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573A -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573A
KR20170133573A KR1020160064321A KR20160064321A KR20170133573A KR 20170133573 A KR20170133573 A KR 20170133573A KR 1020160064321 A KR1020160064321 A KR 1020160064321A KR 20160064321 A KR20160064321 A KR 20160064321A KR 20170133573 A KR20170133573 A KR 20170133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ircuit
driver integrated
via hole
display panel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9495B1 (ko
Inventor
오연준
이찬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4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49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01L27/3276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비아홀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비아홀을 통해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배면(후면)에 접합되도록 하여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베젤을 얇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아홀을 통해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접합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에서 글래스를 분리시키는 레이저 릴리즈 공정과 드라이버 집적회로 접합 공정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레이저 릴리즈 공정에 의한 불량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DEVICE}
본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일반적인 평판 표시장치와 다르게 종이처럼 얇고 유연한 기판을 통해 특별한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일반 TV는 물론 모바일 기술 환경에도 이용될 수 있으며, 의류나 섬유를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여 기존 평판 표시장치의 응용 범위를 넘어 전자신문, 전자책, 컴퓨터, 자동차 관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제조 공정은 상부에서부터 디스플레이 재료층과, 박막 트랜지스터층, 회로소자가 형성된 폴리이미드(Coated Polyimide)층인 플렉서블 기판층과, 릴리즈층(a-Si)과 캐리어 글래스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진행된다.
다음으로 캐리어 글래스를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면 릴리즈층과 캐리어 글래스층이 플렉서블 기판층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제조된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 등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측에 부착되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드라이버 집적회로 사이에 도전성 접착제인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이하 "ACF"라고도 함)을 도포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부착된 부분은 레이저 공정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표시 영역에 비하여 에너지 밀집도가 높아 공정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측면에 부착됨으로써 비표시 영역의 너비가 넓어져 좁은 베젤의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비표시 영역의 너비를 감소시켜 좁은 베젤이 구현된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과, 플렉서블 기판의 상면에서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패드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패널에서, 플렉서블 기판의 비표시 영역은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비아홀(제1비아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기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패드부는 플렉서블 기판의 제1비아홀과 접하는 위치에 비아홀(제2비아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드부에 포함된 제2비아홀은 플렉서블 기판에 포함된 제1비아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패드부의 두께보다 낮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배면에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일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플렉서블 기판에 포함된 제1비아홀과 접하는 위치에 비아홀(제3비아홀)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에 포함된 제1비아홀과, 패드부에 포함된 제2비아홀과,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포함된 제3비아홀에는 금속 물질이 충진될 수 있고, 플렉서블 기판, 패드부 및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비아홀들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배면에는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접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포함된 제3비아홀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른 비아홀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연성인쇄회로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의 외측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비아홀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측면 또는 배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다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배면에 위치하고,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비아홀에 의해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배면에 위치하며,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포함된 비아홀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른 비아홀에 의해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접합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비아홀을 통해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접합시킴으로써, 레이저 공정에 의한 불량 발생이 감소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플렉서블 표시패널에 포함된 비아홀을 통해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후면(배면)에 접합시킴으로써, 비표시 영역의 너비를 감소시키고 좁은 베젤이 구현된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연결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연결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3의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제조 공정 중 레이저 릴리즈 공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연결 구조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도 5B의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연결 구조의 단면의 예시와 패드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B의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연결 구조의 단면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와 도 9B는 도 6과 도 8의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제조 공정 중 레이저 릴리즈 공정과 드라이버 집적회로 접합 공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제조 공정의 예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제조 공정의 다른 예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이 배치되고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이 교차되는 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화소(20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20)와,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30)와, 게이트 드라이버(120)와 데이터 드라이버(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40)를 포함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스캔 신호(게이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한다.
컨트롤러(140)는,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로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3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제어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컨트롤러(14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게이트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구동 방식에 따라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일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120)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연결된 필름상에 실장되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특정 게이트 라인(GL)이 열리면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에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일 단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ource Printed Circuit Board)에 본딩되고, 타 단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본딩된다.
컨트롤러(140)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함께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DE: Data Enable) 신호, 클럭 신호(CLK)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외부(예: 호스트 시스템)로부터 수신한다.
컨트롤러(14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3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입력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클럭 신호(CLK)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40)는, 게이트 드라이버(120)를 제어하기 위하여,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Gate Start Pulse),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여기서,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드라이버(12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동작 스타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공통으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로서, 게이트 신호의 쉬프트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타이밍 정보를 지정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140)는,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제어하기 위하여, 소스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소스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 Sourc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제어 신호(DCS: Data 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여기서,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드라이버(13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각각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는 데이터 드라이버(13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40)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본딩된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연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또는 연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결 매체를 통해 연결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ontrol Printed Circuit Board)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 게이트 드라이버(120) 및 데이터 드라이버(130) 등으로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각종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컨트롤러는 전원 관리 집적회로(Power Management IC)라고도 한다.
다수의 화소(200)는,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이 교차되는 영역에 배치되며, 게이트 드라이버(120)에 의해 게이트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에 데이터 드라이버(13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전압을 공급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게이트 드라이버(120) 또는 데이터 드라이버(130)가 연결되는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111)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1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영역(111)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이 배치되며 게이트 라인(GL)과 데이터 라인(DL)이 교차되는 영역에 화소(200)가 배치된다.
비표시 영역(112)에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20)나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30)와 접합되는 패드부가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120)나 데이터 드라이버(13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일 단에 배치되며,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나 다수의 데이터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같은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을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일 단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비표시 영역(112)에 위치하는 패드부와 접합될 수 있고, 타 단은 연성인쇄회로기판(152)과 접합될 수 있다.
드라이버 집적회로(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일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으나,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는 게이트 드라이버(120)와 데이터 드라이버(130)에 포함된 드라이버 집적회로(151) 중 어느 하나의 배치 구조만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드라이버에 포함된 다수의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도 동일한 구조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드라이버 집적회로(151)가 연결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100)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연결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의 300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글래스(301, 캐리어 글래스) 상에 플렉서블 기판(302)이 배치된다.
플렉서블 기판(302)은 글래스 상에 플라스틱 재료가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폴리이미드(Polyimide)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글래스(301)와 플렉서블 기판(302)의 사이에는 레이저 릴리즈(Laser Release)를 위한 릴리즈층(a-Si)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302) 상에는 SiNx와 같은 절연층(미도시)이 배치되고 절연층 상에 화소 레이어(303)가 배치될 수 있다.
화소 레이어(303)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게이트 라인(GL), 다수의 데이터 라인(DL),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 및 화소 전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재료층이 라미네이팅(Laminating)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예시하고 있으나, 전기영동 필름 등과 같은 다른 발광재료층이 이용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기판(302) 상에 화소 레이어(303)가 배치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112)에는 드라이버 집적회로(151) 등과 접합을 위한 패드부(304)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를 접합하는 과정은, 패드부(304) 상에 이방성 도전 필름(306)을 배치하고, 이방성 도전 필름(306) 상에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를 배치한다.
그리고, 본딩 툴(308)을 이용하여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이방성 도전 필름(306)을 압착하고 경화시킴으로써, 드라이버 집적회로(151)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패드부(304)에 접합되도록 한다.
한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각 레이어의 구성이 완료되면, 글래스(301)의 배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플렉서블 기판(302)으로부터 글래스(301)를 분리시킨다.
글래스(301)의 배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면 조사된 레이저 광에 의해 글래스(301)와 플렉서블 기판(302) 사이에 배치된 릴리즈층(a-Si)에 기체가 발생하게 되고, 이 기체에 의하여 글래스(301)가 플렉서블 기판(30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대한 레이저 릴리즈 진행 시, 열과 압력에 의해 접합된 드라이버 집적회로(151)가 위치하는 부분의 에너지 밀집도(Energy Density)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표시 영역(111)보다 높게 된다.
이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대한 레이저 릴리즈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릴리즈 공정을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표시 영역(111)에 대한 레이저 릴리즈 공정과 패드부(304)가 배치된 비표시 영역(112)에 대한 레이저 릴리즈 공정의 두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표시 영역(111)에 대한 레이저 릴리즈 공정을 진행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111)을 마스킹(Masking)한 상태에서 패드부(304)가 배치된 비표시 영역(112)에 대한 레이저 릴리즈 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2단계 레이저 릴리즈 공정 진행에 의해 다량의 재(Ash)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구동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예시들은 드라이버 집적회로(131)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측면에 접합되어 접합된 부분이 파손될 위험이 크고,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베젤이 넓어지게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레이저 릴리즈 공정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불량을 감소시키고, 좁은 베젤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레이저 릴리즈 공정에 따른 불량을 감소시키고 좁은 베젤의 구현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구조와 그 제조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와 도 5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5A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111)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112)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111)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와 같은 발광재료층으로 구성되는 화소 레이어(303)가 배치되고, 게이트 드라이버(120)와 데이터 드라이버(130)의 구동에 따라 영상을 표시한다.
비표시 영역(112)은 표시 영역(111)의 주변에 위치하고 드라이버 집적회로(151) 등이 접합되는 패드부(304)를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같은 드라이버 집적회로(151)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측면에 배치되지 않는다.
도 5B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후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5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후면에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32)이 배치된다.
도 5B에서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로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도 동일한 구조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서 드라이버 집적회로(13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32)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비표시 영역(112)에 위치하는 비아홀(미도시)을 통해 패드부(304)와 접합된다.
즉,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서는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를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측면에 접합하지 않고,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비표시 영역(112)에 비아홀을 형성하고 비아홀을 통해 드라이버 집적회로(151) 등이 접합될 수 있도록 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비표시 영역(112)에 위치하는 비아홀을 통해 드라이버 집적회로(151)가 접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과 압력을 통해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를 접합하는 경우와 달리 레이저 릴리즈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후면에 배치함으로써, 드라이버 집적회로(151)가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연결 부위의 파손을 감소시키고 좁은 베젤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5B에 도시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연결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5B의 600 부분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302) 상에서 표시 영역(111)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등을 포함하는 화소 레이어(303)가 배치된다. 그리고, 플렉서블 기판(302) 상의 비표시 영역(112)에는 패드부(304)가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서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표시 영역(112)에는 비아홀(601)이 위치한다.
또한, 플렉서블 기판(302) 상에 배치되는 패드부(304)에서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비아홀(602)이 위치한다.
이때, 패드부(304)에 위치하는 비아홀(602)의 깊이는 패드부(304)의 두께보다 낮은 깊이일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302)과 패드부(304)는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표시 영역(112)에 위치하는 비아홀(601)과 패드부(304)에 위치하는 비아홀(602)을 통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기판(302)의 배면에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같은 드라이버 집적회로(151)가 배치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는, 플렉서블 기판(302)에 포함된 비아홀(601)과 접하는 위치에 비아홀(603)을 포함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에 포함된 비아홀(603)은 플렉서블 기판(301)에 포함된 비아홀(60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두께보다 낮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302)에 위치하는 비아홀(601)과 패드부(304)에 위치하는 비아홀(602)과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에 위치하는 비아홀(603)의 내부에는 금속 물질이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는,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과 패드부(304)의 비아홀(602), 그리고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비아홀(603)을 통해 플렉서블 기판(302)과 접합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표시 영역(112)에 위치하는 비아홀(601)에 의해 드라이버 집적회로(151)가 플렉서블 기판(302)의 측면이 아닌 배면에 접합될 수 있도록 한다.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을 통해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를 접합함으로써, 글래스(301)를 분리하는 레이저 릴리즈 공정이 진행된 후에 드라이버 집적회로(151) 등을 접합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따라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를 접합하는 방식과 달리 레이저 릴리즈 공정 시 발생하는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배면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이 배치될 수 있으며,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은 접합부(701, 70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는 플렉서블 기판(302)의 외측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이 플렉서블 기판(302)의 배면(후면)에 배치되며 플렉서블 기판(302)의 내측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302)의 측면에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이 배치된 경우에 비하여 좁은 베젤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서 패드부(304)의 평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의 700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비표시 영역(112)에 배치되는 패드부(304)는 신호 배선이 배치된 위치에 비아홀(602)을 포함한다.
패드부(304)에 포함된 비아홀(602)은 플렉서블 기판(302)에 포함된 비아홀(601)과 접합되며,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과 패드부(304)의 비아홀(602)에는 금속 물질이 충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플렉서블 기판(302)의 배면에 배치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비아홀(603)에도 금속 물질이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기판(302)의 배면에 배치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패드부(304)의 비아홀(602),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 그리고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비아홀(603)에 충진된 금속 물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서 플렉서블 기판(302)과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연결 구조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B의 600 부분의 다른 예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302)에서 표시 영역(111)에 박막 트랜지스터(TFT),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등을 포함하는 화소 레이어(303)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112)에 패드부(304)가 배치된다.
플렉서블 기판(302)과 패드부(304)에는 비아홀(601, 602)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며, 플렉서블 기판(302)의 배면에는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과 접하는 위치에 비아홀(603)을 포함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151)가 접합된다.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 패드부(304)의 비아홀(602)과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비아홀(603)에는 금속 물질이 충진된다.
따라서,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는 각각의 비아홀(601, 602, 603)에 충진된 금속 물질을 통해 패드부(3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배면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는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에 포함된 비아홀(603)과 이격되어 배치된 다른 비아홀(604)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은 접합부(701, 70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플렉서블 기판(302)이 연결되는 방식과 같이 비아홀(604)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을 연결하는 비아홀(604)은 드라이버 집적회로(151)가 플렉서블 기판(302)과 연결되는 비아홀(603)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플렉서블 기판(302)의 접합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은 플렉서블 기판(302)의 외측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베젤을 얇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A와 도 9B는 본 실시예들에 따라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을 통해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를 접합하는 경우의 제조 공정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나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이 접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레이저 릴리즈 공정을 수행한다.
레이저 릴리즈 공정에 의해 플렉서블 기판(302)의 배면에 위치하는 글래스(301)가 분리된다.
플렉서블 기판(302)에서 글래스(301)가 분리되면 플렉서블 기판(302)과 패드부(304)에 비아홀(601, 602)을 형성하고, 비아홀(601, 602)에 금속 물질을 충진한다.
이때, 글래스(301)를 분리하기에 앞서 비아홀(601, 602)을 형성한 후 레이저 릴리즈 공정을 수행하여 글래스(301)를 분리할 수도 있다.
플렉서블 기판(302)과 패드부(304)의 비아홀(601, 602)에 금속 충진이 완료되면 플렉서블 기판(302)의 배면에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을 접합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도 9B는 플렉서블 기판(302)의 배면에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이 부착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플렉서블 기판(302)에서 글래스(301)가 분리되고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에 금속 물질이 충진되면,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비아홀(603)에 금속 물질을 충진하고 플렉서블 기판(302)과 접합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배면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을 접합하며,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은 접합부(701, 70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비아홀(60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비아홀(601)을 형성하고 비아홀(601)을 통해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를 접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에 대한 레이저 릴리즈 공정 후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를 접합하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며, 레이저 릴리즈 공정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제조 공정의 예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글래스(301) 상에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으로 구성되는 플렉서블 기판(302)이 배치된다.
플렉서블 기판(302)의 상면에서 표시 영역(111)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와 같은 화소 레이어(303)가 배치되고, 비표시 영역(112)에는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접합을 위한 패드부(304)가 배치된다.
도 10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302) 상에 레이어의 구성이 완료되면 글래스(301)의 배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릴리즈 공정을 통해 글래스(301)가 플렉서블 기판(302)과 분리되도록 한다.
도 10C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302)에서 글래스(301)가 분리되면 플렉서블 기판(302)과 패드부(304)에 서로 연결되는 비아홀(601, 602)을 형성한다.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과 패드부(304)의 비아홀(602)에는 금속 물질을 충진한다.
도 10D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302)과 패드부(304)에 비아홀(601, 602)의 형성과 금속 물질의 충진이 완료되면, 드라이버 집적회로(151) 등을 플렉서블 기판(302)의 배면에 접합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에서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과 접하는 부분에 비아홀(603)을 형성하고 형성된 비아홀(603)에 금속 물질을 충진한다.
따라서, 패드부(304)의 비아홀(602),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아홀(601), 그리고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비아홀(603)에 의해 패드부(304)와 드라이버 집적회로(151)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의 배면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이 접합되며, 접합부(701, 702)나 드라이버 집적회로(151)가 플렉서블 기판(302)과 연결되는 비아홀(603)과 다른 비아홀(60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제조 공정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레이저 릴리즈 공정 이전에 플렉서블 기판(302)에 비아홀(601)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글래스(301) 상에 플렉서블 기판(302)을 배치하고 플렉서블 기판(302) 상에 화소 레이어(303)와 패드부(304)를 배치한다.
도 11B를 참조하면, 글래스(301)가 플렉서블 기판(302)에 부착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기판(302)과 패드부(304)에 비아홀(601, 602)을 형성하고, 형성된 비아홀(601, 602)에 금속 물질을 충진한다.
도 11C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302)과 패드부(304)에 비아홀(601, 602)의 형성이 완료되고, 글래스(301)의 배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글래스(301)를 플렉서블 기판(302)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즉, 레이저 릴리즈 공정과 플렉서블 기판(302)에 비아홀(601)을 형성하는 공정의 순서는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레이저 릴리즈 공정과 드라이버 집적회로(151) 접합 공정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1D를 참조하면, 글래스(301)가 플렉서블 기판(302)으로부터 분리되면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 등을 플렉서블 기판(302)의 배면에 부착하여,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제작을 완료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렉서블 기판(302)의 비표시 영역(112)에 비아홀(601)을 형성하고 형성된 비아홀(601)을 통해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비표시 영역(112)에 위치한 패드부(304)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를 연결함으로써, 글래스(301)를 플렉서블 기판(302)으로부터 분리하는 레이저 릴리즈 공정 이후에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를 접합할 수 있도록 하여 레이저 릴리즈 공정 시 발생하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플렉서블 기판(302)에 형성된 비아홀(601)을 통해 패드부(304)와 드라이버 집적회로(151)를 연결함으로써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이 플렉서블 기판(302)의 배면(후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드라이버 집적회로(151)와 연성인쇄회로기판(152)이 플렉서블 기판(302)의 외측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패널(110)의 측면의 너비를 감소시켜 좁은 베젤이 구현된 플렉서블 표시패널(110)과 플렉서블 표시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플렉서블 표시장치 110: 플렉서블 표시패널
111: 표시 영역 112: 비표시 영역
120: 게이트 드라이버 130: 데이터 드라이버
140: 컨트롤러
151: 드라이버 집적회로 152: 연성인쇄회로기판
601, 602, 603, 604: 비아홀 701, 702: 접합부

Claims (12)

  1.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제1비아홀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상면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비아홀과 접하는 위치에 제2비아홀을 포함하는 패드부;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비아홀과 접하는 위치에 제3비아홀을 포함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에 포함된 상기 제1비아홀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관통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에 포함된 상기 제2비아홀은 상기 제1비아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상기 패드부의 두께보다 낮은 깊이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포함된 상기 제3비아홀은 상기 제1비아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두께보다 낮은 깊이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접합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3비아홀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른 비아홀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아홀, 상기 제2비아홀 및 상기 제3비아홀은 금속 물질로 충진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9.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비아홀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측면 또는 배면에 위치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 및 상기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중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에 포함된 상기 비아홀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접합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접합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접합되는 상기 비아홀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다른 비아홀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외측면으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160064321A 2016-05-25 2016-05-25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39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321A KR102539495B1 (ko) 2016-05-25 2016-05-25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321A KR102539495B1 (ko) 2016-05-25 2016-05-25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573A true KR20170133573A (ko) 2017-12-06
KR102539495B1 KR102539495B1 (ko) 2023-06-05

Family

ID=6092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321A KR102539495B1 (ko) 2016-05-25 2016-05-25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4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7882A (zh) * 2018-07-16 2018-12-25 华中科技大学 一种柔性电子器件的制备方法及其产品与系统
GB2570391A (en) * 2017-12-12 2019-07-24 Lg Display Co Ltd Micro display device and display integrated circuit
CN110112171A (zh) * 2019-05-21 2019-08-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制作方法及显示面板
US10818743B2 (en) 2018-06-18 2020-10-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998511B2 (en) 2018-06-27 2021-05-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module
US11469375B2 (en) 2019-03-25 2022-10-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conductor pattern transferred by laser irradia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8154A (ja) * 2000-05-12 2004-12-0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140129847A (ko) * 2013-04-30 2014-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7196A (ko) * 2013-09-30 2015-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8154A (ja) * 2000-05-12 2004-12-0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140129847A (ko) * 2013-04-30 2014-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7196A (ko) * 2013-09-30 2015-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0391A (en) * 2017-12-12 2019-07-24 Lg Display Co Ltd Micro display device and display integrated circuit
US10839756B2 (en) 2017-12-12 2020-11-17 Lg Display Co., Ltd. Micro display device and display integrated circuit having dual chips stacked with each other
GB2570391B (en) * 2017-12-12 2021-06-02 Lg Display Co Ltd Micro display device and display integrated circuit
US10818743B2 (en) 2018-06-18 2020-10-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335763B2 (en) 2018-06-18 2022-05-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998511B2 (en) 2018-06-27 2021-05-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module
US11864455B2 (en) 2018-06-27 2024-01-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module
CN109087882A (zh) * 2018-07-16 2018-12-25 华中科技大学 一种柔性电子器件的制备方法及其产品与系统
CN109087882B (zh) * 2018-07-16 2020-07-10 华中科技大学 一种柔性电子器件的制备方法及其产品与系统
US11469375B2 (en) 2019-03-25 2022-10-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conductor pattern transferred by laser irradia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112171A (zh) * 2019-05-21 2019-08-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制作方法及显示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495B1 (ko)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4294B2 (en) Display device
US9520088B2 (en)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film cable
KR20170133573A (ko)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95654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362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504153B2 (en) Pa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37329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display device
EP2772826A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5742261B (zh) 焊盘结构以及具有该焊盘结构的显示装置
KR2014010882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63876A (ko) 표시장치
KR102190339B1 (ko) 표시 장치
EP2999317B1 (en) Driving chip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62960B1 (ko) 면적이 감소된 연성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20140042657A (ko) 연성 필름 케이블을 가지는 표시장치
US11762238B2 (en) Printed circuit,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102218438B1 (ko) 표시장치
KR20200076106A (ko) 평판 표시 장치
KR20190081251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