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3876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3876A
KR20150063876A KR1020130148795A KR20130148795A KR20150063876A KR 20150063876 A KR20150063876 A KR 20150063876A KR 1020130148795 A KR1020130148795 A KR 1020130148795A KR 20130148795 A KR20130148795 A KR 20130148795A KR 20150063876 A KR20150063876 A KR 20150063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ircuit board
flexible circuit
substrat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565B1 (ko
Inventor
이달재
임태출
박지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5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876A/ko
Priority to KR1020210037513A priority patent/KR102442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에 부착되어 상기 패널에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가 장착되어 있는 연성 회로 기판이, 상기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에 의해 벤딩되어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영상을 출력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배면 중 상기 패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 및 상기 패널에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벤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배면에 부착되는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젤 폭(bezel width)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테블릿PC, 노트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에는 평판표시장치(FPD : Flat Panel Display Device)가 이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 Plasma Display Panel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영동표시장치(EPD :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이하, 간단히 '표시장치'라 함)들 중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1ms 이하의 빠른 응답속도, 높은 발광효율, 높은 휘도 및 큰 시야각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 및 패널 구동부(20)를 구비한다.
상기 패널(10)은 대향 합착된 제1기판(12) 및 제2기판(14)을 구비한다.
상기 제1기판(12)은 유리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얇은 플렉서블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기판(12)은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픽셀로 이루어진 표시 영역, 상기 표시 영역을 감싸는 비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측에 마련된 패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영역에는 픽셀을 정의하는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이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픽셀 전극이 상기 픽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부는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 각각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기판(12)의 일측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패널 구동부(20)에 접속된다.
상기 제2기판(14)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얇고 투명한 플렉서블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기판(1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기판(14)은 상기 제1기판(12)의 비표시 영역에 폐루프 형태로 형성된 합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기판(12)의 상기 패드부를 제외한 나머지 제1기판(12)에 대향 합착된다.
상기 제2기판(14)의 상면에는 광학 필름(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학 필름은 광을 편광시키는 기능 및/또는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부(20)는 상기 제1기판(12)의 패드부에 접속되어 상기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라인에 신호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패널 구동부(20)는 연성 회로 기판(21), 구동 집적 회로(23), 제어 기판(25), 및 구동 회로부(2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21)은 상기 제1기판(12)의 상기 패드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기판(12)의 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기판(12)의 하면으로 벤딩(bending)된다.
상기 구동 집적 회로(23)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21)에 실장된다. 상기 구동 집적 회로(23)는 상기 제어 기판(25)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패널(10)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 및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패드부에 공급한다.
상기 제어 기판(25)은 상기 연성 회로 기판(21)에 부착되어 상기 제1기판(12)의 하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어 기판(25)은 상기 패널(10)에 표시될 화상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기판(미도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 기판으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동기 신호를 상기 연성 회로 기판(21)을 통해 상기 구동 집적 회로(23)로 전달한다.
상기 구동 회로부(27)는 상기 제어 기판(25)에 실장되며, 저항, 캐패시터, 인덕터 등의 수동 소자, 및/또는 집적 회로(IC) 등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패널(10) 및/또는 상기 구동 집적 회로(23)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표시장치는 상기 패널 구동부(2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패널(10)의 각 픽셀을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패널(10)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네로우 베젤(Bezel)을 구현하기 위해, 즉,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는 비표시영역의 폭을 줄이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성 회로 기판(21)이 벤딩되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연성 회로 기판(21)의 벤딩부(21a)를 벤딩(Bending) 시키기 위해, 미도시된 금형 부품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벤딩부가 지지되는, 상기 금형 부품의 끝단이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벤딩부(21a)가 손상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상기 표시장치가 유기발광표시장치인 경우, 상기 패널(10)의 배면에 별도의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상기 연성 회로 기판(21)이 벤딩될 때, 상기 연성 회로 기판(21)의 곡률이 낮으며, 따라서, 작업성이 좋지 않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기판(21)은 플렉서블하기 때문에 쉽게 벤딩될 수 있으나, 상기 연성 회로 기판(21)의 곡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가 유기발광표시장치인 경우, 상기 연성 회로 기판(21)이 벤딩된 후, 상기 패널(10)과 상기 구동부(20)가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패널(10)과 상기 구동부(20) 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20)가 데미지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널에 부착되어 상기 패널에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가 장착되어 있는 연성 회로 기판이, 상기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에 의해 벤딩되어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영상을 출력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배면 중 상기 패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 및 상기 패널에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벤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배면에 부착되는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성 회로 기판이, 지지부재를 지지대로 이용하여 벤딩되므로,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의 벤딩 공정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성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부와, 패널의 배면이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의 훼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백라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 이외의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플라즈마 표시장치 등과 같이, 자발광소자로 구성되어 있는 패널을 포함하고 있는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가 필요없는 전기영동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표시장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영상을 출력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배면 중 상기 패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200) 및 상기 패널에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200)에 의해 벤딩되어 상기 지지부재(200)의 배면에 부착되는 연성 회로 기판(300)을 포함한다.
첫째, 상기 패널은 유기발광표시패널이며, 제2기판과 제1기판(110)을 포함하고 있다. 도 2에는 상기 제1기판(110)만이 도시되어 있다.
둘째,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상기 제1기판(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패드부에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상기 구동부를 상기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패드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패드부는 상기 패널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패널은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되어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셋째, 상기 지지부재는, 제1접착부재(610)에 의해 상기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제2접착부재(620)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00)의 배면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200)의 전면은, 상기 제1접착부재(610)를 통해 상기 제1기판(110)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지지부재(200)의 배면은, 상기 제2접착부재(620)를 통해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과 부착된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200) 중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과 인접되는 측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부분 확대도로서,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패드부(130)와 지지부재(200)를 확대시킨 확대도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표시장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영상을 출력하는 패널(100), 상기 패널(100)의 배면 중 상기 패드부(130)와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200), 상기 패널(100)에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40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패널(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200)에 의해 벤딩되어 상기 지지부재(200)의 배면에 부착되는 연성 회로 기판(300)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에 연결되어 있는 메인 기판(500)을 포함한다.
우선, 상기 패널(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패널(100)은,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에 적용되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이다. 상기 패널(100)은 대향 합착된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첫째, 상기 제1기판(110)은 투명한 유리기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메탈 포일(metal foil)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기판(110)은 플렉서블하지 않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플렉서블한(flexible)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의 상기 제1기판(110)은 PI(polyimide), PC(polycarbonate), PNB(polynorborneen),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EN(polyethylenapthanate) 및 PES(polyethersulfone)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10)은 표시영역, 비표시영역 및 상기 패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기판(110)의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미도시), 복수의 데이터 라인(미도시), 복수의 구동 전원 라인(미도시), 복수의 픽셀(미도시) 및 유기발광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각각과 교차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전원 라인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또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각각과 나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이 교차하는 영역들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전송되어온 게이트 신호와 상기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데이터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픽셀들 각각은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픽셀 구동 회로(미도시) 및 상기 픽셀 구동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픽셀 구동 회로로부터 전송되어온 전류에 따라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픽셀 구동 회로는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스위칭 트랜지스터(미도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캐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픽셀 구동 회로는,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을, 상기 게이트 라인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공급하여, 상기 데이터 전압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을 상기 캐패시터에 저장한다.
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킴으로써, 상기 데이터 전압에 대응되는 전류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a-Si TFT(thin film transistor), poly-Si TFT, Oxide TFT, Organic TFT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픽셀 구동 회로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상 트랜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보상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된 애노드, 상기 애노드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미도시),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형성된 캐소드(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턴-온에 의해, 상기 애노드로부터 상기 캐소드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광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전압에 대응되는 휘도의 광을, 상기 제2기판(120)의 상부 쪽으로 방출한다.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는 비표시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표시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을 감싸도록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된다.
상기 비표시영역 중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과 마주하는 일측에는, 상기 표시영역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상기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상기 복수의 구동 전원 라인들 및 상기 캐소드와 연결된 캐소드 전원 라인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 라인(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부(130)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구동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패드부(116)는 상기 구동부(400)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패드부(130)를 통해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에 상기 구동부(400)가 장착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제1기판(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패드부(130)에 직접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패드부(130)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아닌 상기 구동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에 형성되어 있는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2기판(120)은 투명한 유리기판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기판(1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기판(120)은 상기 제1기판(110)의 비표시영역에서, 폐루프 형태로 형성된 합착 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기판(110)과 대향 합착된다.
상기 합착 부재는, 상기 제1기판(110) 및 상기 제2기판(120)을 대향 합착시킴과 아울러, 외부의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110) 및 상기 제2기판(120) 사이의 공간을 밀봉한다.
즉, 상기 제2기판(120)은 상기 제1기판(110)을 밀봉시키는 봉지기판(인캡)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120)의 상단에는, 광학 필름(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은, 광을 편광시키는 기능 및/또는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기능 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기판(120)의 상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 광학 필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패널(100)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된 경우, 상기 패널(100)의 배면에는 백필름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백필름은, 상기 제1기판(110)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기판(110)의 배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기판(110)의 상기 표시영역에서 방출되는 광이 상기 제1기판(110)의 하부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또는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에는 상기 패널(100)의 픽셀들을 발광시키기 위한 데이터 신호 또는 게이트 신호(이하, 간단히 '신호'라 함)를 공급하는 상기 구동부(4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상기 제1기판(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패드부(130)에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상기 구동부(400)를 상기 패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패드부(130)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패드부(130)는 상기 패널(100)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패널(100)은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되어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130)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상기 패드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 상기 구동부(4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부(400)는, 칩 본딩 공정 또는 표면 실장 공정에 의해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에 실장되어, 복수의 신호 공급 단자와 복수의 신호 입력 단자에 본딩된다.
상기 구동부(400)는, 복수의 신호 입력 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 및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게이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0)는, 생성된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게이트 신호를, 해당하는 신호 공급 단자에 공급하여, 상기 제1기판(110)의 상기 표시부(117)에 형성된 상기 각 픽셀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패널(100)의 표시영역에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데이터 신호만을 상기 패드부(130)를 통해 상기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게이트 신호만을 상기 패드부(130)를 통해 상기 게이트 라인들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부(400)는, 일반적인 표시장치에 구비되는, 데이터 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및 타이밍 컨트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이Te
또한,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130)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메인 기판(500)은, 상기 구동부(400)에 필요한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상기 구동부(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기판(500)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온 각종 신호들을 상기 구동부(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메인 기판(5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집적 회로(IC), 저항, 캐패시터, 메모리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부재(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제1접착부재(610)에 의해 상기 패널(100)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제2접착부재(620)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200)의 배면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200)의 전면은, 상기 제1접착부재(610)를 통해 상기 제1기판(110)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지지부재(200)의 배면은, 상기 제2접착부재(620)를 통해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과 부착된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200) 중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과 인접되는 측면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패널(100), 특히, 상기 제1기판(110)의 배면 중, 상기 패드부(130)에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된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표시영역과도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제1기판(11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패널(100)의 배면 중 상기 패드부(130)와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되는 평판부(210) 및 상기 평판부(2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패드부(130)의 외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과 인접되는 측면부(230)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평판부(210)는, 상기 패널(1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기판(110)의 배면 중, 상기 패드부(130)와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평판부(210)는 상기 패널(100)의 상기 표시영역과도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제1기판(11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평판부(210)의 전면은, 상기 제1접착부재(610)에 의해 상기 제1기판(110)의 배면에 부착된다.
상기 평판부(210)의 배면에는, 상기 제2접착부재(620)에 의해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부착된다.
상기 평판부(210) 중 상기 측면부(230)와 인접되어 있는 영역에는 공차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차부(220)는 상기 제1접착부재(610)가 부착되는 영역의 마진을 위해 형성된다.
즉, 이상 적인 경우, 상기 패널(100)은, 상기 측면부(230)에 부착되어서는 않된다. 그러나, 제조 공정 중에 발생되는 오차에 의해 상기 패널(100)은 상기 측면부(230)와 중첩되는 영역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200)가 상기 패널(100)에 밀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상기 측면부(230)에 밀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0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오차에 의한 접착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차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공정 상의 오차에 의해, 상기 패널(100)이 기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측면부(230) 방향으로 더 이동되더라도, 상기 평판부(2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상기 공차부(220)와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접착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공차부(220)의 폭(a)은, 상기 지지부재(200) 부착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공차부(220)는 상기 지지부재(200)의 배면에 부착되는 상기 제2접착부재의 접착 불량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차부(220)가 없는 경우, 상기 제2접착부재(620)가 상기 측면부(230) 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지지부재(200)에 부착된다면, 상기 제2접착부재(620)는 라운드진 면에 부착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착부재(620)와 상기 지지부재(200)의 접착이 불량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과 상기 제2접착부재(620)의 접착이 불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상기 지지부재(200)의 배면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공차부(220)는, 상기 제1접착부재(610)와 상기 제2접착부재(620)가 상기 지지부재(200)에 안정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패드부(13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측면부(230) 사이에는, 상기 공차부(220)가 노출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측면부(230)는, 상기 평판부(210)의 전면의 수평면(c)으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있는 제1곡면부(231) 및 상기 제1곡면부(2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판부(210)의 배면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2곡면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곡면부(231)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과 상기 측면부(230) 사이의 공간을 줄여,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상기 측면부(230)와 보다 더 잘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0)의 측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제1곡면부(231)가 없다면, 상기 지지부재(200)의 측면과,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 사이에는 들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들뜬 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의 뜰뜬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들에 크랙이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의 뜰뜬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들이, 미도시된 구조물들과 접촉되어, 상기 배선들 또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훼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면부(230) 중 상기 패널(100)과 마주보고 있는 전면에는, 상기, 전면의 수평면(c)으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있는 상기 제1곡면부(2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곡면부(231)가 상기 수평면(c)으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보다 짧은 거리에서, 상기 측면부(230)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측면부(230)를 따라 벤딩될 수 있다.
상기 제1곡면부(231) 중 상기 수평면(c)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패널(100) 중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이 부착되는 상기 제1기판(110)과 및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지지부재(200)를 부착시키는 상기 제1접착부재(610)의 높이(b)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2곡면부(232)는, 상기 평판부(231)의 배면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면과 나란한 상태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곡면부(231)와 상기 제2곡면부(232)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곡면부(231)와 상기 제2곡면부(232)를 포함하는 상기 측면부(230)와 상기 평판부(210)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230)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어서, 상기 패널(1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기판(110)의 배면에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과 인접되는 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200)가, 상기 제1접착부재(610)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패널(1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기판(110)의 상기 패드부(130)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0)의 라운드진 상기 측면부(230)를 따라 상기 패널(100)의 배면 방향으로 벤딩된다. 상기 패널(100)의 배면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지지부재(200)와 밀착되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의 일측면은, 상기 제2접착부재(620)를 통해 상기 지지부재(200)의 배면에 부착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200)의 두께는, 매우 작기 때문에, 상기 라운드진 부분의 곡률 역시 매우 작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상기 제1기판(110) 및 상기 제1접착부재(6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재(200)의 상단면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과 상기 지지부재(200)의 상단면 간의 간격이 크다.
따라서,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을 상기 지지부재(200)를 이용하여 벤딩시키는 경우,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상기 지지부재(200)의 상단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의 텐션(Tension)이 변화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상기 지지부재(200)와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훼손되거나, 또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에 형성되는 있는 배선이 훼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면(c)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곡면부(231)가 형성되어 이Te
상기 제1곡면부(231)를 형성하는 반지름 또는 곡률(R1)과, 상기 제2곡면부(232)를 형성하는 반지름 또는 곡률(R2)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상기 제1곡면부(231)와 상기 제2곡면부(232)의 형태 및 크기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200)의 전면 까지의 높이(b)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의 배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400)가 삽입될 수 있는 홈(2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250)에 상기 구동부(40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구동부(400)가 상기 지지부재(200)의 배면과 접촉되어 훼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측면부(230)를 구성하는 상기 제1곡면부(231)와 상기 제2곡면부(232)가 비대칭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의 벤딩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230)가 이루는 곡률에 의해,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상기 측면부(230)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로 벤딩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부재(200)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200)에 의해 벤딩되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의 형태는, 상기 지지부재(200)의 상하 방향에서 비대칭을 이루며, 이에 따라,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상기 지지부재(200)와 들뜨는 공간이 많아질 수 있다. 상기 들뜨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200)를 형성하는 상기 측면부(230)의 상하가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접착부재(610) 및 상기 제2접착부재(620)의 부착 공차, 벤딩 공차 등을 고려하여, 상기 지지부재(200)에는, 공차보상용 직선구간, 즉, 상기 공차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의 재질은, 금속이 될 수도 있으며, 또는, 플라스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출에 의해 발생되는 버(Bur)는 커팅 공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상기 제1기판(110)에 부착되는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이 적용되는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과 상기 제1기판(1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기판(110)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300)은, PI(polyimide)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패널 110 : 제1기판
120 : 제2기판 130 : 패드부
200 : 패널 구동부 300 : 연성 회로 기판
500 : 메인 기판

Claims (10)

  1. 패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영상을 출력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배면 중 상기 패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 및
    상기 패널에 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벤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배면에 부착되는 연성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제2기판과 제1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1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패드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제1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제2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의 배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중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인접되는 측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패널의 배면 중 상기 패드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부착되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패드부의 외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성 회로 기판과 인접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 중 상기 측면부와 인접되어 있는 영역에는 공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측면부 사이에는, 상기 공차부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평판부의 전면의 수평면으로부터 라운드지게 돌출되어 있는 제1곡면부; 및
    상기 제1곡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판부의 배면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2곡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면부 중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패널 중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이 부착되는 제1기판과 및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지지부재를 부착시키는 제1접착부재의 높이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구동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30148795A 2013-12-02 2013-12-02 표시장치 KR102233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795A KR102233565B1 (ko) 2013-12-02 2013-12-02 표시장치
KR1020210037513A KR102442150B1 (ko) 2013-12-02 2021-03-23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795A KR102233565B1 (ko) 2013-12-02 2013-12-02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513A Division KR102442150B1 (ko) 2013-12-02 2021-03-23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876A true KR20150063876A (ko) 2015-06-10
KR102233565B1 KR102233565B1 (ko) 2021-03-29

Family

ID=5350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795A KR102233565B1 (ko) 2013-12-02 2013-12-02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565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016A (ko) * 2015-08-31 2017-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투명표시장치
CN107238958A (zh) * 2017-08-01 2017-10-10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80025418A (ko) * 2016-08-30 2018-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877543A (zh) * 2018-06-27 2018-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移动终端
KR20190005354A (ko) * 2017-07-06 2019-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CN109272874A (zh) * 2018-11-23 2019-01-2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作方法
CN109559646A (zh) * 2018-11-30 2019-04-0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弯折方法
US10274995B2 (en) 2016-08-29 2019-04-30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CN111223391A (zh) * 2018-11-23 2020-06-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组件及电子设备
CN111429804A (zh) * 2020-04-02 2020-07-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1768704A (zh) * 2019-07-24 2020-10-1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式显示模块
CN112634763A (zh) * 2021-01-05 2021-04-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终端设备
CN112867245A (zh) * 2021-03-11 2021-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电路板、显示装置及制备方法
CN113112917A (zh) * 2021-04-09 2021-07-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14550609A (zh) * 2022-02-28 2022-05-27 长沙惠科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WO2023107519A1 (en) * 2021-12-07 2023-06-1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esign to protect chip-on-flex for dual bending
WO2023102967A1 (zh) * 2021-12-09 2023-06-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202A (ko) * 2005-06-17 200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6349788A (ja) * 2005-06-14 2006-12-28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80001510A (ko) * 2006-06-29 2008-0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KR20090090547A (ko) * 2008-02-21 2009-08-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20120078234A (ko) * 2010-12-31 2012-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9788A (ja) * 2005-06-14 2006-12-28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060132202A (ko) * 2005-06-17 200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80001510A (ko) * 2006-06-29 2008-0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KR20090090547A (ko) * 2008-02-21 2009-08-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20120078234A (ko) * 2010-12-31 2012-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016A (ko) * 2015-08-31 2017-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투명표시장치
US10274995B2 (en) 2016-08-29 2019-04-30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CN107799929B (zh) * 2016-08-30 2021-02-05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80025418A (ko) * 2016-08-30 2018-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799929A (zh) * 2016-08-30 2018-03-13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90005354A (ko) * 2017-07-06 2019-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US11221696B2 (en) 2017-07-06 2022-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CN107238958A (zh) * 2017-08-01 2017-10-10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7238958B (zh) * 2017-08-01 2024-02-02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8877543A (zh) * 2018-06-27 2018-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移动终端
CN109272874A (zh) * 2018-11-23 2019-01-25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作方法
CN111223391A (zh) * 2018-11-23 2020-06-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组件及电子设备
CN111223391B (zh) * 2018-11-23 2022-02-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组件及电子设备
CN109559646A (zh) * 2018-11-30 2019-04-0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弯折方法
CN111768704A (zh) * 2019-07-24 2020-10-1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式显示模块
CN111768704B (zh) * 2019-07-24 2022-03-0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式显示模块
CN111429804A (zh) * 2020-04-02 2020-07-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1429804B (zh) * 2020-04-02 2021-04-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US11960323B2 (en) 2020-04-02 2024-04-1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with protection component supported by support component
CN112634763A (zh) * 2021-01-05 2021-04-0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终端设备
CN112867245A (zh) * 2021-03-11 2021-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电路板、显示装置及制备方法
CN112867245B (zh) * 2021-03-11 2022-07-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电路板、显示装置及制备方法
CN113112917B (zh) * 2021-04-09 2022-04-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13112917A (zh) * 2021-04-09 2021-07-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WO2023107519A1 (en) * 2021-12-07 2023-06-15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esign to protect chip-on-flex for dual bending
WO2023102967A1 (zh) * 2021-12-09 2023-06-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550609A (zh) * 2022-02-28 2022-05-27 长沙惠科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565B1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4294B2 (en) Display device
KR102233565B1 (ko) 표시장치
US1049949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28583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0967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5654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362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769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091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37329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display device
KR20170133573A (ko)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42150B1 (ko) 표시장치
KR102283144B1 (ko) 표시장치
KR102218438B1 (ko) 표시장치
KR20180003243A (ko) 면적이 감소된 연성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