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440A - 볼펜 팁 및 그 볼펜 팁을 구비한 필기구 - Google Patents

볼펜 팁 및 그 볼펜 팁을 구비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9440A
KR20170139440A KR1020170049603A KR20170049603A KR20170139440A KR 20170139440 A KR20170139440 A KR 20170139440A KR 1020170049603 A KR1020170049603 A KR 1020170049603A KR 20170049603 A KR20170049603 A KR 20170049603A KR 20170139440 A KR20170139440 A KR 20170139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transfer ball
tip body
ball
ballpoint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962B1 (ko
Inventor
나오코 나카무라
도시아키 쓰치야
Original Assignee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15657A external-priority patent/JP6847595B2/ja
Application filed by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8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 B43K1/086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with resilient supporting means for the ball, e.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8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 B43K1/084Ball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필기선 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팁 본체(10)의 내측 환 형상 돌기(11a1)에, 후방측으로부터 전사 볼(20)을 접촉시켜, 전사 볼(20)의 후반부측을, 수용 부재(30)에 의해 수용하고 있으며, 수용 부재(30)는,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단면적을 축소시킨 축소부(31)를 갖고, 축소부(31)의 최전단부가 전사 볼(20)의 후방에 배치되며, 축소부(31)보다 후측(後側)의 부분이 팁 본체(10)로 후퇴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팁 본체(10)의 내벽에는, 축소부(31)에 근접 또는 접촉하는 휨 억제 돌기(15)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볼펜 팁 및 그 볼펜 팁을 구비한 필기구{BALLPOINT PEN CHIP AND WRITING UTENSIL EQUIPPED WITH THE BALLPOINT PEN CHIP}
본 발명은, 필기선의 폭을 변화시키도록 한 볼펜 팁 및 그 볼펜 팁을 구비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필기구에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것과 같이, 볼을 후방측으로부터 수용한 봉신(棒伸) 부재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 필기구에 의하면, 팁 또는 상기 봉신 부재의 나사 조임량이나 이동 제어 부재의 회전량 등의 조절에 의하여 상기 봉신 부재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면, 볼과 팁의 소구(小口) 내측 가장자리부의 간극이 변하기 때문에, 잉크 토출량도 변하고, 이 결과로서, 필기선의 폭도 변하게 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는, 피필기면에 대한 팁의 경사 각도의 조정에 의하여 선폭이 변하도록 한 것도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2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52654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종래 기술에서는, 필기선의 폭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봉신 부재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어, 그 조절 조작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 특허문헌 2의 종래 기술에서는, 필기구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하여 필기 자세가 흐트러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내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대략 통 형상의 팁 본체와, 상기 팁 본체 내의 전단측(前端側)에 수용되고, 또한 외주면 전단측을 상기 팁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킨 전사(轉寫) 볼과, 팁 본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전사 볼보다 후방측에 배치된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사 볼의 후반부측을 상기 수용 부재의 전단부에 의해 수용하도록 한 볼펜 팁으로서, 상기 수용 부재는, 그 전단측에,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단면적을 축소시킨 축소부를 가지며, 상기 축소부의 최전단부가 상기 전사 볼의 후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축소부보다 후측(後側)의 부분이 상기 팁 본체로 후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전사 볼로부터 압압력(押壓力)을 받았을 때에 탄성적으로 수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팁 본체의 내벽(內壁)에는, 상기 축소부의 측벽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상기 축소부의 휨을 억제하는 휨 억제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펜 팁.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필기선 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볼펜 팁의 제1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수용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2(a)는 전방에서 본 도, 도 2(b)는 반단면도, 도 2(c)는 후방에서 본 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선단부를 코킹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팁 본체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선단부를 코킹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팁 본체를 전방측에서 본 도이다.
도 6은 선단부를 코킹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팁 본체의 주요부 종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볼펜 팁을 구비한 필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동 필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볼펜 팁의 제2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볼펜 팁의 제3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1(a)는 도 10에 있어서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1(b)는 도 10에 있어서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있어서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수용 부재의 전측(前側)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수용 부재의 후측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볼펜 팁의 제4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있어서의 (XV)-(X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수용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볼펜 팁의 제5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양태에 대하여, 전사 볼을 생략하고 전방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20은 제5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있어서의 (XXI)-(XX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21(a)는 통상 상태를 나타내고, 도 21(b)는 직경 방향으로 휜 축소부를 휨 억제 돌기에 의해 수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내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대략 통 형상의 팁 본체와, 그 팁 본체 내의 전단측에 수용되고, 또한 외주면 전단측을 상기 팁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킨 전사 볼과, 팁 본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전사 볼보다 후방향에 배치된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사 볼의 후반부측을, 상기 수용 부재의 전단부에 의해 수용하도록 한 볼펜 팁으로서, 상기 수용 부재는, 그 전단측에,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단면적을 축소시킨 축소부를 가지며, 그 축소부의 최전단부가 상기 전사 볼의 후방에 배치되고, 또한 그 축소부보다 후측의 부분이 상기 팁 본체로 후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전사 볼로부터 압압력을 받았을 때에 탄성적으로 수축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수용 부재의 전단측이 직경 방향으로 휘는 것을 축소부에 의하여 방지하여, 압압력에 따른 굵기의 필기선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소부"에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2 특징으로서는, 수용 부재의 전단측이 직경 방향으로 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축소부를, 상기 수용 부재의 최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단면적을 연속적으로 확대시킨 중실(中實) 형상으로 형성했다.
여기에서, 상기 "중실 형상"이란, 내부에 중공부를 갖지 않는 형상을 의미한다.
또, 상기 축소부의 구체예에는, 원뿔대 형상의 양태나, 각뿔대 형상의 양태 등을 들 수 있다.
제3 특징으로서, 팁 본체 내에 잉크 유통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제조성이 양호한 양태로 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 부재는, 상기 축소부보다 후측에, 직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기를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갖고, 이들 지지 돌기를 팁 본체의 내벽면에 압접(壓接)시켜 후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4 특징으로서는, 부드러운 필감이 얻어지도록, 상기 수용 부재를 1종류의 합성 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했다(도 1 및 도 9 참조).
제5 특징으로서는, 상기 수용 부재를 효과적으로 탄성 변형시킴과 함께 생산성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 부재를, 상기 축소부를 갖는 전측 부재와, 상기 지지 돌기를 갖는 후측 부재의 2부재로 구성했다(도 10 및 도 15 참조).
제6 특징으로서는,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후측 부재를, 상기 전측 부재보다 내(耐)마모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했다.
제7 특징으로서는, 상기 수용 부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탄성 변형시켜 선폭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전측 부재를, 상기 후측 부재보다 탄성 변형되기 쉬운 재료에 의해 형성했다.
제8 특징으로서는, 상기 수용 부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탄성 변형시킴과 함께 생산성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측 부재를, 상기 팁 본체의 내주면에 느슨하게 감합(嵌合)된 상태에서 상기 전사 볼과 상기 후측 부재의 사이에 마련했다.
제9 특징으로서, 팁 본체 내의 잉크의 유통 저항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측 부재에는, 상기 축소부보다 후측의 외주부에, 전후 방향에 걸친 세로 리브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고, 이들 세로 리브의 수와, 상기 지지 돌기의 수가 다르도록 했다(도 12 참조).
제10 특징은, 생산성이 양호한 바람직한 양태로서, 상기 전측 부재와 상기 후측 부재를 연결하여 일체화했다(도 15 참조).
제11 특징은, 상기 축소부가 직경 외측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팁 본체의 내벽에, 상기 축소부의 측벽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상기 축소부의 휨을 억제하는 휨 억제 돌기를 마련했다(도 18∼도 21 참조).
제12 특징은, 잉크 유량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휨 억제 돌기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고,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휨 억제 돌기의 사이가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는 잉크 유도홈(誘導溝)으로 되어 있다(도 19 및 도 20 참조).
제13 특징은, 보다 잉크 유량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팁 본체 내의 전단측에는, 후퇴했을 때의 상기 전사 볼을 전단면에 의해 수용하는 잘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휨 억제 돌기는, 상기 잘록부의 전단면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4 특징으로서, 상기 잘록부는, 수용한 상기 전사 볼을 상기 팁 본체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그 전후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도 20 참조).
제15 특징은, 특히 잉크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축소부의 주위에 환 형상으로 코일 스프링을 배치하고, 그 코일 스프링의 전단부를 상기 전사 볼에 당접시킴과 함께, 그 코일 스프링의 후단부를 후퇴 불가능하게 지지했다(도 9 참조).
제16 특징은, 팁 본체 내에 잉크 유통로를 충분히 확보하고, 또한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팁 본체 내의 전단측에, 각통 형상 내벽면을 형성하며, 이 각통 형상 내벽면을, 상기 전사 볼의 외주면에 근접 또는 접촉시키도록 했다(도 3 참조).
제17 특징은, 상기 볼펜 팁을 구비하여 필기구를 구성했다(도 7 참조).
다음으로, 상기 특징을 갖는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전방"이란, 볼펜 팁의 선단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이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 "직경 외측 방향"이란, 볼펜 팁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부로부터 떨어진 방향을 의미하고, "직경 내측 방향"이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제1 실시양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볼펜 팁(1)을 나타낸다.
볼펜 팁(1)은, 내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대략 통 형상의 팁 본체(10)와, 그 팁 본체(10) 내의 전단측에 수용되고, 또한 외주면 전단측을 팁 본체(10)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킨 전사 볼(20)과, 팁 본체(10) 내에 있어서의 전사 볼(20)보다 후방측에 배치된 수용 부재(30)를 구비한다.
이 볼펜 팁(1)은, 팁 본체(10) 내의 전단측의 내향 환 형상 돌기(11a1)에, 그 후방측으로부터 전사 볼(20)의 전반부측을 당접시킴과 함께, 전사 볼(20)의 후반부측을, 초기 상태에 있어서 팁 본체(10)의 내면에서는 수용하지 않고 대략 봉 형상의 수용 부재(30)의 전단부에 의해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 볼펜 팁(1)은, 팁 본체(10)의 전단측의 내벽면을 각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각통 형상 내벽면(11b)에, 전사 볼(20)의 외주면을 근접 또는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다.
팁 본체(10)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황동 또는 양은 등의 합금 혹은 합성 수지로, 선단측으로 끝이 좁아지는 원뿔 형상의 부분을 갖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팁 본체(10) 내에는, 전단부측부터 순서대로, 볼 하우스(11), 잘록부(12), 테이퍼 구멍(13), 대경 구멍(14)이 마련되고, 이들의 내부 공간은 전후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다.
볼 하우스(11)는, 최전단쪽의 내측 환 형상 돌기(11a1)와, 그 내측 환 형상 돌기(11a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각통 형상 내벽면(11b)과, 잘록부(12)의 전단면에 의하여, 전사 볼(2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내측 환 형상 돌기(11a1)는, 볼 하우스(11) 내에 전사 볼(20)이 삽입된 후에, 팁 본체(10)의 전단부가 외부로부터 코킹됨으로써 형성된다.
즉, 전사 볼(20)이 삽입되는 전단계에 있어서, 볼 하우스(11)의 최전단쪽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 내주면(11a)이 형성된다. 볼 하우스(11)에 전사 볼(20)이 삽입된 후, 원통 형상 내주면(11a)의 둘레벽이 외부로부터 코킹됨으로써, 원통 형상 내주면(11a)의 전단측에 내측 환 형상 돌기(11a1)가 형성된다. 내측 환 형상 돌기(11a1)는, 원통 형상 내주면(11a)으로부터 직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전사 볼(20)의 전반부에 접촉시킨다.
각통 형상 내벽면(11b)은, 정다각형 통 형상(도시예에 의하면 정구각형 통 형상)의 내벽면이다. 이 각통 형상 내벽면(11b)을 구성하는 각 면은,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통 형상 내벽면(11b)을 구성하는 복수의 면 중,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면의 사이에는, 내부 모서리 형상 부분(11c)이 형성된다.
또, 잘록부(12)는, 각통 형상 내벽면(11b)보다 후측의 부분을, 각통 형상 내벽면(11b)의 최소 직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축경함으로써, 대략 잘록 형상(혹은 직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환 형상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다(도 1 및 도 4 참조). 이 잘록부(12)를 관통하는 구멍의 내주면은, 대략 원통 형상의 면이며, 그 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잉크 유도홈(12a)(도 5 참조)이 형성된다. 잉크 유도홈(12a)은, 잉크 유통량을 적정하게 확보하도록, 그 유통 단면적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잘록부(12)는, 전사 볼(20)을 후방에 삽통하지 않도록, 전사 볼(2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설정된다.
또한, 도시예 이외의 다른 예로서는, 잘록부(12)를 생략하고, 각통 형상 내벽면(11b)을 테이퍼 구멍(13)의 전단측에 접속한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잘록부(12)의 후방측에는, 테이퍼 구멍(13)이 마련된다.
테이퍼 구멍(13)은, 전방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축경된 대략 원뿔대 형상의 구멍이며, 후술하는 수용 부재(30)의 축소부(31)를 수용함과 함께, 그 축소부(31)의 주위의 공간을 잉크 유통 경로로 한다. 이 테이터 구멍(13)의 후단측에는, 대경 구멍(14)이 연속하고 있다.
대경 구멍(14)은, 테이퍼 구멍(13)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속하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대경 구멍(14)에는 수용 부재(30)가 삽입되고, 대경 구멍(14)의 내벽면에는, 수용 부재(30)의 후측부측의 복수의 지지 돌기(32)가 압접 고정된다.
이 대경 구멍(14)은, 단계적으로 직경을 축소시킨 복수의 드릴을 이용하여, 전방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축경된 구멍을 형성한 후, 리머 가공 등의 마무리 가공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속하는 동 직경의 구멍에 가공된다. 또한, 도시예 이외의 다른 예로서는, 상기 마무리 가공을 생략하고, 대경 구멍(14)을, 전방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축경된 구멍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전사 볼(20)은, 예를 들면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 등을 주성분으로 한 소결체 등의 경질 금속 재료, 혹은 합성 수지 재료로부터 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 하우스(1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전사 볼(20)의 전반부측은, 볼 하우스(11) 내 전단측의 내측 환 형상 돌기(11a1)에 압압된다. 그리고, 전사 볼(20)의 후반부측은, 팁 본체(10)의 내면인 잘록부(12)의 전단면에서 수용되지 않고, 수용 부재(30)의 전단면에 의해서만 수용되어 있다. 즉, 잘록부(12)의 전단면과 전사 볼(20)의 후반부측의 사이에는, 간극이 확보되고(도 1 참조), 수용 부재(30)의 전단면이 전사 볼(20)의 후단면에 당접하고 있다.
또한, 전사 볼(20)은, 통상의 필압으로 필기가 행해진 경우는, 팁 본체(10)의 내면에 수용되지 않고 대략 봉 형상의 수용 부재(30)의 전단부에 의해 수용된 상태(도 8 참조)를 유지하는데, 필압이 너무 강하거나 하여, 후방으로의 강한 압압력을 받은 경우에는, 팁 본체(10) 내면의 잘록부(12)에 접촉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전사 볼(20)의 외경은, 볼 하우스(11)의 각통 형상 내벽면(11b)에 접하는 가상의 구체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전사 볼(20)의 외주면은, 각통 형상 내벽면(11b)을 구성하는 각 면에 대하여 근접한다(도 3 참조).
또한, 전사 볼(20)은, 볼 하우스(11) 내면의 치수 정밀도의 불균일 등에 기인하여, 팁 본체(10)의 중심에 대하여 약간 편심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그 전사 볼(20)의 외주면이 각통 형상 내벽면(11b)을 구성하는 면에 대하여 접촉하는 경우도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 볼(20)의 주위에 있어서, 각통 형상 내벽면(11b)의 인접하는 평탄면부의 사이에는 내부 모서리 형상 부분(11c)이 형성된다. 이 내부 모서리 형상 부분(11c)은, 잉크 유통 경로가 되는 간극(s1)을 확보한다.
또, 수용 부재(30)는, 그 전단측에,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단면적을 축소시킨 축소부(31)를 갖고, 그 축소부(31)의 최전단부를 전사 볼(20)의 후방에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수용 부재(30)는, 축소부(31)보다 후측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직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기(32)를 복수(도시예에 의하면 3개) 가지며, 이들 지지 돌기(32)를, 팁 본체(10)의 내벽면에 압접시킴으로써, 진퇴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 수용 부재(30)는, POM(폴리아세탈),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1종류의 경질 합성 수지 재료로부터 일체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사 볼(20)로부터 받는 압압력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수축된다.
축소부(31)는, 전사 볼(20)과의 접촉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외경을 연속적으로 확대시킨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 돌기(3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방사 형상으로 돌출되어 복수(도시예에 의하면 3개) 마련된다. 이들 복수의 지지 돌기(32)는, 당해 볼펜 팁(1)의 제조 단계에 있어서, 수용 부재(30)가 팁 본체(10)의 후방측으로부터 팁 본체(10) 내에 삽입될 때에, 팁 본체(10)의 내주면에 압접된다.
도 2 중, 부호 32a는, 상기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테이퍼면이며, 각 테이퍼면(32a)은, 각 지지 돌기(32)의 전단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지지 돌기(32, 32) 사이의 공간은, 잉크 유통로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볼펜 팁(1)을 이용한 필기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7 참조).
필기구(100)는, 노크부(140)의 압압 조작에 의하여 볼펜 리필(120) 전단의 볼펜 팁(1)을 축통(110) 전단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이 돌출 상태를, 클립(111)을 축통 중심측으로 휘게 하는 조작에 의하여 해제하도록 한 출몰식 볼펜이다.
볼펜 리필(120)은, 잉크 수용관(121)의 전단에 볼펜 팁(1)을 접속하고, 이들의 내부에 잉크를 충전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볼펜 팁(1) 및 필기구(100)(볼펜)에 의한 필기 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 볼(20)의 전단측을 피필기면에 압압하거나 하여, 전사 볼(20)에 후방향의 압압력이 가해지면, 수용 부재(30)가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되어, 전사 볼(20)이 약간 후퇴한다. 이로 인하여, 전사 볼(20)과 내측 환 형상 돌기(11a1)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그 간극으로부터 잉크가 토출된다. 또, 상기 압압력이 작아지면, 수용 부재(30)가 원래의 길이로 복원되고, 전사 볼(20)이 전진하여 상기 간극이 좁아진다.
따라서, 상기 압압력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수용 부재(30)의 수축량 및 전사 볼(20)의 후퇴량이 커져, 전사 볼(20)과 내측 환 형상 돌기(11a1)의 간극이 넓어지기 때문에, 잉크 토출량이 늘어나 필기선이 굵어진다.
또, 상기 압압력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수용 부재(30)의 수축량 및 전사 볼(20)의 후퇴량이 작아져, 전사 볼(20)과 내측 환 형상 돌기(11a1)의 간극이 좁아지기 때문에, 잉크 토출량이 줄어들어 필기선이 가늘어진다.
통상의 필기 자세로 필기가 행해지는 경우, 그 필기 시의 필기 각도 등에 기인하여, 수용 부재(30)의 전단측에는, 그 수용 부재(30)의 중심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의 압압력을 받는 경우가 있다(도 8 참조).
본 실시예의 볼펜 팁(1)에 의하면, 수용 부재(30)의 전단측에는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단면적을 축소시키는 축소부(31)를 갖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경사지는 방향의 압압력을 받은 경우이더라도, 수용 부재(30)의 전단측이 직경 방향으로 휘기 어렵고, 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수축된다.
즉, 만일, 수용 부재(30)의 전단측을 스트레이트의 봉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이 전단측 부분이 직경 방향으로 휘어, 전사 볼(20)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전사 볼(20)의 후퇴량이 불안정해지며, 잉크 토출량 및 필기선의 굵기도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것을 방지하고, 압압력에 따른 굵기의 필기선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 전사 볼(20)의 주위에는, 각통 형상 내벽면(11b)에 있어서의 내부 모서리 형상 부분(11c)에 의하여 간극(s1)이 확보되기 때문에, 이 간극(s1)이 잉크 유통로가 되어, 잉크 유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전사 볼(20)의 외주면은, 각통 형상 내벽면(11b)을 구성하는 평탄면과의 점 접촉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사 볼의 외주면을 원통 형상의 면에 접촉시키도록 한 종래 기술 등과 비교하여, 전사 볼(20)의 회전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볼펜 팁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볼펜 팁은, 상술한 볼펜 팁(1)에 대하여 일부분을 변경한 것이기 때문에, 주로 그 변경 부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중복되는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양태>
도 9에 나타내는 볼펜 팁(2)은, 상술한 볼펜 팁(1)에 대하여, 코일 스프링(40)을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볼펜 팁(2)은, 수용 부재(30)의 축소부(31)의 주위에 환 형상으로 코일 스프링(40)을 배치하고, 그 코일 스프링(40)의 전단부를 전사 볼(20)에 당접시킴과 함께, 그 코일 스프링(40)의 후단부를 축소부(31) 후단측의 단차부에 의하여 후퇴 불가능하게 지지하고, 전사 볼(20)의 후단과 축소부(31)의 전단의 사이에 간극(s2)을 확보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볼펜 팁(2)에 의하면, 전사 볼(20)에 후방으로의 압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미사용 상태에서는, 전사 볼(20)을 코일 스프링(40)의 탄발력에 의하여 내측 환 형상 돌기(11a1)에 압접하여, 전사 볼(20)과 내측 환 형상 돌기(11a1)의 사이에서의 잉크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사 볼(20)을 피필기면에 압압했을 때에는, 전사 볼(20)이 약간 후퇴하므로, 전사 볼(20)과 내측 환 형상 돌기(11a1)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그 간극으로부터 잉크가 토출된다.
그리고, 전사 볼(20)에 대한 압압력이 비교적 큰 경우에는, 전사 볼(20)의 후단면이 수용 부재(30) 전단면에 당접하고, 수용 부재(30)가 탄성적으로 수축되기 때문에, 전사 볼(20)과 내측 환 형상 돌기(11a1)의 사이의 간극이 커지고, 그 간극에 의한 잉크 유량이 증가하여 필기선이 굵어진다. 또한, 전사 볼(20)을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한 경우에는, 수용 부재(30)의 수축에 더하여, 그 전사 볼(20)도 수축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잉크 유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볼펜 팁(2)에 있어서도, 상술한 볼펜 팁(1)과 마찬가지로, 필기구(100)(볼펜)의 부품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기할 때에 압압력에 따른 굵기의 필기선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 볼펜 팁(2)은, 상술한 볼펜 팁(1)과 마찬가지로, 필기구(100)(볼펜)의 부품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양태>
도 10에 나타내는 볼펜 팁(3)은, 상술한 볼펜 팁(1)에 대하여, 수용 부재(30)를 수용 부재(50)로 치환한 것이다.
수용 부재(50)는, 축소부(51a)를 갖는 전측 부재(51)와, 지지 돌기(52b)를 갖는 후측 부재(52)의 2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당접시키고 있다.
전측 부재(51)는, 그 전단측에, 상술한 축소부(31)와 대략 동일한 형태의 원뿔대 형상의 축소부(51a)를 갖고, 그 축소부(51a)의 최전단부를 전사 볼(20)의 후단에 접촉시키고 있다.
그리고, 전측 부재(51)는, 축소부(51a)보다 후측의 축 형상 부분의 외주부에, 전후 방향에 걸친 세로 리브(51b)를,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도시예에 의하면 3개) 배치하고 있다.
세로 리브(51b)는, 전측 부재(51)에 있어서의 축소부(51a)보다 후측에 있어서, 팁 본체(10)의 내주면에 느슨하게 감합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 리브(51b) 전단측에는, 축심측(軸芯側)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51b1)이 형성된다.
또한, 도 10∼도 12에서는, 세로 리브(51b)와 팁 본체(10)의 내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세로 리브(51b)는, 팁 본체(10)의 내주면에 대하여 접촉 또는 근접하여 느슨하게 감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팁 본체(10) 내에 전측 부재(51)를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전측 부재(51) 전체의 축방향의 탄성적인 신축성을 양호하게 할 수도 있다.
세로 리브(51b)는, 필압 등을 받아 전측 부재(51)가 휘는 것을 억제하는 보강 리브로서 기능한다.
또, 테이퍼면(51b1)은, 수용 부재(50)를 팁 본체(10) 내에 삽입할 때의 안내면으로서 기능한다.
전측 부재(51) 내에 있어서의 중심부의 후단측에는, 후방을 개구한 원통 형상의 지그 삽입 구멍(51c)이 마련된다.
또, 후측 부재(52)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축부(52a)의 외주에, 직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기(52b)를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도시예에 의하면 4개) 갖는다. 이 후측 부재(52)는, 전측 부재(51)의 후단면을 수용함과 함께, 상기 복수의 지지 돌기(52b)를 전후 방향에 걸쳐 팁 본체(10)의 내벽면에 압접시킴으로써, 진퇴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후측 부재(52)의 지지 돌기(52b)의 수는, 전측 부재(51)의 세로 리브(51b)의 수보다 많이 설정된다(도 12 참조).
상기 구성의 전측 부재(51)는, 후측 부재(52)보다 탄성 변형되기 쉬운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후측 부재(52)는, 전측 부재(51)보다 내마모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전측 부재(51)가 PE(폴리에틸렌 수지)로 형성되고, 후측 부재(52)가 POM(폴리아세탈 수지)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PE에는, 탄성 계수(탄성률)가 4∼17[10^3kg/cm^2], 마찰 계수가 0.3∼0.5, 경도가 HDD 45∼75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POM에는, 탄성 계수가 24∼31[10^3kg/cm^2], 마찰 계수가 약 0.18, 경도가 약 HRR 118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0에 나타내는 볼펜 팁(3)에 있어서, 팁 본체(10) 내에, 전사 볼(20) 및 수용 부재(50)를 조립하는 순서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먼저, 팁 본체(10)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전사 볼(20)이 삽입되고, 볼 하우스(11) 둘레벽의 전단측이 코킹 가공됨으로써, 내측 환 형상 돌기(11a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팁 본체(10)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전측 부재(51)가 삽입되고, 그 전측 부재(51)(상세하게는 축소부(51a))의 전단면이 전사 볼(20)의 후단부에 당접한다.
또한, 팁 본체(10)에 전측 부재(51)를 삽입하는 작업은, 일례로서는, 전측 부재(51)의 지그 삽입 구멍(51c)에 봉 형상의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여 행해진다. 상기 지그는, 상기 삽입 작업 후에 빼내진다. 다른 예로서는, 지그 삽입 구멍(51c) 및 상기 지그를 이용하지 않고, 팁 본체(10) 내에 전측 부재(51)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팁 본체(10)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후측 부재(52)가 압입된다. 압입된 후측 부재(52)는, 전단부를 전측 부재(51)의 후단부에 당접시킨다. 따라서, 전측 부재(51)는, 전사 볼(20)과 후측 부재(52)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부터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상기 압입할 때의 압압력은, 전사 볼(20)이 수용 부재(50)에 눌려 내측 환 형상 돌기(11a1)에 압압되어 잉크 누출이 방지됨과 함께, 전사 볼(20)이 원할하게 회전되며, 적당·적절한 필압을 통하여 용이하게 필기가 가능하게 되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볼펜 팁(3)에 있어서도, 상술한 볼펜 팁(1)과 마찬가지로, 필기구(100)(볼펜)의 부품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기할 때에 압압력에 따른 굵기의 필기선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후측 부재(52)가, 전측 부재(51)보다 내마모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팁 본체(10)에 압입될 때에, 후측 부재(52)의 지지 돌기(52b)가 절삭되기 어렵고, 나아가서는, 팁 본체(10) 내에 절삭 찌꺼기 등의 이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수용 부재(50)와 팁 본체(10)의 감합력을 안정시켜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압입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측 부재(51)가, 후측 부재(52)보다 탄성 변형되기 쉬운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압에 의하여, 전측 부재(51)의 부분, 특히 축소부(51a)를 효과적으로 수축시킬 수 있어, 필압 조정에 의한 선폭 조정을 쉽게 할 수 있다.
또, 이 볼펜 팁(3)에서는, 수용 부재(50)의 세로 리브(51b)의 수와, 후측 부재(52)의 지지 돌기(52b)의 수를 다르게 함으로써, 잉크 유통 경로의 저항을 적게 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전측 부재(51)는 조립 작업 등에 회전할 가능성이 있지만, 만일, 세로 리브(51b)와 지지 돌기(52b)를 동일한 수로 한 경우에는, 인접하는 각 지지 돌기(52b, 52b) 사이의 전방에, 세로 리브(51b)의 후단부가 위치하면, 전방으로 유통되는 잉크가, 각 세로 리브(51b)의 후단면으로부터 큰 저항을 받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양태의 볼펜 팁(3)에 의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세로 리브(51b, 51b) 사이와, 인접하는 지지 돌기(52b, 52b) 사이가 축방향으로 연통되는 부분을 확보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잉크 유통 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양태>
도 15에 나타내는 볼펜 팁(4)은, 상술한 볼펜 팁(1)에 대하여, 수용 부재(30)를 수용 부재(60)로 치환한 것이다.
수용 부재(60)는, 축소부(61a)를 갖는 전측 부재(61)와, 지지 돌기(62a)를 갖는 후측 부재(62)의 2부재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전측 부재(61)는, 상기 볼펜 팁(1)에 있어서의 축소부(31)(도 1 참조)와 대략 동일 형상의 축소부(61a)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측 부재(62)는, 상기 볼펜 팁(1)에 있어서의 축소부(31)보다 후측의 부분과 대략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둔 복수(도시예에 의하면 3개)의 지지 돌기(62a)를 갖는다.
전측 부재(61)는, 상기 볼펜 팁(3)의 전측 부재(51)와 동일 재질(PE)이며, 후측 부재(62)는, 상기 볼펜 팁(3)의 후측 부재(52)와 동일 재질(POM)이다.
즉, 전측 부재(61)가, 후측 부재(62)보다 탄성 변형되기 쉬운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후측 부재(62)가, 전측 부재(61)보다 내마모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전측 부재(61)와 후측 부재(62)는, 2색 성형(이중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수용 부재(60)를 구성한다.
또한, 다른 예로서, 후측 부재(62)의 전단부에 오목부를 마련하고, 그 오목부에 전측 부재(61)를 감합이나 나사 결합한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5 중, 부호 62a1은, 팁 본체(10)로의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테이퍼면이다. 또, 부호 62c는, 지그를 삽입하기 위한 지그 삽입 구멍이며, 필요에 따라 이용된다.
볼펜 팁(4)의 제조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면, 팁 본체(10)의 전단측에 전사 볼(20)이 삽입되어, 팁 본체(10)의 전단측이 코킹된 후, 팁 본체(10)에 대하여 후방향으로부터 수용 부재(60)가 압입된다. 이 작업은, 수용 부재(60)의 후단측의 지그 삽입 구멍(62c)에 봉 형상의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여 행해진다.
상기 압입할 때의 압압력은, 전사 볼(20)이 수용 부재(60)에 눌려 내측 환 형상 돌기(11a1)에 압압되어 잉크 누출이 방지됨과 함께, 전사 볼(20)이 원할하게 회전되며, 적당·적절한 필압을 통하여 용이하게 필기가 가능하게 되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볼펜 팁(4)에 있어서도, 상술한 볼펜 팁(1)과 마찬가지로, 필기구(100)(볼펜)의 부품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기할 때에 압압력에 따른 굵기의 필기선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후측 부재(62)가, 전측 부재(61)보다 내마모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팁 본체(10)에 압입될 때에, 후측 부재(62)의 지지 돌기(62a)가 절삭되기 어렵고, 나아가서는, 팁 본체(10) 내에 절삭 찌꺼기 등의 이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압입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측 부재(61)(축소부(61a))가, 후측 부재(62)보다 탄성 변형되기 쉬운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압에 의하여, 전측 부재(61)(축소부(61a))를 효과적으로 수축시킬 수 있어, 필압 조정에 의한 선폭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5 실시양태>
도 18에 나타내는 볼펜 팁(5)은, 상술한 볼펜 팁(4)(도 15 참조)에 대하여, 팁 본체(10)를 팁 본체(10')로 치환한 것이다.
팁 본체(10')는, 앞서 설명한 팁 본체(10)에 대하여, 휨 억제 돌기(15) 및 잉크 유도홈(15b)을 마련함과 함께, 잘록부(12)를 앞쪽으로 위치 변경한 것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팁 본체(10') 내의 전단측의 볼 하우스(11) 내에는, 후퇴했을 때의 전사 볼(20)을 전단면(12b)에 의해 수용하도록 축경된 잘록부(12)가 마련된다(도 20 참조).
팁 본체(10')는, 잘록부(12)의 전단면(12b)보다 후방측의 내벽에, 축소부(61a)의 직경 방향으로의 휨을 억제하는 휨 억제 돌기(15)를 갖는다.
잘록부(12)의 전단면(12b)은, 중심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지는 대략 사발 형상의 면이다.
이 잘록부(12)는, 후퇴했을 때의 전사 볼(20)을 수용한 상태에서, 이 전사 볼(20)을 팁 본체(10')의 전단으로부터, 치수(P)만큼 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그 전후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치수(P)는, 전사 볼(20)의 전단측 외주면을 피필기면에 접촉시켜, 통상의 필기 각도(60∼90도)로 필기가 행해졌을 때에, 팁 본체(10') 전단 가장자리가 피필기면에 닿기 어려워지고, 피필기면과 팁 본체(10') 전단 가장자리의 마찰이 작아져, 원활한 필기가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휨 억제 돌기(15)는, 축소부(61a)의 주위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된다.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휨 억제 돌기(15)의 사이 부분은, 전후 방향으로 연속하는 잉크 유도홈(15b)으로 되어 있다.
각 휨 억제 돌기(15)는, 잘록부(12)의 내경에 대하여, 단차 형상으로 축경되어 있다.
휨 억제 돌기(15)의 전단면(15a)의 위치는, 도 20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하여 전사 볼(20)이 후퇴하여 잘록부(12)의 전단면(12b)(상세하게는 모서리부)에 당접한 경우에, 이 후퇴한 전사 볼(20)의 후부측 부분과, 휨 억제 돌기(15)의 전단면(15a)의 사이에, 잉크 저류 공간(s3)이 확보되도록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휨 억제 돌기(15)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후방으로 경사지는 전단면(15a)과, 중심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전방으로 경사지는 후단면(15c)을 갖고, 직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단면(15d)을, 축소부(61a)의 외주면에 대하여 근접 또는 접촉하고 있다.
돌출 단면(15d)은, 축소부(61a)의 외주면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고 근접하도록 치수 설정되어 있는데, 수용 부재(60)의 치수 편차나 제조에 따른 경사 등에 의하여, 축소부(61a)에 접촉하는 경우도 있다.
또, 잉크 유도홈(15b)은, 휨 억제 돌기(15) 및 잘록부(12)의 내주측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된다. 각 잉크 유도홈(15b)은, 휨 억제 돌기(15) 및 잘록부(12)를 관통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각 잉크 유도홈(15b)은, 그 바닥부(직경 외측 방향의 내면)가, 잘록부(12)의 내경보다 직경 외측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19 참조).
이 잉크 유도홈(15b)은, 휨 억제 돌기(15)보다 후측의 잉크를, 그 휨 억제 돌기(15) 및 잘록부(12)보다 전측으로 유통시킨다.
따라서, 볼펜 팁(5)에 의하면, 도 20∼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전사 볼(20)이 잘록부(12)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져 있으며, 그 전사 볼(20)의 후단부가 축소부(61a)의 전단부에 근접 또는 접촉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전사 볼(20)에 대하여 후방향의 비교적 강한 압압력이 가해져, 이 압압력에 의하여 축소부(61a)가 직경 방향으로 휘려고 한 경우에는, 축소부(61a)의 외주면이 휨 억제 돌기(15)의 내주면에 의해 수용되어, 그 휨이 억제된다.
따라서, 축소부(61a)는, 직경 방향으로 거의 휘지 않고, 탄성적으로 후방으로 수축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휨에 기인하여, 특정 방향의 필기에 있어서 잉크 끊김이 발생하거나 선폭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휨에 의하여, 돌출 단면(15d)과 축소부(61a)의 간극이 불균일하여, 잉크 유량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에 기인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바람직한 일례에 의하면, 휨 억제 돌기(15) 및 잘록부(12)에 걸친 잉크 유도홈(15b)을 마련하고, 또한 전단면(15a)보다 전측에 잉크 저류 공간(s3)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잉크 유통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특히, 강한 필압이 가해져 전사 볼(20)이 비교적 크게 후퇴된 경우여도, 잉크의 유통로 및 저류 공간이 없어지지 않고, 그 필압에 따른 굵은 선을 필기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한 압압력에 의하여 전사 볼(20)의 후퇴량이 비교적 큰 경우이더라도, 이 전사 볼(20)이 잘록부(12)에 의해 수용되고, 후퇴된 상태의 전사 볼(20)의 전단측이, 팁 본체(10')의 전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팁 본체(10')의 전단 가장자리가 피필기면에 닿거나 하여 필기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
또한, 상기 실시양태에서는, 잘록부(12)의 잉크 유도홈(12a)(도 5 참조)과 각통 형상 내벽면(11b)의 내부 모서리 형상 부분(11c)의 위치 관계를 특별히 한정하고 있지 않지만, 잉크의 유통 저항을 보다 경감시키는 양태로서, 복수의 잉크 유도홈(12a)을 각각 내부 모서리 형상 부분(11c)에 대응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볼펜 팁(2)에서는, 수용 부재(30) 전단과 전사 볼(20)의 후단의 사이에 간극(s2)을 마련했는데, 다른 예로서는, 간극(s2)을 생략하고, 수용 부재(30)의 전단을 전사 볼(20)의 후단에 당접시킨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시예에서는, 특히 바람직한 양태로서, 볼 하우스(11) 내에 각통 형상 내벽면(11b)(도 3 참조)을 마련했는데, 다른 예로서는, 각통 형상 내벽면(11b) 대신에 원통 형상 내벽면 등, 도시 이외의 형상의 내벽면을 마련한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다른 예에 있어서도, 전방으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수용 부재(30)(50 또는 60)를 신축시킴과 함께 전사 볼(20)을 진퇴시켜, 그 압압력에 따른 선폭의 필기선을 얻을 수 있다.
또, 도시예에 의하면, 수용 부재(30) 등에 의하여 선폭 조정 가능하게 한 볼펜 팁(1)(2, 3 또는 4)에 대하여, 볼 하우스(11) 내에 각통 형상 내벽면(11b)(도 3 참조)을 마련했는데, 각통 형상 내벽면(11b)은, 수용 부재(30)(50 또는 60)를 구비하지 않는 볼펜 팁이나, 수용 부재(30)(50 또는 60) 대신에, 전사 볼(20)을 탄발하는 코일 스프링을 갖는 볼펜 팁 등에 대하여, 그 볼 하우스의 내벽면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한 경우도, 각통 형상 내벽면(11b)에 있어서의 내부 모서리 형상 부분(11c) 내측의 간극(s1)에 의하여, 안정된 잉크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볼펜 팁(1)(2, 3 또는 4)에 의하면, 특히 바람직한 양태로서, 수용 부재(30)(50 또는 60)를 탄성 변형 가능한 경질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했는데, 다른 예로서는, 수용 부재(30)(50 또는 60)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금속 재료(구체예로서는 스테인리스나 놋쇠 등)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전사 볼(20)을 탄성 변형 가능한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시예에 의하면, 볼펜 팁(1)을 구비한 필기구(100)의 일례로서 단색의 볼펜을 구성했는데, 필기구(100)의 다른 예로서는, 복수 색의 볼펜 리필을 구비한 다색 필기구나, 볼펜 리필이나 샤프펜 리필 등의 복수 종류의 리필을 구비한 다기능 필기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볼펜 팁(2, 3 또는 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필기구(10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볼펜 팁(3)(도 10 참조)에서는, 별체의 전측 부재(51)와 후측 부재(52)를 당접시키도록 했지만, 다른 예로서는, 전측 부재(51)와 후측 부재(52)를 감합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일체화한 양태나, 전측 부재(51)와 후측 부재(52)를 이중 성형에 의하여 일체화한 양태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볼펜 팁(4)(도 15 참조)에서는, 전측 부재(61)와 후측 부재(62)를 일체로 연결했는데, 다른 예로서는, 후측 부재(62) 전단에 오목부를 마련함과 함께 그 오목부에 전측 부재(61)를 진퇴 가능하게 감합한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시예에 의하면, 볼펜 팁(2)에만 코일 스프링(40)을 마련했는데, 볼펜 팁(3)이나 볼펜 팁(4)에 대해서도 대략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여 코일 스프링(40)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볼펜 팁(1, 4)(도 1 및 도 15 참조)에서는, 수용 부재(30 또는 60)를 팁 본체(10)에 대하여 진퇴하지 않도록 감합했는데, 다른 예로서는, 수용 부재(30 또는 60)를 팁 본체(10)에 대하여 후퇴 불가능하게 또한 전진 가능하게 계합한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수용 부재(30 또는 60)의 전방으로의 이동은, 전사 볼(20)과의 당접에 의하여 규제되게 된다.
또, 볼펜 팁(5)(도 18∼도 21)에서는, 휨 억제 돌기(15)가 축소부(61a)의 측벽에 접촉하지 않고 근접하도록 치수 설정했는데, 다른 예로서는, 휨 억제 돌기(15)가 축소부(61a)의 측벽에 접촉하도록 치수 설정하고, 후방으로의 압압력에 의하여 축소부(61a)가 휨 억제 돌기(15)에 닿아 수축되는 양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볼펜 팁(5)(도 18∼도 21)은, 볼펜 팁(4)(도 15 참조)에 대하여 휨 억제 돌기(15)를 더한 구성으로 했는데, 다른 예로서는, 볼펜 팁(1)(도 1), 볼펜 팁(2)(도 9) 또는 볼펜 팁(3)(도 10)에 대하여, 휨 억제 돌기(15)를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1, 2, 3, 4, 5: 볼펜 팁
10, 10': 팁 본체
11: 볼 하우스
11a: 원통 형상 내주면
11a1: 내측 환 형상 돌기
11b: 각통 형상 내벽면
12: 잘록부
15: 휨 억제 돌기
15a: 전단면
15b: 잉크 유도홈
15c: 후단면
15d: 돌출 단면
20: 전사 볼
30, 50, 60: 수용 부재
31, 51a, 61a: 축소부
32, 52b, 62a: 지지 돌기
51, 61: 전측 부재
52, 62: 후측 부재
100: 필기구(볼펜)
120: 볼펜 리필
s1, s2: 간극
s3: 잉크 저류 공간

Claims (11)

  1. 내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대략 통 형상의 팁 본체와, 상기 팁 본체 내의 전단측(前端側)에 수용되고, 또한 외주면 전단측을 상기 팁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킨 전사(轉寫) 볼과, 상기 팁 본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전사 볼보다 후방측에 배치된 수용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전사 볼의 후반부측을, 상기 수용 부재의 전단부에 의해 수용하도록 한 볼펜 팁으로서,
    상기 수용 부재는, 그 전단측에, 전방을 향하여 서서히 단면적을 축소시킨 축소부를 가지며, 상기 축소부의 최전단부(最前端部)가 상기 전사 볼의 후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축소부보다 후측(後側)의 부분이 상기 팁 본체로 후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전사 볼로부터 압압력(押壓力)을 받았을 때에 탄성적으로 수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팁 본체의 내벽(內壁)에는, 상기 축소부의 측벽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상기 축소부의 휨을 억제하는 휨 억제 돌기가 설치되어 있는, 볼펜 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휨 억제 돌기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휨 억제 돌기의 사이가 전후 방향으로 연통(連通)되는 잉크 유도홈(誘導溝)으로 되어 있는, 볼펜 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본체 내의 전단측에는, 후퇴했을 때의 상기 전사 볼을 전단면에 의해 수용하는 잘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휨 억제 돌기는, 상기 잘록부의 전단면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볼펜 팁.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잘록부는, 수용한 상기 전사 볼을 상기 팁 본체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키도록, 그 전후 위치가 설정되어 있는, 볼펜 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가, 상기 축소부보다 후측에, 직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 돌기를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가지고, 이들 지지 돌기를, 팁 본체의 내벽면에 압접(壓接)시켜 후퇴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수용 부재가, 상기 축소부를 가지는 전측(前側) 부재와, 상기 지지 돌기를 가지는 후측 부재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볼펜 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부재가, 상기 전측 부재보다 내(耐)마모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볼펜 팁.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재가, 상기 후측 부재보다 탄성 변형되기 쉬운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볼펜 팁.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재가, 상기 팁 본체의 내주면에 느슨하게 감합(嵌合)된 상태에서 상기 전사 볼과 상기 후측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볼펜 팁.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재에는, 상기 축소부보다 후측의 외주부에, 전후 방향에 걸친 세로 리브(rib)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이들 세로 리브의 개수와, 상기 지지 돌기의 개수가 상이한, 볼펜 팁.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부재와 상기 후측 부재가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는, 볼펜 팁.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볼펜 팁을 포함하는 필기구.
KR1020170049603A 2016-06-09 2017-04-18 볼펜 팁 및 그 볼펜 팁을 구비한 필기구 KR102299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15657A JP6847595B2 (ja) 2015-12-01 2016-06-09 ボールペンチップ及び該ボールペンチップを具備した筆記具
JPJP-P-2016-115657 2016-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440A true KR20170139440A (ko) 2017-12-19
KR102299962B1 KR102299962B1 (ko) 2021-09-07

Family

ID=6093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603A KR102299962B1 (ko) 2016-06-09 2017-04-18 볼펜 팁 및 그 볼펜 팁을 구비한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375A (ko) * 2020-11-16 2023-06-21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볼펜 팁, 볼펜 리필 및 볼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9689A (ja) * 1998-05-18 1999-11-24 Kotobuki:Kk 先端ボール式先具構造
JP2004001246A (ja) 2002-05-31 2004-01-08 Pentel Corp ボールペン
JP2010125787A (ja) * 2008-11-28 2010-06-10 Zebra Pen Corp ボールペンチップ
JP2013184374A (ja) * 2012-03-07 2013-09-19 Pilot Corporation ボールペン及びボールペンの製造方法
JP2013252654A (ja) 2012-06-07 2013-12-19 Mitsubishi Pencil Co Ltd ボールペ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9689A (ja) * 1998-05-18 1999-11-24 Kotobuki:Kk 先端ボール式先具構造
JP2004001246A (ja) 2002-05-31 2004-01-08 Pentel Corp ボールペン
JP2010125787A (ja) * 2008-11-28 2010-06-10 Zebra Pen Corp ボールペンチップ
JP2013184374A (ja) * 2012-03-07 2013-09-19 Pilot Corporation ボールペン及びボールペンの製造方法
JP2013252654A (ja) 2012-06-07 2013-12-19 Mitsubishi Pencil Co Ltd ボールペ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375A (ko) * 2020-11-16 2023-06-21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볼펜 팁, 볼펜 리필 및 볼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962B1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104187A (ja) 長尺物繰り出し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筆記具
CN107487108B (zh) 圆珠笔头及具备该圆珠笔头的书写工具
KR20170139440A (ko) 볼펜 팁 및 그 볼펜 팁을 구비한 필기구
JP6690893B2 (ja) ボールペンチップ及び該ボールペンチップを具備した筆記具
EP3081387B1 (en) Ballpoint pen
US10155410B2 (en) Ballpoint pen chip and writing utensil equipped with the ballpoint pen chip
KR20060015299A (ko) 도포구용 팁의 제조방법
US6126350A (en) Writing utensil
JP2019010843A (ja) ボールペン
JP6637659B2 (ja) ボールペンチップ及び該ボールペンチップを具備した筆記具
KR20200123090A (ko) 샤프 펜슬
JP2019010844A (ja) ボールペン
JP2001191684A (ja) ノック式筆記具
JP6633363B2 (ja) ボールペンチップ及び該ボールペンチップの製造方法並びに該ボールペンチップを具備した筆記具
JP2023163178A (ja) ボールペンチップ、ボールペンレフィル及びボールペン
JP7479223B2 (ja) 筆記具
JP7261009B2 (ja) 筆記具
JP7215934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
JP2019181811A (ja) ボールペン
JP2024001989A (ja) 出没式筆記具
JP2022160764A (ja) ボールペン
JP2022160763A (ja) ボールペン
JP6320829B2 (ja) 筆記具
JP3286510B2 (ja) 複合筆記具における筆記機構
JP2020131468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並びに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