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748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748A
KR20170129748A KR1020177026183A KR20177026183A KR20170129748A KR 20170129748 A KR20170129748 A KR 20170129748A KR 1020177026183 A KR1020177026183 A KR 1020177026183A KR 20177026183 A KR20177026183 A KR 20177026183A KR 20170129748 A KR20170129748 A KR 20170129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cessing
communic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nection
communic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노리 나카야마
유스케 후지모토
마사히로 시미즈
마사히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2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2015년 3월 24일자로 출원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JP 2015-060990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및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이 가능한 일부 장치는,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통신 방식 중 다수는 보안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페어링이라 칭하는 기기간 인증을 달성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유저가, 액세스가 허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다른 기기에 액세스를 가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의 예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을 포함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JP 2005-303947 A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기기 간에 적외선 통신 채널을 확립하고, 각 장치가 확립된 적외선 통신 채널을 통해 그 자체 기기에 할당된 근거리 무선 통신 어드레스를 다른 상대방에게 송신할 수 있게 한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접속 요구에 대한 통지를 수신한 하나의 기기가, 적외선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된 근거리 무선 통신 어드레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 접속 요구에 대한 통지를 송신한 다른 기기에 대응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어드레스를 비교한다. 그 후, 이러한 어드레스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이 확립된다.
하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사용되는 경우에 통신 채널의 차폐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더 크다. 따라서,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통신 채널을 확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신규하고 진보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술한 분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고, 상기의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의 효과에 대신하여, 본 명세서에 도입하고자 하는 임의의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기대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도 1]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응용예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제어 대상 장치의 개략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기되고,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 나타낸 항목의 순서대로 설명된다.
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
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3.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
4.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
5.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제어 대상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예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한 후에,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절차를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될 것이다.
(1)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의 개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 및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이 가능한 일부 장치는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은, 즉 스마트폰(10)과 카메라(20)가, IEEE 802.11 표준을 따르는 통신(이하, “Wi-Fi”라고 칭함)과 IEEE 802.15.1 표준을 따르는 통신(“Bluetooth”(등록 상표)라고도 칭함, 이하, “BT”라고 칭함)인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은,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Wi-Fi 및 BT의 2개의 통신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의 예는, Wi-Fi, B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과 같은 광 무선 통신, 음성을 이용한 음성 통신,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임의의 무선 통신, 및 LAN(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유선 통신 중 2 이상의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는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대상 장치가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이 가능한지에 관계없이, 장치는 통신 대상 장치와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 것이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이러한 기술이 채용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그 자체 장치의 통신 어드레스와,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와, ESS-ID(Extended Service Set Identifier)와 같은 인증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페어링하는 데 이용되는 데이터를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외부 장치가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과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제어한다(제어 처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의 예는 도 1에 나타낸 Wi-Fi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의 예는 도 1에 나타낸 BT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과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의 조합은 Wi-Fi 및 BT의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다른 통신 방식이 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 방식의 예는 무지향성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한다. 제1 통신 방식으로서, Wi-Fi 외에 3G와 같은 휴대 전화가 사용될 수 있거나, (제2 통신 방식으로서 BT 외의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BT도 사용될 수 있다. 무지향성 무선 통신 방식이란, 기기의 실제 안테나 특성이 반드시 무지향성일 필요는 없고, 전파되는 전자파가 무선 통신 방식에서 사용되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무지향성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NFC와 같은 10cm의 근거리를 통해 동작하도록 의도된 통신(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적외선과 같이 날카로운 지향성을 갖도록 의도된 통신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Wi-Fi이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BT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Wi-Fi와 같이, 장치간 거리가 1m 이상인 경우에도 통신이 확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은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가능한 상태의 유지는,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채용한 다양한 처리가 구현될 수 있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와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했을 경우에,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통신 관련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 통신 관련 정보는,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가능한지를 나타내고, 제어 정보는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정보의 취득”이라는 용어는, 능동적으로 제어 대상 장치나 그 이외의 외부 장치로 송신되는 정보 송신 명령을 포함하는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된 정보의 취득, 제어 대상 장치나 다른 기기로부터 수동적으로 수신된 정보의 취득, 데이터 입력으로서의 수신된 정보의 수용, 및 기록 매체 및 다른 머신 판독가능 기기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을 포함하는 처리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요구 및 정보 송신 또는 수신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되는 통신 기기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기기를 통해 행해진다. 이하,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통신 관련 정보를 “통신 관련 정보”라고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통신 관련 정보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송신 명령을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통해 제어 대상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정보 처리 장치가 통신 관련 정보와 제어 정보를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은, 각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에 제공되는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기기를 통해 행해지거나, 각 장치에 접속되어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외부 통신 기기를 통해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의 예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을 예로 들면, 스마트폰(10)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인 경우, 카메라(20)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장치일 수 있으며, 제어 대상 장치로 간주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 카메라(20)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인 경우, 스마트폰(10)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장치일 수 있고, 제어 대상 장치로 간주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관련 정보의 예는, 제2 통신 방식이 지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BT인 경우,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되고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처리 가능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 포함될 수 있는 “getBluetoothPairing” 또는 “actBluetoothPairing”을 포함하는 정보는, 제2 통신 방식이 지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의 일례에 대응한다.
정보 “getBluetoothPairingInfo”는, “제어 대상 장치에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접속의 확립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요구하는 데 사용되는 접속 확립 완료 확인 요구를 제어 대상 장치가 처리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에 대응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관련 정보의 예는, 상술한 정보 “getBluetoothPairingInfo”와 같은 “제어 대상 장치에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접속의 확립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요구하는 데 사용되는 접속 확립 완료 확인 요구를 제어 대상 장치가 처리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정보 “actBluetoothPairing”은, 제어 대상 장치가 (후술하는) 접속 요구를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에 의해 처리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에 대응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관련 정보의 예는, 상술한 “actBluetoothPairing”과 같은, 제어 대상 장치가 (후술하는) 접속 요구를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에 의해 처리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관련 정보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관련 정보는, 제2 통신 방식이 지원되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관련 정보는, 제2 통신 방식이 지원되는지를 판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면, 알려진 유형의 기기 ID나 제품의 모델명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정보의 예는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처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어 대상 장치가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20)인 경우,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되고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처리 가능한 API를 나타내는 데이터(예를 들면, 후술 하는 “startLiveView” 또는 “getShootMode”)가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처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일례에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정보는,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처리를 판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면, 알려진 유형의 고유 기기 ID나 제품의 모델명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해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제어 대상 장치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제2 통신 방식이 지원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통신 관련 정보의 일례)를 취득했을 경우에,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한다.
제어 대상 장치는,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하는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것은,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하는 장치를 “통신 대상 장치”로 칭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대상 장치의 주전원이 오프(OFF)인 것으로 판정되거나, 어떠한 이유에 의해 비지(busy) 상태인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와 같이, 통신 대상 장치가 소정의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통신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요구의 예는, BT와 같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요구는,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통신 대상(통신 대상 장치)에 관한 데이터(예를 들면,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대상의 예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제어 대상 장치의 외부 장치인 “다른 제어 대상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요구가 통신 대상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요구는,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요구” 또는 “제어 대상 장치(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와는 상이한 다른 제어 대상 장치(제2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요구”에 대응한다.
제어 대상 장치는,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접속 요구에 따라 페어링 처리 및 다른 유사 처리를 포함하는,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개시한다.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 대상이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 대상 장치는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반드시 행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제어 대상 장치와의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대상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인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실현된다.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대상이 다른 제어 대상 장치인 경우에는, 제어 대상 장치(제1 제어 대상 장치)와 해당 제어 대상 장치와는 다른 제어 대상 장치(제2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실현된다.
따라서, 접속 요구의 송신은, 제어 대상 장치에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제어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장치로,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처리를 제어 대상 장치가 행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되는 처리 실행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실행 요구의 예는, 제어 정보가 가리키는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처리를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처리 명령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확립된 통신에 의해 처리 실행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대상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처리 실행 요구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하는 통신 대상과 제어 대상 장치 사이에 확립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에 의해 송신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은 각 장치에 제공되는 제2 통신 방식을 위한 통신 기기 또는 각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제2 통신 방식을 위한 외부 통신 기기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술한 제어 처리를 행함으로써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제어 대상 장치가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을 확립하며 통신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가능하게 된 때, 상술한 제어 프로세스는 제어 대상 장치로 하여금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대상 장치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행해진 제어 처리는,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없는 외부 장치가 상술한 바와 같은 페어링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되기 전에, 제어 대상 장치와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므로, 처리 실행 요구를 제어 대상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제어 대상 장치로 하여금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제어 대상 장치에서 확립되기 전에, 실행 가능한 처리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와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를 병렬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제어 대상 장치에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확립된 후에도, 제어 대상 장치로 처리 실행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 또는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에 의해 통신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제어 대상 장치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확립된 후에도, 제어 대상 장치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에서의 통신을 제어한다(제어 처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와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했을 경우에, 통신 관련 정보와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장치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처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처리 실행 요구를 제어 대상 장치로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 대상 장치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수행되는 처리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제어 대상 장치로 접속 요구를 송신하지 않는다.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 대상 장치 각각이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위한 페어링에 관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한다.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 상태와 통신 대상 장치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기초하여 접속 요구를 선택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가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 대상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기초하여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대상 장치와 선택적으로 통신하게 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도 1에 나타내는 스마트폰(10)이며, 제어 대상 장치가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20)가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 각각이 “Wi-Fi” 또는 “BT”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도 12에 나타내는 라이브-뷰 원격 컨트톨러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의 각각은 예를 들면, BT로서 “Bluetooth(등록상표) 저 에너지(low energy)”를 채용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하는 장치, 즉, 통신 대상 장치이다.
Wi-Fi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 대량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광대역폭
- 표준에 따라 간섭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갖고 2. 4GHz 대역을 채용하는 국가 또는 지역에서 혼선을 회피하는 5GHz의 사용
BLE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 전력 절약
- 재밍(jamming)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가능하게 하는 주파수 호핑(hopping)을 사용하는 통신
스마트폰(10)이 조작되어 카메라(20)을 동작시키는 경우, 즉, 스마트폰(10)이 카메라(20)을 조작하기 위한 원격 컨트롤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스마트폰(10)이 카메라(20)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 컨트롤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 스마트폰(10)은 예를 들면 API를 이용하여 카메라(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10)은 제어 정보(데이터)를 카메라(20)로 송신하여 카메라(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정보는 촬상 명령, 스루-더-렌즈(through-the-lens) 화상(소위 라이브뷰)을 스마트폰(10)에 송신시키는 명령, 카메라(20)의 설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스마트폰(10)으로 송신시키는 명령, 카메라(20)의 설정을 변경시키는 명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의 조작은 카메라(20)의 동작을 제어 가능하게 하여, 카메라(20)가 적용될 수 있는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일례로서, 카메라(20)는 스포츠(예를 들면, 자전거, 런닝, 스노보드, 스키, 드라이브, 서핑 및 다이빙) 중에 헬멧과 다른 도구에 장착되어 스포츠 중에 실제감 있는 장면을 핸즈-프리로 촬영할 수 있도록, 소형화, 경량화, 및 강고화(예를 들면, 방수, 방진, 내충격 및 심지어 내동결(freeze-proof))된 촬상 장치일 수 있다. 상술한 스포츠에 적용 가능한 카메라(20)는 카메라의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조작 기기나 표시 기기가 간소화 또는 배제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카메라(20)의 촬상 제어나 설정 변경을 포함하는 카메라(20)의 조작은 원격 컨트롤러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마트폰(10)과 같은 외부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상정된다. 카메라(20)는 하우징 자체에 장착되거나 도시하지 않은 외부 부착물을 이용하여 인간과 차량과 같은 이동체, 또는 정보 처리 단말과 같은 객체에 고정될 수 있는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20)는 유저의 신체에 장착될 수 있는 웨어러블 카메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0)의 스루-더-렌즈 화상(소위 라이브뷰)가 스마트폰(1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데이터량의 관점에서, 더 짧은 통신 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BLE보다 Wi-Fi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예를 들면, 카메라(20)가 주전원을 오프 상태(즉, 대기 상태)로부터 스마트폰(10)으로부터의 통신에 의해 온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의도된 경우, 전력 절약의 관점에서, Wi-Fi보다 BLE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스마트폰(10)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통신 대상 장치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 사이에서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 방식을 판정한다. 이러한 판정은 카메라(20)의 상태(제어 대상 장치 상태의 일례)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또한, 카메라(20)와 스마트폰(10) 상태, 즉, 제어 대상 장치 상태와 통신 대상 장치의 상태의 조합에 기초하여, 통신 방식을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 상태와 통신 대상 장치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 방식과 연관시킴으로써 형성된 테이블(또는 데이터베이스)을 참조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상태와 통신 대상 장치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통신 방식을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어 처리로서 예를 들면 상술한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과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제어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 대상 장치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어 처리로서 예를 들면 상술한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페어링에 이용되는 데이터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가능하지 않는 외부 장치에 의해 취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 처리로서 행해지는 상술한 처리는, 불필요한 통신을 확립하는 처리나 그 통신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저감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제어 대상 장치에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확립되기 전에, 또는 제어 대상 장치에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확립된 후에, 제어 대상 장치로 처리 실행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대상 장치는,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처리 실행 요구에 기초하여 실행 가능한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제어 대상 장치를 조작하는 데 있어서 유저의 편리성의 향상시킨다.
제어 처리로서 예를 들면 상술한 처리를 행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후술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 유저는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 사이에 페어링을 행할 수 있어, 페어링을 위한 동작을 1회 행함으로써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의존하지 않고, 2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 기존의 NFC Bluetooth(등록 상표)와 같은 기존의 NFC Handover가 이용되는 경우보다, 더욱 안전한 페어링 메커니즘이 실현될 수 있다.
-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어 대상 장치 외의 다른 장치에 의해 장치들 간의 페어링이 제어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가 적용 가능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어 대상 장치가 식별 정보를 이용한 매칭 처리와 같은 식별 정보를 이용한 인증과 관련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식별 정보의 예는, 예를 들면, 장치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데이터)와,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 및 ESS-ID(Extended Service Set Identifier)와 같은 인증에 이용되는 데이터인, 장치를 특정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의 A 및 B 부분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에 의해 실현되는 통신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A 및 B 부분은, 스마트폰(10)과 카메라(20)와의 사이에 BT를 통한 통신이 확립되는 경우에 실현되는 통신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스마트폰(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고, 또한 제어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며, 카메라(20)는 통신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도 2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립되어 있는 Wi-Fi 접속(제1 통신 방식의 일례)을 사용하여, 스마트폰(10)이 카메라(20)로 BT를 사용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스마트폰(10)으로부터 카메라(20)로 송신되는 접속 요구는 스마트폰(10)의 어드레스 정보(식별 정보의 일례)를 포함한다. 스마트폰(10)으로부터 카메라(20)로 송신되는 접속 요구는, 예를 들면, Web API라고 칭하는 커맨드 발행 프로토콜을 채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스마트폰(10)으로부터 카메라(20)로의 접속 요구의 송신은 Web API의 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스마트폰(10)과 카메라(20) 사이의 Wi-Fi에 의한 통신은, BT(제2 통신 방식의 일례)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도 2의 B 부분에 나타내는 접속 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게 한다. 그 후, 카메라(20)가 BT를 통해 페어링을 받아들인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스마트폰(10)이 BT(제2 통신 방식의 일례)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면, 유저가 BT를 통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을 행할 필요 없이 자동적으로 페어링 요구를 송신한다.
카메라(20)는, 페어링 요구를 취득했을 경우, 스마트폰(10)의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한 매칭 처리를 행한다. 페어링 요구에 포함되는 어드레스가, 스마트폰(10)의 어드레스 정보가 가리키는 어드레스와 매칭되는 경우, 카메라(20)는 페어링을 행한다.
따라서, 도 2의 A 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20)가 스마트폰(10)으로부터 페어링 요구를 취득하고, 페어링 요구에 포함되는 어드레스가 스마트폰(10)의 어드레스 정보가 가리키는 어드레스와 매칭되면, 스마트폰(10)과 카메라(20)와의 사이에서 BT에 의한 페어링이 행해진다.
도 2의 B 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폰(10)이 페어링 요구를 송신하기 전에, 스마트폰(10)이외의 다른 스마트폰(30)(스마트폰(10) 이외의 다른 장치의 일례)으로부터 페어링 요구가 카메라(20)로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10)의 어드레스 정보가 가리키는 어드레스는 스마트폰(30)의 어드레스와는 다르므로, 카메라(20)는 스마트폰(30)과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다. 도 2의 B 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20)가 스마트폰(10)으로부터 페어링 요구를 취득하면, 페어링 요구에 포함되는 어드레스가 스마트폰(10)의 어드레스 정보가 가리키는 어드레스와 매칭된다. 따라서, 카메라(20)가 스마트폰(10)과 BT에 의해 페어링을 행한다.
따라서, 제어 대상 장치가 상술한 바와 같은 식별 정보를 이용한 인증과 관련된 처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장치 간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어 대상 장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식별 정보를 이용한 인증과 관련되는 처리가 행해질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악의를 가진 제3자로부터의 허가되지 않은 액세스를 포함하는 공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술한 제어 처리는 편의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는, 상술한 제어 처리를 (임의의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2 이상의 처리로 간주될 수 있다.
(3)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체 처리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의 구체적인 예로서 “접속 요구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요구인 경우에 행해지는 예시적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접속 요구가 제어 대상 장치(제1 제어 대상 장치)와 해당 제어 대상 장치와는 상이한 다른 제어 대상 장치(제2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요구인 경우에 행해지는 예시적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3-1)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1 예: 접속 요구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요구인 경우에 행해지는 예시적인 처리
접속 요구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요구인 경우에 행해지는 예시적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도 1에 나타내는 스마트폰(10)이고, 제어 대상 장치가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20)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스텝 S100 내지 S106, S110 내지 S116에서의 통신 절차가 Wi-Fi를 사용하여 행해지고, 스텝 S118 및 S120에서의 통신 절차가 BT를 사용하여 행해지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마트폰(10)과 카메라(20)와의 사이에 Wi-Fi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 후에, 스마트폰(10)은 기기 발견 커맨드를 확립된 네트워크 내의 기기로 멀티캐스트로 송신한다. 기기 발견 커맨드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갖는 카메라(20)는 응답 커맨드를 스마트폰(10)에 송신한다. 이 절차는, 스마트폰(10)이 통신 상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카메라(20)을 특정할 수 있게 한다. 그 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Web API를 이용하여 카메라(20)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한다(S100 내지 S106).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마트폰(10)과 제어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카메라(20)와의 사이에 Wi-Fi에 의한 통신은, 예를 들면, 유저가 개인 패스워드를 입력하거나, Wi-Fi Protected Setup을 이용하여 확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방식이 Wi-Fi Protected Setup에서 이용될 수 있다(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 제1 통신 방식이 확립되는 경우의 일례).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카메라(20)와의 사이의 NFC에 의한 통신이, Wi-Fi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키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게 하여, Wi-Fi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예를 들면, 카메라(20)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 NFC에 의한 통신을 통해 Wi-Fi 접속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Wi-Fi의 SSID나 패스워드)를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한 정보를 이용해 카메라(20)와 Wi-Fi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통신을 행하여, Wi-Fi에 의한 통신을 확립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카메라(20)와의 사이의 NFC에 의한 통신은, 이들 중 한쪽이 NFC에 의한 통신에 있어서의 리더-라이터(reader-writer)(질문기(interrogator))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고, 다른쪽을 NFC에 의한 통신에 있어서의 응답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카메라(20)와의 사이에서 NFC에 의한 통신을 통해 Wi-Fi에 의한 통신이 확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는, NFC에 의한 통신을 위한 터치 조작(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카메라(20) 중 적어도 하나를 NFC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조작)과 같은 간단한 동작을 단지 행한다. 이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마트폰(10)과 카메라(20)가 BT에 의한 통신을 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카메라(20)와의 사이에 NFC에 의한 통신을 통해 Wi-Fi에 의한 통신이 확립될 수 있는 경우에는, 유저의 편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NFC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NFC 이외의 임의의 근거리 무선 접속 방식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자동적으로 getVersions 또는 getApplicationInfo를 발행한다(S100). 카메라(20)는 getVersions 및 다른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버젼이나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버전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한다(S10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getMethodTypes를 발행할 수 있다(S104). 카메라(20)는 상기 getMethodTypes에 대한 응답으로서 카메라(20)에 의해 처리 가능한 API 정보를 송신한다(S106).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20)에 의해 처리 가능한 API 정보의 예는 카메라(20)에 의해 지원되는 API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3의 스텝 S104에서 송신되는 getMethodTypes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관련 정보를 송신하는 데 이용되는 송신 명령의 일례에 대응한다. 카메라(20)가 BT를 지원하는 경우에는, 스텝 S106에서 취득되는 API 정보는 통신 관련 정보의 일례인 “getBluetoothPairingInfo” 또는 “actBluetoothPairing”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20)가 BT를 지원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S108). 스텝 S108에서 설명된 처리는, 제어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카메라(20)가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지를 판정하는 처리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20)로부터 취득된 API 정보가 “getBluetoothPairingInfo” 또는 “actBluetoothPairing”을 포함하는 경우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20)가 BT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스텝 S108에서 카메라(20)가 BT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20)와 BT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스텝 S108에서, 카메라(20)가 BT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데이터를 카메라(20)로부터 취득한다(S110 및 S11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getBluetoothPairingInfo(BD_ADDR_REMOCON)를 발행하고(S110), 카메라(20)로부터 응답으로서 송신된 BT 페어링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한다(S112). BD_ADDR_REMOCON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Bluetooth(등록상표) Device Address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Bluetooth(등록상표) Device Address를 이하 “BD_ADDR_REMOCON”으로 칭한다. 또한, “BD_ADDR_REMOCON”의 송신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의 송신의 일례에 대응한다. BT 페어링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카메라(20)의 Bluetooth(등록상표) Address(이하, “BD_ADDR_CAM”으로 칭한다)와 발행된 getBluetoothPairingInfo(BD_ADDR_REMOCON)에 포함된 BD_ADDR_REMOCON을 갖는 스마트폰(10)과의 BT 페어링의 실행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BT의 페어링의 실행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의 예는, “Paired”(페어링의 실행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냄) 또는 “Not paired”(페어링의 실행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나타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Web API를 이용해, Wi-Fi에 의한 통신을 통해, BT 페어링 대기 모드로 그 모드를 천이하라는 명령을 송신한다(S114).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actBluetoothPairing(BD_ADDR_REMOCON)을 발행할 수 있고, 카메라(20)를 BT 페어링 대기 모드로 천이시킨다. 카메라(20)가 actBluetoothPairing(BD_ADDR_REMOCON)을 수신하면, 카메라(20)의 BT 상태가 페어링 대기 모드가 되도록 제어되고, 카메라(20)는 BT에서의 페어링에 이용되는 정보를 응답으로서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Wi-Fi에 의한 통신을 통해 카메라(20)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BT 페어링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S116). BT 페어링에 이용되는 데이터는 카메라(20)의 BD_ADDR_CAM을 포함한다. BT 페어링에 이용되는 데이터는 카메라(20)의 BT에 의한 통신에 있어서의 역할과 카메라(20)의 모델명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BT에 의한 통신을 통해 카메라로 페어링 요구를 송신한다(S118). 정보 처리 장치는 스텝 S116에서 취득된 BD_ADDR_CAM이 가리키는 어드레스로 BT에 의한 통신을 통해 Pairing Request를 송신할 수 있다.
카메라(20)는 스텝 S118에서 송신된 페어링 요구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카메라(20)와의 사이에 BT에 의한 통신에 있어서의 페어링을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S122).
도 3에서, 스텝 S108에서 설명한 판정 처리, 스텝 S110에서 설명한 getBluetoothPairingInfo 발행 처리, 및 스텝 S114에서 설명한 actBluetoothPairing(BD_ADDR_REMOCON) 발행 처리는, Wi-Fi 접속이 확립된 후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의해, 각 스텝 S108, S110 및 S114의 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지지 않도록 설정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유저의 조작에 따라 이러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의 일례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행해지는 처리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마트폰(10)과 카메라(20)(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Wi-Fi(제1 통신 방식의 일례)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 후에, BT(제2 통신 방식의 일례)에 의한 통신이 확립되는 경우에, 스마트폰(10)에서 행해지는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낸다.
도 4의 스텝 S202에서 설명된 처리는,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확립되었을 경우에,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제어 대상 장치가 통신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의 일례에 대응한다. 도 4의 스텝 S204 내지 S210의 처리는,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제어 대상 장치가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 제어 대상 장치가 통신 대상 장치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위한 처리를 행할 수 있게 하는 처리의 일례에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20)와 Wi-Fi에 의한 통신을 확립한다(S200).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는, Wi-Fi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키기 위한 기존의 절차(예를 들면, 유저의 패스워드를 입력하거나, Wi-Fi Protected Setup 및 다른 커맨들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카메라(20)와의 사이에서 Wi-Fi에 의한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방식이 Wi-Fi Protected Setup에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카메라(20)와의 사이에서 NFC에 의한 통신이, Wi-Fi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키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게 하여, Wi-Fi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스텝 S200에서 Wi-Fi에 의한 통신이 확립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20)가 BT를 지원하는지를 판정한다(S202). 스텝 S202에서 설명한 처리는,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지를 판정하는 처리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Web API를 이용하여, Wi-Fi에 의한 통신을 통해 취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텝 S202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에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getMethodTypes를 발행하여, API 정보를 카메라(20)로부터 Wi-Fi에 의한 통신을 통해 취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취득된 API 정보가 “getBluetoothPairingInfo” 또는 “actBluetoothPairing”을 포함하는 경우에, 카메라(20)가 BT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스텝 S202에서 카메라(20)가 BT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20)와 BT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고, 도 4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202에서 카메라(20)가 BT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20)와 BT에 의한 통신이 페어링되었는지를 판정한다(S204). 스텝 S204에서 설명한 처리는,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준비가 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처리의 일례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Web API를 이용해, Wi-Fi에 의한 통신을 통해 취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텝 S204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에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getBluetoothPairingInfo를 발행하여, 카메라(20)의 BT 어드레스 및 페어링 상태 정보를 카메라(20)로부터 Wi-Fi에 의한 통신을 통해 취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페어링 상태 정보의 예는, 발행된 getBluetoothPairingInfo(BD_ADDR_REMOCON)에 포함된 BD_ADDR_REMOCON을 갖는 스마트폰(10)과 BT 페어링의 실행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페어링 상태 정보는, 카메라(20)가 페어링되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 또는 카메라(20)와 페어링된 장치의 BT 어드레스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페어링 상태 정보가, 스마트폰(10)과 카메라(20)가 서로 페어링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카메라(20)와의 사이에 BT에 의한 통신이 페어링된 것으로 판정한다.
페어링 상태 정보가 카메라(20)와 페어링된 장치의 BT 어드레스인 경우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BT 어드레스와 페어링된 장치의 BT 어드레스를 비교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BT 어드레스가 페어링된 장치의 BT 어드레스와 동일한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페어링이 완료된 것으로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BT 어드레스가 페어링된 장치의 BT 어드레스와 다른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페어링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하지만,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카메라(20) 사이의 BT 페어링이 우선적이지 않을 때에는, 페어링이 완료된 것으로 판정될 수도 있다.
스텝 S204에서, BT에 의한 통신이 페어링된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20)와 BT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는 처리를 행하지 않고, 도 4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204에서, BT에 의한 통신이 페어링된 것으로 판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20)로 BT 페어링 대기 모드로 그 모드를 천이하라는 명령을 송신하고, 명령의 응답으로서 카메라(20)로부터 BT에 의한 통신에 필요한 정보(데이터)를 취득한다(S206).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Web API를 이용해, Wi-Fi에 의한 통신을 통해 BT 페어링 대기 모드로 그 모드를 천이하라는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actBluetoothPairing(BD_ADDR_REMOCON)을 발행하여, 카메라(20)의 모드를 BT 페어링 대기 모드로 천이시킨다. 카메라(20)는, actBluetoothPairing(BD_ADDR_REMOCON)을 수신하면, 카메라(20)의 BT 상태가 BD_ADDR_REMOCON이 가리키는 BT 어드레스를 갖는 기기와의 페어링이 연기되는 페어링 대기 모드로 천이되도록 제어된다. BD_ADDR_REMOCON의 송신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의 송신의 일례에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20)로부터 Wi-Fi에 의한 통신을 통한 응답에 따라, 카메라(20)의 Bluetooth(등록상표) Address(BD_ADDR_CAM)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BT에 의한 통신을 통해 카메라(20)로 페어링 요구를 송신한다(S208).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스텝 S206에 대해 취득된 BD_ADDR_CAM이 가리키는 어드레스로 BT에 의한 통신을 통해 Pairing Request를 송신할 수 있다.
카메라(20)는 스텝 S208에서 송신된 페어링 요구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카메라(20)와의 사이에 BT에 의한 통신에 있어서의 페어링의 처리가 행해진다(S210).
카메라(20)는, 스텝 S206에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BD_ADDR_REMOCON(식별 정보의 일례)을 이용한 매칭 처리를 행한다. 카메라(20)는 스텝 S206에서 취득된 BD_ADDR_REMOCON을 지원하는 장치 이외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페어링 요구에 기초하여 페어링을 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접속 요구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요구인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도 4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접속 요구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요구인 경우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는 도 4에 나타내는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텝 S200에서 Wi-Fi에 의한 통신이 확립되는 경우에, NFC에 의한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10)(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과 카메라(20)(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서 NFC에 의한 통신을 통해 BT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는 데 이용되는 각 장치의 BT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Wi-Fi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는 데 이용되는 NFC에 의한 통신은,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행해지는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의 일례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Wi-Fi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NFC에 의한 통신은, BT 어드레스 정보 및 다른 기타 정보가 송수신되는 경우에는, 스텝 S206 내지 S210에서의 BT에 의한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NFC에 의한 통신은, BT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가, 데이터의 송수신 없이 Wi-Fi 접속의 확립을 위해서만 사용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는, NFC에 의한 통신이 BT 어드레스 정보를 송수신하는 데 필요한 경우보다, NFC에 의한 통신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어, 통신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도 4의 스텝 S204에 설명한 처리를 행하지 않을 수 있다. 스텝 S204에서 설명한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스텝 S202에서 통신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스텝 S206 내지 S210에 설명한 처리를 행한다.
도 4는 Web API를 채용하는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다. 하지만, 예를 들면, Web API가 자원의 관점에서 구축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카메라(20)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서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와 같은 데이터를 공개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페어링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확립된 제1 통신 방식이 Wi-Fi이며, 제2 통신 방식이 BT인 예를 나타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은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T(제1 통신 방식의 일례)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 후에, Wi-Fi(제2 통신 방식의 일례)에 의한 통신이 확립되는 조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스마트폰(10)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처리 실행 요구가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20)로 하여금 촬상 처리를 행할 수 있게 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스텝 S300, S302, S304, S306, S308, S322, S324, S334, S336, S342, S344, S346에서 설명한 처리는 각각 도 3에 나타내는 스텝 S100, S102, S108, S110, S112, S114, S116, S118, S120, S122에서 설명한 처리에 유사하게 대응한다. 따라서, 도 5 및 3에 나타내는 스텝들 사이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getBluetoothPairingInfo를 발행하여(S304), API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S306).
도 5의 스텝 S304에서 자동적으로 송신되는 getMethodTypes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관련 정보 및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명령의 일례에 대응한다. 카메라(20)가 BT를 지원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 S306에서 취득되는 API 정보는, 통신 관련 정보의 일례인 “getBluetoothPairingInfo” 또는 “actBluetoothPairing”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 S306에서 취득되는 API 정보는, 제어 정보의 일례인“startLiveView” 또는 “getShoot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 S306에 의해 취득되는 API 정보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의 다른 예는, 카메라(20)의 모드(예를 들면, 정지 화면 모드와 촬상 모드)를 스위칭하기 위한 모드 변경 API, 카메라(20)에 촬상의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API, 카메라(20)에 촬상의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API, 카메라(20)의 설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스마트폰(10)으로 송신하기 위한 API, 및 카메라(20)의 설정을 변경시키기 위한 API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정보는,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촬상 처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I 정보에 포함되는 API를 통한 요구가 Wi-Fi를 사용하여 스마트폰(10)에 의해 송신되고, 송신된 요구가 카메라(20)에 의해 수신되었을 경우에, 카메라(20)는 API를 통한 요구에 대응한 처리를 행하고 스마트폰(10)에 응답을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스텝 S306에서 취득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라이브뷰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처리 실행 요구(예를 들면, startLiveView)를 Wi-Fi(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의 일례)를 사용하여 송신한다(S310). 처리 실행 요구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스텝 S308의 판정 처리를 행한 후에 자동적으로 송신될 수 있거나, 유저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카메라(20)는, 스텝 S310에서 송신된 처리 실행 요구를 취득한 경우, 해당 처리 실행 요구에 기초하여, 라이브뷰에 대한 처리를 개시하고(S312), “LiveViewURL”을 응답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한다(S314). 스텝 S314에서 송신되는 “LiveViewURL”은, 라이브뷰(스루-더-렌즈 화상)의 취득처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해당 URL에 액세스함으로써 라이브뷰를 취득할 수 있다.
스텝 S316에서 카메라(20)로부터 송신된 “LiveViewURL”을 취득한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라이브뷰를 취득하여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개시하고(S316), “GET LiveView”(라이브뷰를 취득하는 명령의 일례)를 Wi-Fi(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의 일례)를 사용하여 송신한다(S318). 스텝 S318에서 설명한 처리는, HTTP GET을 사용하여 “LiveViewURL”이 가리키는 URL에 액세스하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처리에 대응할 수 있다.
스텝 S318에서 송신된 “GET LiveView”를 취득한 경우, 카메라(20)는 라이브뷰 화상 데이터를 응답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한다(S320).
스텝 S326, S338, S348 및 S356에서의 처리는 스텝 S318에서의 처리와 유사하게 행해지고, 스텝 S328, S340, S350 및 S358에서의 처리는 스텝 S320에서의 처리와 유사하게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라이브뷰 화상 데이터를 적절한 방식으로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스텝 S306에서 취득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getShootMode”(촬상 모드를 송신시키는 명령의 일례)를, Wi-Fi(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의 일례)를 사용하여 송신한다(S352).
스텝 S352에서 송신된 “getShootMode”를 취득한 경우, 카메라(20)는 촬상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일례인“movie”를 응답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한다(S354).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행해진 도 5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3과 유사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와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를 제어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카메라(20)로 하여금 병렬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와,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관련되는 처리는 병렬로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2개의 처리는 완전한 동시각에 반드시 행해질 필요는 없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처리가 연속적인 시계열에서 임의의 조합 또는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즉 유저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사용할 때,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확립될 때까지 제어 대상 장치는 제어되지 않을 수 있지만, 제어 대상 장치를 제어할 수 없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카메라(20)로부터 수신한 라이브뷰 화상을 정보 처리 장치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에 BT 접속이 진행 중이거나 BT 접속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스텝 S346에서 Wi-Fi에 의한 통신 및 BT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따라서, 스텝 S346 이후의 스텝은 필요에 따라 통신 경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스텝 S346 이후의 스텝에서는 전력 소비가 적은 BT 통신 경로를 통해 화상 송신의 필요 없이 API를 이용한 제어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이것은, 도 3의 스텝 S10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getMethodTypes를 발행하여 얻은 API 정보에 기초하며, 이는 화상 송신의 필요가 없는 API(예를 들면, 촬영을 지시하기 위한 API나 커맨드나 촬영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API)를 포함한다. Wi-Fi에 의한 통신 및 BT에 의한 통신은 반드시 계속적으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일정 기간 “GET LiveView”와 같은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의 화상 송신이 없이 API를 송신하는 제어가 행해지지 않은 것(화상 송신을 수반하는 API가 사용되지 않는 것)을 검출한다. 그 후, 정보 처리 장치는 Wi-Fi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제어 처리를 행할 수 있고, BT에 의해 통신을 계속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저감한다.
도 5에서, 스텝 S308의 판정 처리, 스텝 S322의 getBluetoothPairingInfo 발행 처리, 스텝 S334의 actBluetoothPairing(BD_ADDR_REMOCON) 발행 처리는, 예를 들면, Wi-Fi의 접속 확립 후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의해 스텝 S308, S322 및 S334의 각 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지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이러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의 확립을 위한 처리와 제어 대상 장치가 실행 가능한 처리의 실행을 위한 처리를, 제어 대상 장치가 행하게 하기 위한 처리는 도 5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3-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의 제2 예: 접속 요구가 제어 대상 장치(제1 제어 대상 장치)와 해당 제어 대상 장치와는 상이한 다른 제어 대상 장치(제2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요구인 경우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처리
접속 요구가 하나의 제어 대상 장치(제1 제어 대상 장치)와 해당 제어 대상 장치와는 상이한 다른 제어 대상 장치(제2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요구인 경우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접속 요구가 제어 대상 장치(제1 제어 대상 장치)와 해당 제어 대상 장치와는 상이한 다른 제어 대상 장치(제2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요구인 경우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10)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고, 카메라(20) 및 텔레비젼 세트(40)가 모두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텔레비젼 세트(40)는 제어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카메라(20)에 대해 통신 대상 장치일 수 있다. 카메라(20)는 제어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텔레비젼 세트(40)에 대해 통신 대상 장치일 수 있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메라(20)와 텔레비젼 세트(40) 각각이 제어 대상 장치 또는 통신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카메라(20) 및 텔레비젼 세트(40)가 각각 Wi-Fi 및 BT를 지원하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마트폰이 Wi-Fi를 지원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가 카메라(20)와 텔레비젼 세트(40)에 BT에 의한 통신을 통해 액세스하려는 것을 상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도 4의 스텝 S200의 처리와 유사한 처리에 의해, 카메라(20)와 정보 처리 장치의 사이와 텔레비젼 세트(40)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Wi-Fi(제1 통신 방식의 일례)에 의한 통신을 확립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도 4의 스텝 S202, S204의 처리와 유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카메라(20) 및 텔레비젼 세트(40)의 각각(양쪽 모두 제어 대상 장치의 일례)이 BT(제2 통신 방식의 일례)에 의한 통신을 할 수 있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도 4의 스텝 S202, S204의 판정 처리와 유사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메라(20) 및 텔레비젼 세트(40)의 각각이 BT를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페어링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각각 취득하여,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BT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카메라(20) 및 텔레비젼 세트(40) 각각이 BT에 의한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카메라(20) 및 텔레비젼 세트(40) 각각에 BT에 의한 통신을 위한 페어링 요구를 송신하고, 제어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카메라(20) 및 텔레비젼 세트(40) 각각으로 하여금 BT에 의한 통신을 행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카메라(20)로부터 취득된 식별 정보를 통신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텔레비젼 세트(40)로 송신한다. 대안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텔레비젼 세트(40)로부터 취득된 식별 정보를 통신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카메라(20)로 송신할 수 있다. 각 처리를 행하기 위해, 상술한 제1 예에서와 유사한 처리가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제어 대상 장치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장치인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고, 카메라(20) 및 서버(50)(또는 서버군. 이하 같다) 각각이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서버(50)는 클라우드 서비스 및 다른 기타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서버(50)는 제어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카메라(20)에 대해 통신 대상 장치일 수 있다. 카메라(20)는 제어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서버(50)에 대해 통신 대상 장치일 수 있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메라(20) 및 서버(50) 각각이 제어 대상 장치 또는 통신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 서버(50)는 도 6에 나타내는 텔레비젼 세트(40)를 대체한다. 장치 간의 통신은 LTE를 이용한 무선 통신을 사용하거나, Wi-Fi,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및 다른 기술과 같은, 도 6의 예에 나타낸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서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 처리는, 제어 대상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카메라(20) 및 서버(50) 각각이 Wi-Fi 또는 IP 네트워크(제2 통신 방식의 일례)를 이용한 통신을 행할 수 있게 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20)와 서버(50) 사이의 통신은 그 사이에 개재된 중계기(60)와 같은 다른 장치를 통해 행해질 수도 있다.
카메라(20) 및 서버(50)가, 소정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이들 사이의 통신이 기능한지를 판정하는 경우, 카메라(20) 및 서버(50) 각각이 해당 소정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스마트폰(10)과 카메라(20) 중 하나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대응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스마트폰(10)이 정보 처리 장치(100)에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마트폰(10)이나 카메라(20)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통신부(102), 제2 통신부(104), 제어부(106) 및 조작부(108)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ROM(Read Only Memory. 도시하지 않음), RAM(Random Access Memory, 도시하지 않음), 기억부(도시하지 않음) 및 다양한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구성 요소는 데이터 전송로의 역할을 하는 버스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ROM(도시하지 않음)은 제어부(106)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연산 파라미터와 같은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 사용된다. RAM(도시하지 않음)은 제어부(106)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다른 명령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데 사용된다.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제공되는 기억 메커니즘이며,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서 사용되는 식별 정보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의 예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기록 매체,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는 정보 처리 장치(100)으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의 예는 후술하는 표시 기기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예)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MPU(150), ROM(152), RAM(154), 기록 매체(156), 입출력 인터페이스(158), 조작 입력 기기(160), 표시 기기(162),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 및 제2 통신 인터페이스(16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데이터 전송로의 역할을 하는 버스(168)를 통해 구성 요소가 상호 접속된다.
MPU(150)는, MPU(Micro Processing Unit)과 같은 연산 논리 회로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각종 처리 회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정보 처리 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106)로서 기능한다.
ROM(152)은 MPU(15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연산 파라미터와 같은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154)은 MPU(15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다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록 매체(156)는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로서 기능하고, 식별 정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과 관련되는 데이터와 각종 유형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록 매체(156)의 예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기록 매체와,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156)는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8)는 조작 입력 기기(160)와 표시 기기(162)를 접속하는 데 사용된다. 조작 입력 기기(160)는 조작부(108)로서 기능한다. 표시 기기(162)는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로서 기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8)의 예는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등록상표) 단자 및 각종 유형의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조작 입력 기기(160)는 조작부(108)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조작 입력 기기(160)는 정보 처리 장치(100) 상에 제공되어, 정보 처리 장치(100) 내부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58)에 접속된다. 조작 입력 기기(160)의 예는 버튼, 방향 키, 조그 다이얼(jog dial)과 같은 회전형 선택기,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표시 기기(162)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100) 상에 제공되어, 정보 처리 장치(100) 내부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58)에 접속된다. 표시 기기(162)의 예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라고도 칭함)를 포함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8)가 정보 처리 장치(100)의 외부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조작 입력 기기(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나 외부 표시 기기와 같은 표시 기기에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표시 기기(162)는 터치 패널과 같이 표시 처리와 유저 조작이 행해질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제공되는 하나의 통신 메커니즘이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는 네트워크를 통해(또는, 직접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부(102)로서 기능한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의 예는 통신 안테나 및 RF(Radio Frequency) 회로(무선 통신), IEEE802. 15.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IEEE802.1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단자 및 송수신 회로(유선 통신)를 포함한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166)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제공되는 다른 통신 메커니즘이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166)는 네트워크를 통해(또는, 직접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와는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104)로서 기능한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166)의 예는 통신 안테나 및 RF 회로(무선 통신), IEEE802.15.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IEEE802.1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또는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유선 통신)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접속되어 있는 외부의 통신 기기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경우,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와 제2 통신 인터페이스(166)의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와 제2 통신 인터페이스(166)는 일체의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0)는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기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 및 제2 통신 인터페이스(166)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과는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카메라(20) 또는 촬상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10)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와 같이 촬상 기능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0)는 촬상하여 화상(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촬상부(도시하지 않음)로서 기능하는 촬상 기기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촬상 기기는 렌즈-촬상 소자 모듈과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촬상 소자 모듈은 예를 들면, 광학계 렌즈와 복수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동등한 촬상 소자를 채용하는 이미지 센서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 회로는 AGC(Automatic Gain Control) 회로나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하고, 촬상 소자에 의해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신호 처리 회로는 RAW 현상과 관련되는 각종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신호 처리 회로는, 백색 밸런스(white balance) 보정 처리, 색조 보정 처리, 감마(gamma) 보정 처리, YCbCr 변환 처리 및 엣지 강조 처리를 포함하는 각종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기록 매체(156), 조작 입력 기기(160) 또는 표시 기기(162)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구성(또는, 그 변형의 구성)은 하나 이상의 IC(Integrated Circuit)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통신부(102)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제공되는 하나의 통신 메커니즘이다. 제1 통신부(102)는 네트워크를 통해(또는, 직접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한다. 제어부(106)는 제1 통신부(102)를 통해 행해지는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02)의 예는 통신 안테나 및 RF 회로나,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를 포함한다. 하지만, 제1 통신부(102)의 구성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통신부(102)는 USB 단자 및 송수신 회로와 같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표준에 대응하는 구성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통신부(104)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제공되는 다른 통신 메커니즘이다. 제2 통신부(104)는 네트워크를 통해(또는, 직접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통신부(102)와는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한다. 제어부(106)는 제2 통신부(104)를 통해 행해지는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04)의 예는 통신 안테나 및 RF 회로나,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를 포함한다. 하지만, 제2 통신부(104)의 구성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통신부(104)는 USB 단자 및 송수신 회로와 같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표준에 대응하는 구성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제1 통신부(102)는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제2 통신부(104)는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02)와 제2 통신부(104)가 각각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 제1 통신부(102)는 Wi-Fi를 이용한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제2 통신부(104)는, BT를 이용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데 사용되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의 조합의 예는 Wi-Fi 및 BT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06)는 예를 들면, MPU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정보 처리 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06)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 처리를 행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제어부(106)는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과,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제어부(106)는, 예를 들면, 제어 대상 장치와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했을 경우,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통신 관련 정보와 제어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106)는,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장치로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접속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06)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장치로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처리를 제어 대상 장치로 하여금 행할 수 있게 하는 데 사용되는 처리 실행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조작부(108)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제공되고, 유저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 메커니즘이다. 조작부(108)에 대해 행해진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는, 제어부(106)가 처리 실행 요구의 송신을 포함하는 각종 처리를 행할 수 있게 한다.
조작부(108)의 예는 조작 입력 기기(16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예를 들면, 제어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를 행할 수 있어, 유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은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처리는 편의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의 처리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은 도 8에 나타내는 제어부(106)를 갖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처리를 행하는 데 사용되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신부(102)와 유사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외부 통신 기기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통신부(102)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통신부(104)와 유사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외부 통신 기기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2 통신부(104)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별개의 유닛으로 구성된 제1 통신부(102)와 제2 통신부(104)를 나타내지만, 제1 통신부(102)와 제2 통신부(104)는 1개의 IC나 물리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동일 안테나가 제1 통신부(102) 및 제2 통신부(104)에 각각 대응하는 통신 방식에 대해 공유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조작부(108)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2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스마트폰(10)과 카메라(20) 중 한쪽이 정보 처리 장치(100)인 경우, 다른쪽이 제어 대상 장치(200)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카메라(20), 텔레비젼 세트(40) 및 서버(50)가 제어 대상 장치(200)에 대응한다. 제어 대상 장치(200)가 카메라(20)인 경우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200)는 스마트폰(10), 카메라(20), 텔레비젼 세트(40) 또는 서버(50)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 대상 장치(200)는 제1 통신부(202), 제2 통신부(204), 제어부(206), 조작부(208), 표시부(210) 및 촬상부(2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대상 장치(200)는, 예를 들면, ROM(도시하지 않음), RAM(도시하지 않음) 및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대상 장치(200)에서, 구성 요소는 데이터의 전송로의 역할을 하는 버스에 의해 상호 접속된다.
ROM(도시하지 않음)은 제어부(206)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연산 파라미터와 같은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 사용된다. RAM(도시하지 않음)은 제어부(206)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다른 명령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데 사용된다.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는 제어 대상 장치(200)에 제공되는 기억 메커니즘이다. 예를 들면, 기억부는 촬상부(212)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나,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억부(도시하지 않음)의 예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기록 매체, 및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는 제어 대상 장치(200)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제어 대상 장치(20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200)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어 대상 장치(200)는, MPU(250), ROM(252), RAM(254), 기록 매체(256), 입출력 인터페이스(258), 조작 입력 기기(260), 표시 기기(262), 제1 통신 인터페이스(264), 제2 통신 인터페이스(266), 및 촬상 기기(268)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대상 장치(200)에서, 데이터의 전송로의 역할을 하는 버스(270)를 통해 구성 요소가 상호 접속된다.
MPU(250)는 MPU(Micro Processing Unit)과 같은 연산 회로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각종 처리 회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 대상 장치(20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206)로서 기능한다.
ROM(252)은 MPU(25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연산 파라미터와 같은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254)은 MPU(25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다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록 매체(256)는 기억부(도시하지 않음)로서 기능하고, 예를 들면, 촬상부(212)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나,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록 매체(256)의 예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기록 매체와,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기록 매체(256)는 제어 대상 장치(200)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58)는 조작 입력 기기(260)와 표시 기기(262)의 접속에 사용된다. 조작 입력 기기(260)는 조작부(208)로서 기능한다. 표시 기기(162)는 표시부(210)로서 기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58)의 예는 USB 단자, DVI 단자, HDMI(등록상표) 단자 및 각종 유형의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조작 입력 기기(260)는 조작부(208)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조작 입력 기기(260)는 제어 대상 장치(200) 상에 제공되어, 제어 대상 장치(200) 내부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58)에 접속된다. 조작 입력 기기(260)의 예는 버튼, 방향 키, 조그 다이얼과 같은 회전형 선택기,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표시 기기(262)는 표시부(210)로서 기능한다. 표시 기기(262)는 예를 들면, 제어 대상 장치(200) 상에 제공되어, 제어 대상 장치(200) 내부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58)에 접속된다. 표시 기기(262)의 예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58)가 제어 대상 장치(200)의 외부 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 외부 조작 입력 기기(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나 외부 표시 기기와 같은 외부 기기에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표시 기기(262)는, 표시 처리와 유저의 조작이 행해질 수 있는 터치 패널과 같은 기기일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64)는 제어 대상 장치(200)에 제공되는 하나의 통신 메커니즘이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64)는 네트워크를 통해(또는, 직접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부(202)로서 기능한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64)의 예는, 통신 안테나 및 RF 회로(무선 통신), IEEE802.15.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IEEE802.1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또는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유선 통신)를 포함한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266)는 제어 대상 장치(200)에 제공되는 다른 통신 메커니즘이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266)는 네트워크를 통해(또는, 직접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예를 들어, 제1 통신 인터페이스(264)와는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부(204)로서 기능한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266)의 예는, 통신 안테나 및 RF 회로(무선 통신), IEEE802.15.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IEEE802.1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무선 통신), 또는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유선 통신)를 포함한다.
촬상 기기(268)는 제어 대상 장치(200)에 제공되는 촬상 메커니즘이다. 촬상 기기(268)는 촬상하여 화상(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부(212)로서 기능한다.
촬상 기기(268)는 렌즈-촬상 소자 모듈과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촬상 소자 모듈은 예를 들면, 광학계 렌즈와 복수의 CMOS 또는 동등한 촬상 소자를 채용하는 이미지 센서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 회로는 AGC 회로나 ADC를 포함하고, 촬상 소자에 의해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신호 처리 회로는 RAW 현상과 관련되는 각종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신호 처리 회로는, 백색 밸런스 보정 처리, 색조 보정 처리, 감마 보정 처리, YCbCr 변환 처리 및 엣지 강조 처리를 포함하는 각종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제어 대상 장치(200)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각종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2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11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 대상 장치(200)는, 접속되어 있는 외부 통신 기기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264)와 제2 통신 인터페이스(266)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264)와 제2 통신 인터페이스(266)는 일체의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어 대상 장치(200)는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기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대상 장치(20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264) 및 제2 통신 인터페이스(266)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과는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대상 장치(200)가 촬상 기능을 가질 필요가 없는 장치인 경우에는, 제어 대상 장치(200)는 촬상 기기(268)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대상 장치(200)는, 예를 들면, 기록 매체(256), 조작 입력 기기(260) 및 표시 기기(262)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구성(또는, 그 변형의 구성)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C)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여, 제어 대상 장치(200)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통신부(202)는 제어 대상 장치(200)에 제공되는 하나의 통신 메커니즘이다. 제1 통신부(202)는 네트워크를 통해(또는, 직접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한다. 제어부(206)는 제1 통신부(202)를 통해 행해지는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02)의 예는 통신 안테나 및 RF회로, 또는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를 포함한다. 하지만, 제1 통신부(202)의 구성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통신부(202)는 USB 단자 및 송수신 회로와 같은 통신 가능한 임의의 표준에 대응하는 구성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2 통신부(204)는 제어 대상 장치(200)에 제공되는 다른 통신 메커니즘이다. 제2 통신부(204)는 네트워크를 통해(또는, 직접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통신부(202)와는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한다. 제어부(206)는 제2 통신부(204)를 통해 행해지는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04)의 예는 통신 안테나 및 RF회로, 또는 LAN 단자 및 송수신 회로를 포함한다. 하지만, 제2 통신부(204)의 구성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통신부(204)는 USB 단자 및 송수신 회로와 같은 통신 가능한 임의의 표준에 대응하는 구성이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어 대상 장치(200)에서, 제1 통신부(202)는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제2 통신부(204)는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통신부(202)와 제2 통신부(204)가 각각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행하는 역할을 하는 경우, 제1 통신부(202)는 Wi-Fi를 이용한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제2 통신부(204)는, BT를 이용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데 사용되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의 조합의 예는 Wi-Fi 및 BT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206)는, 예를 들면, MPU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대상 장치(200)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0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각종 처리를 행한다.
조작부(208)는 유저에 의해 조작 가능하고 제어 대상 장치(200)에 제공되는 조작 메커니즘이다. 조작부(208)에 대해 행해진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는, 제어부(106)가 촬상부(212)에 의한 촬상 처리나, 도 5의 스텝 S308, S322 및 S334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행할 수 있게 한다.
조작부(208)의 예는 조작 입력 기기(260)를 포함한다.
표시부(210)는 제어 대상 장치(200)에 제공되는 표시 메커니즘이다. 표시부(210)는 스루-더-렌즈 화상이나 촬상된 화상과 같은 화상과, UI와 관련되는 화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상이나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부(210)의 예는 표시 기기(262)를 포함한다.
촬상부(212)는 제어 대상 장치(200)에 제공되는 촬상 메커니즘이며, 촬상하여 화상(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을 생성한다. 촬상부(212)의 예는 촬상 기기(268)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제어 대상 장치(200)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각종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의 구성은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통신부(202)와 유사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외부 통신 기기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는 제1 통신부(202)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통신부(204)와 유사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외부 통신 기기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는 제2 통신부(204)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별개의 유닛으로 구성된 제1 통신부(202)와 제2 통신부(204)를 나타내지만, 제1 통신부(202)와 제2 통신부(204)는 1개의 IC나 물리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통신부(202) 및 제2 통신부(204)에 각각 대응하는 통신 방식에 대해 동일 안테나가 공유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조작부(208), 표시부(210) 및 촬상부(2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로서 정보 처리 장치를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유형의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기의 예는 PC(Personal Computer) 및 서버와 같은 컴퓨터, 휴대전화 및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장치, 태블릿형 장치, 비디오 카메라 및 스틸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 및 원격 컨트롤러와 같은 조작 기기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는 이러한 기기에 통합될 수 있는 처리 IC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이, 하나 이상의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또는 장치간의 통신을 사용)되는 조건 하의 하나 이상의 장치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장치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 대상 장치가 본 실시 형태로서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는 PC 및 서버와 같은 컴퓨터, 휴대전화 및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장치, 태블릿형 장치, 비디오 카메라 및 스틸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 및 텔레비전 세트를 포함하는 각종 유형의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이러한 기기에 통합될 수 있는 처리 IC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
컴퓨터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 처리와 같은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프로세서 또는 유사 기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복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프로세서 등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과 관련되는 처리에 의해 제공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또는 그 동등물 내에 드는 한, 다양한 변형, 조합, 하위 조합 및 수정이 설계 요건 및 다른 요인에 따라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는, 컴퓨터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을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상기 프로그램이 함께 기억되는 기록 매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제어 대상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예)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제어 대상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예(라이브뷰 원격 제어)의 개요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및 제어 대상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예(라이브뷰 원격 제어)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1000)는 유저에 의해 휴대되는 휴대용 모바일 통신 단말이며, 복수의 촬상 장치(제어 대상 장치)(2000)와의 통신 접속을 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0)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0)는 통신을 통해 촬상 장치(2000)의 각각으로부터 화상을 취득할 수 있고, 표시부(1100) 상에 취득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0)는 촬상 장치(2000A 내지 2000C)와 통신할 수 있으며, 표시부(1100) 상에 촬상 장치(2000A)로부터 취득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이점 쇄선은, 정보 처리 장치(1000)가 촬상 장치(200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에 나타낸 화살표는 정보 처리 장치(1000)와 촬상 장치(20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나타낸다.
화상을 제공하는 장치와의 통신 접속이 해제되었을 때, 화상은 일반적으로 통신을 통해 취득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저는 장치의 재접속을 기다리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화상을 취득하기 위해 다른 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조작을 행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0)가 촬상 장치(2000)로부터 어떠한 화상도 더 이상 수신하지 않는다면, 정보 처리 장치(1000)는 표시되는 화상을 다른 촬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화상으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한다.
예를 들어, 촬상 장치(2000A 내지 2000C)는 서프보드(surfboard)에 장착될 수 있고, 촬상 장치(2000A)는 파도의 진행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서프보드의 전방(front)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촬상 장치(2000B)는 파도의 진행 방향으로 서프보드의 전방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0)는 예를 들어, 표시부(1100) 상에 촬상 장치(2000A)로부터 수신한 사람의 화상을 표시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0)가 촬상 장치(2000A)로부터 접속 해제되고, 더 이상 어떤 화상도 수신하지 않는다면, 정보 처리 장치(1000)는 표시되는 화상을 촬상 장치(2000B)로부터 수신되는 화상으로 자동적으로 변경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0)는, 촬상 장치(2000)로부터 화상을 수신하는 데 실패한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을 다른 촬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화상으로 자동적으로 변경한다. 이것은, 단절 없이 화상이 계속하여 수신 및 표시될 수 있게 하므로, 화상 표시 및 유저 조작 로드(load)에 필요한 유저의 대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정보 처리 장치(1000)의 예로서 디스플레이-장착 원격 컨트롤러를 나타내지만, 정보 처리 장치(1000)는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게임 콘솔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일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 및 제어 대상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예는 상술하였다.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예의 구성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예의 구체적인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0)는 통신부(1020), 기억부(1040), 조작부(1060), 표시 제어부(1080) 및 표시부(11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1020)는 촬상 장치(제어 대상 장치)(2000)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020)는 촬상 장치(2000)에서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화상을 송신하라는 요구를 수신하고,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020)는 Wi-Fi(등록상표), Bluetooth(등록상표), Zigbee(등록상표) 및 다른 통신 표준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기억부(1040)는 정보 처리 장치(1000)에 의해 행해진 처리의 이력을 저장하고, 구체적으로, 기억부(1040)는 표시 제어부(1080)에 의해 표시된 화상의 이력을 기억한다.
조작부(1060)는 정보 처리 장치(1000) 상의 유저 조작을 입력으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1060)는 유저에 의해 행해진 조작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080)인 정보 처리 장치(1000)의 처리 기능부에 대한 생성된 입력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조작부(1060)는 버튼형 또는 터치 패드형 입력 기기일 수 있다.
표시 제어부(1080)는 표시부(1100)의 표시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부(1080)는, 표시부(1100)가 통신부(1020)를 통해 수신된 화상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표시부(110) 상에 표시되는 화상이 통신부(1020)를 통해 더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표시 제어부(1080)는 표시되는 화상을, 접속되어 있는 촬상 장치(2000) 간의 통신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력에 따라 특정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화상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080)는, 기억부(1040)가 통신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력의 예로서 촬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된 화상의 표시 이력을 기억할 수 있게 한다. 표시 제어부(1080)는 표시된 화상을, 기억부(1040)에 기억된 표시 이력에 따라 특정된 촬상 장치(2000)로부터 수신되는 화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상의 표시 이력은 촬상 장치(2000)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취득된 화상의 표시 이력이다. 표시 이력은 화상의 표시 개시 시간 및 표시 종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본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고, 물론, 본 개시의 기술적 범주 내에 속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효과는 단지 설명적이고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즉,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본 명세서에 기초한 효과와 함께, 또는 이를 대신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다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2) (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통신 관련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3) (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 기기; 및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 기기를 더 포함한다.
(4) (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 회로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실행을 위한 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조작 입력 기기를 더 포함한다.
(5) (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렌즈-촬상 소자 모듈을 포함하는 촬상 기기를 더 포함하여, 촬상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6) (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카메라 중 하나이다.
(7) (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이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이다.
(8) (2)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요구를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9) (2)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처리의 실행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한다.
(10) (4)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표시 화면 상에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한다.
(11) (7)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은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화상을 취득한다.
(12) (1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은 상기 화상을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다른 화상으로 자동으로 변경한다.
(13) (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IEEE 802.11 표준을 따르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IEEE 802.15.1 표준을 따른다.
(14) (13)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라이브-뷰(live-view)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15)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16) (15)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통신 관련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17) (15)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 기기; 및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 기기를 더 포함한다.
(18) (15)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실행을 위한 요구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조작 입력 기기를 더 포함한다.
(19) (15)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렌즈-촬상 소자 모듈 및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촬상 기기를 더 포함하여, 촬상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20) (15)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스마트폰, 카메라, 텔레비전 세트 또는 서버 중 하나이다.
(21) (15)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이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이다.
(22) (16)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요구를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23) (16)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처리의 실행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한다.
(24) (18)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표시 화면 상에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한다.
(25) (2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은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화상을 취득한다.
(26) (25)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은 상기 화상을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다른 화상으로 자동으로 변경한다.
(27) (15)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IEEE 802.11 표준을 따르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IEEE 802.15.1 표준을 따른다.
(28) (27)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라이브-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29)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어 회로에 의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30)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 회로에 의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31)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제1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제2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의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의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32)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과 상기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통신 관련 정보와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제어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했을 경우에, 상기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확립시키는 데 사용되는 접속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처리를 행하는 데 사용되는 처리 실행 요구를 송신한다.
(33) (32)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상기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34) (32)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상기 접속 요구를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통해 처리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가능한지를 판정하고, 상기 통신 관련 정보인 상기 정보는 상기 판정을 위해 사용된다.
(35) (33) 또는 (34)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접속 확립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요구하는 데 사용되는 접속 확립 완료 확인 요구를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처리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통신 관련 정보인 상기 정보는 상기 판정을 위해 사용된다.
(36) (32)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접속 요구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요구이다.
(37) (36)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실행 요구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확립된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통해 송신한다.
(38) (32)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접속 요구는 상기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어 대상 장치와는 상이한 다른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요구이다.
(39) (32)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실행 요구를 확립되어 있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통해 송신한다.
(40) (32)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처리와 상기 처리 실행 요구를 송신하는 처리를 병렬적으로 행한다.
(41) (32)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무지향성 무선 통신 방식이다.
(42) (4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무지향성 무선 통신 방식은, W-Fi이며, 제2 통신 방식은 Bluetooth(등록상표)이다.
(43) (32) 내지 (4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어 대상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촬상 처리에 관한 정보이다.
(44) (32) 내지 (4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를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확립하는 통신의 제어를 행한다.
(45)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과 상기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통신 관련 정보와,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제어 정보가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한 경우에, 상기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행하게 하는 데 사용되는 처리 실행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46)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과, 상기 제1 통신 방식과는 다른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통신 관련 정보와,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실행 가능한 처리에 관한 제어 정보가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한 경우에, 상기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을 확립하는 데 사용되는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가 실행 가능한 처리를 행하게 하는 데 사용되는 처리 실행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0, 30 스마트폰
20 카메라
40 TV 세트
50 서버
60 중계기
100 정보 처리 장치
102, 202 제 1 통신부
104, 204 제 2 통신부
106, 206 제어부
108 조작부
200 제어 대상 장치
210 표시부
212 촬상부
1000 정보 처리 장치
1020 통신부
1040 기억부
1060 조작부
1080 표시 제어부
2000 촬상 장치

Claims (31)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통신 관련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 기기; 및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 기기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 회로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실행을 위한 요구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조작 입력 기기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렌즈-촬상 소자 모듈을 포함하는 촬상 기기를 더 포함하여 촬상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카메라 중 하나인,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이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인, 정보 처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요구를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의 실행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표시 화면 상에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은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화상을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은 상기 화상을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다른 화상으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IEEE 802.11 표준을 따르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IEEE 802.15.1 표준을 따르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라이브-뷰(live-view)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통신 관련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 기기; 및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 기기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실행을 위한 요구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조작 입력 기기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렌즈-촬상 소자 모듈 및 신호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촬상 기기를 더 포함하여, 촬상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스마트폰, 카메라, 텔레비전 세트 또는 서버 중 하나인, 정보 처리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하나이고,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통신 단말인, 정보 처리 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통신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접속 요구를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의 실행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 처리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표시 화면 상에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은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화상을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은 상기 화상을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다른 화상으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정보 처리 장치.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IEEE 802.11 표준을 따르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IEEE 802.15.1 표준을 따르는, 정보 처리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라이브-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장치.
  29.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어 회로에 의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30.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 회로에 의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처리를 실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1.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제1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제2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의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와의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1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접속을 확립한 이후,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사용한 제2 접속을 완료하기 이전에, 상기 제1 접속을 통해 상기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177026183A 2015-03-24 2016-02-05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1701297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0990 2015-03-24
JP2015060990A JP6376015B2 (ja) 2015-03-24 2015-03-24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CT/JP2016/000612 WO2016151995A1 (en) 2015-03-24 2016-02-05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748A true KR20170129748A (ko) 2017-11-27

Family

ID=5544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183A KR20170129748A (ko) 2015-03-24 2016-02-05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70231B2 (ko)
EP (1) EP3275233B1 (ko)
JP (1) JP6376015B2 (ko)
KR (1) KR20170129748A (ko)
WO (1) WO201615199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417A (ko) * 2018-11-08 2020-05-18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설정용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70107A (ko) * 2018-12-07 2020-06-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11373580B2 (en) 2018-03-09 2022-06-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atypical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7773B2 (ja) * 2016-01-18 2021-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214763A1 (zh) * 2016-06-12 2017-12-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上传视频的方法、装置及摄像装置
JP6976689B2 (ja) * 2017-01-26 2021-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869746B2 (ja) * 2017-02-22 2021-05-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764738B2 (en) 2017-03-14 2020-09-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method and terminal
WO2019127322A1 (zh) * 2017-12-29 2019-07-04 深圳市名宗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配对系统及配对方法
US11533272B1 (en) * 2018-02-06 2022-12-20 Amesite Inc. Computer based education methods and apparatus
US20190370094A1 (en) * 2018-06-01 2019-12-05 Apple Inc. Direct input from a remote device
WO2019239799A1 (ja) * 2018-06-12 2019-12-1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伝送装置、管理装置、伝送システム、伝送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7087053B2 (ja) * 2020-12-18 202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47458B2 (ja) * 2021-02-26 2023-09-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3507750B (zh) * 2021-07-09 2023-04-18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终端的控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KR20240008126A (ko) * 2022-07-11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4020A (ja) * 1997-02-21 1998-09-02 Canon Inc 画像伝送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画像伝送システム
US7158756B2 (en) * 2003-06-25 2007-01-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short-range service sessions
JP2005303947A (ja) * 2004-04-16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2463820A3 (en) * 2005-07-22 2012-09-12 Kangaroo Media, Inc.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experience of spectators attending a live sporting event
US7720490B2 (en) * 2006-07-17 2010-05-18 Intel Corporation Location update operations for idle mode terminals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s
CN101247610B (zh) * 2007-02-13 2012-03-28 艾威梯科技(北京)有限公司 管理多种短距离无线技术通信的方法、设备及系统
US20090215398A1 (en) * 2008-02-25 2009-08-27 Adler Mitchell D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JP4524703B2 (ja) * 2008-02-29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TWM366948U (en) * 2009-04-06 2009-10-21 Chicony Electronics Co Ltd Wireless digital photo frame with video streaming function
JP5637359B2 (ja) * 2010-06-07 2014-12-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72295B2 (ja) 2011-03-16 2016-08-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無線装置の間のペアリング
US9425861B2 (en) * 2011-07-25 2016-08-23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666313B2 (en) 2011-07-29 2014-03-04 Motorola Solutions, Inc. Pairing devices using data exchanged in an out-of-band channel
TWI483639B (zh) * 2012-09-11 2015-05-01 Acer Inc 行動通訊裝置及其無線連結建立方法
JP6160482B2 (ja) * 2013-12-27 2017-07-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38214B1 (ko) * 2014-09-12 2021-04-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3580B2 (en) 2018-03-09 2022-06-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atypical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11749172B2 (en) 2018-03-09 2023-09-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atypical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20200053417A (ko) * 2018-11-08 2020-05-18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설정용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70107A (ko) * 2018-12-07 2020-06-17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11522941B2 (en) 2018-12-07 2022-12-06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based on hypertext transfer protocol,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81801A (ja) 2016-10-13
WO2016151995A1 (en) 2016-09-29
JP6376015B2 (ja) 2018-08-22
US10470231B2 (en) 2019-11-05
EP3275233A1 (en) 2018-01-31
EP3275233B1 (en) 2019-11-27
US20180020495A1 (en)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523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CN110719584B (zh) 近距离传输信息的方法和电子设备
US10028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user device
US104484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communication mode switch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22040488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803102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500517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058070A (ko) 듀얼 커넥티비티 환경에서 세컨더리 노드 추가를 위한 신호 측정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98660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uses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thod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220385755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peripheral device
US11570831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ellular network function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EP315112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20061740A (ko) 통신 연결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CN118215066A (zh) 局域网内传输数据的方法、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