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656A - 축전 모듈 - Google Patents

축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656A
KR20170136656A KR1020177035065A KR20177035065A KR20170136656A KR 20170136656 A KR20170136656 A KR 20170136656A KR 1020177035065 A KR1020177035065 A KR 1020177035065A KR 20177035065 A KR20177035065 A KR 20177035065A KR 20170136656 A KR20170136656 A KR 20170136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wer storage
thickness
electrode assembly
restr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아키 오쿠다
히로야스 니시하라
코지로 다마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70136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3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케이스(2a) 내에 전극 조립체(2b) 및 전해액(2c)을 수용한 각형의 축전 장치(2)가 복수 접속되어 구성되는 축전 모듈로서, 복수의 축전 장치(2)는, 소정의 배열 방향(정극과 부극이 적층되는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고, 그 배열된 상태로 구속되어 있고, 케이스(2a)의 구속되고 있는 측의 면(2g)(특히, 적어도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2g)에 있어서의 인접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를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2h)의 두께보다도 얇게 한다.

Description

축전 모듈{POWER STORAGE MODULE}
본 발명은, 축전 모듈에 관한것이다.
축전 장치는, 정극과 부극이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적층된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이 케이스에 수용되어 구성된다. 도 3에는, 축전 장치(100)의 일예(평단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각형(角型)의 케이스(100a)에 접촉시켜서 전극 조립체(100b)가 수납되어 있고, 케이스(100a) 내가 전해액(100c)으로 채워져 있다. 축전 모듈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복수의 축전 장치가 소정의 배열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엔드 플레이트 간에 구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전열 플레이트를 개재시켜 복수의 단(單) 배터리가 열 형상으로 배열되고, 그 양단부에 배치된 보유지지 플레이트에 장척 로드를 걸쳐놓고 볼트로 체결한 배터리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148187호
단체(單體)로 이용되는 축전 장치 혹은 축전 모듈에 조입되는 축전 장치에 관계없이, 축전 장치는, 장기 사용했을 경우의 열화 반응(예를 들면, 전해액의 분해 반응) 등에 의해, 케이스 내에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케이스 내에 가스가 발생하면, 케이스 내의 압력이 높아진다. 이 높은 내압에 의해, 케이스에 팽창이 발생하여, 케이스를 변형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변형의 방지에 필요한 케이스의 내압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케이스의 각 면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형의 축전 장치(100)의 단면 형상이 장방 형상인 경우, 케이스(100a)의 장변측의 면(100d)의 변형량이 커진다. 그 때문에, 장변측의 면이 변형되지 않도록 케이스의 두께를 설계할 필요가 있고, 장변측의 면의 두께 및 그 이외의 각 면의 두께도 두꺼워진다. 그러나, 케이스의 각 면의 두께를 두껍게 할수록, 케이스 내의 공간부의 용적이 적어진다. 케이스 내의 용적이 적어지면, 케이스 내에서 확보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의 두께나 체적이 감소하여, 전극 조립체의 정극 및 부극의 각 활물질의 양이 적어진다. 그 때문에, 정극 및 부극의 각 용량이 적어지고, 축전 장치(나아가서는, 축전 모듈)의 체적 에너지 밀도가 감소한다.
그래서, 본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축전 장치의 케이스의 변형을 억제하고 또한 체적 에너지 밀도를 향상할 수 있는 축전 모듈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축전 모듈은, 케이스 내에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한 각형의 축전 장치가 복수 접속되어 구성되는 축전 모듈로서, 복수의 축전 장치는, 소정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고, 당해 배열된 상태로 구속되고, 케이스의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의 두께는, 케이스의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의 두께보다도 얇다.
이 축전 모듈은, 복수의 축전 장치가 소정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고, 그 배열된 상태로 구속되어 있다. 각 축전 장치는, 각형이고, 각형의 케이스 내에 전극 조립체나 전해액이 수용되어 있다. 복수의 각형의 축전 장치가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각형의 케이스의 측면 중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인접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측의 면이고, 구속 하중을 받는 면임)과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이 있다. 이 케이스의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은, 두께를 얇게 해도 양측으로부터 구속 하중을 받고 있기 때문에,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보다도 내압 강도가 높아, 케이스 내의 압력에 대하여 변형되기 어렵다. 그래서, 이 축전 모듈에서는,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의 두께를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의 두께보다도 얇은 케이스로 하고 있다. 케이스의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의 두께를 얇게 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 내의 공간부의 용적을 그 얇게 한 두께에 따라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만큼, 전극 조립체의 두께 및 체적을 증가시켜, 정극 및 부극의 활물질의 각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정극 및 부극의 각 용량이 증가하여, 축전 장치(나아가서는, 축전 모듈)의 체적 에너지 밀도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이 축전 모듈에서는, 구속되어 있는 복수의 축전 장치에 있어서 각 케이스의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의 두께를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의 두께보다도 얇게 함으로써, 케이스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체적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형태의 축전 모듈에서는,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에 있어서의 인접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가, 적어도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의 두께보다도 얇다. 케이스의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 중에서도 인접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 구속 하중을 받아, 그 구속 하중을 전극 조립체에 부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인접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를 적어도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의 두께보다도 얇게 한다. 또한, 인접 부재는, 예를 들면, 축전 장치 간에 개재 부재가 없는 경우에는 축전 장치의 케이스이고, 축전 장치간에 개재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개재 부재가 되는 전열 부재나 방열 부재 등이다.
일 형태의 축전 모듈에서는, 인접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은, 전극 조립체의 케이스와의 접촉면을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축전 장치를 구속하여 구속 하중을 부가하는 것은, 전극 조립체에 포함되는 정극과 부극의 반응을 균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케이스의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에 있어서의 인접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 전극 조립체의 케이스와의 접촉면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의 적층 방향측의 전체 면에 구속 하중을 부가할 수 없어, 전극 조립체 내에서 적층되어 있는 정극과 부극의 반응을 균일하게 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전 장치의 케이스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체적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축전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축전 모듈에 있어서 구속된 상태의 복수의 축전 장치의 평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3은 축전 장치의 평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전 모듈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 모듈을, 엔드 플레이트 간에서 복수의 축전 장치가 소정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상태로 구속되어 있는 축전 모듈에 적용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축전 장치 간에 개재되는 부재가 없는 형태의 축전 모듈로 하고 있지만, 축전 장치 간에 개재되는 부재가 있는 축전 모듈이라도 좋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축전 모듈(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축전 모듈(1)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축전 모듈(1)에 있어서 구속된 상태의 복수의 축전 장치의 평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축전 모듈(1)은, 복수의 축전 장치(2)가 배열되고, 그 배열체가 배열 방향의 양단면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3, 3)간에 구속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하는 축전 모듈(1)의 구성은 일 예이고, 다른 여러가지 구성의 축전 모듈을 적용할 수 있다.
축전 장치(2)는, 각형의 축전 장치이다. 복수의 축전 장치(2)는, 소정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상태로 엔드 플레이트(3, 3)간에 끼워넣어짐으로써 구속압(구속 하중)이 부가되어, 구속된다. 이 배열 방향은, 정극과 부극이 적층되는 방향이고, 서로 이웃하는 각형의 축전 장치(2, 2)간의 장변측의 면 끼리가 접하는 방향이다. 이하에, 축전 장치(2)(특히,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변측이란, 도 2에 나타내는 평단면에 있어서의 장방 형상(네 모퉁이가 호(弧)형상(R형)의 것도 포함함)의 각 변 중의 긴 쪽의 변측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축전 장치(2)의 구성은 일예이고, 다른 여러가지 구성의 축전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축전 장치(2)는, 케이스(2a), 전극 조립체(2b), 전해액(2c)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a)는, 전극 조립체(2b) 및 전해액(2c)을 수용하는 케이스이고, 각형이다. 케이스(2a)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강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a)의 각 면의 두께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극 조립체(2b)는, 정극, 부극 및 정극과 부극을 절연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전극 조립체(2b)는, 시트 형상의 복수의 정극과 복수의 부극 및 시트 형상(또는 자루 형상)의 복수의 세퍼레이터가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적층 방향(D)이, 상기의 배열 방향이 된다. 전극 조립체(2b)는, 케이스(2a) 내에 수용되고, 케이스(2a) 내에는 전해액(2c)으로 채워져 있다.
정극은, 금속박과, 금속박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정극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진다. 정극은, 금속박의 단부에 정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탭을 갖는다. 탭은, 정극의 상연부로 연장되고, 도전 부재를 개재하여 정극 단자(2d)에 접속되어 있다. 금속박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알루미늄 합금박이다. 정극 활물질층은, 정극 활물질, 바인더를 포함하고 있다. 정극 활물질층은, 도전 조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정극 활물질은, 예를 들면, 복합 산화물, 금속 리튬, 유황이다. 복합 산화물은, 망간, 니켈, 코발트 및 알루미늄의 적어도 1개와 리튬을 포함한다. 바인더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 주쇄에 이미드 결합을 갖는 폴리머 수지이다. 도전 조제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흑연,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등록 상표)이다.
부극은, 금속박과, 금속박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부극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진다. 부극은, 금속박의 단부에 부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탭을 가진다. 탭은, 부극의 상연부로 연장되고, 도전 부재를 개재하여 부극 단자(2e)에 접속되어 있다. 금속박은, 예를 들면, 구리박, 구리 합금박이다. 부극 활물질층은, 부극 활물질, 바인더를 포함하고 있다. 부극 활물질층은, 도전 조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부극 활물질은, 예를 들면, 흑연, 고 배향성 그래파이트, 메소카본 마이크로비즈, 하드카본, 소프트카본 등의 카본, 리튬,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금속 화합물, SiOx(0.5≤x≤1.5) 등의 금속 산화물, 붕소 첨가 탄소이다. 바인더, 도전 조제는, 정극으로 나타낸 동일한 바인더, 도전 조제를 적용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정극과 부극을 격리하고, 양극의 접촉에 의한 전류의 단락을 방지하면서, 리튬 이온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세퍼레이터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필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메틸셀룰로오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이다.
복수의 축전 장치(2)는, 상기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될 때에, 서로 이웃하는 축전 장치(2, 2)간에서 정극 단자(2d)와 부극 단자(2e)의 위치가 교대로 되도록 배열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축전 장치(2, 2)간에서 정극 단자(2d)와 부극 단자(2e)가 접속 부재(2f)로 각각 접속되고, 복수의 축전 장치(2)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해액(2c)은, 케이스(2a)내에 수용되고, 전극 조립체(2b)내에 함침된다. 전해액(2c)은, 예를 들면, 유기 용매계 또는 비수계의 전해액이다.
엔드 플레이트(3)는, 상기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축전 장치(2)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배열된 복수의 축전 장치(2)(각형의 케이스(2a)의 장변측의 면(2g))에 양측으로부터 구속압(구속 하중)을 부가하여 구속하기 위한 부재이다. 엔드 플레이트(3)는, 판 형상이고, 케이스(2a)의 장변측의 면(2g)과 접하는 면이 축전 장치(2)에 있어서의 상기의 배열 방향의 면보다도 충분히 큰 면이다. 엔드 플레이트(3)는, 구속압을 부가할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갖고 있다. 엔드 플레이트(3)에는, 연결 부재(3a)를 삽입할 수 있는 지름의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복수 개구되어 있다. 이 관통공의 위치는, 예를 들면, 엔드 플레이트(3)의 네 모퉁이의 각부(角部) 주변이다. 연결 부재(3a)는, 봉 형상의 부재이며, 양단부에 수나사가 그어져있다. 엔드 플레이트(3, 3)간에 복수의 축전 장치(2)가 끼워진 상태로, 각 연결 부재(3a)가 양측의 엔드 플레이트(3, 3)의 각 관통공에 각각 통과되어, 연결 부재(3a)의 양단부의 수나사에 너트(3b, 3b)가 각각 조여 넣어져 있다. 이에 따라서, 엔드 플레이트(3, 3)간에서 복수의 축전 장치(2)에 구속압이 부가되어, 구속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케이스(2a)의 측면 중의 장변측의 면(2g)에서 구속 하중을 받고, 측면 중의 단변측의 면(2h)에서는 구속 하중을 받지 않는다.
또한, 배열된 복수의 축전 장치(2)를 구속하는 것은, 케이스(2a)의 장변측의 면(2g)(나아가서는, 전극 조립체(2b)의 양측)에 구속 하중을 부가하여, 전극 조립체(2b)내의 정극과 부극의 반응을 균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 구속 하중을 받는 것은, 서로 이웃하는 축전 장치(2, 2)의 케이스(2a, 2a)간에 있어서 장변측의 면(2g, 2g)에 있어서의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다. 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은,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2a)의 장변측의 면(2g)의 대략 전체 면이다. 또한, 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은, 전극 조립체(2b)의 케이스(2a)와의 접촉면(2i)보다 크고, 그 접촉면(2i)를 충분히 포함하고 있다. 이 전극 조립체(2b)의 접촉면(2i)은, 정극과 부극과의 적층 방향(D)측의 면이다. 따라서, 케이스(2a)의 장변측의 면(2g, 2g)에 있어서의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 받은 구속 하중을, 전극 조립체(2b)에 있어서의 적층 방향(D)측의 접촉면(2i)의 전면에 부가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2b)에서는, 적층 방향(D)의 양측의 접촉면(2i, 2i)의 전면에 구속 하중을 받기 때문에, 정극과 부극이 균일하게 반응한다.
그러면, 케이스(2a)의 각 면의 두께에 대해서 설명한다. 케이스(2a)의 장변측의 각 면(2g)은, 배열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구속 하중을 각각 받고 있다. 그 때문에, 장변측의 면(2g)은, 구속 하중을 받지 않는 단변측의 면(2h)에 비해, 내압 강도가 크다. 그래서, 케이스(2a)의 측면 중 장변측의 면(2g)을 단변측의 면(2h)에 비해 얇게 하고 있다. 단변측의 면(2h)은, 종래의 축전 모듈의 축전 장치의 케이스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의 두께로 한다. 따라서, 장변측의 면(2g)은, 종래의 축전 모듈의 축전 장치의 케이스의 두께보다도 얇은 두께로 되어 있다. 장변측의 면(2g)의 두께를 단변측의 면(2h)의 두께에 비해 어느 정도 얇게 할지는, 장변측의 면(2g)의 크기(면적)나 형상(종횡비 등), 단변측의 면(2h)의 크기와 장변측의 면(2g)의 크기의 비, 케이스(2a)의 재질, 케이스(2a) 내에서의 최대압력 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또한, 케이스(2a)의 다른 면(저면 등)의 두께는, 단변측의 면(2h)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장변측의 면(2g)의 두께를 단변측의 면(2h)의 두께에 비해 얇게 함으로써, 케이스(2a)의 외형상을 종래의 축전 모듈의 축전 장치의 케이스의 외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했을 경우, 케이스(2a) 내의 공간부의 용적이 그 얇게 한 두께에 따라서 증가하고 있다. 그 만큼, 전극 조립체(2b)의 두께를 적층 방향(D)으로 두껍게 하여 전극 조립체(2b)의 체적을 증가시키고 있고, 정극 및 부극의 활물질의 각 양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 결과, 정극 및 부극의 각 용량이 증가하고, 축전 장치(2)(나아가서는, 축전 모듈(1))의 체적 에너지 밀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축전 장치(2)(축전 모듈(1)을 장기 사용했을 경우의 열화 반응(예를 들면, 전해액(2c)의 분해 반응) 등에 의해, 케이스(2a) 내에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케이스(2a) 내에 가스가 발생하면, 케이스(2a) 내의 압력이 높아진다. 케이스(2a)의 장변측의 각 면(2g)의 두께가 얇아지고 있지만, 이 면 (2g)은 양측으로부터 구속 하중을 받아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내압 강도가 높다. 그 때문에, 케이스(2a) 내의 압력이 높아져도, 케이스(2a)가 팽창하는 것을 억제(방지)할 수 있어, 케이스(2a)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각형의 케이스(2a)의 장변측의 면은 변형되기 쉽지만, 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서, 케이스(2a)의 단변측의 각 면(2h)은,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내압 강도가 높다.
이 축전 모듈(1)에 의하면, 구속되어 있는 복수의 축전 장치(2)에 있어서 각 케이스(2a)의 측면 중의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2g)의 두께를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2h)의 두께보다도 얇게 함으로써, 케이스(2a)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체적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축전 모듈(1)에서는, 케이스(2a)의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이 장변측의 면(2g)이고, 장변측의 면(2g)을 얇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2b)의 두께 및 체적(나아가서는, 정극 및 부극의 활물질의 각 양)을 보다 많이 증가할 수 있어, 체적 에너지 밀도의 향상 효과가 높다. 또한, 이 체적 에너지 밀도의 향상 효과는, 케이스(2a)의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2g)이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2h)보다 클수록 높아진다.
또한, 이 축전 모듈(1)에 의하면, 구속 하중을 받는 케이스(2a)의 장변측의 면(2g)이나 전극 조립체(2b)의 접촉면(2i)에 굴곡(요철)이 있어도, 케이스(2a)의 전극 조립체(2b)와 접촉하는 측의 장변측의 면(2g)을 얇게 하고 있기 때문에, 하중을 전하는 추종성이 높고, 구속 하중을 전극 조립체(2b)에 부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축전 모듈 내의 서로 이웃하는 축전 장치 끼리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서로 이웃하는 축전 장치 간에 절연 부재, 전열 부재나 방열 부재 등의 개재 부재를 사이에 끼운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축전 모듈 내에서 복수의 축전 장치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복수의 축전 장치가 병렬로 접속되는 경우나 병렬 및 직렬로 접속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이 각형의 케이스의 측면 중의 장변측의 면인 축전 장치에 적용했지만,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이 단변측의 면인 축전 장치,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과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이 동일한 변 길이의 축전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케이스의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의 전체가 인접 부재(축전 장치의 케이스 등)와 접촉하고, 케이스의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 전체의 두께를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의 두께보다도 얇게 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에 있어서 인접 부재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 중 적어도 인접 부재와 접촉하는 부분만을 얇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1…축전 모듈, 2…축전 장치, 2a…케이스, 2b…전극 조립체, 2c…전해액, 2d…정극 단자, 2e…부극 단자, 2f…접속 부재, 2g…장변측의 면, 2h…단변측의 면, 2i…접촉면, 3…엔드 플레이트, 3a…연결 부재, 3b…너트.

Claims (6)

  1. 케이스 내에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한 각형(角型)의 축전 장치가 복수 접속되어 구성되는 축전 모듈로서,
    복수의 상기 축전 장치는, 상기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의 정극과 부극이 적층되는 적층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고, 당해 배열된 상태로 구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구속압의 부가로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의 두께는, 상기 케이스의 구속압의 부가로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의 두께보다도 얇은 축전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에 있어서의 인접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가, 적어도 상기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의 두께보다도 얇은 축전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부재와 상기 접촉하고 있는 부분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기 케이스와의 접촉면을 포함하고 있는 축전 모듈.
  4. 케이스 내에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한 각형의 축전 장치가 복수 접속되어 구성되는 축전 모듈로서,
    복수의 상기 축전 장치는, 상기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의 정극과 부극이 적층되는 적층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고, 당해 배열된 상태로 구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구속압의 부가로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에는 인접 부재가 접촉하고 있고,
    상기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에 있어서의 상기 인접 부재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가, 적어도 상기 케이스의 구속압의 부가로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의 두께보다도 얇은 축전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구속압의 부가로 구속되어 있는 측의 면 전체의 두께는, 상기 케이스의 구속압의 부가로 구속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의 두께보다도 얇은 축전 모듈.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부재와 상기 접촉하고 있는 부분은, 상기 전극 조립체의 상기 케이스와의 접촉면을 포함하고 있는 축전 모듈.
KR1020177035065A 2013-11-08 2014-06-10 축전 모듈 KR201701366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2090 2013-11-08
JP2013232090A JP5633621B1 (ja) 2013-11-08 2013-11-08 蓄電モジュール
PCT/JP2014/065372 WO2015068421A1 (ja) 2013-11-08 2014-06-10 蓄電モジュール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070A Division KR101808135B1 (ko) 2013-11-08 2014-06-10 축전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656A true KR20170136656A (ko) 2017-12-11

Family

ID=521390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065A KR20170136656A (ko) 2013-11-08 2014-06-10 축전 모듈
KR1020167012070A KR101808135B1 (ko) 2013-11-08 2014-06-10 축전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070A KR101808135B1 (ko) 2013-11-08 2014-06-10 축전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69122B2 (ko)
JP (1) JP5633621B1 (ko)
KR (2) KR20170136656A (ko)
CN (1) CN105706265A (ko)
DE (1) DE112014004708T5 (ko)
WO (1) WO20150684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135B1 (ko) * 2015-10-29 2019-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부 케이스의 두께가 얇은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노트북 컴퓨터
DE102018102142A1 (de) 2018-01-31 2019-08-01 stoba e-Systems GmbH Energiespeichermodul mit über unisolierte Leiterstücke verbundenen Energiespeicherzellen und/oder einem Kühlsystem, Energiespeicherblock und Verfahren zum Kühlen eines Energiespeichermoduls
KR20190134458A (ko)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1142B2 (ja) * 1994-11-18 2003-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温度制御機構を備えたバッテリ組立体
JPH08250151A (ja) * 1995-03-14 1996-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アルカリ蓄電池の単位電池
US6929880B1 (en) 1999-05-07 2005-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quare cell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ell container
JP2002050322A (ja) * 2000-08-04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角形扁平電池
JP2002279941A (ja) * 2001-03-19 2002-09-27 Toshiba Battery Co Ltd 角形電池
JP4745589B2 (ja) * 2002-01-10 2011-08-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大型リチウム二次電池用缶体及び大型リチウム二次電池
KR20040008816A (ko) 2002-07-19 2004-01-31 한미약품 주식회사 파클리탁셀 또는 그의 유도체와 p-당단백질 저해제를함유하는 혈관재협착 방지를 위한 경구투여용 약학 조성물
KR100542680B1 (ko) * 2003-06-18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2차 전지
JP4247831B2 (ja) 2003-11-27 2009-04-0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密閉角形電池
US7625665B2 (en) * 2004-11-30 2009-12-0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end-plate used in the same
KR100821442B1 (ko) 2005-05-31 2008-04-1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수전해질 2차전지 및 전지모듈
JP5311106B2 (ja) 2008-07-31 2013-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および組電池
JP4524713B2 (ja) * 2008-11-06 2010-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とその利用
KR101009567B1 (ko) * 2008-12-05 2011-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5395596B2 (ja) * 2009-02-18 2014-01-22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密閉型二次電池
CN102906900B (zh) * 2010-05-26 2015-09-02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挖土机
JP5315311B2 (ja) * 2010-08-31 2013-10-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US10680215B2 (en) * 2011-02-14 2020-06-0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condary battery and assembled battery
JP5694843B2 (ja) * 2011-04-25 2015-04-01 Jmエナジー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33621B1 (ja) 2014-12-03
US10069122B2 (en) 2018-09-04
DE112014004708T5 (de) 2016-07-07
CN105706265A (zh) 2016-06-22
KR20160055975A (ko) 2016-05-18
WO2015068421A1 (ja) 2015-05-14
JP2015095277A (ja) 2015-05-18
KR101808135B1 (ko) 2017-12-13
US20160285060A1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6431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3975940B2 (ja) 蓄電素子
JP6755380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US8974944B2 (en)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using the same
KR101530803B1 (ko) 이차 전지
US11715855B2 (en) Battery module
US20140315052A1 (en) Rechargeable battery
US20110305936A1 (en) Connecting structure of battery stacks
KR20180113910A (ko) 적층 전지
JP6122338B2 (ja) 2次電池
US9023517B2 (en) Secondary battery
JP2015023026A (ja) 二次電池
US10720631B2 (en) Battery and battery pack
KR101808135B1 (ko) 축전 모듈
KR20150069905A (ko) 전지 모듈
JP2013020851A (ja) 二次電池および組電池
JP2012190587A (ja) 二次電池
JP2019110097A (ja) 蓄電装置
JP2016197537A (ja) 電池モジュール
WO2018116735A1 (ja) 蓄電装置
KR20160049826A (ko) 전지의 플렉서블 리드탭, 이를 구비하는 전지셀 및 그 적층체
WO2019077922A1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CN113508492B (zh) 电化学电池模块
JP2016091718A (ja) 蓄電装置、及び、蓄電モジュール
JP2015210929A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86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130

Effective date: 2019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