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272A -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272A
KR20170133272A KR1020170063409A KR20170063409A KR20170133272A KR 20170133272 A KR20170133272 A KR 20170133272A KR 1020170063409 A KR1020170063409 A KR 1020170063409A KR 20170063409 A KR20170063409 A KR 20170063409A KR 20170133272 A KR20170133272 A KR 20170133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main body
pair
portions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177B1 (ko
Inventor
요이치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3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100)는,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가 접속되는 신호 콘택트 도체(130)와, 동축 케이블(200)의 외부 도체(203)가 접속되는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와, 신호 콘택트 도체(130)와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하우징(120)을 갖는다. 절연 하우징(120)은, 내부에 신호 콘택트 도체(130)를 보지하는 절연 본체부(121)와, 절연 본체부(121)의 주면으로부터 절연 본체부(121)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22)를 포함한다. 돌출부(122)는, 동축 케이블(200)의 절연체(202) 및 외부 도체(203)가 탑재되는 베이스부(122c)와, 베이스부(122c)에 돌설되는 동시에 외부 도체(203) 중 적어도 선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한쌍의 벽부(122d)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본 개시는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 등의 소형 단말의 내부에는, 배선 기판 사이에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다수의 동축 케이블이 배선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는 플러그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다. 배선 기판에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실장되어 있다. 이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동축 케이블과 배선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3-222685 호 공보는, 플러그 커넥터의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해당 플러그 커넥터는, 도전성의 신호 콘택트 도체와, 도전성의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와, 절연 재료로 구성된 절연 하우징을 구비한다. 신호 콘택트 도체에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접속된다.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에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접속된다. 절연 하우징은, 신호 콘택트 도체를 내부에 보지하는 동시에, 신호 콘택트 도체와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 사이를 절연한다.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절연 하우징을 수납 가능한 통 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통축방향에 있어서 본체부의 연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덮개부와, 본체부의 주연부로부터 본체부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쌍의 아암부를 갖는다. 절연 하우징은, 원통 형상을 나타내는 절연 본체부와, 절연 본체부의 주면(周面)으로부터 절연 본체부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절연 본체부는,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의 본체부 내에, 본체부와 동일축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는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의 한쌍의 아암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에는, 돌출부의 단부면으로부터 절연 본체부의 내부에 걸쳐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오목 홈이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에 동축 케이블을 장착할 때,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오목 홈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오목 홈 내에 배치된다.
그런데, 동축 케이블은, 중심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내부 도체와, 내부 도체를 덮는 통 형상의 절연체와, 절연체를 덮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와, 외부 도체를 덮는 보호 피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도체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가느다란 금속선(예를 들면 구리선)이 망 형상 또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편성된 망조선(網組線)이다. 동축 케이블을 플러그 커넥터에 조립할 때, 동축 케이블이 부분적으로 절제되고, 동축 케이블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부 도체, 절연체 및 내부 도체가 이 순서로 단(段) 형상으로 노출된다. 이 때, 외부 도체를 이루는 망조선이 풀려 퍼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외부 도체가 풀린 채로 동축 케이블을 플러그 커넥터에 조립하면,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의 배럴이 외부 도체의 주위에 압착되었을 때에(코킹되었을 때에), 풀린 금속선이 끊어져 탈락할 염려가 있다. 혹은, 풀린 금속선이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서, 상대방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신호 콘택트 도체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합선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외측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를 설명한다.
[1]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하게 구성된 전기 커넥터와, 전기 커넥터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을 구비한다. 동축 케이블은, 전기 커넥터와 상대방 커넥터의 끼워맞춤 시에 배선 기판상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부 도체와, 내부 도체를 덮는 통 형상의 절연체와, 절연체를 덮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를 갖고,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외부 도체, 절연체 및 내부 도체가 이 순서로 단 형상으로 노출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는, 내부 도체가 접속되는 도전성의 신호 콘택트 도체와, 외부 도체가 접속되는 도전성의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와, 신호 콘택트 도체와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하우징을 갖는다. 절연 하우징은, 내부에 신호 콘택트 도체를 보지하는 통 형상의 절연 본체부와, 절연 본체부의 주면으로부터 절연 본체부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내부에 절연 본체부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본체부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절연체 및 외부 도체가 탑재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돌설(突設)되는 동시에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한쌍의 벽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절연 하우징이, 절연 본체부의 주면으로부터 절연 본체부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돌출부가, 절연체 및 외부 도체가 탑재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돌설되는 동시에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한쌍의 벽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외부 도체 중 풀리기 쉬운 선단이 한쌍의 벽부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풀렸다고 하더라도 외부 도체가 외측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외부 도체의 풀린 금속선이 끊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외부 도체의 풀린 금속선이 전기 커넥터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기 어려워지므로, 상대방 커넥터의 신호 콘택트 도체와의 사이에 합선의 발생이 억제된다.
[2] 상기 제 1 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한쌍의 벽부는, 절연체 중 적어도 일부 및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절연체 중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제 1 부분과,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과 대향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제 1 부분끼리의 이격 거리는 제 2 부분끼리의 이격 거리보다 작아도 좋다. 절연체의 직경은 외부 도체의 직경보다 작다. 그 때문에, 제 1 부분끼리의 이격 거리가 제 2 부분끼리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한쌍의 벽부의 내벽면이 절연체 및 외부 도체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이 된다. 따라서, 절연체 및 외부 도체의 쌍방이 한쌍의 벽부에 의해 안내되므로, 한쌍의 벽부에 의해 절연체 및 외부 도체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3] 상기 제 1 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절연체 중 적어도 일부는 한쌍의 벽부에 의해 덮여 있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경우, 절연체의 주위에는, 베이스부 이외의 절연 하우징이 존재하고 있지 않고, 공기가 존재한다. 여기서, 공기의 비유전율은 약 1이며, 절연 하우징을 구성하는 재료(예를 들면 수지 등)의 비유전율보다 낮다. 비유전율이 낮으면 비유전율에 비례하는 정전 용량값도 낮다. 그 때문에, 정전 용량값에 반비례하는 성질을 갖는 특성 임피던스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가 진행되었다고 하더라도, 특성 임피던스를 소망의 값(예를 들면 50Ω)에 정합하기 쉬워진다.
[4] 상기 제 1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돌출부에는, 절연 본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내부에 내부 도체가 부설된 오목 홈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내부 도체가 오목 홈에 의해 안내되므로, 오목 홈에 의해 내부 도체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5] 상기 제 1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한쌍의 아암부를 더 포함하며, 본체부에는,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마련되어 있으며, 한쌍의 아암부는 본체부 중 슬릿을 이루는 각 단연부로부터 본체부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돌출부의 측면에는 한쌍의 피계지부(被係止部)가 마련되어 있으며, 한쌍의 아암부에는 각각, 한쌍의 피계지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피계지부와 계지 가능하게 구성된 계지부(係止部)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계지부가 피계지부에 계지되는 것에 의해, 절연 하우징이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에 보지된다. 그 때문에, 커넥터 조립체를 제조할 때에, 동축 케이블을 절연 하우징에 탑재했을 때, 절연 하우징이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에 대하여 이동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커넥터 조립체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6] 상기 제 1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본체부 중 배선 기판과는 떨어진 측의 단연부로부터 연장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덮개부에는, 돌출부 중 배선 기판에 대향하는 측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돌출부에 감기도록 돌출부를 파지하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고정부는 본체부보다 배선 기판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의 본체부의 배선 기판측으로의 돌출량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전기 커넥터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7] 본 개시된 다른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시에 배선 기판 상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부 도체와, 내부 도체를 덮는 통 형상의 절연체와, 절연체를 덮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를 갖고,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외부 도체, 절연체 및 내부 도체가 이 순서로 단 형상으로 노출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과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 도체가 접속되는 도전성의 신호 콘택트 도체와, 외부 도체가 접속되는 도전성의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와, 신호 콘택트 도체와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하우징을 구비한다. 절연 하우징은, 내부에 신호 콘택트 도체를 보지하는 통 형상의 절연 본체부와, 절연 본체부의 주면으로부터 절연 본체부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내부에 절연 본체부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본체부를 갖는다. 돌출부는, 절연체 및 외부 도체가 탑재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돌설되는 동시에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이 배치 가능한 공간을 베이스부와 함께 구성하는 한쌍의 벽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8] 상기 제 7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한쌍의 벽부는, 절연체 중 적어도 일부 및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이 배치 가능한 공간을 베이스부와 함께 구성하고 있으며, 절연체 중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도록 구성된 제 1 부분과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부와 대향하도록 구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제 1 부분끼리의 이격 거리는 제 2 부분끼리의 이격 거리보다 작아도 좋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2 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9] 상기 제 7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한쌍의 벽부는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부가 배치 가능한 공간을 베이스부와 함께 구성하고 있으며, 절연체 중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영역에는, 한쌍의 벽부가 존재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3 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10] 상기 제 7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돌출부에는, 절연 본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내부에 내부 도체를 부설 가능한 오목 홈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4 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11] 상기 제 7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한쌍의 아암부를 더 포함하며, 본체부에는,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마련되어 있고, 한쌍의 아암부는 본체부 중 슬릿을 이루는 각 단연부로부터 본체부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의 측면에는 한쌍의 피계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한쌍의 아암부에는 각각, 한쌍의 피계지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피계지부와 계지 가능하게 구성된 계지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5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12] 상기 제 7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본체부 중 배선 기판과는 떨어진 측의 단연부로부터 연장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덮개부에는, 돌출부 중 배선 기판에 대향하는 측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돌출부에 감기도록 돌출부를 파지하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고정부는 본체부보다 배선 기판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6 항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본 개시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외측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 선단면도,
도 5는 플러그 커넥터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플러그 커넥터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7은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절연 하우징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9는 신호 콘택트 도체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0은 절연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1은 절연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절연 하우징 및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이하에 설명하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의 내용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커넥터 조립체]
커넥터 조립체(1)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의 일종인 플러그 커넥터(100)가 동축 케이블(200)의 선단 부분에 접속된 조립물이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와, 절연 하우징(120)과, 신호 콘택트 도체(130)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휴대 전화 등의 소형 단말에 내장되는 배선 기판(미도시) 상에 실장된 상대방 커넥터(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미도시)와 끼워맞춤 및 발거(拔去)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배선 기판의 주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근접하면,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맞춰진다. 한편, 배선 기판의 주면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이격되면,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발거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방향(삽입 방향)을 「하부 방향」이라 칭하고,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발거하는 방향을 「상부 방향」이라 칭한다.
[동축 케이블]
동축 케이블(200)은, 휴대 전화 등의 소형 단말에 내장되는 각종 배선 기판 사이에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해당 소형 단말 내에서 이용되는 배선이다. 동축 케이블(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도체(201)와, 절연체(202)와, 외부 도체(203)와, 보호 피막(204)을 구비한다.
내부 도체(201)는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금속선(예를 들면 구리선)이다. 내부 도체(201)는 1개의 금속선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 개의 금속 세선(細線)이 꼬인 편조선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내부 도체(201)는 고주파 신호 등의 전기 신호가 흐르는 신호선으로서 기능한다. 절연체(202)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절연 재료(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로 구성되어 있다. 절연체(202)의 통 내에는 내부 도체(201)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절연체(202)는 내부 도체(201)의 주면을 피복하고 있다.
외부 도체(203)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복수 개의 금속 세선(예를 들면 구리 세선)이 꼬인 편조선(망 형상 또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도체(203)의 통 내에는 절연체(202)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부 도체(203)는 절연체(202)의 주면을 피복하고 있으며, 절연체(202)에 의해 내부 도체(201)와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외부 도체(203)는 그라운드(GND)로서 기능한다. 보호 피막(204)은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절연 재료(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등)로 구성되어 있다. 보호 피막(204)의 통 내에는 외부 도체(203)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호 피막(204)은 외부 도체(203)의 주면을 피복하고 있으며, 외부 도체(203)가 다른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보호하고 있다.
동축 케이블(200)이 플러그 커넥터(100)와 접속될 때에는, 동축 케이블(200)의 가공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00)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부 도체(203), 절연체(202) 및 내부 도체(201)가 이 순서로 단 형상으로 노출된다.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는 프레스 가공된 금속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는 도전성을 갖는다.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는 본체부(111)와 덮개부(112)를 갖는다.
본체부(111)는 통 형상체이며, 본체부(111)의 주면에는, 본체부(111)의 연장 방향(통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이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5 내지 도 7 참조). 즉, 본체부(111)는, 통축방향에서 보아 원호 형상을 나타낸다. 본체부(111)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외측을 덮도록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111)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덮이도록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하여도 좋다. 본체부(111)가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 맞출 때에는, 본체부(111) 중 슬릿(SL)의 근방에 위치하는 하단연부(111a)(본체부(111) 중 배선 기판과 대향하는 측의 단연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본체부(111) 중 슬릿(SL)을 이루는 각 측단연부에는 각각, 도 2,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부(113)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 아암부(113)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본체부(111) 중 슬릿(SL)을 이루는 각 측단연부로부터 본체부(111)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본체부(111)의 상단연부(111b)(본체부(111) 중 후술하는 연결부(114)가 위치하는 측의 단연부)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 형상을 나타내는 한쌍의 절결부(111c)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112)는, 도 1, 도 2,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114)를 거쳐서 본체부(111)와 연결되어 있다. 덮개부(112)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쉘부(115)와, 한쌍의 고정부(116~118)를 갖는다. 쉘부(115)는 기단부(115a)와 중간부(115b)와 선단부(115c)를 갖는다. 기단부(115a)는 중간부(115b) 및 선단부(115c)보다 폭이 넓으며, 연결부(114)와 중간부(115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기단부(115a)는 연결부(114)를 거쳐서 본체부(111)의 상단연부(111b)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덮개부(112)는, 연결부(114)가 굴곡되는 것에 의해, 연결부(114)를 기점으로 하여 요동하고, 본체부(111)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 가능하다. 중간부(115b)는 선단부(115c)보다 폭이 넓으며, 기단부(115a)와 선단부(115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덮개부(112)는 기단부(115a)로부터 선단부(115c)를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계단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동축 케이블(200)을 플러그 커넥터(100)에 장착하기 전에는, 연결부(114)는 굴곡되어 있지 않으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112)는 본체부(111)에 대하여 기립한 상태(덮개부(112)가 본체부(111)로부터 이격된 기립 상태)이다. 한편, 덮개부(112)가 연결부(114)를 거쳐서 절곡되면, 연결부(114)가 굴곡되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112)가 본체부(111)에 대하여 대향한 상태(덮개부(112)가 본체부(111)에 근접한 복와(伏臥) 상태)가 된다. 덮개부(112)의 복와 상태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쉘부(115)는 본체부(111) 및 각 아암부(113)를 덮는다. 구체적으로는, 덮개부(112)의 복와 상태에서, 기단부(115a)가 본체부(111)를 덮고 있으며, 중간부(115b)가 각 아암부(113)를 덮고 있다. 즉, 기단부(115a)는 본체부(111)에 대응하여 있으며, 중간부(115b)는 각 아암부(113)에 대응하여 있다.
한쌍의 고정부(116)는 중간부(115b)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고정부(117, 118)는 선단부(115c)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고정부(116~118)는 기단부(115a)로부터 선단부(115c)를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한쌍의 고정부(116~118)는 각각 외팔보 형상의 판 부재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0)의 조립 전에 있어서, 한쌍의 고정부(116)는 각각, 중간부(115b)의 양측 연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중간부(115b)에 대하여 기립하고 있으며, 대략 L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조립 전에 있어서, 한쌍의 고정부(117, 118)는 각각, 선단부(115c)의 양측 연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선단부(115c)에 대하여 기립하고 있으며, 대략 L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절연 하우징]
절연 하우징(120)은 신호 콘택트 도체(130)를 내부에 보지하는 동시에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와 신호 콘택트 도체(130)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이다. 절연 하우징(120)은, 예를 들어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절연 하우징(120)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 본체부(121)와, 돌출부(122)와, 가압부(123)를 갖는다.
절연 본체부(121)는 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내부에 신호 콘택트 도체(130)를 보지 가능하다. 절연 본체부(121)의 외경은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의 본체부(111)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절연 본체부(121)는 본체부(111) 내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절연 본체부(121)의 외주면은 본체부(111)에 의해 덮인다.
절연 본체부(121)의 외주면에는, 한쌍의 결합편(124)이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결합편(124)은 절연 본체부(121)의 연장 방향(통축방향)에 있어서의 절연 본체부(121)의 상단연부(절연 본체부(121) 중 배선 기판과는 반대측의 단연부)에 위치하고 있다. 한쌍의 결합편(124)은 절연 본체부(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한쌍의 결합편(124)이 본체부(111)의 절결부(111c)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절연 본체부(121)가 본체부(111)에 대하여 걸린다. 이에 의해, 절연 본체부(121)는 본체부(111) 내에 보지된다.
돌출부(122)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 본체부(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절연 본체부(121)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122)는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 절연체(202) 및 외부 도체(203)를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122)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한쌍의 아암부(1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돌출부(122) 중 한쌍의 측면은 한쌍의 아암부(113)의 각 내면과 각각 접촉하고 있다. 돌출부(122)는 절연 본체부(121) 가까이에 위치하는 기단부(122a)와, 기단부(122a)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선단부(122b)를 포함한다.
기단부(122a)의 상면(기단부(122a) 중 배선 기판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 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 홈(125)은 절연 본체부(121)의 내부와 선단부(122b)를 연통하도록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오목 홈(125) 내에는, 커넥터 조립체(1)의 완성 후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가 부설된다.
선단부(122b)는 베이스부(122c)와, 한쌍의 벽부(122d)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122c)는 평판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기단부(122a) 중 하단부(기단부(122a) 중 배선 기판과 대향하는 측의 부분)로부터 절연 본체부(121)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커넥터 조립체(1)의 완성 후에 있어서, 베이스부(122c)에는, 동축 케이블(200)의 절연체(202) 및 외부 도체(203)의 일부가 탑재된다.
한쌍의 벽부(122d)는 각각 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쌍의 벽부(122d)는 각각, 베이스부(122c)의 각 측단연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베이스부(122c)에 돌설되어 있다. 한쌍의 벽부(122d)는 각각 제 1 부분(122d1)과, 제 2 부분(122d2)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부분(122d1)은 기단부(122a)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부분(122d2)은 제 1 부분(122d1)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 1 부분(122d1)과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제 1 부분(122d1)끼리의 이격 거리(W1)는 한쌍의 제 2 부분(122d2)끼리의 이격 거리(W2)보다 작다. 즉, 한쌍의 벽부(122d)의 내벽면 측에 있어서, 제 1 부분(122d1)과 제 2 부분(122d2) 사이에는, 단차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제 1 부분(122d1)의 외벽면과 제 2 부분(122d2)의 외벽면은 연속하여 있으며, 하나의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해당 단차의 크기(이격 거리(W2)와 이격 거리(W1)의 차이를 2로 나눈 값)는, 동축 케이블(200)의 외부 도체(203)의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라도 좋다. 예를 들면, 외부 도체(203)를 구성하는 금속선의 직경이 0.05㎜ 정도인 경우에는, 해당 단차의 크기는 0.05㎜~0.06㎜ 정도라도 좋다.
제 2 부분(122d2)의 길이는 한쌍의 제 2 부분(122d2)에 의해 동축 케이블(200)의 외부 도체(203)의 적어도 선단부를 덮을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동축 케이블(200)의 직경이 0.6㎜~0.8㎜ 정도인 경우에는, 제 2 부분(122d2)의 길이는 0.15㎜ 정도라도 좋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1)의 완성 후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200)의 절연체(202) 및 외부 도체(203)의 일부가 한쌍의 벽부(122d)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절연체(202)의 대부분은 한쌍의 제 1 부분(122d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쌍의 제 1 부분(122d1)과 대향하여 있다. 외부 도체(203)의 적어도 선단은 한쌍의 제 2 부분(122d2)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쌍의 제 2 부분(122d2)과 대향하여 있다. 환언하면, 베이스부(122c)와 한쌍의 벽부(122d)에 의해, 동축 케이블(200)의 절연체(202) 및 외부 도체(203)가 배치 가능한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가압부(123)는,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126)를 거쳐서 절연 본체부(121)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압부(123)는, 연결부(126)가 굴곡되는 것에 의해, 연결부(126)를 기점으로 하여 요동하고, 절연 본체부(121)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 가능하다. 동축 케이블(200)을 플러그 커넥터(100)에 장착하기 전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부(123)는 절연 본체부(121) 및 돌출부(122)에 대하여 기립한 상태(가압부(123)가 절연 본체부(121) 및 돌출부(122)로부터 이격된 기립 상태)이다. 한편, 가압부(123)가 연결부(126)를 거쳐서 절곡되면, 연결부(126)가 굴곡되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부(123)가 절연 본체부(121) 및 돌출부(122)에 대하여 대향한 상태(가압부(123)가 절연 본체부(121) 및 돌출부(122)에 근접한 복와 상태)가 된다. 가압부(123)의 복와 상태에 있어서, 가압부(123)는 쉘부(115)의 기단부(115a)에 의해 덮이고, 절연 본체부(121) 및 돌출부(122)와 대향한다.
[신호 콘택트 도체]
신호 콘택트 도체(130)는 프레스 가공된 금속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신호 콘택트 도체(130)는 도전성을 갖는다. 신호 콘택트 도체(13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편(131)과, 협지편(132)과, 한쌍의 접속편(133)을 갖는다.
베이스편(131)은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는 판 형상체이다. 협지편(132)은 외팔보 형상의 판 부재이다. 협지편(132)은 베이스편(131)의 단연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협지편(132)은 베이스편(13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협지편(132)은 베이스편(131)에 근접하는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된 굴곡부를 갖고 있다.
한쌍의 접속편(133)은 각각, 베이스편(131)의 각 측연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베이스편(131)의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한쌍의 접속편(133)은 하방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을 나타내는 외팔보 형상의 판 부재이다. 한쌍의 접속편(133)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신호 콘택트 도체와 끼워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접속편(133)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도체 콘택트와 끼워 장착할 때에는, 한쌍의 접속편(133)이 해당 도체 콘택트에 의해 눌려 넓혀지며, 해당 도체 콘택트와 탄성적으로 끼워 장착한다.
[조립 방법]
이어서,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 절연 하우징(120) 및 신호 콘택트 도체(130)를 조립하여, 동축 케이블(200)의 선단부에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동축 케이블(200)을 가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동축 케이블(200)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부 도체(203), 절연체(202) 및 내부 도체(201)가 이 순서로 단 형상으로 노출되도록, 절연체(202), 외부 도체(203) 및 보호 피막(204)을 제거한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112)가 기립 상태에 있는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의 본체부(111) 내에, 가압부(123)가 기립 상태에 있는 절연 하우징(120)을 배치한다. 이 때, 절연 하우징(120)의 돌출부(122)가 한쌍의 아암부(113) 사이에 위치하며, 절연 하우징(120)의 한쌍의 결합편(124)이 각각 본체부(111)의 한쌍의 절결부(111c)와 결합하도록, 절연 하우징(120)이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에 대하여 조립된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콘택트 도체(130)를 절연 하우징(120)의 절연 본체부(121)에 탑재한다. 이 때, 신호 콘택트 도체(130)는, 접속편(133)이 절연 본체부(121) 내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절연 본체부(121)에 지지된다.
다음에, 가공 후의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를 베이스편(131) 상에 배치한다(도 4 내지 도 6 참조). 이 때, 내부 도체(201)의 선단 중 절연체(202)에 가까운 부분은 오목 홈(125) 내에 수용되며, 내부 도체(201)의 선단 중 절연체(202)로부터 떨어진 부분은 베이스편(131) 상에 오버랩된다.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200)의 절연체(202)의 대부분은 한쌍의 제 1 부분(122d1)의 사이에 배치된다. 동축 케이블(200)의 외부 도체(203)의 적어도 선단은 한쌍의 제 2 부분(122d2)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부(112)를 복와 상태까지 본체부(111)를 향하여 밀어 넘어뜨린다. 이 때, 절연 하우징(120)의 가압부(123)도 덮개부(112)에 의해 가압되고, 가압부(123)가 복와 상태가 될 때까지 절연 본체부(121)를 향하여 가압된다. 이에 의해, 신호 콘택트 도체(130)의 협지편(132)이 가압부(123)에 의해 가압되고, 협지편(132)이 베이스편(131)에 근접한다. 이 때, 협지편(132)의 볼록 형상의 굴곡부는, 가압부(123)와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에 의해 협압(挾壓)되므로, 협지편(132)이 전체적으로 평탄 형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가 협지편(132)과 베이스편(131)에 의해 협지된다. 그 결과, 신호 콘택트 도체(130)와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가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신호 회로가 구성된다.
다음에, 한쌍의 고정부(116)가 한쌍의 아암부(113)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동시에 돌출부(122) 중 하면(배선 기판과 대향하는 측의 면)에 감기도록, 한쌍의 고정부(116)를 한쌍의 아암부(113)에 대하여 절곡한다. 이에 의해, 한쌍의 고정부(116)가 한쌍의 아암부(113) 및 돌출부(122)를 파지하고, 덮개부(112)가 한쌍의 아암부(113) 및 돌출부(122)에 고정된다. 이 때,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116)의 하단이 본체부(111)의 하단연부(111a)보다 하방(배선 기판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다음에, 한쌍의 고정부(117)가 동축 케이블(200)의 외부 도체(203)의 일부(보호 피막(204)에 가까운 부분)를 덮도록, 한쌍의 고정부(117)를 외부 도체(203)에 대하여 절곡한다. 이에 의해, 한쌍의 고정부(117)가 외부 도체(203)에 고정된다. 즉,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와 동축 케이블(200)의 외부 도체(203)가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그라운드 회로가 구성된다.
다음에, 한쌍의 고정부(118)가 동축 케이블(200)의 보호 피막(204)을 덮도록, 한쌍의 고정부(118)를 보호 피막(204)에 대하여 절곡한다. 이에 의해, 한쌍의 고정부(118)가 보호 피막(204)에 고정된다.
이상에 의해, 동축 케이블(200)이 덮개부(112)에 의해 보지되고, 동축 케이블(200)에 플러그 커넥터(100)가 장착된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 조립체(1)가 완성된다. 이 때, 쉘부(115)는, 동축 케이블(200) 중 내부 도체(201)로부터 보호 피막(204)의 선단부에 도달할 때까지를 덮는다. 그 후, 커넥터 조립체(1)의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가 배선 기판의 신호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동축 케이블(200)의 외부 도체(203)가 배선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작용]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연 하우징(120)이, 절연 본체부(121)의 주면으로부터 절연 본체부(121)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22)를 포함한다. 돌출부(122)는, 동축 케이블(200)의 절연체(202) 및 외부 도체(203)가 탑재되는 베이스부(122c)와, 베이스부(122c)에 돌설되는 동시에 외부 도체(203) 중 적어도 선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한쌍의 벽부(122d)를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외부 도체(203) 중 풀리기 쉬운 선단이 한쌍의 벽부(122d)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200)의 외부 도체(203)가 풀렸다고 하더라도 외부 도체(203)가 외측으로 퍼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외부 도체(203)의 풀린 금속선이 끊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외부 도체(203)의 풀린 금속선이 플러그 커넥터(10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기 어려워지므로, 리셉터클 커넥터의 신호 콘택트 도체와의 사이에서 합선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제 1 부분(122d1)끼리의 이격 거리(W1)는 한쌍의 제 2 부분(122d2)끼리의 이격 거리(W2)보다 작다. 동축 케이블(200)의 절연체(202)의 직경은 외부 도체(203)의 직경보다 작다. 그 때문에, 이격 거리(W1)가 이격 거리(W2)보다 작은 플러그 커넥터(100)에 의하면, 한쌍의 벽부(122d)의 내벽면이 절연체(202) 및 외부 도체(203)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이 된다. 따라서, 절연체(202) 및 외부 도체(203)의 쌍방이 한쌍의 벽부(122d)에 의해 제대로 안내되므로, 한쌍의 벽부(122d)에 의해 절연체(202) 및 외부 도체(203)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부분(122d1)의 외벽면과 제 2 부분(122d2)의 외벽면이 동일 평면 상에 있으므로, 벽부(122d) 중 제 1 부분(122d1)이 제 2 부분(122d2)보다 두꺼워진다. 그 때문에, 벽부(122d)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122)에는, 절연 본체부(121)를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내부에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가 부설된 오목 홈(125)이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내부 도체(201)가 오목 홈(125)에 의해 제대로 안내되므로, 오목 홈(125)에 의해 내부 도체(201)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조립체(1)의 완성 후에 있어서, 고정부(116)의 하단이 본체부(111)의 하단연부(111a)보다 하방(배선 기판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의 본체부(111)의 배선 기판측으로의 돌출량이 억제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00)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을 상기의 실시형태에 부가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다른 전기 커넥터(예를 들면, 리셉터클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다.
한쌍의 벽부(122d)가 단차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벽부(122d)의 각 내벽면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연장 방향에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근접하도록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연장되어 있어도 좋으며, 파형으로 굴곡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부분(122d1)과 제 2 부분(122d2)의 사이에 슬릿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 1 부분(122d1)과 제 2 부분(122d2)이 이격되어 있어도 좋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부(122d)는 제 1 부분(122d1)에 상당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즉, 벽부(122d)와 기단부(122a) 사이에 절결부(127)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동축 케이블(200)의 절연체(202)의 대부분이 한쌍의 벽부(122d)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즉, 절연체(202)의 주위에는, 베이스부(122c) 이외의 절연 하우징(120)이 존재하고 있지 않으며, 공기가 존재하고 있다. 여기서, 공기의 비유전율은 약 1이며, 절연 하우징(120)을 구성하는 재료(예를 들면 수지 등)의 비유전율보다 낮다. 비유전율이 낮으면 비유전율에 비례하는 정전 용량값도 낮다. 그 때문에, 정전 용량값에 반비례하는 성질을 갖는 특성 임피던스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00)의 소형화 및 저배화가 진행되었다고 하더라도, 특성 임피던스를 소망의 값(예를 들면 50Ω)에 정합하기 쉬워진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의 한쌍의 아암부(113)에 각각 계지부(119)가 마련되어 있으며, 절연 하우징(120)의 돌출부(122)에 한쌍의 피계지부(128)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한쪽의 아암부(113)에 마련된 계지부(119)는 다른쪽의 아암부(113)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다른쪽의 아암부(113)에 마련된 계지부(119)는 한쪽의 아암부(113)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계지부(119)는,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사각 기둥 형상의 돌기이지만, 피계지부(128)와의 사이에서 계지 가능하면 다른 형상이어도 좋으며 돌기 이외의 형태라도 좋다.
피계지부(128)는,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계지부(119)에 대응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함몰부이다. 돌출부(122) 중 한쪽의 측면에 마련된 피계지부(128)는 돌출부(122) 중 다른쪽의 측면을 향하여 함몰되어 있다. 돌출부(122) 중 다른쪽의 측면에 마련된 피계지부(128)는 돌출부(122) 중 한쪽의 측면을 향하여 함몰되어 있다. 피계지부(128)는, 계지부(119)가 피계지부(128)에 계지 가능하면, 함몰부 이외의 다른 형태라도 좋다.
각 계지부(119)는 대응하는 아암부(113)의 선단에서 또한 하연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각 피계지부(128)는 돌출부(122) 중 대응하는 측면의 선단연부측에서 또한 하단연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단, 계지부(119) 및 피계지부(128)의 위치는 계지부(119)와 피계지부(128)가 결합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계지부(119)가 대응하는 피계지부(128)에 계지되는 것에 의해, 절연 하우징(120)이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에 보지된다. 그 때문에, 커넥터 조립체(1)를 제조할 때에, 동축 케이블(200)을 절연 하우징(120)에 탑재했을 때, 절연 하우징(120)이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110)에 대하여 이동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커넥터 조립체(1)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2)

  1.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하게 구성된 전기 커넥터와, 상기 전기 커넥터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을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은,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배선 기판 상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덮는 통 형상의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를 덮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를 갖고,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외부 도체, 상기 절연체 및 상기 내부 도체가 이 순서로 단 형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내부 도체가 접속되는 도전성의 신호 콘택트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가 접속되는 도전성의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와,
    상기 신호 콘택트 도체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하우징을 갖고,
    상기 절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신호 콘택트 도체를 보지하는 통 형상의 절연 본체부와,
    상기 절연 본체부의 주면으로부터 상기 절연 본체부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내부에 상기 절연 본체부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절연체 및 상기 외부 도체가 탑재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돌설되는 동시에 상기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한쌍의 벽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벽부는,
    상기 절연체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체 중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과 대향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끼리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 2 부분끼리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커넥터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한쌍의 벽부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커넥터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절연 본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내부에 상기 내부 도체가 부설된 오목 홈이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한쌍의 아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아암부는, 상기 본체부 중 상기 슬릿을 이루는 각 단연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는 한쌍의 피계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아암부에는 각각, 상기 한쌍의 피계지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피계지부와 계지 가능하게 구성된 계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상기 본체부 중 상기 배선 기판과는 떨어진 측의 단연부로부터 연장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돌출부 중 상기 배선 기판에 대향하는 측의 표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돌출부에 감기도록 상기 돌출부를 파지하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배선 기판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 조립체.
  7.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시에 상기 배선 기판상의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를 덮는 통 형상의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를 덮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를 갖고,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외부 도체, 상기 절연체 및 상기 내부 도체가 이 순서로 단 형상으로 노출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과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가 접속되는 도전성의 신호 콘택트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가 접속되는 도전성의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와,
    상기 신호 콘택트 도체와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의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절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신호 콘택트 도체를 보지하는 통 형상의 절연 본체부와,
    상기 절연 본체부의 주면으로부터 상기 절연 본체부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내부에 상기 절연 본체부를 수용하는 통 형상의 본체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절연체 및 상기 외부 도체가 탑재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돌설되는 동시에 상기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을 배치 가능한 공간을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구성하는 한쌍의 벽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벽부는,
    상기 절연체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이 배치 가능한 공간을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절연체 중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도록 구성된 제 1 부분과,
    상기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과 대향하도록 구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끼리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 2 부분끼리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전기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벽부는 상기 외부 도체 중 적어도 선단이 배치 가능한 공간을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절연체 중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는 영역에는, 상기 한쌍의 벽부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전기 커넥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절연 본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내부에 상기 내부 도체를 부설 가능한 오목 홈이 마련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한쌍의 아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아암부는, 상기 본체부 중 상기 슬릿을 이루는 각 단연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는 한쌍의 피계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아암부에는 각각 상기 한쌍의 피계지부 중 대응하는 하나의 피계지부와 계지 가능하게 구성된 계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콘택트 도체는 상기 본체부 중 상기 배선 기판과는 떨어진 측의 단연부로부터 연장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돌출부 중 상기 배선 기판에 대향하는 측의 표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돌출부에 감기도록 상기 돌출부를 파지하는 고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보다 상기 배선 기판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KR1020170063409A 2016-05-25 2017-05-23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KR101911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3967 2016-05-25
JP2016103967A JP6330851B2 (ja) 2016-05-25 2016-05-25 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272A true KR20170133272A (ko) 2017-12-05
KR101911177B1 KR101911177B1 (ko) 2018-10-23

Family

ID=5877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409A KR101911177B1 (ko) 2016-05-25 2017-05-23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38261B2 (ko)
EP (1) EP3249755A1 (ko)
JP (1) JP6330851B2 (ko)
KR (1) KR101911177B1 (ko)
CN (1) CN107453174B (ko)
TW (1) TWI6127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041B1 (ko) * 2016-05-04 2017-10-19 주식회사 기가레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US10153579B2 (en) * 2017-03-27 2018-12-11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component
WO2019153336A1 (zh) * 2018-02-12 2019-08-15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
JP7044622B2 (ja) * 2018-04-27 2022-03-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TWI672877B (zh) * 2018-05-15 2019-09-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同軸電纜之連接座及連接結構
CN108963692A (zh) * 2018-06-27 2018-12-07 吴通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接口
JP6780689B2 (ja) * 2018-11-21 2020-11-0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6844760B1 (ja) * 2019-05-10 2021-03-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セットにおけるグランド接続構造
JP7248140B2 (ja) * 2019-10-04 2023-03-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
JP2022102446A (ja) * 2020-12-25 2022-07-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の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9651B2 (ja) 1999-07-30 2005-08-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L型同軸コネクタ
JP3822871B2 (ja) 2003-07-17 2006-09-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2005317260A (ja) * 2004-04-27 2005-11-10 Tyco Electronics Amp Kk 同軸コネクタ
JP3119199U (ja) * 2005-12-02 2006-02-16 佳必▼其▲國際股▼ふん▲有限公司 同軸コネクター
JP4321873B2 (ja) * 2006-12-13 2009-08-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US7762841B2 (en) * 2008-09-12 2010-07-2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axial cable connector
TWM365590U (en) * 2009-05-27 2009-09-21 Advanced Connectek Inc Coaxial micro-connector
JP4923085B2 (ja) 2009-08-10 2012-04-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CN101834391B (zh) 2010-05-07 2012-04-25 深圳市电连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弯式同轴电连接器
WO2011137593A1 (zh) * 2010-05-07 2011-11-10 深圳市电连精密技术有限公司 一种弯式同轴电连接器
US8272894B2 (en) * 2010-11-05 2012-09-25 Primecon Technology Ltd. Coaxial connector
CN201898214U (zh) 2010-11-11 2011-07-13 光红建圣股份有限公司 同轴电缆连接器
JP5757153B2 (ja) * 2011-05-17 2015-07-29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5615319B2 (ja) 2012-04-19 2014-10-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67872B2 (ja) 2013-07-05 2016-02-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用同軸コネクタ
JP2015015175A (ja) 2013-07-05 2015-01-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5772900B2 (ja) * 2013-08-08 2015-09-02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12741B (zh) 2018-01-21
TW201742336A (zh) 2017-12-01
JP6330851B2 (ja) 2018-05-30
KR101911177B1 (ko) 2018-10-23
CN107453174A (zh) 2017-12-08
US10038261B2 (en) 2018-07-31
JP2017212092A (ja) 2017-11-30
EP3249755A1 (en) 2017-11-29
CN107453174B (zh) 2019-09-03
US20170346209A1 (en)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177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JP5947885B2 (ja)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これらのコネクタで構成される同軸コネクタ
US9997864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082142B1 (ko) 보상 탭을 갖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1592724B1 (ko) 동축형 전기 커넥터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JP2013157113A (ja) 同軸コネクタ
TW201034300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201817100A (zh) 同軸電纜連接器及連接器系統
TW201014066A (en) Coaxial cable connector housing
JP6935724B2 (ja) 電気コネクタ
JP6241597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5867872B2 (ja) 基板用同軸コネクタ
JP2010097823A (ja) 同軸コネクタ組立体
JP2017147108A (ja) プラグコネクタ
JP2015015175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6135147B2 (ja) 同軸コネクタ
JP2001035606A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CN113785451A (zh) 连接器
US20240039200A1 (en) Electrical connector
TWI810836B (zh) 同軸連接器
JP2001283999A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その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
US20220285895A1 (en) Coaxial connector having inclined surface on tip end side of shell
KR101174847B1 (ko)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
TW201029271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h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