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085A - 임프린트 장치 및 임프린트 시스템 내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임프린트 방법 - Google Patents

임프린트 장치 및 임프린트 시스템 내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임프린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085A
KR20170132085A KR1020170059739A KR20170059739A KR20170132085A KR 20170132085 A KR20170132085 A KR 20170132085A KR 1020170059739 A KR1020170059739 A KR 1020170059739A KR 20170059739 A KR20170059739 A KR 20170059739A KR 20170132085 A KR20170132085 A KR 20170132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stortion
imprint
region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0078B1 (ko
Inventor
안슈만 체랄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2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of layered or coated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2Lith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ing methods other than those involving the exposure to radiation, e.g. by st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691Handling of masks or workpieces
    • G03F7/707Chucks, e.g. chucking or un-chucking operations or structural details
    • G03F7/70708Chucks, e.g. chucking or un-chucking operations or structural details being electrostatic; Electrostatically deformable vacuum chu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808Construction details, e.g. housing, load-lock, seals or windows for passing light in or out of apparatus
    • G03F7/70825Mounting of individual elements, e.g. mounts, holders or 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1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having irregular or rough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5Layered products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C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B81C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or systems in or on a substrate
    • B81C1/00436Shaping materials, i.e. techniques for structuring the substrate or the layers on the substrate
    • B81C1/00444Surface micromachining, i.e. structuring layers on the substrate
    • B81C1/0046Surface micromachining, i.e. structuring layers on the substrate using stamping, e.g. impri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04Chemical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5Plasma etching; Reactive-ion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 H01L21/3083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308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27Etching organic layers
    • H01L21/31133Etching 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27Etching organic layers
    • H01L21/31133Etching 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 H01L21/31138Etching organic layers by chemical means by dry-et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방법은 기판을 처킹 영역 위에 배치하는 단계로서, 기판은 주면을 갖는, 배치 단계; 기판,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임프린트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왜곡을 정량화하는 단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왜곡에 기초하여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왜곡은 평면성의 편차, 배율 또는 직교성 에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임프린트 장치는 처킹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보유지지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임프린트면을 갖는 템플레이트로서, 돌출부는 주면을 형성하는, 템플레이트;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판,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임프린트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왜곡에 기초하여 특정 영역에 분배할 성형성 재료의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프린트 장치 및 임프린트 시스템 내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임프린트 방법{IMPRINT APPARATUS AND METHOD OF IMPRINTING TO CORRECT FOR A DISTORTION WITHIN AN IMPRINT SYSTEM}
본 개시내용은 임프린트 장치 및 임프린트 시스템 내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임프린트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프린트 장치 및 기술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작에서 반도체 웨이퍼 상에 나노스케일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중첩이라고도 칭해지는 제2 패턴층에 대한 하나의 패턴층의 적절한 정합 또는 정렬은 최종 전자 디바이스가 정확하게 기능하는데 중요하다.
웨이퍼는 전형적으로 처킹될 때 웨이퍼의 왜곡을 제한하기 위해 매우 높은 편평도로 래핑 및 연마된 진공 기판 척에 의해 임프린트 장치 상에 보유지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래핑 및 연마 기술에 의해 달성가능한 편평도에는 제한이 있기 때문에, 웨이퍼는 처킹될 때 여전히 왜곡될 수 있다. 즉, 척에 있어서의 편평도 및 평면성 편차는 웨이퍼가 척에 정합될 때 평면내 왜곡을 유발할 수 있다. 척이 이상적으로 편평한 경우에도, 웨이퍼 자체에 평면성 편차가 존재할 수 있고, 이는 웨이퍼가 처킹될 때 마찬가지로 평면내 왜곡을 초래한다. 임프린트 템플레이트가 편평하지 않은 웨이퍼에 정합될 때 추가적인 왜곡이 도입될 수 있고, 이는 마찬가지로 템플레이트에 평면내 왜곡을 유발한다. 이들 왜곡은 모두 중첩 정밀도에 영향을 준다. 디바이스 제작을 과도하게 어렵게하거나 복잡하게 하는 다른 문제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이들 왜곡에 의해 유발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일 양태에서, 임프린트 장치는 기판을 위한 기판 지지면을 갖는 처킹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보유지지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임프린트면을 갖는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를 위한 템플레이트 보유지지기;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판,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기판 보유지지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내의 왜곡에 기초하여 특정 영역에 소정량의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처리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처리기는 추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왜곡에 기초하여 성형성 재료를 대한 분배 패턴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분배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가 제1 영역 내의 성형성 재료에 접촉할 때 왜곡이 기판의 주면 및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영역 내의 제1 면 밀도, 및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가 제2 영역 내의 성형성 재료에 접촉할 때 왜곡이 기판의 주면 및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서로 가까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2 영역 내의 제2 면 밀도로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도록 실행되며, 제1 면 밀도는 제2 면 밀도보다 크다.
다른 실시예에서, 왜곡은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의 주면, 임프린트 영역 내의 처킹 영역의 기판 지지면, 임프린트 영역 내의 기판의 주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따른 평면성의 편차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왜곡은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또는 기판의 배율 또는 직교성 왜곡을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방법은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임프린트면을 갖는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주면을 형성하는, 제공 단계; 기판 지지면을 갖는 처킹 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보유지지기를 제공하는 단계; 처킹 영역 위에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기판은 임프린트 영역 내의 주면을 갖는, 배치 단계; 기판,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임프린트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정량화하는 단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왜곡에 기초하여 기판의 주면 위에 성형성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왜곡을 정량화하는 단계는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의 주면, 임프린트 영역 내의 처킹 영역의 기판 지지면, 임프린트 영역 내의 기판의 주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따른 평면성의 편차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왜곡을 정량화하는 단계는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또는 기판의 배율 또는 직교성 에러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는 단계는,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가 제1 영역 내의 성형성 재료에 접촉할 때 왜곡이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주면이 멀리 떨어져 있는 나타내는 제1 영역 내의 제1 면 밀도, 및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가 제2 영역 내의 성형성 재료에 접촉할 때 왜곡이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주면이 서로 가까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2 영역 내의 제2 면 밀도로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도록 실행되며, 제1 면 밀도는 제2 면 밀도보다 크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영역은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의 제1 돌출부에 대응하고, 제2 영역은 제1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의 제2 돌출부에 대응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영역은 상이한, 동일한 돌출부의 이격된 영역에 대응한다.
추가적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차에 기초하여 성형성 재료에 대한 분배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는 단계는 분배 패턴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제3 영역은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내의 하나 이상의 오목부에 대응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분배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성형성 재료가 제3 영역 내의 제3 면 밀도로 분배되도록 실행되며, 제3 면 밀도는 제1 및 제2 면 밀도 각각보다 크다.
또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분배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부분적으로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의 주면, 임프린트 영역 내의 기판, 또는 제3 영역 내의 양자 모두를 따른 평면성의 편차에 기초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성형성 재료를 중합하고 폴리머층을 형성하기 위해 성형성 재료를 자외선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폴리머층은 제1 영역 내의 제1 두께 및 제2 영역 내의 제2 두께를 가지며, 제1 두께는 제2 두께보다 크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두께는 제2 두께보다 적어도 5%, 적어도 11%, 또는 적어도 20% 두꺼우며 제2 두께보다 최대 200%, 최대 150%, 또는 최대 95% 두껍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폴리머층으로부터 템플레이트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폴리머층의 오목부 내에 에칭 저항층을 형성하는 단계; 폴리머층의 돌출부에 중첩하는 에칭 저항층의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폴리머층의 돌출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서,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은 기판을 위한 기판 지지면을 갖는 처킹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보유지지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임프린트면을 갖는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를 위한 템플레이트 보유지지기;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판,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기판 보유지지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왜곡에 기초하여 특정 영역에 소정량의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처리기를 포함하는 임프린트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처킹 영역 위에 물품의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기판은 임프린트 영역 내의 주면을 갖는, 배치 단계; 기판,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임프린트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왜곡을 정량화하는 단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왜곡에 기초하여 기판의 주면 위에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의 도면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는 예로서 예시되며 첨부 도면 내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임프린트 장치의 개념도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임프린트 장치의 기판 보유지지기의 처킹 영역에 중첩하는 기판의 단면도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임프린트 장치의 템플레이트 보유지지기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템플레이트의 단면도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4는 기판의 일부와 템플레이트의 몰드의 측면도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1의 임프린트 장치를 사용하여 임프린트된 층을 형성하는 공정 흐름을 포함한다.
도 6은 기판의 일부, 기판 보유지지기의 처킹 영역 및 템플레이트의 몰드의 측면도를 포함한다.
도 7은 성형성 재료에 의한 임프린트 동작 동안의 기판의 일부, 처킹 영역 및 몰드의 측면도를 포함한다.
도 8은 기판 및 임프린트된 폴리머층을 포함하는 작업물의 일부의 단면도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9는 임프린트된 폴리머층의 잔류층을 제거한 후의 도 8의 작업물의 일부의 단면도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10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임프린트 장치를 사용하여 임프린트된 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 흐름을 포함한다.
도 11은 기판 및 임프린트된 폴리머층을 포함하는 작업물의 일부의 단면도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12는 에칭 저항층을 형성한 후의 도 11의 작업물의 일부의 단면도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13은 임프린트된 폴리머층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에칭 저항층의 일부를 제거한 후의 도 12의 작업물의 일부의 단면도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14는 임프린트된 폴리머층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한 후의 도 13의 작업물의 일부의 단면도의 예시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도면의 요소가 단순성 및 명확성을 위해 예시된 것이며 반드시 축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의 일부의 치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서 다른 요소에 대해 과장될 수 있다.
도면과 조합되는 이하의 설명은 본원에 개시된 교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이하의 설명은 상기 교시의 특정 구현 및 실시예에 집중할 것이다. 이런 집중은 상기 교시의 설명을 돕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교시의 범위 또는 적용성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는 본 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교시에 기초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 "구비한다", "구비하는", "갖는다", "갖는" 또는 그 임의의 다른 변형은 배타적이지 않은 포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특징의 나열을 포함하는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그 특징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거나 이러한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고유한 다른 특징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시적으로 반대로 설명되지 않는 한, "또는"은 포함적인 또는을 지칭하며 배타적인 또는을 지칭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건 A 또는 B는 이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만족된다: A는 사실이고(또는 존재하고) B는 거짓이고(또는 존재하지 않고), A는 거짓이고(또는 존재하지 않고) B는 사실이고(또는 존재하고), 그리고 A 및 B 모두가 사실이다(또는 존재한다).
또한, 단수형의 사용은 본원에 설명된 요소들 및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의 일반적인 감을 주기 위한 것이다. 본 설명은 달리 의미하는 것이 명확하지 않은 한 복수도 포함하는 하나, 하나 이상, 또는 단수형을 포함하도록 읽혀져야 하거나 그 반대로도 된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단일 품목이 설명될 때, 하나 초과의 품목이 단일 품목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원에서 하나 초과의 품목이 설명될 때, 단일 품목이 하나 초과의 품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재료, 방법 및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원에 설명되지 않는 범위에 대해서는, 특정 재료 및 처리 작용에 관한 많은 세부사항은 종래와 같고 임프린트 및 리소그래피 기술분야 내의 텍스트북 및 다른 소스에서 찾을 수 있다.
임프린트 장치 및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임프린트 시스템 내의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왜곡은 기판,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임프린트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올 수 있다. 왜곡은 이미지 배치 에러로 인한 몰드의 패턴 왜곡 또는 기판 상의 왜곡, 또는 기판 보유지지기 또는 템플레이트 보유지지기의 처킹 영역의 기판 지지면, 기판의 주면 또는 처킹면, 템플레이트의 주면 또는 처킹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평면성의 편차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기판은 웨이퍼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이 처킹 영역 위에 배치될 때, 기판의 노출면은 형성된 임프린트된 층과 기판 내의 미리 형성된 패턴화된 층 사이의 상당한 중첩 차를 초래할 수 있는 척의 평면성으로부터의 편차로 인한 평면내 왜곡을 나타낼 수 있다. 척의 평면성으로부터의 편차로 인한 기판의 평면내 왜곡은 진공 처킹 동안 척에 정합되는 기판으로 인한 것이다. 노출된 면의 편평도가 측정될 수 있고, 성형성 재료에 대한 분배 패턴이 반대 방향의 몰드의 평면성으로부터의 의도적인 또는 프로그래밍된 편차를 유발하도록 조정되어 기판 내의 패턴화된 층에 대한 향상된 정합을 허용할 수 있다. 기판 척에 의해 유발되는 평면성의 편차는 기판의 평면내 왜곡을 유발한다. 이 평면내 왜곡은 평면성으로부터의 의도적인 또는 프로그래밍된 편차에 의해 몰드에 형성된다. 이 프로그래밍된 편차는, 도 7에 동일하게 그리고 반대로 도시되어 있지만, 특히 몰드 및 기판의 두께 및 재료 특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 평면내 왜곡 매칭은 향상된 중첩으로 이어지고 결국 디바이스 수율에 영향을 준다. 이상적인 점 격자에 비교되는 이미지 배치 에러 또는 평면내 왜곡은 몰드와 기판 모두에 동일한 정도로 존재할 것이다.
결과적인 임프린트된 폴리머층의 잔류층은 허용가능한 양의 비균일성을 갖는다(예를 들어, 잔류층은 과도하게 많은 돌출부의 침식 없이 제거될 수 있다). 비균일성의 양이 과도하게 높은 경우, 에칭 저항층을 갖는 역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역 이미지 공정에 대해서는, 폴리머층의 돌출부가 제거될 수 있고, 잔류층의 일부가 에칭 저항층에 의해 덮인 상태로 남겨진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이한 양의 비균일성을 갖는 잔류층을 고려하는데 충분이 유연하다. 상기 장치 및 방법은 임의의 패턴화된 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30 nm 이하의 매우 작은 치수를 갖는 패턴화된 층에 잘 맞는다.
다른 예는 평면성의 편차가 크기 않지만 몰드가 패턴 왜곡을 갖거나 기판이 미리 패턴화된 필드에서 이미지 배치 에러로 인한 왜곡을 갖는 경우이다. 왜곡은 크기 왜곡과 사행 왜곡 또는 사다리꼴 왜곡 같은 직교성 왜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왜곡은 측정될 수 있고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성형성 층을 갖는 몰드의 평면성으로부터의 전술한 프로그래밍된 편차를 생성함으로써, 몰드 또는 기판의 왜곡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첩 에러를 감소시키는 평면내 왜곡이 생성될 수 있다. 왜곡은 정량화될 수 있고, 분배 패턴이 그에 따라 조정된다. 상기 장치 및 방법은 도면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더 잘 이해된다.
도 1은 기판(100) 상에 릴리프(relief)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시스템(110)을 예시한다. 기판(100)은 기판 보유지지기(114)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기판 보유지지기(114)는 진공 척이다. 기판 보유지지기(114) 내의 구역은 기체 제어기(136)와 유체 소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판 보유지지기(114)는 진공, 핀-타입, 그루브-타입, 정전기형, 전자기형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척일 수 있다. 예시적인 척이 그 전체가 참조로 본원에 통합되는 미국 특허 제6,873,087호에 설명되어 있다.
기판(100) 및 기판 보유지지기(114)는 스테이지(116)에 의해 더 지지될 수 있다. 스테이지(116)는 x, y, 및 z 축을 따른 병진 운동, 회전 운동, 또는 병진 및 회전 운동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스테이지(116), 기판(100) 및 기판 보유지지기(114)는 베이스(도시되지 않음)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템플레이트(118)는 기판(10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템플레이트(118)는 대향 측부를 갖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고, 대향 측부 중 하나는 크기가 전체 필드에 대응하는 기판(100)을 향해 연장되는 패턴면(122)을 갖는 몰드(120)를 갖는다. 실시예에서, 몰드(120)는 메사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템플레이트(118)는 메사를 포함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템플레이트(118), 몰드(120) 또는 양자 모두는 용융 실리카, 석영, 실리콘, 유기 중합체, 실록산 폴리머,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프루오로카본 폴리머, 금속, 경화 사파이어, 원하는 형상으로 몰딩, 기계가공, 또는 에칭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재료,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패턴면(122)은 복수의 이격된 리세스(124), 돌출부(126), 또는 리세스 및 돌출부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특징을 포함하지만, 실시예들이 이러한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패턴면은 평면을 갖는다. 패턴면(122)은 기판(100) 상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패턴의 기초를 형성하는 패턴을 형성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템플레이트(118)는 템플레이트 척(128)에 결합된다. 템플레이트 척(128)은 진공, 핀-타입, 그루브-타입, 정전기형, 전자기형, 다른 적합한 척 타입,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척이 미국특허 제6,873,087호에 더 설명되어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척(128)은 임프린트 헤드(130)에 결합되므로, 템플레이트 척(128), 임프린트 헤드(130), 또는 양자 모두는 서로에 대한 템플레이트(118) 및 기판(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임프린트 헤드(130)는 프레임(150)에 결합된다.
시스템(110)은 유체 분배 시스템(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분배 시스템(132)은 기판(100) 상에 성형성 재료(134)를 퇴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성형성 재료는 중합성 재료일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성형성 재료(134)는 액적 분배, 스핀 코닝, 딥 코팅, 화학 증착(CVD), 물리 증착(PVD), 박막 퇴적, 후박 퇴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기판(100)에 위치된다. 성형성 재료(134)는, 설계 고려에 따라 원하는 용적이 패턴면(122)과 기판(100) 사이에 형성된 후에, 그 전에, 또는 전후 모두에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분배 패턴에 관한 세부사항을 본 명세서의 이후의 설명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스템(110)은 경로(142)를 따라 에너지(140) 지향시키도록 결합되는 에너지원(138)을 더 포함한다. 시스템(110)은 또한 패턴화된 층이 기판(100) 상에 형성되고 나면 재료(134)의 이미지 분포, 템플레이트(118)의 분리, 또는 재료(134)의 이미지 분포 및 템플레이트(118)의 분리 양자 모두를 감시할 수 있는 카메라(158)를 포함한다. 임프린트 헤드(130) 및 스테이지(116)는 템플레이트(118) 및 기판(100)을 경로(142)와 중첩되게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시스템(11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테이지(116), 임프린트 헤드(130), 유체 분배 시스템(132), 에너지원(138),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통신하는 처리기(154)에 의해 제어되며, 메모리(156)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상에서 동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처리기(154)는 시스템(11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처리기(154)와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은 하나 초과의 처리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처리기는 시스템(110)의 내부에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다른 처리기는 시스템(110) 외부에 있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통상의 기술자는 특정 용례를 위해 필요 또는 원하는 바에 적합화된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처킹 영역과 기판(100) 사이의 위치 관계를 예시하기 위해 처킹 영역과 기판(100)을 포함하는 기판 척(114)의 일부의 예시를 포함한다. 처킹 영역은 외측 구역(223), 중간 구역(225), 및 중앙 구역(227)을 포함하며, 중간 구역(225)은 외측 구역(223)과 중앙 구역(227) 사이에 배치된다. 구역(223, 225, 및 227) 각각은 부분적으로 리세스된 랜드(land)(242) 및 완전한 높이 랜드(244 및 246)에 의해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랜드(242, 244, 및 246) 각각은 연속적이며, 따라서 랜드(242, 244, 및 246)는 동심이다. 외측 구역(223)은 랜드(242 및 244)에 의해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중간 구역(225)은 랜드(244 및 246)에 의해 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중앙 구역(227)은 랜드(246)에 의해 측방향으로 형성된다. 구역(223, 225, 및 227) 중 임의의 하나 이상 내에서, 하나 이상의 핀(도시되지 않음)이 필요하거나 원하는 바에 따라 기판(100)의 지지를 보조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세스된 랜드(242)는 완전한 높이 랜드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기판 척(114)의 처킹 영역의 주면은 완전한 높이 랜드(244 및 246)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며 평면(234)을 따라 놓인다. 기판(100)의 주면(212)은 평면(214)을 따라 놓인다. 이론적으로, 처킹 영역 및 기판(100)의 주면은 완벽하게 편평하며 평면성의 편차가 없다. 실제 용례에서, 처킹 영역, 기판(100), 또는 양자 모두의 주면은 평면성의 적어도 일부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기판(100)이 처킹 영역 위에 배치될 때, 기판(100)의 노출된 주면은 처킹 영역 또는 기판(100)의 주면을 따른 평면성의 편차와 상이한 평면성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평면성의 편차는 편평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측정을 위한 예시적인 도구는 간섭계, 프로필로미터(profilome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템플레이트(118)는 템플레이트 척(128)에 결합된다. 템플레이트 척(128)은 대향 측부(311 및 313)를 포함한다. 측부, 또는 에지, 표면(315)이 대향 측부(311 및 313) 사이에 연장된다. 측부(311)는 이격된 지지 영역(321 및 323)을 형성하는 리세스(317) 및 리세스(317)로부터 이격된 리세스(319)를 포함한다. 지지 영역(321)은 지지 영역(323) 및 리세스(317 및 319)를 둘러싼다. 지지 영역(323)은 리세스(319)를 둘러싼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지지 영역(321 및 323)은 순응성 재료로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지지 영역(321)은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지지 영역(323)은 원 형상을 갖지만,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영역(321 및 323)은 원하는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템플레이트 척(128)의 일부(347)는 리세스(319)와 중첩되며 미리결정된 파장 또는 다양한 파장을 갖는 방사선에 대해 투명할 수 있다. 부분(347)은 유리 같은 투명한 재료의 박층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부분(347)의 재료는 에너지원에 의해 방출되는 방사선의 파장에 의존할 수 있다. 부분(347)은 측부(313) 사이에서 연장되며 리세스(319) 가까이에서 종료된다. 부분(347)은 몰드(120)가 그것과 중첩되도록 적어도 몰드(120)의 면적만큼의 면적을 갖는다.
템플레이트 척(128)은 통로(327 및 329)를 구비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템플레이트 척(128)은 상이한 수의 통로를 가질 수 있다. 통로(327)는 리세스(317)를 표면(313)과 유체 소통하는 상태가 되게 하지만,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통로(327)는 리세스(317)를 템플레이트 척(128)과 유체 소통하는 상태가 되게 한다. 통로(329)는 리세스(319)를 측부(313)와 유체 소통하는 상태가 되게 하지만,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통로(329)는 리세스(319)를 템플레이트 척(128)의 임의의 표면과 유체 소통하는 상태가 되게 한다. 통로(327 및 329)는 리세스(317 및 319)를 각각 펌프 시스템(331) 같은 압력 제어 시스템과 유체 소통하는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펌프 시스템(331)은 리세스(317 및 319)에 가까운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템플레이트(118)는 템플레이트 척(128)에 결합되고, 템플레이트(118)는 지지 영역(321 및 323)에 놓여 리세스(317 및 319)를 덮는다. 템플레이트(118)의 가요성 영역(338)이 리세스(319)와 중첩되어 챔버(333)를 형성할 수 있으며, 템플레이트(118)의 더 두꺼운 영역(340)이 리세스(317)와 중첩되어 챔버(335)를 형성할 수 있다. 펌프 시스템(331)은 챔버(333 및 335) 내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동작한다.
이론적으로, 몰드(120)의 주면(320)은 완벽하게 편평하며 평면성의 편차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용례에서, 몰드(120)의 주면은 평면성의 적어도 일부의 편차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평면성의 편차는 편평도를 측정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으며, 측정을 위한 예시적인 도구는 간섭계, 프로필로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평면성의 편차를 고려할 수 있으며 성형성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패턴화된 층과 기판(100)의 미리 형성된 패턴화된 층 사이의 더 양호한 중첩을 허용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의 설명이다.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많은 세부사항이 설명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개념 내에서 더 많거나, 더 적거나, 또는 다른 작용이 실행될 수 있다. 도면과 연계하여 본 명세서 전체를 읽은 후에,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4는 기판(100) 및 템플레이트(118)의 몰드(120)를 예시한다. 간략화를 위해, 몰드(120)는 패턴화되지 않은 면으로서 예시되어 있으므로, 몰드(120)의 주면을 따른 평면성의 편차는 본 특정 실시예에서는 중요하지 않다. 마찬가지로, 기판(100)의 주면은 본 특정 실시예에서 중요하지 않은 평면성의 편차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도 1 및 도 5와 관련하여 더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도 5의 블록 502에서 기판 척(114)의 처킹 영역 상에 기판(100)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기판(100) 및 대상물(600)로서의 기판 척(114)의 처킹 영역 사이의 조합을 예시한다. 따라서, 대상물의 노출면(612)은 처킹 영역에 배치될 때 기판(100)의 주면(212)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처킹 영역은 기판(100)의 형상을 왜곡시켜 평면성의 상당한 편차를 가져온다. 위치(622)는 노출면(612)의 평균 높이보다 높은 높이에 놓이며, 위치(642)는 노출면(612)의 평균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놓인다. 노출면(612)의 평면성의 편차는 몰드(120)가 정렬되는 기판(100) 내에 이미 존재하는 패턴화된 층의 평면내 왜곡을 가져올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성형성 재료에 대한 분배 패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임프린트 시스템 내의 왜곡을 고려할 것이다. 분배 패턴을 결정하기 전해, 정보가 보정될 필요가 있다. 상기 방법은 블록 522에서 몰드(120)의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몰드(120)의 돌출부 및 오목부에 대응한다. 이런 결정은 몰드(120)를 설계 및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래픽 데이터 시스템(Graphics Data System)(GDS) 파일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성형성 재료의 더 높은 면 밀도는 몰드(120)의 오목부가 존재하는 위치에 분배될 것이고, 성형성 재료의 더 낮은 면 밀도는 몰드(120)의 돌출부가 존재하는 위치에 분배될 것이다.
상기 방법은 블록(524)에서 임프린트 시스템 내의 왜곡을 정량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프린트 시스템은 기판(100), 템플레이트(118) 및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왜곡을 정량화하는 단계는 임프린트 장치 내의 구성요소의 면을 따른 평면성의 편차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성의 편차는 처킹 영역의 주면, 기판(100)의 주면(212), 몰드(120)의 주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따른 편평도로서 측정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편평도는 기판(100)이 기판 척(114)의 처킹 영역 위에 있을 때 기판의 주면(212)을 따라 측정된다. 편평도는 전체 또는 거의 전체 기판(100)(예를 들어, 모든 임프린트 필드), 단일 임프린트 필드, 임프린트 필드의 선택된 조합(예를 들어, 특정 임프린트 필드 및 바로 인접하는 임프린트 필드들) 등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높이가 낮은 영역에 대해서는, 높은 면 밀도의 성형성 재료가 분배될 것이고, 높이가 높은 영역에 대해서는 낮은 면 밀도의 성형성 재료가 분배될 것이다. 면 밀도의 차의 원인은 본 명세서에서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다른 왜곡은 배율 또는 직교성 왜곡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기판(100)의 미리 형성된 패턴은 템플레이트(118)의 몰드에 비해 과도하게 작거나 과도하게 클 수 있다. 이러한 배율 왜곡은 기판(100)의 미리 형성된 패턴의 외측 치수를 몰드의 외측 치수와 비교함으로써 정량화될 수 있다. 미리 형성된 패턴이 템플레이트(118)의 몰드에 대해 과도하게 작은 경우, 몰드가 오목한 면을 갖도록 하기 위해 주변부에 비해 임프린트 필드의 중심 부근에 높은 밀도의 성형성 재료가 분배될 수 있고, 이는 성형성 재료 내의 프린트될 필드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미리 형성된 패턴이 템플레이트(118)의 몰드에 대해 과도하게 큰 경우, 몰드가 볼록한 면을 갖도록 하기 위해 중심에 비해 임프린트 필드의 주변부 부근에 높은 밀도의 성형성 재료가 분배될 수 있고, 이는 성형성 재료 내의 프린트될 필드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사행 및 사다리꼴 왜곡 같은 직교성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서 유사한 접근법이 취해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블록 526에서 성형성 재료를 위한 분배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몰드(120)의 패턴, 시스템 내의 왜곡, 및 잠재적인 다른 정보에 관한 정보가 메모리(156), 메트롤로지 툴(예를 들어, 간섭계, 프로필로미터 등), 외부 소스(예를 들어, GDS 파일이 예시되지 않은 외부 메모리에 있음), 노출 동안의 상태 정보(노출 동안의 온도, 습도, 에너지원, 면 에너지 밀도 등), 또는 성형성 재료를 위한 패턴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적합한 정보로부터 처리기(154)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몰드(120)의 패턴에 관한 정보는 왜곡에 비해 분배 패턴에 더 크게 영향을 줄 것이다. 그러나, 왜곡은 특히 잔류층이 형성되는 경우 여전히 분배 패턴에 크게 영향을 준다. 일 영역에 대한 분배 패턴의 면 밀도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에 대응하는 면 밀도(일 영역에 대응하는 몰드(120)의 특징에 따름)와 그 영역의 편평도에 대응하는 면 밀도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블록 528에서 분배 패턴에 따라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패턴이 결정된 후에, 처리기(154)는 주면을 따라 상이한 영역에서 원하는 면 밀도를 달성하도록 기판(100)의 주면 상에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기 위해서 유체 분배 시스템(132)에 명령어 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블록 542에서 템플레이트(118)로 성형성 재료를 임프린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몰드(120)에 돌출부가 있고 잔류층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의 대상물(600)(처킹 영역과 기판(100)의 조합)의 일부의 예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7은 몰드(120)의 오목부 또는 몰드(120)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성형성 재료(700)의 돌출부를 예시하지 않지만, 이러한 오목부-돌출부 조합이 존재할 수 있다. 기판의 위치(622 및 642)는 템플레이트의 대응하는 위치(722 및 742)를 갖는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선(762)이 성형성 재료(700)의 두께를 양분하여, 성형성 재료는 선(762)에 대해 미러 이미지를 갖는다. 이 미러 이미지는 3차원이다. 즉, 도 7은 임프린트의 단면을 도시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은 몰드 및 기판의 형상은 국소적인 편평도에 따라 임프린트 영역을 가로질러 변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성형성 재료(700)에 대한 미러 이미지는 기판(100)의 이미 존재하는 패턴화된 층에 대한 성형성 재료(700)로 성형되는 패턴의 중첩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노출면(612)을 따라 왜곡의 형상을 감소 또는 상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비균일성의 중요성은 본 명세서에서 이후에 더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방법은 도 5의 블록 544에서 폴리머층을 형성하기 위해 성형성 재료를 에너지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성형성 재료의 조성은 에너지원(138)으로부터의 에너지(140)에 노출될 때 폴리머층을 형성하도록 교차결합 또는 중합하도록 선택된다. 실시예에서, 에너지원(138)은 방사선을 방출하고 성형성 재료는 방사선에 응답하는 활성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방사선은 자외선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x선 또는 가시광 같은 상이한 방사선에 응답하는 상이한 조성의 성형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층의 형상은 몰드(120)와 접촉하고 있을 때 성형성 재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방법은 도 5의 블록 546에서 폴리머층으로부터 템플레이트(118)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를 위한 많은 상이한 기술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통상의 기술자는 특정 용례에 대한 필요 또는 요망을 충족하는 특정 분리 기술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이점은 임프린트된 층과 기판(100) 내의 하부 패턴화된 층 사이의 향상된 중첩이다. 제조 기술은 기판 보유지지기(114), 기판(100) 또는 양자 모두의 처킹 영역에 대해 달성될 수 있는 편평도를 제한할 수 있다. 결과는 기판(100)의 평면내 왜곡을 초래할 수 있는 평면밖 비편평도일 수 있다. 본 발명 전에, 나노임프린트 기술은, 잔류층이 폴리머층 내의 돌출부의 과도하게 많은 두께(높이)를 제거하지 않으면서 더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잔류층이 가능한 얇고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실행되었다. 노출면(612)이 평면형이 아닌 경우, 균일하고 얇은 잔류층은 비평면 노출면(612)이 기판(100) 상의 것과 자국이 반대인 템플레이트(118)의 평면내 왜곡을 유발하기 때문에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2개의 평면내 왜곡 사이의 차이인 결과적인 중첩은 따라서 템플레이트(118) 및 기판, 또는 양자 모두의 처킹 영역의 편평도의 함수이다.
종래의 교시와 대조적으로, 상기 방법은 노출면(612)을 따른 평면내 왜곡의 영향을 상쇄하는 것을 돕는 상보적인 평면밖 왜곡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노출면(612)의 평면성의 편차로 인한 중첩 에러가 감소 또는 실질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패턴화된 폴리머층은 하부 패턴화된 층 중 하나 이상에 더 정확하게 정렬된다.
기판(100)이 반도체 웨이퍼이고 폴리머층이 패턴을 갖는 실시예에서, 잔류층 두께는 15 nm의 공칭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돌출부는 45 nm 내지 60 nm의 범위일 수 있다. 잔류층 두께는 그 평균 두께의 10% 내지 90% 또는 5 nm 내지 95 nm일 수 있다. 종래, 잔류층은 그 평균 두께의 10% 내지 30% 또는 5 nm 내지 30 nm의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공정은 잔류층 두께의 비균일성의 상당한 증가를 가져올 수 있고, 이는 통상적인 개념과 대조적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잔류층의 증가된 비균일성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는 성형성 재료(700)가 노출되고 몰드(120)가 제공된 후의 기판(100) 및 폴리머층(800)의 일부의 단면도의 예시를 포함한다. 도 8에서, 폴리머층(800)은 돌출부(822 및 824) 및 돌출부(822 및 824)를 둘러싸는 영역의 잔류층(842)을 포함한다. 임프린트된 폴리머층(800)이 마스크로서 사용될 수 있기 전에, 잔류층(842)은 제거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잔류층(842)은 일부 왜곡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왜곡의 정도는 그리 크지 않다. 따라서, 잔류층(842)은 과도하게 많은 돌출부(822 및 824)의 제거 없이 제거될 수 있다. 폴리머층은 유기 화합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O2, O3, N2O 등의 산소 포함 기체로 제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잔류층(842)은 돌출부(822 및 824)의 측방향 치수를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이방성 에칭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에칭은 반응성 이온 에칭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에칭은 종점 검출(기판(100)이 노출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함)을 이용하는 시간설정(timed) 에칭 또는 종점 검출을 이용하는 시간설정 에칭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도 9는 잔류층(842)이 제거된 후의 돌출부(922 및 924)의 예시를 포함한다. 돌출부(922 및 924)는 돌출부(922 및 924)가 둥근 상위 코너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돌출부(822 및 82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잔류층의 두께가 과도하게 많이 변하는 실시예에서, 공정은 동일한 마스킹 패턴을 달성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성형성 재료(700)는 도 8 및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역 이미지 패턴을 갖는 몰드로 임프린트된다. 도 10은 도 11 내지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마스킹 패턴을 달성하기 위한 공정 흐름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도 10의 블록 1002에서 역 이미지의 원하는 마스킹 패턴을 갖는 임프린트된 폴리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1은 기판(100) 및 기판(100) 위의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을 포함하는 작업물의 일부의 단면도를 포함한다.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은 도 5의 공정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왜곡의 정도는 도 8의 폴리머층(800)에 비해 상당히 크다.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은 잔류층(842)의 일부가 도 8에 보여지는 돌출부(1122, 1124, 및 1126) 및 돌출부(822 및 824)가 도 8에 보여지는 도 11의 오목부(1142 및 1144)를 갖는다. 잔류층의 부분(1143 및 1145)은 각각 오목부(1142 및 1144)의 저부를 따라 놓인다. 잔류층, 특히 부분(1145)은 두께가 상당히 더 비균일하다. 이러한 비균일한 두께가 도 8의 잔류층(842)에 형성된 경우, 잔류층(842)이 제거될 때 과도하게 많은 돌출부(822 및 824)가 제거될 수 있다. 결과적인 마스킹 층은 후속 에칭 동작을 견디는데 불충분한 높이(두께)를 가질 수 있는 돌출부(822 및 824)를 가질 것이다. 역 이미지 공정은 잔류층이 더 비균일한 것을 허용하고 여전히 충분히 강겅한 마스킹 패턴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도 10의 블록 1022에서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의 오목부 내에 에칭 저항층(120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서, 에칭 저항층(1200)은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 위에 형성되고 오목부(1142 및 1144)(도 11) 내에 그리고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의 부분(1143 및 1145) 위에 형성되는 부분(1242 및 1244)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 모두는 돌출부(1122 및 1124)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칭 저항층(1200)은 돌출부(1122, 1124 및 1126) 위에 거의 형성되지 않거나 전혀 형성되지 않는다.
에칭 저항층(1200)의 조성은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이 에칭 저항층(1200)에 비해 선택적으로 에칭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은 유기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에칭 저항층(1200)은 실리콘 함유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은 카본 백본을 갖는 유기 폴리머일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에칭 저항층(1200)은 폴리실록산 같은 실리콘 백본을 갖는 폴리머일 수 잇다.
상기 방법은 도 10의 블록 1042에서 돌출부(1122, 1124, 및 1126)를 덮는 에칭 저항층(1200)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 에칭 저항층(1200)의 일부는 에칭 저항층(1200)의 재료를 에칭할 수 있는 에칭제로 에칭 저항층(1200)을 에칭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에칭 저항층(1200)이 실리콘을 포함하는 경우, 플루오린 기반 에칭제가 사용될 수 있다. 에칭은 등방성 또는 이방성 에칭일 수 있다. 건식 에칭에 대해, CF4, CHF3, SF6 등과 같은 기체가 사용될 수 있다. 습식 에칭에 대해, 완충 HF 용액(NH4F를 포함)이 사용될 수 있다. 에칭은 종점 검출(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이 노출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함)을 이용한 시간설정 에칭 또는 종점 검출을 이용한 시간설정 에칭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도 10의 블록 1062에서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의 돌출부(1122, 1124 및 1126)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의 돌출부(1122, 1124, 및 1126)는 잔류층(842)을 제거하는 단계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기술 및 기체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마스킹 부재(1442)는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의 부분(1143) 및 에칭 저항층(1200)의 부분(1242)을 포함하며, 마스킹 부재(1444)는 임프린트된 폴리머층(1100)의 부분(1145) 및 에칭 저항층(1200)의 부분(1244)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4를 비교하면, 마스킹 부재의 조성은 상이할 수 있지만, 마스킹 패턴은 동일하다. 따라서, 결과적인 잔류층이 충분히 균일한 두께를 갖지 않는 경우에도, 양호한 중첩 특징을 갖는 마스킹 패턴이 달성될 수 있다.
여기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는 기판 보유지지기(114), 기판(100), 템플레이트(118)의 몰드(120),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처킹 영역이 시스템 내에서 상당한 왜곡을 갖는 경우에도 더 양호한 중첩을 허용한다. 평면성의 편차에 대해, 처킹 영역, 처킹 영역 상에 있을 때의 기판(100)의 노출면, 또는 몰드(120) 중 임의의 것의 편평도가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왜곡에 대해서, 왜곡이 마찬가지로 정량화될 수 있다. 성형성 재료를 위한 분배 패턴은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으며, 분배 패턴이 왜곡에 대해 조정되지 않는다면 다른 결과가 초래될 것이다. 형성되는 최소 치수가 감소함에 따라, 필드와 게이트 레벨 사이, 게이트와 접촉 레벨 사이 등과 같은 중요한 층 사이의 적합한 정렬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한 이러한 조정이 필요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배 패턴의 조정은 패턴화 순서의 모두가 아닌 일부에 대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 웰 영역 또는 p 웰 영역 같은 웰 영역에 대한 정렬 공차 및 결합 패드는 충분히 크며 필드, 게이트 및 접촉 레벨에 비해 큰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많은 상이한 양태 및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들 양태 및 실시예의 일부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이 명세서를 읽은 후에, 통상의 기술자는 이들 양태 및 실시예가 단지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반적인 설명 또는 예로 위에서 설명된 활동의 일부가 요구되고, 특정 활동의 일부는 요구되지 않을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활동이 설명된 것 이외에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활동이 나열된 순서는 반드시 그들이 실행되는 순서는 아니다.
이점, 다른 장점 및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결책이 발생되게 하거나 더 두드러지게 할 수 있는 이점, 장점, 문제에 대한 해결책 및 임의의 특징(들)이 청구항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의 중요한, 요구되는, 또는 본질적인 특징으로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의 명세 및 예시는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의 일반적인 이해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명세 및 예시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구조 또는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의 요소 및 특징 모두의 철저한 그리고 포괄적인 설명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별개의 실시예가 조합되어 또는 단일 실시예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반대로 간결성을 위해 단일 실시예의 상황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특징이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하위조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범위로 기술된 값에 대한 참조는 그 범위 내의 각각의 및 모든 값을 포함한다. 많은 다른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만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구조적 치환, 논리적 치환, 또는 다른 변경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사용되고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임프린트 장치이며,
    기판을 위한 기판 지지면을 갖는 처킹 영역(chucking region)을 구비하는 기판 보유지지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임프린트면을 갖는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를 위한 템플레이트 보유지지기;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판,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기판 보유지지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왜곡에 기초하여 특정 영역에 소정량의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처리기를 포함하는, 임프린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은 상기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의 주면, 상기 임프린트 영역 내의 처킹 영역의 기판 지지면, 상기 임프린트 영역 내의 상기 기판의 주면을 따른 평면성의 편차, 상기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또는 기판의 배율 또는 직교성 왜곡을 포함하는, 임프린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왜곡에 기초하여 상기 성형성 재료에 대한 분배 패턴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임프린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성 재료가,
    상기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가 상기 제1 영역 내의 성형성 재료에 접촉할 때 상기 왜곡이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상기 기판의 주면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1 영역 내의 제1 면 밀도; 및
    상기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가 상기 제2 영역 내의 상기 성형성 재료에 접촉할 때 상기 왜곡이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상기 기판의 주면이 서로 가까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2 영역 내의 제2 면 밀도
    로 분배되도록 실행되며,
    상기 제1 면 밀도는 상기 제2 면 밀도보다 큰, 임프린트 장치.
  5. 방법이며,
    주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임프린트면을 갖는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기판 지지면을 갖는 처킹 영역을 구비하는 기판 보유지지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처킹 영역 위에, 임프린트 영역 내의 주면을 갖는 상기 기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기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 상기 임프린트 장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의 왜곡을 정량화하는 단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왜곡에 기초하여 상기 기판의 주면 위에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성 재료를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성 재료가,
    상기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가 제1 영역 내의 상기 성형성 재료에 접촉할 때 상기 왜곡이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상기 주면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1 영역 내의 제1 면 밀도; 및
    상기 임프린트 리소그래픽 템플레이트가 제2 영역 내의 상기 성형성 재료에 접촉할 때 상기 왜곡이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및 상기 주면이 서로 가까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제2 영역 내의 제2 면 밀도
    로 분배되도록 실행되며,
    상기 제1 면 밀도는 상기 제2 면 밀도보다 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동일한 돌출부의 상이한 이격된 영역에 대응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성 재료를 중합하고 폴리머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성형성 재료를 자외선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층은 제1 영역 내의 제1 두께 및 제2 영역 내의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보다 두꺼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보다 적어도 5% 두꺼우며 상기 제2 두께보다 최대 200% 두꺼운, 방법.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반도체 웨이퍼인, 방법.
KR1020170059739A 2016-05-23 2017-05-15 임프린트 장치 및 임프린트 시스템 내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임프린트 방법 KR102240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62,130 2016-05-23
US15/162,130 US9993962B2 (en) 2016-05-23 2016-05-23 Method of imprinting to correct for a distortion within an impri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085A true KR20170132085A (ko) 2017-12-01
KR102240078B1 KR102240078B1 (ko) 2021-04-15

Family

ID=6032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739A KR102240078B1 (ko) 2016-05-23 2017-05-15 임프린트 장치 및 임프린트 시스템 내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임프린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93962B2 (ko)
JP (1) JP6924071B2 (ko)
KR (1) KR1022400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3501B2 (en) * 2018-03-28 2020-02-04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use in forming an adaptive layer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20047691A (ja) 2018-09-18 2020-03-26 キオクシア株式会社 摺動阻害箇所抽出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670478B (zh) * 2018-10-11 2019-09-01 奇景光電股份有限公司 用以量測於壓印時的平行度之平行度量測裝置及其方法
JP7451141B2 (ja) 2019-10-30 2024-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プリント装置、インプリント方法、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US11550216B2 (en) 2019-11-25 2023-01-10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curing a shaped film
US11567401B2 (en) * 2019-12-20 2023-01-31 Canon Kabushiki Kaisha Nanofabrication method with correction of distortion within an imprint system
US11262652B2 (en) * 2020-06-25 2022-03-01 Canon Kabushiki Kaisha Nanofabrication method with correction of distortion within an imprint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0098A (ja) * 2006-05-31 2007-12-13 Canon Inc パターン転写方法およびパターン転写装置
JP2011199052A (ja) * 2010-03-19 2011-10-06 Toshiba Corp パターン形成方法、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US20140283698A1 (en) * 2013-03-05 2014-09-25 Ronald Steven Cok Embossing stamp for optically diffuse micro-channel
US20140367875A1 (en) * 2012-02-07 2014-12-18 Canon Kabushiki Kaisha Imprin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US20160075076A1 (en) * 2014-09-12 2016-03-17 Canon Kabushiki Kaisha Imprint apparatus, imprint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3087B1 (en) 1999-10-29 2005-03-29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High precision orientation alignment and gap control stages for imprint lithography processes
US7396475B2 (en) * 2003-04-25 2008-07-08 Molecular Imprints, Inc. Method of forming stepped structures employing imprint lithography
US20050270516A1 (en) 2004-06-03 2005-12-08 Molecular Imprints, Inc. System for magnification and distortion correction during nano-scale manufacturing
US20070228593A1 (en) * 2006-04-03 2007-10-04 Molecular Imprints, Inc. Residual Layer Thickness Measurement and Correction
US7244386B2 (en) * 2004-09-27 2007-07-17 Molecular Imprints, Inc. Method of compensating for a volumetric shrinkage of a material disposed upon a substrate to form a substantially planar structure therefrom
JP3958344B2 (ja) * 2005-06-07 2007-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プリント装置、インプリント方法及びチップの製造方法
WO2008060266A2 (en) * 2005-10-03 2008-05-2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Nanotemplate arbitrary-imprint lithography
US7906058B2 (en) * 2005-12-01 2011-03-15 Molecular Imprints, Inc. Bifurcated contact printing technique
US8119052B2 (en) 2007-11-02 2012-02-21 Molecular Imprints, Inc. Drop pattern generation for imprint lithography
US20090148619A1 (en) 2007-12-05 2009-06-11 Molecular Imprints, Inc. Controlling Thickness of Residual Layer
US20090212012A1 (en) * 2008-02-27 2009-08-27 Molecular Imprints, Inc. Critical dimension control during template formation
JP5349588B2 (ja) * 2008-06-09 2013-11-20 ボード・オブ・リージエンツ,ザ・ユニバーシテイ・オブ・テキサス・システム 適応ナノトポグラフィ・スカルプティング
US8586126B2 (en) 2008-10-21 2013-11-19 Molecular Imprints, Inc. Robust optimization to generate drop patterns in imprint lithography which are tolerant of variations in drop volume and drop placement
US8480933B2 (en) 2008-10-22 2013-07-09 Molecular Imprints, Inc. Fluid dispense device calibration
US8147910B2 (en) * 2009-02-24 2012-04-03 Objet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printing
TW201120431A (en) * 2009-12-04 2011-06-16 Hong Hocheng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niformity and residual thickness of nano-transfer printing process
JP5395769B2 (ja) * 2010-09-13 2014-01-22 株式会社東芝 テンプレートチャック、インプリント装置、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12069701A (ja) 2010-09-22 2012-04-05 Toshiba Corp インプリント方法、半導体集積回路製造方法およびドロップレシピ作成方法
JP5813603B2 (ja) * 2012-09-04 2015-11-17 株式会社東芝 インプリント装置およびインプリント方法
WO2015006695A1 (en) 2013-07-12 2015-01-15 Canon Nanotechnologies, Inc. Drop pattern generation for imprint lithography with directionally-patterned templates
JP6441162B2 (ja) * 2015-04-28 2018-12-19 東芝メモリ株式会社 テンプレート基板、テンプレート基板作製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0098A (ja) * 2006-05-31 2007-12-13 Canon Inc パターン転写方法およびパターン転写装置
JP2011199052A (ja) * 2010-03-19 2011-10-06 Toshiba Corp パターン形成方法、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US8420422B2 (en) * 2010-03-19 2013-04-16 Kabushiki Kaisha Toshiba Pattern forming method,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apparatus
US20140367875A1 (en) * 2012-02-07 2014-12-18 Canon Kabushiki Kaisha Imprin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US20140283698A1 (en) * 2013-03-05 2014-09-25 Ronald Steven Cok Embossing stamp for optically diffuse micro-channel
US20160075076A1 (en) * 2014-09-12 2016-03-17 Canon Kabushiki Kaisha Imprint apparatus, imprint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24071B2 (ja) 2021-08-25
US9993962B2 (en) 2018-06-12
KR102240078B1 (ko) 2021-04-15
JP2017212439A (ja) 2017-11-30
US20170334126A1 (en)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078B1 (ko) 임프린트 장치 및 임프린트 시스템 내의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임프린트 방법
KR101454063B1 (ko) 리소그래피 장치 및 물품의 제조 방법
US7854867B2 (en) Method for detecting a particle in a nanoimprint lithography system
US7802978B2 (en) Imprinting of partial fields at the edge of the wafer
JP5306989B2 (ja) 複数のフィールド及びアライメント・マークを有する基板を同時にパターニングする方法
KR102096690B1 (ko) 부분 필드를 임프린트 하는 임프린트 장치 및 방법
US20070228593A1 (en) Residual Layer Thickness Measurement and Correction
EP2001646A2 (en) Imprint lithography system
US20140070455A1 (en) Mold, imprint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cle
US10048581B2 (en) Imprinting method, imprinting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20110046438A (ko)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를 위한 내부 캐비티 시스템
JP2013507770A (ja) 大面積線形アレイのナノインプリンティング
KR102489776B1 (ko) 임프린트 장치, 평탄화층 형성 장치, 형성 장치, 제어 방법 및, 물품 제조 방법
TW201830145A (zh) 模板複製
KR102354619B1 (ko)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에서의 템플릿 변형의 실시간 보정
TWI711576B (zh) 用於調整模板位置的系統及方法
JP2018101779A (ja) テンプレートの形状を調整する方法、システム、インプリントリソグラフィ方法
TWI724383B (zh) 供使用於形成適應層的裝置、形成適應層的方法及在第一基板上形成層的方法
JP2012227488A (ja) インプリント装置、インプリント方法及び物品の製造方法
US111319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pattern on imprin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