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219A - 코일 및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 Google Patents

코일 및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219A
KR20170132219A KR1020177030325A KR20177030325A KR20170132219A KR 20170132219 A KR20170132219 A KR 20170132219A KR 1020177030325 A KR1020177030325 A KR 1020177030325A KR 20177030325 A KR20177030325 A KR 20177030325A KR 20170132219 A KR20170132219 A KR 20170132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electrical
enamel layer
strip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714B1 (ko
Inventor
로날드 플루흐
로만 티펜탈러
Original Assignee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3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007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 C08G59/4014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59/4021Ureas; Thioureas; Guanidines; Dicyandi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7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 적어도 하나의 경화제,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baked enamel layer)을 일 평면에 구비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소부 에나멜 층의 변경을 통해, 한편으로는 열경화성 및 경화 가능한 소부 에나멜 층을 구비한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가 높은 저장 안정성을 갖추고 다른 한편으로는 최종 가교된 소부 에나멜 층을 구비한 상기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제품이 높은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코일 및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본 발명은 하나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 적어도 하나의 경화제,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baked enamel layer)을 일 평면에 구비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의 코팅방법으로서 종래기술(WO2014/089593A1)의 열경화성 용해접착제 또는 소부 에나멜 층이 알려져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열경화성 용해접착제 - 소부 에나멜 층으로도 표시됨 - 의 일례로 용해접착물질을 포함하는 반응성 접착물질시스템이 있다. 예를 들어 EP0008811A1에 개시된 이와 같은 용해접착제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또는 열경화 가능 용해접착물질의 해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수단을 제외하고, 이와 같은 용해접착물질은 이른바 소부 공정(baking process), 즉, 열 공급, 접착 공정, 그리고 이후의 경화 공정을 거칠 수 있다.
그러나 에폭시 수지 베이스의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을 구비한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의 금속시트 패킷은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소부 에나멜 층의 말단경화에 따라, 접착 안정성 및 사용지속기간 이 감소되고 전기적 절연저항이 발생한다. 그러나 경화된 소부 에나멜 층의 연결밀도 증가를 통하여 이러한 단점을 전환할 가능성은,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을 포함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의 저장 안정성 측면으로 인해 제한된다.
본 발명은 따라서, 앞서 설명된 종래기술을 넘어서서, 상기와 같은 하나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소부 에나멜 층의 변경을 통해, 한편으로는 열경화성 및 경화 가능한 소부 에나멜 층을 구비한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가 높은 저장 안정성을 갖추고 다른 한편으로는 최종 가교된 소부 에나멜 층을 구비한 상기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제품이 높은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소부 에나멜 층의 충전재가 탄산 금속, 황산 금속, 금속 황화물, 규산 금속, 인산 금속,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특징을 통해서 상기 과제의 해결방안을 제공한다.
상기 소부 에나멜 층의 상기 충전재가 탄산 금속, 황산 금속, 금속 황화물, 규산 금속, 인산 금속,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면, 이로써, 최종 가교된 상태의 재료 접합된(substance jointing) 소부 에나멜 결합구조의 안정성이 확연하게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장기 열 안정성(longterm heat stability)이 향상될 수 있고, 이는 비교적 긴 작업 시간 이후, 예를 들어 금속시트 패킷의, 재료 접합된 소부 에나멜 결합구조의 박리 강도(peel strength)의 향상을 불러올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은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갖는다. 즉, 가교된 소부 에나멜 층의 연결밀도의 변경 필요를 강제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및 열경화 가능, 및 연결 가능한, 반응성의 소부 에나멜 층으로 피복된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가 비교적 높은 저장 안정성을 갖도록 한다. 특히, 다른 충전재에 비하여, 탄산 금속 및 황산 금속으로 이루어진 충전재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탄산 금속 및 황산 금속은 다른 충전재에 비하여, 유동성의 소부 에나멜 층의 저장 안정성뿐만 아니라 소부 에나멜 층의 경화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특히 탄산 금속으로는 탄산 칼슘이 사용되고, 황산 금속으로는 황산 바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는, 발명에 따른 가교 가능한 소부 에나멜 층 또는 용해접착 층을 구비한 전기 시트의 저장된 코일의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충전재는 예를 들어 소부 에나멜 층의 표면 거칠기 상승에 기여할 수 있고, 이로써 전기 스트립의 자체적인 권취를 어렵게 한다. 종합하면, 전기 스트립의 양 평면에 소부 에나멜 층이 포함되는 경우, 이는 특히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이 5 내지 25 또는 5 내지 20 부피 퍼센트의 충전재를 포함한다면, 이는 소부 에나멜 층의 압축 없는 열경화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층 밀도의 증가를 저해할 수 있고, 이는 소부 에나멜 층의 열화 단계에서의 탄성효과에서 기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는 소부 에나멜 층의 유동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화학 반응의 부가 시까지, 최종 가교된 상태의 소부 에나멜 층의 회복력(탄성도) 및 이를 통한 층 밀도의 증가를 야기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7 내지 16 부피 퍼센트의 충전재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조성은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이 6 내지 10 부피 퍼센트의 경화제와 74 내지 85 부피 퍼센트의 나머지 부분,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경우이다. 상기 소부 에나멜 층의 나머지 부분으로서 에폭시 수지 베이스 외에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충전재로서, 탄산 금속으로는 예를 들어 탄산 칼슘(Ca-CO3)이 사용될 수 있다. 탄산 칼슘은 비교적 높은 산화 저항성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소부 에나멜 층의 안정성을 확연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그 밖에, 경화된 소부 에나멜 층에서 탄산 칼슘의 구조는 향상된 견고성을 가질 수 있다.
충전재로서 황산 금속, 즉, 황산 바륨(BaSO4)이 사용되면, 경화된 소부 에나멜 층의 견고성 향상에 추가로 기여할 수 있다.
충전재로서 황산 금속에는 예를 들어 황산아연(ZnS)이 포함될 수 있다. 충전재로서 규산 금속에는 예를 들어 규산 마그네슘(MgO3Si) 또는 규산 알루미늄이 포함될 수 있다. 충전재로서 인산 금속에는 예를 들어 인산 아연 Zn3(PO4)2이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충전재로서 이의 혼합물은 예를 들어 리소폰(Lithopone)을 포함할 수 있다.
가교된 소부 에나멜 층의 접착성은 상기 충전재가 0.6 내지 3 μm의 평균 미립자 크기를 가질 때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경화제가 디시안디아미드 베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이는 소부 에나멜 층의 저장 안정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소부 에나멜 층은, 예를 들어, 상온 및/또는 소부 에나멜 층의 건조 작업 시, 즉, 예를 들어, 180 내지 240℃의 온도에서, 에폭시 수지 베이스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응성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상기 두 개의 경화제 중 하나의 우선 반응을 통하여, 상기 소부 에나멜 층의 저장 안정성 및/또는 점착성이 조정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 베이스로 비스페놀-A(2,2-Bis-(4-hydroxyphenyl)-propan)가 포함된 경우, 뛰어난 기계적 속성과 우수한 접착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폭시 수지 베이스는 예를 들어 상기 비스페놀-A와 같은 다가 페놀 클리시드에테르에 기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가 그 양 평면에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을 포함함으로써 환경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경우, 추가 공정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는 하나의 코일로 권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권취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를 통하여, 코일의 높은 형태 안정성이 보장된다. 이는 상기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가 그 양 평면에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을 포함하고 있음으로 인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탄산 금속, 황산 금속, 금속 황화물, 규산 금속, 인산 금속, 또는 이의 혼합물이 하나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 및 하나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의 충전재로서 사용됨으로써, 적어도 일 평면이 상기 소부 에나멜 층으로 피복되고, 권취된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의 코일의 형태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산 금속, 황산 금속, 금속 황화물, 규산 금속, 인산 금속, 또는 이의 혼합물이 하나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 및 하나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의 충전재로서 사용됨으로써, 적어도 일 평면이 상기 소부 에나멜 층으로 피복된 전기 스트립 및 전기 시트로부터 생성된 금속시트 패킷의 장기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기술효과는 탄산 금속, 황산 금속, 금속 황화물, 규산 금속, 인산 금속, 또는 이의 혼합물이 5 내지 25 부피 퍼센트, 5 내지 20 부피 퍼센트, 또는 7 내지 16 부피 퍼센트로 함유되어 있을 때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나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소부 에나멜 층의 변경을 통해, 한편으로는 열경화성 및 경화 가능한 소부 에나멜 층을 구비한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가 높은 저장 안정성을 갖추고 다른 한편으로는 최종 가교된 소부 에나멜 층을 구비한 상기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제품이 높은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열경화성 또는 열경화 가능한 상기 소부 에나멜 층 1, 2, 또는 3을 구비하고, 코일로 저장되며, 상기 소부 에나멜 층 1, 2, 또는 3의 구움 제조 시 하나의 금속시트 패킷으로 추가 공정되는 전기 스트립들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근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된 목표 효과의 근거를 밝히기 위하여, 복수의 전기 스트립은 각기 상이한 결합의 소부 에나멜 층으로 피복되었고, 이러한 소부 에나멜 층으로 피복된 전기 스트립들은 200℃에서 200시간의 작업 후 저장 안정성과 박리 강도가 실험되었다.
표 1은 상이한 소부 에나멜 층들을 제시한다.
소부 에나멜 층 에폭시 수지 베이스 충전재 경화제
1 비스페놀-A 충전재 없음 디시안디아미드
2 비스페놀-A CaCO3 디시안디아미드
3 비스페놀-A BaSO4 디시안디아미드
표 1: 실험된 소부 에나멜 층들에 대한 개요
실험된 소부 에나멜 층 1, 2, 3 모두 하나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와 6 내지 10 부피 퍼센트의 경화제를 포함하고, 이 때, 소부 에나멜 층 2 와 3은 각각 소부 에나멜 층 1과 달리, 0.6 내지 3 μm의 미립자 크기를 가진 5 내지 20 부피 퍼센트의 하나의 충전재를 포함한다. 특히, 소부 에나멜 층 1, 2, 3은 각기 전체에서 나머지를 제외하고 74 내지 85 부피 퍼센트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부 에나멜 층들에 더 많은 경화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디시안디아미드 경화제와 비교하여 상온 및/또는 소부 에나멜 층의 건조 공정 시, 즉, 예를 들어, 180 내지 240℃에서 반응성이 더 높은 추가의 경화제가 부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폭시 수지계와의 우선 반응을 통해, 예를 들어, 소부 에나멜 층의 점성도가 생길 수 있다. 이는 시트 스트립에서 분리된 금속시트 부분들의 패킷 결합 시 소부 에나멜 층의 스퀴징을 가로막는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냉각 경화(cold-curing) 아민 (예: AEP n-아미노-에틸피페라진, 시클로알리지방족 폴리아민)이 추가 경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는 비활성화 또는 활성화와 관계되어 기능하는 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부피 퍼센트는 상기 소부 에나멜 층의 전체 고체 량에 관련하거나, 또는 전체 고체 량의 100 부피 퍼센트를 형성한다.
도 1은 열경화성 또는 열경화 가능한 상기 소부 에나멜 층 1, 2, 또는 3을 구비하고, 코일로 저장되며, 상기 소부 에나멜 층 1, 2, 또는 3의 구움 제조 시 하나의 금속시트 패킷으로 추가 공정되는 전기 스트립들을 나타낸다. 소부 에나멜 층 2, 3을 구비한 전기 스트립들은, 소부 에나멜 층 1을 구비한 전기 스트립과 비교하여, 200℃이하에서 200시간의 작업 후의 열 노후 현상 시 확연히 높은 박리 강도를 나타냈고, 이는 도 1의 박리 강도의 정상 추이에서도 나타난다.
더하여, 열경화성 및 경화 가능한 상기 소부 에나멜 층 2, 3을 구비한 전기 스트립들의 코일은 권취된 상태로부터 금속시트 패킷으로 제조되는 추가 공정 시까지 높은 형태 안정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형태 안정성은 열경화성 및 경화 가능한 상기 소부 에나멜 층 1을 구비한 전기 스트립 코일의 형태 안정성보다 확연히 높은 것이다.

Claims (15)

  1. 하나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 적어도 하나의 경화제, 및 적어도 하나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최소한 하나의 열경화 접착 용해 에나멜 층(heat-curing adhesive hot-melt enamel layer), 즉, 소부 에나멜 층을 일 평면에 구비한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로서, 상기 소부 에나멜 층의 상기 충전재는 탄산 금속, 황산 금속, 금속 황화물, 규산 금속, 인산 금속,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은 5 내지 25 부피 퍼센트, 5 내지 20 부피 퍼센트, 또는 7 내지 16 부피 퍼센트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은
    6 내지 10 부피 퍼센트의 경화제; 및
    74 내지 85 부피 퍼센트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4. 제 1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 금속은 탄산 칼슘(CaC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5. 제 1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 금속은 황산 바륨(BaS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6. 제 1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황화물은 아연 황화물(ZnS)이고,
    상기 규산 금속은 규산 마그네슘(Mg03Si) 또는 규산 알루미늄이고,
    상기 인산 금속은 인산 아연(Zn3(PO4)2) 또는 리소폰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7. 제 1항 내지 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0.6 내지 3 μm의 평균 미립자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8. 제 1항 내지 7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디시안디아미드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9. 제 1항 내지 8항에 있어서, 상기 소부 에나멜 층은 상기 에폭시 수지 베이스에 대하여 상이한 반응성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10. 제 1항 내지 9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 베이스는 비스페놀-A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11. 제 1항 내지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는 그 양 평면에 열경화성 소부 에나멜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12. 제 1항 내지 11항에 있어서, 권취된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를 포함하는 코일.
  13. 적어도 일 평면이 하나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 및 하나의 경화제를 구비한 열경화 접착 용해 에나멜 층, 즉, 소부 에나멜 층으로 피복되고, 권취된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의 코일의 형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탄산 금속, 황산 금속, 금속 황화물, 규산 금속, 인산 금속, 또는 이의 혼합물을 상기 소부 에나멜 층의 충전재로 사용하는 방법.
  14. 적어도 일 평면이 하나의 에폭시 수지 베이스 및 하나의 경화제를 구비한 열경화 접착 용해 에나멜 층, 즉, 소부 에나멜 층으로 피복된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로부터 제조된 금속금속시트 패킷의 장기간 내열성(longterm heat resistance)을 높이기 위하여, 탄산 금속, 황산 금속, 금속 황화물, 규산 금속, 인산 금속, 또는 이의 혼합물을 상기 소부 에나멜 층의 충전재로 사용하는 방법.
  15. 제 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5 내지 25 부피 퍼센트, 5 내지 20 부피 퍼센트, 또는 7 내지 16 부피 퍼센트의 탄산 금속, 황산 금속, 금속 황화물, 규산 금속, 인산 금속, 또는 이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KR1020177030325A 2015-03-24 2016-03-24 코일 및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KR102217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0680.3A EP3072936A1 (de) 2015-03-24 2015-03-24 Coil und Elektroband oder -blech
EP15160680.3 2015-03-24
PCT/EP2016/056687 WO2016151129A1 (de) 2015-03-24 2016-03-24 Coil und elektroband oder -ble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219A true KR20170132219A (ko) 2017-12-01
KR102217714B1 KR102217714B1 (ko) 2021-02-22

Family

ID=5273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325A KR102217714B1 (ko) 2015-03-24 2016-03-24 코일 및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107628B2 (ko)
EP (2) EP3072936A1 (ko)
JP (1) JP6971849B2 (ko)
KR (1) KR102217714B1 (ko)
CN (1) CN107532036B (ko)
MX (1) MX2017012058A (ko)
RU (1) RU2728339C2 (ko)
SI (1) SI3274412T1 (ko)
WO (1) WO20161511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670A2 (ko) * 2016-12-23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강판 접착 코팅 조성물, 전기강판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EP3569405A1 (de) * 2018-05-18 2019-11-20 voestalpine Stahl GmbH Elektroband oder -blech,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 eines elektrobands oder -blechs sowie blechpaket daraus
DE102018122047A1 (de) 2018-09-10 2020-03-12 voestalpine Automotive Components Dettingen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blechteilen zu blechpaketen
EP3822078A1 (de) 2019-11-15 2021-05-19 voestalpine Stahl GmbH Elektroband oder -blech,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 eines elektrobands oder -blechs sowie blechpaket daraus
DE102019134136B3 (de) * 2019-12-12 2021-04-29 Voestalpine Stah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schichteten elektrobändern und beschichtetes elektroband
WO2021256535A1 (ja) * 2020-06-17 2021-12-23 日本製鉄株式会社 電磁鋼板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接着用表面被覆電磁鋼板及び積層鉄心
DE102020208689A1 (de) 2020-07-10 2022-01-13 Elringklinger Ag Verbindungsmaterial, Blechstapel, Maschinenbauteil und Elektromo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260B1 (ko) * 2011-12-28 2013-11-01 주식회사 포스코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절연 피막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절연 피막조성물이 적용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KR20140119771A (ko) * 2012-02-29 2014-10-10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절연 피막 부착 전자강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절연 피막 형성용 피복제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0886D1 (en) 1978-06-21 1981-12-10 Schweizerische Isolawerke Heat-curable adhesive melt varnish, its preparation and its application
JPS62227093A (ja) * 1986-03-28 1987-10-06 Sumitomo Metal Ind Ltd 打抜性および絶縁抵抗性に優れた電磁鋼板
FR2737338B1 (fr) * 1995-07-26 1997-08-22 Ugine Sa Tole d'acier electrique revetue utilisee dans la fabrication de circuits magnetiques
JP2003026989A (ja) * 2001-07-12 2003-01-29 Kansai Paint Co Ltd 熱硬化型粉体塗料組成物
JP4112866B2 (ja) * 2002-01-16 2008-07-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被膜性能の優れる無方向性電磁鋼板
US20050189067A1 (en) * 2004-02-27 2005-09-01 Michael Wimmer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lectrical steel sheet cores
CN100506929C (zh) * 2004-04-28 2009-07-0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电工钢用水性自粘接涂料
CN101048461A (zh) * 2004-10-27 2007-10-03 纳幕尔杜邦公司 自粘合涂料组合物
RU2277567C1 (ru) * 2005-03-15 2006-06-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ВолгГТУ)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WO2007137830A1 (de) * 2006-05-31 2007-12-06 Huntsman Advanced Materials (Switzerland) Gmbh Metall-kunststoff-hybrid-ölwanne
DE102007021602A1 (de) * 2007-05-08 2008-11-20 Voestalpine Stahl Gmbh Korrosionsschutzsystem für Metalle und Pigment hierfür
EP2060592B1 (de) * 2007-11-14 2010-01-27 Sika Technology AG Hitzehärtende Epoxidharzzusammensetzung enthaltend nichtaromatische Harnstoffe als Beschleuniger
JP5489173B2 (ja) * 2007-12-18 2014-05-14 コーティングス フォーリン アイピー カンパニー, エルエルシー 電気鋼を被覆する方法
KR101025008B1 (ko) * 2007-12-26 2011-03-25 주식회사 포스코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절연피막 형성방법 및 무방향성 전기강판
PL2366810T3 (pl) * 2008-11-27 2019-12-31 Nippon Steel Corporation Blacha elektrotechniczna i sposób jej wytwarzania
CN102459696B (zh) * 2009-06-17 2013-10-16 新日铁住金株式会社 具有绝缘覆盖膜的电磁钢板及其制造方法
CN102086336A (zh) * 2009-12-07 2011-06-08 天津市新宇彩板有限公司 卷材用铁红环氧氨基底漆
CN101824263B (zh) * 2010-04-09 2015-06-24 常熟华冶薄板有限公司 变色龙涂料及其在彩色涂覆层钢板的使用方法和彩色涂覆层钢板
JP5589639B2 (ja) * 2010-07-22 2014-09-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半有機絶縁被膜付き電磁鋼板
CN102134433A (zh) * 2011-03-02 2011-07-27 天津通远涂料化工有限公司 环保水性环氧防腐烤漆
US9346925B2 (en) * 2012-06-29 2016-05-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poxy resin blend dispersion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dispersion
JP6134497B2 (ja) * 2012-11-08 2017-05-24 京セラ株式会社 積層コアの製造方法
AT512931B1 (de) 2012-12-11 2013-12-15 Voestalpine Stahl Gmbh Blechpaket und Verfahren zum Verbinden von Blechteilen zu einem Blechpaket
EP3197961B1 (de) * 2014-09-26 2018-10-24 BASF Coatings GmbH Wässrige bindemitteldispersionen für kathodische elektrotauchlack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260B1 (ko) * 2011-12-28 2013-11-01 주식회사 포스코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절연 피막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절연 피막조성물이 적용된 무방향성 전기강판
KR20140119771A (ko) * 2012-02-29 2014-10-10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절연 피막 부착 전자강판 및 그 제조 방법, 및 절연 피막 형성용 피복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2936A1 (de) 2016-09-28
EP3274412A1 (de) 2018-01-31
SI3274412T1 (sl) 2020-03-31
EP3274412B1 (de) 2019-08-21
WO2016151129A1 (de) 2016-09-29
RU2017134116A3 (ko) 2019-07-17
MX2017012058A (es) 2018-02-19
CN107532036B (zh) 2021-06-22
KR102217714B1 (ko) 2021-02-22
US11107628B2 (en) 2021-08-31
JP6971849B2 (ja) 2021-11-24
CN107532036A (zh) 2018-01-02
US20180122573A1 (en) 2018-05-03
RU2017134116A (ru) 2019-04-03
JP2018518591A (ja) 2018-07-12
RU2728339C2 (ru)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2219A (ko) 코일 및 전기 스트립 또는 전기 시트
JP4732472B2 (ja) 熱硬化型ダイボンドフィルム
JP6393092B2 (ja) 中空型電子デバイス封止用樹脂シート及び中空型電子デバイス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JP2016040370A5 (ko)
JP5390209B2 (ja) 熱硬化型ダイボンドフィルム
WO2014156883A1 (ja) 封止シート、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封止シート付き基板
JP5424984B2 (ja) 半導体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11495564B2 (en) Electronic-part-reinforcing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emiconductor device
JP2001106770A (ja) 液状封止樹脂組成物、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5114111B2 (ja) 樹脂組成物、熱伝導シート、金属箔付高熱伝導接着シート、ならびに、金属板付高熱伝導接着シート
KR20200064066A (ko) 실장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시트
TWI460076B (zh) A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a structure for simplifying the process
JP201407230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
KR20130084907A (ko) 내열성이 향상된 접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 보강판 부착용 접착시트 및 연성회로기판
JPH047374B2 (ko)
JP6575644B2 (ja) タブレット状封着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S646674B2 (ko)
JP2012064868A (ja) 電子部品
JP6372326B2 (ja) 封着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7792A (ja) 耐熱性絶縁基板およびその製造法
KR20240034364A (ko) 폴리이미드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고방열 연성 동박 적층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S58127670A (ja) 卓球ラケツト基板の製造方法
JPS63139738A (ja) ハニカム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ハニカム構造物製造用接着シ−ト
JP2001315246A (ja) 積層体
JPH01237132A (ja) 熱硬化性樹脂銅張積層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