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660A - 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660A
KR20170134660A KR1020177032027A KR20177032027A KR20170134660A KR 20170134660 A KR20170134660 A KR 20170134660A KR 1020177032027 A KR1020177032027 A KR 1020177032027A KR 20177032027 A KR20177032027 A KR 20177032027A KR 20170134660 A KR20170134660 A KR 20170134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manifold
housing
grip por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236B1 (ko
Inventor
제시 리차드
윌리엄 에프. 고든
버나드 보렐
에릭 가이야르
Original Assignee
에스.씨. 존슨 앤 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 존슨 앤 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씨. 존슨 앤 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4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 B65D83/206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comprising a cantilevered actuator element, e.g. a lever pivoting about a living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1Lever-operated actuators
    • B65D83/202Lever-operated actuators combined with a hand gri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오버캡(102)은 용기(104)에 결합하기 위해 하우징(106)을 포함한다. 하우징(106)은 구멍(500)을 포함하는 제1 측벽(306)을 구비한다. 오버캡(102)은 또한 하우징(106)의 외측에 배치된 그립 부분(300) 및 제1 측벽(306)의 구멍(500)을 통해서 연장하고 제1 측벽(306)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펄크럼(504)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400, 402)을 구비하는 트리거(108)를 포함한다. 오버캡(102)은 하우징(106)에 결합된 캡(110) 및 캡(110)에 매달리는 매니폴드(600)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배 시스템
본 발명은 유체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분배 시스템은 에어로졸 용기에 결합된 오버캡을 활용한다. 일반적으로, 오버캡의 하단 또는 스커트는 두껍고, 오버캡이 용기에 결합될 때 용기에 대한 스텝(step) 또는 리지(ridge)를 형성한다. 소비자들은 종종 분배 시스템을 그립할 때 불편한 스텝 또는 리지를 발견한다. 게다가, 종래의 오버캡은 평균-이상 크기 또는 평균-이하 크기의 손을 가진 소비자들에 대해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한 분배 시스템은 또한 일반적으로 트리거 또는 버튼 같은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해서 활성화될(activated) 때, 액추에이터는 매니폴드가 용기의 밸브 스템(valve stem)을 작동하게 한다. 매니폴드는 일반적으로 밸브 스템과 유체 소통하는 배출구(discharge outlet)를 구비하는 스프레이 인서트(spray insert)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체 매니폴드가 액추에이터의 작동 동안 오버캡에 대해서 이동한다. 그 결과, 분배 시스템은 부정확하게 유체 제품을 분사하거나 사용자의 손의 일부에 대해서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을 요구할 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라서, 분배 시스템은 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구멍(aperture)을 포함하는 제1 측벽을 구비한다. 오버캡은 또한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그립 부분 및 제1 측벽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하고 제1 측벽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펄크럼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암을 구비하는 트리거를 포함한다. 오버캡은 하우징에 결합된 캡 및 캡에 매달리는 매니폴드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분배 시스템은 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구멍을 포함하는 제1 측벽을 구비한다. 오버캡은 또한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트리거 및 하우징에 결합된 캡을 포함한다. 매니폴드는 캡과 일체로 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분배 시스템은 길이방향 축 및 구멍을 구비하는 제1 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분배 시스템은 또한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그립 부분 및 암을 구비하는 트리거를 포함한다. 암은 제1 측벽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하고 제1 측벽에 반대되는 하우징의 제2 측벽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다. 분배 시스템은 하우징에 결합된 캡 및 캡과 일체로 형성되는 매니폴드를 더 포함한다. 배출 구멍은 매니폴드와 유체 소통한다.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1 평면은 배출 구멍을 관통하고,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2 평면은 트리거의 회전 축을 관통하고,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3 평면은 매니폴드의 단부 부분을 관통한다. 제2 평면은 제1 평면 및 제3 평면 사이에 배치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분배 시스템은 마운팅 컵 및 중앙, 길이방향 축을 구비하는 용기를 포함한다. 용기의 제1 최외곽 지점은 중앙,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1 라인을 따라서 중앙,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제1 거리에 있다. 오버캡은 용기에 결합된다. 오버캡은 피봇 가능한 트리거를 포함한다. 트리거의 제2 최외곽 지점은 중앙,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2 라인을 따라서 중앙,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제2 거리에 있다.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작고, 트리거의 그립 부분은 용기의 마운팅 컵 아래에서 중앙, 길이방향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분배 시스템은 마운팅 컵을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한다. 용기는 제1 풋프린트(footprint)를 구비한다. 오버캡은 용기에 결합된다. 오버캡은 제2 풋프린트를 구비하고, 분배 시스템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용기의 마운팅 컵 아래에 연장하는 일 부분을 구비하는 피봇 가능한 트리거를 포함한다. 오버캡의 제2 풋프린트는 완전히 제1 풋프린트 내에 배치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분배 시스템은 반경 및 반경에 수직하는 중앙, 길이방향 축을 포함하는 원통형 부분을 구비하는 용기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용기에 결합된다. 분배 시스템은 또한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트리거를 포함한다. 트리거의 그립 부분은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그립 부분의 일 부분은 원통형 부분의 반경과 동일한 거리보다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지 않는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오버캡은 제1 측벽 및 제1 측벽에 반대되는 제2 측벽을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트리거는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측벽에 인접한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그립 부분을 구비한다. 그립 부분은 약 40mm 내지 약 60mm의 길이를 구비한다. 그립 부분은 오목하고, 제1 곡률 반경을 구비하고, 제2 측벽은 오목하고 제1 곡률 반경보다 작은 제2 곡률 반경을 구비한다. 오버캡은 약 30mm 내지 50mm의 웨이스트(waist)를 구비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분배 시스템은 하우징 및 배출구를 포함한다. 트리거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그립 부분을 구비한다. 그립 부분은 분배 시스템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배출구보다 아래에 배치된 내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을 구비한다. 상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가 하우징의 내부 안으로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유체 제품을 안내하게 하도록, 그립 부분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그립 부분의 상부 표면이 외측으로 이동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라서, 분배 시스템은 용기 및 용기에 결합될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스커트의 단부의 두께가 약 0.3mm 및 약 1.0mm 사이가 되도록 외면을 향해서 연장하는 내면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스커트(flexible skirt)를 포함한다. 제1 상태에서 용기에 비결합된 스커트는 제1 크기를 구비하는 구멍을 정의하고, 제2 상태에서 용기에 결합된 스커트는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구비하는 구멍을 정의하고 스커트 및 용기 사이에 환형 유체 시일(circumferential fluid seal)을 형성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분배 시스템은 용기 및 용기에 결합될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스커트의 단부로부터 이격 배치된 스커트의 영역의 제1 두께와 스커트의 단부의 제2 두께의 비율이 약 1.5:1보다 크도록, 외면을 향해서 연장하는 내면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스커트를 포함한다. 제1 상태에서 용기에 비결합된 스커트는 제1 크기를 구비하는 구멍을 정의하고, 제2 상태에서 용기에 결합된 스커트는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구비하는 구멍을 정의하고 스커트와 용기 사이에 환형 유체 시일을 형성한다.
다른 측면에 따라서, 분배 시스템은 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을 구멍을 포함하는 제1 측벽을 구비한다. 시스템은 또한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된 그립 부분 및 제1 측벽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하고 제1 측벽에 반대되는 하우징의 제2 측벽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암을 구비하는 트리거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하우징에 결합된 캡 및 캡에 매달리는 매니폴드를 더 포함한다. 트리거는 트리거의 제1 부분이 제1 아치형 경로를 따라서 이동할 때, 매니폴드의 제2 부분이 제1 아치형 경로에 반대되는 제2 아치형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매니폴드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분배 시스템의 전방, 상부 등각도(front, top isometric view)이다.
도 2는 도 1의 분배 시스템의 용기의 전방, 상부 등각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배 시스템의 오버캡의 전방, 상부 등각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오버캡의 트리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트리거의 후방, 하부 등각도(rear, bottom isometric view)이다.
도 6은 도 3의 오버캡의 하우징의 전방, 상부 등각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우징의 후방, 상부 등각도이다.
도 8은 도 1의 라인 8-8을 따라 취해진 확대된, 부분 단면도로서, 도 2의 용기에 결합된 도 6 및 7의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2의 용기에 결합된 도 3의 오버캡을 도시하는 도 1의 라인 9-9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로서, 명확화를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0은 도 3의 오버캡의 캡 및 매니폴드의 전방, 등각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매니폴드와 유체 소통하는 도 2의 용기의 밸브 스템의 확대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라인 12-12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로서, 도 4 및 5의 트리거가 제1 또는 비작동 위치에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면도로서, 도 4 및 5의 트리거가 제2 또는 작동 위치에 있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면도로서, 도 12 및 13의 매니폴드 및 트리거의 아치형 경로들을 더 도시한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면도로서, 도 12-14의 트리거의 아치형 경로를 더 도시한다.
도 16은 도 12의 일부의 확대된 단면도로서, 도 3의 오버캡의 레일을 도시한다.
도 17은 제1 상태에 있는 도 12의 매니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2 상태에 있는 매니폴드의 개략적인 표현과 함께 도시된다.
도 18은 도 1-17의 분배 시스템의 용기의 제1 풋프린트 및 오버캡의 제2 풋프린트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면도로서, 도 1-18의 분배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대표 치수가 더 제공된다.
도 20은 도 10의 매니폴드 및 도 4 및 5의 트리거의 확대된, 측면도로서, 트리거 접촉 지점들의 제1 경로 및 매니폴드 접촉 지점들의 제2 경로를 도시한다.
도 21은 트리거의 변위 크기 예시에 대한 도 4 및 5의 트리거에 작용된 힘 예시의 그래프이다.
도 22는 도 1의 라인 22-22를 따라 취해진 확대된 단면도로서, 오버캡 및 용기 사이의 대안적인 결합을 도시한다.
도 23은 도 1의 라인 23-23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로서, 도 1-20의 분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4는 도 1-23의 분배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활용될 수 있는 변형 억제 장치(tamper resistant device)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여기에 개시된 예시의 분배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1의 분배 시스템(100)은 오버캡(102) 및 에어로졸 용기(104)를 포함한다. 오버캡(102)은 하우징(106), 트리거(108), 캡 또는 리드(110) 및 스프레이 인서트(112)를 포함한다. 용기(104)는 향수, 살충제, 방취제, 살진균제(fungicide), 살세균제(bacteriocide), 세정제(sanitizer), 펫 배리어(pet barrier), 또는 캐리어 액체(예를 들어, 오일-기반 및/또는 물-기반 캐리어), 탈취 액체 등 내에 배치된 다른 활성 휘발성 또는 다른 화합물을 유지 및/또는 저장한다. 예를 들어, 액체는 가정용, 상업용, 및 산업용으로, 위스콘신, 라신의 S. C. Johnson and Son, Inc.에 의해 판매되는, PLEDGE®, 표면 세정 활성제(surface cleaning active), RAID®, 병충 해방 활성제(pest control active), OUST®, 공기 및 카페트 세정제, 또는 GLADE®, 데오도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는 또한 세정제, 공기 및/또는 직물 청정제, 클리너, 냄새 제거제, 곰팡이 또는 흰곰팡이 억제제(mold or mildew inhibitors), 방충제 등과 같은 다른 활성제, 또는 방향요법 특성들을 구비하는 다른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대신에 액체는 용기(104)로부터 분배될 수 있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액체를 포함한다. 용기(104)는 용기(104)로부터 유체 제품의 분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압축가스, 액화석유가스(LPG),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및/또는 대안적인 추진제(propellants)와 같은 추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용기(104)의 등각도이다. 용기(104)는 용기(104)의 제1 단부(202) 상에 배치된 마운팅 컵(200)을 포함한다. 도 2의 마운팅 컵(200)은 고리 모양의 리지(annular ridge)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마운팅 컵(200)은 다른 형상 및/또는 다른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마운팅 컵(200)의 내부로 용기(102)의 제1 단부(202) 상에 페데스탈(pedestal; 204)이 배치된다. 도 2의 페데스탈(204)은 원통형 돌출부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운팅 컵(200) 및 페데스탈(204)은 일체로 형성되고 및/또는 일체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페데스탈(204)은 다른 형상 및/또는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페데스탈(204)은 구멍(aperture; 206)을 포함하고, 구멍을 통해서 수직 밸브 스템(vertical valve stem; 208)이 페데스탈(204)로부터 밖으로 연장한다. 수직 밸브 스템(208)은 용기(104) 내에 배치된 밸브 어셈블리(미도시)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밸브 스템(208)이 디프레스될(depressed) 때, 밸브 어셈블리는 밸브 스템(208)을 통해서 용기(104)로부터 유체 제품이 배출되게 하기 위해서 개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작동 시에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서 틸트 밸브 스템(tilt valve stem)이 유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104)는 제2 단부(2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위치(upright position)에서 표면 상에 용기(104)를 지지하게 하기 위해서 형상되고 치수된 제2 또는 하부 단부(second or bottom end; 210)를 포함한다. 용기(210)는 또한 원통형 부분(212) 및 넥(neck; 214)을 포함한다. 도 2의 용기(104)는 중앙, 길이방향 축(216)을 구비한다.
도 3은 도 1의 오버캡(102)의 등각도이다. 도 3의 트리거(108)는 새들(saddle) 형상 또는 쌍곡포물면(hyperbolic paraboloid) 형상으로 된 그립 부분(300)을 포함한다. 따라서, 그립 부분(300)은 제1 곡률 축(302) 및 제1 곡률 축(302)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제2 곡률 축(304)에 대해서 곡선으로 된다(is curved).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립 부분(300)은 다른 형상을 구비한다. 그립 부분(300)은 하우징(106)의 외측에 배치되고, 따라서, 그립 부분(300)은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이용해서 하우징(106)을 향해 그립 부분(300)을 스퀴즈할(squeeze)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립 부분(300)은 하우징(106)의 제1 측벽(306)에 인접하게 하우징의 외측에 있다.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은 또한 분배 시스템(100) 및 오버캡(102)이 부분적으로 직립 위치 또는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스프레이 인서트(112) 아래에 배치된다. 따라서, 분배 시스템(100)이 부분적으로 직립 위치 또는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스프레이 인서트(112)의 배출구(308)는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보다 위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오버캡(102) 및/또는 용기(104)를 그립할 때, 분배 시스템(100)이 직립 위치 또는 부분적으로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스프레이 인서트(112)의 배출구(308)는 그립 부분(300)을 통해서 트리거(108)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보다 위에 배치된다. 그러나, 도 16과 함께 결합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리거(108)가 유체 제품의 떨어짐(drippings), 만약 있다면, 사용자의 손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트리거(108)의 상부 또는 제1 단부(310)는 트리거(108)의 작동 동안 하우징(106)으로부터 멀리 사용자의 손가락 및 배출구(308) 사이의 위치로 이동한다.
도 4는 도 1 및 3의 트리거(108)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108)는 제1 암(400) 및 제2 암(402)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트리거(108)는 다른 개수의 암(예를 들어, 1, 3, 4, 5, 6, ... 등)을 포함한다. 제1 암(400) 및 제2 암(402)의 근위 단부(404, 406)는 각각 그립 부분(300)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암(400) 및 제2 암(402)은 제1 암(400), 제2 암(402) 및 그립 부분(300)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그립 부분(3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 암(400), 제2 암(402), 및 그립 부분(300)은 플라스틱의 단일 피스로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암(400) 및/또는 제2 암(402)은 하나 이상의 기계적 패스너(예를 들어, 못, 스크류, 클립, 클램프, 테이프, 용접, 나사산 등) 및/또는 화학적 패스너(예를 들어, 글루, 에폭시 등)를 통해서 그립 부분(3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암(400) 및 제2 암(402)은 그립 부분(300)으로부터 연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암(400)은 실질적으로 제2 암(402)에 평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암(400) 및 제2 암(402)은 실질적으로 그립 부분(300)에 수직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암(400) 및 제2 암(402)은 그립 부분(300)에 대해서 다른 각도로 배향된다(oriented).
트리거(108)는 피봇(408)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봇(408)은 제1 암(400)의 제1 원위 단부(410)로부터 제2 암(402)의 제2 원위 단부(412)로 연장하는 크로스빔(crossbeam)이다. 피봇(408)은 트리거(108)의 회전 축(414)을 정의한다. 트리거(108)는 또한 제1 브레이스(416) 및 제2 브레이스(418)를 포함한다. 제1 브레이스(416) 및 제2 브레이스(418)는 각각 제1 암(400)으로부터 제2 암(402)으로 연장해서 트리거(108)에 강성을 제공한다. 제3 브레이스(420)는 제2 브레이스(418)로부터 그립 부분(300)으로 연장해서 트리거(108)에 강성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암(400), 제2 암(402), 피봇(408), 제1 브레이스(416), 제2 브레이스(418), 제3 브레이스(420) 및 그립 부분(300)은 일체이고 및/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피봇(408), 제1 브레이스(416), 제2 브레이스(418), 및/또는 제3 브레이스(420)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패스너를 통해서 제1 암(400), 제2 암(402), 및/또는 그립 부분(300)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브레이스(416), 제2 브레이스(418), 제1 암(400) 및 제2 암(402)은 공간 또는 구멍(422)을 정의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매니폴드(600)(도 10을 보기 바란다)는 구멍(422)을 통해서 연장한다. 트리거(108)는 트리거(108)의 작동 동안 트리거(108)가 편향되거나(deflect) 구부러지지(bend) 않도록 충분히 단단하다.
도 5는 도 4의 트리거(108)의 하부, 후방 등각도이다. 트리거(108)는 제1 스프링(424) 및 제2 스프링(426)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424)은 피봇(408) 및 제1 브레이스(416) 사이에서 제1 암(400)에 결합된 바(bar)이다. 제1 스프링(424)은 도 5의 방향에서 제1 암(400)으로부터 하방으로 및 후방으로 연장한다. 제2 스프링(426)은 피봇(408) 및 제1 브레이스(416) 사이에서 제2 암(402)에 결합된 바이다. 제2 스프링(426)은 도 5의 방향에서 제2 암(402)으로부터 하방으로 및 후방으로 연장한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리거(108)가 용기(104)의 밸브 스템(208)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회전할 때, 제1 스프링(424)은 제1 암(400) 및 하우징(106) 사이에서 압축 및/또는 구부러지고, 제2 스프링(426)은 제2 암(402) 및 하우징(106) 사이에서 압축 및/또는 구부러진다.
트리거(108)는 제1 접촉 표면(430) 및 제2 접촉 표면(432)을 포함한다. 제1 접촉 표면(430) 및 제2 접촉 표면(432)은 각각, 제1 암(400) 및 제2 암(402)의 밑면(434, 436)에 의해서 정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접촉 표면(430) 및 제2 접촉 표면(432)은 제1 접촉 표면(430) 및 제2 접촉 표면(432)이 캠들(cams)이 되도록 곡선으로 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접촉 표면(430) 및 제2 접촉 표면(432)은 용기(104)를 향해 매니폴드(600)를 이동시키도록 매니폴드(600)(도 10을 보기 바란다)에 맞물려서(예를 들어, 접촉해서) 용기(104)의 밸브 스템(208)을 작동시킨다. 도 5로 다시 돌아가서, 그립 부분(300)의 제2 또는 하단(438)은 매니폴드(600)와 맞물려 제1 접촉 표면(430) 및 제2 접촉 표면(432)을 접촉시키도록, 제1 측벽(306) 및 용기(102)(도 2를 보기 바란다)를 향해서 이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립 부분(300)의 두께는 그립 부분(300)의 제1 단부(310)로부터 제2 단부(438)로 감소 또는 변한다. 예를 들어, 그립 부분(300)의 제1 두께는 제1 단부(310)에서 약 1.6mm로 되고; 그립 부분(300)의 제2 두께는 제2 단부(438)에서 약 0.7mm로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립 부분(300)은 다른 두께를 구비한다.
도 6은 도 1 및 3의 하우징(106)의 상부, 등각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06)의 제1 측벽(306)은 제1 구멍(500) 및 제2 구멍(502)을 정의한다. 제1 구멍(500)은 직사각형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구멍(500)은 다른 형상으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06)은 펄크럼(fulcrum; 504)을 포함한다. 도 6의 펄크럼(504)은 제1 리브(510)의 제1 노치(506) 및 제2 리브(512)의 제2 노치(508)에 의해 정의된다. 리브(510, 512)는 제1 측벽(306)에 반대되는 하우징(106)의 제2 측벽(514) 상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펄크럼(504)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및/또는 대안적인 힌지, 회전 가능한 또는 피봇 가능한 구조에 의해 정의되고, 예를 들어 리빙 힌지(living hinge)가 펄크럼(504)에 추가해서 또는 펄크럼(504)을 대신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암(400) 및 제2 암(402)은 피봇(408)이 펄크럼(504) 상에 놓이고 및/또는 펄크럼(504)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1 구멍(500)을 통해서 연장한다.
도 6의 하우징(106)의 제2 구멍(502)은 원형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구멍(502)은 다른 형상으로 된다. 제2 구멍(502)은 매니폴드(600)(도 10을 보기 바란다)의 제2 단부 부분(604) 및/또는 스프레이 인서트(112)를 수용한다. 그러나, 도 1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6)은 스프레이 인서트(112) 또는 매니폴드(600)를 직접 지지하지 않는다. 하우징(106)은 하우징(106)의 상부 또는 제1 단부(518)에 의해 정의되는 제3 구멍(516)을 포함한다. 플랜지 또는 림(520)은 제1 단부(518)에 인접하게 하우징(106)의 내부(522)에 배치된다. 림(520)은 캡(110)(도 1 및 3을 보기 바란다)을 지지한다. 하우징(106)은 또한 제1 단부(518)에 반대되는 하우징(106)의 하부 또는 제2 단부(526)에 의해 정의되는 제4 구멍(524)을 포함한다.
도 7은 도 6의 하우징의 상부, 후방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06)은 제1 측벽(306) 상에 배치된 제3 리브(528) 및 제4 리브(530)를 포함한다. 제3 리브(528) 및 제4 리브(530)는 하우징(106)에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하우징(106)의 제1 단부(518)를 향해서 제2 플랜지(532)로부터 연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리브(528) 및 제2 리브(530)는 캡(110)을 지지한다. 제2 플랜지(532)는 하우징(106)의 제1 단부(518) 및 제2 단부(526)로부터 멀리 이격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브레이스(534)는 제2 플랜지(532)에 강성을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플랜지(532)는 용기(104)의 마운팅 컵(200) 상에 놓이고 및/또는 용기(104)의 마운팅 컵(200)에 접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표면(538)을 구비하는 캔틸레버 텅(cantilevered tongue; 536)은 제2 측벽(514)으로부터 제1 측벽(306)을 향해서 연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텅(536)은 하우징(106)의 몰딩을 수월하게 한다.
도 8을 참조하여, 하우징(106)은 제4 구멍(524)을 통해서 용기(104)의 일 부분을 수용한다(도 6 및 7을 보기 바란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운팅 캡(200)은 하우징(106)의 스커트(542)에 인접한 하우징(106)의 내부(522)에 대해서 배치된 복수 개의 돌출부(540) 및 제2 플랜지(532) 사이에 스냅 핏(snap fit) 된다. 따라서 제2 플랜지(532) 및 돌출부들(540)은 용기(104)에 오버캡(102)을 고정하기 위해서 용기(104)의 마운팅 컵(200)에 접촉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06)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패스너를 통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용기(104)에 결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돌출부(540)는 사다리꼴 단면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540)는 다른 형상을 구비한다.
도 9는 오버캡(102) 및 용기(104)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커트(542)는 마운팅 컵(200)에 인접한 영역(544)으로부터 제2 단부(526)를 향해서 두께가 감소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영역(544)은 약 1.2mm의 두께를 구비하고, 제2 단부(526)는 약 0.6mm의 두께를 구비한다. 그러나, 전술된 치수들은 단지 예시들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치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영역(544)은 약 1.1 내지 약 1.6mm의 두께를 구비하고 제2 단부(526)는 약 0.3 내지 약 1.0mm의 두께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단부(526)는 약 0.3 내지 약 0.6mm의 두께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영역(544)의 두께와 제2 단부(526)의 두께의 비율은 1:1보다 크거나, 1.5:1보다 크거나, 2:1보다 크거나, 3:1보다 크거나, 4:1보다 크거나, 5:1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영역(544) 및/또는 제2 단부(526)의 두께는 그것의 원주 주위에서 변화 가능할 수 있고, 그러한 시나리오에서, 전술된 두께들은 제2 단부(526) 및 영역(544)의 가장 좁거나 가장 얇은 부분들의 예시가 된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스커트(542)는 스커트(542)의 외면(546), 스커트(542)의 내면, 및 하우징(106)의 제2 단부(526)에 의해서 경계를 이루는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스커트(542)의 외면(546)은 영역(544)으로부터 외측으로, 따라서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으로부터 멀리 곡선으로 되거나 휜다. 내면(548)은 영역(544)으로부터 길이방향 축(550)으로부터 멀리 연장하고, 외면(546)을 향해 각지고(angled), 경사지고(sloped), 및/또는 휜다(bowed). 그 결과, 내면(548) 및 외면(546)은 만나고(converge), 스커트(542)의 두께는 마운팅 컵(200)에 인접한 영역(544)으로부터 하우징(106)의 제2 단부(526)를 향해서 감소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면(548)은 실질적으로 용기(104)의 넥(214)의 일 부분의 윤곽을 따르거나 일치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커트(542)는 오버캡(102)이 용기(104)에 결합될 때 탄성 변형해서, 스커트(542)의 형상 및 크기가 용기(104)의 넥(214)의 형상 및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커트(542)는 비결합 또는 제1 상태에서 제1 형상(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등)을 구비할 수 있고, 오버캡(102)이 용기(104)에 결합되지 않을 때 제1 크기(예를 들어, 제1 직경)를 구비하는 제1 구멍(524)을 정의한다. 오버캡(102)이 용기(104)에 결합될 때, 스커트(542)는, 용기(104)의 넥(214)의 형상 및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스커트(542)가 제1 형상과 다른 제2 형상을 구비하고, 및/또는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구비하는 제4 구멍(524)을 정의하는 결합된 또는 제2 상태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커트(542)는 용기(104)의 넥(214)의 형상 및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외측으로 구부러지고 및/또는 확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커트(542)의 탄성 변형은 스커트(542)가 용기(104) 및 스커트(542)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 또는 프레스 핏을 형성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커트(542)의 탄성 변형은 스커트(542)가 스커트(542) 및 용기(104) 사이에 환형 유체 시일을 형성하게 한다. 또한, 스커트(542)의 제2 단부(526)의 최소 두께는 사용자가 오버캡을 사용하는 종래의 분배 시스템보다 분배 시스템(100)을 그립할 때 더 편안하게 하는 오버캡(102) 및 용기(104) 사이의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트랜지션(smooth transition)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커트(542)의 탄성 변형은 오버캡(102)이 도 9의 용기(104)와 다른 형상 또는 크기를 구비하는 용기들 상에 유체 시일 및/또는 억지 끼워맞춤을 형성하게 하고, 스커트(542) 및 개별적인 용기 사이에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트랜지션을 제공하게 한다.
도 10은 캡(110) 및 매니폴드(600)의 전방, 등각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매니폴드(600)는 제1 단부 부분(602) 및 제2 단부 부분(604)을 포함한다. 도 10의 제2 단부 부분(604)은 스프레이 인서트(112)를 수용하기 위한 오리피스(606)를 구비한다. 제1 단부 부분(602)은 용기(104)의 밸브 스템(208)(도 2를 보기 바란다)에 유체 결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단부 부분(602)은 나팔 모양 부분(flared portion; 608)을 포함한다. 매니폴드(600)는 제1 덕트(610) 및 제2 덕트(612)를 포함한다. 도 10의 제1 덕트(610)는 대체로 제2 덕트(612)에 대해 횡방향으로 된다(transverse). 예를 들어, 제1 덕트(610) 및 제2 덕트(612)는 제1 덕트(610)가 제2 덕트(612)에 대해서 약 105도의 각도(614)로 연장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도(614)는 약 90 내지 130도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각도(614)는 다른 수의 각도이다. 제1 덕트(610)는 제1 조인트(616)를 통해서 제2 덕트(612)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조인트(616)는 브레이스(618)를 포함한다. 도 10의 브레이스(618)는 제1 덕트(610) 및 제2 덕트(612)의 이음부(622)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꼭지점(vertex; 620)을 구비하는 아치형 플레이트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브레이스(618)는 다른 형상 및/또는 구성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브레이스(618)는 곡선 빔(curved beam), 삼각형 플레이트, 직사각형 빔, 및/또는 다른 형상 및/또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624) 및 제2 돌출부(626)는 매니폴드(600)의 제1 덕트(610)로부터 연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624) 및 제2 돌출부(626)는 제1 단부 부분(602)에 인접한 제1 덕트(610)의 마주보는 측면들(628, 630) 상에 배치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리거(108)의 제1 접촉 표면(430)은 제1 돌출부(626)와 맞물리고 트리거(108)의 제2 접촉 표면(432)은 제2 돌출부(626)와 맞물려서, 용기(104)를 향해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을 나아가게 되고(drive), 밸브 스템(208)을 디프레스(depress) 및 작동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매니폴드(600)는 캡(110)에 매달린다. 예를 들어, 매니폴드(600)의 제2 단부 부분(604)는 제2 조인트(632)를 통해서 캡(110)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조인트(632)는 링크(634) 및 플레이트(63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캡(110), 링크(634), 플레이트(636), 및 매니폴드(600)는 일체로 형성되고 및/또는 일체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캡(110), 링크(634), 플레이트(636) 및/또는 매니폴드(6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링크(634)는 캡(110)의 내면(638) 및 제2 단부(604) 사이에 배치된 길쭉한 바이고, 제2 덕트(6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10의 플레이트(636)는 제2 덕트(612)에 대해 횡방향이고(transverse), 제2 덕트(612)는 플레이트(636)를 통해서 연장한다.
도 10의 예시 캡(110)은 내부 표면(638)에 매달리는 제1 서포트(640) 및 제2 서포트(64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서포트(640) 및 제2 서포트(642)는 하우징(106)의 제1 리브(510) 및 제2 리브(512)(도 6을 보기 바란다)와 접촉하고 및/또는 하우징(106)의 제1 리브(510) 및 제2 리브(51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서포트(640)는 제3 노치(644)를 포함하고, 제2 서포트(642)는 제4 노치(64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노치(644) 및 제4 노치(646)는 각각 제1 리브(510) 및 제2 리브(512)의 제1 노치(506) 및 제2 노치(508)(도 6을 보기 바란다)와 협력한다. 예를 들어, 트리거(108)의 피봇(408)(도 4 및 5를 보기 바란다)은 노치(506, 508, 644, 646)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510, 512) 및 서포트(640, 642) 사이에 캡쳐될(captured) 수 있다. 캡(110)은 외부 또는 상부 표면(647)을 포함한다.
도 11은 트리거(108)의 제1 접촉 표면(430)이 매니폴드(600)의 제1 돌출부(624)로부터 이격 배치된 비작동 또는 제1 위치에 있는 트리거(108)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밸브 스템(208)은 밸브(208) 및 용기(104)를 매니폴드(600)에 유체 결합시키도록,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 내에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접촉 표면(430)은 볼록하다. 제1 돌출부(624)는 제1 접촉 표면(430)을 향해 마주보는 맞물림 표면(engaging surface; 648)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맞물림 표면(648)은 제1 접촉 표면(430)이 맞물림 표면(648)에 맞물릴 때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이 용기(104)를 향해서 (즉, 도 11의 배향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배향된 각진 또는 램프 표면으로 된다. 매니폴드(600)의 제2 돌출부(626)는 제1 돌출부(624)의 거울상이다. 따라서, 제1 돌출부(624)의 전술된 설명은 제2 돌출부(626)에 적용 가능하다.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제2 돌출부(626)는 별도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2는 용기(10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리거(108)를 도시하는, 도 1-11의 예시적인 분배 시스템(100)의 단면도이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트리거(108)는 비작동 또는 제1 위치에 있다.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은 오버캡(102)의 하우징(106)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 암(400) 및 제2 암(402)은 제1 측벽(306)의 제1 구멍(500)을 통해서 연장하고, 피봇(408)은 펄크럼(504)을 통해서 제2 측벽(514)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봇(408)은 제1 리브(510) 및 제1 서포트(640) 사이에 배치되고 및/또는 캡쳐되고, 피봇(408)은 제2 리브(512) 및 제2 서포트(642) 사이에 배치되고 및/또는 캡쳐된다.
캡(110)은 하우징(106)에 결합되고, 매니폴드(600)는 하우징(106) 내에 캡(110)에 매달린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매니폴드(600)는 하우징(106)의 제1 측벽(306)의 제2 구멍(502)과 스프레이 인서트(112)의 배출구(308), 및 매니폴드(600)의 제2 단부 부분(604)을 정렬시키기 위해서 하우징에 대해서 배향된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06)은 매니폴드(600)의 제2 단부 부분(604)을 직접적으로 지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단부 부분(604)은 제2 구멍(502) 내에 배치되고 제1 측벽(306)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우징(106)은 트리거(108)의 작동 동안 매니폴드(600)의 제2 단부 부분(604)의 이동을 제한하고 및/또는 매니폴드(600)의 제2 단부 부분(604)을 지지한다.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은 밸브 스템(208) 상에 배치되고, 밸브 스템(208)은 제1 덕트(610)의 제1 유체 통로(first fluid passageway; 650)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리거(108)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은 밸브 스템(208)에 밀폐되게(sealingly) 맞물리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단부 부분(602)은 밸브 스템(208)에 밀폐되게 맞물리기 위해서 충분한 압력 없이 밸브 스템(208)과 접촉하거나 밸브(208)으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밸브 스템(208)은 제1 위치에서 매니폴드(600)와 밀폐 맞물림(sealing engagement)에 있다. 제1 유체 통로(612)는 매니폴드(600)의 제2 덕트(612)의 제2 유체 통로(652)와 유체 소통하고, 제2 유체 통로(652)는 스프레이 인서트(112)의 배출구(308)와 유체 소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104)의 중앙, 길이방향 축(216), 밸브 스템(208)의 중앙, 길이방향 축(700) 및 분배 시스템(100)의 중앙, 길이방향 축(550)은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있다(collinear).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에 수직한 제1 평면(702)은 스프레이 인서트(112)의 배출구(308)를 통과한다. 길이방향 축(550)에 수직하는 제2 평면(704)은 트리거(108)의 회전 축(414)을 통과한다.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에 수직하는 제3 평면(706)은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을 통과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평면(706)은 밸브 스템(208)의 최고 지점 또는 팁(708) 및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을 통과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밸브 스템의 최고 지점 또는 팁은 용기의 외측에서 연장하고, 용기로부터 밸브 스템의 길이방향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가장 멀리 위치된 밸브 스템의 지점이다.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에 수직하는 제4 평면(710)은 마운팅 컵(200)의 최저 지점(712)을 통과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마운팅 컵의 최저 지점은 용기 내에 배치되고, 마운팅 컵이 용기의 길이방향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지지되는 용기의 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된 마운팅 컵의 지점이다.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에 수직하는 제5 평면(714)은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최저 지점(716)을 통과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트리거의 그립 부분의 최저 지점은 용기의 길이방향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용기의 하부 단부 또는 베이스(예를 들어, 제2 단부(210))에 가장 가까운 트리거의 그립 부분의 지점이다.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에 수직하는 제6 평면(717)은 용기(104)의 최고 지점(718)을 통과한다. 용기의 최고 지점은 용기의 하부 단부 또는 베이스로부터 용기의 길이방향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용기의 지점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104)의 최고 지점(718)은 마운팅 컵(200) 상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평면(704)은 제1 평면(702) 및 제3 평면(706)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분배 시스템(100)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배출구(112)는 트리거(108)의 회전 축(414)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트리거(108)의 회전 축(414)은 밸브 스템(208)의 팁(708)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트리거(108)의 회전 축(414)은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에 대해서 배출구(308)와 반대되는 측 상에 배치된다(the axis of rotation 414 of the trigger 108 is dispos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longitudinal axis 550 of the dispensing system 100 as the discharge outlet 308). 게다가,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은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에 대해서 배출구(308)와 동일한 측 상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5 평면(714)은 제4 평면(710)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따라서,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최저 지점(716)은 마운팅 컵(200)의 최저 지점(712)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이 마운팅 컵(200)보다 아래에서 연장할지라도, 오버캡(102)의 전체 풋프린트는 용기(104)의 풋프린트 내에 배치된다.
도 13은 도 12의 오버캡(102)의 단면도로서, 제2 또는 작동 위치에 있는 트리거(108)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트리거(108)를 스퀴즈할 때, 트리거(108)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 축(414)에 대해서 피봇하고,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하단(438)은 용기(104)를 향해서 이동하여 밸브 스템(208)을 작동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리거(108)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하기 위해서 약 2도 및 약 10도 사이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트리거는 약 2도 내지 약 10도의 총 회전 이동 범위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리거(108)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하기 위해서 약 5도 및 제7도 사이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트리거는 약 5도 내지 약 7도의 총 회전 이동 범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108)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하기 위해서 약 6도 회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은, 트리거(108)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스커트(524) 및/또는 용기(104)에 접촉한다.
트리거(10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예를 들어, 도 13을 보기 바란다)로 이동할 때, 트리거(108)의 제1 접촉 표면(430) 및 제2 접촉 표면(432)은 각각 매니폴드(600)의 제1 돌출부(624) 및 제2 돌출부(626)에 맞물리고, 용기(104)를 향해서 매니폴드의 제1 단부 부분(602)을 나아가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단부 부분(602)은, 제1 단부 부분(602)이 용기(104)를 향해서 이동함에 따라서, 밸브 스템(208)에 밀폐되게 맞물린다. 트리거(108)가 제2 위치를 향해서 더 이동함에 따라서,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은 밸브 스템(208)을 디프레스하고, 제1 스프링(424) 및 제2 스프링(426)은 트리거(108) 및 하우징(106) 사이에서 압축된다. 그 결과, 유체 제품은 용기(104)로부터 밸브 스템(208)을 통해서 제1 유체 경로(650) 안으로 분배된다. 유체 제품은 그런 다음 제2 유체 통로(652)를 통해, 스프레이 인서트(112) 안으로, 배출구(308) 밖으로 흐른다. 사용자가 트리거(108)를 해제할 때, 제1 스프링(424) 및 제2 스프링(426)은 트리거(108)가 도 12에 도시된 제1 위치로 복귀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매니폴드(600)는, 트리거(108)가 용기(104)를 향해서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을 나아가게 할 때, 매니폴드(600)의 형상 및/또는 크기가 변화하게 하도록 플렉시블 또는 플라이어블(pliable)하다. 예를 들어, 매니폴드(600)는 제1 조인트(616)에서, 제2 조인트(632)에서, 제1 덕트(610)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및 제2 덕트(612)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구부러지거나 휘도록 탄성 변형해서,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이 밸브 스템(208)에 밀폐되게 맞물리고 밸브 스템(208)을 디프레스하게 하면서, 제2 단부 부분(604)이 하우징(106)의 제2 구멍(502)과의 맞물림이 유지되게 한다. 매니폴드(600)의 예시적인 탄성 변형을 도 1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설명된다.
도 14는 도 12의 오버캡(102)의 단면도로서, 제1 위치에 있는 트리거(108)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108)가 제1 위치(도 12를 보기 바란다)로부터 제2 위치(도 13을 보기 바란다)로 피봇할 때,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하단(438) 및/또는 최저 지점(716)은 제1 아치형 경로(719)에서 이동하고,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은 제2 아치형 경로(720)에서 이동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아치형 경로(719) 및/또는 제2 아치형 경로(720)는 원의 호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아치형 경로(719) 및/또는 제2 아치형 경로(720)는 포물선(parabolic) 및/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및/또는 대안적인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아치형 경로(719)는 약 4mm 내지 약 14mm의 호 길이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경로(719)는 약 7mm 내지 약 9mm의 호 길이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경로(719)는 약 8mm의 호 길이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아치형 경로(719)는 다른 길이의 호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경로(719) 및 제2 아치형 경로(720)는 각각 X-축을 따른 수평 벡터 및 Y-축을 따른 수직 벡터를 구비한다. 도 14의 실시예에서, Y-축은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에 평행하고, X-축은 트리거(108)의 회전 축(414) 및 Y-축에 수직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상부 방향을 구비하는 수직 벡터 성분은 양의 수직 벡터 성분으로 언급되고; 하부 방향을 구비하는 수직 벡터 성분은 음의 수직 벡터 성분으로 언급되며; 우측 방향을 구비하는 수평 벡터 성분은 양의 수평 벡터 성분으로 언급되고; 좌측 방향을 구비하는 수평 벡터 성분은 음의 수평 벡터 성분으로 언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경로(719)는 제2 아치형 경로(720)와 반대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경로(719) 및 제2 아치형 경로(720)가 모두 음의 수직 벡터 성분을 구비할지라도, 제1 아치형 경로(719)는 양의 수평 벡터 성분을 구비하고 제2 아치형 경로(720)는 음의 수평 벡터 성분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1 아치형 경로(719)는 제2 아치형 경로(720)는 서로 다른 또는 반대되는 수평 벡터 성분을 구비한다. 그 결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108)의 하단(438)은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이 제2 아치형 경로(720)를 따라서 이동하는 제2 방향에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제1 방향으로 제1 아치형 경로(719)를 따라서 이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은 도 14의 배향에서 실질적으로 반시계 방향(counterclockwise)이고, 제2 방향은 도 14의 배향에서 실질적으로 시계 방향이다. 그 결과, 트리거(10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제1 단부(310)는 하우징(106)의 제1 측벽(306)으로부터 외측으로 또는 멀리 이동하고 그립 부분(300)의 하단(438)은 용기(104)를 향해서 이동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아치형 경로(720)의 호 길이는 약 2mm 내지 약 6mm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아치형 경로(720)의 호 길이는 약 3mm 내지 약 4mm이다. 따라서, 제2 아치형 경로(720)의 호 길이는 제1 아치형 경로(719)의 호 길이보다 작게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아치형 경로(720)의 음의 수직 벡터 성분은 약 2mm 내지 약 4mm의 크기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아치형 경로(720)의 호 길이는 약 3mm이다. 따라서, 제1 단부 부분(602)은 용기(104)를 향하는 방향으로 약 3mm의 이동 범위 또는 총 주행 거리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아치형 경로(720)의 음의 수직 벡터 성분은 다른 거리로 된다. 일부 실시에들에서, 제2 아치형 경로(720)의 수직 벡터 성분의 크기는 제2 아치형 경로의 수평 벡터 성분의 크기보다 약 1.5배 내지 약 6배 크다.
여기에서 교시된 방식의 분배 시스템들은 종래의 분무기들(sprayers)보다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은 밸브 스템(208) 및 매니폴드(600) 사이의 더 나은 정렬 및 이동을 제공한다. 매니폴드(600)가 단일 부품으로서 캡(110)에 고정되므로, 매니폴드(600)가 이동되는 피봇 지점이 생성된다. 유사하게, 트리거(108) 또한 주위에서 이동하는 피봇 지점을 구비하고, 트리거(108) 및 매니폴드(600)의 아치형 경로들은 전술된 것과 같이 서로 반대된다. 매니폴드(600) 및 트리거(108)의 구조적 특징들이 작동 단계 동안 연결될 때, 반대되는 아치형 경로(719, 720)는 수직 가까이에서 매니폴드(600) 상의 힘들을 유지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수직 주행 거리는 상대적으로 짧아서, 반대되는 아치형 경로들을 따라서 구조적 특징들의 주행 거리가 상대적으로 편평한 것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주행 범위 상에서 구조적 특징들 상에 작용하는 힘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아서, 트리거(108) 및 매니폴드(600)의 구조적 특징들의 변형(translation)을 제한하면서, 사용자의 손의 회전 이동(rotational movement)을 밸브 스템(208)의 수직 모션(vertical motion)으로 바꿀 수 있는 더 단단한 분배 시스템을 허용한다. 트리거(108)는 또한 트리거를 구비하는 종래의 분무기보다 더 작은 플레이(less play) 또는 로스트 모션(lost motion)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5는 분배 시스템(100)의 단면도로서, 트리거(10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최고 지점(722)이 제3 아치형 경로(724)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트리거의 그립 부분의 최고 지점은 트리거가 사용되는 분배 시스템의 길이방향 축(예를 들어,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그립 부분의 최저 지점(예를 들어, 최저 지점(716))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그립 부분의 지점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립 부분(300)의 최고 지점(722)의 제3 아치형 경로(724)는 약 5mm의 크기를 구비한다. 따라서, 그립 부분(300)의 최고 지점(722)의 제3 아치형 경로(724)의 크기는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최저 지점(716)의 제1 아치형 경로(719)의 크기보다 작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아치형 경로(724)는 음의 수직 벡터 성분 및 음의 수평 벡터 성분을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음의 수직 벡터 성분은 약 4.7mm의 크기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아치형 경로(724)의 음의 수평 벡터 성분의 크기는 0.7mm이다. 따라서 그립 부분(300)의 최고 지점(722)은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외측으로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3 아치형 경로(724)의 수직 벡터 성분 및/또는 수평 벡터 성분의 크기는 다른 길이로 된다. 도 1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립 부분(300)의 최고 지점(722)의 외향 이동(outward movement)은 그립 부분(300)이 오버캡(102)을 그립하는 사용자의 손을 유체 제품으로부터 보호하게(shield) 하고, 만약 있다면, 유체 제품이 배출구(308)로부터 떨어짐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5를 더 참조하여,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은 제1 아치형 경로(719) 및 제3 아치형 경로(724)가 동일한 원(726) 상에 놓이도록 크기, 형상 및/또는 치수된다. 따라서, 그립 부분(300)의 최고 지점(722) 및 그립 부분(300)의 최저 지점(716)은, 트리거(10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궤적을 따른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립 부분(300)의 최고 지점(722) 및 최저 지점(716)은 동일한 궤적을 따르지 않는다.
도 15를 계속 참조하여, 트리거(108)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트리거(108)의 회전 축(414)으로부터 용기(104)의 최고 지점(718)으로 Y-축을 따른 제1 거리(D1)는 약 19mm 내지 약 21mm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거리(D1)는 약 10mm 내지 약 35mm이다. 트리거(108)의 회전 축(414)으로부터 트리거의 그립 부분(300)의 최저 지점(716)으로 Y-축을 따른 제2 거리(D2)는 약 39mm 내지 약 41mm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거리(D2)는 약 30mm 내지 약 50mm이다. 그러나, 전술된 치수들은 단지 예시이고, 다른 치수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은 오버캡(102)의 단면도로서 작동 또는 제2 위치에 있는 트리거(108)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06)의 제1 측벽(306)은 레일(80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레일(800)은 제1 측벽(306)의 제2 구멍(502)으로부터 제1 구멍(500)으로 연장하는 내측으로 계단 모양 및/또는 경사진 표면(inwardly stepped and/or sloped surface; 802)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제품이 배출구(308)로부터 분배되는 동안 및/또는 분배된 후에, 유체 제품의 잔량은 도 16의 배향에서 하방으로 흐르고 및/또는 떨어뜨리고(drip), 배출구(308) 상에 또는 배출구(308) 근처에서 수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유체 제품의 표면 장력은 유체 제품이 하방으로 흐름에 따라서 유체 제품이 레일(800)과 접촉을 유지하고 및/또는 레일(800)에 응집하게(cohere) 할 수 있다. 그 결과, 레일(800)은 유체 제품을 제1 구멍(500)을 통해서 하우징(106) 안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도 16의 예시적인 레일(800)은 유체 제품의 잔여 떨어짐(residual drippings)이 분배 시스템(100)을 그립하는 사용자의 손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잔여 유체의 일부는 레일(800)에 응집하지 않고 배출구(308)로부터 낙하하거나 떨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10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최고 지점(722)이 외측으로(예를 들어 도 16의 배향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그립 부분(300)의 상부 표면(804) 및/또는 내부 표면(806)은 유체 제품을 포획하고(catch) (즉, 낙하하거나 떨어지는 유체 제품이 상부 표면(804) 및/또는 내부 표면(806) 상에 내려앉는다(land)) 유체 제품을 하우징(106) 안으로 안내한다. 도 16의 실시예에서, 그립 부분(300)의 최고 지점(722)은 그립 부분(300)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배출구(308)보다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으로부터 더 외측으로 멀리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제품을 하우징(106) 안으로 안내하도록, 상부 표면(804) 및 내부 표면(806)은 하우징(106)의 내부(522)를 향해서 비스듬하고, 경사지고, 및/또는 각이 진다.
도 17은 매니폴드(600)가 제1 또는 비작동 상태(900) 및 제2 또는 작동 상태(902)에 있을 때 도 6의 매니폴드(600)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매니폴드(600)는 트리거(108)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상태(900)에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매니폴드(600)가 제1 상태에 있을 때, 제1 덕트(610) 및 제2 덕트(612)는 실질적으로 직선(straight)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덕트(610) 및/또는 제2 덕트(612)는 트리거(108)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다른 구성(예를 들어, 곡선)으로 된다.
매니폴드(600)는 트리거(108)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상태에 있다. 도시된 실시에에서, 트리거(108)가 제1 덕트(610)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624, 626)(도 10을 보기 바란다)를 통해서 매니폴드(600)에 맞물릴 때, 트리거(108)는 매니폴드(600)를 탄성 변형시키는 매니폴드(600)에 힘을 가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매니폴드(600)는 제2 조인트(632)에서, 제2 덕트(612)의 제1 굴곡 영역(904), 제2 덕트(612)의 제2 굴곡 영역(906)에서, 제1 조인트(616)에서, 및 제1 덕트(610)의 제3 굴곡 영역(908)에서 캡(110)에 대해서 플렉스하거나(flex) 구부러진다(bend). 그 결과,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은 제2 아치형 경로(720)를 따라서 이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은, 매니폴드(600)가 제1 상태(900)로부터 제2 상태(902)로 탄성 변형할 때 용기(104)를 향해서(즉, 도 17의 배향에서 하방으로) 및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을 향해서(즉, 도 17의 배향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06)은 트리거(10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캡(110)의 탄성 변형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예를 들어, 제1 플랜지(520)(도 6 및 7을 보기 바란다), 제3 리브(528)(도 7을 보기 바란다), 및 제4 리브(630)(도 7을 보기 바란다)는 매니폴드(600)의 제2 단부 부분(604)에 인접하게 캡(110)을 지지해서, 트리거(10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캡(110)이 탄성 변형(예를 들어, 굽힘)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고 캡(110)에 강성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단부 부분(604) 및 제2 덕트(612) 사이의 엘보우 또는 이음부(elbow or junction; 910)가 곧게 되도록(즉, 엘보우(910)의 곡률 반경이 증가한다) 제2 조인트(632)는 탄성 변형된다. 제1 굴곡 영역(904)은 제2 조인트(632)로부터 매니폴드(600)의 제1 조인트(616)를 향해서 연장한다. 제1 굴곡 영역(904) 사이에서 제2 덕트(612)는 제1 곡률 중심(C1)에 대해서 곡선으로 되고 제1 곡률 반경(R1)을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굴곡 영역(904)은 대략 제2 덕트(612)의 길이의 절반을 따라 연장한다.
제2 굴곡 영역(906)은 매니폴드(600)의 제1 굴곡 영역(904)으로부터 제1 조인트(616)로 연장한다. 제2 굴곡 영역(906) 상에서 제2 덕트(612)는 제2 곡률 중심(C2)에 대해서 곡선으로 되고 제2 곡률 반경(R2)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곡률 중심(C1) 및 제2 곡률 중심(C2)은 제2 덕트(612)의 반대되는 측 상에 있다. 그 결과, 제1 굴곡 영역(904)은 오목하고 제2 굴곡 영역(906)은 볼록하다. 따라서, 제2 덕트(612)는 제2 상태(902)에서 변곡점(point of inflection; 912)을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곡률 반경(R1)은 제2 곡률 반경(R2)과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곡률 반경(R1)은 제2 곡률 반경(R2)과 다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굴곡 영역(906)은 대략 제2 덕트(612)의 길이의 절반을 따라 연장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굴곡 영역(904) 및/또는 제2 굴곡 영역(906)은 제2 덕트(612)의 길이의 다른 크기 상에서 연장한다.
제1 조인트(616)는 제1 조인트(616)가 곧게 되어서 제1 덕트(610) 및 제2 덕트(612) 사이의 각도(614)가 증가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브레이스(618)는 실질적으로 제1 조인트(616)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상태(902)에서 각도(614)가 제1 상태(902)에서 각도(6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3 굴곡 영역(908)은 매니폴드(600)의 제1 조인트(616)로부터 제1 단부 부분(602)으로 연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굴곡 영역(908) 상에서 제1 덕트(610)는 제3 곡률 중심(C3)에 대해서 곡선으로 되고 제3 곡률 반경(R3)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 곡률 중심(C3)은 매니폴드(600)에서 제2 곡률 중심(C2)와 동일한 측 상에 있다. 도 17의 제3 곡률 반경(R3)은 제1 곡률 반경(R1) 및/또는 제2 곡률 반경(R2)보다 크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3 곡률 반경(R3)은 제1 곡률 반경(R1) 및/또는 제2 곡률 반경(R2)과 동일하거나 더 작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매니폴드(6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탄성 변형된다. 예를 들어, 매니폴드(600)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더 작은, 및/또는 대안적인 굴곡 영역, 변곡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8은 분배 시스템(100)의 상부, 개략도로서, 용기(104)의 예시적인 제1 풋프린트(first footprint; 1000) 및 오버캡(102)의 예시적인 제2 풋프린트(1002)를 도시한다. 제1 풋프린트(1000)는 원통형 부분(212)의 제1 최외곽 지점(1004)을 포함하는, 용기(104)의 최외곽 지점들의 개략적인 실례(illustration)이다. 제2 풋프린트(1002)는 트리거(108)의 제2 최외곽 지점(1006)을 포함하는, 오버캡(102)의 최외곽 지점들의 개략적인 실례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캡(102)의 제2 풋프린트(1002)는 전부 용기(104)의 제1 풋프린트(1000) 내에 있다. 따라서, 용기(104)의 제1 풋프린트(1000)는 오버캡(102)의 제2 풋프린트(1002)를 제한한다(circumscribe).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104)의 원통형 부분(212)은 원형,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18의 실시예에서, 제1 풋프린트(1000)는 원형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용기(104) 및/또는 제1 풋프린트(1000)는 다른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104)의 길이방향 축(216)은 용기(104)의 원통형 부분(212)의 곡률 중심(1008)을 통과한다. 도 18의 실시예에서, 곡률 중심(1008)은 용기(104)의 중심(centroid)과 일치한다. 따라서, 용기(104)의 길이방향 축은 용기의 중앙, 길이방향 축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중앙, 길이방향 축은 단면 형상의 중심 및/또는 구조의 중심(centroid)을 통과하는 길이방향 축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104)의 제1 최외곽 지점(1004)은 길이방향 축(216)으로부터 길이방향 축(216)에 수직한 제1 라인 또는 반경(1010)을 따라서 측정된 제1 거리(D1)이다. 트리거(108)의 제2 최외곽 지점(1006)은 길이방향 축(216)으로부터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2 라인 또는 반경(1012)을 따라서 측정된 제2 거리(D2)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라인(1012)은 제1 라인(1010)과 동일 평면에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보다 크고, 제2 거리(D2)는 제1 거리(D1)보다 작다. 따라서, 그립 부분(300)을 포함해서, 오버캡(102)의 어느 부분도 원통형 부분(214)의 제1 반경(1010)과 동일한 거리보다, 길이방향 축(216)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216)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지 않는다. 그 결과, 만약 분배 시스템(100)이 용기(104)의 측면에 의해 (대신에 용기(104)의 하단(210)(도 2를 보기 바란다)에 의해서) 표면 상에 지지된다면, 예를 들어, 포장, 선적(shipping), 운송 및/또는 저장 동안, 트리거(108)의 어느 부분도 표면에 접촉하지 않아서, 트리거(108)의 우발적인 작동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더 나아가, 그러한 배치는 또한 용기들의 혼잡함(jostling)이 발생할 수 있는 포장, 선적, 운송 및/또는 저장 상황에서, 용기(104)가 다른 수직하게 배향된 용기들에 인접하게 제공된 때, 더 확실한 수직 배향(vertical orientation)을 제공하는 추가적인 이점을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리거(108)의 제2 최외곽 지점(1006)은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하단(438)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최외곽 지점(1006)은 캡(102)의 다른 부품 및/또는 그립 부분(300)의 다른 부분 상에 배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기의 최외곽 지점은,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고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연장하는 반경 또는 라인을 따르는 방향에서 측정된 용기의 중앙,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용기의 지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오버캡의 최외곽 지점은, 용기의 중앙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오버캡이 용기에 결합될 때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고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연장하는 반경 또는 라인을 따르는 방향에서 측정된 가장 멀리 배치된 오버캡의 지점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도 1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배 시스템(100)의 풋프린트는 오버캡(102)의 부분들보다 더 큰 직경을 구비하는 용기(104)를 제공한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풋프린트는 종래에 발견된 유사한 분무기 시스템보다 더 큰 트리거(108)가 제공될지라도, 용기의 체적 감소 없이 가능했다. 사실, 일반적인 용기들은 더 작은 트리거를 활용하고, 더 큰 트리거가 사용될 때, 종종 트리거는 용기의 풋프린트를 지나 밖으로 연장하고 및/또는 용기의 체적은 더 큰 트리거를 구비하는 큰 사이즈로 된 오버캡을 수용하기 위해서 감소되어야 한다. 이러한 단점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비-제한적인 예시에 의해서, 표준 용기들은 약 245 내지 약 250mm 사이인 최고 및 최저 단부들 사이의 높이 치수를 포함한다. 또한, 그러한 용기들은 바람직하게 약 52 내지 66mm 사이의 직경을 구비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약 58 내지 약 59mm 사이의 직경을 구비한다. 또한, 그러한 용기들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8온스의 체적을 구비한다. 종래의 분무기에서 더 긴 트리거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전술된 용기 치수들을 유지하기 위해서 그러한 트리거가 용기의 최외곽 직경 또는 풋프린트를 지나서 연장하도록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풋프린트 내에 트리거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특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트리거의 최저 단부(예를 들어, 트리거(108)의 하단(438))은 용기의 최고 부분(예를 들어, 용기(104)의 마운팅 컵(200)) 아래에서 연장한다.
도 19는 도 1-18의 분배 시스템(100)의 단면도로서, 분배 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해서 활용될 수 있는 치수들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은 오목하고, 길이방향 축(550)이 놓이고 트리거(108)의 회전 축(414)에 수직하는 평면 내에서 약 44.5mm의 최소 곡률 반경(RS1)을 구비한다.
길이방향 축(550)에 대해서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과 반대되는 측 상에 있는 하우징(106)의 제2 측벽(514)은 오목하고 평면을 따라서 약 23.5mm의 최소 곡률 반경(RS2)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 측벽(514)의 최소 곡률 반경(RS2)은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최소 곡률 반경(RS1)의 약 절반이다. 그립 부분(300)의 곡률 중심(1100)은 제2 측벽(514)의 곡률 중심(1102)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립 부분(300)의 곡률 중심(1100)은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제2 측벽(514)의 곡률 중심(1102)으로부터 약 8mm만큼 오프셋된다. 도 19의 그립 부분(300)의 곡률 중심(1100)은 용기(104)의 최고 지점(718)으로부터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제2 측벽(514)의 곡률 중심(1102)보다 더 멀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립 부분(300)의 곡률 중심(1100)은 길이방향 축(55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2 측벽(514)의 곡률 중심(1102)으로부터 약 106.8mm만큼 이격 배치된다. 예를 들어, 그립 부분(300)의 곡률 중심(1100)은 길이방향 축(55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550)으로부터 약 66.3mm이다. 따라서, 제2 측벽(514)의 곡률 중심(1102)은 길이방향 축(55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550)으로부터 약 40.5mm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립 부분(300)의 곡률 중심(1100)은 제2 측벽(514)의 곡률 중심(1102)으로부터 다른 거리 및/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격 배치되고 및/또는 오프셋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은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약 48mm 내지 약 51mm의 길이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립 부분(300)은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약 40mm 내지 약 60mm의 길이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최고 지점(722)은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용기(104)의 최고 지점(718)으로부터 약 29.5mm의 거리이다.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최저 지점(716)은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약 20mm의 거리만큼 용기(104)의 최고 지점(718)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의 약 2/5는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용기(104)의 최고 지점(718)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최저 지점(716)은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약 40mm의 거리만큼 회전 축(414)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도 19를 더 참조하여, 스커트(542)의 제2 단부(526) 상에서 최저 지점은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용기(104)의 최고 지점(718)보다 약 18.5mm 아래의 거리이다. 스커트(542)의 제2 단부(526) 상에서 최저 지점은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오버캡(102)의 최고 지점(1104)으로부터 약 59mm의 거리에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버캡(102)의 최고 지점(1004)은 캡(110)의 상부 표면(647) 상에 배치된다. 캡(110)의 상부 표면(647)의 최저 지점(1106)은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용기(104)의 최고 지점(718)으로부터 약 30.5mm의 거리에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출구(308)는 길이방향 축(55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 축(550)으로부터 약 27.5mm의 거리에 있다. 전술된 치수들은 단지 예시들이므로, 다른 치수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108)가 제1 또는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 오버캡(102)의 웨이스트(1108)는 약 40mm 내지 약 42mm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웨이스트(1108)는 약 30mm 내지 약 50mm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오버캡의 웨이스트는 최소 곡률 반경을 구비하는 트리거의 그립 부분(예를 들어, 그립 부분(300))의 외부 표면 상의 지점으로부터 최소 곡률 반경을 구비하는 그립 부분에 반대되는 측벽(예를 들어, 제2 측벽(514))의 외부 표면 상의 지점까지 최단 거리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커트(542)는 약 0.6mm의 최소 두께를 구비한다. 그러나, 전술된 치수들은 단지 예시들이므로,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서 다른 치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된 형상, 치수 및/또는 비율(proportions)은 사용자가 쉽게 분배 시스템(100)을 그립하고 트리거(108)를 작동하게 한다. 또한, 하우징(106) 및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곡률들(curvatures)은, 분배 시스템(100)을 그립하도록,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의 하단(438) 상에 또는 근처에 사용자의 손가락들을 위치시키는, 오버캡(102)의 웨이스트(1108)에 또는 웨이스트(1108) 근처에, 사용자의 손을 안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분배 시스템(100)은 평균 크기의 손, 평균 이하 크기의 손, 및 평균 이상 크기의 손을 구비하는 사용자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즉, 웨이스트(1108)에서 또는 근처에서) 한 손으로 분배 시스템(100)을 그립하고 트리거(108)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0은 트리거 접촉 지점(1202)의 제1 경로(1200) 및 매니폴드 접촉 지점(1206)의 제2 지점(1204)을 도시하는 매니폴드(600) 및 트리거(108)의 확대된,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트리거 접촉 지점은 트리거의 작동 동안 매니폴드에 접촉한 트리거 상의 지점이고; 매니폴드 접촉 지점은 트리거의 작동 동안 트리거에 의해서 접촉된 매니폴드 상의 지점이다. 트리거 접촉 지점(1202)은 트리거(108)의 제1 접촉 표면(430) 상에 있다. 매니폴드 접촉 지점(1206)은 제1 돌출부(624)의 맞물림 표면(648) 상에 있다. 매니폴드(600)의 제2 돌출부(626)는 제1 돌출부(624)의 거울상이고, 제2 접촉 표면(432)은 제1 접촉 표면(430)의 거울상이다. 그러므로 제1 돌출부(624) 및 제1 접촉 표면(430)의 전술된 및 다음의 설명은 제2 돌출부(626) 및 제2 접촉 표면(432)에 적용 가능하다.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제2 돌출부(626) 상의 매니폴드 접촉 지점 및 제2 접촉 표면(432) 상의 트리거 접촉 지점은 별도로 설명되지 않는다.
트리거(10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제1 암(400)은 용기(104)를 향해서 회전한다. 그 결과, 제1 접촉 표면(430)은 용기(104) 및 제2 측벽(514)을 향해서(즉, 도 17의 배향에서 하방으로 및 우측으로) 이동한다. 제1 접촉 표면(430)이 제1 돌출부(624)의 맞물림 표면(648)에 접촉할 때, 매니폴드(600)의 제1 단부 부분(602)은 용기(104)를 향해서 및 트리거(108)의 그립 부분(300)을 향해서(즉, 도 17의 배향에서 하방으로 및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제1 접촉 표면(430)은 맞물림 표면(648)을 따라서 슬라이드하고, 트리거 접촉 지점(1202) 및 매니폴드 접촉 지점(1206)이 트리거(108)의 작동 동안 변화한다. 트리거(10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작동함에 따라서 트리거 접촉 지점(1202)의 제1 경로(1200)는 제1 돌출부(624)의 맞물림 표면(648)의 이동에 실질적으로 대응된다. 트리거(10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매니폴드 접촉 지점(1206)의 제2 경로(1204)는 제1 접촉 표면(430)의 이동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이하에서 표 1은 트리거(10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트리거 접촉 지점(1202) 및 매니폴드 접촉 지점(1206)의 예시적인 벡터 성분들을 나타낸다.
트리거 접촉 지점들 매니폴드 접촉 지점들
힘(N) 트리거
변위 크기
크기 Z Y X 크기 Z Y X
1 1.21 0.438 -0.001 -0.399 -0.179 0.159 0.002 -0.157 0.026
5 2.78 0.934 -0.006 -0.862 -0.360 0.822 0.009 -0.811 0.136
10 4.75 1.549 -0.012 -1.442 -0.565 1.647 0.019 -1.624 0.273
15 6.74 2.167 -0.018 -2.030 -0.757 2.474 0.029 -2.440 0.410
18 7.93 2.538 -0.022 -2.383 -0.872 2.970 0.035 -2.929 0.493
도 21은 트리거(108)의 작동 동안 예시적인 트리거(108)의 변위 크기에 대해 트리거(108)에 작용된 예시적인 힘들의 그래프(1300)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버캡(102)이 용기(104)에 결합되지 않을 때 힘들이 결정되므로, 힘들은 밸브 스템(208)을 디프레스하는 힘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트리거(108)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은 약 18뉴턴의 최대 힘으로 증가한다. 트리거(108)의 최대 변위 크기는 약 7.93mm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108)가 약 1.21mm로부터 약 7.93mm로 변위될 때, 트리거(108)에 작용된 힘들 및 트리거(108)의 변위 크기 사이의 관계는 실질적으로 선형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힘들, 변위 크기들, 및/또는 힘들 및 변위 크기 사이의 관계는 도 21에 도시된 것과 다르다.
도 22는 도 1의 라인 22-22를 따라 오버캡(102)의 하우징(106) 및 용기(104)의 확대된, 단면, 측면도로서, 용기(104)에 오버캡(102)을 고정하기 위한 대안적인 돌출부(140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22의 돌출부(1400)는 용기(104) 상에 하우징(106)을 스냅-핏하도록 제2 플랜지(532)와 협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1400)는 삼각형으로 된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돌출부(1400)는 다른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돌출부(1400)는 하우징(106)으로부터 연장하고 제2 플랜지(532)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1400)는 마운팅 컵(200)이 용기(104)에 오버캡(102)을 고정하기 위해서 배치되는 용기(104)의 컬링된 부분(curled portion; 1402)에 접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돌출부(1400)는 마운팅 컵(200)에 접촉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돌출부(1400)는 컬링된 부분(1402) 및 마운팅 컵(200)에 접촉한다.
도 23은 분배 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해서 활용될 수 있는 치수들을 도시하는 도 1-21의 분배 시스템(1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분배 시스템(100)은 약 244.5mm 내지 약 248.5mm인 높이(H1)를 구비한다. 분배 시스템(100)의 높이(H1)는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오버캡(102)의 최고 지점(1104)으로부터 용기(104)의 최저 지점(1500)까지 측정된다. 용기(104)는 약 205mm 내지 약 208mm의 높이(H2)를 구비한다. 용기(104)의 높이(H2)는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을 따라 용기(104)의 최고 지점(718)으로부터 용기(104)의 최저 지점(1500)까지 측정된다. 따라서, 오버캡(102)은 길이방향 축(550)을 따르는 방향으로 약 40mm의 높이(H3)만큼 용기(104)의 최고 지점(718) 상부에서 연장한다. 그 결과, 오버캡(102)은 분배 시스템(100)의 높이(H1)의 약 1/6 내지 1/7을 차지한다. 따라서, 여기에 개시된 분배 시스템(100)의 오버캡(102)은 종래의 분배 시스템의 오버캡보다 더 작고 및/또는 더 콤팩트하다. 그 결과, 더 큰 높이, 그리고 더 큰 체적을 구비하는 용기(예를 들어, 용기(104))는 분배 시스템(100)과 동일한 풋프린트(예를 들어, 도 18의 풋프린트(1000)) 및 동일한 높이(H1)를 구비하는 종래의 분배 시스템에 비해서 분배 시스템(100)에 의해 활용될 수 있다.
도 24는 오버캡(102)의 하우징(106)의 제1 구멍(500)을 가로지르는(spanning) 부서지기 쉬운 또는 깨지기 쉬운 빔(frangible or breakable beam; 1601)을 구비하는 변형 억제 장치(tamper resistant device)를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1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리거(108)는 도시되지 않는다. 도 24의 빔(1601)은 제1 또는 언브로큰 상태(first or unbroken state)로 도시된다. 빔(1601)은 트리거(108)가 제1 시간 동안(for a first time) 작동되지 않을 때 제1 상태에 있는다. 빔(1601)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빔의 제1 단부(1602) 및 제2 단부(1604)는 하우징(106)에 결합된다(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된다).
도 24의 빔(1601)은 분배 시스템(100)의 길이방향 축(550)에 실질적으로 수평 또는 수직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빔(1601)은 다른 방향으로 배향된다. 제1 레그(first leg; 1606) 및 제2 레그(1608)는 빔(1601)을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레그(1606) 및 제2 레그(1608)는 제2 플랜지(532)로부터 연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빔(1601), 제1 레그(1606), 제2 레그(1608) 및 하우징(106)은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빔(1601)은 다른 방식으로 하우징(106)에 결합된다.
트리거(108)가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빔(1601)은 트리거(108)의 제1 암(400), 제2 암(500), 및 제3 브레이스(420)(도 4 및 5)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트리거(108)가 제1 시간 동안 작동될 때, 트리거(108)는 용기(104)를 향해서 회전하고, 제1 암(400), 제2 암(402), 및/또는 제3 브레이스(420)는 빔(1601)에 접촉한다. 그 결과, 트리거(108)는 하우징(106)으로부터 빔(1601)의 제1 단부(1602) 및 제2 단부(1604)를 분리 또는 끊어내기에 충분한 힘을 빔(1601)에 작용시킨다. 빔(1601)이 하우징(106)으로부터 분리 또는 끊어질(sever) 때, 빔(1601)은 제2 또는 브로큰 상태에 있다. 사용자가 트리거(108)를 더 스퀴즈함에 따라서, 변형 억제 장치(1600)가 길이방향 축(550)을 향해서 구부러지거나 흔들려서 트리거(108)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1601)에 작용된 힘은 길이방향 축(550)을 향해서 레그들(1606, 1608)을 구부릴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실질적으로 빔(1601)의 어느 부분도 빔(1601) 및/또는 레그(1606, 1608)로부터 분리 또는 갈라지지 않는다. 트리거(108)가 제2 시간 동안(for a second time) 작동될 때, 트리거(108)는 빔(1601)에 접촉하고 빔(1601)에 힘을 작용한다. 그 결과, 변형 억제 장치(1600)는 길이방향 축(550)을 향해서 구부러지거나 흔들려서, 트리거(108)가 작동 위치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변형 억제 장치(1600)가 구부러지거나 흔들릴 때, 빔(1601) 및/또는 레그(1606, 1608)가 트리거(108)에 탄성력(spring force)을 가해서, 비작동 위치를 향해서 트리거(108)를 편향시키거나 촉구시킨다(urge).
여기에 개시된 예시들은 용기로부터 유체 제품을 분배 또는 배출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예시들에 대한 다수의 수정들은 전술된 설명의 견지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당업자가 청구된 발명을 제조 및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동일한 실시의 최상의 모드를 교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모든 수정에 대한 배타적 권리는 유보된다. 모든 특허 및 공개는 참조로 포함된다.
100: 분배 시스템
102: 오버캡
104: 용기
106: 하우징
108: 트리거
110: 캡
200: 마운팅 컵
300: 그립 부분
400, 402: 암
500: 구멍
600: 매니폴드

Claims (77)

  1. 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은 구멍을 포함하는 제1 측벽을 구비함 -;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된 그립 부분, 및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펄크럼(fulcrum)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측벽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하는 암을 구비하는 트리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캡; 및
    상기 캡에 매달리는(suspended) 매니폴드;
    를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제1 조인트 및 제2 조인트를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는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캡 사이에 배치된 링크를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인트는 상기 매니폴드의 제1 덕트 및 상기 매니폴드의 제2 덕트에 결합된 브레이스(brace)를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캡과 일체인 분배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돌출부와 맞물리도록 캠을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암으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 암을 포함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공간을 통해서 연장하는 분배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에 결합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암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서 압축되는 분배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제1 굴곡 영역(flexure area) 및 제2 굴곡 영역을 구비하는 덕트를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제1 측벽에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벽 상에 배치된 리브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배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시스템은 길이방향 축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 시스템은 상기 매니폴드와 유체 소통하는 배출 구멍(discharge aperture)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니폴드는 용기의 밸브 스템을 수용하기 위한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1 평면은 상기 배출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2 평면은 상기 트리거의 회전축을 관통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3 평면은 상기 매니폴드의 단부 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3 평면 사이에 배치되는 분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마운팅 컵을 포함하는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4 평면은 상기 마운팅 컵의 최저 지점(lowermost point)을 관통하고, 상기 트리거나 상기 용기에 작동되게 결합될 때 상기 트리거의 그립 부분의 최저 지점은 상기 마운팅 컵의 최저 지점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분배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그립 부분의 최저 지점은 제1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매니폴드의 일 부분은 상기 제1 아치형 경로에 반대되는 제2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분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의 일 부분은 상기 일 부분이 상기 제2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 측벽을 향해서 이동하는 분배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그립 부분의 하단은 상기 매니폴드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1 측벽을 향해서 이동하는 분배 시스템.
  16. 마운팅 컵 및 중앙 길이방향 축을 구비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에 결합되는 오버캡;
    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제1 최외곽 지점(a first outermost point)은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1 라인을 따라서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제1 거리에 있고,
    상기 오버캡은 피봇 가능한 트리거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의 제2 최외곽 지점은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2 라인을 따라서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제2 거리에 있고,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보다 작고, 상기 트리거의 그립 부분은 상기 용기의 마운팅 컵 아래에서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분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일 부분은 제1 곡률 축(first axis of curvature)에 대해서 곡선으로 되는(curved) 분배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일 부분은 상기 제1 곡률 축에 수직하는 제2 곡률 축에 대해서 곡선인 분배 시스템.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약 40mm 및 약 60mm 사이의 길이를 구비하는 분배 시스템.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그립 부분의 최저 지점은 약 4mm 및 약 14mm 미만(less than) 사이의 호 길이를 구비하는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분배 시스템.
  21. 제16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제1 풋프린트(footprint)를 구비하고 상기 오버캡은 제2 풋프린트를 구비하고, 상기 오버캡의 제2 풋프린트는 완전히 상기 제1 풋프린트 내에 배치되는 분배 시스템.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캡, 및 상기 캡과 일체로 형성된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그립 부분의 최저 지점은 제1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매니폴드의 단부 부분은 상기 제1 아치형 경로에 반대되는 제2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분배 시스템.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총 이동 범위는 상기 트리거의 회전의 약 2도 및 약 10도 미만 사이인 분배 시스템.
  25.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배출구에 인접한 제1 부분 및 상기 용기에 인접한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제1 두께를 구비하고 제2 부분은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구비하는 분배 시스템.
  26. 제1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가 작동 위치를 향해서 이동할 때 상기 그립 부분의 상단은 상기 중앙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는 분배 시스템.
  27. 제16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배출구(discharge outlet)에 인접한 최고 지점 및 상기 용기에 인접한 최저 지점을 구비하고, 상기 트리거가 회전 축에 대해서 피봇할 때, 상기 최고 지점 및 상기 최저 지점이 동일한 궤적을 따르도록 상기 트리거가 치수되는(dimensioned) 분배 시스템.
  28. 제16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은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에 반대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제1 측벽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하고 상기 제2 측벽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암을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분은 오목하고 상기 제2 측벽은 오목한 분배 시스템.
  30. 제1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은 실질적으로 상기 용기의 형상에 따라서(conforming) 탄성 변형된 스커트를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31. 하우징;
    배출구; 및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그립 부분을 구비하는 트리거;
    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 부분은 분배 시스템이 직립(upright)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배출구보다 아래에 배치된 내부 표면 및 상부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표면 또는 상기 내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안으로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 유체 제품을 안내하게 하도록, 상기 그립 부분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그립 부분의 상부 표면이 외측으로 이동하는 분배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표면은 상기 그립 부분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서 경사지는(sloped) 분배 시스템.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분배 시스템이 상기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배출구보다 아래에 배치된 제1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그립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구멍을 통해서 연장하는 암을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표면 또는 상기 내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구멍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안으로 상기 유체 제품을 안내하는 분배 시스템.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트리거의 그립 부분 및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된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서 상기 유체 제품을 안내하는 분배 시스템.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경사지는 분배 시스템.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계단 모양인(stepped) 분배 시스템.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배출구를 정의하는 스프레이 인서트(spray insert) 또는 매니폴드의 단부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제2 구멍을 정의하고, 상기 표면은 상기 제1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구멍으로 연장하는 분배 시스템.
  39. 제3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분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그립 부분의 최고 지점 및 상기 그립 부분의 최저 지점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궤적을 따르는 분배 시스템.
  40. 제3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시스템은 길이방향 축을 구비하고, 상기 그립 부분은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상기 트리거의 회전 축과 반대되는 측 상에 배치되는 분배 시스템.
  41. 제3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분은 제1 축 및 상기 제1 축에 대해 수직한 제2 축에 대해서 곡선으로 되는(curved) 분배 시스템.
  42. 제3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어로졸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에어로졸 용기에 결합되는 분배 시스템.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시스템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그립 부분의 최저 지점은 상기 에어로졸 용기의 마운팅 컵의 최저 지점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분배 시스템.
  44. 제3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분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그립 부분의 최고 지점은 음의 수직 벡터 성분을 구비하는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분배 시스템.
  45. 제31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분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그립 부분의 상부 표면의 일 부분은 상기 배출구보다 상기 분배 시스템의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더 멀리 외측에 배치되는 분배 시스템.
  46. 용기; 및
    상기 용기에 결합된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외면(exterior face)을 향해서 연장하는 내면(interior face)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스커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커트의 단부로부터 이격 배치된 상기 스커트의 영역의 제1 두께와 상기 스커트의 단부의 제2 두께의 비율은 약 1.5:1보다 크고,
    상기 용기에 비결합된 제1 상태에서 스커트는 제1 크기를 구비하는 구멍을 정의하고,
    상기 용기에 결합된 제2 상태에서 스커트는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구비하는 구멍을 정의하고 상기 스커트 및 상기 용기 사이에 환상의 유체 시일(circumferential fluid seal)을 형성하는 분배 시스템.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상기 제1 상태에서 나팔 모양(flared)이 되는 분배 시스템.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단부의 제2 두께는 약 0.3mm 내지 약 1.0mm인 분배 시스템.
  49.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제1 두께는 약 1.1mm 내지 약 1.6mm인 분배 시스템.
  50. 제46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제1 두께는 상기 영역의 원주 주위에서(about a circumference) 상기 영역의 가장 좁은 부분의 두께인 분배 시스템.
  51. 제46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의 제2 두께는 상기 영역의 원주 주위에서 상기 단부의 가장 좁은 부분의 두께인 분배 시스템.
  52. 제46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은 외측으로 휜(bow) 분배 시스템.
  53. 제46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은 외측으로 휜 분배 시스템.
  54. 제46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용기에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는 플랜지 및 돌출부를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용기의 마운팅 컵에 접촉하는 분배 시스템.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용기의 컬링된(curled) 부분에 접촉하는 분배 시스템.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용기 상에 스냅-핏(snap-fit) 되는 분배 시스템.
  58. 제46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의 일 부분은 실질적으로 상기 용기의 넥(neck)의 형상 및 크기에 일치하는 분배 시스템.
  59. 제46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영역의 제1 두께와 상기 스커트의 단부의 제2 두께의 비율은 약 3:1보다 큰 분배 시스템.
  60. 제46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의 영역의 제1 두께와 상기 스커트의 단부의 제2 두께의 비율은 약 5:1보다 큰 분배 시스템.
  61. 용기에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은 구멍을 포함하는 제1 측벽을 구비함 -;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된 그립 부분, 및 상기 제1 측벽의 구멍을 통해서 연장하고 상기 제1 측벽에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제2 측벽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리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캡; 및
    상기 캡에 매달리는 매니폴드;
    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의 제1 부분이 제1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매니폴드의 제2 부분이 상기 제1 아치형 경로에 반대되는 제2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트리거가 상기 매니폴드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배 시스템.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제1 굴곡 영역, 제2 굴곡 영역 및 제3 굴곡 영역을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제1 덕트 및 상기 제1 덕트에 대해 횡방향인(transverse) 제2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제1 굴곡 영역 및 상기 제2 굴곡 영역을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덕트는 실질적으로 곧게 되고, 상기 트리거의 제1 부분이 상기 제2 위치로 제1 아치형 경로를 따라서 이동할 때 상기 제2 덕트는 변곡점(point of inflection)을 구비하는 분배 시스템.
  65. 제61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가 상기 제1 측벽을 향해서 이동할 때, 상기 매니폴드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측벽을 향해서 이동하는 분배 시스템.
  66. 제61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캡과 일체로 되는 분배 시스템.
  67. 제6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캡 및 상기 매니폴드의 단부 부분 사이에 조인트를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68. 제61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와 유체 소통하는 배출 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 시스템은 길이방향 축을 구비하고, 상기 매니폴드는 용기의 밸브 스템을 수용하도록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1 평면은 상기 배출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2 평면은 상기 트리거의 회전 축을 관통하고, 상기 길이방향 축에 수직하는 제3 평면은 상기 매니폴드의 단부 부분을 관통하고,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제1 평면 및 상기 제3 평면 사이에 배치되는 분배 시스템.
  69. 제61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를 더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마운팅 컵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용기이고,
    상기 분배 시스템이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그립 부분의 최저 지점은 상기 마운팅 컵의 최저 지점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분배 시스템.
  71. 제61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돌출부에 맞물리도록 캠을 포함하는 분배 시스템.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암의 밑면(underside)에 의해서 정의되는 분배 시스템.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용기의 밸브 스템이 수용되는 상기 매니폴드의 단부 부분에 인접하게 연장하는 분배 시스템.
  74. 제61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치형 경로는 수직 벡터 성분 및 수평 벡터 성분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벡터 성분의 크기는 상기 수평 벡터 성분의 크기보다 큰 분배 시스템.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벡터 성분의 크기(magnitude)는 상기 수평 벡터 성분의 크기보다 약 1.5배 내지 약 6배 큰 분배 시스템.
  76.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에 반대되는 제2 측벽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 측벽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된 그립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하우징에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 트리거; 및
    약 30mm 내지 약 50mm의 웨이스트(waist);
    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 부분은 약 40mm 내지 약 60mm의 길이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 부분은 오목하고 상기 그립 부분 상의 제1 지점에서 최소 제1 곡률 반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벽은 오목하고 상기 제2 측벽 상의 제2 지점에서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 작은 최소 제2 곡률 반경을 구비하는 오버캡.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부분 상의 제1 부분은 상기 오버캡의 길이방향 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측벽 상의 제2 지점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오버캡.
KR1020177032027A 2015-04-06 2015-04-06 분배 시스템 KR101990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5/024581 WO2016163987A1 (en) 2015-04-06 2015-04-06 Dispensing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660A true KR20170134660A (ko) 2017-12-06
KR101990236B1 KR101990236B1 (ko) 2019-06-17

Family

ID=5298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027A KR101990236B1 (ko) 2015-04-06 2015-04-06 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0647501B2 (ko)
EP (1) EP3280659B1 (ko)
JP (1) JP6527242B2 (ko)
KR (1) KR101990236B1 (ko)
CN (1) CN107690412B (ko)
AU (1) AU2015390917A1 (ko)
BR (1) BR112017020883A2 (ko)
ES (1) ES2885528T3 (ko)
MX (1) MX2017012916A (ko)
WO (1) WO2016163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19867A1 (en) * 2013-07-31 2015-02-05 Msd Consumer Care, Inc. Oversized actuator and actuator assembly for a pressurized plastic vessel
USD821203S1 (en) 2015-09-21 2018-06-26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with cap and base
USD821202S1 (en) 2015-09-21 2018-06-26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with cap and base
USD821201S1 (en) 2015-09-21 2018-06-26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with base
USD830827S1 (en) 2015-09-21 2018-10-16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with base
USD858288S1 (en) 2015-09-21 2019-09-03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with base
DK3339212T3 (da) * 2016-12-23 2021-05-10 Doc Bibawo As Aerosoldispensere og beholdere og hoveder til sådanne beholdere
USD873149S1 (en) * 2017-11-20 2020-01-21 Hopkins Manufacturing Corporation Spray dispenser
USD878918S1 (en) 2018-06-01 2020-03-24 S. C. Johnson & Son, Inc. Actuator overcap
US10940493B2 (en) 2018-07-26 2021-03-09 S. C. Johnson & Son, Inc. Actuator and nozzle insert for dispensing systems
USD880298S1 (en) 2018-08-27 2020-04-07 S. C. Johnson & Son, Inc. Actuator
EP3844082A1 (en) * 2018-08-27 2021-07-07 S.C. Johnson & Son, Inc. Trigger overcap assembly
IT202000017446A1 (it) * 2020-07-17 2022-01-17 Coster Tecnologie Speciali Spa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una sostanza fluida
US11325773B2 (en) 2020-07-27 2022-05-10 Jeffery Jay Chaney Spray canister dispenser
KR102457597B1 (ko) * 2022-04-01 2022-10-24 정용욱 듀얼 스프레이 헤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9551A1 (en) * 2008-09-09 2010-03-11 Steve James Tomkins Aerosol Sprayer
JP2012091145A (ja) * 2010-10-28 2012-05-17 Yoshino Kogyosho Co Ltd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2013126646A (ja) * 2011-12-19 2013-06-27 Tetsuya Tada トリガー用スプリング及びそれを備えるトリガー式スプレー

Family Cites Families (2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9565A (en) 1962-06-05 1963-11-05 Louis F Kutik Closure for pressurized dispensing can having an actuator for the discharge valve
US3223287A (en) 1963-11-12 1965-12-14 Valve Corp Of America Molded one-piece actuator cap for aerosol devices
US3281021A (en) 1964-10-19 1966-10-25 Seaquist Valve Co Lever actuator and cap for aerosol valves
US3272391A (en) 1965-02-18 1966-09-13 Meshberg Philip Actuator for dispensing package
US3539078A (en) 1968-01-10 1970-11-10 Risdon Mfg Co One-piece molded plastic overcap and valve actuator for aerosol containers
FR1603803A (ko) 1968-07-08 1971-06-07
DE1775533A1 (de) 1968-08-23 1971-06-16 Siebel Carl G Entnahmekopf fuer Druckzerstaeuberpackungen
US3570723A (en) 1969-02-06 1971-03-16 Risdon Mfg Co Actuator-cup assembly for aerosol container
US3578220A (en) 1969-03-17 1971-05-11 Scovill Manufacturing Co Aerosol valve actuator and cap combination
US3661300A (en) 1969-10-02 1972-05-09 Gillette Co Dispensing package
US3632024A (en) 1970-03-04 1972-01-04 Union Carbide Corp Aerosol actuator assembly having an actuator button that is rotatable between dispensing and nondispensing positions
US3610479A (en) 1970-03-23 1971-10-05 Risdon Mfg Co Dispensing cap with tamper-resistant actuator
US3651993A (en) 1970-04-13 1972-03-28 Risdon Mfg Co Aerosol dispensing cap with tamper-resistant actuator
US3642179A (en) 1970-08-07 1972-02-15 Leeds & Micallef Self-restoring dispenser
US3669359A (en) 1970-09-18 1972-06-13 Precision Valve Corp Aerosol mechanical break-up nozzle insert
US3675831A (en) 1970-09-30 1972-07-11 Vca Corp Tamperproof aerosol dispenser
US3749286A (en) * 1970-11-09 1973-07-31 Colgate Palmolive Co Actuator cap with actuation disabling means
US3768707A (en) 1971-03-03 1973-10-30 Gillette Co Pressurized dispensing package
US3680605A (en) 1971-03-03 1972-08-01 Gillette Co Package for dispensing pressurized materials
FR2128223B1 (ko) 1971-03-12 1974-03-01 Oreal
US3739941A (en) 1971-04-26 1973-06-19 Federal Tool & Plastics Uca Co Actuator means for use with aerosol dispensers
US3744682A (en) 1971-09-01 1973-07-10 Dow Chemical Co Safety overcap for aerosol containers
US3785528A (en) 1972-08-21 1974-01-15 Vca Corp Aerosol dispensing device
US3946911A (en) 1973-03-16 1976-03-30 L'oreal Cap for operating dispensing valve which may be actuated from a plurality of directions
US3828982A (en) 1973-05-10 1974-08-13 Vca Corp Safety actuator for aerosol containers
FR2231579B1 (ko) 1973-05-30 1977-04-29 Oreal
US4533483A (en) 1973-07-02 1985-08-06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Heat source providing a substantially constant temperature
AU467531B2 (en) 1973-09-27 1975-12-04 Precision Valve Australia Pty. Limited A dispenser valve assembly fora pressurized aerosol dispenser
US3918614A (en) 1974-01-17 1975-11-11 Vca Corp Childproof actuator cap
FR2271995B1 (ko) 1974-05-21 1978-06-16 Aerosol Inventions Dev
FR2276243A1 (fr) 1974-06-26 1976-01-23 Oreal Capot de distribution a poignee amovible utilisable pour des recipients pressurises
US3991916A (en) 1974-07-01 1976-11-16 Bon F Del Automatic closure device for the discharge of a foam product from a pressurized container
US4053090A (en) 1974-08-22 1977-10-11 Vca Corporation Cap and valve actuator for spray dispensers
US4166554A (en) 1974-09-23 1979-09-04 Shell Oil Company Aerosol safety cap having hinged nozzle
US3913805A (en) 1975-02-24 1975-10-21 James J Sette One-piece dispenser cap and childproof actuator
DE7514807U (de) 1975-05-07 1975-08-28 Aerosol Inventions Dev Zerstaeubungs- und Betaetigungskopf fuer Aerosol-Verpackungen
CA1028665A (en) 1975-10-23 1978-03-28 S.C. Johnson And Sons Actuator-overcap for pressurized containers
US4024988A (en) 1975-10-28 1977-05-24 The Risdon Manufacturing Company Safety closure assembly for an aerosol container
FR2391927A2 (fr) 1975-12-03 1978-12-22 Aerosol Inventions Dev Ensemble de distribution pour recipient aerosol
DE2654657A1 (de) 1976-01-14 1977-07-21 Oreal Abgabekappe mit mit ihr einstueckigem druckknopf fuer druckbehaelter
US4132359A (en) 1976-04-09 1979-01-02 Yoshino Kogyosho Co., Ltd. Manually operative atomizer
FR2370213A1 (fr) 1976-11-04 1978-06-02 Oreal Valve doseuse pour recipient pressurise du type " bombe aerosol " et recipient correspondant
US4219135A (en) 1976-12-06 1980-08-26 Seaquist Valve Company Foam spout
FR2449613A1 (fr) * 1979-02-20 1980-09-19 Oreal Dispositif de fermeture a buse basculable pour recipient pressurise
FR2450208A1 (fr) 1979-02-28 1980-09-26 Oreal Dispositif de fermeture a buse basculable pour recipient pressurise
FR2465938A1 (fr) 1979-09-20 1981-03-27 Aerosol Inventions Dev Valve a prise additionnelle de gaz pour conditionnement aerosol
JPS56501590A (ko) 1979-10-11 1981-11-05
US4442959A (en) 1981-04-30 1984-04-17 Luigi Del Bon Self-closing valve-and-lid assembly
GR74502B (ko) 1980-05-30 1984-06-28 Oreal
ATE19226T1 (de) 1980-08-04 1986-05-15 Bon F Del Selbstschliessendes ventil und verschlussvorrichtung.
US4353483A (en) 1980-11-24 1982-10-12 Pehr Harold T Container cap having safety locking means
US4381065A (en) 1981-05-29 1983-04-26 Precision Valve Corporation Continuous discharge aerosol actuator
US4420099A (en) 1981-06-10 1983-12-13 Precision Valve Corporation Cup-shaped actuator for aerosol dispenser
GB2112462B (en) 1981-12-03 1985-06-19 Oreal A dispenser cap for a pressurised container and a corresponding unit
IT8221182V0 (it) 1982-03-18 1982-03-18 Sar Spa Gruppo valvola e cappuccio di erogazione di sostanze fluide sotto pressione con sigillo di garanzia.
US4428509A (en) 1982-04-01 1984-01-31 S. C. Johnson & Sons, Inc. Dispensing device for continuous aerosol
US5018647A (en) * 1982-06-08 1991-05-28 Abplanalf Robert H Dispensing cap for use with pressurized container
FR2541749B1 (fr) 1983-02-25 1986-08-22 Valois Sa Dispositif d'actionnement de securite pour valve aerosol
US4977142A (en) 1984-07-11 1990-12-11 University Of Sydney Antiallergenic agent
FR2592004B1 (fr) 1985-12-24 1988-09-02 Oreal Recipient pressurise destine a distribuer, de facon controlee, une mousse de qualite amelioree
US4791723A (en) 1986-01-17 1988-12-20 Jacobson Jeff A Disposable combination razor and shaving cream dispenser with movable cap
DE3601311A1 (de) 1986-01-17 1987-07-23 Joachim Czech Spender fuer pastoese produkte
US4740366A (en) 1986-01-21 1988-04-26 Church & Dwight Co., Inc. Air deodorizer composition and method
FR2594808B1 (fr) 1986-02-21 1988-12-30 Oreal Dispositif pour actionner une valve montee sur un recipient pressurise
FR2598101B1 (fr) 1986-04-30 1988-08-05 Oreal Embout pour distribuer un produit moussant
US4752020A (en) 1986-05-07 1988-06-21 Franz Grueter Pressurized dispensing container
GB8617350D0 (en) 1986-07-16 1986-08-20 Metal Box Plc Pump chamber dispenser
US4728007A (en) 1986-10-16 1988-03-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ensing assembly with nozzle storage
FR2609003B1 (fr) 1986-12-30 1989-12-01 Oreal Dispositif permettant l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et sa distribution par la manoeuvre d'un bouton-poussoir associe a un applicateur tubulaire
FR2610301B1 (fr) 1987-02-03 1989-09-15 Oreal Recipient pour l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et sa distribution controlee comportant un applicateur du type " brosse "
FR2614555B1 (fr) 1987-04-28 1989-06-09 Coatex Sa Composition polymere chargee en matiere minerale pulverulente a haute capacite d'absorption en eau
US4896832A (en) 1987-09-07 1990-01-30 Bespak Plc Dispensing apparatus for metered quantities of pressurised fluid
US5052585A (en) 1988-10-24 1991-10-01 Bolduc Lee R Dispenser
FR2639259B1 (fr) 1988-11-21 1991-03-29 Oreal Embout pour distribuer un produit, en particulier un produit moussant
US4946074A (en) 1989-06-15 1990-08-07 Calmar, Inc. Tamper evident manually actuated pump sprayer
FR2650255B1 (fr) 1989-07-25 1992-01-10 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d'un ou plusieurs produit(s) sous forme de creme, de liquide ou de poudre, notamment de produits cosmetiques
DE69025774T2 (de) 1989-07-25 1996-11-07 Oreal Abgabevorrichtung für ein flüssiges Produkt, insbesondere kosmetischer oder pharmazeutischer Art
US4941600A (en) 1989-08-31 1990-07-17 Technical Chemical Company Dispenser lock assembly for a pressurized container
FR2660289B1 (fr) 1990-04-03 1992-07-17 Oreal Bouton-poussoir pour bidon aerosol, et bidon aerosol equipe d'un tel bouton-poussoir.
US5244128A (en) 1990-05-04 1993-09-14 L'oreal Actuator device for a distribution valve
US5083681A (en) 1990-07-12 1992-01-28 Nye Norman H Valve for a fluid dispensing container
US5154323A (en) 1991-01-22 1992-10-13 Query Grady W Aerosol applicator and actuator
FR2675403B1 (fr) 1991-04-19 1993-08-13 Oreal Dispositif pour diffuser un produit liquide, notamment un produit capillaire, en fines gouttelettes.
FR2676714B1 (fr) 1991-05-21 1993-09-24 Oreal Recipient muni d'un dispositif elastique de fermeture.
FR2679620B1 (fr) 1991-07-25 1993-10-29 Oreal Valve reglable.
FR2680161B1 (fr) 1991-08-07 1993-11-05 Oreal Valve pour recipient pressurise du type bidon aerosol, et recipient pressurise equipe d'une telle valve.
US5232127A (en) 1991-10-30 1993-08-03 The Gillette Company Actuator and hood for dispensing device
FR2684080B1 (fr) 1991-11-27 1994-01-28 Oreal Dispositif de commande de distribution d'un circuit, notamment produit automoussant.
US5263616A (en) 1991-12-26 1993-11-23 Abplanalp Robert H Aerosol actuating cap with side-mounted hinges
US5169032A (en) 1992-02-24 1992-12-08 Afa Products Inc. Tamper evident sprayer/nozzle assembly
US5228600A (en) 1992-02-24 1993-07-20 Afa Products Inc. Child resistant nozzle for trigger sprayer
FR2693991B1 (fr) 1992-07-21 1994-11-25 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d'au moins un produit liquide ou pâteux, comportant un système de fermeture sans reprise d'air et procédé de conservation utilisant ledit ensemble.
US5379924A (en) 1993-01-08 1995-01-10 Taylor; Brent Aerosol container cap and activator button assembly
US5597095A (en) * 1993-06-09 1997-01-28 Precision Valve Corporation Dual arm aerosol actuator having a movable and stationary arm
DE9308745U1 (ko) 1993-06-11 1993-08-12 Aerosol Technik Lindal Gmbh, 23843 Bad Oldesloe, De
US5480095A (en) 1993-09-14 1996-01-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ctuator and container for dispensing fluids
FR2711620B1 (fr) 1993-10-21 1995-12-22 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équipé d'un organe de fermeture unidirectionnel.
FR2711555B1 (fr) 1993-10-22 1996-01-26 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à chambre de compression à volume variable à membrane.
FR2711554B1 (fr) 1993-10-22 1995-12-22 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à reprise d'air commandée.
US5388730A (en) 1993-11-10 1995-02-14 Enviro Pac International L.L.C. Lockable actuator for a dispensing canister
DE4342304A1 (de) 1993-12-11 1995-06-14 Owens Illinois Closure Inc Sprühpumpe
FR2716873B1 (fr) 1994-03-03 1996-04-19 Frank Clanet Dispositif de distribution à fermeture étanche du contenu d'un récipient pressurisé ou d'un récipient à pompe.
US6004056A (en) 1994-04-18 1999-12-21 L'oreal Unit for dispensing a fluid product
FR2721010B1 (fr) 1994-06-08 1996-07-19 Oreal Distributeur de liquide comprenant une valve de distribution et un bouton-poussoir.
US5482186A (en) 1994-06-20 1996-01-09 Calmar Inc. Removable lock element for immobilizing rotation of a trigger sprayer nozzle
US5439141A (en) 1994-07-21 1995-08-08 Scott Paper Company Dual liquid spraying system
DE4426118A1 (de) 1994-07-22 1996-01-25 Coster Tecnologie Speciali Spa Zerstäuberkappe für einen Behälter für ein unter Druck stehendes Fluid
US5503303A (en) 1994-10-14 1996-04-02 S. C. Johnson & Son, Inc. Dual function self-pressurized aerosol actuator overcap
US6112953A (en) 1994-10-20 2000-09-05 L'oreal Dispensing assembly equipped with a unidirectional closure member
GB9422826D0 (en) 1994-11-11 1995-01-04 Spraysol Gmbh Dispenser for liquid products
FR2727390B1 (fr) 1994-11-29 1997-01-10 Oreal Dispositif d'actionnement de valve de distribution de bidon aerosol
US5535950A (en) 1994-12-07 1996-07-16 Calmar Inc. Dual trigger sprayer
US5649645A (en) 1995-02-15 1997-07-22 S. C. Johnson & Son, Inc. Overcap sprayer assembly
FR2731211B1 (fr) 1995-03-03 1997-04-11 Oreal Dispositif d'actionnement d'un mecanisme de distribution tel qu'une valve equipant un recipient pressurise de type aerosol
US5714121A (en) 1995-09-28 1998-02-03 Optical Sensors Incorporated Optical carbon dioxide sensor,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DE19536902A1 (de) 1995-10-04 1997-04-10 Boehringer Ingelheim Int Vorrichtung zur Hochdruckerzeugung in einem Fluid in Miniaturausführung
ES2120276T3 (es) 1995-11-13 1998-10-16 Oreal Recipiente aerosol.
US6464111B2 (en) 1995-11-13 2002-10-15 L'oreal Dispenser containing a product and dispensing method
FR2742128B1 (fr) 1995-12-08 1998-01-16 Oreal Tete de distribution equipee d'un systeme de fermeture a reprise d'air
FR2742736B1 (fr) 1995-12-22 1998-01-16 Oreal Distributeur de liquide comprenant un bouton-poussoir
US5752737A (en) 1996-01-22 1998-05-1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oor reinforcement system for pick-up trucks
CA2245773C (en) 1996-02-07 2005-12-06 University Of Southampton Method of precipitating airborne particles
US5716008A (en) 1996-03-04 1998-02-10 Nottingham-Spirk Design Associates, Inc. Trigger sprayer
GB2320722A (en) 1996-12-31 1998-07-01 Reckitt & Colmann Prod Ltd Abrasive cleaning using spray dispenser
MXPA00000068A (es) 1997-07-04 2002-09-18 Univ Southampton Direccionamiento mejorado hacia insectos voladores con insecticidas y aparato para cargar liquidos.
US5839616A (en) 1997-08-14 1998-1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ow molded container having pivotal connector for an actuation lever
EP1024902B1 (en) 1997-10-28 2005-03-16 Reckitt Benckiser (UK) LIMITED Compressed gas propelled aerosol devices
JP4049862B2 (ja) 1997-11-21 2008-02-20 株式会社三谷バルブ カバーキャップ
GB9814366D0 (en) 1998-07-02 1998-09-02 Reckitt & Colmann Prod Ltd Malodour treatment
GB9814370D0 (en) 1998-07-02 1998-09-02 Reckitt & Colmann Prod Ltd Aerosol spraying
GB9814372D0 (en) 1998-07-02 1998-09-02 Reckitt & Colmann Prod Ltd Treatment of airborne allergens
US6161736A (en) 1998-07-16 2000-12-19 Berry Plastics Corporation Dispenser apparatus
US6116472A (en) 1998-12-15 2000-09-12 Calmar Inc. Trigger acutated pump sprayer
ATE275335T1 (de) 1998-12-24 2004-09-15 Reckitt Benckiser Uk Ltd Vorrichtung zum dispersieren einer flüchtigen zusammensetzung
US6095377A (en) 1999-03-26 2000-08-01 Calmar Inc. Liquid dispensing pump
US6131820A (en) 1999-06-01 2000-10-17 Calmar Inc. Discharge valve assembly for trigger sprayer
SE9902672D0 (sv) 1999-07-12 1999-07-12 Astra Ab Delivery device
GB9916755D0 (en) 1999-07-17 1999-09-15 Reckitt & Colmann Pro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sitions
AU7580600A (en) 1999-09-15 2001-04-17 Technical Concepts, L.P.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ably dispensing material
US6267297B1 (en) 1999-10-12 2001-07-31 Waterbury Companies, Inc. Programmable dispenser
US6253965B1 (en) 2000-02-28 2001-07-03 Sides S.A. Valve heads for soft drink bottles and the like
JP4346790B2 (ja) 2000-05-11 2009-10-21 株式会社ダイゾー トリガー式のエアゾール製品
US6318595B1 (en) 2000-06-08 2001-11-20 Seaquistperfect Dispensing Foreign, Inc. Finger-actuatable spray pump package with user-ready two-piece spray-through cap, pre-assembly cap, and method for making said package
US6384310B2 (en) 2000-07-18 2002-05-07 Yamaha Corporation Automatic musical com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US6502766B1 (en) 2000-07-24 2003-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sprayers
FR2813593B1 (fr) 2000-09-07 2002-12-06 Valois Sa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de type multidose
US6332562B1 (en) 2000-09-12 2001-12-25 Saint-Gobain Calmar Inc. Ergonomic trigger sprayer having side saddle supports
FR2815616B1 (fr) 2000-10-20 2003-01-24 Oreal Ensemble de distribution destine a la distribution extemporanee de deux produits
US6405898B1 (en) 2000-11-16 2002-06-18 The Gillette Company Dispenser for a foaming product
KR200222263Y1 (ko) 2000-11-24 2001-05-02 승일제관주식회사 에어로졸 분사장치
US6286728B1 (en) 2001-01-05 2001-09-11 Saint-Gobain Calmar Inc. Shroud cover for trigger sprayer
NZ527653A (en) 2001-03-14 2005-01-28 Johnson Diversey Inc Automatic air freshener with dynamically variable dispensing interval
KR100791757B1 (ko) 2001-06-27 2008-01-04 가부시키가이샤 가네보케쇼힝 혼합주출장치
IE20020583A1 (en) 2001-07-13 2003-02-19 Edmak Ltd Trigger sprayers
US6739479B2 (en) 2002-04-09 2004-05-25 Waterbury Companies, Inc. Dispensing system
JP4121765B2 (ja) 2002-04-12 2008-07-23 株式会社ダイゾー 身体などに噴射するエアゾール製品
US6758373B2 (en) 2002-05-13 2004-07-06 Precision Valve Corporation Aerosol valve actuator
GB0216549D0 (en) 2002-07-16 2002-08-28 Univ Brunel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erosol discharge
US7137536B2 (en) 2002-07-22 2006-11-21 Seaquist Perfect Dispensing Foreign, Inc. Inverted aerosol dispenser
US7882990B1 (en) 2002-07-22 2011-02-08 Seaquistperfect Dispensing Foreign, Inc. Inverted aerosol dispenser
CA2496019A1 (en) 2002-08-23 2004-03-04 Incro Limited Outlet device for a container or vessel
US7104427B2 (en) 2003-01-21 2006-09-12 Precision Valve Corporation Gapless aerosol valve actuator
DE20306719U1 (de) * 2003-04-24 2003-07-10 Lindal Ventil Gmbh Sprühkappe
US20040222246A1 (en) 2003-05-05 2004-1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er actuator, spray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222802B2 (en) 2003-05-23 2007-05-29 Meadwestvaco Corporation Dual sprayer with external mixing chamber
US7677416B2 (en) 2003-07-15 2010-03-16 Meadwestvaco Calmar, Inc. In-line manually operated liquid dispenser with simplified construction
US7100602B2 (en) 2003-10-30 2006-09-05 Shield Defense Technologies, Inc. Self-defense flashlight equipped with an aerosol dispenser
US7000805B1 (en) 2003-11-04 2006-02-21 Chin-Ta Wu PU foam rubber fluid applicator
US7140515B2 (en) 2003-11-14 2006-11-28 Vermilion Corporation Manually manipulable actuator mechanism having constrained range of motion
FR2862623B1 (fr) 2003-11-25 2006-01-20 Oreal Valve a basculement a debits independants
US6978946B2 (en) 2004-01-14 2005-12-27 Saint-Gobain Calmar Inc. Dual discharge trigger sprayer
DE102004003264A1 (de) 2004-01-21 2005-08-18 Fazekas, Gàbor Adapter für Aerosoldosen
US7175111B2 (en) 2004-03-03 2007-02-13 Meadwestvaco Corporation Discharge/vent module for power sprayer
EP1727745B1 (en) 2004-03-18 2009-04-22 Rust-Oleum Netherlands B.V.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 product
US20060000853A1 (en) 2004-07-02 2006-01-05 Rueschhoff Kenneth J Dispenser for delivering substances onto a surface or into liquids
DE102004060236A1 (de) * 2004-12-15 2006-06-29 Wella Ag Kappe für einen Aerosolbehälter oder einen Sprühbehälter
US20060273110A1 (en) 2005-06-02 2006-12-07 Mike Jacobs Safety caps for aerosol spray device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7350675B2 (en) 2005-06-15 2008-04-01 Meadwestvaco Calmar, Inc. Sustained duration non-aerosol mechanical sprayer with a charging element load bearing surface
US20070023457A1 (en) 2005-07-28 2007-02-01 Precision Valve Corporation Aerosol valve trigger actuator
US7204393B2 (en) 2005-08-12 2007-04-17 Summit Packaging, Inc. Spray actuating mechanism for a dispensing canister
US7757905B2 (en) 2005-08-18 2010-07-20 Summit Packaging Systems, Inc. Spray actuator
US20070051754A1 (en) * 2005-09-08 2007-03-08 Strand Toralf H Button actuated mechanism for a dispensing canister
US7922041B2 (en) 2005-12-29 2011-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pray dispensers
US7455198B2 (en) 2006-03-07 2008-11-25 Meadwestvaco Calmar, Inc. Trigger forward pivot limit for a trigger sprayer
US20070210116A1 (en) 2006-03-07 2007-09-13 Continental Afa Dispensing Company Trigger sprayer with integral piston rod and u-shaped spring
US20070210106A1 (en) 2006-03-07 2007-09-13 Continentalafa Dispensing Company Trigger Sprayer with Piston Rod and Spring Tamper Evident Connection
US7497358B2 (en) 2006-03-15 2009-03-03 Meadwestvaco Calmar, Inc. Trigger sprayer with integral piston rod and bowed spring
US7637396B2 (en) 2006-03-15 2009-12-29 MeadWestvaco Clamar, Inc. Trigger sprayer piston rod with integral spring and ball and socket piston connection
DE102006022002A1 (de) 2006-05-10 2007-11-1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Zerstäuber und Verfahren zur Zerstäubung von Fluid
US7721920B2 (en) 2006-05-31 2010-05-25 The Clorox Company Ergonomic cap for plastic aerosol container
EP1862400A1 (en) 2006-06-02 2007-12-05 Wella Aktiengesellschaft Cap with actuation protection for a pressurized container
US7673819B2 (en) 2006-06-26 2010-03-09 Battelle Memorial Institute Handheld sprayer with removable cartridge and method of using same
EP2029288B1 (en) * 2006-06-21 2013-05-01 Summit Packaging Systems, Inc. One-piece trigger cap for a spray dispenser
US8960503B2 (en) 2006-10-19 2015-02-24 Atef Gabr Soliman Plastic aerosol container
WO2008073809A2 (en) 2006-12-08 2008-06-19 Meadwestvaco Corporation Trigger sprayer
JP4355780B2 (ja) 2006-12-15 2009-11-04 哲也 多田 トリガー式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JP4994859B2 (ja) 2007-01-19 2012-08-08 大下産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噴射器のトリガー式ヘッドキャップ
US7789278B2 (en) 2007-04-12 2010-09-07 The Clorox Company Dual chamber aerosol container
US7621468B2 (en) * 2007-10-01 2009-1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 for pressurized delivery of fluids
DE102007049334A1 (de) 2007-10-12 2009-04-16 Henkel Ag & Co. Kgaa Druckverpackung für viskose Materialien
WO2009058000A1 (en) 2007-10-31 2009-05-07 Plasticum Group B.V. Spray cap
FR2923810A1 (fr) 2007-11-15 2009-05-22 Oreal Tete de distribution du type a declenchement par gachette.
EP2233213B1 (en) 2007-12-14 2018-05-16 Canyon Co., Ltd. Pressure accumulation dispenser
US7942291B2 (en) 2007-12-17 2011-05-17 Meadwestvaco Calmar Inc. Break-away spring and piston rod for a trigger sprayer
US8123082B2 (en) 2008-01-22 2012-02-28 McNeil-AB Hand-held dispensing device
EP2285709B1 (en) 2008-06-10 2017-09-06 WestRock Dispensing Systems, Inc. Aerosol acctu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8881944B2 (en) 2008-06-30 2014-11-11 S.C. Johnson & Son, Inc. Overcap for and a method of actuating a volatile material dispenser
JP2010088986A (ja) 2008-10-06 2010-04-22 Canyon Corp トリガースプレー
US8087546B2 (en) 2008-10-28 2012-01-03 Dan Rabinovitch Dispenser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liquid or pourable solid product
WO2010056724A1 (en) 2008-11-12 2010-05-20 Meadwestvaco Calmar, Inc. Spray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20120097713A1 (en) 2009-07-10 2012-04-26 Ian Alec Mackinnon Spray through cap for a pressurised fluid container
CN102695660B (zh) 2009-09-30 2014-09-03 米德韦斯特瓦科卡尔玛公司 歧管和气雾剂歧管的阀接口
GB2475393B (en) 2009-11-17 2012-10-24 Univ Salford Aerosol spray device
TWM390180U (en) * 2009-12-04 2010-10-11 Taiwan Bor Ying Corp Cover nozzle for a high pressure gas tank
EP2534069B1 (en) 2010-02-10 2015-08-26 S.C. Johnson & Son, Inc. Overcap for an aerosol container
FR2957590B1 (fr) 2010-03-22 2014-04-25 Lindal France Sas Diffuseur a gachette
US8444026B2 (en) * 2010-03-26 2013-05-21 S.C. Johnson & Son, Inc. Dual activated actuator cap
PL2566629T3 (pl) 2010-05-05 2021-09-20 Dispensing Technologies B.V. Urządzenie rozpylające z funkcjonalnością aerozolu („flairosol”)
US8322630B2 (en) 2010-05-10 2012-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gger pump sprayer
US8322631B2 (en) 2010-05-10 2012-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gger pump sprayer having favorable particle size distribution with specified liquids
US10233010B2 (en) 2010-08-23 2019-03-19 Silgan Dispensing Systems Corporation Locking aerosol actuators
EP2608891A2 (en) 2010-08-23 2013-07-03 MeadWestvaco Calmar, Inc. Aerosol trigger sprayer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BR112013004349B1 (pt) 2010-08-23 2021-10-26 Silgan Dispensing Systems Corporation Acionador de aerossol e embalagem de aerossol compreendendo tal acionador
CN103097261B (zh) 2010-09-09 2014-11-19 三谷阀门有限公司 执行器倒立定量喷射机构以及具备该执行器倒立定量喷射机构的喷雾式制品
EP2624962A1 (en) 2010-10-05 2013-08-14 MeadWestvaco Calmar, Inc. Foaming aerosol actuat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3402649A (zh) 2011-02-22 2013-11-20 维佳创新有限公司 喷雾驱动器
WO2012166793A1 (en) 2011-06-01 2012-12-06 Meadwestvaco Calmar, Inc. Aerosol actuators and improved aerosol assemblies
US8840045B2 (en) * 2011-06-09 2014-09-23 S.C. Johnson & Son, Inc. Fluid dispensing device having multiple spray patterns
US9375593B2 (en) 2011-06-21 2016-06-28 Michael Fishman Aerosol fire extinguisher with trigger sprayer
EP2557555A1 (en) 2011-07-14 2013-02-13 Playnot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usic education
US8967436B2 (en) 2011-08-09 2015-03-03 S.C. Johnson & Son, Inc. Dispensing system
US9981799B2 (en) 2011-08-09 2018-05-29 S.C. Johnson & Son, Inc. Dispensing system
RU2683982C2 (ru) 2011-09-20 2019-04-03 Диспенсинг Текнолоджиз Б.В. ДОЗИРУЮЩЕЕ И АКТИВИРУЕМОЕ РАСПЫЛИТЕЛЬНЫЕ УСТРОЙСТВА С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ЬЮ АЭРОЗОЛЬНОГО БАЛЛОНЧИКА ("Flairosol II")
MX2014012686A (es) 2012-04-24 2015-06-03 Aptargroup Inc Despachador de aerosol operado por gatillo.
US8887963B2 (en) 2012-05-03 2014-11-18 Aziz Zizoune Universal yoke and dispensing device for canisters
JP5971754B2 (ja) * 2012-08-20 2016-08-17 株式会社三谷バルブ トリガー操作式内容物放出機構ならびにこのトリガー操作式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エアゾール式製品およびポンプ式製品
GB2525128B (en) * 2013-02-05 2021-02-10 Silgan Dispensing Systems Corp Aerosol sprayer with anti-drool valve
US20150014442A1 (en) 2013-07-12 2015-01-15 Michael Fishman Aerosol water with trigger sprayer
US20150021413A1 (en) 2013-07-16 2015-01-22 Michael Fishman Aerosol Lubricant and or Solvent Cleaner with a Trigger sprayer
EP3512603B1 (en) * 2016-10-19 2020-02-12 Unilever PLC Compressed hair spray
DE102016221820A1 (de) * 2016-11-08 2018-05-09 Beiersdorf Ag Selbstschließender Ausgabekopf
DK3339212T3 (da) * 2016-12-23 2021-05-10 Doc Bibawo As Aerosoldispensere og beholdere og hoveder til sådanne beholde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9551A1 (en) * 2008-09-09 2010-03-11 Steve James Tomkins Aerosol Sprayer
JP2012091145A (ja) * 2010-10-28 2012-05-17 Yoshino Kogyosho Co Ltd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JP2013126646A (ja) * 2011-12-19 2013-06-27 Tetsuya Tada トリガー用スプリング及びそれを備えるトリガー式スプレ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47501B2 (en) 2020-05-12
WO2016163987A1 (en) 2016-10-13
CN107690412A (zh) 2018-02-13
ES2885528T3 (es) 2021-12-14
BR112017020883A2 (pt) 2018-07-10
US20220332494A1 (en) 2022-10-20
AU2015390917A1 (en) 2017-10-12
JP6527242B2 (ja) 2019-06-05
US20180099808A1 (en) 2018-04-12
MX2017012916A (es) 2018-01-15
EP3280659B1 (en) 2021-07-14
KR101990236B1 (ko) 2019-06-17
CN107690412B (zh) 2020-05-05
US11407581B2 (en) 2022-08-09
EP3280659A1 (en) 2018-02-14
US20200198875A1 (en) 2020-06-25
JP2018512341A (ja)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236B1 (ko) 분배 시스템
US11708210B2 (en) Trigger overcap assembly
CN101528357B (zh) 流体分配设备
US8201714B2 (en) Aerosol sprayer
US8540121B2 (en) Dispensing actuator with flip-open lid
US7784650B2 (en) Sprayer actuator, spray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2534069B1 (en) Overcap for an aerosol container
US20090297460A1 (en) Aerosol dispenser
JP2013523537A (ja) 2元的に活性化されるアクチュエータキャップ
US20120097713A1 (en) Spray through cap for a pressurised fluid container
US20190283055A1 (en) Pump dispenser with outlet valve
US20060118578A1 (en) Actuator cap and product refill for a housing
JP2013525224A (ja) エアゾール容器用のアクチュエータ
EP1789347B1 (en) Actuator cap and product refill for a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