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715A -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 Google Patents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715A
KR20170138715A KR1020160070863A KR20160070863A KR20170138715A KR 20170138715 A KR20170138715 A KR 20170138715A KR 1020160070863 A KR1020160070863 A KR 1020160070863A KR 20160070863 A KR20160070863 A KR 20160070863A KR 20170138715 A KR20170138715 A KR 20170138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ross bar
common
loop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0106B1 (ko
Inventor
김태진
복거성
김황준
Original Assignee
메리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리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리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0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106B1/ko
Publication of KR2017013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지반에 복수개의 지주 비임(10)이 직립 설치되고, 상기 지주 비임(10)의 상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상부 골조바아(20)가 결합되고, 센터 브라켓(38)에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센터 브라켓(38)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가 배치되고, 상기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는 상기 지주 비임(10)과 상기 상부 골조바아(20) 및 상기 지반에 연결되어 다이아몬드 골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방음 터널이 시공되는 도로의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방음벽 골조;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방음벽 골조에 복수개의 루프 비임(150)의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루프 비임(150)들에는 다이아몬드 골조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양단부가 연결된 천정 골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Support frame for soundproof tunnel}
본 발명은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조의 구조를 다이아몬드 구조(일명 대각가새 구조)로 만들어 골조의 강재사용량을 30% 이상 절감한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에 관한 것이다.
신도시의 개발, 도로 및 철도의 광역망 확대 등으로 인해 고층아파트의 인접구간을 통과하는 교통소음의 증가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서, 소음을 차단 또는 흡수하기 위해 각종 차단벽 또는 흡음벽 등을 도로변에 설치하여 도로 내부의 소음이 건물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방음벽의 높이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방음터널의 적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방음터널은 도로의 양측면 및 상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도로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도로 내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행 소음 또한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종래에도 방음터널이 교통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방음터널은 중량 강재를 사용한 사각 구조로 일관되어 있어서 강재 사용량이 과다하고 직사각형의 연속무의로 운전자들에게 위압감을 주어 터널효과를 증대시키며 도시미관을 증진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하기가 어려운 형태로 되어 있다.
종래의 사각구조 방음터널에서는 하중을 전달하는 지주가 수직으로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X축과 Y축으로 휨 모멘트를 받고, Z축으로 압축력을 받으며, 이로 인하여, 방음터널의 구조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특히 방음 터널에서 방음벽 골조를 구성하는 지주가 수직으로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주에는 골조 바아들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너무 강하게 결합(Rigid combining)되어 있어서 풍력 등에 의한 외부 하중을 흡수하여 소멸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받게 되어서 방음터널의 구조가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88485호(2012.09.27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389111호(2014.04.18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2066호(2014.03.27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조의 구조를 다이아몬드 구조(일명 대각가새 구조)로 만들어 골조의 강재사용량을 30% 이상 절감할 수 있고, 풍력에 의한 하중과 같이 외부 하중에 대하여 강한 특성을 지니게 되어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새로운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골조의 구조(디자인)를 사각구조에서 다이아몬드 구조로 바꾸어서 휨 모멘트를 상쇄시킴으로써 강재 사용량을 절감하며 동시에 구조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반에 복수개의 지주 비임이 직립 설치되고, 상기 지주 비임의 상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상부 골조바아가 결합되고, 센터 브라켓에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센터 브라켓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가 배치되고, 상기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의 선단부는 상기 지주 비임과 상기 상부 골조바아 및 상기 지반에 브라켓을 통해 연결되어 다이아몬드 골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방음 터널이 시공되는 도로의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방음벽 골조;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방음벽 골조에 복수개의 루프 비임의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루프 비임들에는 다이아몬드 골조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의 양단부가 연결된 천정 골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가 제공된다.
골조의 구조가 다이아몬드 모양(일명 대각가세)으로 디자인되어 있어 하중전달경로 상에서 발생하는 휨모멘트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상쇄되어 골조 강재사용량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방음터널의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은 사하중, 설하중 및 풍하중으로 구성되며 지붕지주를 경로로 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수직지주에 전달되며, 이때 벽체를 구성하는 수직지주에 대하여 도로 종방향(X축) 휨모멘트를 다이아몬드 구조 골조에서 상쇄시키고 도로 횡방향(Y축) 휨모멘트는 지붕지주의 양단을 면결하여 상쇄시킴으로써 수직방향(Z축)의 하중만을 지반으로 전달하게 됨으로 작은 규격의 강재를 사용하더라도 안전한 방음터널을 건설할 수 있어 사업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직 지주는 지주 비임, 지붕 지주는 루프 비임이며, 사하중은 기울어지는 하중, 설하중은 천정에 눈이 쌓여서 생기는 무게에 의한 하중, 풍하중을 바람에 의한 하중인데, 이러한 모든 하중을 충분히 견디는 안정적인 터널 구조를 가지면서도 강재 사용량을 줄여서 저렴한 터널 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4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경량화 방음터널의 다이아몬드 골조의 사시도
도 5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된 DETAIL "A" 부분의 정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DETAIL "A" 부분의 측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DETAIL "A" 부분의 주요부 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도 1과 도 3에 도시된 DETAIL "A" 부분의 평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DETAIL "A-1" 부분의 정면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DETAIL "A-1" 부분의 측면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DETAIL "A-1" 부분의 평면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DETAL "C"부분의 평면도로서 루프 비임과 용마루의 연결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루프 비임과 용마루의 연결 상태를 천정 골조의 안쪽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루프 비임과 용마루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방음터널의 다른 주요부인 버팀목과 루프 비임 및 횡보강 바아의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방음벽 골조의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크로스 바아가 X자 형태로 배열된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의 센터 브라켓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DETAIL "G" 부분의 평면도
도 21은 도 3의 DETAIL "G" 부분을 천정 골조의 안쪽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22는 도 3의 DETAIL "G" 부분을 천정 골조의 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23은 도 1과 도 3에 도시된 DETAIL "G" 부분의 일부 확대된 사시도로서 루프 비임와 루프 크로스 바아 및 루프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루프 브라켓에 의해 루프 비임에 루프 크로스 바아가 결합된 상태를 천정 골조의 안쪽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5의 (a)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DETAIL "F-1" 부분의 정면도
도 25의 (b)는 도 25의 (a)의 평면도
도 26의 (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DETAL "F" 부분의 정면도
도 26의 (b)는 도 26 (a)의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경량화 방음터널에서 벽체와 지붕(방음벽 골조와 천정 골조)가 만나는 지점에서의 하중 분포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8은 벽체(방음벽 골조)에서의 하중 전달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9는 도 28의 P1 지점에서의 하중 분포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0은 도 28의 P2 및 P3 지점에서의 하중 분포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1은 도 28의 P4 지점에서의 하중 분포도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지주 비임(10)과 상부 골조바아(20) 및 기초대 블록(40)에 의해 외곽 방음벽 골조부가 형성되고, 센터 브라켓(38)에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센터 브라켓(38)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가 배치된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가 상기 외곽 방음벽 골조부에 연결된 방음벽 골조와, 도로의 양쪽에 수직 설치된 한 쌍의 방음벽 골조에 복수개의 루프 비임(150)의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루프 비임(150)들에는 다이아몬드 골조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양단부가 연결된 천정 골조를 포함한다.
상기 방음벽 골조는 지주 비임(10)과 상부 골조바아(20) 및 X자 형상으로 연결된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음벽 골조의 지주 비임(10)의 하단부는 도로 노면 바깥의 지반에 설치된 기초대 블록(40)에 지지되는데, 지반에 설치된 기초대 블록(40)과 두 개의 지주 비임(10)과 상부 골조바아(20)가 방음벽 골조의 외곽 방음벽 골조부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지주 비임(10)은 메인 지주 비임편(12)의 전후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프론트 지주 비임편(14)과 리어 지주 비임편(16)을 구비하여, 지주 비임(10)이 단면 I자 형강으로 구성된다. 프론트 지주 비임편(14)과 리어 지주 비임편(16) 사이에 메인 지주 비임편(12)을 기준으로 양쪽에 스페이스가 구비된다. 지주 비임(10)의 양쪽에 하나씩 스페이스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지주 비임(10)의 하단부에는 앵커링 베이스판이 구비된다. 앵커링 베이스판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지주 비임(10)의 하단부에 접합된다. 앵커링 베이스판은 지주 비임(10)의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지반의 표면과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지주 비임(10)은 도로의 노면 바깥에 있는 지반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도로 노면 바깥의 지반 위에 기초대 블록(40)을 시공하고, 기초대 블록(40) 위에 지주 비임(10) 하단부의 앵커링 베이스판을 앵커볼트에 의해 앵커링하여 도로 노면 바깥쪽의 지반에 지주 비임(10)을 수직 방향으로 세운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지주 비임(10)이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방음벽 골조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우 두 개의 지주 비임(10)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지주 비임(10)의 하단부에 접합된 앵커링 베이스판은 기초대 블록(40)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앵커볼트에 의해 기초대 블록(40)에 고정된다. 지주 비임(10)의 하단부에 접합된 앵커링 베이스판은 코너 앵커링 베이스판(42)이라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지주 비임(10)의 하단부에 구비된 앵커링 베이스판은 코너 앵커링 베이스판(42)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지주 비임(10)의 상단부에는 코너 탑브라켓(50)이 결합된다. 코너 탑브라켓(50)은 하부와 양단부가 연통된 단면 디귿자형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코너 탑브라켓(50)은 코너 탑브라켓편(52)과, 이러한 코너 탑브라켓편(52)의 전후단부에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코너 프론트 브라켓편(54) 및 코너 리어 브라켓편(56)을 포함하므로, 상기 코너 탑브라켓(50)이 하부와 양쪽으로 개방부를 구비한 단면 디귿자형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코너 탑브라켓편(52)은 지주 비임(10)의 상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코너 탑브라켓편(52)이 용접 등에 의해 지주 비임(10)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좌우 양쪽 한 쌍의 지주 비임(10) 상단부에 각각 하나씩 코너 탑브라켓(50)이 구비된다. 상기 코너 탑브라켓(50)의 코너 프론트 브라켓편(54)과 코너 리어 브라켓편(56)에는 체결구홀(BH)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체결구홀(BH)이 코너 프론트 브라켓편(54)과 코너 리어 브라켓편(56)에 구비된다.
상기 지주 비임(10)의 상단부에 상부 골조바아(20)가 결합된다. 상부 골조바아(20)는 수직 바아편(22)의 상하단부에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부 수평 바아편(24)과 하부 수평 바아편(26)을 구비하여 단면 디귿자 형상의 바아로 구성된다. 좌우 두 개의 지주 비임(10) 상단부에 구비된 두 개의 코너 탑브라켓(50) 위에 상부 골조바아(20)가 얹혀진다. 방음벽 골조의 정면에서 볼 때에 수직 바아편(22)이 뒤쪽(즉, 도로 노면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부 골조바아(20)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지주 비임(10) 상단부의 코너 탑브라켓(50)에 고정된다. 상부 골조바아(20)의 하부 수평 바아편(26)과 코너 탑브라켓(50)의 코너 탑브라켓편(52)에 볼트가 결합되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상부 골조바아(20)가 두 개의 좌우 코너 탑브라켓(50)을 매개로 좌우 두 개의 지주 비임(10) 상단부에 연결되어 수평하게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상부 골조바아(20)에는 코먼 탑브라켓(60)이 구비된다. 코먼 탑브라켓(60)은 하부와 양쪽이 연통된 단면 디귿자형 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코먼 탑브라켓(60)은 코먼 탑브라켓편(62)과, 이러한 코먼 탑브라켓편(62)의 전후단부에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64) 및 코먼 리어 브라켓편(66)을 포함하므로, 상기 코먼 탑브라켓(60)도 하부와 양쪽으로 개방부를 구비한 단면 디귿자형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코먼 탑브라켓편(62)은 상부 골조바아(20)에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된다.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는데, 코먼 탑브라켓(60)의 코먼 탑브라켓편(62)이 상부 골조바아(20)의 하부 수평 바아편(26)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코먼 탑브라켓편(62)과 하부 수평 바아편(26)에 볼트가 결합되고, 볼트에 너트가 결합되어 조여짐으로써 코먼 탑브라켓(60)이 상부 골조바아(20)에 고정된 구조를 취한다.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코먼 탑브라켓(60)이 상부 골조바아(20)에 고정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두 개의 좌우 코너 탑브라켓(50) 사이에 세 개의 코먼 탑브라켓(60)이 배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코먼 탑브라켓(60)에도 체결구홀(BH)이 구비된다. 코먼 탑브라켓(60)의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64) 및 코먼 리어 브라켓편(66)에 체결구홀(BH)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체결구홀(BH)이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64) 및 코먼 리어 브라켓편(66)에 구비된다.
상기 지주 비임(10)의 하부에는 코너 바텀 브라켓(70)이 결합된다. 코너 바텀 브라켓(7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두 개의 전후 코너 바텀 브라켓(70)이 지주 비임(10)의 전후방에 배치되며, 두 개의 전후 코너 바텀 브라켓(70)이 지주 비임(10)의 프론트 지주 비임편(14)과 리어 지주 비임편(16)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고, 전후 코너 바텀 브라켓(70)의 하단부는 상기 기초대 블록(40) 위에 앵커볼트로 고정된 코너 앵커링 베이스판(42)의 상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지주 비임(10)의 하단부가 코너 앵커링 베이스판(42)과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상기 기초대 블록(40)의 위에는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이 구비된다.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이 앵커볼트에 의해 기초대 블록(40)에 앵커링된다. 상기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은 전술한 코먼 탑브라켓(60)의 직하방 위치에 배치된다. 즉,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이 코먼 탑브라켓(60)과 동일 수직선 상에서 만나도록 상기 기초대 블록(40) 위에 앵커링되어 있다. 각각의 코먼 탑브라켓(60)의 아래쪽에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이 구비된다.
상기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에는 코먼 바텀 브라켓(120)이 구비된다. 코먼 바텀 브라켓(120)도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두 개의 전후 코먼 바텀 브라켓(120)이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 위에서 전후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두 개의 전후 코먼 바텀 브라켓(120)이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코먼 바텀 브라켓(120)이 기초대 블록(40) 위에 고정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두 개의 좌우 코너 바텀 브라켓(70) 사이에 세 개의 코먼 바텀 브라켓(120)이 배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도 체결구홀(BH)이 구비된다. 코먼 바텀 브라켓(120)의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64) 및 코먼 리어 브라켓편(66)에 체결구홀(BH)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체결구홀(BH)이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64) 및 코먼 리어 브라켓편(66)에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코먼 바텀 브라켓(120)은 각각의 코먼 탑브라켓(60)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기 방음벽 골조는 가운데의 센터 브라켓(80)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가 X자 형상으로 연결된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포함한다.
상기 센터 브라켓(80)은 X자 평철 구조를 취한다.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정확하게는 네 개의 크로스 바아(32))가 X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감안하여 센터 브라켓(80)이 X자형 평철 구조를 취하고 있다. 두 개의 전후 센터 브라켓(80)이 크로스 바아(32)의 전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센터 브라켓(80)에는 복수개의 체결구홀(BH)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크로스 바아(32)는 코먼 크로스 바아편(32A)의 전후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이 연결된 단면 I자 형강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면취(절취)된 제1방향 면취부(34)와, 수평 방향으로 면취(절취)된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된다. 상기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는 센터 브라켓(80)의 체결구홀(BH)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체결구 삽입홀(IH)이 구비된다.
상기 센터 브라켓(80)의 체결구홀(BH)과 크로스 바아(32)의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결합되고, 볼트에는 너트가 결합됨으로써 센터 브라켓(80)에 상부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와 하부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가 연결된다. 센터 브라켓(80)을 중심으로 네 개의 크로스 바아(32)가 X자 형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위쪽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와 아래쪽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가 센터 브라켓(80)을 기준으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되기 이전에 먼저 각각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 사이에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이 개재된다.
상기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은 상하 터치판부(92)와 수평 터치판부(94)가 직교하는 십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이 상하 터치판부(92)와 수평 터치판부(94)에 의해 사분면 공간부를 구비한다. 상기 사분면 공간부에 각각 X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가 들어와서 상하 터치판부(92)과 수평 터치판부(94)에 접촉된다. 각각의 크로스 바아(32)는 코먼 크로스 바아편(32A)의 전후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이 연결된 단면 I자 형강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면취(절취)된 제1방향 면취부(34)와, 수평 방향으로 면취(절취)된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각 크로스 바아(32)의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가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의 상하 터치판부(92)와 수평 터치판부(94)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센터 브라켓(80)과 크로스 바아(32)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우측 상부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는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의 제1사분면 공간부로 들어와서 상하 터치판부(92)와 수평 터치판부(94)에 상기 우측 상부의 크로스 바아(32)의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가 접촉되고, 좌측 상부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는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의 제2사분면 공간부로 들어와서 상하 터치판부(92)와 수평 터치판부(94)에 상기 좌측 상부의 크로스 바아(32)의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가 접촉되고, 좌측 하부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는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의 제3사분면 공간부로 들어와서 상하 터치판부(92)와 수평 터치판부(94)에 상기 좌측 하부의 크로스 바아(32)의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가 접촉되고, 우측 하부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는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의 제4사분면 공간부로 들어와서 상하 터치판부(92)와 수평 터치판부(94)에 상기 우측 하부의 크로스 바아(32)의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가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후 두 개의 센터 브라켓(80)의 체결구홀(BH)과 각각의 크로스 바아(32)의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를 삽입하고,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여, 센터 브라켓(80)과 각각의 크로스 바아(32)를 밀착 결합시키면, 네 개의 크로스 바아(32)가 X자 형상으로 연결되고, 두 개의 센터 브라켓(80) 사이와 각각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 사이에 십자형의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이 개재된 구조의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의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는 방음벽 골조를 구성하는 외곽 방음벽 골조부에 연결된다.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가 외곽 방음벽 골조부에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좌우 양끝의 엔드 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와 두 개의 코먼 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가 전술한 외곽 방음벽 골조부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방음벽 골조의 정면에서 볼 때에 4개 섹터의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가 구비되는데, 각각의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방음벽 골조의 좌측에서부터 우측을 따라 제1섹터 내지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라고 하면, 상기 제1섹터 내지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가 상기 외곽 방음벽 골조부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방음벽 골조의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각각의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제1섹터 내지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라고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와 외곽 방음벽 골조부 사이의 연결>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상부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 중에서 한쪽(좌측)의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는 좌측의 코너 탑브라켓(50)에 체결수단(볼트와 너트로 체결수단이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체결수단 대신에 볼트와 너트로 칭함)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코너 탑브라켓(50)의 코너 프론트 브라켓편(54)과 코너 리어 브라켓편(56)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한쪽의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끼워지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좌측 코너 탑브라켓(50)에 한쪽 상부의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코너 탑브라켓(50)을 통해서 상부 골조바아(20)에 연결된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들과 지주 비임(10) 사이의 이음부에 개재된 코너 탑 메탈터치 평형판(100)을 구비한다. 코너 탑 메탈터치 평형판(100)은 방음벽 골조의 좌우 양쪽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한쪽(좌측)의 코너 탑 메탈터치 평형판(100)은 코터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코너 탑 상하 터치판부(104)(92)가 기역자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너 탑 수평 터치판부(142)(102)(94)와 코너 탑 상하 터치판부(104)(92)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방음벽 골조의 지주 비임(10) 및 상부 골조바아(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한쪽(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코너 탑 메탈터치 평형판(100)의 코너 탑 터치판부는 상기 한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와 상기 상부 골조바아(20) 사이에 개재되어, 한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제2방향 면취부(36)가 코너 탑 터치판부의 저면에 접촉(터치)되고, 상기 코너 탑 메탈터치 평형판(100)의 코너 탑 상하 터치판부(104)(92)는 상기 한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와 좌측 지주 비임(10)의 안쪽면 사이에 개재되어, 한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상기 코너 탑 상하 터치판부(104)(92) 안쪽면에 접촉(터치)된다. 즉, 한쪽(좌측)의 코너 탑 메탈터치 평형판(100)이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한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상부 골조바아(20) 및 한쪽의 지주 비임(10)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한다.
한편, 다른 쪽의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는 코먼 탑브라켓(60)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상기 코먼 탑 브라켓을 제1-2섹터 코먼 탑브라켓(60)이라 하면, 상기 제1-2섹터 코먼 탑브라켓(60)의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64) 및 코먼 리어 브라켓편(66)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다른 쪽(우측)의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끼워지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상기 제1-2섹터 코먼 탑브라켓(60)에 다른 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섹터 크로스 바아(32) 어셈블의 다른 쪽(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는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에 접촉된다.
상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은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탑 수직 터치판부(144)가 티자형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을 제1-2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이라 하면, 상기 제1-2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탑 상하 터치판부(92)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방음벽 골조의 상부 골조바아(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의 저면에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상기 우측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가 접촉(터치)되고, 상기 제1-2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직 터치판부(144)의 한쪽 면에는 상기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접촉(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두 개의 하부 크로스 바아(32) 중에서 한쪽의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하단부)는 좌측의 코너 바텀 브라켓(70)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한쪽 코너 바텀 브라켓(7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전후 코너 바텀 브라켓(70)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지주 비임(10)에 접합되고, 두 개의 코너 바텀 브라켓(70)의 하단부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코너 앵커링 베이스판(42)의 상면에 접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데, 두 개의 코너 바텀 브라켓(70)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한쪽의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끼워지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좌측 코너 바텀 브라켓(70)에 한쪽(좌측) 하부의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한쪽(좌측)의 지주 비임(10)과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 사이에 개재된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과 다른 쪽(우측)의 지주 비임(10)과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 사이에 개재된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을 구비한다.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은 방음벽 골조의 좌우 양쪽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데, 한쪽(좌측)의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의 하단부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상기 좌측 코너 앵커링 베이스판(42)의 상면에 고정되고 동시에 한 쌍의 전후 코너 바텀 브라켓(70)에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의 전후단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상기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이 한쪽 지주 비임(10)과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한쪽(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하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한쪽(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에는 상기 한쪽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접촉(터치)되고, 상기 한쪽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는 기초대 블록(40)에 고정되어 있는 코너 앵커링 베이스판(42)의 상면에 접촉(터치)된다. 즉, 한쪽(좌측)의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이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한쪽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한쪽의 지주 비임(10)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한다.
한편, 다른 쪽의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는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코먼 바텀 브라켓(12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을 제1-2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이라 하면, 상기 제1-2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의 하단부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이를 제1-2섹터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이라 함)의 상면에 접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두 개의 전후로 나란한 제1-2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은 기초대 블록(40) 위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데,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다른 쪽(우측)의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하단부)는 제1-2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제1-2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다른 쪽(우측)의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끼워지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다른 쪽 하부의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코먼 바텀 브라켓(120)을 통해서 기초대 블록(40) 위의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 사이의 이음부에 개재된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을 구비한다.
상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고정되고 동시에 한 쌍의 전후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전후단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상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을 제1-2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라 하면, 상기 제1-2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때, 제1-2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은 역 티자형으로 이루어져 기초대 블록(40) 위의 앵커링 베이스판 위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음)의 한쪽 면에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다른 쪽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접촉된다. 상기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다른 쪽(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도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한쪽 면에는 상기 다른 쪽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접촉(터치)되고, 상기 다른 쪽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는 기초대 블록(40)에 고정되어 있는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이를 제1-2섹터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이라 함)의 상면에 접촉(터치)된다. 즉, 제1-2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다른 쪽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기초대 블록(40)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한다.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와 외곽 방음벽 골조부 사이의 연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상부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 중에서 한쪽(좌측)의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는 상부 골조바아(20)에 고정된 상기 제1-2섹터 코먼 탑브라켓(60)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상기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된 상기 코먼 탑브라켓(60)을 제1-2섹터 코먼 탑브라켓(60)이라 할 수 있는데, 상기 제1-2섹터 코먼 탑브라켓(60)의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64)과 코먼 리어 브라켓편(66)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한쪽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끼워지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제1-2섹터 코먼 탑브라켓(60)에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섹터 크로스 바아(32) 어셈블의 한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는 상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에 접촉된다.
상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은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탑 수직 터치판부(144)가 티자형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을 제1-2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이라 하면, 상기 제1-2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탑 상하 터치판부(92)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방음벽 골조의 상부 골조바아(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한쪽(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도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평 터치판부(142)(94)는 상기 한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와 상기 상부 골조바아(20) 사이에 개재되어, 한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제2방향 면취부(36)가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의 저면에 접촉(터치)되고, 상기 제1-2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직 터치판부(144)는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와 상기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제1방향 면취부(3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제1방향 면취부(34)와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제1방향 면취부(34)가 상기 탑 수직 터치판부(144)의 양면에 각각 접촉(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 골조바아(20)와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 선단부 및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 선단부 사이에 상기 제1-2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행판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이다.
한편, 다른 쪽(우측)의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는 상기 코먼 탑 브라켓의 옆에 있는 다른 코먼 탑 브라켓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상기 다른 코먼 탑브라켓(60)을 제2-3섹터 코먼 탑브라켓(60)이라 하면, 제2-3섹터 코먼 탑브라켓(60)의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64) 및 코먼 리어 브라켓편(66)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다른 쪽(우측)의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끼워지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옆에 있는 제2-3섹터 코먼 탑브라켓(60)에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다른 쪽(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섹터 크로스 바아(32) 어셈블의 다른 쪽(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는 다른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에 접촉된다.
상기 다른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도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탑 수직 터치판부(144)가 티자형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다른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을 제2-3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이라 하면, 상기 제2-3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탑 상하 터치판부(92)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방음벽 골조의 상부 골조바아(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도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2-3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의 저면에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상기 우측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가 접촉(터치)되고, 상기 제2-3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직 터치판부(144)의 한쪽 면에는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접촉(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하부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 중에서 한쪽(좌측)의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하단부)는 기초대 블록(40)의 위에 구비된 다른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상기 다른 코먼 바텀 브라켓(120)도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른 코먼 바텀 브라켓(120)을 제1-2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이라 하면, 제1-2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전후로 나란한 두 개의 제1-2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의 하단부가 기초대 블록(40) 위의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 위에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기 두 개의 제1-2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 사이로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들어온 상태에서 두 개의 제1-2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끼워지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다른 코먼 탑브라켓(60), 다시 말해, 제1-2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한쪽(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후 두 개의 제1-2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전후단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기초대 블록(40) 위에 앵커링된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에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하단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되어 있다.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연결을 위한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고정되고 동시에 한 쌍의 전후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전후단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데, 상기 제1-2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다른 쪽 면에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한쪽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접촉된다.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도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다른 쪽 면에는 상기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접촉(터치)되고, 상기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는 기초대 블록(40)에 고정되어 있는 제1-2섹터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접촉(터치)된다. 즉,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설명할 때 언급한 제1-2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크로스 바아(32) 선단부와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크로스 바아(32) 선단부 및 기초대 블록(40)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하부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 중에서 다른 쪽(우측)의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하단부)는 기초대 블록(40)의 위에 구비된 다른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상기 다른 코먼 바텀 브라켓(120)도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두 개의 전후로 나란한 코먼 바텀 브라켓(120)을 제2-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이라 하면, 상기 제2-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의 하단부가 기초대 블록(40) 위의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 위에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기 두 개의 제2-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 사이로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들어온 상태에서 상기 제2-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의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64)과 코먼 리어 브라켓편(66)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끼워지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다른 코먼 탑브라켓(60)에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을 통해서 기초대 블록(40) 위에 연결된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는 제2-3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에 접촉된다.
상기 제2-3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고정되고 동시에 한 쌍의 전후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전후단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데, 상기 제2-3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한쪽 면에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접촉된다.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도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2-3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한쪽 면에는 상기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접촉(터치)되고, 상기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는 기초대 블록(40)에 고정되어 있는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접촉(터치)된다. 즉,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설명할 때 언급한 제1-2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옆에 다른 제2-3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제2-3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때, 제2-3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은 역 티자형으로 이루어져 기초대 블록(40) 위의 앵커링 베이스판 위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음)이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크로스 바아(32) 선단부 및 기초대 블록(40)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한다.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와 외곽 방음벽 골조부 사이의 연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상부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와 하부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가 외곽 방음벽 골조에 연결되는 방식은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각 크로스 바아(32)가 외곽 방음벽 골조부에 연결되는 방식과 동일하다.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상부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 중에서 한쪽(좌측)의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는 상부 골조바아(20)에 고정된 상기 제2-3섹터 코먼 탑브라켓(60)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된 상기 코먼 탑브라켓(60)을 제2-3섹터 코먼 탑브라켓(60)이라 할 수 있는데, 상기 제2-3섹터 코먼 탑브라켓(60)의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64)과 코먼 리어 브라켓편(66)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한쪽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끼워지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제2-3섹터 코먼 탑브라켓(60)에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3섹터 크로스 바아(32) 어셈블의 한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도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에 접촉된다.
상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은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탑 수직 터치판부(144)가 티자형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을 제2-3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이라 하면, 상기 제2-3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탑 상하 터치판부(92)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방음벽 골조의 상부 골조바아(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한쪽(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도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2-3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평 터치판부(142)(94)는 상기 한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와 상기 상부 골조바아(20) 사이에 개재되어, 한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제2방향 면취부(36)가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의 저면에 접촉(터치)되고, 상기 제2-3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직 터치판부(144)는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와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제1방향 면취부(3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제1방향 면취부(34)와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제1방향 면취부(34)가 상기 탑 수직 터치판부(144)의 양면에 각각 접촉(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 골조바아(20)와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 선단부 및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 선단부 사이에 상기 제2-3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행판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이다.
한편, 다른 쪽(우측)의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는 상기 코먼 탑 브라켓의 옆에 있는 또 다른 코먼 탑 브라켓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이러한 또 다른 코먼 탑브라켓(60)을 제3-4섹터 코먼 탑브라켓(60)이라 하면, 제3-4섹터 코먼 탑브라켓(60)의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64) 및 코먼 리어 브라켓편(66)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다른 쪽(우측)의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끼워지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옆에 있는 제3-4섹터 코먼 탑브라켓(60)에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다른 쪽(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섹터 크로스 바아(32) 어셈블의 다른 쪽(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는 또 다른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에 접촉된다.
상기 또 다른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도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탑 수직 터치판부(144)가 티자형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다른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을 제3-4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이라 하면, 상기 제3-4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탑 상하 터치판부(92)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방음벽 골조의 상부 골조바아(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도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3-4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의 저면에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상기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가 접촉(터치)되고, 상기 제3-4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직 터치판부(144)의 한쪽 면에는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접촉(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하부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 중에서 한쪽(좌측)의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하단부)는 기초대 블록(40)의 위에 구비된 다른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상기 다른 코먼 바텀 브라켓(120)도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른 코먼 바텀 브라켓(120)을 제2-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이라 하면, 제2-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전후로 나란한 두 개의 제2-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의 하단부가 기초대 블록(40) 위의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 위에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기 두 개의 제2-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 사이로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들어온 상태에서 두 개의 제2-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끼워지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다른 코먼 탑브라켓(60), 다시 말해, 제2-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한쪽(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후 두 개의 제3-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전후단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기초대 블록(40) 위에 앵커링된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에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하단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되어 있다.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연결을 위한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고정되고 동시에 한 쌍의 전후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전후단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데, 상기 제2-3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다른 쪽 면에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한쪽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접촉된다.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도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2-3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다른 쪽 면에는 상기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접촉(터치)되고, 상기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는 기초대 블록(40)에 고정되어 있는 제2-3섹터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접촉(터치)된다. 즉,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설명할 때 언급한 제2-3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 선단부와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 선단부 및 기초대 블록(40)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하부 두 개의 크로스 바아(32) 중에서 다른 쪽(우측)의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하단부)는 기초대 블록(40)의 위에 구비된 다른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된다. 상기 다른 코먼 바텀 브라켓(120)도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두 개의 전후로 나란한 코먼 바텀 브라켓(120)을 제3-4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이라 하면, 상기 제3-4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의 하단부가 기초대 블록(40) 위의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 위에 용접 등으로 접합되고, 상기 두 개의 제3-4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 사이로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들어온 상태에서 상기 제3-4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의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64)과 코먼 리어 브라켓편(66)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32B)과 리어 크로스 바아편(32C)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가 끼워지고, 볼트에는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으로써 다른 코먼 탑브라켓(60)에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3섹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을 통해서 기초대 블록(40) 위에 연결된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상단부)는 제3-4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에 접촉된다.
상기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도 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고정되고 동시에 한 쌍의 전후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전후단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데, 상기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한쪽 면에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가 접촉된다.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도 제1방향 면취부(34)와 제2방향 면취부(36)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한쪽 면에는 상기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접촉(터치)되고, 상기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는 기초대 블록(40)에 고정되어 있는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접촉(터치)된다. 즉, 제2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설명할 때 언급한 제2-3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옆에 다른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때,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도 역 티자형으로 이루어져 기초대 블록(40) 위의 앵커링 베이스판 위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음)이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크로스 바아(32) 선단부 및 기초대 블록(40)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한다.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와 외곽 방음벽 골조부 사이의 연결>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상부 크로스 바아(32)와 하부 크로스 바아(32)는 제3섹터 크로스 바아(32)의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와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가 연결된 제3-4코먼 탑 브라켓과 제3-4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볼트와 너트로 연결되고,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와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와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 사이에는 각각 제3-4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과 제3-4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 개재된다.
상기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와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는 제1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와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와 마찬가지로 우측의 코너 탑 브라켓과 코너 바텀 브라켓(70)에 볼트와 너트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코너 탑 메탈터치 평형판(100)은 방음벽 골조의 다른 쪽(우측) 지주 비임(10)과 다른 쪽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하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은 방음벽 골조의 다른 쪽(우측) 지주 비임(10)과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하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의 전후단부에 한 쌍의 센터 브라켓(80)이 배치되어, 상기 센터 브라켓(80)과 X자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전후단부에 코먼 탑브라켓(60)이 배치되어, 코먼 탑브라켓(60)과 서로 이웃한 상측 크로스 바아(32)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코너 탑 메탈터치 평형판(100)의 전후단부에 코너 탑브라켓(50)이 배치되어, 코너 탑브라켓(50)과 상측 크로스 바아(32)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전후단부에 코먼 바텀 브라켓(120)이 배치되어, 코먼 바텀 브라켓(120)과 서로 이웃한 하측 크로스 바아(32)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의 전후단부에 코너 바텀 브라켓(70)이 배치되어, 코너 바텀 브라켓(70)과 하측 크로스 바아(32)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은, 상하 터치판부(92)와 수평 터치판부(94)가 직교하는 십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 터치판부(92)와 수평 터치판부(94)가 X자 형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들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3-4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은,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탑 상하 터치판부(92)가 티자형으로 연결되어,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탑 상하 터치판부(92)가 서로 이웃한 상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즉, 상기 제3-4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의 한쪽 저면에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상기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가 접촉(터치)되고, 상기 제3-4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직 터치판부(144)의 한쪽 면에는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접촉(터치)되는 한편, 상기 제3-4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의 다른 쪽 저면에는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가 접촉(터치)되고, 상기 제3-4섹터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의 탑 수직 터치판부(144)의 다른 쪽 면에는 상기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의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접촉(터치)된다. 따라서,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설명할 때 언급한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상부 크로스 바아(32) 선단부와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상부 크로스 바아(32) 선단부 및 상부 골조바아(20)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코너 탑 메탈터치 평형판(100)은, 코터 탑 수평 터치판부(142)(94)와 코너 탑 상하 터치판부(104)(92)가 기역자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너 탑 수평 터치판부(142)(102)(94)와 코너 탑 상하 터치판부(104)(92)가 상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방음벽 골조의 지주 비임(10) 및 상부 골조바아(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3-4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은 서로 이웃한 하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즉, 상기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도 판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고정되고 동시에 한 쌍의 전후 코먼 바텀 브라켓(120)에 전후단부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데, 상기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한쪽 면에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에 형성된 수직 방향 제1방향 면취부(34)가 접촉되고, 상기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는 기초대 블록(40)에 고정되어 있는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접촉(터치)되는 한편, 상기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에 형성된 수직 방향의 제1방향 면취부(34)는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다른 쪽 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수평 방향 제2방향 면취부(36)는 기초대 블록(40)에 고정되어 있는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44)의 상면에 접촉(터치)된다. 따라서, 제3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를 설명할 때 언급한 제2-3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옆에 다른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이때, 제3-4섹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도 역 티자형으로 이루어져 기초대 블록(40) 위의 앵커링 베이스판 위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음)이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좌측 크로스 바아(32) 선단부 및 기초대 블록(40) 사이에 개재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은 제4섹터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30)의 우측 하부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방음벽 골조의 상기 지주 비임(10) 사이에 개재된다.
정리하면, 상기 방음벽 골조는 복수개의 지주 비임(10)과 상부 골조바아(20) 및 기초대 블록(40)으로 이루어진 외곽 방음벽 골조부에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가 경사지게 연결되어 다이아몬드 골조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이아몬드 골조 구조의 방음벽 골조가 지반에 지지되어 수직 설치된 구조를 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들이 방음벽 골조의 정면에서 볼 때에 좌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X자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방음벽 골조의 위 아래를 기준으로 가운데에 복수개의 다이아몬드형 공간부가 형성되고 가운데 다이아몬드형 공간부의 위쪽에는 역삼각형 공간부가 형성되고 가운데 다이아몬드형 공간부의 아래쪽에는 삼각형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음벽 골조가 다이아몬드 골조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한 구조의 방음벽 골조가 도로 노면 바깥의 좌우측 지반에 수직 방향으로 하나씩 직립 설치된다. 도로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하나씩 두 개의 방음벽 골조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며, 상기 한 쌍의 수직 방향 방음벽 골조에 천정 골조가 연결된다. 상기 천정 골조 시공단계에서 천정 골조가 한 쌍의 방음벽 골조에 연결되도록 시공한다.
상기 천정 골조는 루프 비임(150)과 루프 크로스 바아(160)를 포함한다. 또한, 천정 골조는 횡보강 바아(180)와 버팀목(19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루프 비임(150)의 양단부는 도로의 노면 바깥쪽 좌우 지반 위에 수직 설치된 한 쌍의 방음벽 골조에 연결된다. 루프 비임(150)은 도로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정확하게는 루프 비임(150)이 도로의 좌우 폭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복수개의 나란한 루프 비임(150)이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루프 비임(150)은 메인 루프 비임편(15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어퍼 루프 비임편(154)과 로워 루프 비임편(156)이 구비된 단면 I자 형강으로 구성된다. 루프 비임(150)은 도로의 좌우 폭 방향을 따라 아치형으로 연장된다. 즉, 루프 비임(150)이 아치형 비임 구조를 이룬다. 도로의 노면을 수평면이라 하면 루프 비임(150)이 도로의 노면 위쪽에서 상부로 볼록한 아치형 비임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루프 비임(150)의 양단부는 커넥션 브라켓(155)과 체결수단에 의해 도로 양쪽의 방음벽 골조에 연결된다. 이때,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다. 또한, 커넥션 브라켓(155)은 단면 기역자 브라켓 형상이다. 즉, 커넥션 브라켓(155)은 루프 비임(150)의 메인 루프 비임편(152)에 접촉된 횡브라켓편(155A)과, 이 횡브라켓편(155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음벽 골조를 구성하는 상부 골조바아(20)의 수직 바아편(22)에 접촉되는 종브라켓편(155B)을 구비한 단면 기역자 브라켓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음벽 골조의 상부 골조바아(20)에는 커넥션 브라켓(155)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두 개의 커넥션 브라켓(155)의 종브라켓편(155B)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부 골조바아(20)의 수직 바아편(22)에 고정된다. 두 개의 커넥션 브라켓(155)의 각각의 횡브라켓편(155A)은 루프 비임(150)의 메인 루프 비임편(152)이 들어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의 스페이스를 확보한 상태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두 개의 커넥션 브라켓(155) 셋트가 방음벽 골조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 골조바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루프 비임(150)이 결합될 위치마다 상기 커넥션 브라켓(155) 셋트가 상부 골조바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것이다.
상기 루프 비임(150)의 메인 루프 비임편(152)이 커넥션 브라켓(155) 셋트의 각 횡브라켓편(155A) 사이에 확보된 스페이스로 들어오고, 상기 두 개의 횡브라켓편(155A)과 메인 루프 비임편(152)에 공통으로 볼트가 결합되고, 볼트에는 너트가 결합되어 조여진다. 커넥션 브라켓(155) 셋트의 각각의 횡브라켓편(155A)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메인 루프 비임편(152)에 형성된 체결구홀(BH)에 공통으로 볼트가 결합되고, 볼트에는 너트가 조여짐으로써, 상기 아치형의 루프 비임(150)이 도로의 양쪽에 세워져 있는 좌우 방음벽 골조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아치형 루프 비임(150)이 도로의 노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각각의 루프 비임(150)의 양단부는 도로 양쪽의 상부 골조바아(20)의 수직 바아편(22)에 접촉되고, 루프 비임(150)의 양단부측 저면은 지주 비임(10)의 상단부에 결합된 코먼 탑브라켓(60)과 코너 탑브라켓(50)의 상면에 접촉된다. 천정 골조에서 도로의 노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가는 방향을 전후 폭 방향이라 하면, 가장 앞쪽의 프론트 루프 비임(150)과 가장 뒤쪽의 리어 루프 비임(150)의 양단부측 저면은 코너 탑브라켓(50)의 상면에 접촉되고, 프론트 루프 비임(150)과 리어 루프 비임(150) 사이에 배치된 코먼 루프 비임(150)의 양단부측 저면은 코먼 탑브라켓(60)의 상면에 접촉된다.
상기 루프 비임(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루프 브라켓(170)이 구비된다. 이때, 루프 브라켓(170)은 상부 브라켓편(172)과 상하 연장 브라켓편(174)을 포함한다. 상부 브라켓편(172)은 루프 비임(150)의 어퍼 루프 비임편(154)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 연장 브라켓편(174)은 루프 비임(150)의 메인 루프 비임편(152)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루프 브라켓(170)이 루프 비임(150)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며, 루프 브라켓(170)의 상하 연장 브라켓편(174)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루프 비임(150)의 메인 루프 비임편(152)에 형성된 체결구홀(BH)에 동시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여 조여주면, 상기 루프 브라켓(170)이 루프 비임(150)에 고정된다. 복수개의 루프 브라켓(170)이 루프 비임(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 브라켓편(172)에는 두 개의 벌어지는 슬롯(173)이 형성된다. 상부 브라켓편(172)의 좌우 측단부 사이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할 때에 두 개의 슬롯(173)이 삼각 형상으로 벌어진 구조를 취한다. 다시 말해, 루브 브라켓의 상부 브라켓편(172)의 위에서 볼 때에 좌우 측단부 사이의 중심선에 대해 두 개의 슬롯(173)이 벌어져 있는 구조이다. 상기 상부 브라켓편(172)에서 상하 연장 브라켓편(174)이 연결된 단부를 전단부라 하고, 상기 전단부와 반대되는 단부를 후단부라 하면, 상기 두 개의 슬롯(173)이 상부 브라켓편(172)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점점 벌어진 구조이다. 상기 슬롯(173)들은 상부 브라켓편(172)의 상하면과 후단부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브라켓편(172)의 저면에는 슬롯(173)의 양쪽이나 한쪽에 배치되도록 결착 연결편(176)이 더 구비될 수 있고, 결착 연결편(176)에는 체결구홀(BH)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서로 이웃한 루프 비임(150)을 기준으로 할 때에 루프 브라켓(170)은 서로 어긋난 위치에 구비된다. 천정 골조의 위에서 볼 때에 가로 방향을 열방향이라 하고 세로 방향을 행방향이라 가정하면, 제1행 루프 비임(150)에 고정된 루프 브라켓(170)은 제2행 루프 비임(150)에 고정된 루프 브라켓(170)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1행 루프 비임(150)에 고정된 각각의 루프 브라켓(170)이 제2형, 제4형, 제6열과 같이 짝수 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행 루프 비임(150)에 고정된 각각의 루프 브라켓(170)은 제1열, 제3열, 제5열과 같이 홀수 열에 배치되므로, 서로 이웃한 루프 비임(150)의 각각의 루프 브라켓(170)들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루프 브라켓(170) 중에서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한쪽 단부와 루프 비임(150)의 한쪽 단부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엔드 루프 브라켓(170)은 그 상부 브라켓편(172)에 경사진 슬롯(173)이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천정 루프의 위에서 볼 때에 세로 방향을 행 방향이라 가정하면, 제2행 루프 비임(150)의 양쪽 단부와 양쪽 가장 끝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한쪽 단부가 인접하는데, 상기 제2행 루프 비임(150)에 고정된 엔드 루프 브라켓(170)은 그 상부 브라켓편(172)에 경사진 슬롯(173)이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행 루프 비임(150)의 양쪽 단부와 양쪽 가장 끝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한쪽 단부가 인접하는데, 상기 제4행 루프 비임(150)에 고정된 엔드 루프 브라켓(170)은 그 상부 브라켓편(172)에 경사진 슬롯(173)이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행 루프 비임(150)과 제4행 루프 비임(150)의 메인 루프 비임편(152)의 양면에 하나씩 두 개의 엔드 루프 브라켓(170)이 고정된다. 두 개의 엔드 루프 브라켓(170)의 각각의 상하 연장 브라켓편(174)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제2행 루프 비임(150)과 제4행 루프 비임(150)의 메인 루프 비임편(152)에 형성된 체결구홀(BH)에 공통으로 볼트가 결합되고 볼트에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두 개의 엔드 루프 브라켓(170)편이 제2행 루프 비임(150)과 제4행 루프 비임(150)의 메인 루프 비임편(152)의 양면에 고정된다. 한편, 제2행 루프 비임(150)과 제4행 루프 비임(150)의 양면에 배치된 각각의 엔드 루프 브라켓(170)편의 각 슬롯(173)은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경사 배열 위치에 맞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천정 골조의 위에서 볼 때에 제2행 루프 비임(150)의 한쪽 면에 고정된 엔드 루프 브라켓(170)의 슬롯(173)이 우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2행 루프 비임(150)의 다른 쪽 면에 고정된 다른 엔드 루프 브라켓(170)의 슬롯(173)은 우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복수개의 루프 비임(150)에는 복수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가 연결된다. 루프 크로스 바아(160)는 상하 루프 크로스 바아편(162)과, 이 상하 루브 크로스 바아편(32A)의 상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상부 루프 크로스 바아편(164)을 구비한다. 루프 크로스 바아(160)가 상하 루프 크로스 바아편(162)과 상부 루프 크로스 바아편(164)에 의해 단면 T자형 바아 구조를 취한다.
두 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가 한쪽 단부끼리는 모아지고 다른 쪽 단부는 벌어진 삼각형 배열 상태에서 두 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각각의 상하 루프 크로스 바아편(162)이 상기 루프 브라켓(170)의 경사지게 벌어진 슬롯(173)에 끼워지고, 두 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벌어진 다른 단부, 다시 말해, 상하 루프 크로스 바아편(162)의 다른 단부는 맞은편 루프 비임(150)에 구비된 두 개의 루프 브라켓(170)의 각 슬롯(173)에 끼워진다.
한편, 상기 엔드 루프 브라켓(170)의 경사진 슬롯(173)에는 양단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부가 방음벽 골조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가장자리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상하 루프 크로스 바아편(162)이 끼워져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천정 골조의 위에서 볼 때에 제2행 루프 비임(150)과 제4행 루프 비임(150)의 양단부에 한쪽 단부가 인접한 양쪽 가장자리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상하 루프 크로스 바아편(162)이 엔드 루프 브라켓(170)의 경사진 슬롯(173)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가 삼각형으로 벌어지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루프 비임(150) 사이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상하부를 루프 비임(150)의 어퍼 루프 비임편(154)과 로워 루프 비임편(156)이 지지하므로, 루프 크로스 바아(160)가 루프 비임(150)에서 위아래로 이탈되는 경우는 방지된다. 즉, 상기 루프 비임(150)에는 루프 브라켓(170)이 구비되고, 상기 루프 브라켓(170)에는 루프 비임(150)이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 경사 배열 슬롯(173)이 형성되고, 상기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상하 루프 크로스 바아편(162)이 루프 브라켓(170)의 경사 배열 슬롯(173)에 삽입됨으로써, 복수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가 두 개의 마주하는 루프 비임(15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상부 브라켓편(172)의 저면에는 슬롯(173)의 양쪽이나 한쪽에 배치되도록 결착 연결편(176)이 더 구비되고, 결착 연결편(176)에는 체결구홀(BH)이 구비되어, 상기 결착 연결편(176)의 체결구홀(BH)과 상기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상하 루프 크로스 바아편(162)에 형성된 체결구 삽입홀(IH)에 동시에 볼트를 끼우고,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여 조여줌으로써 루프 비임(150)에 고정된 루프 브라켓(170)에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양단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벌어진 루프 크로스 바아(160)를 루프 크로스 바아(160) 셋트라 하면, 이러한 루프 크로스 바아(160) 셋트가 두 개의 마주하는 루프 비임(150)에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천정 골조의 위에서 볼 때에 복수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가 루프 비임(15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천정 골조가 트러스 골조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천정 골조의 상부에서 볼 때에 두 개의 나란한 루프 비임(150) 사이의 구간마다 삼각형 공간부와 역삼각형 공간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들이 두 개의 나란한 루프 비임(15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천정 골조가 트러스 골조로 형성된 것이다. 삼각형의 밑변을 공통으로 하여 가운데의 루프 비임(15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된 위치에 배치된 두 개의 삼각형 공간부를 합치면 다이아몬드형 공간부가 되어서, 상기 천정 골조도 다이아몬드 골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루프 비임(150)에 연결된 복수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는 제1방향 경사 루프 크로스 바아(160) 그룹과 제2방향 경사 루프 크로스 바아(160)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제1방향 경사 루프 크로스 바아(160) 그룹과 제2방향 경사 루프 크로스 바아(160) 그룹이 루프 비임(150)의 좌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길이 방향 기준선에 대해 각각 우측과 좌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열된 상태에서 루프 비임(150)에 연결됨으로써 천정 골조가 트러스 골조로 형성될 수 있다. 천정 골조가 다이아몬드 골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정리하면, 상기 루프 비임(150)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천정 골조의 상부에서 볼 때에 서로 나란한 두 개의 루프 비임(150)들 사이에 두 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가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루프 크로스 바아(160) 셋트로 형성되고, 상기 루프 크로스 바아(160) 셋트는 루프 비임(150)의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천정 골조의 전후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 셋트가 구비되며, 상기 천정 골조의 전후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루프 크로스 바아(160) 셋트의 각 루프 크로스 바아(160)는 천정 골조의 상부에서 볼 때에 서로 대칭되는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루프 비임(150)들에 연결되어, 천정 골조의 위에서 볼 때에 루프 크로스 바아(160) 셋트들에 의해 트러스 골조가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방음벽 골조의 수직 설치된 지주 비임(10)에는 수평 골조바아가 연결되고, 상기 수평 골조바아에는 횡보강 바아(180)의 양단부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방음벽 골조의 외고가 방음벽 골조부를 구성하는 수평 골조바아에는 루프 비임(150)이 연결되는 위치마다 각각 코너 탑브라켓(50)과 코먼 탑브라켓(60)이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코너 탑브라켓(50)과 코먼 탑브라켓(60)에는 횡보강 행거 브라켓이 고정된다.
상기 횡보강 행거 브라켓은 지주 비임(10)의 상하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 행거 브라켓편(186A)과, 이 수직 행거 브라켓편(186A)의 상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행거 브라켓편(186B)을 구비하여, 단면 T자형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횡보강 행거 브라켓의 수직 행거 브라켓편(186A)과 수평 행거 브라켓편(186B)의 일부가 각각 코너 탑브라켓(50)과 코먼 탑브라켓(6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접합된다. 횡보강 행거 브라켓의 수평 행거 브라켓편(186B)은 루프 비임(150)의 하부에서부터 아래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횡보강 행거 브라켓의 수평 행거 브라켓편(186B)과 루프 비임(150)의 로워 루프 비임편(156) 사이에 일정 간격의 횡보강 바아(180) 삽입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상기 횡보강 바아(180)는 상하 횡보강 바아편(182)과, 상하 횡보강 바아편(182)의 상하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된 어퍼 횡보강 바아편(183) 및 로워 횡보강 바아편(184)을 구비한다. 횡보강 바아(180)가 단면 I자 형강으로 구성된다.
상기 횡보강 바아(180)의 양단부에는 상향 경사지게 절취된 결합 면취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면취부에는 사각판 형상의 횡보강 연결 브라켓(186)이 구비된다. 횡보강 연결 브라켓(186)은 용접 등의 방식으로 횡보강 바아(180)의 결합 면취부에 접합될 수 있다. 횡보강 연결 브라켓(186)은 루프 비임(150)의 로워 루프 비임편(156)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횡보강 바아(180)의 양단부측 일부가 횡보강 행거 브라켓의 수평 행거 브라켓편(186B)과 루프 비임(150)의 로워 루프 비임편(156) 사이에 확보된 횡보강 바아(180) 삽입 스페이스로 들어와서 횡보강 연결 브라켓(186)에 횡보강 바아(180)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횡보강 연결 브라켓(186)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루프 비임(150)의 로워 루프 비임편(156)에 형성된 체결구홀(BH)에 동시에 볼트를 끼우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조여주면, 상기 횡보강 연결 브라켓(186)이 루프 비임(150)의 아래에 고정되므로, 상기 횡보강 바아(180)의 양단부가 루프 비임(150)의 양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횡보강 바아(180)는 루프 비임(150)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로 루프 비임(150)을 아래에서 받쳐준다. 횡보강 바아(180)는 천정 골조의 좌우 양쪽 방향(좌우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루프 비임(150)은 천정 골조의 전후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루프 비임(150)의 양쪽 단부측 저면에는 곡면부가 구비되고, 루프 바임의 곡면부는 지주 비임(10)의 상단부에 결합된 코먼 탑브라켓(60)과 코너 탑브라켓(50)의 상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루프 바임의 양쪽 단부측 저면에 구비된 곡면부가 지주 비임(10)의 상단부에 결합된 코먼 탑브라켓(60)과 코너 탑브라켓(50)의 상면에 접촉된다. 상기 곡면부로 인하여 루프 비임(150)이 코먼 탑브라켓(60)과 코먼 탑브라켓(60) 위에서 끌릴 때에 접촉 하중 마찰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횡보강 바아(180)와 루프 비임(150) 사이에는 버팀목(190)이 연결된다. 버팀목(190)은 일정 두께의 금속 바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부 버팀목 브라켓(192)과 하부 버팀목 브라켓(194)과 체결수단에 의해 버팀목(190)이 횡보강 바아(180)와 루프 비임(15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버팀목 브라켓(192)은 콘택트 브라켓편(CB)과, 이 콘택트 브라켓편(CB)에 연결되어 하향 연장된 상부 버팀 브라켓편(192A)을 구비하며, 두 개의 상부 버팀목 브라켓(192) 셋트가 루프 비임(150)에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가 되는데, 두 개의 상부 버팀목 브라켓(192) 셋트의 각각의 콘택트 브라켓편(CB)이 루프 비임(150)의 로워 루프 브라켓(170)편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콘택트 브라켓편(CB)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루프 비임(150)의 로워 루프 비임편(156)에 형성된 체결구홀(BH)에 동시에 볼트를 끼우고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면 두 개의 상부 버팀목(190) 셋트가 루프 비임(150)의 아래에 고정된다. 이때, 두 개의 상부 버팀목 브라켓(192)의 각 상부 버팀 브라켓편(192A) 사이는 벌어져 있어서 상부 버팀목 삽입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두 개의 상부 버팀목 브라켓(192)의 각 상부 버팀 브라켓편(192A)에는 체결구홀(BH)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횡보강 바아(180)에는 하부 버팀목 브라켓(194)이 구비된다. 하부 버팀목 브라켓(194)은 콘택트 브라켓편(CB)과, 이 콘택트 브라켓편(CB)에 연결된 상향 연장된 하부 버팀 브라켓편(194A)을 구비하며, 두 개의 하부 버팀목 브라켓(194) 셋트가 횡보강 바아(180)에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가 되는데, 두 개의 하부 버팀목 브라켓(194) 셋트의 각각의 콘택트 브라켓편(CB)이 횡보강 바아(180)의 어퍼 횡보강 바아편(183)에 접촉되어 얹혀진 상태에서 하부 버팀목 브라켓(194)의 콘택트 브라켓편(CB)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횡보강 바아(180)의 어퍼 횡보강 바아편(183)에 형성된 체결구홀(BH)에 동시에 볼트를 끼우고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면 두 개의 하부 버팀목(190) 셋트가 루프 비임(150)의 아래에 고정된다. 이때, 두 개의 하부 버팀목 브라켓(194)의 각 하부 버팀 브라켓편(194A) 사이는 벌어져 있어서 하부 버팀목 삽입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두 개의 하부 버팀목 브라켓(194)의 각 하부 버팀 브라켓편(194A)에도 체결구홀(BH)이 구비된다.
상기 버팀목(190)의 상하단부가 상부 버팀목 브라켓(192) 셋트에 확보된 상부 버팀목 삽입 스페이스와 하부 버팀목 브라켓(194) 셋트에 확보된 하부 버팀목 삽입 스페이스에 끼워진 다음, 상기 상부 버팀 브라켓편(192A)과 하부 버팀 브라켓편(194A)에 형성된 체결구홀(BH)과 상기 버팀목(190)에 형성된 체결구홀(BH)에 동시에 볼트를 끼운 다음,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조여주면, 상기 버팀목(190)에 의해 횡보강 바아(180)와 루프 비임(150)이 서로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루프 비임(150)들 사이에 배치된 용마루(200)를 포함한다. 용마루(200)는 복수개의 루프 비임(150)들 중에서 대략 코먼에 있는 두 개의 루프 비임(150)들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루프 비임(150)들의 메인 루브 비임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마루 브라켓을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하고, 상기 용마루 브라켓에는 체결구홀(BH)을 형성하고, 용마루(200)는 메인 용마루편(202)의 상하단부에 어퍼 용마루편(203)과 로워 용마루편(204)을 구비한 단면 I자 형상으로 구성하고, 용마루(200)의 메인 용마루편(202) 양단부 인접 부분에 체결구홀(BH)을 형성하여, 상기 용마루(200)의 체결구홀(BH)과 상기 루프 비임(150)에 고정된 용마루 브라켓의 체결구홀(BH)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볼트를 끼우고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용마루(200)를 천정 골조에서 필요한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용마루(200)는 방음벽 골조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한편, 용마루 브라켓은 용접 등의 방식으로 루프 비임(15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용마루(200)는 천정 골조의 각 부분의 연결 구조를 보다 강하게 버티도록 하는 하중 지지력을 가지도록 하므로, 천정 골조가 용마루(200)에 의해 보다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고, 천정 골조에 연결된 방음벽 골조의 구조도 보다 견고해지도록 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상기 방음벽 골조와 천정 골조가 시공된 상태에서 천정 골조에 방음판(210)이 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음판(210)은 전면판(212)과 흡음재(214)와 반사판(21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골조의 구조, 특히, 방음벽 골조의 구조를 사각구조에서 다이아몬드 구조로 바꾸어서 휨모멘트를 상쇄시켜 강재사용량을 절감하며 동시에 구조의 안정성을 높이는 방음터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터널은 방음벽을 구성하는 지주, 다시 말해, 지주 비임(10)과 크로스 바아(32)가 다이아몬드 구조(대각가새 형태)로 결합되어 있고 지붕을 구성하는 루프 크로스 바아(160)(중도리)도 다이아몬드 구조(트러스 구조)로 되어 있으며, 루프 비임(150)(지붕 지주)의 양단을 방음벽 골조에 연결하고, 루프 비임(150)들 사이에는 상기 다이아몬드 구조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양단부가 연결된 트러스를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부재간의 접촉면은 평철로 제작한 평형판을 삽입하여 하중을 전달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부재라 함은 상기 방음벽 골조의 외곽 방음벽 골조부를 형성하는 지주 비임(10)과 상부 골조바아(20)와 기초대 블록(40)에 설치된 코너 바텀 브라켓(70)과 코먼 바텀 브라켓(120)과 상기 크로스 비임을 의미하며, 상기 평형판은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 코너 탑 메탈터치 평형판(100),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을 의미한다.
또한, 평형판과 부재사이에는 평철로 제작한 와셔를 삽입하여 부재의 제작 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와셔라 함은 크로스 비임을 방사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센터 브라켓(80)과 크로스 바아 사이에 에 개재되는 일정 두께의 판을 의미한다. 와셔는 센터 브라켓(80)에 용접 등으로 접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하중 전달 및 강재 사용량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1. 벽체와 지붕이 만나는 지점에서의 하중 분포가 도 33에 도시되어 있다. 벽체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음벽을 의미하고, 지붕은 방음천정을 의미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에 가해지는 하중(사하중, 절하중, 풍하중)은 벽체와 접하는 지점에서 WT의 하중을 벽체에 전달한다. 이때, 휨 모멘트 M이 벽체에 가해진다.
2. 벽체(방음벽 골조)에서의 하중 전달 과정이 도 34에 도시되어 있다.
(1) P1 지점
총하중(WT)이 Pl 지점에서 부재 A와 부재 B로 균분되어 전달되며 각각의 힘은 1/2WT/Cosθ 가 된다. 여기서 θ는 부재의 경사각이다. 한편, 부재라 함은 방음벽 골조의 크로스 바아(32)를 의미한다.
이때, 부재 A에 발생하는 시계방향 휨모멘트 MA 라 부재 B에 발생하는 반시계방향 휨모멘트 MB는 동일한 크기이나 정반대 방향이므로 서로 상쇄된다.
(2) P2 지점, P3 지점
P2 지점에서의 하중은 P3 지점에서의 하중과 동일하며 지붕의 총하중, 벽체 상부의 사하중 그리고 풍하중으로 구성되며 벽체의 설하중은 계산하지 않는다.
W2 = Wl + Wa + Ww
여기서 Wa = 벽체 상부의 사하중
Ww = 벽체 상부의 풍하중
(3) P4 지점
P4 지점에서의 하중은 1/2W2와 1/2 W3의 합력과 벽체하부의 사하중 그리고 풍하중으로 구성되며 설하중은 계산하지 않는다.
W4 = (1/2W2 + 1/2W3) + Wa' + Ww'
여기서 Wa' = 벽체 하부의 사하중
Ww' = 벽체 하부의 풍하중
이때, 부재 C에 발생하는 시계방향 휨모멘트 MC 와 부재 D에 발생하는 반시계방향 휨모멘트 MC는 동일한 크기이나 정반대 방향이므로 서로 상쇄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 방음벽 골조의 크로스 바아(32)가 센터 브라켓(80)을 매개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되고, X자 연결 크로스 브라켓은 외곽 방음벽 골조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하중이 방음벽 골조에 작용하더라도 크로스 비임에서의 상쇄 작용 및 크로스 비임과 외곽 방음벽 골조부 사이의 하중 상쇄 작용 내지 하중 분산 작용으로 인하여 방음벽 골조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천정 골조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도 루프 비임(150)에 다이아몬드 골조를 이루도록 연결되어, 방음벽 골조에서와 같이 하중 분산 내지 하중 상쇄 작용을 인하여 천정 골조에서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다이아몬드 방음터널은 종래의 사각구조 방음터널에 비하여 강재 사용량이 30 퍼센트 정도 절감되며, 강재 사용량 절감이 있으면서도 하중이 상쇄되므로 구조적으로 기존에 비하여 매우 안정화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강구조 이음매에서 메탈터치를 효율화시키는 메탈터치 평형판과 보조판을 채용하는 것이 주요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때, 보조판은 방음벽 골조의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를 X자 형상으로 연결하는 평철 형상의 센터 브라켓(80)을 의미한다.
철골구조물에서 기둥 이음부는 축력이 스플라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고장력 볼트이음과 용접이음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압축력이 이음면의 직접접촉(Metal Touch)으로 전달되는 방법도 허용되고 있으며 이때는 소요압축력 및 소요휨모멘트의 각각 25%를 접촉면에서 직접 전달시킬 수 있다.
기둥의 메탈터치 이음방법은 기둥의 이음재료 및 연결재료 절약하여 경제적 설계가 가능하며 용접이음 시 발생하는 강재의 변형, 잔류응력 발생 우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메탈터치용 평형판은 간단한 모양의 평철로서 기둥 이음부와 기둥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길이대비 폭이 좁은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직접접촉방식을 상부 플랜지와 평판 그리고 평판과 하부 플랜지의 직접접촉방식으로 바꾸어 준다. 이때, 기둥은 방음벽 골조의 지주 비임(10)을 의미하고,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는 지주 비임(10)의 리어 지주 비임편(16)과 프론트 지주 비임편(14)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메탈터치 평형판은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과, 코너 탑 메탈터치 평형판(100)과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140)과,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과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을 의미한다. 이때,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과 기초대 블록(40) 위의 코너 바텀 앵커링 베이스판이 메탈터치 평형판 기능을 하고,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과 기초대 블록(40) 위의 코먼 바텀 앵커링 베이스판이 메탈터치 평형판 기능을 하게 된다.
메탈터치용 평현판의 장점은 플랜지와 평판의 접촉방식을 개선함으로써 기둥 이음면의 마무리가 용이해지며, 기둥설치와 보 정렬과정에서 메탈터치면이 이격될 우려가 없으며, 기둥 이음면의 정밀도가 일반적인 수준이므로 추가비용이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메탈터치 평형판을 구현한 실례로서 대각가새(Dia Grid)의 연결부에 십자형상의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을 사용하는데, 상기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을 대각가세 연결부, 다시 말해, X자 배열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에 삽입함으로써 직접접촉방식을 상부 플랜지와 평판 그리고 평판과 하부 플랜지의 직접접촉방식으로 바꾸어 준다. 이때, 상부 플랜지는 크로스 바아(32)의 프론트 바아편과 리어 바아편을 의미하고 평판은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의 네 개의 분기된 터치판부를 의미한다.
따라서, 기둥에서의 축압력의 전달을 극대화하며 좌측과 우측의 기둥, 다시 말해, 좌측과 우측의 지주 비임(10)과 X자형 결합 구조의 크로스 비임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서로 상쇄시킴으로써 설계가 단순해지고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해진다.
또한, 기둥 길이가 제작상의 오차로 좌우가 비대칭일 경우 평형판과 기둥이 만나는 지점에 평판모양의 보조판을 삽입함으로써 간단하게 좌우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여기서, 기둥은 크로스 비임을 의미하고, 보조판은 대략 십자 평철 형상의 센터 브라켓(80)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X자 배열 크로스 바아(32)를 연결하는 센터 브라켓(80)에 의해 크로스 바아(32)의 제작시 길이 오차를 상쇄시키므로 방음터널 시공시 편리한 등의 효과를 거두게 된다. 즉, 크로스 바아(32)의 체결구홀(BH)의 직경과 센터 브라켓(80)의 체결구홀(BH)의 직경을 볼트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체결구홀(BH)들에 볼트가 삽입되어 결합될 때에, 상기 크로스 바아(32)의 제작시 길이 오차가 있더라도 상기 볼트를 기준으로 상기 센터 브라켓(80)과 크로스 바아(32)들이 상기 체결구홀(BH)들의 여유 홀 공간에 의해 적당하게 이동이 가능하므로, 조립 공차를 줄이면서도 방음터널 시공시에 편리한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결구홀(BH)들의 직경이 예를 들어 볼트의 직경보다 2mm 정도 더 크게 하면, 크로스 비임 자체 체결구홀(BH)의 여유 2mm 공간과 센터 브라켓(80)의 자체 체결구홀(BH)의 여유 2mm 공간만큼 총 4mm 정도의 공차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방음터널 시공시에 조립 공차를 줄이면서도 시공은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루프 비임(150)에 루프 브라켓(170)을 설치하고, 루프 브라켓(170)의 슬롯(173)에 루프 크로스 바아(160)를 끼워넣는 방식으로 루프 비임(150)과 루프 크로스 바아(160)를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방음터널의 천정 골조를 시공하기가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지주 비임 12. 메인 지주 비임편
14. 프론트 지주 비임편 16. 리어 지주 비임편
20. 상부 골조바아 22. 수직 바아편
24. 상부 수평 바아편 26. 하부 수평 바아편
30.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 32. 크로스 바아
32A. 코먼 크로스 바아편 32B. 프론트 크로스 바아편
32C. 리어 크로스 바아편 34. 제1방향 면취부
36. 제2방향 면취부 40. 기초대 블록
42. 코너 앵커링 베이스판 44. 코먼 앵커링 베이스판
46. 코먼 바텀 브라켓 50. 코너 탑브라켓
52. 코너 탑 브라켓편 54. 코너 프론트 브라켓편
56. 코너 리어 브라켓편 60. 코먼 탑브라켓
62. 코먼 탑브라켓편 64. 코먼 프론트 브라켓편
66. 코먼 리어 브라켓편 70. 코너 바텀 브라켓
80. 센터 브라켓 90.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
92. 상하 터치판부 94. 수평 터치판부
100. 코너 탑 메탈터치 평형판 102. 코너 탑 수평 터치판부
104. 코너 탑 상하 터치판부 110.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
120. 코먼 바텀 브라켓 130.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
140. 코먼 탑 메탈터치 평형판 142. 탑 수평 터치판부
144. 탑 수직 터치판부 150. 루프 비임
152. 메인 루프 비임편 153. 어퍼 루프 비임편
154. 로워 루프 비임편 155. 커넥션 브라켓
155A. 횡브라켓편 155B. 종브라켓편
160. 루프 크로스 바아 162. 상하 루프 크로스 바아편
164. 상부 루프 크로스 바아편 170. 루프 브라켓
172. 상부 브라켓편 173. 슬롯
174. 상하 연장 브라켓편 175. 결착 연결편
180. 횡보강 바아 182. 상하 횡보강 바아편
183. 어퍼 횡보강 바아편 184. 로워 횡보강 바아편
185. 횡보강 연결 브라켓 186. 횡보강 행거 브라켓
186A. 수직 행거 브라켓편 186B. 수평 행거 브라켓편
190. 버팀목 192. 상부 버팀목 브라켓
CB. 콘택트 브라켓편 192A. 상부 버팀 브라켓편
194. 하부 버팀목 브라켓 194A. 하부 버팀 브라켓편
200. 용마루 202. 메인 용마루편
203. 어퍼 용마루편 204. 로워 용마루편

Claims (14)

  1. 지반에 복수개의 지주 비임(10)이 직립 설치되고, 상기 지주 비임(10)의 상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상부 골조바아(20)가 결합되고, 센터 브라켓(38)에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센터 브라켓(38)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가 배치되고, 상기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는 상기 지주 비임(10)과 상기 상부 골조바아(20) 및 상기 지반에 연결되어 다이아몬드 골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방음 터널이 시공되는 도로의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방음벽 골조;
    상기 도로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방음벽 골조에 복수개의 루프 비임(150)의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루프 비임(150)들에는 다이아몬드 골조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양단부가 연결된 천정 골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 골조의 정면에서 볼 때에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가 상기 센터 브라켓(38)을 기준으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음벽 골조가 다이아몬드 골조로 형성되고, 상기 천정 골조의 위에서 볼 때에 상기 복수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가 X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천정 골조가 다이아몬드 골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브라켓(38)을 중심으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된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는 상기 방음벽 골조의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방음벽 골조가 복수개의 X자 형상의 크로스 바아 섹터(30)를 포함하며, 상기 X자 형상으로 연결된 상기 루프 크로스 바아(160)는 상기 천정 골조의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어 상기 천정 골조가 복수개의 X자 형상의 루프 크로스 바아 섹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 섹터(30)는 상기 센터 브라켓(38)을 중심으로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가 연결되어 X자 형상의 골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 섹터(30) 중에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두 개의 상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는 코먼 탑브라켓(60)을 통해 상기 방음벽 골조의 상부 골조바아(20)에 연결되고, 좌우 양쪽 끝단의 상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는 코너 탑브라켓(50)에 의해 상기 방음벽 골조의 상부 골조바아(20)에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두 개의 하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는 코먼 바텀 브라켓(120)을 통해 지반에 연결되고, 좌우 양쪽 끝단의 하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는 코너 바텀 브라켓(70)에 의해 상기 방음벽 골조의 좌우 양쪽 지주 비임(10)과 상기 지반에 동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브라켓(38)을 중심으로 X자 형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들 사이의 이음부에 개재된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 상기 코먼 탑브라켓(60)을 통해서 연결된 크로스 바아(32)와 상기 방음벽 골조의 상기 상부 골조바아(20) 사이의 이음부에 개재된 코먼 탑메탈터치 평형판(140), 상기 코너 탑브라켓(50)을 통해서 연결된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들과 상기 지주 비임(10) 사이의 이음부에 개재된 코너 탑메탈터치 평형판(100), 상기 코먼 바텀 브라켓(120)을 통해서 연결된 크로스 바아(32)와 상기 지반 사이의 이음부에 개재된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 상기 코너 바텀 브라켓(70)을 통해서 연결된 크로스 바아(32)와 상기 지주 비임(10) 및 상기 지반 사이의 이음부에 개재된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은, 상하 터치판부(92)와 수평 터치판부(94)가 직교하는 십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 터치판부(92)와 상기 수평 터치판부(94)가 상기 X자 형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들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코먼 탑메탈터치 평형판(140)은, 코먼 수평 터치판부(142)와 코먼 수직 터치판부(144)가 티자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먼 수평 터치판부(142)와 코먼 수직 터치판부(144)가 서로 이웃한 상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코너 탑메탈터치 평형판(100)은, 코터탑 수평 터치판부(102)와 코너 탑 상하 터치판부(104)가 기역자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너탑 수평 터치판부(102)와 코너탑 상하 터치판부(104)가 상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상기 방음벽 골조의 상기 지주 비임(10) 및 상기 상부 수평바아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은 서로 이웃한 하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은 하측 크로스 바아(32)의 선단부와 상기 방음벽 골조의 상기 지주 비임(10)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의 전후단부에 한 쌍의 센터 브라켓(38)이 배치되어, 상기 센터 브라켓(38)과 상기 X자 형상으로 배열된 상기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코먼 탑메탈터치 평형판(140)의 전후단부에 코먼 탑브라켓(60)이 배치되어, 상기 코먼 탑브라켓(60)과 상기 서로 이웃한 상측 크로스 바아(32)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코너 탑메탈터치 평형판(100)의 전후단부에 코너 탑브라켓(50)이 배치되어, 상기 코너 탑브라켓(50)과 상기 상측 크로스 바아(32)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의 전후단부에 코먼 바텀 브라켓(120)이 배치되어, 상기 코먼 바텀 브라켓(120)과 상기 서로 이웃한 하측 크로스 바아(32)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의 전후단부에 코너 바텀 브라켓(70)이 배치되어, 상기 코너 바텀 브라켓(70)과 상기 하측 크로스 바아(32)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은, 상기 상하 터치판부(92)와 수평 터치판부(94)에 의해 4사분면 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4사분면 공간부에 각각 상기 X자 형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크로스 바아(32)의 기단부가 들어와서 상기 상하 터치판부(92)과 수평 터치판부(94)에 접촉되며, 상기 상하 터치판부(92)와 상기 수평 터치판부(94)에는 가이드핀이 더 구비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아(32)들의 양단부에는 제1방향 면취부와 제2방향 면취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방향 면취부와 상기 제2방향 면취부가 상기 센터 메탈터치 평형판(90)과 상기 코먼 탑메탈터치 평형판(140)과 상기 코너 탑메탈터치 평형판(100)과, 상기 코먼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30)과, 상기 코너 바텀 메탈터치 평형판(110)에 각각 터치(접촉)되어 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크로스 바아(32)의 전후 방향으로 연통된 체결구홀과 상기 센터 브라켓(38)과 상기 코먼 탑브라켓(60)과 상기 코너 탑브라켓(50)과 상기 코먼 바텀 브라켓(120)과 상기 코너 바텀 브라켓(70)에 구비된 체결구 삽입홀에 동시에 끼워져 결합된 볼트;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아(32)들의 체결구 삽입홀과 상기 브라켓들의 체결구홀의 직경은 상기 볼트의 외경보다 더 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비임(150)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천정 골조의 상부에서 볼 때에 서로 나란한 두 개의 루프 비임(150)들 사이에 두 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160)이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루프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로 형성되고, 상기 루프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는 상기 루프 비임(150)의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천정 골조의 전후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루프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상기 천정 골조의 전후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루프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의 각 루프 크로스 바아(160)는 상기 천정 골조의 상부에서 볼 때에 서로 대칭되는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루프 비임(150)들에 연결되어, 상기 천정 골조의 위에서 볼 때에 상기 루프 크로스 바아 어셈블리들에 의해 다이아몬드 골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비임(150)은 상기 천정 골조의 정면에서 볼 때에 아치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루프 비임(150)의 양단부는 도로의 양쪽에 직립 설치된 방음벽 골조의 상부 골조바아(20)에 접촉 지지되고, 상기 상부 골조바아(20)에 상기 루프 비임(150)이 루프 브라켓(170)과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방음벽 골조의 수직 설치된 지주 비임(10)에는 횡보강 바아(180)의 양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횡보강 바아(180)는 상기 루프 비임(150)의 하부에 접촉되어 상기 루프 비임(150)을 아래에서 받쳐주고, 상기 횡보강 바아(180)에는 상기 루프 비임(150)의 아래에 접촉되는 횡보강 연결 브라켓(185)이 구비되고, 상기 횡보강 연결 브라켓(185)과 상기 루프 비임(150)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루프 비임(150)의 아래에서 상기 횡보강 바아(180)가 상기 루프 비임(15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비임(150)은 상기 천정 골조의 전후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루프 비임(150)의 양쪽 단부측 저면에는 곡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곡면부는 상기 지주 비임(10)의 상단부에 결합된 코먼 탑브라켓(60)과 코너 탑브라켓(50)의 상면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비임(150)에는 루프 브라켓(170)이 구비되고, 상기 루프 브라켓(170)에는 상기 루프 비임(150)이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열된 슬롯(173)이 형성되고, 상기 루프 크로스 바아(160)는 상하 루프 크로스 바아편(162)의 상단부에 상부 루프 크로스 바아편(164)이 구비된 단면 티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루프 브라켓(170)의 상기 경사 배열 슬롯에 상기 루프 크로스 바아(160)의 상기 상하 루프 크로스 바아편(162)이 삽입되며, 상기 루프 비임(150)에 상기 루프 크로스 바아(160)가 루프 브라켓(170)과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KR1020160070863A 2016-06-08 2016-06-08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KR101810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863A KR101810106B1 (ko) 2016-06-08 2016-06-08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863A KR101810106B1 (ko) 2016-06-08 2016-06-08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715A true KR20170138715A (ko) 2017-12-18
KR101810106B1 KR101810106B1 (ko) 2017-12-22

Family

ID=6092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863A KR101810106B1 (ko) 2016-06-08 2016-06-08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066B1 (ko) 2020-03-10 2021-03-03 (주)지온컨텍 방음터널용 트러스 헌치 아치형 골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792B1 (ko) * 2011-06-30 2012-11-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새 접합구조물
KR101188485B1 (ko) * 2011-09-30 2012-10-08 테크스타 코리아 주식회사 경량 방음터널
JP6099961B2 (ja) * 2012-12-18 201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106B1 (ko)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539B1 (ko) 유니트건물과 그 구축방법
JP4931490B2 (ja) 構面補強構造及び構面の補強方法
KR101975774B1 (ko) 복공판 일체형 합성거더, 이를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72469B1 (ko) 브래킷을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 이에 의한 모듈러 시스템 시공방법 및 모듈러 시스템
KR101707409B1 (ko) 경량화 방음터널 시공법 및 이에 의한 경량화 방음터널
KR101810106B1 (ko)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JP5362310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2252648B1 (ko) 철골구조물용 빔의 조립구조
KR101547540B1 (ko) 이형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h형강 빔
CN111155709B (zh) 一种装配式屋架体系
EP2729637B1 (en) Lattice member and self-supporting modular structure
KR20090067923A (ko) 대각가새의 접합구조
CN215106032U (zh) T字型钢框架及装配式建筑
CN211369159U (zh) 一种带约束边缘节点模块的装配式剪力墙
CN110748039A (zh) 一种带约束边缘节点模块的装配式剪力墙
JP4964528B2 (ja) 鉄骨造建物の床架構および同床架構の建築構法
KR101761647B1 (ko) 강구조 기둥부의 메탈터치 이음을 위한 평형판 어셈블리
JP4772308B2 (ja) ユニット建物の構築方法
CN215715982U (zh) 一种钢筋混凝土梁柱的抗震性结构
JP4249104B2 (ja) 梁の補強構造及び梁の補強工法
JP4449891B2 (ja) ユニット建物
JP6286164B2 (ja) 架構構造
JP2524409B2 (ja) 軸組、パネル工法の家屋
CN220486223U (zh) 一种桥梁支撑结构及桥梁
KR100627233B1 (ko) 댐퍼기능을 갖는 철골구조물용 접합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