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554A -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554A
KR20170136554A KR1020177031220A KR20177031220A KR20170136554A KR 20170136554 A KR20170136554 A KR 20170136554A KR 1020177031220 A KR1020177031220 A KR 1020177031220A KR 20177031220 A KR20177031220 A KR 20177031220A KR 20170136554 A KR20170136554 A KR 20170136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suction chamber
prime
suctio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0318B1 (ko
Inventor
데이비드 이. 플렛쳐
브라이언 엠. 그래이헨
제임스 에이치. 밀러
키이쓰 햄튼
Original Assignee
데이코 아이피 홀딩스 엘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코 아이피 홀딩스 엘엘시 filed Critical 데이코 아이피 홀딩스 엘엘시
Publication of KR2017013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04F5/464Arrangements of nozzles with inversion of the direction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8Control
    • F04F5/52Control of evacuating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연 엔진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흡입 챔버, 흡입 챔버쪽으로 수렴하며 이와 함께 유체 연통되는 원동 통로, 흡입 챔버로부터 떨어져 발산하며 이와 함께 유체 연통하는 배출 통로, 및 흡입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흡입 챔버 내에서 원동 통로의 원동 출구는 벤튜리 갭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배출 통로의 배출 입구와 이격되고 이와 정렬되며, 상기 흡입 통로는 흡입 통로로부터 배출 통로까지 흡입 유동의 방향으로 대략 180도 변화를 발생시키는 위치에서 흡입 챔버로 들어간다.

Description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
본 출원 발명은 2015년 4월 13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2/146,444 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출원 발명은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통의 원동 유량으로 생성된 증가된 흡입 유동을 갖는 상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 예컨대 차량 엔진은 크기가 작아지고 있고 또한 부스트식(boosted)이 되고 있어서, 엔진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진공이 감소하고 있다. 이 진공은, 차량 브레이크 부스터에 의한 사용을 포함하여, 많은 잠재적인 용도를 가지고 있다.
이 진공 부족에 대한 하나의 해결 방안은 진공 펌프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진공 펌프는 비용이 많이 들게 하고 또한 엔진에 중량 관련 불이익을 주며, 전력 소비로 인해 추가적인 교류 발전기(alternator) 용량이 필요할 수 있으며, 또한 그의 비효율성은 연비 개선 행위를 방해할 수 있다.
다른 방안은, 스로틀(throttle)과 병렬로 있는 엔진 공기 유동 경로(흡기 누출부라고 함)를 형성하여 진공을 생성하는 흡출기이다. 이 누출 유동은 흡입 진공을 생성하는 벤튜리(Venturi)를 통과한다. 현재 이용 가능한 흡출기의 문제점은, 흡출기가 생성할 수 있는 진공 질량 유량의 양이 제한되고, 그리고 흡출기가 소비하는 엔진 공기의 양에 의해 제한된다는 점이다.
증가된 흡입 질량 유량을 발생시키는 개선된 디자인에 대한 필요성, 특히 원동 유동이 부스트식 원동 유동일 때, 이러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장치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며, 특히 원동 유동이 부스트식 원동 유동일 때, 예컨대 터보과급식 또는 수퍼차저로부터 증가된 흡입 질량 유량을 생성한다. 상기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는 흡입 챔버, 흡입 챔버쪽으로 수렴하고 이와 함께 유체 연통되는 원동 통로, 흡입 챔버(suction chamber)로부터 발산하고 이와 함께 유체 연통되는 배출 통로, 및 흡입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흡입 챔버 내에서, 원동 통로의 원동 출구는 벤튜리 갭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배출 통로의 배출 입구로부터 이격되고 이와 정렬되며, 흡입 통로는 흡입 통로로부터 배출 통로까지 흡입 유동의 방향으로 대략 180도 변화를 발생시키는 위치에서 흡입 챔버로 들어간다.
상기 원동 통로 및 배출 통로 모두는 쌍곡선 또는 포물선 함수로써 단면적이 흡입 챔버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발산한다. 상기 원동 통로의 원동 출구는 원동 통로 내부에 제1 코너 반지름을 가지며, 상기 배출 입구는 흡입 챔버의 벽과 거의 동일 평면에 있고 제2 코너 반지름을 가지고 거기로 이행한다. 제2 코너 반지름은 바람직하게는 제1 코너 반지름보다 더 크며, 원동 출구의 단면적은 배출 입구의 단면적보다 더 작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들의 임의의 변형예에서의 원동 통로는 흡입 챔버로 돌출하고 상기 흡입 챔버의 하나 이상의 측벽 모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홈통(spout)에서 끝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홈통의 외부 표면 전체 주위에 흡입 유동을 제공한다. 상기 홈통의 외부 표면은 길이방향 단면에서 볼 때 하나 이상의 수렴 각도로 원동 통로의 출구 단부쪽으로 수렴하며, 흡입 챔버는 홈통 아래에 거의 둥근 내부 바닥을 갖는다.
상기 장치들의 다양한 실시예 모두에서, 상기 흡입 챔버는 대략 10mm 내지 25mm의 내부 너비를 가지며, 상기 흡입 챔버로의 유동을 제어하는 흡입 통로 내에 전기기계식 밸브를 갖는다. 상기 전기기계식 밸브는 통상 폐쇄된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이다.
상기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는 흡입 챔버, 흡입 챔버쪽으로 수렴하고 이와 함께 유체 연통되는 원동 통로, 흡입 챔버로부터 발산하고 이와 함께 유체 연통되는 배출 통로, 및 흡입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흡입 챔버 내에서, 원동 통로의 원동 출구는 벤튜리 갭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배출 통로의 배출 입구로부터 이격되고 이와 정렬되며, 상기 원동 통로는 상기 흡입 챔버로 돌출하고 상기 흡입 챔버의 하나 이상의 측벽 모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홈통에서 끝나며, 그로 인해 상기 홈통의 외부 표면 전체 주위에 흡입 유동을 제공한다.
상기 장치들의 다양한 실시예 모두에 있어서, 상기 흡입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배출 통로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홈통의 외부 표면은 상기 원동 통로의 출구 단부쪽으로 수렴한다. 또한, 상기 원동 출구는 원동 통로 내부에 제1 코너 반지름을 가지며, 상기 배출 입구는 흡입 챔버의 단부 벽과 거의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고 제2 코너 반지름을 가지고 거기로 이행한다. 제2 코너 반지름은 제1 코너 반지름보다 더 크며, 상기 원동 통로 및 배출 통로 모두는 쌍곡선 또는 포물선 함수로서 단면적이 흡입 챔버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발산할 수 있다. 원동 출구의 단면적은 배출 입구의 단면적보다 더 작고, 상기 흡입 챔버는 통상 홈통 아래의 둥근 내부 바닥을 가진다.
상기 장치들의 모든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기기계식 밸브는 상기 흡입 챔버로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흡입 통로에 배치된다. 상기 전기기계식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통상 폐쇄 위치에서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및 아래에 개시된 장치들과 같이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원동 통로에 유체 연결되는 부스트 압력원을 포함하며, 진공 요구 장치는 상기 흡입 통로에 유체 연결되고, 대기압은 상기 배출 통로에 유체 연결된다. 대기압은 상기 부스트 압력보다 더 낮다.
도 1a는 벤튜리 효과를 이용하여 진공을 생성하는 장치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원동 포트의 입구 단부만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단면선 A - A를 따라 취한, 도 1의 장치의 측면, 길이방향 단면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통상 원동 출구 단부로부터, 원동 포트 부분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파선으로 표시된 타원형(C) 안에서 도 1의 장치의 부분의 확대 측면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벤튜리 효과를 이용하여 진공을 생성하고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장치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장치의 측면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장치에서 발견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 및 도 6의 장치에서 발견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 및 도 6의 장치에서 발견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장치의 솔레노이드 밸브 부분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대한 부분 측면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설명할 것이며, 그 예들은 첨부 도면들에서 추가적으로 예시된다. 도면에서, 예컨대 제1 실시예를 제2 실시예로부터 구별하는 참조번호(100)과 참조번호(200)과 같이 첫 번째 숫자가 다를 때에도 동일한 참고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표시한다.
여기 사용된 바와 같은 "유체(fluid)"는 임의의 액체, 현탁액, 콜로이드, 가스, 플라즈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도 1a 내지 도 4는 벤튜리 효과를 이용하여 진공을 생성하는 장치(100)의 상이한 도면들을 도시한다. 장치(100)는, 예컨대 차량 브레이크 부스트 장치, 강제 환기식(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시스템, 연료 증기 캐니스터 제거 장치, 유압 및/또는 공압식 밸브 등과 같은 진공 요구 장치에 진공을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차량 엔진(내연 기관)과 같은 엔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장치(100)는 통로(104)(도 2)와 유체 연통하는 흡입 챔버(107)를 형성하는 하우징(106)을 포함하며, 통로는 원동 포트(motive port)(108)의 원동 입구(132)로부터 배출 포트(112)의 배출 출구(156)까지 연장한다. 장치(100)는 엔진 또는 엔진에 연결된 부품(components)에 연결 가능한 3 이상의 포트를 갖는다. 상기 포트는: (1)원동 포트(108); (2)선택적 체크 밸브(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진공 요구 장치(180)에 연결할 수 있는 흡입 포트(110); 및 (3)배출 포트(112)를 포함한다. 포트(108, 110, 112) 각각은, 원동 포트(108)에 대해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내 다른 부품 또는 호스(hose)에 각 포트를 연결하기 위해 외측 표면상에 연결 특징부(117)를 포함한다.
이제,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흡입 챔버(107)를 형성하는 하우징(106)은 원동 포트(108) 근처의 제1 단부 벽(120), 배출 포트(112) 근처의 제2 단부 벽(122) 그리고 제1 및 제2 단부 벽(120, 122) 사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124)을 포함한다. 횡단면도에서 볼 때, 흡입 챔버는 예컨대 둥근 최상부(148) 및 둥근 바닥부(149)를 갖는 거의 배 모양(pear-shaped)일 수 있으며, 둥근 최상부는 둥근 바닥부보다 더 좁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챔버(107)는 컨테이너(118a) 및 마개(118b)를 갖는 2-부분 구조체일 수 있으며, 마개(118b)는 유밀한 시일(fluid-tight seal)하도록 컨테이너(118a)의 림(rim)(119) 내부 또는 림에 접하여 안착된다. 여기서, 컨테이너(118a)는 흡입 포트(110) 및 배출 포트(112)를 포함하고, 마개(118b)는 원동 포트(108)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원동 포트를 포함하고 마개는 흡입 포트 및 배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 도 2를 참조하면, 원동 포트(108)는 흡입 챔버(107)쪽으로 수렴하며 이와 함께 유체 연통하는 원동 통로(109)를 형성하고, 배출 포트(112)는 흡입 챔버(107)로부터 발산하고 이와 함께 유체 연통하는 배출 통로(113)를 형성하며, 흡입 포트(110)는 흡입 챔버(107)와 유체 연통하는 흡입 통로(111)를 형성한다. 이러한 수렴 및 발산부는 점차적으로, 계속해서 내부 통로(109, 111, 113)의 적어도 일부의 길이를 따라 점점 가늘어진다. 원동 포트(108)는 원동 입구(132)를 갖는 입구 단부(130) 및 원동 출구(136)를 갖는 출구 단부(134)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흡입 포트(110)는 흡입 입구(142)를 갖는 입구 단부(140) 및 흡입 출구(146)를 갖는 출구 단부(144)를 포함하며, 원동 출구(136) 및 흡입 출구(146) 모두는 흡입 챔버(107)로 나간다. 배출 포트(112)는 배출 입구(152)를 갖는, 흡입 챔버(107) 근처의 입구 단부(150), 및 배출 출구(156)를 갖는, 흡입 챔버(107)로부터 떨어진 배출 단부(154)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통로(111)는, 흡입 통로(111)로부터 배출 통로(113)까지 흡입 유동의 방향으로 대략 180도 변화를 발생시키는 위치에서 흡입 챔버(107)로 들어간다. 따라서, 흡입 포트(110)는 배출 포트(112)와 통상 평행하다.
조립된 장치(100)에서,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챔버(107) 내에서, 원동 통로(109)의 출구 단부(134), 더욱 구체적으로는 원동 출구(136)는 벤튜리 갭(160)을 형성하기 위해 배출 통로(113)의 입구 단부(150)에서 일반적으로 배출 입구(152)로부터 이격되며 이와 정렬된다. 벤튜리 갭(160)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원동 출구(136)와 배출 입구(152) 사이의 선형 거리(linear distance)(VD)를 의미한다. 원동 출구(136)는 원동 통로(109) 내부에 제1 코너 반지름(162)을 가지며, 배출 입구(152)는, 흡입 챔버(107)의 제2 단부 벽(122)과 거의 동일 평면에 있고 제1 코너 반지름(162)보다 더 큰 제2 코너 반지름을 가지고 거기로 이행한다. 이러한 코너 반지름(162, 164)은, 곡률이 유동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전체 입구 및 출구 크기를 최대화하도록 돕는다는 이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원동 통로(109)는 흡입 챔버(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원동 통로(109)는 흡입 챔버(107)로 돌출하는 홈통(spout)(170)에서 종료하며, 이는 도 4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대략 10mm 내지 2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15mm 내지 20mm인 내부 너비(WI)를 갖는다. 홈통(170)은 흡입 챔버(107)의 하나 이상의 측벽(124) 모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그로 인해 홈통(170)의 외부 표면(172) 전체 주변에 흡입 유동을 제공한다. 외측 표면(172)은 거의 원추대이며 제1 수렴 각도(θ1)(도 3에 표시됨)를 가지고 원동 통로(109)의 출구 단부(134)쪽으로 수렴한다. 외측 표면(172)은 제1 단부 벽(120)보다 출구 단부(134)에 더 가까운 챔퍼(chamfer)(174)로 전환될 수 있다. 챔퍼(174)는 제1 수렴 각도(θ1)보다 더 큰 제2 수렴 각도(θ2)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퍼(174)는 거의 원형의 원추대 외부 표면(172)을 거의 더 둥근-사각형 또는 타원형 원추대 형상으로 바꾼다. 홈통(170) 아래의 흡입 챔버(107)의 바닥은 통상 둥근 내부 바닥을 가질 수 있다. 외부 표면(172), 및/또는 챔퍼(174), 및 흡입 챔버(107)의 내부 바닥의 형상은, 흡입 유동을 배출 입구(152)쪽으로 향하게 하며 유동 내 최소 방해/간섭을 가진다는 이점이 있다.
홈통(170)은 장치(100)의 구성을 위해 선택된 재료에 따라, 대략 0.5mm 내지 5mm, 또는 대략 0.5mm 내지 3mm, 또는 대략 1.0mm 내지 2.0mm일 수 있는 벽 두께(T)를 갖는다.
또한,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원동 출구(136)의 단면적은 배출 입구(152)의 단면적보다 더 작으며; 이러한 차이는 오프셋이라고 칭해진다. 단면적의 오프셋은 장치(100)가 통합되는 시스템의 파라미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프셋은 대략 0.1mm 내지 2.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0.3mm 내지 1.5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오프셋은 대략 0.5mm 내지 1.2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7mm 내지 1.0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장치(100)가 차량 엔진에서 사용될 때, 차랑 제조업자는 통상 엔진 또는 이의 부품에 흡인기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튜브/호스의 크기를 기반으로 원동 포트(108)와 배출 포트(112) 모두의 크기를 선택한다. 또한, 차량 제조업자는 통상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최대 원동 유량을 선택하며, 이것이 원동 출구 단부(134), 즉 원동 출구(136)에서 형성되는 내부 개구의 면적을 좌우한다. 이러한 제약 내에서 작동하면서, 개시된 장치(100)는 엔진의 부스트 조건 하에서 제공되는 보통의 원동 유량들에서 높은 흡입 유량들을 생산하려는 바램 사이의 타협점(compromise)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이 타협점의 감소는 흡입 포트(110)의 배향, 흡입 챔버(107)(내부 너비 및 형상을 포함), 원동 포트(108)의 홈통, 원동 출구 및 배출 입구의 오프셋, 원동 출구 및/또는 배출 입구에 코너 반지름을 부가의 구성을 바꾸고, 벤튜리 갭(VD)을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작동시, 장치(100), 특히 흡입 포트(110)는 진공 요구 장치(도 1에 도시됨)에 연결되며,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장치의 길이를 연장하는 통로(104) 및 벤튜리 갭(152)(도 4에 표시됨)을 통과하여, 유체, 통상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장치를 위한 진공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동 포트(108)는 원동 통로의 유체 연통을 위해 부스트 압력원(182)과 연결되며, 배출 통로는 배출 통로의 유체 연통을 위해 부스트 압력보다 낮은 대기압(184)과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방출기"라고 지칭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원동 포트(108)는 대기압에 연결될 수 있고 배출 포트는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장치(100)는 "흡출기"라고 지칭될 수 있다. 원동 포트로부터 배출 포트까지 유체(예를 들어, 공기)의 흐름은 원동 통로 아래로 유체를 이끌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직선 원추형, 쌍곡형 프로파일, 또는 포물선 프로파일일 수 있다. 면적의 감소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하도록 한다. 이는 둘러싸인 공간이기 때문에, 유체 매커니즘의 법칙은, 정압은 유체 속도가 증가할 때 반드시 감소한다고 되어있다. 수렴하는 원동 통로의 최소 단면적은 벤튜리 갭에 인접한다. 공기가 계속 배출 포트로 이동할 때, 공기는 배출 입구 및 수렴하는 배출 통로를 통해 이동하며, 직선 원추형, 쌍곡형 프로파일, 또는 포물선 프로파일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배출 통로는, 배출 출구와 만날 때까지 직선, 쌍곡선 프로파일, 또는 포물선 프로파일일 수 있거나, 또는 배출 출구에 도달하기 전에 단순 원통형 또는 테이퍼형 통로로 전환할 수 있다.
흡입 포트(110)로부터 벤튜리 갭(160)으로의 공기의 유량의 증가를 위해, 벤튜리 갭의 면적은 제1 원동 통로(109)의 전체 내부 크기의 증가 없이 배출 입구(152)의 둘레를 증가시킴으로써 (아마도 질량 유량의 증가 없이) 증가된다. 특히, 원동 출구(136) 및 배출 입구(152)는 2014년 6월 3일에 출원된 공동 소유된 미국 특허 출원 제 14/294,727 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원형이며, 그 이유는 원형 단면적을 갖는 통로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비원형 형상이 면적에 대한 둘레의 비율이 증가한 것이기 때문이다. 원형이 아니며, 각각 둘레 및 단면적을 갖는 무한한 수의 가능한 형상이 있다. 이는 다각형, 또는 서로에 연결된 직선 선분, 비원형 곡선, 및 심지어 프렉탈 곡선을 포함한다.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곡선은 단순하고 만들고 점검하기 쉬우며, 바람직한 둘레 길이를 가져야한다. 특히, 원동 및 배출 통로의 내부 단면적에 대한 타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실시예들은 전술된 공동 소유된 특허 출원에서 논의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원동 출구의 제1 코너 반지름 및 배출 입구의 제2 코너 반지름에 의해 추가로 향상된 둘레의 증가는, 흡입 유동의 증가를 초래하면서, 벤튜리 갭과 흡입 포트 사이의 교차면적을 증가시킨다는 이점을 다시 제공한다.
그래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통로(109) 및 배출 통로(113)는 단면적에서 모두 쌍곡선 또는 포물선 함수으로서 흡입 챔버(107)쪽으로 수렴한다. 원통 입구(132) 및 배출 출구(156)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일 수 있으며, 통상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2에서, 원동 입구(132) 및 배출 출구(156)는 원형으로서 묘사되지만, 원동 출구(136) 및 배출 입구(152)(즉, 각 개구의 내부 형상)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 형상이다. 다른 다각형 형상도 또한 가능하며, 장치가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 내부 형상으로 제한된다고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원동 통로(109) 및/또는 배출 통로의 내부는 동일한 일반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된 공동 계류중인 특허 출원의 도 7에서 도시된 형상은 면적(A1)을 갖는 원형 개구로서 원동 입구 단부(130)에서 시작하며, 면적(A1)보다 작은 면적(A2)을 갖는 원동 출구(136)에서 타원 개구까지 점차적, 계속적으로 쌍곡선 함수으로서 변환된다. 원동 입구 단부(130)에서 원형 개구는 쌍곡선에 의해 타원형의 원동 출구(136)에 연결되며, 이는 서로 평행한 원동 출구(136)에서 흐름 선의 이점을 제공한다.
흡입 포트(110)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 통로(1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일정한 크기(들)의 원통형 통로이며, 또는 이것은 흡입 챔버(107)쪽으로 수렴하는 길이에 따른 쌍곡선 또는 포물선 함수에 따라 또는 원뿔로서 점차적, 계속적으로 가늘어진다.
이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통상 참조 번호(200)로 지칭되는, 벤튜리 효과를 이용하여 진공을 생성하는 제2 장치는 도 1a 내지 도 4에서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또는 유사한 특징부를 갖는다고 설명된다. 장치(200)는 흡입 포트(210)를 통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26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장치(100)와는 상이하다. 도 5 내지 도 9에서 반복되는 전술된 특징부들은, 참조번호(2)로 시작하는 것 외에는 동일한 숫자이며, 예컨대 이러한 특징부들의 설명은 아래에 중복되지 않는다.
솔레노이드 밸브(260)는 관통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흡입 통로(211) 내에 안착된다. 솔레노이드 밸브(260)는 마개(218b) 내, 컨테이너(218a) 내, 또는 양쪽 모두의 부분 내에서 형성되는 리셉타클(258)에 안착될 수 있으며, 챔버(207) 내, 특히 제2 단부 벽(222)의 내부 표면에 접하여 안착되고 솔레노이드 밸브(260)의 시일링 부재(266)에 연결되는 스프링(259)을 포함한다. 도 6에서, 솔레노이드 밸브(260)는 마개(218b)에서 형성되는 리셉타클(258)에 안착된다. 리셉타클(258)은 함께 내장된 시일 시트 또는 유밀한 결합으로 솔레노이드 밸브(260)의 시일링 부재(266)를 함께 결합하기 위해 내부에 장착되는 시일 시트(262)를 갖는다. 시일 시트(262)는 흡입 통로(211)와 유체 정렬되어 관통하는 보어(274)(도 7에 나타남)를 형성한다. 보어(274)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흡입 통로(211)를 막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260)의 제1 코어(264) 내의 보어(278)보다 더 작다. 시일 시트(262)는 또한 윤곽면 또는 경사면(276)을 포함하며 이에 대해 시일링 부재(266)가 안착된다.
솔레노이드 밸브(260)는, 도 7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제1 코어(264), 시일링 부재(266), 보빈(268)에 감긴 코일(270), 및 제2 코어(272)를 포함한다. 제1 코어(264), 제2 코어(272), 및 시일링 부재(266)는 손쉽게 자속을 전도하는 재료로부터 모두 만들어진다. 제1 코어(264)는 관통하는 보어(278)를 형성하는 바닥부(277)를 갖는 거의 컵-형상이다. 보어(278)는 시일링 부재(266)의 외측 치수 또는 외측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시일링 부재-수용부(278)를 포함하므로, 시일링 부재(266)는 시일링 시트(262), 및 시일링 부재-수용부(278)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유동 채널(280)과의 결합의 안팎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여 이동 가능하며, 이는 도 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동 채널(280)은 시일링 부재(266) 주위에 및 하우징(206)에 의해 형성된 챔버(207)내로 유체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코어(272)는 시일링 부재(266) 및 보빈(268)에 감기는 코일(270)을 위한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코어(264)에 결합 가능한 통상 평면 디스크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코어는 통상 평면의 디스크이며 제2 코어는 통상 컵형상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코어는 각각 통상 컵형상일 수 있고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통상 2개의 평평한 코어일 수 있으며, 하나는 참조번호(272)로서 만들어지고, 다른 하나는 바닥부(264)로서 만들어지며, 제3 부재는 축 부분(264)같은 형상을 한 통상 원통형 부품일 수 있다.
제2 코어(272)는 관통하는 보어(295)를 형성한다. 보어(295)는 시일링 부재의 외측 크기와 유사하고 스프링(259)의 외측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시일링 부재-시트부(296), 및 시일링 부재-시트부(296)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방출하는 복수의 유동 채널(298)을 포함하며, 이는 도 9에서 가장 잘 도시된다. 시일링 부재-시트부(296)는 대향하는 시일링 부재(266)의 결합부를 수용하도록 윤곽이 나타나거나 경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일링 부재-시트부(296)는 통상 원뿔 모양의 리셉타클을 형성한다. 스프링(259)은 시일링 부재(266)에 연결되며 폐쇄된 위치에서 시일 시트(262)와의 결합으로 시일링 부재(262)를 편향(bias)시킨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일링 부재(266)는 시일링 부재(266)의 단부에 대해 안착되는 스프링(259)의 제1 단부를 갖는 고형체이다. 그러나, 도 1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일링 부재(266')는 내부가 비어 있고(즉, 공동 코어(hollow core)(267)) 공동 코어(267)에서 스프링(259)의 제1 단부를 수용한다. 양쪽 실시예에서, 유동 채널들(298)은, 하우징(206)에 의해 형성되는 챔버(207)로의 시일링 부재(266, 266') 주위의 유체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260)를 통과하는 최대 유체 흐름에 대해, 제1 코어(264)의 유동 채널들(280) 및 제2 코어(272)의 유동 채널들(298)은 서로에 대해 정렬된다.
보빈(268)은 코어(271)를 형성하며, 시일링 부재(266)는 여기에 배치되고 변환 가능하다. 코어(271)는 보빈의 코어를 형성하는 이격된 가이드 부재들(294) 사이에서 유동 채널들(293)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94)는 시일링 부재(266)의 세로축에 평행하게 배향되며, 이것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변환될 때 시일링 부재(266)를 이끈다. 여기서, 솔레노이드 밸브(260)를 통과하는 최대 유체 흐름에 대하여, 유동 채널들(298)은 제1 코어(264)의 유동 채널들(280) 및 제2 코어(272)의 유동 채널들(298)과 정렬된다. 보빈(268)에 감긴 코일(270)은 솔레노이드 밸브(260)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류원에 연결 가능한 전기 연결부들(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전기 연결부들은 엔진 설계자에게 장치(200)에 의해 생성된 흡입 유동(진공)의 제어를 위한 과잉 옵션을 제공한다.
도 6 내지 도 9의 시일링 부재(266)를 참조하면, 제1 윤곽 단부(290) 및 제2 윤곽 단부(292)를 갖는 통상 장형 몸체(289)를 가진다. 장형 몸체(289)는 원통형이며, 제1 단부(290)는 시일링 시트(262)의 윤곽면 또는 경사면(276)에 대해 안착하는 통상 원뿔 형상의 외부 표면을 갖는다. 제2 단부(292)는 또한 통상 원뿔 형상의 외부 표면이다. 제2 단부(292)는 제2 코어(272)의 시일링 부재 시트부(296)에 대해 안착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일링 부재(266)는 핀틀(pintle)로서 지칭될 수 있다. 시일링 부재(266)는 자성 특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며, 이는 제1 및 제2 코어(264, 272)에 의해 생성된 자속(magnetic flux)에 대응하여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의 솔레노이드 밸브(260)는 보통 스프링(259)의 위치를 기반으로 폐쇄된다. 전류가 코일(270)에 적용되는, 작동 상태일 때, 자속은 제1 및 제2 코어(264, 272)를 통해 생성되며, 이는 제2 코어(272), 특히 시일링 부재 시트부(296)와 결합하는 쪽으로 또는 결합하여 시일링 부재(262)를 이동시키며, 이는 개방 위치를 형성한다.
장치(200) 내 솔레노이드 밸브(260)의 추가는 제어기, 예컨대 자동차 엔진 컴퓨터의 이용을 통한 선택된 엔진 상태를 기반으로 흡입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단순하고, 저렴하며, 소형의 작동식 밸브의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단지 시스템 내 압력 변화에 반응하여 개방하고 폐쇄하는 체크 밸브에 대해 이점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260)는 보통 폐쇄된 밸브이며, 이는 스프링의 위치가 이것을 제어기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대응하여 폐쇄되는 통상 개방 밸브로 만들기 위해 바뀔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차량 엔진에서 사용되는 다른 적절한 재료(들)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는 엔진 및 온도, 습도, 압력, 진동, 및 먼지와 잔해를 포함한 도로 조건을 견딜 수 있으며, 사출 성형 또는 다른 주조 또는 몰딩 공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에 관해 도시되고 기재되었을지라도,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함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변형예들이 발생할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수정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Claims (20)

  1.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에 있어서,
    흡입 챔버, 상기 흡입 챔버쪽으로 수렴하며 이와 함께 유체 연통되는 원동 통로, 상기 흡입 챔버로부터 떨어져 발산하며 이와 함께 유체 연통하는 배출 통로, 및 상기 흡입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챔버 내에서 상기 원동 통로의 원동 출구는 벤튜리 갭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상기 배출 통로의 배출 입구로부터 이격되고 이와 정렬되며;
    상기 흡입 통로는 흡입 통로로부터 배출 통로까지 흡입 유동의 방향으로 대략 180도 변화를 발생시키는 위치에서 상기 흡입 챔버로 들어가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 통로 및 상기 배출 통로 모두는 쌍곡선 또는 포물선 함수로서 단면적이 흡입 챔버로부터 이격되어 발산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 출구는 상기 원동 통로 내부에서 제1 코너 반지름을 가지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입구는 상기 흡입 챔버의 벽과 거의 동일평면에 있고 제2 코너 반지름을 가지고 거기로 이행하며, 상기 제2 코너 반지름은 상기 제1 코너 반지름보다 더 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 출구의 단면적은 상기 배출 입구의 단면적보다 작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 통로는 상기 흡입 챔버로 돌출하고 상기 흡입 챔버의 하나 이상의 측벽 모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홈통에서 끝나며, 그로 인해 상기 홈통의 외부 표면 전체 주위에 흡입 유동을 제공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의 외부 표면은 길이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 하나 이상의 수렴 각도로 상기 원동 통로의 출구 단부쪽으로 수렴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챔버는 홈통 아래에 거의 둥근 내부 바닥을 갖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챔버는 대략 10mm 내지 25mm의 내부 너비를 갖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챔버로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상기 흡입 통로 내의 전기기계식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식 밸브는 통상 폐쇄된 위치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장치.
  12. 벤튜리 효과를 이용하는 진공 생성 장치에 있어서,
    흡입 챔버, 상기 흡입 챔버쪽으로 수렴하며 이와 함께 유체 연통되는 원동 통로, 상기 흡입 챔버로부터 떨어져 발산하며 이와 함께 유체 연통하는 배출 통로, 및 상기 흡입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챔버 내에서 상기 원동 통로의 원동 출구는 벤튜리 갭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상기 배출 통로의 배출 입구로부터 이격되고 이와 정렬되며,
    상기 원동 통로는 상기 흡입 챔버로 돌출하고 상기 흡입 챔버의 하나 이상의 측벽 모두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홈통에서 끝나며, 그로 인해 상기 홈통의 외부 표면 전체 주위에 흡입 유동을 제공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통로는 상기 배출 통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의 외부 표면은 상기 원동 통로의 출구 단부쪽으로 수렴하는,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 출구는 상기 원동 통로의 내부에 제1 코너 반지름을 가지며;
    상기 배출 입구는 상기 흡입 챔버의 단부 벽과 거의 동일평면에 있고 제2 코너 반지름을 가지고 거기로 이행하며, 상기 제2 코너 반지름은 상기 제1 코너 반지름보다 더 큰,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 통로 및 배출 통로 모두는 쌍곡선 또는 포물선 함수로서 단면적이 흡입 챔버로부터 이격되어 발산하는,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 출구의 단면적은 상기 배출 입구의 단면적보다 더 작고, 상기 흡입 챔버는 통상 상기 홈통 아래의 거의 둥근 내부 바닥을 갖는,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챔버로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상기 흡입 통로 내의 전기기계식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식 밸브는 통상 폐쇄된 위치에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장치.
  20. 시스템에 있어서,
    벤튜리 효과를 이용하여 진공을 생성하는 장치;
    상기 원동 통로에 유체 연결되는 부스트 압력원;
    상기 흡입 통로에 유체 연결되는 진공 요구 장치; 및
    상기 배출 통로에 유체 연결되는 대기압;을 포함하며,
    상기 대기압은 상기 부스트 압력보다 낮고,
    상기 진공 생성 장치는:
    흡입 챔버, 상기 흡입 챔버쪽으로 수렴하며 이와 함께 유체 연통되는 원동 통로, 상기 흡입 챔버로부터 떨어져 발산하며 이와 함께 유체 연통하는 배출 통로, 및 상기 흡입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흡입 통로를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챔버 내에서 상기 원동 통로의 원동 출구는 벤튜리 갭을 형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상기 배출 통로의 배출 입구로부터 이격되고 이와 정렬되며, 상기 흡입 통로는 흡입 통로로부터 배출 통로까지 흡입 유동의 방향으로 대략 180도 변화를 발생시키는 위치에서 상기 흡입 챔버로 들어가는, 시스템.
KR1020177031220A 2015-04-13 2016-04-13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 KR102360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46444P 2015-04-13 2015-04-13
US62/146,444 2015-04-13
PCT/US2016/027229 WO2016168261A1 (en) 2015-04-13 2016-04-13 Devices for producing vacuum using the venturi effe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554A true KR20170136554A (ko) 2017-12-11
KR102360318B1 KR102360318B1 (ko) 2022-02-08

Family

ID=5711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220A KR102360318B1 (ko) 2015-04-13 2016-04-13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16864B2 (ko)
EP (1) EP3283025B1 (ko)
JP (1) JP6554552B2 (ko)
KR (1) KR102360318B1 (ko)
CN (1) CN107427386B (ko)
BR (1) BR112017022110B1 (ko)
WO (1) WO2016168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7963B2 (en) * 2013-06-11 2017-11-28 Dayco Ip Holdings, Llc Aspirators for producing vacuum using the Venturi effect
BR112018004023B1 (pt) * 2015-08-28 2022-09-20 Dayco Ip Holdings, Llc Restritores utilizando o efeito venturi
US9802591B2 (en) * 2015-11-13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n aspirator for a brake booster
US9796368B2 (en) * 2015-11-13 2017-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n aspirator for a brake booster
CN110313292A (zh) * 2018-03-30 2019-10-11 京蓝沐禾节水装备有限公司 文丘里管施肥装置
CN108273805B (zh) * 2018-04-09 2023-05-26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涵道式真空发生器及其真空管体
US11408380B2 (en) * 2020-12-24 2022-08-09 Dayco Ip Holdings, Llc Devices for producing vacuum using the Venturi effect having a hollow fletch
DE102021202671A1 (de) * 2021-03-18 2022-09-22 Vitesco Technologies GmbH Mischrohrrohling, Mischrohr, Mischrohraufnahme, Saugstrahlpump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2514648B1 (ko) * 2021-04-22 2023-03-29 고영추 진공 발생장치
CN117248996B (zh) * 2023-11-17 2024-01-09 山东比沃斯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柴油发电机组污垢处理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4315B1 (en) * 1999-12-15 2001-07-03 The Young Industries, Inc. Eductor wand for bulk particulate materials
US20040094848A1 (en) * 2002-08-01 2004-05-20 Lange Neville Ernest Gas eductors and gas eductor flotation separators
US7926502B1 (en) * 2009-06-18 2011-04-19 Vortex Systems (International) Ci Jet ring assembly and method for cleaning eductors
US20120080134A1 (en) * 2005-01-20 2012-04-05 Jaime Leonard Harris Eductor assembly with dual-material eductor body

Family Cites Families (1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069A (en) * 1882-08-01 Injector
GB190603061A (en) 1906-02-08 1906-11-29 Rankin Kennedy Improvements in Silencing and Cooling the Exhaus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in Apparatus therefor
US1845969A (en) 1928-04-02 1932-02-16 Trico Products Corp Suction augmenting device
US2037884A (en) 1932-11-11 1936-04-21 Burgess Lab Inc C F Silencer
US2044088A (en) * 1933-12-11 1936-06-16 U S Submarine Motorship Dredge Hydraulic material elevator
US2183561A (en) 1938-03-17 1939-12-19 Clyde M Hamblin Mechanical foam generator
US2274276A (en) 1938-06-25 1942-02-24 Trico Products Corp Valve
US2449683A (en) 1943-04-16 1948-09-21 John D Akerman Differential pressure valve
US2382391A (en) 1944-01-24 1945-08-14 Berman Philip Eductor
US2396290A (en) 1945-03-01 1946-03-12 Schwarz Sigmund Sludge pump
US2799467A (en) * 1949-01-18 1957-07-16 Rockwell Mfg Co Venturi valve
US2512479A (en) 1949-02-17 1950-06-20 Callejo Modesto Backflow preventer
US2626009A (en) 1950-04-11 1953-01-20 Houdaille Hershey Corp Air cleaner, intake silencer, and carburetor housing unit
US2790595A (en) 1950-09-20 1957-04-30 Metallgesellschaft Ag Steam jet apparatus
US2954091A (en) 1956-06-18 1960-09-27 Gen Motors Corp Cleaner silencer assembly
US2905268A (en) 1956-10-29 1959-09-22 Gen Motors Corp Cleaner silencer assembly
US3064878A (en) 1958-01-03 1962-11-20 Nash Engineering Co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performance evacuation system
US3018799A (en) * 1958-02-20 1962-01-30 Willy B Volkmann Water surge arrester
US3145728A (en) 1960-08-19 1964-08-25 Vance C Sterrett Water feed control valve for watering troughs
US3234932A (en) 1960-09-19 1966-02-15 Forrest M Bird Respirator
US3093153A (en) 1961-09-14 1963-06-11 Berg Airlectro Products Co Quick release valve
US3236284A (en) * 1963-01-02 1966-02-22 Joseph W Kemper Monitoring system for a combustion apparatus and the like
US3239131A (en) 1963-03-18 1966-03-08 Nash Engineering Co High vacuum ejector pump with automatic cut-in valve
US3430437A (en) 1966-10-05 1969-03-04 Holley Carburetor Co Automotive exhaust emission system
GB1250161A (ko) * 1968-03-12 1971-10-20
DE1750021A1 (de) 1968-03-21 1971-01-07 Fichtel & Sachs Ag Ventileinrichtung fuer hydraulische,pneumatische oder hydropneumatische Einrichtungen
US3592438A (en) * 1968-06-14 1971-07-13 Tecalemit Engineering Solenoid valves
US3826281A (en) 1969-10-29 1974-07-30 Us Navy Throttling ball valve
US3754841A (en) 1971-05-14 1973-08-28 Bendix Corp Vacuum intensified brake booster system
US3698510A (en) 1971-08-04 1972-10-17 Blatt Leland F Safety silencer air nozzle
GB1402996A (en) * 1971-10-28 1975-08-13 Plessey Co Ltd Fuel-supply systems for gas-turbine engines
SE381704B (sv) * 1972-07-19 1975-12-15 Cerac Inst Sa Sett och anordning for generering av vetskestralpulser av hog hastighet for eroderande bearbetning
US3842932A (en) 1972-11-01 1974-10-22 S Gibel Sound-trap muffler
SE377146B (ko) 1973-10-15 1975-06-23 Ba Installationsutveckling Ab
US4070292A (en) * 1975-08-25 1978-01-24 American Water Recycling Company Apparatus for treating sewage
US4208921A (en) 1977-04-11 1980-06-24 Keyes John H Flywheel energy accumulator
DE2717685C3 (de) 1977-04-21 1981-04-02 Audi Nsu Auto Union Ag, 7107 Neckarsulm Brennkraftmaschine für Kraftfahrzeuge
US4308138A (en) 1978-07-10 1981-12-29 Woltman Robert B Treating means for bodies of water
US4354492A (en) 1979-04-16 1982-10-19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Medical administration set with backflow check valve
IT1134984B (it) * 1981-01-09 1986-08-20 Alfa Romeo Spa Dispositivo per la regolazione automatica del regime di rotazione di un motore a scoppio funzionante al minimo a vuoto
US4380418A (en) 1981-02-25 1983-04-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cuum pressure selection and generation device
IT8104805V0 (it) 1981-03-31 1981-03-31 Panda Srl Silenziatore di scarico, in particolare per pistole e attrezzature pneumatiche
DE3147708A1 (de) 1981-11-27 1983-06-16 Mecano-Bundy Gmbh, 6900 Heidelberg Rueckschlagventil eines kfz-bremskraftverstaerkers
US4499034A (en) 1982-09-02 1985-02-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Vortex-augmented cooling tower-windmill combination
AU545569B2 (en) 1982-09-16 1985-07-1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acuum source device
US4554786A (en) 1982-09-16 1985-11-26 Nissin Kogyo Kabushiki Kaisha Vacuum source device for vacuum booster for vehicles
US4519423A (en) 1983-07-08 1985-05-2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Mixing apparatus using a noncircular jet of small aspect ratio
US4634559A (en) 1984-02-29 1987-01-06 Aluminum Company Of America Fluid flow control process
US4556086A (en) 1984-09-26 1985-12-03 Burron Medical Inc. Dual disc low pressure back-check valve
IL74282A0 (en) 1985-02-08 1985-05-31 Dan Greenberg Multishaft jet suction device
US4646482A (en) * 1985-11-12 1987-03-03 Clements National Company Recirculating sandblasting machine
US4683916A (en) 1986-09-25 1987-08-04 Burron Medical Inc. Normally closed automatic reflux valve
US4759691A (en) 1987-03-19 1988-07-26 Kroupa Larry G Compressed air driven vacuum pump assembly
DE3809837A1 (de) 1987-03-27 1988-10-20 Enfo Grundlagen Forschungs Ag Ventilplatte, insbesondere verschluss- oder daempferplatte
JPH01111878U (ko) 1988-01-22 1989-07-27
US4893654A (en) 1988-07-08 1990-01-16 Feuz John G Double check valve backflow preventer assembly
US4951708A (en) 1988-11-30 1990-08-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cuum check valve
NL9000339A (nl) 1990-02-13 1991-09-02 System Engineering & Component Drukvalreductie-inrichting, en klep voorzien van een drukvalreductie-inrichting.
JPH03504627A (ja) 1989-03-17 1991-10-09 カザンスキイ ヒミコ‐テクノロギチェスキイ インスチチュート イーメニ エス.エム.キロワ ガス・ジェット・エゼクター
US4938309A (en) 1989-06-08 1990-07-03 M.D. Manufacturing, Inc. Built-in vacuum cleaning system with improved acoustic damping design
CN2059945U (zh) * 1989-11-14 1990-08-01 天津市同达机电技术开发公司 多功能真空发生器
US5005550A (en) 1989-12-19 1991-04-09 Chrysler Corporation Canister purge for turbo engine
US5167046A (en) * 1990-04-09 1992-12-01 Benson Ronald C Induction vacuum
US5069062A (en) 1990-09-28 1991-12-03 Arctic Fox Heaters, Inc. Fluid dam and pressure test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5108266A (en) 1991-05-29 1992-04-28 Allied-Signal Inc. Check valve with aspirating function
US5188141A (en) 1991-12-03 1993-02-23 Siemens Automotive Limited Vacuum boost valve
CH685454A5 (de) 1992-03-11 1995-07-14 Inventa Ag Rückschlagventil.
US5291916A (en) 1992-12-28 1994-03-08 Excel Industries, Inc. Check valve
US5326942A (en) 1993-02-09 1994-07-05 Schmid Jerry W Noise suppression muffler for moisture laden exhaust gases & method
DE4310761C2 (de) 1993-04-01 1995-10-12 Kayser A Gmbh & Co Kg Strahlpumpe
US5273068A (en) 1993-04-20 1993-12-28 Duren Gary S Air admittance valve for resisting high internal pressure
US5431346A (en) 1993-07-20 1995-07-11 Sinaisky; Nickoli Nozzle including a venturi tube creating external cavitation collapse for atomization
JPH08174860A (ja) 1994-10-26 1996-07-0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DE69535095D1 (de) * 1995-02-23 2006-08-10 Ecolab Inc Vorrichtung zum austeilen von gebrauchsfertiger visköser lösung sowie deren verwendung zum austeilen
SE503815C2 (sv) 1995-06-22 1996-09-09 Durgo Ab Luftningsventil
US6035881A (en) 1997-05-15 2000-03-14 Walter Alfmeier Ag Prazisions-Baugruppenelemente Checkvalve unit
US6163239A (en) * 1997-08-25 2000-12-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uty driven solenoid valve
US6192911B1 (en) 1999-09-10 2001-02-27 Ronald L. Barnes Venturi injector with self-adjusting port
US6382931B1 (en) 1998-02-24 2002-05-07 Respironics, Inc. Compressor muffler
US6132629A (en) 1998-10-20 2000-10-17 Roger J. Bole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or intermittent supply of ozonated water
US6308731B1 (en) 1999-06-25 2001-10-30 Itz Corporation Vent valve
US6325602B1 (en) 1999-09-23 2001-12-04 John J. Rademacher Automotive vacuum pump
CN2400655Y (zh) 1999-11-23 2000-10-11 屠申富 车用限压单向阀
JP2001295800A (ja) 1999-12-08 2001-10-26 Myotoku Ltd エゼクタ式真空発生器
US6623154B1 (en) 2000-04-12 2003-09-23 Premier Wastewater International, Inc. Differential injector
AT412303B (de) 2000-04-18 2004-12-27 Hoerbiger Ventilwerke Gmbh Ventil
US6619322B1 (en) 2000-07-27 2003-09-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Fast-acting valve
BR0207935A (pt) 2001-03-07 2004-03-02 Hengst Gmbh & Co Kg Dispositivo para a evacuação de ar do carter de uma máquina de combustão interna
US6626249B2 (en) 2001-04-24 2003-09-30 Robert John Rosa Dry geothermal drilling and recovery system
WO2003023229A1 (fr) 2001-09-06 2003-03-20 Ulvac, Inc. Systeme de pompe a vide et procede de fonctionnement d'un systeme de pompe a vide
CA2364735C (en) 2001-12-11 2009-11-03 Jan A. Korzeniowski Air aspirator-mixer
US6988510B2 (en) 2002-03-22 2006-01-24 Halkey-Roberts Corporation Disc check valve
US20050061378A1 (en) 2003-08-01 2005-03-24 Foret Todd L. Multi-stage eductor apparatus
CN1279868C (zh) 2003-08-26 2006-10-18 苏州金莱克清洁器具有限公司 吸尘器消音装置
US20050121084A1 (en) 2003-12-04 2005-06-09 Danfoss Flomatic Corporation Ball check valve
US7673653B2 (en) 2004-06-17 2010-03-09 Filtertek Inc. Check valve
US20060016477A1 (en) 2004-07-23 2006-01-26 Algis Zaparackas Vacuum enhancing check valve
SE528482C2 (sv) 2005-05-25 2006-11-28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Bromsservosystem i en förbränningsmotor av typ Otto
CA2517785C (en) 2005-09-01 2009-06-02 Masco Canada Limited Check valve
SE528162C2 (sv) 2005-10-27 2006-09-19 Xerex Ab Ejektor med monteringshylsa, samt monteringsförfarande
US20070152355A1 (en) 2005-12-30 2007-07-05 Hartley John D Cylindrical insert fluid injector / vacuum pump
KR100629994B1 (ko) 2005-12-30 2006-10-02 한국뉴매틱(주) 진공 이젝터 펌프
WO2007140519A1 (en) 2006-06-05 2007-12-13 Cullin Innovation Pty Ltd Fluid regulator
JP4238882B2 (ja) 2006-06-09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ゼクタシステム
JP2007327453A (ja) 2006-06-09 2007-12-20 Advics:Kk 負圧式倍力装置用エゼクタ
KR100767486B1 (ko) 2006-06-26 2007-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부압 증폭기
EP2044352A4 (en) 2006-07-25 2013-01-23 Waters Technologies Corp NON-RETURN VALVE WITH FLEXIBLE SEAL
JP2008128150A (ja) 2006-11-23 2008-06-05 Aisan Ind Co Ltd エゼ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ブレーキブースタ用負圧供給装置
US7353812B1 (en) 2007-03-14 2008-04-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engine with integral vacuum generator
RU2329410C1 (ru) * 2007-04-12 2008-07-20 Зиновий Дмитриевич Хоминец Скважинная струйная установка эмпи-угис-(31-40)д
US7628170B2 (en) 2007-09-05 2009-12-08 Emerson Electric Co. Flow control valve
CN201109426Y (zh) 2007-12-04 2008-09-03 上海汽车制动系统有限公司 真空增强型单向阀
JP5085348B2 (ja) 2008-01-16 2012-11-2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弁装置
DE102008029822A1 (de) 2008-06-25 2009-12-31 Gardner Denver Schopfheim Gmbh Pumpe
US8136548B2 (en) 2008-08-08 2012-03-20 Watertite Products, Inc. Air admittance valve
DE102008057393A1 (de) 2008-11-14 2010-05-20 Schaeffler Kg Rückschlagventil in Patronenbauform
CN201377408Y (zh) 2009-03-31 2010-01-06 台州职业技术学院 适用于干式真空泵的组合式消声器
US20110186151A1 (en) 2010-02-04 2011-08-04 Bernard Joseph Sparazynski Check valve
US8925520B2 (en) 2010-03-10 2015-0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ake system including vacuum aspirator
JP5538004B2 (ja) 2010-03-12 2014-07-02 Ckd株式会社 圧力制御装置
US9242260B2 (en) * 2010-04-01 2016-01-26 Proven Technologies, Llc Directed multiport eductor and method of use
DE102010033091A1 (de) 2010-08-02 2012-02-0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ydraulisches Spannausgleichselement
CN201907500U (zh) 2010-12-22 2011-07-27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用单向阀
KR101219346B1 (ko) * 2011-06-09 2013-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용 수소연료 공급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040455B (zh) 2011-08-17 2016-06-29 亨德里克森美国有限责任公司 车轴通气系统
US10337628B2 (en) 2012-02-20 2019-07-02 Nyloncraft Incorporated High mass flow check valve aspirator
US9022007B2 (en) 2012-03-09 2015-05-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hrottle valve system for an engine
US8783231B2 (en) 2012-03-12 2014-07-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nturi for vapor purge
CN102606544B (zh) * 2012-04-18 2015-04-01 王伟光 真空发生器
US9027536B2 (en) 2012-06-26 2015-05-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ankcase ventilation and vacuum generation
US9097149B2 (en) 2012-07-13 2015-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spirator for crankcase ventilation and vacuum generation
US9239034B2 (en) 2012-09-12 2016-0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jector system for a vehicle
US9108607B2 (en) 2012-11-07 2015-08-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vacuum generation
US9074523B2 (en) 2012-11-16 2015-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cuum-actuated wastegate
US8839607B2 (en) 2012-12-13 2014-09-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jector in conjunction with post-catalyst exhaust throttle for vacuum generation
US9441557B2 (en) 2012-12-13 2016-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vacuum generation
EP2935899B1 (en) 2012-12-21 2021-12-08 Piab Aktiebolag Vacuum ejector nozzle with elliptical diverging section
CA2888540A1 (en) 2013-01-14 2014-08-14 Dayco Ip Holdings, Llc Piston actuator controlling a valv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243595B2 (en) 2013-01-17 2016-0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ath purge ejector system
CA2900531A1 (en) 2013-02-07 2014-08-14 Interface Performance Materials, Inc. Gasket with high temperature coating
US9133796B2 (en) 2013-03-08 2015-09-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ath purge ejector system
US9827963B2 (en) * 2013-06-11 2017-11-28 Dayco Ip Holdings, Llc Aspirators for producing vacuum using the Venturi effect
CN105283646B (zh) 2013-06-13 2017-12-29 戴科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气动压缩机再循环阀系统
CN203394893U (zh) 2013-07-17 2014-01-15 温州金业气动科技有限公司 真空发生器
CN103407441A (zh) 2013-08-16 2013-11-27 河北亚大汽车塑料制品有限公司 文氏阀以及真空助力装置
US9328702B2 (en) 2013-10-24 2016-05-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ultiple tap aspirator
US9382882B2 (en) 2013-10-29 2016-07-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spirator motive flow control for vacuum generation and compressor bypass
US9227610B2 (en) 2013-11-25 2016-0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cuum brake booster vacuum enhancer
US10166961B2 (en) 2013-12-05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cuum scavenging in hybrid vehicles
US10221867B2 (en) 2013-12-10 2019-03-05 Dayco Ip Holdings, Llc Flow control for aspirators producing vacuum using the venturi effect
US9822785B2 (en) 2013-12-11 2017-11-21 Dayco Ip Holdings, Llc Turbocharger compressor recirculation system
CN105408177B (zh) 2014-07-10 2018-02-13 戴科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双文丘里装置
US9657748B2 (en) 2014-08-06 2017-05-23 Dayco Ip Holdings, Llc Pneumatically actuated vacuum pump having multiple venturi gaps and check valves
CN107429709B (zh) * 2015-03-09 2019-11-08 戴科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用于使用文丘里效应产生真空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4315B1 (en) * 1999-12-15 2001-07-03 The Young Industries, Inc. Eductor wand for bulk particulate materials
US20040094848A1 (en) * 2002-08-01 2004-05-20 Lange Neville Ernest Gas eductors and gas eductor flotation separators
US20120080134A1 (en) * 2005-01-20 2012-04-05 Jaime Leonard Harris Eductor assembly with dual-material eductor body
US7926502B1 (en) * 2009-06-18 2011-04-19 Vortex Systems (International) Ci Jet ring assembly and method for cleaning edu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22110B1 (pt) 2023-03-21
BR112017022110A2 (pt) 2018-07-03
CN107427386A (zh) 2017-12-01
US10316864B2 (en) 2019-06-11
JP2018511733A (ja) 2018-04-26
EP3283025A4 (en) 2019-01-09
KR102360318B1 (ko) 2022-02-08
CN107427386B (zh) 2020-06-12
WO2016168261A1 (en) 2016-10-20
EP3283025A1 (en) 2018-02-21
EP3283025B1 (en) 2020-01-01
US20160298656A1 (en) 2016-10-13
JP6554552B2 (ja)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318B1 (ko)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
KR102074029B1 (ko) 벤추리 효과를 이용하여 진공을 생성하는 아스피레이터
KR20170126937A (ko) 벤튜리 효과를 이용한 진공 생성 장치
CN109715998B (zh) 用于产生真空的文丘里装置及其系统
KR102306207B1 (ko) 원동부 내의 원동 출구 및 복수의 하위 통로를 갖고 벤튜리 효과를 이용하는 진공 생성 장치
US11614098B2 (en) Devices for producing vacuum using the Venturi effect having a solid fletch
CN109311466B (zh) 用于产生真空的装置中的旁通阀
US11408380B2 (en) Devices for producing vacuum using the Venturi effect having a hollow fle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