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7035A - 플러그인 연결 장치 및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연결 장치 및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7035A
KR20170137035A KR1020177018850A KR20177018850A KR20170137035A KR 20170137035 A KR20170137035 A KR 20170137035A KR 1020177018850 A KR1020177018850 A KR 1020177018850A KR 20177018850 A KR20177018850 A KR 20177018850A KR 20170137035 A KR20170137035 A KR 20170137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lug
annular groove
retention
chamf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스 브레트베크
디터 프랑크
모르텐 제르케
프랑크 포겔장
토르스텐 웨버
Original Assignee
바브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브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브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37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3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placed around the spigot end before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품을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지며, 제1 부분에 배열된 제1 환형 홈에는 제1 홈 윤곽을 갖고, 제2 부분에 배열된 제2 환형 홈에는 제2 홈 윤곽을 갖되,
- 제2 환형 홈에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배열된 탄성 연결 장치 요소를 통해,
- 제1 위치(P1)에서 서로에 대해 리텐션 위치를 가질 수 있고,
- 특히 작동을 위해 제공되는 제2 위치(P2)로 축 방향(A)으로 움직일 수 있되, 제2 위치(P2)는 실링 체결 위치이다.

Description

플러그인 연결 장치 및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 {PLUG-IN CONNEC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EPARING A PLUG-IN CONNECTION ARRANGEMENT}
본 발명은 구성품(component)을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우징, 특히 모터 하우징 및 특히 공장 측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때때로 처음에 공장 측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닫아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한편으로는 추후 사용에 필요한 구성품이 추후 조립 시까지 연결되지 않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장치의 일부가 보호되도록 의도되기 때문이다.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이러한 공장 측 닫음은 추가적인 운송 고정 요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제품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다.
연결 장치의 두 구성품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된 방법은 와이어 스냅 링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서 스프링 스틸의 슬로팅된 링은 삽입되도록 의도된 구성품의 홈으로 도입된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스냅 링은 삽입될 구성품의 홈보다 약간 더 큰 환형 직경을 가져야 하는데, 특히 이에 의하면 실링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두 구성품이 경사진 도입 부재를 통해 연결될 때, 링이 휘어져 마지막 위치에서 홀의 반대 홈(counter-groove)에 끼이게 되는데, 여기서 압박이 다시 해제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그 자체로도 적합하지만, 만약 연결 장치와 함께 형성된 구성품이 작동하도록 의도되면, 와이어 스냅 링이 특정한 적용을 위해 다시 제거되거나 교체되어야 하기 때문에 더 개선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플러그인 연결 장치 및 특히 공장 측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플러그인 연결 장치에 대해 공지된 방안들을 개선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실링되도록 의도되고, 특히 작동 중 실링된 연결 장치를 필요로 하는 구성품을 작동하기에 적합한 개선된 플러그인 연결 장치 및 특히 공장 측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이 제공되도록 의도된다.
본 목적은 청구항 1의 플러그인 연결 장치에 의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와 관련된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반적인 양상으로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가지며, 제1 부분에 배열된 제1 환형 홈에는 제1 홈 윤곽을 갖고, 제2 부분에 배열된 제2 환형 홈에는 제2 홈 윤곽을 갖되,
- 제2 환형 홈에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배열된 탄성 연결 장치 요소를 통해,
- 제1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리텐션 위치를 가질 수 있고,
- 특히 작동을 위해 제공되는 제2 위치로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되, 상기 제2 위치는 실링 체결 위치인 구성품을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가 제안된다.
리텐션 위치에서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서, 특히 독립적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부분이 탄성 연결 장치 요소에서 어느 정도 서로 맞물려 있다. 또한 실링 기능도 어느 정도 제공되어 있다.
실링 체결 위치는 탄성 연결 장치 요소에 의하여, 제1 및 제2 부분 사이로 공기 및/또는 물 또는 다른 유체의 도입이 확실하게 방지된다는 의미로 실링한다.
또한 발전예에서 본 발명은 하우징을 갖는 제15항의 구성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갖는데,
- 제1 부분은 모터 커버 및/또는 샤프트, 특히 샤프트로 동작하는 모터 커버로 형성되고,
- 제2 부분은 모터 하우징, 특히 모터 하우징의 홀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양상의 바람직한 발전예는 컴프레서의 크랭크케이스에 대한 연결을 위한 모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모터 하우징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양상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갖는데, 제1 부분은 모터 커버이고 제2 부분은 모터 하우징의 홀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반적인 양상의 발전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모터 커버가 홀의 운송 고정 수단으로 공장 측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모터 하우징이 나사 결합된 크랭크케이스 없이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한 발전예에서, 모터 커버는 조립 작업 동안 리텐션 위치로 유지되며, 모터 하우징에 대한 컴프레서의 크랭크케이스의 연결 이후에 실링 체결 위치로 수동으로 움직인다.
본 목적은 청구항 16의 방법에 의한 특히 공장 측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된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다.
특히 공장 측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 리텐션 위치인 제1 위치에서, 제2 부분의 캐리어 상에 제1 부분의 수용 부재를 포지티브 로킹 포지셔닝하되, 수용 부재는 제1 환형 홈을 갖도록 형성되는 단계, 또는
리텐션 위치인 제1 위치에서, 제1 부분의 수용 부재 내에 제2 부분의 캐리어를 포지티브 로킹 포지셔닝하되, 캐리어는 제2 환형 홈을 갖도록 형성되는 단계,
- 실링 체결 위치인 제2 위치로 구성품을 움직이기 위하여, 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축 방향 이동하는 단계 및
- 선택적으로 구성품이 제1 위치에 있기 이전에,
- 예비 리텐션 위치인 제2 위치에서 전체 홈 중 제2 환형 홈에만 특히 오링의 형태인 실링 및 리텐션 요소를 배열하는 단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은 제2 위치에 의한 결과인 실링 체결 위치에서, 제2 부분을 밀폐되도록 닫는 커버의 일부이다. 특히 구성품은 제2 위치에 의한 결과인 실링 체결 위치에서, 가스를 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연결 장치 요소에 의하여, 특히 제1 부분과 제2 부분 간의 사이 공간을 통해 외부 환경으로 공기 및/또는 물 또는 다른 유체의 배출이 방지되며, 탄성 연결 장치 요소에 의하여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에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 간의 사이 틈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공기 및/또는 물 또는 다른 유체의 도입도 방지된다.
종속항은 바람직한 발전예에 관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방법이 본 목적의 관점에서, 그리고 추가적인 이점과 관련하여 어떻게 형성되고 구성되도록 의도되는지와 관련하여 유리한 가능예를 상세하게 다룬다.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이 캐리어를 위한 수용 부재로 형성되는데,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제2 부분이 수용 부재에 장착될 수 있거나 수용 부재가 장착될 수 있는 캐리어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이 외부, 특히 환형인 프레임 또는 이와 유사한 수용 부재의 외부 에지를 갖는데, 제2 부분에 배치된 내부, 특히 환형인 리텐션 부재 또는 이와 유사한 캐리어의 내부 에지가 삽입될 수 있다.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제2 부분이 캐리어를 위한 수용 부재로 형성되고,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이 수용 부재에 장착되거나 수용 부재가 장착될 수 있는 캐리어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2 부분이 외부, 특히 환형인 프레임 또는 이와 유사한 수용 부재의 외부 에지를 갖는데, 제1 부분에 배치된 내부, 특히 환형인 리텐션 부재 또는 이와 유사한 캐리어의 내부 에지가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 요소가 실링 및 리텐션 요소의 형태로, 제1 및 제2 위치를 서로 고정하면서 구성품을 실링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및 제2 부분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거나, 원통형 에지를 갖는다. 이로써 실링 체결 위치에서, 두 부분 사이의 포지티브 로킹 연결에 대한 성능을 특히 단순한 방식으로 보장할 수 있다. 특히 탄성 연결 장치 요소가 오링의 형태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낮은 생산 비용을 보장하기 위해 표준 방식으로 공업적으로 제조된 오링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러한 조립 구성품의 복잡한 제조가 필요 없어지기 때문이다. 더욱이 오링의 장착은 거의 복잡하지 않은 공정 단계가 된다.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일반적인 양상의 바람직한 발전예에서, 탄성 연결 장치 요소는 오링으로서 실링 및 리텐션 요소의 형태로 형성된다. 오링과 같이 표준 방식으로 공업적으로 제조된 구성품의 사용은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낮은 생산 비용을 보장하는데, 이는 이러한 조립 구성품의 복잡한 제조가 필요 없어지기 때문이며, 이에 예컨대 고무로 이루어진 오링의 장착은 거의 복잡하지 않은 공정 단계가 된다. 실링 및 리텐션 요소로서 오링의 사용은 실링 요소로서 이를 배타적으로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념적인 관점에서 운송을 위해 제1 및 제2 부분을 서로 고정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발전예에서, 제1 위치에서 변형된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부피는 제2 위치에서 변형된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부피보다 제2 환형 홈에 의해 형성되어 제2 홈 윤곽에 의해 한정되는 리세스의 홈 부피 너머로 상당히 더 돌출된다. 특히 제2 위치에서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단면은 제1 위치에서보다 더 타원형이다. 이러한 발전예의 이점은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두 부분 사이의 포지티브 로킹 연결을 위한 성능의 경우, 탄성 연결 장치 요소를 변형하도록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즉 리텐션 위치로부터 실링 체결 위치로, 바람직하게는 제1 위치에서 특히 체결 돌기의 상기 버의 영향에 의한 타원형과 실질적으로 다른 특정한 형상이 없는 형태로부터 특히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양측에서 제1 및 제2 홈 윤곽의 영향에 의한 타원형에 더 가까운 형태로 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장치 요소가 실링 및 리텐션 요소의 형태로, 제1 및 제2 부분을 서로 고정하도록 구성품을 실링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및 제2 부분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텐션 위치인 제1 위치가 예컨대 제조자로부터 소비자로 구성품의 운송을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리텐션 위치에서 구성품은 실링되어 있을 수 있지만,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아무튼 바람직하게는 실링 체결 위치인 제2 위치가 구성품의 작동을 위해, 예컨대 구성품의 제1 및 제2 부분으로 압축 공기를 도입하거나 거기서 작용하기 위해,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해 실링하기 위해 제공된다. 다만 선택적으로 구성품이 제1 위치에 있기 이전에, 예비 리텐션 위치인 제3 위치에서 전체 홈 중 제2 환형 홈에만 특히 오링의 형태인 실링 및 리텐션 요소를 배열하는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이를 위해 오링은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 존재하는 조립 간격을 통해 전체 홈 중 제2 환형 홈에만 스냅 장착(snap-fit)된다.
발전예에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각각 경사진 도입 부재를 갖는데, 이를 통해 탄성 연결 장치 요소를 변형하도록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리텐션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로써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조립이 단순해진다. 나아가 제2 부분에 대해 제1 부분의 배치함으로써 리텐션 위치에서 실링 체결 위치로 수동적인 움직임이 용이해진다.
선택적으로 예비 리텐션 위치로부터 리텐션 위치로, 그리고 리텐션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유리한 방식으로 구성품을 움직임으로써,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연결 장치가 처음에 리텐션 위치의 관점에서 보장될 수 있다. 해당 수동 입력에 의하여, 이를 위해 필요로 하는 다른 구성품이나 복합한 조립 과정 없이, 구성품의 작동을 위한 이러한 연결 장치의 압축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구성품이 필요 없다는 사실로 인하여, 제안된 플러그인 연결 장치는 리텐션 위치에서 비교적 작은 공간적 요구 조건과 작은 운반 복잡성을 야기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위치인 리텐션 위치로부터 제2 위치인 실링 체결 위치로 구성품의 제1 및 제2 부분의 움직임이 수동이나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운송을 위해 제공되는 리텐션 위치인 제1 위치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는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실링 요소의 추가적인 장착과 같이 복잡한 추가적인 조립 과정 없이, 특히 자동 및/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리텐션 위치로부터 실링 체결 위치로의 움직임은 조립성이 단순한 이점이 있다. 이는 조립 시 시간 절약과 부상의 위험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탄성 연결 장치 요소에 의한 결과, 리텐션 위치의 관점에서 제2 부분에서 제1 부분을 고정하기 위하여, 도입부에서 설명한 와이어 스냅 링에 의해 이루어지던 것과 유사한 리텐션 강도가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연결 장치 요소는 제1 및 제2 부분이 리텐션 위치에서, 그리고 실링 체결 위치로 움직인 이후에도 분해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는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파괴를 야기할 수 있지만,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나아가 구성품이 제1 위치에 있기 이전에, 예비 리텐션 위치인 제3 위치에서 전체 홈 중 제2 환형 홈에만 특히 오링의 형태인 실링 및 리텐션 요소를 배열하는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실링 및 리텐션 요소를 파괴하지 않고도 제2 환형 홈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위치, 특히 공장 측 조립 이전에 제공되는 제3 위치에서,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 예비 리텐션 위치를 가질 수 있는데, 제1 부분은 제1 경사진 도입 부재와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 사이의 탄선 연결 장치 요소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리텐션 힘을 받으며, 특히 그 변형은 후크형 버의 작용과 무관하다.
즉 특히 제3 위치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제2 부분에서, 제2 환형 홈은 연결 장치 요소의 확실한 도입을 허용한다.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제1 부분의 제1 환형 홈과 제2 환형 홈의 조합은 개별적인 홈 윤곽을 서로 갖는 환형 홈의 위치에 종속적인 방식으로 제1 및 제2 위치를 야기하는데, 전체 홈은 제1 및 제2 환형 홈이 홈 윤곽의 측면을 일정하게 지나감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렇게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환형 홈, 탄성 연결 장치 요소 및 제2 환형 홈 간의 위치는 리텐션 위치와 실링 체결 위치를 특징짓는다.
리텐션 위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조립, 특히 공장 측 조립이 이미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특히 운송을 위해 제공되며, 제1 및 제2 부분 간의 위치는 운송을 위해 플러그인 연결 장치에 의해 보장된다.
제1 위치인 리텐션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리텐션 위치에서 나타나는 리텐션 강도를 보장하는 제1 부분에 대항하는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탄성 변형으로 인하여, 바람직하게는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압박 압력과 리텐션 압력 및 이에 따른 리텐션 힘 및/또는 포지셔널 힘이 형성된다. 이 경우 "리텐션 위치에서 나타나는 리텐션 강도"라는 말은 제1 부분의 축 방향 결합, 즉 축 방향의 축상의 제1 부분의 결합으로 이해되도록 의도되는데, 리텐션 힘(Fr)은 반경 방향(R)으로 작용하고 포지셔널 힘(Fa)은 축 방향(A)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점은 예컨대 소비자에 대한 운송이나 구성품의 작동 위치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공장 측에서 배열된 리텐션 위치에 의해 형성된, 그리고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품의 확실한 운송이다. 나아가 이제 소비자들 스스로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실링 체결 위치로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어, 복잡한 조립 단계가 회피된다.
발전예에서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수동적인 이동에 의하여, 즉 제2 환형 홈에 대한 제1 환형 홈의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플러그인 연결 장치가 리텐션 위치로부터 실링 체결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연결 장치 요소는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수동적인 이동을 허용하되, 탄성 구조의 압력을 받기 위하여, 제1 홈 윤곽과 제2 홈 윤곽에 의한 충분한 공간을 가져야 한다. 특히 제1 환형 홈의 홈 윤곽 및/또는 제2 환형 홈의 홈 윤곽은 실링 및 리텐션 요소의 형태인 탄성 연결 장치 요소와 함께 리텐션 힘 및/또는 체결 기능을 부여하도록 및/또는 특히 파괴 없이 조립을 허용하게 구성되도록 제공된다.
다른 발전예에서 제1 부분은 돌기를 갖는데, 제1 환형 홈은 후크형 버에 의해 돌기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나아가 제2 홈 윤곽은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발전예의 관점에서, 제1 부분은 제1 에지에 경사진 도입 부재 및/또는 후크형 버를 갖는 돌기를 갖는데, 제1 환형 홈은 후크형 버에 의해 돌기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다른 특히 바람직한 발전예의 관점에서,
- 제1 부분이 제1 환형 홈에서, 챔퍼링된 제1 홈 베이스를 갖는 제1 홈 윤곽을 갖거나,
- 제2 부분이 제2 환형 홈에서,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를 갖는 제2 홈 윤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의 제1 위치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는 후크형 버와 챔퍼링된 홈 베이스 사이의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리텐션 압력과 특히 반경 방향의 리텐션 힘을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연결 장치 요소가 제1 위치에서 축 방향을 가로지르는 반경 방향의 탄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 단면 영역을 갖는데, 상기 단면 영역의 더 작은 면적부는 돌기의 경사진 도입 부재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단면 영역의 더 큰 면적부는 후크형 버 뒤에서 제1 환형 홈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발전예에서 제1 부분은 제2 부분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나, 후크형 버가 탄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 영역인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단면 영역의 가장 큰 면적부를 지나서 가이드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는 탄성 연결 장치 요소를 파괴해야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예에서 제1 및 제2 부분 간의 분리는 비교적 큰 힘이 가해져야만 가능하다.
바람직한 발전예에서, 제1 부분의 돌기는 본 리텐션 위치에서 어떤 대상과 축 방향에서 접촉되지 않는다. 이는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축 방향의 이동에 의해, 특히 구성품의 작동을 위해 제공되는 제2 위치로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움직임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 제1 부분이 돌기 및 돌기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되는 챔퍼링된 제1 홈 베이스를 갖도록 및/또는
- 제2 부분이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축 방향의 축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어버트먼트를 갖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발전예에서, 제1 부분은 돌기 및 돌기를 향해 챔퍼링된 제1 홈 베이스를 갖는다. 또한 제2 부분은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축 방향의 축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어버트먼트를 갖고, 제2 홈 윤곽은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를 갖는다.
발전예에서, 제3 위치에서 제1 부분은 다시 챔퍼링된 제1 및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 사이의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리텐션 압력과 특히 반경 방향의 리텐션 힘 및/또는 포지셔널 압력과 특히 축 방향의 포지셔널 힘을 받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특히 제1 및 제2 환형 홈으로부터 형성된 전체 홈의 환형 홈 단면이 돌기로부터 가늘어지도록 제공되는데, 홈 베이스는 돌기로부터 서로를 향해 가늘어지고 돌기와 어버트먼트는 서로 접촉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돌기는 제1 부분이 제2 위치에서, 챔퍼링된 제1 및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 및 후크형 버 사이의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리텐션 압력과 축 방향의 리텐션 힘 및 포지셔널 압력과 축 방향의 포지셔널 힘을 받도록 하는 축 방향 길이를 갖는데, 포지셔널 힘은 돌기와 어버트먼트를 서로 압박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제1 부분은 앞선 발전예에서 설명한 후크형 버에 의하여, 제2 부분에 대해 축 방향뿐만 아니라 모든 방향에서 결합된다. 돌기와 어버트먼트가 서로 접촉되어 제2 부분으로 제1 부분의 추가적인 도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후크형 버는 두 부분의 분리를 방지함으로써,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대해 결합되도록 보장한다. 아무튼 축 방향으로는 포지티브 로킹 연결이 형성되고, 축 방향에 대한 회전 방향으로는 포지티브 로킹이 아닌 방식으로 제1 부분이 제2 부분에 대한 회전에 대하여 결합된다.
다른 발전예에서, 돌기는 제1 부분이 제2 위치에서, 챔퍼링된 제1 및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와 후크형 버 사이의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리텐션 압력과 특히 반경 방향의 리텐션 힘 및 포지셔널 압력과 축 방향의 포지셔널 힘을 받게 하는 축 방향 길이를 갖도록 제공되는데, 포지셔널 힘은 돌기와 어버트먼트를 서로 압박한다. 특히 영구적인 포지셔널 압력은 탄성 연결 장치 요소가 없으면 제1 및 제2 부분 간의 분리를 야기하여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분리를 야기하는 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도록 비교적 높은 압력하에 있는 연결 장치에 유리하다. 나아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프리텐셔닝 힘(pretensioning force)이 대신 상기 비교적 높은 압력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연결 장치 요소는 비교적 높은 압력에 의해 형성된 힘을 서서히 회피할 수 있고, 그 결과 비교적 높은 압력에 의해 형성된 힘 그 다음의 상태에서, 그 힘에 반대되는 환형 홈으로 압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체결되기 시작할 수 있다. 발전예에서 제1 부분의 돌기는 경사진 도입 부재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 홈 윤곽은 앞선 발전예에서 설명한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를 갖는다. 제3 위치, 특히 공장 측 조립 이전에 제공되는 제3 위치에서, 제1 및 제2 부분이 서로에 대해 임시 리텐션 위치를 가지면 유리할 수 있는데, 제1 부분은 제1 경사진 도입 부재와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 사이의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리텐션 압력과 특히 반경 방향의 리텐션 힘을 받으며, 특히 그 변형은 후크형 버의 작용과 무관하다. 따라서 공장 측 조립은 구성품이 사전 조립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환형 홈이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추가적인 발전예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조립을 단순화한다. 이로써 탄성 연결 장치 요소와 제1 부분 사이, 그리고 탄성 연결 장치 요소와 제2 부분 사이에서, 강성의 환형 홈의 경우보다 더 큰 접촉 면이 얻어진다. 이는 실링 체결 위치에 있을 경우, 탄성 연결 장치 요소의 실링 기능의 확실한 제공을 도모하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움직임을 단순화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발전예에서 제1 및 제2 환형 홈은 강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는 특히 구성품의 작동을 위해 제공되는 제2 위치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강도(strength)와 안정성(robustness)을 더욱 보장한다.
발전예에서 제1 부분은 실링 체결 위치에서 해당 수용 부재의 일부로서 제2 부분을 밀폐되도록 닫는 커버의 일부이다. 본 발전예의 변형예에서, 커버는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품의 운송 동안 수용 부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공장 측에서 수용 부재에 대해 리텐션 위치로 배열된다. 만약 조립 동안 추가적인 구성이 수용 부재에 연결되지 않으면, 커버는 본 발전예의 변형예에서, 추가적인 수동 및/또는 자동적인 커버의 압박과 이로써 제2 위치, 즉 실링 체결 위치로 수용 부재에 대해 형성되는 커버의 이동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만약 추후에 추가적인 구성이 수용 부재에 연결되도록 의도된다면, 커버는 탄성 연결 장치 요소를 파괴함으로써 추후에 실링 체결 위치로부터 분해될 수 있다.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다른 발전예에서, 구성품은 실링 체결 위치에서 공기나 다른 가스의 공압 운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전예의 변형예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는 공장 측에서 리텐션 위치로 형성되는 제1 위치로 배열되는 파이프의 일부이다. 이러한 공장 측 사전 조립의 결과, 조립은 플러그인 연결 장치가 리텐션 위치로부터 실링 체결 위치로 수동으로 움직이도록, 수용 부재의 형태인 제2 부분으로 압박되는 파이프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특히 공장 측에서 청구항 16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발전예에서 수용 부재의 환형 홈의 오링의 배열은 다른 환형 홈을 갖도록 형성된 캐리어의 제1 포지티브 로킹 도입 이후에만 수행된다. 이 경우 오링은 수용 부재의 다른 측으로부터 도입되며, 오직 그 이후에 캐리어와 수용 부재 사이의 리텐션 위치에 대한 수송을 위해 제공되는 위치를 차지한다.
종속항과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이러한 발전예와 다른 바람직한 발전예 및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차량용 압축 공기 공급 유닛을 위한, 바람직하게는 압축 공기 공급부의 컴프레서에 대한 장착을 위한 전기 모터에 대하여, 특히 유리한 구성과 관련된 연결 장치와 방법을 명시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반적인 양상의 측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은 압축 공기 공급부의 컴프레서에 대한 장착을 위한 전기 모터에 대한 발전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이들은 반드시 실제 축척으로 본 실시예를 묘사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대신 설명하기에 유리하도록 개략적으로 및/또는 일부 왜곡된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으로부터 직접적인 교시에 대한 보충과 관련하여, 관련 선행 기술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반적인 관념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실시예의 형태와 세부 사항에 대해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세한 설명, 도면의 그림 및 청구항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개별적으로도 의미가 있고 본 발명의 발전예에 대한 조합으로도 의미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사상은 상세한 설명, 도면 및/또는 청구항에 개시된 특징 중 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관념은 아래 묘사되고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확한 형태나 세부 사항으로 한정되거나, 청구항에서 청구된 대상에 비해 제한되는 대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가 나타날 경우, 언급한 한계치 이내의 값도 제한 값으로 개시되도록 의도되며, 자유롭게 이용되고 청구될 수 있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은 유리한 위치에서 편의상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특징 및 세부 사항들은 아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과 아래 도면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양상에 따른 제2 위치(P2)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2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1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제2 부분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2 환형 홈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제1 부분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1 환형 홈의 상세 단면도와 제1 환형 홈의 상세부(X)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양상에 따른 제2 위치(P2)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양상에 따른 공장 측 조립 이전에 제공되는 제3 위치(P0)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양상에 따른 공장 측 조립 이전에 제공되는 제3 위치(P0)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는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가 공장 측 조립 이전에 제공되는 제3 위치(P0)로부터 중간 위치(P0.1, P0.2, P0.3)와 제1 위치인 리텐션 위치(P1)를 거처 제2 위치(P2)인 실링 체결 위치로 움직이는 동안 제2 부분의 제2 환형 홈의 오링의 형태인 실링 및 리텐션 요소와 함께 제1 및 제2 부분 간의 위치(P0, P1, P3)의 순서에 대하여 그 위치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실링 체결 위치(sealing engagement position)로 제공되는 제2 위치(P2)에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양상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는 제1 환형 홈(120)을 갖는 제1 부분(110)을 갖는데, 오링(130)이 제1 홈 윤곽(125)을 따라 배열된다. 이 경우 실링 및 리텐션 요소(sealing and retention element)의 형태인 연결 장치 요소는 오링(130)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는 제2 부분(140)을 갖는데, 오링(130)은 제2 홈 윤곽(155)을 따라 제2 부분(140)의 제2 환형 홈(150)에도 배열되어, 제1 및 제2 부분(110, 120)이 맞물림으로써 구성품이 밀폐되도록 실링된다. 이에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는 제1 부분(110), 오링(130) 및 제2 부분(140) 간의 도시된 상대적인 위치에서, 실링 체결 위치인 제2 위치로 나타나 있다.
도 9f에 나타난 이러한 체결 위치는 구성품의 작동을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부분(110, 120)가 이러한 체결 위치로 수동이나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바람직하게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성품(100)이 운송을 위해 제공되는 위치, 즉 도 9e에 나타난 리텐션 위치로부터 체결 위치로 움직인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0)과 제2 부분(140)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홈 윤곽(125, 155)은 본 실링 체결 위치에서 오링(130)에 대한 구성과 접촉 면으로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의 실링 기능을 보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0)은 제2 부분(140)에 밀폐되도록 연결된 라인(160)을 닫는 커버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적용예의 발전된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0)은 컴프레서의 크랭크케이스에 대한 연결을 위한 모터 하우징의 일부(110'), 예컨대 케이싱 파이프로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한 발전예에 따르면, 제1 부분(110)은 모터 커버 및/또는 샤프트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특히 바람직한 발전예에 따르면, 제2 부분(140)은 모터 하우징의 다른 일부(140'), 특히 돔형 하우징 부분, 예컨대 흔히 CE 브래킷으로 불리며 공지된 돔형 하우징 부분이다. 이러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는 도 1의 묘사에 따른 구성품(100')의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의 제1 실시예에 구조적으로 대응된다.
전기 모터는 압축 공기 공급부의 컴프레서의 크랭크케이스에 대한 장착을 위하여, 모터 하우징(일반적으로 수용 부재 또는 제2 부분) 및 커버(일반적으로 캐리어 또는 제1 부분)를 통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압축 공기 공급부는 모터와 컴프레서에 의해 형성되며,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에서 차량용 압축 공기 공급부에 대한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부분(140)의 분리 단면도이다. 제2 부분(140)은 앞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환형 홈(150)과 라인(160)을 갖는다. 제2 환형 홈(150)은 제2 홈 윤곽(155)을 형성하는데, 이는 제2 환형 홈(150)에 배열된 오링과 함께 리텐션 위치에서 제1 부분(110)에 관한 제2 부분(140)의 리텐션 강도를 상당히 보장한다.
도 3은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부분(110)의 분리 단면도이다. 제1 부분(110)은 커버 베이스(112)와 커버 칼라(114)를 포함한다. 커버 칼라(114)는 앞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환형 홈(120)을 갖는다. 이 경우 제1 환형 홈(120)은 제1 홈 윤곽(125)을 형성하는데, 이는 리텐션 위치에서 제1 부분(110)에 관한 제2 부분(140)의 리텐션 강도를 실질적으로 보장한다.
도 4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의 제1 실시예의 제2 부분(140)의 제2 환형 홈(150)의 상세 단면도이다. 앞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2 환형 홈(150)과 제2 홈 윤곽(155)이 본 도면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챔퍼링된 홈 베이스(460)로 인한 홈 윤곽(155)의 비대칭성을 볼 수 있다.
도 5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의 제1 실시예의 제1 부분(110)의 제1 환형 홈(120)의 상세 단면도이다. 제1 환형 홈(120)과 제1 홈 윤곽(125)을 갖는 제1 부분(110)의 커버 베이스(112)와 커버 칼라(114)는 앞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 있는데, 도 5는 제1 부분(110)의 이러한 특징의 상세도로서, 상세부(X)가 확대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도 5는 제1 홈 윤곽(125) 역시 비대칭적인 것을 나타내는데, 이 역시 챔퍼링된 홈 베이스(560)를 갖기 때문이다. 나아가 커버 칼라(114)에서 경사진 도입 부재(570)를 볼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의 조립이 단순해진다. 또한 제2 부분(140)에 대한 제1 부분(110)의 축 방향(A)의 이동에 의하여, 제1 위치(P1)(리텐션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제2 위치(실링 체결 위치)로의 수동적인 움직임이 더 용이해진다.
도 6은 작동을 위해 바람직하게 제공되는 체결 위치인 제2 위치(P2)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600)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제1 부분(610)은 경사진 도입 부재(625)를 갖는 돌기(620)를 갖는데, 제1 환형 홈(630)이 후크형 버(hook-like burr)(640)에 의해 돌기(620)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후크형 버(640)에 기반하여, 제1 환형 홈(630)의 제1 홈 윤곽(633)은 챔퍼링된 제1 홈 베이스(634)를 갖는데, 이는 돌기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되어 돌출부(635)를 더 갖는다. 제1 부분의 제1 환형 홈과 에지(edge)(638)는 제2 버(637)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제2 부분(650)은 어버트먼트(660)를 갖는데, 이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600)의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축 방향(A)의 축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축 방향(A)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600)를 제한한다. 또한 제2 부분(650)은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674)를 갖는 제2 홈 윤곽(673)을 갖는 제2 환형 홈(670)을 갖는다. 제1 및 제2 환형 홈(630, 670)에 의해 형성되어 제1 및 제2 홈 윤곽(633, 673)에 의해 한정되는 리세스의 홈 부피는 제2 위치에서 변형된 탄성 연결 장치 요소(680)의 부피보다 전체적으로 작다. 특히 제1 위치(P1)에서 변형된 탄성 연결 장치 요소(680)의 부피는 제2 위치(P2)에서 변형된 탄성 연결 장치 요소(680)의 부피보다 제2 환형 홈(670)에 의해 형성되어 제2 홈 윤곽(673)에 의해 한정되는 리세스의 홈의 부피 너머로 상당히 돌출된다. 특히 제2 위치(P2)에서 탄성 연결 장치 요소(680)의 단면은 제1 위치(P1)에서보다 더 타원형인데, 이는 한편으로는 도 7/도 8 또는 도 9a의 비교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도 6이나 도 9의 비교에 의해 나타난다. 도 6과 도 9f에 나타난 제2 위치에서, 제1 부분(610)은 챔퍼링된 제1 홈 베이스와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633, 673) 사이의 탄성 연결 장치 요소(680)의 탄성 변형으로 인하여, 리텐션 압력과 반경 방향(R)의 리텐션 힘(Fr)을 받는데, 제1 및 제2 환형 홈(630, 670)으로부터 형성된 전체 홈 중 환형 홈의 단면은 돌기로부터 가늘어지며, 홈 베이스는 돌기(620)로부터 서로를 향해 가늘어지고 돌기와 어버트먼트는 서로 접촉된다.
제2 홈 윤곽(673)은 제1 에지(675)에 의해 지지부(660)로부터 이격되고, 제2 에지(677)에 의해 다른 경사진 도입 부재(679)를 갖는 제2 부분(650)의 다른 에지(678)로부터 이격된다.
오링(680)은 환형 홈(630, 670)에서 제1 부분(610)과 제2 부분(650) 사이에 배열된다. 돌기(620)와 지지부(660) 및 에지(638)와 다른 에지(678)는 서로 접촉된다.
오링이 챔퍼링된 제1 홈 베이스(634)와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674) 및 후크형 버(640)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플러그인 연결 장치(600)의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원통형 장치에서, 제1 및 제2 부분(610, 650) 사이에 리텐션 압력과 포지셔널 압력(positional pressure)이 존재하게 되고, 이에 반경 방향(R)의 리텐션 힘(Fr)과 축 방향(A)의 포지셔널 힘(Fa)이 존재하게 된다. 후크형 버(640)에 의한 결과, 탄성 변형은 경사진 도입 부재(625)를 갖는 돌기(620)의 축 방향 길이에 의해 형성된다. 돌기(620)의 축 방향 길이는 제1 에지(675) 너머 제2 환형 홈(670)으로 돌출되는 후크형 버(640)를 야기한다.
포지셔널 압력과 포지셔널 힘(Fa)은 높은 압력하에서 사용되어 오링(680)이 없으면 제1 및 제2 부분(610, 650) 간의 분리를 야기하여 플러그인 연결 장치(600)의 분리를 야기하는 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 플러그인 연결 장치(600)에 유리하다.
두 부분(610, 650)은 리텐션 압력과 포지셔널 압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오링(680)을 파괴해야만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오링(680) 뒤에서 확인 가능한 후크형 버(640)의 맞물림은 특히 구성품의 작동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서로에 대한 두 부분(610, 650)의 제2 위치가 존재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하는데, 그 위치는 실링 체결 위치이다. 돌기(620)는 챔퍼링된 제1 홈 베이스와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634, 674) 및 후크형 버(640) 사이의 오링(680)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제2 위치에서 제1 부분(610)이 반경 방향(R)의 리텐션 힘(Fr)과 축 방향(A)의 포지셔널 힘(Fa)을 받도록 하는 축 방향 길이를 갖는데, 포지셔널 힘은 돌기와 어버트먼트를 서로 압박한다.
도 7은 도 6과 같이 플러그인 연결 장치(600)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의 단면도로, 단 도 6과 달리 공장 측 조립 이전에 제공되는 제3 위치에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구성품이 제1 위치에 있기 이전에, 임시 리텐션 위치인 제3 위치(P0)에서 전체 홈 중 제2 환형 홈(670)에만 특히 오링(680)의 형태인 실링 및 리텐션 요소를 배열함으로써 이러한 제3 위치(P0)가 형성된다.
제1 부분(610)과 제2 부분(650)은 앞서 도 6에 관한 단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오링(680)은 제2 환형 홈(670)에만 배열된다. 도시된 제3 위치에서 이는 제1 부분(610)의 경사진 도입 부재(625)와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674)를 갖는 제2 홈 윤곽(673)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이에 따라 반경 방향(R)으로 작용하는 리텐션 힘(Fr)에 의하여, 제3 위치(P0)에서 두 부분(610, 650) 간의 축 방향 결합을 형성하는 리텐션 압력을 보장한다. 이러한 제3 위치(P0)는 공장 측 조립 이전에 제공되는 두 부분(610, 650) 간의 예비 리텐션 위치로 간주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도 7은 오링(680)이 축 방향(A)을 가로지르는 반경 방향(R)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형성된 단면 영역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데, 그 단면 영역 중 더 큰 면적부는 돌기(620)의 경사진 도입 부재(625)에 의해 한정되고, 더 작은 면적부(710)는 후크형 버(640) 뒤에서 제1 환형 홈(630)으로 돌출된다.
단 이 경우 아래 설명할 제2 변형예와 달리, 경사진 도입 부재(625)의 끝단의 돌기(620)의 후크형 버(640)가 제2 환형 홈(670)에서만 오링(680)에 맞물리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매우 우수한 실링 기능에 더하여 특히 우수한 리텐션 기능이 제공되며, 제1 및 제2 부분(610, 650)은 오링(680)을 파괴해야만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8은 공장 측 조립 이전에 제공되는 제3 위치(P0)에서, 플러그인 연결 장치(800)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선택적으로 구성품이 제1 위치에 있기 이전에, 임시 리텐션 위치인 제3 위치(P0)에서 전체 홈 중 제2 환형 홈(850)에만 특히 오링(830)의 형태인 실링 및 리텐션 요소를 배열함으로써 이러한 제3 위치(P0)가 형성된다.
제1 환형 홈(820)과 제1 홈 윤곽(825)을 갖는 제1 부분(81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2 환형 홈(850)과 제2 홈 윤곽(855)을 갖는 제2 부분(840)을 볼 수 있다. 제2 환형 홈(850)에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800)의 제1 부분(810)과 제2 부분(840) 사이에 오링(830)의 형태인 탄성 연결 장치 요소로 실링 및 리텐션 요소가 배열된다. 제1 부분(810), 오링(830) 및 제2 부분(840) 간의 도시된 위치는 앞서 도 7에 관한 단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러그인 연결 장치(800)의 제3 위치를 서로 형성한다. 이 경우 제1 부분(810)의 경사진 도입 부재(815)에 대한 오링(8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 오링(830)의 압박 압력은 반경 방향(R)으로 작용하는 리텐션 힘(Fr)과 이에 따라 제3 위치(P0)에서 나타나는 리텐션 강도에 의하여, 두 부분(810, 84) 간의 축 방향 결합을 형성하는 리텐션 압력을 보장한다. 경사진 도입 부재(815)는 후크형 버(827)에 의해 제1 환형 홈(820)으로부터 이격된다. 제1 부분(810)과 제2 부분(840) 모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플러그인 연결 장치(800)의 조립을 단순화하는 경사진 도입 부재(815, 845)를 갖는다.
단 이 경우 제1 변형예와 달리, 후크형 버(827)는 제2 홈 윤곽(855)의 측벽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서 끝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적정한 수준의 실링 기능만, 특히 제한적인 효과의 리텐션 기능만 제공되지만, 제1 및 제2 부분(810, 840)은 오링(830)을 파괴하지 않고도 여전히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도 9는 제1 실시예의 (도 8에 도시된) 제2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800)가 공장 측 조립 이전에 제공되는 제3 위치(P0)로부터 중간 위치(P0.1, P0.2, P0.3)와 제1 위치인 리텐션 위치(P1)를 거처 제2 위치(P2)인 실링 체결 위치로 움직이는 동안 제2 부분의 제2 환형 홈의 오링의 형태인 실링 및 리텐션 요소와 함께 제1 및 제2 부분 간의 위치의 순서에 대하여 그 위치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즉 공장 측 조립 이전에 제공되는 위치, 리텐션 위치로 형성되는 제1 위치 및 실링 체결 위치에 대해 구성품의 작동을 위해 제공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및 제2 부분(810, 840)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도시한 것인데, 그 움직임은 수동, 반자동(즉 수동 및 자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위치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9a는 앞서 도 7과 도 8에 관한 단락에서 도시되고 설명한 바와 같이, 공장 측 조립 이전에 제공되는 제3 위치를 나타낸다. 오링(830)이 축 방향(A)을 가로지르는 반경 방향(R)의 탄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 단면 영역을 가지며, 그 위치(P0)에서 단면 영역 중 더 작은 면적부는 후크형 버(827) 뒤에서 제1 환형 홈(820)으로 아직 돌출되지 않고, 더 큰 면적부는 제1 부분(810)의 경사진 도입 부재(815)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9b에서부터 도 9d까지의 중간 위치(P0.1, P0.2, P0.3)는 제2 부분에 대한 제1 부분의 상기 방향(A)의 이동을 도시한 것으로, 오링(830)은 바람직하게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이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시작한다. 이 경우 그 이동이 어떻게 단면 영역의 축 방향(A)을 가로지르는 방향인 오링(830)의 반경 방향(R)으로 가장 큰 면적부의 변위를 야기하는지를 볼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 오링(830)의 단면 영역이 후크형 버(827) 뒤에서 제1 환형 홈(820)에 더 작은 면적부를 갖는 것과 제1 부분(810)의 경사진 도입 부재(815)에 의해 한정된 단면 영역의 더 큰 면적부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9e는 특히 운송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두 부분(810, 840) 간의 리텐션 위치를 구성하는 제1 위치를 나타낸다. 앞서 도 6에 관한 단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부분(810)은 돌기를 갖는데, 제1 환형 홈(280)은 후크형 버(827)에 의해 돌기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오링(830)은 후크형 버(827)와 제2 환형 홈(850)에 형성된 제2 홈 윤곽(855)의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955) 사이에서, 반경 방향(R)의 탄성 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리텐션 힘(Fr)을 받는다. 이 경우 이러한 오링(830)의 탄성 변형은 오링(830)이 축 방향(A)의 탄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 단면 영역을 갖되 가장 큰 면적부가 제1 환형 홈(820)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두 부분(810, 840)은 축 방향(A)의 포지셔널 힘(Fa)도 받는다. 따라서 도 9a 내지 9d에 나타난 위치와 달리 도 9e에 나타난 위치에서, 두 부분(810, 840)의 분리는 오링(830)을 파괴해야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위치라고 불리는 리텐션 위치는 부분적으로 밀봉되어 있다.
두 부분(810, 840)의 이동은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실한 실링 체결 위치로서 구성품의 작동을 위해 제공되는 위치에서, 제2 환형 홈(850)에서 오링(830)의 맞물림으로 끝난다. 여기에 도시된 위치는 확실한 실링 체결 위치로, 오링(830)이 제1 환형 홈(820)과 제2 환형 홈(850)에 모두 배열된다. 앞서 도 6에 관한 단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부분(810)은 챔퍼링된 제1 및 제2 홈 베이스(925, 955)와 후크형 버(827)에 의한 오링(830)의 탄성 변형으로 인하여, 반경 방향(R)의 리텐션 힘(Fr)과 축 방향(A)의 포지셔널 힘(Fa)을 모두 받는다.
도 9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800)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제1 홈 윤곽(825)과 제2 홈 윤곽(855)의 본 기능을 나타낸다. 제2 부분(840)의 제2 홈 윤곽(855)은 오링(830)을 고정하고, 도 9e의 리텐션 위치 밖으로 제1 부분(810)을 압박하기 위한, 그리고 도 9f의 실링 체결 위치 밖으로 제1 부분(810)을 당기기 위한 저항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홈 윤곽(825)은 실링 체결 위치에서 맞물림과 실링 체결 위치로부터 제1 부분(81)을 당기는 것에 대한 저항력을 모두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제1 홈 윤곽(825)과 제2 홈 윤곽(855)의 기하학적 형상은 이러한 기능에 따라, 즉 제2 부분(840)의 에지에 대한 제1 부분(810)의 에지가 실질적으로 후킹(hooking) 형상을 갖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1 홈 윤곽(825)과 제2 홈 윤곽(855)으로 인해 오링(830)은 충분한 여유 공간을 가져, 제2 부분(840)에 대한 제1 부분(810) 수동 이동를 허용하되, 여전히 탄성 구조체의 압박을 받는다.
도면에 도시된 모든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부분은 강성 소재로 각각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환형 홈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면 강성인 환형 홈의 경우보다 오링과 제1 부분 사이 및 오링과 제2 부분 사이에 더 큰 접촉 면이 얻어진다. 이는 실링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오링의 실링 기능의 확실한 제공을 도모할 수 있다.
100, 100' 플러그인 연결 장치, 구성품
110, 110' 제1 부분, 모터 하우징의 일부 (케이싱 파이프)
112 커버 베이스
114 커버 칼라
120 제1 환형 홈
125 제1 홈 윤곽
130 오링
140, 140' 제2 부분, 모터 하우징의 다른 일부
150 제2 환형 홈
155 제2 홈 윤곽
160 라인
460 제2 홈 윤곽의 챔퍼링된 홈 베이스
560 제1 홈 윤곽의 챔퍼링된 홈 베이스
570 경사진 도입 부재
600 제1 변형예의 플러그인 연결 장치
610 제1 변형예의 제1 부분
620 돌기
625 제1 변형예의 제1 부분의 경사진 도입 부재
630 제1 변형예의 제1 환형 홈
633 제1 변형예의 제1 홈 윤곽
634 제1 홈 베이스
635 돌출부
637 제2 버
638 에지
640 후크형 버
650 제1 변형예의 제2 부분
660 지지부
670 제1 변형예의 제2 환형 홈
673 제1 변형예의 제2 홈 윤곽
674 제2 홈 베이스
675 제1 에지
677 제2 에지
678 다른 에지
679 제2 부분의 다른 경사진 도입 부재
680 제1 변형예의 오링
710 더 큰 면적부
800 제2 변형예의 플러그인 연결 장치
810 제2 변형예의 제1 부분
815 제2 변형예의 제1 부분의 경사진 도입 부재
820 제2 변형예의 제1 환형 홈
825 제2 변형예의 제1 홈 윤곽
827 제2 변형예의 후크형 버
830 제2 변형예의 오링
840 제2 변형예의 제2 부분
845 제2 변형예의 제2 부분의 경사진 도입 부재
850 제2 변형예의 제2 환형 홈
855 제2 변형예의 제2 홈 윤곽
925 제2 변형예의 제1 홈 베이스
955 제2 변형예의 제2 홈 베이스
A 축 방향
R 반경 방향
P0 제3 위치
P0.1, P0.2, P0.3 중간 위치
P1 제1 위치, 리텐션 위치
P2 제2 위치, 체결 위치
Fr 리텐션 힘
Fa 포지셔널 힘

Claims (16)

  1. 제1 부분(110)과 제2 부분(140)을 가지며, 상기 제1 부분(110)에 배열된 제1 환형 홈(120)에는 제1 홈 윤곽(125)을 갖고, 상기 제2 부분(140)에 배열된 제2 환형 홈(150)에는 제2 홈 윤곽(155)을 갖되,
    - 상기 제2 환형 홈(150)에서 상기 제1 부분(110)과 상기 제2 부분(140) 사이에 배열된 탄성 연결 장치 요소(130)를 통해,
    - 제1 위치(P1)에서 서로에 대해 리텐션 위치를 가질 수 있고,
    - 특히 작동을 위해 제공되는 제2 위치(P2)로 축 방향(A)으로 움직일 수 있되, 상기 제2 위치는 실링 체결 위치인 구성품을 위한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 장치 요소(130)는 실링 및 리텐션 요소 및/또는 오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10)과 상기 제2 부분(140)은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 및/또는 원통형 에지(638, 67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P1)에서 변형된 상기 탄성 연결 장치 요소(130)의 부피는 상기 제2 위치(P2)에서 변형된 상기 탄성 연결 장치 요소(130)의 부피보다 상기 제2 환형 홈(150)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2 홈 윤곽(155)에 의해 한정되는 리세스의 홈 부피 너머로 상당히 더 돌출되며, 특히 상기 제2 위치(P2)에서 상기 탄성 연결 장치 요소(130)의 단면은 상기 제1 위치(P1)에서보다 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요소(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00)은 제1 에지에서, 경사진 도입 부재(625) 및/또는 후크형 버(640)를 갖는 돌기를 갖되, 상기 제1 환형 홈(120)이 상기 후크형 버(640)에 의해 상기 돌기(620)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 상기 제1 부분(110)이 상기 제1 환형 홈(120)에서, 챔퍼링된 제1 홈 베이스(560)를 갖는 상기 제1 홈 윤곽(125)을 갖는 것 및/또는
    - 상기 제2 부분(110)이 상기 제2 환형 홈(150)에서,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460)를 갖는 상기 제2 홈 윤곽(15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위치(P1)에서, 상기 제1 부분(110)은 상기 후크형 버(640) 및/또는 한편으로는 상기 경사진 도입 부재(625)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2 부분(140)의 상기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460) 사이의 상기 탄성 연결 장치 요소(130)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적어도 한 리텐션 힘(Fr)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 요소(100).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 장치 요소(130)는 상기 축 방향(A)을 가로지르는 반경 방향(R)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제1 위치(P1)에서 형성된 단면 영역을 갖되, 상기 단면 영역 중 더 작은 면적부는 상기 돌기(620)의 상기 경사진 도입 부재(625)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단면 영역 중 더 큰 면적부는 상기 후크형 버(640) 뒤에서 상기 제1 환형 홈(630)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 상기 제1 부분(110)이 상기 돌기(620) 및 상기 돌기(620)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연장된 챔퍼링된 제1 홈 베이스(634)를 갖는 것 및/또는
    - 상기 제2 부분(140)이 상기 플러그인 연결 장치(130)의 상기 제2 부분(140)에 대한 상기 제1 부분(110)의 축 방향(A)의 축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어버트먼트(66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10)은 상기 제2 위치(P2)에서, 상기 챔퍼링된 제1 및 상기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634, 674) 사이의 상기 탄성 연결 장치 요소(130)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적어도 한 반경 방향(R)의 리텐션 힘(Fr)을 받되, 상기 제1 및 제2 환형 홈(120, 150)으로부터 형성된 전체 홈 중 환형 홈의 단면은 상기 돌기(620)로부터 가늘어지며, 상기 홈 베이스(634, 674)는 상기 돌기(620)로부터 서로를 향해 가늘어지고 상기 돌기(620)와 상기 어버트먼트(660)는 서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돌기(620)는 상기 제2 위치(P2)에서 상기 제1 부분(110)이 상기 챔퍼링된 제1 및 상기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634, 674)와 상기 후크형 버(640) 사이의 상기 탄성 연결 장치 요소(130)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적어도 한 반경 방향(R)의 리텐션 힘(Fr)과 축 방향(A)의 포지셔널 힘(Fa)을 받도록 하는 축 방향 길이를 갖되, 리텐션 압력이 특히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을 서로 압박하는 것 및/또는 포지셔널 압력이 상기 돌기(620)와 상기 어버트먼트(660)를 서로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3 위치(P0), 특히 공장 측 조립 이전에 제공되는 제3 위치(P0)에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110, 140)은 서로에 대한 예비 리텐션 위치를 갖되, 상기 제1 부분(110)은 상기 제1 경사진 도입 부재(625)와 상기 챔퍼링된 제2 홈 베이스(674) 사이의 상기 탄성 연결 장치 요소(130)의 탄성 변형에 으로 인해 특히 리텐션 힘을 받으며, 특히 상기 변형은 상기 후크형 버(640)의 작용과 무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10)은 상기 제2 위치(P2)에 의한 결과인 상기 실링 체결 위치에서 상기 제2 부분(140)을 밀폐되도록 닫는 커버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구성품은 상기 제2 위치(P2)에 의한 결과인 상기 실링 체결 위치에서, 가스, 특히 압축 공기를 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
  15. 특히 모터 하우징과 컴프레서의 크랭크케이스를 갖는 하우징을 갖고,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를 갖되, 상기 제1 부분(110)은 모터 커버 및/또는 샤프트(110'), 특히 샤프트로 동작하는 모터 커버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140)은 모터 하우징, 특히 상기 모터 하우징의 홀(140')로 형성되는 구성품(100').
  16. - 리텐션 위치인 제1 위치(P1)에서, 제2 부분(140)의 상기 캐리어 상에 제1 부분(110)의 수용 부재를 포지티브 로킹 포지셔닝하되, 수용 부재는 제1 환형 홈(120)을 갖도록 형성되는 단계, 또는
    리텐션 위치인 상기 제1 위치(P1)에서 상기 제1 위치(110)의 수용 부재 내에 상기 제2 부분(140)의 캐리어를 포지티브 로킹 포지셔닝하되, 캐리어는 제2 환형 홈(150)을 갖도록 형성되는 단계,
    - 실링 체결 위치인 상기 제2 위치(P2)로 상기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를 움직이기 위하여, 축 방향(A)으로 서로에 대해 상기 제1 부분(110)과 상기 제2 부분(140)을 축 방향 이동하는 단계 및
    - 선택적으로 상기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가 상기 제1 위치(P1)에 있기 이전에,
    - 예비 리텐션 위치인 제3 위치(P0)에서 전체 홈 중 상기 제2 환형 홈(150)에만 특히 오링(130)의 형태인 실링 및 리텐션 요소를 배열하는 단계를 갖는 특히 공장 측에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 장치(100)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
KR1020177018850A 2015-03-30 2016-02-19 플러그인 연결 장치 및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 KR201701370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03993 2015-03-30
DE102015003993.8 2015-03-30
DE102015007356.7 2015-06-10
DE102015007356.7A DE102015007356A1 (de) 2015-03-30 2015-06-10 Steckbare Verbind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Vorbereitung einer steckbaren Verbindungsanordnung
PCT/EP2016/000295 WO2016155861A1 (de) 2015-03-30 2016-02-19 Steckbare verbind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vorbereitung einer steckbaren verbindungsanord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035A true KR20170137035A (ko) 2017-12-12

Family

ID=5693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850A KR20170137035A (ko) 2015-03-30 2016-02-19 플러그인 연결 장치 및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13400B2 (ko)
EP (1) EP3277967B1 (ko)
JP (1) JP6861159B2 (ko)
KR (1) KR20170137035A (ko)
CN (1) CN107208682B (ko)
DE (1) DE102015007356A1 (ko)
WO (1) WO2016155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4984B2 (en) 2016-11-30 2021-03-23 Standard Lifters, Inc. Collar and shaft assembly
DE102017118039A1 (de) * 2017-08-08 2019-02-14 Vega Grieshaber Kg Bauteilanordnung mit mindestens einem ersten Bauteil und mindestens einem zweiten Bauteil, die miteinander lösbar verbindbar oder verbunden sind
DE102018211436A1 (de) 2018-07-10 2020-01-16 Robert Bosch Gmbh Befestigung eines Deckels an einem Gehäuse
CN109763440B (zh) * 2019-01-24 2021-02-02 温州华睿建设有限公司 一种道路隐藏扶手
CN111265035B (zh) * 2020-01-31 2021-11-26 山东光明园迪儿童家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大学课堂的拼接式课桌及拼接式课桌组件
US20230340985A1 (en) * 2022-04-21 2023-10-26 Amsted Rail Company, Inc. Axle locking system and associated installation methods
DE102022206913A1 (de) 2022-07-06 2024-01-11 Mahle International Gmbh Sammler und Verschlussstopfe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9845A (en) * 1962-05-28 1964-09-22 Hydril Co Wide temperature range sealing structure
BE668603A (ko) * 1964-08-20
FR1473169A (fr) * 1966-01-19 1967-03-17 Raccord perfectionné
SE399745B (sv) * 1977-03-31 1978-02-27 Skf Nova Ab Lasningsanordning
JPS54153276U (ko) * 1978-04-17 1979-10-24
JPS55154850U (ko) * 1979-04-24 1980-11-07
US4407482A (en) * 1980-11-25 1983-10-04 Mueller Co. Coupling joint for telescoping tubular members
US5080521A (en) * 1988-03-30 1992-01-14 Aeroquip Corporation "O" ring locking mechanism
US5411348A (en) 1993-10-26 1995-05-02 Bal Seal Engineering Company, Inc. Spring mechanism to connect, lock and unlock, members
EP0803293A4 (en) * 1995-12-28 2000-05-24 Abb Kk ROTATING SPRAY HEAD
AT7195U1 (de) * 2003-06-16 2004-11-25 Heiss Franz Befestigungsanordnung
US7717659B2 (en) * 2005-08-15 2010-05-18 Acumet Intellectual Properties, Llc Zero-clearance bolted joint
JP2008215325A (ja) 2007-03-08 2008-09-18 Anest Iwata Corp 往復ピストン式気体圧縮機
JP5764802B2 (ja) * 2010-09-30 2015-08-19 株式会社Lixil シールリングを用いた連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13400B2 (en) 2022-04-26
JP2018519475A (ja) 2018-07-19
CN107208682B (zh) 2020-12-29
WO2016155861A1 (de) 2016-10-06
CN107208682A (zh) 2017-09-26
US20180080490A1 (en) 2018-03-22
JP6861159B2 (ja) 2021-04-21
EP3277967A1 (de) 2018-02-07
DE102015007356A1 (de) 2016-10-06
EP3277967B1 (de)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7035A (ko) 플러그인 연결 장치 및 플러그인 연결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방법
EP2392845B1 (en) Pipe joint
CN103443400B (zh) 带纵向和环形密封件的真空泵
US7841630B1 (en) Electric metal tube push-in fitting
US20150337998A1 (en) Connecting device for media lines
US20060270262A1 (en) Housing seal for a plug-type connection
KR20160096605A (ko) 밀봉 장치를 구비한 필터 시스템 및 필터 부재
EP2641300B1 (en)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electrical power supply
KR20140132739A (ko) 래디얼 샤프트 씨일
US6779802B2 (en) Appliance with seal between two housing shells
US11434988B2 (en) Pulley insert
CN111937252B (zh) 具有锁定装置的电插塞连接器部件和电插塞连接系统
US20080193258A1 (en) Device To Be Fixed In A Support-Member Recess Configured In A Support Member
CN109586098A (zh) 用于电连接器的电连接单元和密封装置及其制造方法
CN104685231A (zh) 用于运动传递远程控制组件的终端
EP3304654A1 (en) Seal for a housing of a plug-type connector and housing for a plug-type connector
KR20210008425A (ko) 각진 전기 커넥터
CN107634383B (zh) 线束端子连接器和冰箱箱胆
US6796824B2 (en) Sealed IE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2529662A (ja) 波形管用の結合および接続部品
KR101478923B1 (ko) 퀵 커넥터
US11125371B2 (en) Coupling device for media-conducting lines
AU2016253686A1 (en) Pipe connect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9282104A (zh) 连接器及其相关布置结构
CN113422240B (zh) 一种密封件及使用该密封件的插头固定部、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