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313A -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매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매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313A
KR20170127313A KR1020160057808A KR20160057808A KR20170127313A KR 20170127313 A KR20170127313 A KR 20170127313A KR 1020160057808 A KR1020160057808 A KR 1020160057808A KR 20160057808 A KR20160057808 A KR 20160057808A KR 20170127313 A KR20170127313 A KR 20170127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per
air
medium
wind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 아오키
이진수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7313A/ko
Priority to US15/591,840 priority patent/US10023409B2/en
Publication of KR20170127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313A/ko
Priority to US16/007,063 priority patent/US1053840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48Air blast acting on edges of, or und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65H3/5253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61Retainers of the roller type,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6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 B65H7/1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or incorrect separation or feed responsive to double feed or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6Assisting moving, forwarding or guiding of material
    • B65H2301/4461Assisting moving, forwarding or guiding of material by blowing air towards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3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 B65H2404/132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arrangement of segments alo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2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gas b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2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gas blast
    • B65H2406/121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5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rotary pressurized means, e.g. cylinder, drum, shaft,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39Scanning

Abstract

개시된 급지 장치는, 시트 상의 매체가 적재되는 적재대와, 적재대로부터 상기 매체를 인출하는 픽업 롤러와, 매체의 인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적재대의 하류측으로부터 적재대에 적재된 매체의 선단부에 맥동 형태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매체 처리 장치{sheet supply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apparatus}
시트 상의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적재대로부터 인출하는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매체처리장치가 개시된다.
프린터, 스캐너, 발권기 등 시트(sheet) 상의 매체, 예를 들어 커트지(이하에서 '용지'라 한다)를 이용하는 장치에는 다수의 매체가 적재된 적재대로부터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여 인출하는 급지 장치가 채용된다.
다양한 종류의 용지가 급지 장치에 의하여 급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지의 평량(basis weight), 표면 거칠기 등은 다양할 수 있다. 표면 코팅층을 가진 용지, 트레이싱 페이퍼(tracing paper), 절취선 용지(perforated paper) 등은 용지 간의 밀착력이 강하여 한 장씩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중송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적재대에 적재된 용지들 간의 밀착력을 약화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시트 형태의 매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매체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급지 장치는, 시트 상의 매체가 적재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로부터 상기 매체를 인출하는 픽업 부재; 상기 매체의 인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적재대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적재대에 적재된 매체의 선단부에 맥동 형태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수단;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는, 전술한 급지 장치와, 상기 급지 장치로부터 공급된 매체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매체처리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트 형태의 매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매체처리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급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역전 분리 구조를 채용한 분리 유닛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급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X1-X1' 단면도이다.
도 5a는 풍차와 회전축과의 결합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풍차와 롤러부와의 결합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반단면도이다.
도 6은 급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X2-X2' 단면도이다.
도 8은 급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급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급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분리 유닛과 송풍기의 구동이 개시되고, 픽업 롤러의 구동이 개시되기 전의 급지 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적재대로부터 가장 위에 위치된 용지가 인출된 상태의 급지 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적재대로부터 두 장의 용지가 인출된 상태의 급지 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급지 장치가 채용된 매체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급지 장치가 채용된 스캐너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6은 급지 장치가 채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7은 복합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매체 처리 장치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급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급지 장치(1)는, 시트 상의 매체, 예를 들어 커트지(이하에서 '용지'라 함)(P)가 적재되는 적재대(10)와, 적재대(10)에 적재된 용지(P)를 인출하는 픽업 롤러(픽업 부재)(20)를 구비한다. 픽업 롤러(20)는 예를 들어 적재대(10)에 적재된 용지(P)중에서 가장 위에 위치된 용지(P1)에 접촉된다. 픽업 부재는 롤러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벨트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픽업 롤러(20)가 회전되면, 용지(P1)가 적재대(10)로부터 인출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용지(P1)와 그 아래에 위치된 한 장 이상의 용지(P2)가 함께 인출될 수도 있으며, 이를 중송(multi-feeding)이라 한다.
중송은 적재대(10)에 적재된 용지(P)들 상호간의 밀착력이 강한 경우에 잘 일어난다. 적재대(10)에 적재된 용지(P)들 상호간의 밀착력이 강한 경우에는 픽업 롤러(20)가 회전되더라도 용지(P)가 인출되지 않는 미스 피딩(mis-feeding)이 발생될 수도 있다.
급지 장치(1)는 중송이 일어난 경우, 한 장의 용지, 예를 들어 용지(P1)만을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분리 유닛(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분리 유닛(30)은 마찰 분리 구조, 역전 분리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역전 분리 구조를 채용한 분리 유닛(30)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리 유닛(30)은 피드 롤러(31), 리타드 롤러(32), 토오크 리미터(33)를 구비한다. 피드 롤러(31)와 리타드 롤러(32)는 서로 맞물려 회전된다. 피드 롤러(31)는 용지(P)를 인출방향(A1)으로 이송시키는 제1방향(B1)으로 회전된다. 리타드 롤러(32)는 용지(P)를 인출방향(A1)의 역방향(A2)으로 이송시키는 제2방향(B2)으로 회전된다. 구동기어(34)는 리타드 롤러(32)에 제2방향(B2)의 구동력을 제공한다. 토오크 리미터(33)는 리타드 롤러(32)에 전달되는 제2방향(B2)의 구동력을 단속한다. 토오크 리미터(33)는 리타드 롤러(32)에 걸치는 부하 토오크의 크기에 따라서 리타드 롤러(32)에 전달되는 제2방향(B2)의 구동력을 단속한다. 토오크 리미터(33)는 리타드 롤러(32)에 걸치는 부하 토오크가 토오크 리미터(33)에 의하여 제공되는 역치 토오크를 넘어서면 리타드 롤러(32)에 전달되는 제2방향(B2)의 구동력을 차단한다. 이 경우, 리타드 롤러(32)는 피드 롤러(31)에 의하여 제3방향(B3)으로 회전된다.
토오크 리미터(33)는 알려진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오크 리미터(33)는 스프링 클러치 구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리타드 롤러(32)는 회전축(321)과, 회전축(321)에 설치되며 피드 롤러(31)와 맞물리는 롤러부(322)를 구비한다. 회전축(321)과 롤러부(322)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또는 회전축(321)에 롤러부(322)가 고정된 경우, 회전축(321)과 구동 기어(322)는 토오크 리미터(3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클러치 스프링(미도시)이 회전축(321) 또는 회전축(321)에 고정된 허브에 삽입될 수 있으며, 그 조임력에 의하여 소정의 역치 토오크를 제공할 수 있다. 구동 기어(34)는 클러치 스프링에 제2방향(B2)의 구동력을 제공한다. 회전축(321)에 걸리는 부하 토오크가 역치 토오크보다 작을 때에는 회전축(321)이 제2방향(B2)으로 회전된다. 회전축(321)에 걸리는 부하 토오크가 역치 토오크보다 커지면, 클러치 스프링이 벌어지면서 구동 기어(34)의 구동력이 차단된다.
롤러부(322)가 회전축(321)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경우, 회전축(321)과 롤러부(322)가 토오크 리미터(3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클러치 스프링(미도시)이 회전축(321) 또는 회전축(321)에 고정된 허브에 삽입될 수 있으며, 그 조임력에 의하여 소정의 역치 토오크를 제공할 수 있다. 클러치 스프링의 일단부는 롤러부(322)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 기어(34)는 회전축(321)에 고정되어 회전축(321)를 제2방향(B2)으로 회전시킨다. 롤러부(322)에 걸치는 부하 토오크가 역치 토오크보다 작을 때에는 롤러부(322)가 제2방향(B2)으로 회전되며, 롤러부(322)에 걸치는 부하 토오크가 역치 토오크보다 커지면, 클러치 스프링이 벌어지면서 회전축(321)과 롤러부(322) 사이의 구동 연결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분리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피드 롤러(31)와 리타드 롤러(32) 사이에 용지(P)가 없거나 한 장의 용지(P)만이 인입된 경우에는, 리타드 롤러(32)에 걸리는 부하 토오크가 토오크 리미터(33)의 역치 토오크보다 커서, 토오크 리미터(33)에 의하여 리타드 롤러(32)로의 구동력이 차단된다. 따라서, 리타드 롤러(32)는 피드 롤러(31)와 함께 용지(P)를 인출방향(A1)으로 이송시키는 제3방향(B3)으로 회전된다.
피드 롤러(31)와 리타드 롤러(32) 사이에 두 장 이상의 용지(P), 예를 들어, 용지(P1)과 용지(P2)가 인입되면, 용지(P1)와 용지(P2)는 각각 피드 롤러(31)와 리타드 롤러(32)에 접촉된다. 이때, 용지(P1)와 용지(P2) 사이의 마찰력은 용지(P2)와 리타드 롤러(32)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다. 따라서, 용지(P1)와 용지(P2)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되며, 리타드 롤러(32)에 작용되는 부하 토오크는 토오크 리미터(33)에 의하여 제공되는 역치 토오크보다 작다. 리타드 롤러(32)는 제2방향(B2)으로 회전되고, 용지(P2)는 리타드 롤러(32)에 의하여 인출방향(A1)의 역방향(A2)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용지(P1)만이 피드 롤러(31)와 리타드 롤러(32) 사이를 통과하여 인출방향(A1)으로 이송된다.
픽업 롤러(20)에 의하여 적재대(10)로부터 인출되는 용지(P)의 매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분리 유닛(30)에 의한 분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픽업 롤러(30)에 의하여 적재대(10)로부터 인출되는 용지(P)의 매수를 가급적 줄일 필요가 있다. 중속과 미스 피딩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어 급지 장치(1)의 용지 인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재대(10)에 적재된 용지(P)들을 상호 분리시켜 밀착력을 약화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급지 장치(1)에는, 용지(P)에 공기를 공급하여 용지(P)들을 상호 분리시키는 송풍 수단(40)이 마련된다.
공기를 횡방향, 즉 인출방향(A1)과 직교하는 용지(P)의 폭방향으로 공급하는 횡방향 송풍 구조도 고려될 수 있다. 횡방향 송풍 구조는 송풍수단을 용지(P)의 폭방향의 일측에 설치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공기를 용지(P)의 폭방향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충분히 공급하기 위하여는 송풍 용량이 큰 송풍기가 채용되어야 한다. 이 경우 송풍기가 설치된 쪽은 용지(P)가 과도하게 들뜨게 되어 미스 피딩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송풍기를 용지(P)의 폭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에 각각 설치하는 경우,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횡방향 송풍 구조는 급지 장치(1)가 예를 들어 상자 형태의 하우징 속에 내장된 구조에는 적용될 수 있으나, 다목적 트레이(MPT: multi-purpose tray) 또는 스캐너의 원고 공급 장치 등, 적재대(10)의 횡방향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가 개방된 구조의 급지 장치에서는 횡방향 송풍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적용되기 어렵다.
본 실시예의 송풍수단(40)은 용지(P)의 인출방향(A1)을 기준으로 하여 선단부(PF)의 하류쪽으로부터 선단부(PF)에 공기를 공급한다. 송풍수단(40)에 의하여 선단부(PF)에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은 인출방향(A1)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여기서 '반대 방향'은 엄밀하게 A2 방향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선단부(PF)의 하루쪽에서 선단부(PF)를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송풍 수단(40)은 다목적 트레이(MPT: multi-purpose tray) 또는 스캐너의 원고 공급 장치 등, 적재대(10)의 횡방향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가 개방된 구조의 급지 장치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송풍수단(40)에 의하여 공기가 용지(P)의 선단부(PF)로 공급되면, 적재대(10)에 적재된 용지(P)들이 들뜨면서 용지(P)들이 상호 분리되어 밀착력이 약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송풍 수단(40)은 공기를 맥동(pulsation)시킨다. 공기가 맥동되면 용지(P)에 맥동 형태의 충격이 가해지므로 용지(P)들이 더 용이하게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송풍 수단(40)은 공기를 맥동시켜 적재대(10)에 적재된 용지(P)의 선단부(PF)로 공급한다.
공기를 맥동시키기 위하여, 송풍기(41)를 단속적으로 구동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송풍기(41)의 구동회로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상승될 수 있다. 송풍기(41)로부터 용지(P) 선단에 이르는 공기 통로에 셔터(shutter)를 설치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수단이 필요하여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상승될 수 있다.
송풍 수단(40)은 분리 유닛(30)과 연동하여 공기를 맥동시킨다. 송풍 수단(40)은 송풍기(41)과, 맥동 부재(4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맥동 부재(42)는 송풍기(4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맥동시켜 적재대(10)에 적재된 용지(P)의 선단부(PF)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맥동 부재(41)는 리타드 롤러(32)의 회전과 연결되어 공기를 맥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송풍기(41)의 단속적 구동 또는 셔터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채용하지 않고 공기를 맥동시킨다.
도 3은 급지 장치(1)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X1-X1' 단면도이다. 도 5는 풍차(420)와 회전축(321)과의 결합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 피드 롤러(31)는 생략된다.
도 3, 도 4,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맥동 부재(42)는 풍차(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오크 리미터(33)는 구동 기어(34)와 회전축(321)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오크 리미터(33)는 회전축(321)과 롤러부(322)를 연결할 수도 있다.
풍차(420)는 리타드 롤러(32)의 회전축(321)에 결합되어 회전축(32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풍차(420)는 하나 이상의 날개(42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풍차(420)는 세 개의 날개(421)를 구비한다. 풍차(420)의 직경은 용지(P)의 인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리타드 롤러(32), 상세히는 롤러부(322)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풍차(420)는 회전축(321)에 고정될 수 있다. 풍차(420)는 회전축(321)에 억지끼워맞춤방식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차(420)는 회전축(321)에 스냅-핏(sanp-fit) 방식에 의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321)에는 디-컷((D-CUT)부(321-1)가 마련되고, 풍차(420)에는 이와 상보적인 형태의 관통공(423)이 마련될 수 있다. 관통공(423)의 벽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후크(424)를 구비하는 탄력 아암(425)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축(321)에는 홈(321-12)이 마련될 수 있다. 관통공(423)에 디-컷부(321-1)가 삽입되도록 풍차(420-)를 회전축(321)의 축방향으로 밀면, 후크(424)가 회전축(321)에 접촉되어 탄력아암(425)이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밀린다. 후크(424)가 홈(321-2)에 도달되면, 탄력 아암(425)이 내측으로 복귀되면서 후크(424)가 홈(321-2)에 삽입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차(420)는 롤러부(322)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롤러부(322)는 회전축(321)에 삽입되는 허브(322-1)와, 허브(322-1)의 외주에 삽입되는 고무부(322-2)를 포함할 수 있다. 풍차(420)에는 허브(322-1)의 내측으로 연장된 탄력아암(425)이 마련되고, 탄력 아암(425)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후크(424)가 마련될 수 있다. 허브(322-2)에는 후크(424)가 결합되는 홈(322-3)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풍차(420)는 롤러부(32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풍차(420)는 롤러부(32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풍차(420)는 허브(32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부재(430)는 송풍기(4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풍차(420)로 안내한다. 안내 부재(430)는 공기 챔버(440)를 형성할 수 있으며, 풍차(420)는 공기 챔버(44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안내 부재(430)는 풍차(420)를 에워싸서 공기 챔버(440)를 형성할 수 있다. 안내 부재(430)에는 공기 유입구(431)와 공기 배출구(43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기(41)는 축방향으로 풍차(420)에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431)는 안내 부재(430)의 회전축(321) 방향의 일측벽(433)에 마련된다. 공기 배출구(432)는 적재대(10) 쪽의 측벽(434)에 마련된다.
풍차(420)가 결합된 리타드 롤러(32)의 조립 편의성을 위하여 안내 부재(43)의 공기 유입구(431)의 반대쪽 측벽(435)은 개방될 수 있다. 풍차(420)의 회전축(321) 방향의 일측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차단판(422)이 마련될 수 있다. 차단판(422)은 안내 부재(430)와 함께 공기 챔버(440)를 형성할 수 있다. 날개(421)는 안내 부재(43)와 차단판(422)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 챔버를 둘 이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세 개의 날개(421)에 의하여 공기 챔버가 세 개의 서브 챔버(44)로 분할된다.
도 6은 급지 장치(1)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개략적인 X2-X2' 단면도이다. 도 6에서 피드 롤러(31)는 생략된다. 본 실시예의 급지 장치(1)는 송풍기(41)가 횡방향으로 안내 부재(430)에 공기를 공급한다는 점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급지 장치(1)와 차이가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송풍기(41)는 횡방향으로 풍차(420)에 공기를 공급하므로, 공기 유입구(431)는 안내 부재(430)의 횡방향의 일측벽(436)에 마련된다. 공기 배출구(432)는 적재대(10) 쪽의 측벽(434)에 마련된다. 풍차(420)가 결합된 리타드 롤러(32)의 조립 편의성을 위하여 안내 부재(430)의 회전축(321) 방향의 일 측벽(435)은 개방될 수 있다. 풍차(420)의 회전축(321) 방향의 일측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안내 부재(430)와 함께 공기 챔버(440)를 형성하는 차단판(422)이 마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세 개의 날개(421)를 구비하는 풍차(420)가 채용되나, 풍차(420)의 날개(421)의 갯수는 하나일 수 있도 있다. 이 경우, 날개(421)는 풍차(420)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두 개의 공기 챔버(44)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날개(421)는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풍차(420)는 리타드 롤러(3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송풍기(41)에 의하여 공급된 공기는 공기 유입구(431)를 통하여 공기 챔버 내부로 유입된다. 서브 챔버(44)들 중에서 공기 배출구(432)와 대향되지 않은 서브 챔버(44)들 내에서 공기가 압축된다. 풍차(420)가 회전됨에 따라 서브 챔버(44) 들이 차례로 공기 배출구(432)와 대향되며, 압축되었던 공기가 공기 배출구(432)를 통하여 적재대(10)에 적재된 용기(P)의 선단부(PF)로 공급된다. 서브 챔버(44) 내에서 압축되었던 공기가 순차로 공기 배출구(432)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공기가 맥동되면서 적재대(10)에 적재된 용기(P)의 선단부(PF)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맥동 부재(42)에 의하여 공기를 맥동시키는 급지 장치(1)가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풍차(420)가 리타드 롤러(32)의 회전축(321)에 설치됨으로써, 리타드 롤러(32)와 함께 회전되나, 풍차(420)를 회전시키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급지 장치(1)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8에서 피드 롤러(31)와 송풍기(41)는 생략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풍차(420)는 회전축(420-1)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리타드 롤러(32)의 회전축(321)에는 제1기어(323)가 설치되며, 회전축(420-1)에는 제1기어(323)와 맞물리는 제2기어(420-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풍차(420)는 리타드 롤러(3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속도 설정 및 회전 방향 설정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제1, 제2기어(323)(420-2) 사이에 하나 이상의 기어(미도시)가 개재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급지 장치(1)는 용지 들림 감지 센서(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용지 들림 감지 센서(45)는 송풍수단(40)에 의한 적재대(10)에 적재된 용지(P)의 들림량을 감지한다. 용지(P)가 과도하게 들리면, 픽업 롤러(20)에 의하여 적재대(10)로부터 인출된 용지(P)가 피드 롤러(31)에 부딪혀서 피드 롤러(31)와 리타드 롤러(32) 사이로 인입되지 못하고 용지 잼이 발생될 수 있다. 용지 들림 감지 센서(45)는 용지(P)의 과도한 들림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용지 들림 감지 센서(45)는 적재대(10)에 적재된 용지(P)들 중에서 가장 위쪽에 위치되는 용지(P1)로부터 용지(P)의 적재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어 적재대(10) 쪽으로 광을 조사하고, 송풍수단(4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들린 한 장 이상의 용지(P)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함으로써, 용지(P)가 과도하게 들렸는지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용지 들림 감지 센서(45)의 용지(P1)으로부터의 이격 거리(D)는 픽업롤러(20)와 분리유닛(30)사이의 거리, 피드 롤러(31)의 직경 등을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용지 들림 감지 센서(45)의 검출신호로부터 용지(P)가 과도하게 들렸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어부(50)는 용지 인출 개시 전과, 용지 인출 개시 후에 용지의 들림 여부를 체크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송풍기(41)가 기준 회전 속도로 회전되도록 구동한 후 픽업 롤러(20)의 구동을 개시하기 전에 용지(P)가 과도하게 들렸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송풍기(41)의 구동 개시 후 T msec가 경과한 때에 용지 들림 감지 센서(45)로부터 용지(P)가 과도하게 들렸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용지(P)가 과도하게 들린 경우, 송풍기(41)의 초기 회전에 의하여 적재대(10)에 적재된 용지(P)의 상호간의 밀착력이 어느 정도 완화된 상태이므로, 제어부(50)는 송풍기(41)의 회전속도를 줄인 후에 픽업 롤러(20)의 구동을 개시한다. 송풍기(41)의 회전속도는 기준 회전속도의 반정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송풍기(41)를 오프(OFF) 시킨 후에 픽업 롤러(20)의 구동을 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50)는 픽업 롤러(20)의 구동이 개시된 후에 다시 픽업 롤러(20)에 의하여 적재대(10)로부터 인출되는 한 장 이상의 용지(P)가 과도하게 들렸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용지(P)가 과도하게 들린 경우, 제어부(50)는 송풍기(41)의 회전속도를 줄인다. 송풍기(41)의 회전속도는 기준 회전속도의 반정도일 수 있다. 제어부(50)는 다음 용지(P)의 인출을 개시하기 전에 송풍기(41)의 회전속도를 기준 회전속도로 바꿀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송풍기(41)를 오프(OFF) 시키고, 다음 용지의 인출을 개시하기 전에 송풍기(41)를 온(ON)시킬 수도 있다.
도 9는 급지 장치(1)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9에서 피드 롤러(31)는 생략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급지 장치(1)는 송풍기(41)와 안내 부재(430) 사이에 압축 챔버(450)가 배치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급지 장치(1)와 동일하다. 송풍기(4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압축 챔버(450)를 거쳐서 공기 유입구(431)를 통하여 안내 부재(430)의 내부로 공급된다.
도 10은 급지 장치(1)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0에서 피드 롤러(31)는 생략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급지 장치(1)는 송풍기(41)와 안내 부재(430) 사이에 압축 챔버(450)가 배치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6에 도시된 급지 장치(1)와 동일하다. 송풍기(4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압축 챔버(450)를 거쳐서 공기 유입구(431)를 통하여 안내 부재(43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분리 유닛(30)의 구동이 개시되기 전에 송풍기(41)의 구동이 먼저 개시되면, 공기가 압축 챔버(450) 및 공기 챔버(440) 내에서 압축되며, 분리 유닛(30)의 구동이 개시되어 풍차(420)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압축된 공기가 강한 압력으로 용지(P)의 선단부(PF)로 공급될 수 있어, 용지(P)들의 밀착력을 효과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다.
도 11은 분리 유닛(30)과 송풍기(41)의 구동이 개시되고, 픽업 롤러(20)의 구동이 개시되기 전의 급지 장치(1)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 12는 적재대(10)로부터 가장 위에 위치된 용지(P1)가 인출된 상태의 급지 장치(1)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 13은 적재대(10)로부터 두 장의 용지(P1)(P2)가 인출된 상태의 급지 장치(1)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 11 내지 도 13에서 안내 부재(430)는 간략하게 도시되며, 송풍기(41)는 생략된다. 이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급지 장치(1)의 용지 인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토오크 리미터(33)가 회전축(321)과 롤러부(322)를 연결하고, 풍차(420)가 회전축(321)에 고정된 구조인 경우의 용지 인출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회전축(321)은 구동 기어(34)에 의하여 항상 제2방향(B2)으로 회전되며, 풍차(420) 역시 항상 제2방향(B2)으로 회전된다. 롤러부(322)는 피드 롤러(31)와 롤러부(322) 사이에 용지(P)가 있는지 여부와 몇 장의 용지(P)가 있는지에 따라서 제1방향(B1) 또는 제2방향(B2)으로 회전된다.
분리 유닛(30)과 송풍기(41)의 구동이 개시된다. 분리유닛(30)과 송풍기(41)는 동시에 구동이 개시될 수 있으며, 둘 중 어느 하나가 먼저 구동 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기(41)의 구동이 개시된 후에 분리유닛(30)의 구동이 개시된다. 송풍기(41)는 기준 회전 속도로 구동된다.
압축 챔버(450)가 구비된 경우, 송풍기(41)가 구동되고 분리유닛(30)이 구동되지 않는 동안에 공기는 압축 챔버(450) 및 공기 챔버(440) 내에서 압축된다. 송풍기(41)의 구동이 개시된 후 T 밀리초 후에 용지 들림 센서(45)의 검출신호로부터 용지(P)의 과도한 들림 여부가 결정된다. 용지(P)의 과도한 들림이 검출되면, 송풍기(41)의 회전속도를 기준 회전 속도보다 낮게 할 수 있으며, 송풍기(41)를 오프(OFF)시킬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분리 유닛(30)과 송풍기(41)의 구동이 개시되면, 회전축(321)은 제2방향(B2)으로 회전된다. 롤러부(322)는 피드 롤러(31)와 접촉되어 있으므로, 롤러부(322)에 가해지는 부하 토오크가 토오크 리미터(33)의 역치 토오크보다 크다. 따라서, 롤러부(322)는 피드 롤러(31)를 따라서 제3방향(B3)으로 회전된다. 풍차(420)는 회전축(321)과 함께 제2방향(B2)으로 회전된다.
송풍기(41)는 서브 챔버(44a)(44b)(44c)로 공기를 공급한다. 서브 챔버(44a)는 공기 배출구(432)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서브 챔버(44a)로 공급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432)를 통하여 용지(P)의 선단부(PF)로 공급된다. 공기는 용지(P)들 사이로 공급되며, 용지(P)들이 서로 들뜬다. 이에 의하여 용지(P)들 사이의 밀착력이 약화된다.
풍차(420)가 제2방향(B2)으로 회전됨에 따라 서브 챔버(44b)와 서브 챔버(44c)가 순차로 공기 배출구(432)와 대향되며, 공기가 선단부(PF) 쪽으로 공급된다. 서브 챔버(44b)(44c)로 공급된 공기는 서브 챔버(44b)(44c)가 공기 배출구(432)와 대향되지 않는 동안에 서브 챔버(44b)(44c) 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챔버(44a)(44b)(44c)가 순차로 공기 배출구(432)와 대향됨에 따라, 공기가 맥동되면서 적재대(10)에 적재된 용지(P)들의 선단부(PF)로 공급되어 용지(P)들을 진동시켜 용지(P)들 간의 밀착력을 더 약화시킬 수 있다. 공기 챔버(440)를 형성하지 않는 구조, 즉 안내 부재(430)가 단지 송풍기(4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풍차(420)로 안내하는 구조인 경우, 서브 챔버(44b)(44c)로 공급된 공기는 압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픽업 롤러(20)의 구동이 개시된다. 픽업 롤러(20)에 의하여 픽업 롤러(20)와 접촉된 용지(P1) 만이 적재대(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들림 감지 센서(45)에 의하여 용지(P)의 과도한 들림이 감지된 경우 송풍기(41)의 회전속도를 줄일 수 있다.
용지(P1)가 피드 롤러(31)와 롤러부(322) 사이로 인입된 상태에서도 롤러부(322)에 가해지는 부하 토오크가 토오크 리미터(33)의 역치 토오크보다 크므로, 롤러부(322)는 피드 롤러(31)를 따라서 제3방향(B3)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용지(P1)는 인출방향(A1)으로 이송된다.
풍차(420)는 회전축(321)과 함께 제2방향(B2)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공기는 서브 챔버(44a)(44b)(44c) 내부에서 압축되었다가 순차로 공기 배출구(432)를 통하여 선단부(PF)로 맥동 형태로 공급된다. 이때, 공기가 용지(P1)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공기가 분산되지 않고 더욱 강하게 선단부(PF)에 작용된다. 따라서, 용지(P1)이 인출되는 동안에 그 아래에 위치된 용지(P2)가 용지(P1)을 따라 인출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픽업 롤러(20)에 의하여 여러 장의 용지(P)가 적재대(1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즉, 중송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여러 장의 용지(P), 예를 들어 용지(P1)과 용지(P2)가 적재대(10)로부터 인출되어 피드 롤러(31)와 롤러부(322)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 그러면, 피드 롤러(31)와 롤러부(322)가 접촉된 영역에서 용지(P1)과 용지(P2)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며, 롤러부(322)에 걸치는 부하 토오크가 토오크 리미터(33)의 역치 토오크보다 작아진다. 그러면, 롤러부(322)가 회전축(321)과 함께 제2방향(B2)으로 회전되며, 용지(P2)는 롤러부(322)에 의하여 인출방향(A1)의 역방향(A2)로 이송된다. 따라서, 위쪽의 용지(P1)만이 분리되어 인출방향(A1)으로 이송된다. 이때에도, 공기가 용지(P2)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공기가 분산되지 않고 더욱 강하게 선단부(PF)에 작용되며, 용지(P2)의 아래에 있는 용지(P)가 용지(P2)을 따라 인출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토오크 리미터(33)가 구동 기어(34)와 회전축(321)을 연결하고, 풍차(420)가 회전축(321)에 고정된 구조인 경우의 용지 인출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회전축(321)과 롤러부(322)는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며, 풍차(420) 역시 회전축(32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상태, 즉, 피드 롤러(31)와 롤러부(322) 사이에 용지(P)가 없거나 한 장의 용지(P)만이 있는 경우에는, 리타드 롤러(32)에 걸리는 부하 토오크가 토오크 리미터(33)의 역치 토오크보다 크므로, 구동 기어(34)와 회전축(321) 사이의 동력 연결이 차단된다. 따라서, 리타드 롤러(32)는 피드 롤러(31)에 의하여 제3방향(B3)으로 회전되며, 풍차(420) 역시 제3방향(B3)으로 회전된다. 도 13에 도시된 상태, 즉, 피드 롤러(31)와 롤러부(322) 사이에 두 장 이상의 용지(P)가 있는 경우에는, 리타드 롤러(32)에 걸리는 부하 토오크가 토오크 리미터(33)의 역치 토오크보다 작아지므로, 구동 기어(34)와 회전축(321) 사이의 동력 연결이 유지된다. 따라서, 리타드 롤러(32)는 구동 기어(34)에 의하여 제2방향(B2)으로 회전되며, 풍차(420) 역시 제2방향(B2)으로 회전된다.
토오크 리미터(33)가 회전축(321)과 롤러부(322)를 연결하고 풍차(420)가 롤러부(322)에 고정되거나 또는 롤러부(322)와 일체로 형성된 경우와, 토오크 리미터(33)가 구동 기어(34)와 회전축(321)을 연결하고 풍차(420)가 롤러부(322)에 고정되거나 또는 롤러부(322)와 일체로 형성된 경우의 용지 인출 동작은 토오크 리미터(33)가 구동 기어(34)와 회전축(321)을 연결하고, 풍차(420)가 회전축(321)에 고정된 구조인 경우의 용지 인출 동작과 동일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차(420)가 기어구조에 의하여 회전축(321)과 연결된 경우, 풍차(420)는 회전축(321)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의한 용지 인출 동작은 풍차(420)의 회전방향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전술한 급지 장치(1)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급지 장치(1)가 채용된 매체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매체처리장치는, 급지 장치(1)와, 급지 장치(1)로부터 용지(P)를 공급 받아 용지(P)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매체처리부(2)를 구비한다. 프로세싱이 완료된 용지(P)는 배지대(3)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5는 급지 장치(1)가 채용된 스캐너 장치(6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스캐너 장치(600)는 급지장치(1)와, 급지장치(1)로부터 공급된 원고(D)를 이송시키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매체처리부를 구비한다. 매체처리부는 원고이송유닛(600a)과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독취유닛(600b)을 포함할 수 있다. 급지 장치(1)로서, 도 1 내지 도 13에서 설명된 급지 장치(1)가 채용된다. 스캐너 장치(600)는 원고(D)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이는 장치이므로, 급지 장치(1)는 원고(D)를 이송시킨다.
독취유닛(600b)에는 원고(D)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한 독취부재(650)가 마련된다. 독취부재(650)는 원고(D)에 광을 조사하고, 원고(D)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D)의 화상을 읽어들인다. 독취부재(650)로서 예를 들어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스캐너 장치(600)는 원고(D)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예를 들어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독취부재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방식과, 독취부재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D)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방식과, 이들의 복합 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의 스캐너 장치(600)는 플랫베드 방식 및 원고이송방식이 복합된 복합 방식의 스캐너 장치이다.
독취유닛(600b)에는 플랫베드 방식으로 원고(D)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하여 원고(D)가 놓여지는 플라텐 글래스(660)가 마련된다. 또한, 독취유닛(600b)에는 원고이송방식으로 원고(D)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한 독취창(670)이 마련된다. 독취창(670)은 예를 들어 투명 부재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독취창(670)의 상면은 플라텐 글래스(66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면일 수 있다.
원고이송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독취부재(650)는 독취창(670)의 아래에 위치된다. 플랫베드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독취부재(650)는 도시되지 않은 이동수단에 의하여 플라텐 글래스(660)의 아래에서 부주사 방향(S), 즉 원고(D)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플랫베드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플라텐 글래스(660) 위에 원고(D)를 올려놓기 위하여 플라텐 글래스(660)를 외부로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원고이송유닛(600a)은 독취유닛(600b)에 대하여 회동되어 플라텐 글래스(66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원고이송유닛(600a)은 독취부재(650)가 원고(D)에 기록된 화상을 읽을 수 있도록 원고(D)를 이송시키고, 독취가 완료된 원고(D)를 배출한다. 이를 위하여, 원고이송유닛(600a)에는 원고이송경로(610)가 마련되며, 독취 부재(650)는 원고이송경로(610)를 따라 이송되는 원고(D)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인다. 원고이송경로(610)는 예를 들어, 공급 경로(611), 독취 경로(612), 및 배출 경로(613)를 포함할 수 있다. 독취 경로(612)에서는 독취부재(650)가 배치되며, 독취 경로(612)를 통과하는 동안에 원고(D)에 기록된 화상이 독취부재(650)에 의하여 독취된다. 공급 경로(611)는 독취 경로(612)로 원고(D)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로서, 적재대(10)에 적재된 원고(D)는 공급 경로(611)를 통하여 독취 경로(612)로 공급된다. 배출 경로(613)는 독취 경로(612)를 통과한 원고(D)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이다. 따라서, 적재대(10)에 적재된 원고(D)는 공급 경로(611), 독취 경로(612), 및 배출 경로(613)를 따라 이송되며, 배출 트레이(630)로 배출된다.
원고이송경로(610)에는 급지 장치(1)에 의하여 적재대(10)로부터 인출된 원고(D)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롤러(621)(62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 롤러(621)(622) 각각은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독취 경로(612)에는 원고(D)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623)(626)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취 부재(650)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는 원고(D)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623)(626)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 롤러(623)(626) 각각은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독취 경로(612)에는 독취 부재(650)와 대향된 독취 가이드 부재(624)가 배치된다. 독취 가이드 부재(624)는 독취창(670)에 자중에 의하여 또는 탄성부재(625)에 의하여 가압되며, 원고(D)는 독취창(670)과 독취 가이드 부재(624) 사이로 이송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독취 가이드 부재(624) 대신에 독취창(670)에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회전되며, 그 사이로 공급되는 원고(D)를 이송시키는 독취롤러가 채용될 수도 있다.
배출 경로(613)에는 독취가 완료된 원고(D)를 배출하는 배출 롤러(627)가 배치된다. 배출롤러(627)는 구동 롤러와 종동 롤러가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급지 장치(1)로부터 공급된 원고(D)는 공급경로(611), 독취 경로(612), 배출경로(613)를 따라 이송되며, 독취부재(650)는 원고(D)로부터 화상을 독취할 수 있다.
도 16은 급지 장치(1)가 채용된 화상형성장치(7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급지 장치(1)와, 급지장치(1)로부터 공급된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매체처리부)(700a)을 구비한다. 도 16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장치(1)는 카세트 급지 장치의 형태로 인쇄유닛(700a)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 장치(1)는 인쇄유닛(700a)의 일 측부에 위치되는 다목적 트레이(MPT: multi-purpose tray)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인쇄유닛(700a)은 전자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열승화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P)에 칼라화상을 인쇄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인쇄유닛(700a)은 복수의 현상기(710), 노광기(720), 전사기, 정착기(740)를 포함할 수 있다.
칼라 인쇄를 위하여, 복수의 현상기(710)는 예를 들어,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4 개의 현상기(710)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현상기(710)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수용될 수 있다. 인쇄유닛(700a)은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7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현상기(710)는 감광드럼(7a)를 포함한다. 감광드럼(7a)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7c)는 감광드럼(7a)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클리닝 블레이드(7d)는 후술하는 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7a)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의 일 예이다.
현상기(710)는 그 내부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7a)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 방식으로는, 토너를 사용하는 일성분 현상방식과, 토너와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성분 현상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기(710)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한다. 현상롤러(7b)는 토너를 감광드럼(7a)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현상롤러(7b)에는 토너를 감광드럼(7a)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일성분 현상방식은 현상롤러(7b)와 감광드럼(7a)이 서로 접촉되어 회전되는 접촉 현상방식과, 현상롤러(7b)와 감광드럼(7a)이 서로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되는 비접촉 현상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급롤러(7e)는 현상기(710) 내의 토너를 현상롤러(7b)의 표면으로 공급한다. 공급롤러(7e)에는 현상기(710) 내의 토너를 현상롤러(7b)의 표면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노광기(72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7a)에 조사하여 감광드럼(7a)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710)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전사기는 중간전사벨트(731)와, 1차전사롤러(372)와, 2차전사롤러(733)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전사벨트(731)에는 4 개의 현상기(710)의 감광드럼(7a)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일시적으로 전사된다. 중간전사벨트(731)는 지지 롤러(734)(735)(736)에 의하여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중간전사벨트(731)를 사이에 두고 4개의 현상기(710)의 감광드럼(7a)과 대면되는 위치에 4개의 1차전사롤러(732)가 배치된다. 4 개의 1차전사롤러(732)에는 감광드럼(7a)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중간전사벨트(731)로 1차전사시키기 위한 1차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2차전사롤러(733)는 중간전사벨트(731)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2차전사롤러(733)에는 중간전사벨트(731)에 1차 전사된 토너화상을 용지(P)로 전사시키기 위한 2차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등으로부터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미도시)는 대전롤러(7c)를 이용하여 감광드럼(7a)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노광기(720)는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4 개의 광빔을 4개의 현상기(710)의 감광드럼(7a)으로 주사하여 감광드럼(7a)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7b)는 대응되는 감광드럼(7a)에 각각 C, M, Y, K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된 토너화상들은 중간전사벨트(731)로 1차전사된다. 급지장치(1)로부터 용지(P)는 2차전사롤러(733)와 중간전사벨트(731)에 의하여 형성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2차전사롤러(733)에 인가되는 2차전사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중간전사벨트(731) 위에 1차전사된 토너화상들은 용지(P)로 2차전사된다. 용지(P)가 정착기(74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들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용지(P)에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용지(P)는 배출롤러(75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스캐너 장치(600)와 화상형성장치(700)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서로 결합된 복합기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복합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인쇄유닛(700a)의 상부에 스캐너(600)가 배치된다. 스캐너(600)와 인쇄유닛(700a)의 구조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다. 인쇄유닛(700a)에 용지(P)를 공급하는 급지 장치(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급지 장치(1)의 실시예들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유닛(700a)의 측부에 위치되는 다목적 트레이, 인쇄유닛(700a)의 아래에 설치되는 주 카세트 급지 장치(main cassette feeder)(810), 주 카세트 급지 장치(main cassette feeder)(810)의 아래에 설치되는 부 카세트 급지 장치(secondary cassette feeder)(820), 주 카세트 급지 장치(main cassette feeder)(810)의 아래 또는 부 카세트 급지 장치(secondary cassette feeder)(820)의 아래에 설치되는 대용량 급지 장치(high capacity feeder)(830), 또는 인쇄유닛(700a)측부에 설치되는 대용량 급지 장치(high capacity feeder)(840)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급지 장치 2...매체처리부
3...배지대 10...적재대
20...픽업롤러 30...분리유닛
31...피드 롤러 32...리타드 롤러
321...회전축 322...롤러부
33...토오크 리미터 34...구동 기어
40...송풍 수단 41...송풍기
42...맥동 부재 420...풍차
421...날개 422...차단판
430...안내부 44...서브 챔버
440...공기 챔버 450...압축 챔버
600...스캐너 장치 600a...원고이송유닛
600b...독취유닛 700...화상형성장치
700a...인쇄유닛 810...주 카세트 급지 장치
820...부 카세트 급지 장치 830, 840...대용량 급지 장치

Claims (17)

  1. 시트 상의 매체가 적재되는 적재대;
    상기 적재대로부터 상기 매체를 인출하는 픽업 부재;
    상기 매체의 인출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적재대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적재대에 적재된 매체의 선단부에 맥동 형태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 수단;을 포함하는 급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에 의하여 상기 적재대로부터 인출된 매체를 한 장씩 분리하는 분리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송풍 수단은 상기 분리 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공기를 맥동시키는 급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송풍기;
    상기 분리 유닛과 연동하여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맥동시키는 맥동 부재;를 포함하는 급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맥동 부재는,
    하나 이상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 유닛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풍차;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풍차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급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공기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송풍기와 연결된 공기 유입구와 상기 적재대 쪽으로 개구된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풍차는 상기 공기 챔버 내에 위치되는 급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공기 챔버를 둘 이상의 서브 챔버로 분할하는 급지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의 일 측벽은 개방되고, 상기 송풍기와 연결된 공기 유입구와 상기 적재대 쪽으로 개구된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풍차에는 상기 안내 부재의 개방된 일 측벽에 대응되어 상기 안내 부재와 함께 공기 챔버를 형성하는 차단판이 마련되며,
    상기 날개는 상기 공기 챔버를 둘 이상의 서브 챔버로 분할하는 급지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상기 픽업 부재에 의하여 인출된 매체를 상기 인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드 롤러;
    상기 피드 롤러와 맞물리는 리타드 롤러;
    상기 리타드 롤러에 상기 매체를 상기 인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상기 제2방향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기어;
    상기 리타드 롤러에 전달되는 상기 제2방향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토오크 리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풍차는 상기 리타드 롤러와 함께 회전되는 급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타드 롤러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피드 롤러와 접촉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풍차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롤러부 중 하나에 결합되는 급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 리미터는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급지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 리미터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롤러부를 연결하는 급지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풍차는 상기 회전축과 하나 이상의 기어에 의하여 연결된 급지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선단부의 과도한 들림을 감지하는 들림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는 급지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급지 장치;
    상기 급지 장치로부터 공급된 매체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매체처리부;를 포함하는 매체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처리부는 상기 매체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독취유닛을 포함하는 매체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처리부는 상기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을 포함하는 매체처리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선단부의 과도한 들림을 감지하는 들림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하는 매체처리장치.
KR1020160057808A 2016-05-11 2016-05-11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매체 처리 장치 KR20170127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808A KR20170127313A (ko) 2016-05-11 2016-05-11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매체 처리 장치
US15/591,840 US10023409B2 (en) 2016-05-11 2017-05-10 Paper feeder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6/007,063 US10538400B2 (en) 2016-05-11 2018-06-13 Paper feeder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808A KR20170127313A (ko) 2016-05-11 2016-05-11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매체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313A true KR20170127313A (ko) 2017-11-21

Family

ID=6029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808A KR20170127313A (ko) 2016-05-11 2016-05-11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매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023409B2 (ko)
KR (1) KR201701273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1909A1 (en) * 2014-06-11 2015-12-17 Curt G. Joa, Inc. Conveying or transporting substrates with little or no added vacuum
JP2021160105A (ja) * 2020-03-30 2021-10-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ート積重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カウンタエゼクタ、製函機
JP6898684B1 (ja) * 2020-11-17 2021-07-07 株式会社シンカ・アウトフィットNq 解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3983A (ko) * 1969-07-02 1973-01-24
US5344133A (en) * 1993-02-25 1994-09-06 Eastman Kodak Company Vacuum belt feeder having a positive air pressure separator and method of using a vacuum belt feeder
GB9505502D0 (en) * 1995-03-18 1995-05-03 Watkiss Automation Ltd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feeding sheet material
JP2005075540A (ja) 2003-08-29 2005-03-24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50212198A1 (en) * 2004-03-29 2005-09-29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operating a vacuum corrugated belt feeder to improve sheet acquisition from a feed supply
JP2006008380A (ja) * 2004-06-29 2006-01-12 Fuji Xerox Co Ltd シート供給装置
US7690642B2 (en) * 2007-03-09 2010-04-06 Xerox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environment within media feed stack
JP2012006716A (ja) * 2010-06-25 2012-01-12 Fuji Xerox Co Ltd 用紙供給装置及び記録材処理装置
JP2013230926A (ja) * 2012-05-01 2013-11-14 Fuji Xerox Co Ltd シート供給装置、シート収容装置、画像形成装置
KR20170022126A (ko) 2015-08-19 2017-03-0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27330A1 (en) 2017-11-16
US20180290846A1 (en) 2018-10-11
US10023409B2 (en) 2018-07-17
US10538400B2 (en)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518B2 (en) Sheet-supply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ing the same device
US10118781B2 (en) Sheet conveying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824027B2 (en) Media feeder, image scanning apparatus, multifunctional periphery, and image scanning method
US10538400B2 (en) Paper feeder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315878B2 (en) Sheet conveying device, sheet discharging device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and the sheet discharging device
JPH08259073A (ja) 排紙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53285B2 (ja) 画像形成装置
US10534301B2 (en) Medium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998197B2 (en) Sheet 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JP6214354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0392661B (zh) 利用压力的片材分离器
JP2009083988A (ja) シート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272083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176052A (ja) シート搬送分離装置
US6270075B1 (en) Vacuum transport for use in a xerographic printer
JP4995528B2 (ja) 画像形成装置
JP7446839B2 (ja) シート給送装置、シート給送装置を備えたシート読取装置、シート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190123063A (ko) 이미지 형성 장치의 반송롤러 제어를 통한 오송방지
JP2006298515A (ja) 給紙装置、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7237505B2 (ja)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6363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48646A (ja)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50874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70062B2 (ja) スタッカー装置
KR20170082339A (ko) 스캐너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스큐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