 하면은 요크(110) 내측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마그넷(120)은 요크(11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크(110)의 내측이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마그넷(120)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때, 마그넷(120)의 높이는 요크(110)의 높이보다 낮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마그넷(120)의 직경은 요크(11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넷(120)은 요크(110)의 내측에 요크(110)의 내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플레이트(130)는 마그넷(120)의 상면에 마련된다. 플레이트(130)는 마그넷(120)의 평면 형상과 동일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130)는 요크(11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마그넷(12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130)의 외측은 요크(110)의 내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넷(120)과, 그 상부에 마련된 플레이트(130)의 높이는 요크(110)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즉, 플레이트(130)와 요크(110)의 상부는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130)는 마그넷(120)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력선을 보이스 코일(140) 측으로 집속하도록 한다.
보이스 코일(140)은 진동판(150)의 하면에 부착되며, 프레임(115)의 내측으로부터 요크(110)와 마그넷(1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140)은 플레이트(130) 및 마그넷(120)의 일부 높이를 감싸도록 이들과 요크(110)의 사이에 마련되며, 상부가 진동판(150)의 하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보이스 코일(140)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면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되는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마그넷(12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과의 간섭에 의한 상호 작용에 의해 진동한다.
진동판(150)은 가장자리가 프레임(115)의 내측에 고정되어 프레임(115)의 상측을 덮도록 마련된다. 또한, 진동판(150)은 적어도 일 영역이 볼록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15)의 중심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이 가장 높고 그로부터 외측으로 낮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진동판(150)은 마그넷(120) 및 플레이트(130)의 중심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그 외측으로 낮아지는 볼록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진동판(150)의 가장 낮은 영역의 하측에는 보이스 코일(14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음향 출력부(100)는 마그넷(120)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마그넷(120) 상에 마련된 플레이트(130)를 통해 하측의 요크(110)로 이동하고, 다시 마그넷(120)으로 이동하는 폐회로를 구성한다. 플레이트(130)와 하측의 요크(11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자기장은 보이스 코일(140)에 전류가 인가되어 보이스 코일(140)이 자성을 띠게 되면 보이스 코일(140)의 자력 극성에 따라 보이스 코일(140)을 당기거나 밀어내게 된다. 즉, 보이스 코일(140)의 자력 극성이 플레이트(130)와 하측의 요크(110)의 자력 극성과 같으면 상호 반발하여 보이스 코일(140)을 밀어내어 보이스 코일(140)을 앞으로 이동시키고, 플레이트(130)와 하측의 요크(110)의 자력 극성과 다르면 서로 흡인하여 보이스 코일(140)을 뒤로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보이스 코일(140)이 움직이면 보이스 코일(140)이 고정되어 있는 진동판(150)이 앞뒤로 이동하면서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2. 제 2 음향 출력부
제 2 음향 출력부(200)는 압전 소자(210)와, 진동 소자(220)와, 제 2 음향 출력부(200)의 소정 영역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개구(230)는 압전 소자(210)와 진동 소자(220)의 소정 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전 소자(2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예를 들어 원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압전 소자(210)는 원형 뿐만 아니라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압전 소자(210)는 기판과, 기판이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압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 소자(210)는 기판의 양면에 압전층이 형성된 바이모프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기판의 일면에 압전층이 형성된 유니모프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압전층은 적어도 일층이 적층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압전층이 적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전층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압전층과 복수의 전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압전 소자(210)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압전층은 예를 들어 PZT(Pb, Zr, Ti), NKN(Na, K, Nb), BNT(Bi, Na, Ti), 폴리머 계열의 압전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압전층은 서로 다른 방향 또는 동일 방향으로 분극되어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의 일면 상에 복수의 압전층이 형성되는 경우 각 압전층은 서로 반대 방향 또는 동일 방향의 분극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판은 압전층이 적층된 구조를 유지하면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물질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런데, 압전 소자(210)는 압전층과 기판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중심부에 분극되지 않은 압전층이 마련되고 그 상부 및 하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극된 복수의 압전층이 적층되어 압전 소자(21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압전 소자(210)의 일 면의 상부에는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전극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패턴은 서로 이격되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될 수 있고, 연결 단자(미도시)와 연결되어 이를 통해 전자기기, 예를 들어 보조 모바일 기기로부터 음향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진동 소자(220)는 대략 원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압전 소자(210)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소자(220)는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 상에 압전 소자(210)가 마련될 수 있다. 진동 소자(220)의 상면에는 압전 소자(210)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소자(220)는 폴리머계 또는 펄프계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소자(220)는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는데, 에틸렌 플로필렌 고무계,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계 등 영율이 1MPa∼10GPa로 손실 계수가 큰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소자(220)는 하측 가장자리가 하우징(300)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진동 소자(220)와 그 중앙부에 접착된 압전 소자(210)가 하우징(300) 내부의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음향 출력부(200)는 소정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고음 특성이 우수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개구(230)는 제 2 음향 출력부(200)의 소정 영역에 적어도 하나 마련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개구(230)는 압전 소자(210) 및 진동 소자(220)의 소정 영역을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230)는 압전 소자(21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제 1 개구(231)와 진동 소자(22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제 2 개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230)는 압전 소자(210) 및 진동 소자(22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23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개구(230)는 압전 소자(210) 및 진동 소자(220)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개구(231)와 제 2 개구(232)는 압전 소자(210) 및 진동 소자(230)의 예를 들어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개구(231) 및 제 2 개구(232)는 동일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 개구(231, 232)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중심 영역이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진동 소자(220)의 크기가 압전 소자(210)의 크기보다 크고 진동 소자(220)에 형성된 제 2 개구(232)가 압전 소자(210)에 형성된 제 1 개구(231)보다 클 수 있지만, 제 1 개구(231)가 제 2 개구(232)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압전 소자(210)와 진동 소자(220)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개구(231, 232)의 크기가 다를 경우 개구(230)는 제 1 및 제 2 개구(231, 232) 중에서 작은 크기를 갖게 된다. 물론, 개구(230)는 압전 소자(210) 및 진동 소자(220)의 중심부 이외에 다른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구(230)는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개구(231a, 231b)는 압전 소자(210)의 중앙 영역 및 주변 영역에 복수 형성될 수 있고, 제 2 개구(232a, 232b)는 진동 소자(220)의 중앙 영역 및 주변 영역에 복수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개구(230)는 적어도 하나가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압전 소자(2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개구(231)는 적어도 하나가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진동 소자(22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개구(232)는 적어도 하나가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개구(231a, 232a)는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개구(231b, 232b)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주변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개구(231b, 232b)는 서로 동일 크기 또는 적어도 하나가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 복수의 제 1 개구(231a, 231b) 및 제 2 개구(232a, 232b)는 중심 영역에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압전 소자(210) 및 진동 소자(220)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중첩되는 개구(230)는 동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구(230)는 압전 소자(210) 면적의 예를 들어 0.09% 내지 5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압전 소자(210)의 면적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230)가 0.09% 내지 5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구(230)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개구(230)의 전체 면적이 압전 소자(210) 면적에 대해 0.09% 내지 5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구(230)는 압전 소자(210) 및 진동 소자(220)의 직경 대비 3% 내지 70%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압전 소자(21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개구(230) 또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개구(230)의 직경은 압전 소자(210)의 직경 대비 3% 내지 70%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 소자(210)가 10㎜의 직경을 가질 경우 개구(230)는 0.3㎜ 내지 7㎜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개구(230)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개구(230)의 평균 직경이 압전 소자(210)의 직경 대비 3% 내지 70%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진동 소자(220)에 형성되는 개구(230)는 압전 소자(210)에 형성되는 개구(230)와 동일 위치에 동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진동 소자(220)에 형성되는 개구(230)가 압전 소자(220)에 형성되는 개구(230)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압전 소자(210)의 면적 또는 직경 대비 개구(230)의 크기가 0.09% 미만으로 형성되거나 개구(230)의 직경이 3% 미만으로 형성되면 제 1 음향 출력부(100)로부터 출력된 음향의 개구(230)를 통해 배출되는 양이 적어 음향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개구(230)의 크기가 50%를 초과하거나 개구(230)의 직경이 70%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압전 소자(210)의 압전 특성 및 진동 소자(220)의 진동 특성을 저해하여 오히려 음향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 2 음향 출력부(200)에 개구(230)가 형성됨으로써 제 1 음향 출력부(100)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개구(2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출력된 음향과 제 1 음향 출력부(100)로부터 출력되어 개구(230)를 통해 출력된 음향이 하우징 외부에서 섞이게 되고, 그에 따라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의 음압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 2 음향 출력부(200)는 적어도 일부에 코팅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은 파릴렌(parylene) 등의 방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파릴렌은 압전 소자(210)가 진동 소자(220) 상에 접합된 상태에서 압전 소자(210)의 상면 및 측면과 압전 소자(210)에 의해 노출된 진동 소자(220)의 상면 및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파릴렌은 압전 소자(210) 및 진동 소자(220)의 상면 및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릴렌은 압전 소자(210)가 진동 소자(220) 상에 접합된 상태에서 압전 소자(210)의 상면 및 측면과 진동 소자(220)의 상면, 측면 및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파릴렌은 압전 소자(210) 및 진동 소자(220)의 상면, 측면 및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압전 소자(210)가 진동 소자(2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 상에 마련되는 경우 파릴렌은 압전 소자의 상면, 측면 및 개구에 의해 노출된 하면 상에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진동 소자(220)의 상면, 측면 및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파릴렌이 압전 소자(210) 및 진동 소자(22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됨으로써 제 2 음향 출력부(200)로의 습기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등의 얇은 재질의 진동 소자(220)를 이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편진동을 개선할 수 있고, 진동 소자(220)의 경도 증가에 의한 응답 속도가 향상되어 깊은 음향 특성을 완화시키고 고음역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파릴렌의 코팅 두께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어 음압 개선점 조절이 가능하다. 물론, 파릴렌은 압전 소자(210)에만 코팅될 수도 있는데, 압전 소자(210)의 상면, 측면 및 하면에 코팅될 수 있고, 압전 소자(210)와 연결되어 압전 소자(2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FPCB에 코팅될 수도 있다. 파릴렌이 압전 소자(210)에 형성됨으로써 압전 소자의 수분 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형성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파릴렌이 FPCB 상에 형성되는 경우 FPCB와 솔더, 소자 이음부에서 발생되는 이상음을 개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파릴렌은 압전 소자(210) 또는 진동 소자(220)의 재질과 특성에 따라 두께를 다르게 하여 코팅될 수 있는데, 압전 소자(210) 또는 진동 소자(22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파릴렌을 코팅하기 위해 예를 들어 파릴렌을 기화기(Vaporizer)에서 1차 가열하여 기화시켜 다이머(dimer) 상태로 만든 후 2차 가열하여 모노머(Monomer) 상태로 열분해시키고, 파릴렌을 냉각시키면 파릴렌은 모노머 상태에서 폴리머 상태로 변환되어 제 2 음향 출력부(200)의 적어도 일면 상에 코팅될 수 있다. 한편, 파릴렌 등의 방수층은 제 2 음향 출력부(200)의 적어도 일부 뿐만 아니라 제 1 음향 출력부(100) 및 하우징(200)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될 수도 있다.
3. 하우징
하우징(300)은 대략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하우징(300)은 적어도 일 방향으로 개방된 대략 원형의 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300)은 상하 관통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내부의 소정 영역이 막히고 그로부터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하 관통형의 하우징(300)은 소정 두께의 대략 링 형상을 갖는 제 1 부재(310)와, 제 1 부재(310)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마련된 제 2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링 형상의 제 1 부재(310)를 감싸도록 제 2 부재(320)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 1 부재(310)가 원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되면 제 1 부재(310)를 둘러싸도록 마련된 제 2 부재(320)에 의해 제 1 부재(310)로부터 상부 및 하부에 소정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300)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 2 부재(320)는 소정 영역에 상하 방향으로 절개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부재(320)는 제 1 부재(310)를 둘러싸고 소정 영역에서 이격될 수 있다. 절개 영역에는 제 2 음향 출력부(200)에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라인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 2 부재(320)의 절개 영역의 폭, 즉 제 2 부재(320)의 말단 사이의 간격이 제 2 부재(320) 폭의 1% 내지 5%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 2 부재(320)에 제 2 음향 출력부(200)에 연결된 신호 공급 라인을 마련하기 위해 절개 영역이 형성되지만, 제 1 음향 출력부(100)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홀은 형성되지 않는다. 결국, 제 2 부재(320)는 하우징(30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부재(320)에 절개 영역이 형성되지 않고 측면에 소정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 2 부재(320)에 홀이 형성되고 홀을 통해 신호 라인이 연결될 수도 있다. 물론, 신호 라인은 제 2 음향 출력부(200)와 제 2 부재(320) 사이를 통해 연결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재(320)의 내측에는 돌출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부재(320)의 내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30) 상에 제 1 부재(31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부재(310) 및 제 2 부재(320)는 별개로 제작된 후 제 2 부재(320)의 돌출부(330) 상에 제 1 부재(310)가 안착되도록 접합될 수도 있고, 제 1 부재(310) 및 제 2 부재(320)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물론, 돌출부(330)가 마련되지 않고 제 1 부재(310)의 외측이 제 2 부재(320)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접합되거나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우징(300)은 제 2 부재(320)의 상면에 제 2 음향 출력부(200), 즉 압전 스피커의 진동 소자(220)가 접촉될 수 있고, 제 2 부재(320)의 돌출부(330) 하측에는 제 1 음향 출력부(100), 즉 다이나믹 스피커가 접촉될 수 있다. 즉, 제 1 음향 출력부(100)와 제 2 음향 출력부(200)가 제 1 부재(310) 및 돌출부(330), 그리고 제 1 부재(310) 상측의 제 2 부재(32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 2 부재(320)의 내측에 돌출부(330)가 마련되지 않고 제 2 부재(320)의 내벽에 제 1 부재(310)가 접합되는 경우 제 2 부재(320)의 상면에 진동 소자(220)가 접합되고 제 1 부재(310)의 하면에 제 1 음향 출력부(100)가 접합될 수 있다. 즉, 제 1 음향 출력부(100)와 제 2 음향 출력부(200)가 제 1 부재(310) 및 그 상측의 제 2 부재(320)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대면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소자(220)가 제 2 부재(320) 상에 마련되므로 진동 소자(220)의 직경은 제 2 부재(320)의 외경(A)과 같을 수 있다. 즉, 진동 소자(220)는 하우징(300)의 외경(A)과 같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 2 음향 출력부(200)로부터의 음향은 외부로 직접 방출되고, 제 1 음향 출력부(100)로부터의 음향은 제 2 음향 출력부(200)의 개구(230)를 통해 방출되어 두 음향이 하우징(300) 외부에서 섞이게 된다.
이러한 음향 출력 장치는 차량용 스피커, 가정용 스피커 등의 스피커 또는 앰프와 이어폰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음향 출력 장치는 커널형 이어폰 등의 이어폰으로 제작되고, 이 경우 하우징(300)은 대략 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제 2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음향 출력부(200)로부터의 음향이 먼저 출력된 후 제 1 음향 출력부(100)로부터의 음향이 이후 개구(230)를 통해 출력되어 귀 안에서 두 음향이 서로 섞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300) 내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제 1 음향 출력부(100) 및 제 2 음향 출력부(200)를 삽입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제 1 음향 출력부(100)가 삽입된 하우징(300)의 일부와 제 2 음향 출력부(200)가 삽입된 하우징(300)의 다른 일부를 결합하여 음향 출력 장치를 제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재(310)의 두께를 반으로 나누고 제 1 부재(310) 하측의 제 1 두께를 둘러싸되도록 제 2 부재(320)의 일부를 형성한 제 1 하우징 내측에 제 1 음향 출력부(100)를 삽입하고, 제 1 부재(310) 상측의 제 2 두께를 둘러싸도록 제 2 부재(320)의 일부를 형성한 제 2 하우징 내측에 제 2 음향 출력부(200)를 삽입한 후 제 1 및 제 2 하우징을 결합하여 음향 출력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음향 출력 장치는 0.1V∼5.0V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0.1V∼2.0V, 더욱 바람직하게는 0.1V∼0.5V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다. 특히 이어폰에 적용되는 경우 0.1V∼0.2V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0.1V∼0.18V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다. 즉, 제 2 음향 출력부(200)의 압전 소자(210)는 복수의 압전층이 적층되고 각 압전층 사이에 내부 전극이 형성되는데, 압전층이 5㎛∼20㎛의 두께로 형성되므로 제 2 음향 출력부(200)는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다. 일반 압전 스피커의 구동 전압이 5V 이상인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제 2 음향 출력부(200)는 별도의 압전 스피커용 증폭기를 이용하지 않아도 0.1V∼0.5V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다이나믹 스피커와 결합하여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출력 장치는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100, 200)에 동일 신호가 인가되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즉, 신호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가 제 1 음향 출력부(100)에 그대로 인가되고 고대역 필터를 통과하여 제 2 음향 출력부(200)에 인가되어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100, 200)에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의 신호가 각각 인가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100, 200)에 동일 레벨의 신호가 동시에 인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결합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보이스 코일(140) 및 진동판(150)을 포함하는 제 1 음향 출력부(100)와, 제 1 음향 출력부(100) 상측에 마련되며 압전 소자(210), 진동 소자(220) 및 개구(230)를 포함하는 제 2 음향 출력부(200)와,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100, 200)의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 예는 진동 소자(220) 하측에 압전 소자(210)가 마련되어 제 2 음향 출력부(200), 즉 압전 스피커가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 2 음향 출력부(200)가 하우징(300) 내부로 압전 소자(210)가 형성될 수도 있고, 하우징(300) 외부로 압전 소자(2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은 링 형상의 제 1 부재(310)와, 제 1 부재(310)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 2 부재(320)와, 제 1 부재(310) 하측에 마련된 돌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30)는 제 1 부재(310)와 마찬가지로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30)는 제 1 부재(310)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부재(310)의 직경이 돌출부(330)의 직경보다 클 수 있고, 그에 따라 제 1 부재(310)와 돌출부(330), 그리고 제 2 부재(320) 사이에는 계단형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330)보다 넓은 직경으로 제 1 부재(310)가 마련되고, 제 1 부재(310)보다 넓은 직경으로 제 2 부재(32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부재(310) 상에는 제 2 음향 출력부(200)가 안착되고, 돌출부(330) 하측에는 제 1 음향 출력부(100)가 결합된다. 즉, 제 1 음향 출력부(100)와 제 2 음향 출력부(200)는 제 1 부재(310) 및 돌출부(33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제 2 음향 출력부(200)가 돌출부(330) 상에 안착될 수도 있다. 즉,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100, 200)가 돌출부(33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제 1 음향 출력부(100)와 제 2 음향 출력부(200)가 하우징(300) 내에 마련될 수 있고, 저음 및 고음 출력 특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저음 특성이 우수한 제 1 음향 출력부(100), 즉 다이나믹 스피커와 고음 특성이 우수한 제 2 음향 출력부(200), 즉 압전 스피커를 하우징(300) 내에 마련함으로써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음향 출력부(200)에 개구(230)를 형성함으로써 제 1 음향 출력부(100)의 음향이 개구(2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음향 출력부(200)로부터 음향이 출력된 후 제 1 음향 출력부(100)로부터 개구(230)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어 하우징(300) 밖에서 두 음향이 섞이게 된다. 두 음향을 하우징(300) 밖에서 섞임으로써 하우징(300) 내에서 음향이 섞이는 경우에 비해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는 제 2 음향 출력부(200)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230)가 형성되므로 하우징(3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음향 출력 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2015-0171719호에는 다이나믹 스피커의 출력 음향이 방출되도록 하우징의 소정 영역에 방출 홀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하우징의 사이즈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우징(300)에 별도의 음향 방출 홀을 형성하지 않고 제 2 음향 출력부(200)에 형성된 개구(230)를 통해 제 1 음향 출력부(100)의 음향이 방출되므로 하우징(3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즉, 제 2 음향 출력부(200)의 압전 소자(210)의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하우징(300)의 외경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210)의 직경(B) 대비 하우징(300)의 외경(A)은 약 20%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압전 소자(210)의 직경(B)을 100이라 할 때 하우징(300)의 외경(A)은 100 이상 130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초과 125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 이상 120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압전 소자(210)의 직경(B)과 하우징(300)의 외경(A)이 같은 경우는 압전 소자(210)가 진동 소자(220)와 동일 크기로 마련되고 진동 소자(220)의 직경이 하우징(300)의 외경(A)과 동일한 경우이다. 그런데, 압전 소자(210)와 진동 소자(220)의 크기가 같을 경우 진동 소자(220)의 음향 변환 효과 및 증폭 효과가 적어지므로 압전 소자(210)보다 진동 소자(220)가 커야 하며, 그에 따라 압전 소자(210)보다 진동 소자(220)의 크기가 약 5%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진동 소자(220)의 직경이 하우징(300)의 외경과 동일하므로 압전 소자(210)의 직경을 100이라 할 때 하우징(300)의 외경은 105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300)의 외경이 압전 소자(210)의 직경보다 30% 이상 클 경우 음향 출력 장치의 사이즈 감소 효과가 적어지므로 하우징(300)의 외경은 압전 소자(210)의 직경의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압전 소자(210)의 직경을 100이라 할 때 하우징(300)의 외경이 105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압전 소자(210)의 직경(B)이 10㎜일 경우 하우징(300)의 외경(A)이 10.5㎜∼12㎜일 수 있다. 이때, 진동 소자(220)의 직경은 하우징(300)의 외경과 동일 사이즈를 가질 수 있으므로 압전 소자(210)의 직경이 10㎜일 경우 하우징(300)의 외경(A) 및 진동 소자(220)의 직경이 10.5㎜∼12㎜일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2015-0171719호는 압전 소자(210)의 직경 대비 하우징(300)의 외경이 30% 정도 크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압전 소자(210)의 직경이 10㎜일 경우 한국특허출원 제2015-0171719호는 하우징(300)의 외경이 13㎜ 정도일 수 있다. 이는 하우징(300)에 형성된 방출 홀을 통해 제 1 음향 출력부(100)의 음향을 출력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발명에 비해 압전 소자(210)의 직경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우징(300)의 외경을 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우징(300)의 외경을 약 10% 내지 20%로 줄일 수 있다. 즉, 기존 발명의 하우징(300)의 외경을 100이라 할 때 본 발명은 하우징(300)의 외경을 80 내지 90으로 줄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압전 소자(210)의 직경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하우징(300)의 외경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음향 출력 장치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다. 한편, 압전 소자(210)의 사이즈를 줄일 경우 하우징(300)의 사이즈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는 압전 소자(210)의 사이즈가 10㎜일 경우 하우징(300)이 10.5㎜ 내지 13㎜로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압전 소자(210)의 사이즈는 10㎜ 이하로 작아질 수 있고, 그에 따라 하우징(300)은 13㎜ 미만으로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전 소자(21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하우징(300)의 사이즈를 13㎜ 미만, 예를 들어 8㎜ 이상 13㎜ 미만으로 형성할 수 있다.
[표 1]은 다양한 사이즈의 개구 및 그에 따른 면적 비율과 이를 이용한 음향 출력 장치의 음향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압전 소자는 10㎜의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마련하였으며, 개구는 0.1㎜ 내지 9㎜의 크기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험하였다. 또한, 개구는 압전 소자의 중앙 영역에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며, 진동 소자에도 압전 소자와 동일 위치에 동일 크기의 개구를 형성하였다. 한편, [표 1]에서 음향 특성이 종래보다 저하되는 경우 X로 표시하였고, 종래에 비슷한 경우 O로 표시하였으며, 종래보다 개선된 경우 ◎로 표시하였다.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직경 10㎜의 압전 소자에 대하여 직경이 0.3㎜ 내지 7㎜인 경우, 즉 크기 비율이 3% 내지 70% 또는 면적 비율이 0.09% 내지 50%인 경우 종래의 음향 출력 장치와 비슷하거나 향상된 음향 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압전 소자에 대한 개구의 크기 비율이 10% 내지 20% 또는 면적 비율이 1% 내지 4%의 경우 종래보다 향상된 음향 특성을 나타내었다. 종래보다 향상된 음향 특성을 갖는 경우의 음향 특성을 종래의 음향 출력 장치와 비교하여 도 9에 도시하였다.
개구 크기(㎜) 크기 비율(%) 면적 비율(%) 결과
0.1 1 0.01 X
0.3 3 0.09 O
0.5 5 0.25 O
1 10 1
1.5 15 2.25
2 20 4
3 30 9
4 40 16 O
5 50 25 O
6 60 36 O
7 70 49 O
8 80 64 X
9 90 81 X
도 9는 압전 소자 및 진동 소자에 개구가 형성되지 않은 비교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와 압전 소자 및 진동 소자에 개구가 형성된 실시 예들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특성 그래프이다. 여기서, 비교 예는 외경이 13㎜인 하우징에 직경이 10㎜인 압전 소자를 다이나믹 스피커와 함께 적용하였고, 실시 예는 외경이 11.2㎜인 하우징에 직경이 10㎜인 압전 소자를 다이나믹 스피커와 함께 적용하였다. 또한, 비교 예는 10㎜ 크기의 음향 출력 홀을 하우징에 형성하였고, 실시 예는 제 2 음향 출력부의 중앙부에 개구를 1㎜, 1.5㎜ 및 2㎜의 직경으로 변화시켜 형성하였다. 도 9에서 10은 비교 예에 따른 특성 그래프이고, 20, 30 및 40은 실시 예에 따라 제 2 음향 출력부의 중앙부에 개구가 1㎜, 1.5㎜ 및 2㎜의 직경으로 형성된 특성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스피커, 즉 압전 소자 및 진동 소자에 개구가 형성된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20, 30, 40)는 압전 스피커에 개구가 형성되지 않고 하우징에 방출 홀이 형성된 비교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10)보다 2000㎐ 이상의 주파수에서 높은 음향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압전 스피커에 개구가 형성된 본 발명의 음향 출력 장치가 하우징에 방출 홀이 형성된 음향 출력 장치에 비해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제 1 음향 출력부 200 : 제 2 음향 출력부
300 : 하우징

Claims (14)

  1. 제 1 음향 출력부;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 제 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의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는 다이나믹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는 압전 소자 및 진동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의 직경 대비 상기 하우징의 외경은 100% 내지 130%인 음향 출력 장치.
  4. 제 1 음향 출력부;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제 2 음향 출력부;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압전 소자 및 진동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스피커이고,
    상기 압전 소자의 직경 대비 상기 하우징의 외경은 100% 내지 130%인 음향 출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더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6. 제 1 음향 출력부;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제 2 음향 출력부;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음향 출력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압전 소자 및 진동 소자를 포함하는 압전 스피커이고,
    상기 하우징의 외경은 13㎜ 미만인 음향 출력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더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8.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소자의 직경은 상기 하우징의 외경과 동일한 음향 출력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압전 소자 및 진동 소자의 동일 위치를 관통하고 중첩되도록 형성된 음향 출력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압전 소자 직경의 3% 내지 70%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음향 출력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압전 소자 면적의 0.1% 내지 50%의 크기로 형성되는 음향 출력 장치.
  12.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
  13.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 및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는 동일 레벨의 신호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는 음향 출력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출력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이 상기 개구를 통해 방출되어 상기 제 2 음향 출력부로부터 방출되는 음향과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섞이는 음향 출력 장치.
KR1020160115046A 2016-06-10 2016-09-07 음향 출력 장치 KR101865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72555 2016-06-10
KR1020160072555 2016-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052A true KR20170140052A (ko) 2017-12-20
KR101865347B1 KR101865347B1 (ko) 2018-06-07

Family

ID=6093158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046A KR101865347B1 (ko) 2016-06-10 2016-09-07 음향 출력 장치
KR1020170043659A KR20170140068A (ko) 2016-06-10 2017-04-04 음향 출력 장치
KR1020170069048A KR20170140081A (ko) 2016-06-10 2017-06-02 음향 출력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659A KR20170140068A (ko) 2016-06-10 2017-04-04 음향 출력 장치
KR1020170069048A KR20170140081A (ko) 2016-06-10 2017-06-02 음향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324519A1 (ko)
JP (1) JP2019501605A (ko)
KR (3) KR101865347B1 (ko)
CN (1) CN108353234A (ko)
TW (1) TWI6453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99211A (zh) * 2017-12-26 2021-08-24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7674B2 (en) * 2017-02-27 2021-01-19 Taiyo Yuden Co., Lt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10715939B2 (en) * 2018-09-13 2020-07-1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Eardrum transducer with nanoscale membrane
KR102628490B1 (ko) * 2018-11-13 2024-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951992B2 (en) * 2018-12-31 2021-03-16 Lg Display Co., Lt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668395B1 (ko) 2019-03-15 2024-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677784A (zh) * 2019-09-29 2020-01-10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音盆以及应用该音盆的扬声器
CN116156373B (zh) * 2021-04-08 2023-11-14 荣耀终端有限公司 耳机
TWI780832B (zh) * 2021-07-23 2022-10-1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氣體傳輸裝置
CN114422924A (zh) * 2021-12-31 2022-04-29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Mems扬声器及扬声器的装配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896A (ko) * 2010-07-07 2012-01-13 한국전기연구원 연속파용 도플러 초음파 변환기 및 그 제작 방법
KR101212705B1 (ko) 2011-03-23 2012-12-14 주식회사 삼진 다이나믹 스피커
KR20140083860A (ko)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압전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476280Y1 (ko) * 2014-08-18 2015-02-13 영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압전 소자를 이용한 고음질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7019A (ja) * 1995-11-30 1997-06-17 Mita Ind Co Ltd 複合酸化物膜
JP2001326985A (ja) * 2000-05-12 2001-11-22 Ccd:Kk 振動伝達装置
GB0321617D0 (en) * 2003-09-10 2003-10-15 New Transducers Ltd Audio apparatus
JP4630998B2 (ja) * 2005-05-31 2011-02-09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スピーカ装置又はマイクロフォン装置
JP2009177751A (ja) * 2008-01-28 2009-08-06 Taiyo Yuden Co Ltd 圧電素子、圧電振動板および圧電型電気音響変換器
US8164234B2 (en) * 2009-02-26 2012-04-24 Fujifilm Corporation Sputtered piezoelectric material
CN201533406U (zh) * 2009-10-12 2010-07-21 萧进明 扬声器
JP6077798B2 (ja) * 2012-08-30 2017-02-08 京セラ株式会社 圧電素子、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50171719A1 (en) * 2013-12-13 2015-06-18 James F. Pettit Spring assemblies for supporting a stator core in a stator frame
JP2015126339A (ja) * 2013-12-26 2015-07-06 タン インTang Ying 骨伝導スピーカー
TWM492586U (zh) * 2014-06-18 2014-12-21 Jetvox Acoustic Corp 壓電型揚聲器
JP6177757B2 (ja) * 2014-08-18 2017-08-09 アルム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ダイナミックスピーカーと圧電素子とを利用した高音質スピーカー
JP5759641B1 (ja) * 2014-10-24 2015-08-05 太陽誘電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装置及び電子機器
TWM499720U (zh) * 2014-10-31 2015-04-21 Jetvox Acoustic Corp 壓電陶瓷雙頻耳機結構
KR101576134B1 (ko) * 2015-07-27 2015-12-10 주식회사 다이나믹모션 피에조 스피커를 구비한 다이나믹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896A (ko) * 2010-07-07 2012-01-13 한국전기연구원 연속파용 도플러 초음파 변환기 및 그 제작 방법
KR101212705B1 (ko) 2011-03-23 2012-12-14 주식회사 삼진 다이나믹 스피커
KR20140083860A (ko) 2012-12-26 2014-07-04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압전 스피커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476280Y1 (ko) * 2014-08-18 2015-02-13 영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압전 소자를 이용한 고음질 스피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99211A (zh) * 2017-12-26 2021-08-24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299211B (zh) * 2017-12-26 2023-04-07 乐金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43199A (zh) 2017-12-16
JP2019501605A (ja) 2019-01-17
KR20170140068A (ko) 2017-12-20
US20180324519A1 (en) 2018-11-08
KR20170140081A (ko) 2017-12-20
CN108353234A (zh) 2018-07-31
KR101865347B1 (ko) 2018-06-07
TWI645333B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347B1 (ko) 음향 출력 장치
KR101769036B1 (ko) 음향 출력 장치
US9601682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1768455B1 (ko) 전기 음향 변환 장치
US9973857B2 (en) Piezoelectric speaker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9686615B2 (en) Electroacoustic converter and electronic device
KR101865346B1 (ko) 음향 출력 장치
KR101847164B1 (ko) 음향 출력 장치
KR101696790B1 (ko) 이어폰용 스피커
KR101738523B1 (ko) 이어폰용 스피커
WO2016137200A1 (ko) 음향 출력 장치
JP7338962B2 (ja) 電気音響変換装置
US10412502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dual vibration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