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322A -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322A
KR20170126322A KR1020160056597A KR20160056597A KR20170126322A KR 20170126322 A KR20170126322 A KR 20170126322A KR 1020160056597 A KR1020160056597 A KR 1020160056597A KR 20160056597 A KR20160056597 A KR 20160056597A KR 20170126322 A KR20170126322 A KR 20170126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s
psychotropic
information
hospital
compan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2617B1 (ko
Inventor
최성식
Original Assignee
(주)우주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텔레콤 filed Critical (주)우주텔레콤
Priority to KR1020160056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61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6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6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및 바코드, QR코드, 매트릭스 등을 포함하는 코드를 통해 의약품의 제조/수입 및 유통과정, 약국/병원에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의약품 및 폐기처분되는 의약품의 종류와 개수를 하나의 통합시스템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조/수입업체PC, 도매회사PC, 약국/병원PC 및 폐기처분업체PC와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으로 식약처서버와 연결되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제조, 수입, 공급, 반품, 폐기처분에 따른 수량을 확인하고, 또한, 약국/병원에서 소비자에게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지급에 따른 소비자정보, 수량, 지급된 횟수 등에 대한 데이터를 약국/병원PC를 통해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보고받아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불법적인 방법으로 유통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소비자가 마약성분 또는 향정신성 성분을 인위적으로 추출하여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the drug and psychotropic drugs by using RFID}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RFID 및 바코드, QR코드, 매트릭스 등을 포함하는 코드를 통해 의약품의 제조/수입 및 유통과정, 약국/병원에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의약품 및 폐기처분되는 의약품의 종류와 개수를 하나의 통합시스템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은 약물의 오남용으로 인한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단위당 가격이 낮고, 소량으로 포장되어 있어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고, 또한, 고가의 의약품은 유통기한이 경과 한 약품이 유통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문제가 발생한 의약품을 긴급하게 회수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의약품을 일반쓰레기와 함께 매립하거나 가정에서 하수도로 버려지는 지고 있어 이로인한 환경오염이 매우 심각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약품의 유통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 시도는 많았으나 실질적인 진전이 없는 상태에서, 최근 RFID의 도입을 통해 의약품 유통에 혁신적인 변화를 위하여 시범사업을 수행하였고, 시범사업이 상당한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여 가능한 한 빨리 전체 의약품 유통에 도입하기를 위한 방안으로 여러 가지 세제혜택 등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1999년부터 의약품의 RFID를 적용하여 관리를 시도한 미국도 현재까지 상용화하는 데 실패하였고, 또한, 현재 한국도 시범사업에 정부의 자금이 매칭펀드의 형식으로 투입되지 않았다면 거의 시작도 할 수 없었다.
현재도 명확하게 투자 위험에 대한 이익부분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기 때문에 추가로 정부의 자금투입이 없으면 추가적인 시범사업도 쉽게 시도하기 어려워 매년 막대한 자금을 시범사업에 투입하고 있는 상황에 있지만 성공할 가능성은 매우 작다.
항상 새로운 기술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자금지원이나 법적인 강제 수단보다 경제논리가 정확하게 적용되도록 환경을 제공하여 각각의 주체들이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한데, 현재 수행하고 있는 방법은 정책자금을 일정기간 지원한 후 무조건 모두 적용하도록 강제하겠다고 발표하고 있으나, 실제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작다.
즉, 현재 시도하고 있는 모든 의약품 관리시스템의 핵심은 RFID를 사용하여 모든 유통과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생산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부분은 각 단계별로 막대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면서도 실체 처리하는 실무에서의 다양한 상황을 모두 시스템에 반영하여 개발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의약품의 개별 포장단위가 작고 가격이 낮으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의약품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유통과 관련된 모든 기록을 생산하여 관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더욱이 최종 소비자이자 정보의 조회 주체인 소비자는 RFID 단말기를 거의 소지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가까운 시일에 보급될 가능성도 매우 작은 상태에서 비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상황이다.
또한, 이에 앞서 시작한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도 현재까지 활성화되지 못하였고, 가까운 시일에 활성화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상황이다.
상기의 RFID를 이용하여 약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97406호(2010.09.03. 공개)는 진열대에 진열된 의약품의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진열대 리더와; 상기 진열대 리더를 통해 획득된 의약품의 진열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주기적으로 제약사 서버로 전송하는 약국서버; 및 상기 진열대 리더를 통해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위탁 의약품의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최적의 비용으로 최고의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약사는 재고의 투명성 및 재고 비용의 부담을 덜고 고객과의 상담이 좀 더 정확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객은 관련 의약품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통해 의약품 오사용과 오남용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의약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어떠한 의약품을 구매하였는지 확인할 수 없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성분이 포함된 의약품을 악의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폐기 처분에 따른 관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성분이 포함된 의약품의 사용량 및 폐기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의약품 수량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97406호(2010.09.03. 공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약품제조회사 및 약품수입회사에서 제조하거나, 수입한 마약류 향정신성 의약품의 포장지 또는 포장 약병 등에 RFID 또는 코드를 설치하고, RFID 또는 코드를 설치한 의약품을 약품제조회사/수입회사, 도매회사, 약국/병원 및 폐기처분업체에 보급하여 의약품의 RFID 또는 코드를 인식기를 통해 정보를 읽어들여 일반약품과 마약성분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분류하며, 이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로 정보를 전송하여 이를 토대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제조량, 수입량 및 출고량, 각 도매회사의 입고 및 출고량, 약국/병원의 입고 및 재고량, 그리고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어느 소비자가 구매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전국에 유통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상황을 파악하는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국/병원에서 소비자가 구매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성분이 포함된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을 소비자가 구매한 수량 및 구매기간을 파악하여 이를 블법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관리할 수 있도록 한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은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제조, 수입하여 시중에 유통하기 위해 제품에 RFID 또는 코드를 부착하고, 출하시 리더기를 통해 RFID 또는 코드을 인식한 데이터를 일정 규칙에 따라 정렬 및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로 인가하는 제조/수입회사PC와; 제조/수입회사PC와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제조/수입회사에서 공급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공급 및 반품시 제품에 부착된 RFID 또는 코드의 정보를 읽어들여 일정 규칙에 따라 정렬 후 저장하여 이를 식약처서버에 인가하는 도매회사PC와; 제조/수입회사PC, 도매회사PC와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제조/수입회사 또는 도매회사에서 공급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거나 또는 반품시 제품에 부착된 RFID 또는 코드의 정보를 읽어들여 이를 일정 규칙에 맞게 정렬 및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식약처서버로 인가하는 약국/병원PC와; 식약처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또는 앱을 통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효능, 효과, 복용방법 및 제품의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확인하는 소비자PC 또는 소비자 모바일과; 제조/수입회사PC, 도매회사PC, 약국/병원PC 및 소비자PC 또는 소비자 모바일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폐기처분 의뢰가 접수되면 이를 수거하고, 수거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폐기처분에 따른 데이터를 식약처서버로 인가하는 폐기처분업체PC와; 제조/수입회사와 도매회사와 약국/병원을 통해 공급 및 반품되는 데이터와 소비자에게 지급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정보, 소비자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및 폐기처분업체에서 폐기처분되는 데이터를 제조/수입회사PC, 도매회사PC, 약국/병원PC 및 폐기처분업체PC로부터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데이터를 인가받아 제조/수입, 유통 및 소비되는 양을 확인 및 관리하는 식약처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조/수입회사PC와 도매회사PC 및 약국/병원PC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입고 및 출고시 제품에 부착된 RFID 또는 코드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공급자 정보, 의약품 정보 및 공급을 받는 자의 정보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약처서버는, 제조/수입업체PC, 도매회사PC, 약국/병원PC 및 폐기처분업체PC에 리더기와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여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하는 관리서버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보고서는, 제조 또는 수입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부착된 RFID의 정보를 제조/수입회사PC와 연결된 리더기를 통해 정보를 읽어들이면, 읽어들인 정보를 토대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보고서를 도매회사PC, 약국/병원PC 및 식약처서버로 인가하고, 상기 도매회사 또는 약국/병원으로 입고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정보를 도매회사PC 또는 약국/병원PC와 연결된 리더기에서 읽어들이면 인터넷망을 통해 인가된 보고서에 일련번호와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일련번호가 매칭되며, 매칭된 데이터에 도매회사, 약국, 병원의 보고자 정보가 포함되어 가공되면서 관리정보가 생산되어 도매회사PC 또는 약국/병원PC 및 식약처서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관리정보는 제조/수입회사 또는 도매회사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될 때 리더기를 통해 읽어들인 정보와; 제조/수입회사PC(10)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인가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기반이 되는 보고서와;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는 수량,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되는 수량,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된 회사명 또는 의약품명, 폐기처분된 수량, 반품된 수량 및 보고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정보를 통해 식약처에서 도매회사, 약국 및 병원에 공급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이력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방법은 제조회사 또는 수입회사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제조 또는 수입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제조회사 또는 수입회사에서 제조하거나 수입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생산량과 수입량을 제조/수입회사PC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에 보고하는 제20단계와; 상기 제조회사 또는 수입회사에서 제조, 수입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리더기를 통해 제품의 정보를 습득한 후 도매회사 또는 약국/병원으로 출고하는 제30단계와; 출고시에 습득한 데이터를 도매회사 또는 약국/병원의 명칭 순으로 출고하는 의약품 정보를 제조/수입회사PC의 제조/수입회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저장한 데이터를 기초로 보고서에 작성하고, 상기 제조/수입회사PC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작성한 보고서를 식약처서버로 인가하는 제40단계와; 상기 제조/수입회사에서 납품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었는지를 리더기에서 습득한 정보를 토대로 판단하는 도매회사PC에서 확인하는 제50단계와; 상기 제50단계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정보가 리더기를 통해 습득되지 않아 입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도매회사PC로부터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지 않았다는 비입고 상태에 따른 보고서를 작성하여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로 보고하는 제60단계와; 상기 제60단계에서 보고한 사항이 판매취소가 되었는지, 그리고 의약품은 회수조치에 따른 데이터를 도매회사PC로부터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제조/수입회사PC와 식약처서버로 보고하는 제70단계와; 상기 제70단계에서 판매가 취소되어 회수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출고 취소에 따른 데이터를 제조/수입회사PC로부터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에 보고하는 제80단계와; 상기 제50단계에서 제조/수입회사에서 입고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의약품 수량을 도매회사PC의 도매회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일정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여 식약처서버로 입고에 따른 의약품 정보를 보고하는 제90단계와; 상기 제90단계에서 판매 및 출고에 대한 데이터를 식약처서버로 데이터를 인가한 후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약국/병원으로 출고하는 제100단계와; 상기 제100단계에서 입고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하여 약국/병원PC로부터 입고요청이 있을 시에 도매회사PC는 약국/병원으로 판매가 이루어진 데이터와 출고에 따른 정보 데이터를 함께 보고서로 작성하고, 작성한 보고서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로 데이터를 인가하는 제110단계와; 상기 도매회사에서 출고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약국/병원으로 일정기간 내에 입고되었는지 리더기를 통해 제품에 부착한 RFID 태그 또는 코드의 촬영에 의해 데이터가 있는지를 약국/병원PC에서 판단하는 제120단계와; 상기 제120단계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약국/병원에 입고되지 않았다면, 약국/병원PC로부터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지 않았다는 비입고 된 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로 보고하는 제130단계와; 상기 제130단계에서 보고한 사항이 판매취소가 되었는지, 그리고 의약품의 회수조치에 따른 보고서를 도매회사PC와 식약처서버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데이터를 인가하는 제140단계와; 상기 제140단계에서 판매가 취소되어 회수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출고 취소처분에 따른 데이터를 도매회사PC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에 보고하는 제150단계와; 상기 제120단계에서 도매회사로부터 약국/병원으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부착된 RFID태그 또는 코드를 촬영하여 데이터를 습득하고, 습득한 데이터를 약국/병원PC로 인가하여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되면, 약국/병원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저장한 데이터를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작성한 보고서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로 인가하는 제160단계와; 상기 약국/병원PC로 입고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소비자에게 판매 및 조제하여 제공하는 경우, 이에 따른 소비자정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정보에 따른 내역을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로 보고하는 제17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조/수입회사PC, 도매회사PC,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 및 식약처서버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제품에 부착된 RFID 또는 코드와 이들이 함께 인식되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하여 대표코드, 표준코드, 업체코드, 표준기준코드, 제품코드, 일반코드, WHO-ATC코드를 포함하는 정렬코드로 데이터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조/수입회사PC와 도매회사PC 및 약국/병원PC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입고 및 출고시 제품에 부착된 RFID 또는 코드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공급자 정보, 의약품 정보 및 공급을 받는 자의 정보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제조, 수입, 유통 및 사용에 대한 모든 데이터를 식약처서버에 저장하므로 시중에 유통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고, 제조회사, 수입회사, 도매회사 및 약국, 병원에 보관된 수량 또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불법적인 방법으로 유통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소비자가 인위적으로 의약품에서 마약성분 또는 향정신성 성분을 추출하여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2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약국/병원에서 판매하여 식약처에 자동으로 보고하는 상황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약국/병원에서 판매하여 식약처에 자동으로 보고하는 상황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조/수입회사PC(10),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Electnonic Medical Records))(30), 소비자PC 또는 소비자 모바일(40), 폐기처분업체PC(50), 식품의약품안정처(이하, '식약처'라 칭함)서버(60) 및 관리서버(70)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수입회사PC(10),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Electnonic Medical Records))(30), 소비자PC 또는 소비자 모바일(40), 폐기처분업체PC(50), 식약처서버(60) 및 관리서버(70)는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터넷망에는 의료보험관리공단서버(미부호)가 연결되어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Electnonic Medical Records))(30)에서 소비자의 치료, 처방, 조제 등에 대한 의료정보를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조/수입회사PC(10)는 마약류 또는 향정신성 의약품을 제조하거나 또는 수입하여 이를 유통시 킬 수 있도록 제조된 의약품 또는 수입된 의약품의 총수량과 도매회사 또는 약국/병원에 공급되는 공급수량 및 반품수량을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조/수입회사PC(10)에는 RFID 또는 바코드, QR코드, 매트릭스 코드, 컬러코드를 포함하는 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리더기(80)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코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규칙에 의해 만들어진 숫자의 조합, 문자의 조합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상기 리더기(80)를 통해 제조회사에서 도매회사로 공급 또는 반품되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이도록 한다.
상기 도매회사PC(20)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의약품을 제조/수입회사로부터 공급받은 입고된 수량, 약국/병원에 공급한 공급수량, 약국/병원에서 반품된 반품수량 및 제조/수입회사로 반품한 수량에 대한 데이터를 식약처서버(60)로 제공한다.
상기 도매회사PC(20)에는 RFID 또는 바코드, QR코드, 매트릭스 코드, 컬러코드를 포함하는 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리더기(80)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코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규칙에 의해 만들어진 숫자의 조합, 문자의 조합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상기 리더기(80)를 통해 도매회사에서 약국/병원으로 공급 또는 반품되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이도록 한다.
상기 약국/병원PC(30)는 제조/수입회사 또는 도매회사로부터 입고 및 반품된 수량, 소비자에게 지급 및 반품된 수량, 폐기처분업체로 폐기처분의뢰된 수량을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를 인가한다.
또한, 상기 약국/병원PC(30)에는 RFID 또는 바코드, QR코드, 매트릭스 코드, 컬러코드를 포함하는 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리더기(80)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는 상기 코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규칙에 의해 만들어진 숫자의 조합, 문자의 조합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상기 리더기(80)는 컨트롤부,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손에 잡을 수 있는 크기의 핸드형 또는 진열대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고정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더기(80)는 약국 및 병원 등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 출고 될 때 제품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휴대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컨트롤부는 마약류 성분이 포함된 제품 또는 향정신성 의약품 제품에 부착된 RFID의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RFID안테나를 갖는 RFID통신부와, 상기 코드(바코드, QR코드, 매트릭스코드, 컬러코드)를 읽어들이는 카메라와, 상기 RFID통신부에서 읽어들이는 정보 및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부와, 상기 판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판독부와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RFID 정보 및 코드 영상을 판독하기 위하여 판독부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RFID안테나, 카메라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제품으로부터 정보 습득이 용이하도록 리더기의 외부에 표출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운영체제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약국/병원PC(3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에 저장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리더기(80) 제작시 초기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품의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모드를 수행하고, 모드를 수행하는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각종 기능 설정 및 기능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컨트롤부의 제어부로 전달한다. 또한, 조작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조작부는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태블릿, 스마트폰 등과 같이 구성되는 리더기(80)를 디지털 단말기 형태로 구성하고, 여기에 상기의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갖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는 제품으로부터 정보의 습득을 위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여 RFID통신부 및 카메라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리더기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리더기의 메뉴 및 마약류 또는 향정신성 의약품의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조작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정보를 습득하여 이를 처리하기 위한 전반적인 실행화면, 정보를 제조/수입회사PC(10), 도매회사PC(20) 및 약국/병원PC(30)로 인가하기 위한 일련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약국/병원PC(30)는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를 인가할 때 두 가지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방식 중 첫 번째로 실시간으로 정보를 인가하는 실시간보고와 주기적으로 정보를 인가하는 주기적보고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실시간보고는 소비자가 병원에서 받은 처방전을 통해 약국(병원 약국 포함)에서 마약류 또는 향정신성 의약품을 조제하여 받을 때 약사가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의약품 정보를 리더기(80)를 통해 읽어들이고, 리더기(80)에서 읽어들인 의약품 정보를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Electnonic Medical Records))(30)로 전송하며, 약국/병원PC(30)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한다. 이때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는 데이터는 약국/병원PC(30)의 약국/병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약국/병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소비자명, 의약품 정보, 수량 등을 포함한다.
상기 주기적보고는 소비자가 병원에서 받은 처방전을 통해 약국(병원 약국 포함)에서 마약류 또는 향정신성 의약품을 조제하여 받을 때 약사가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의약품 정보를 리더기(80)를 통해 읽어들인다. 상기 리더기(80)에서 읽어들인 의약품 정보를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Electnonic Medical Records))(30)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날짜, 소비자, 약품명 중 어느 하나에 준하여 데이터를 약국/병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약국/병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날짜, 시간, 소비자명, 의약품 정보 및 수량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간보고 또는 주기적 보고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보고서를 토대로 보고가 이루어진다. 상기 보고서의 최초 작성은 제조/수입업체PC(10)에서 생산 및 수입되는 의약품을 기반으로 출고시에 RFID에 포함된 정보와 보고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보고서는 제조 또는 수입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부착된 RFID의 정보가 리더기(80)를 통해 정보를 읽어들이면, 읽어들인 정보를 토대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공급하는 도매회사 또는 병원의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30) 및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를 인가하고, 상기 도매회사 또는 병원으로 입고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정보를 리더기(80)에서 읽어들이면 인터넷망을 통해 인가된 데이터의 일련번호와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일련번호가 매칭되면서 관리정보가 생산되어 도매회사PC(20) 또는 약국/병원PC(3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관리정보는 제조/수입회사 또는 도매회사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될 때 리더기(80)를 통해 읽어들인 정보와, 제조/수입회사PC(10)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인가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기반이 되는 보고서와,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는 수량,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되는 수량,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된 회사명 또는 의약품명, 폐기처분된 수량, 반품된 수량 및 보고자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정보는 제조/수입회사PC(10), 약국/병원PC(30)에서 제조/수입회사에서 최초 작성한 보고서를 근거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는 수량,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되는 수량,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된 회사명 또는 의약품명, 폐기처분된 수량, 반품된 수량 및 보고자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고, 이를 식약처서버로 인가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국/병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주기별 즉, 1주일 2주일, 3주일, 4주일 중 어느 한 기간을 중심으로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를 인가한다. 상기 데이터를 인가할 때에는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Electnonic Medical Records))(30)를 관리하는 보고자가 일정 양식(또는 보고서)에 기준하여 이를 작성하고, 작성한 데이터를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Electnonic Medical Records))에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한다. 상기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는 데이터에는 보고자 인적사항 및 전자서명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서명은 감압식 또는 정전식으로 이루어진 터치패널이 설치되는 전자서명기기(일명 사인패드), 태블릿,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조/수입회사 및 도매회사에서 약국/병원으로 공급 및 반품되는 마약류 또는 향정신성 의약품 정보에는 일반명 코드, 제품코드, WHO-ATC(World Health Organization-Anatomical Therapeutic Chemical), 생산한 수량, 수입한 수량, 공급수량, 반품수량, 폐기처분수량 및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구매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소비자PC 또는 소비자 모바일(40)은 식약처서버(60)에서 제공하는 웹 또는 앱(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약국/병원에서 조제 받은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비자PC 또는 소비자 모바일(40)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 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트프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폐기처분업체PC(50)는 제조/수입회사PC(10),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Electnonic Medical Records))(30), 소비자PC 또는 소비자 모바일(40)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연결되고, 제조/수입회사PC(10),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Electnonic Medical Records))(30), 소비자PC 또는 모바일(40)을 통해 의뢰되는 폐기처분정보에 의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수거하여 이를 관계법령에 따라 폐기처분한다.
또한, 상기 폐기처분업체PC(50)에는 리더기(8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더기(80)를 통해 읽어들이는 폐기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며, 습득한 데이터를 일정 규칙에 맞게 정렬하여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한다.
상기 식약처서버(60)는 제조/수입회사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제조수량, 공급수량 및 반품수량에 따른 정보를 일정 규칙에 따라 보고받을 수 있도록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제조/수입회사PC(10)로 연결한다.
상기 식약처서버(60)는 제조/수입회사에서 공급 및 반품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정보와 도매회사에서 약국/병원으로 공급 및 반품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정보를 일정 규칙에 따라 보고받을 수 있도록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으로 도매회사PC(20)와 연결한다.
상기 식약처서버(60)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제조/수입회사 및 도매회사에서 약국/병원으로 공급된 수량과, 약국/병원에서 제조/수입회사 및 도매회사로 반품된 수량과,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소비자에게 지급된 수량에 대한 데이터를 일정 규칙에 따라 보고받을 수 있도록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30)와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으로 연결한다.
상기 식약처서버(60)는 제조/수입PC(10),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30) 및 소비자PC 또는 소비자 모바일(40)에서 의뢰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폐기처분정보에 의해 폐기처분업체에서 폐기처분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으로 폐기처분업체PC(50)와 연결한다.
상기 식약처서버(60)는 소비자에게 제공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받아 식약처데이터베이스(61)에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를 통해 소비자에게 지급된 양을 통해 집중관리 대상 및 관찰대상 등을 선별하여 관리하며, 상기 관리는 저장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일정 규칙, 즉,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수령이 3회 이상 또는 일정 양이상 등과 같이 어느 한 규칙에 의해 집중관리 대상과 관찰대상을 선별한다.
상기 식약처서버(60)는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되고, 특히, 온라인 형태로 인가되는 제품의 정보 또는 소비자 정보 데이터는 인터넷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 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데이터 등을 온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식약처서버(60)는 소비자PC 또는 소비자 모바일(40)을 통해 약국 또는 병원에서 지급받은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웹 또는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의약품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의약품 정보 검색은 제품, 낱알, 연령금기, 병용금기, 안정성정보 등으로 구분하여 제공한다. 상기 의약품정보는 대표코드, 표준코드, 업체코드, 표준기준코드, 일반명코드, 제품코드, WHO-ATC코드를 포함하는 정렬코드, 업체명(제조 및 수입회사), 제품명, 한글상품명, 영문제품명, 수입/제조구분, 약품규격, 제품수량, 체형구분, 포장상태, 보험상한가, 급여구분, 성분/함량, 효능군, 저장방법, 성상, 투여경로, 식약처 취소취하구분, 식약처 취소일자, 전문/일반, 용법/용량, 효능/효과, 사용상 주의사항 등으로 구분하여 제공한다.
상기 업체코드는 국가구분코드와 업체구분코드가 포함되거나 또는 업체구분코드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70)는 제조회사, 도매회사, 약국/병원 및 폐기처분업체에 의약품에 설치한 RFID 또는 코드를 읽어들이는 리더기(80)의 보급 및 기술지원과 제조회사PC(10),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30)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 연계지원, 수집된 정보의 보안체계 유지 및 관리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제공한다. 상기 제조회사, 도매회사, 약국/병원 및 폐기처분업체의 정보를 관리서버데이터베이스(71)에 저장하여 식약처서버(70)로 실시간보고 또는 주기적보고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한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한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에 따른 보고과정을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 관리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 관리방법은 제조회사 또는 수입회사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제조 또는 수입하는 제10단계(S10)와, 상기 제조회사 또는 수입회사에서 제조하거나 수입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생산량과 수입량을 제조/수입회사PC(10)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에 보고하는 제20단계(S20)와, 상기 제조회사 또는 수입회사에서 제조, 수입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도매회사 또는 약국/병원으로 출고하고, 출고한 수량을 도매회사 또는 약국/병원의 명칭 순으로 출고하는 의약품 정보를 제조/수입회사PC(10)의 제조/수입회사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며, 저장한 데이터를 기초로 보고서에 입력하는 제30단계(S30)와, 상기 도매회사PC(20)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작성한 보고서를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는 제40단계(S40)와, 상기 제조/수입회사에서 납품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약국/병원으로 입고되었는지를 보고자가 약국/병원PC(30)에서 확인하는 제50단계(S50)와, 상기 제50단계(S50)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약국/병원에 입고되지 않았다면, 도매회사로부터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지 않았다는 비입고 상태를 식약처서버(60)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보고하는 제60단계(S60)와, 상기 제60단계(S60)에서 보고한 사항이 판매취소가 되었는지, 그리고 의약품은 회수조치에 따른 데이터를 도매회사PC(20)로부터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보고하는 제70단계(S70)와, 제70단계(S70)에서 판매가 취소되어 회수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출고 취소에 따른 데이터를 제조/수입회사PC(10)로부터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에 보고하는 제80단계(S80)와, 상기 제50단계(S50)에서 제조/수입회사에서 입고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의약품 수량을 약국/병원PC(30)의 약국/병원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일정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여 식약처서버(60)로 입고에 따른 의약품 정보를 보고하는 제90단계(S90)와, 상기 제90단계(S90)에서 입고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하여 약국/병원PC(30)로부터 입고요청이 있을 시에 도매회사PC(20)는 약국/병원으로 판매가 이루어진 데이터와 함께 출고에 따른 정보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를 인가하는 제100단계(S100)와, 상기 제100단계(S100)에서 판매 및 출고에 대한 데이터를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를 인가한 후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출고에 따른 데이터를 도매회사PC(20)로부터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는 제110단계(S110)와, 상기 도매회사에서 출고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약국/병원으로 입고되었는지를 리더기(80)를 통해 읽어들인 데이터에 의해 약국/병원의 보고자가 약국/병원PC(30)를 통해 확인하는 제120단계(S120)와, 상기 제120단계(S120)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약국/병원에 입고되지 않았다면, 약국/병원PC(30)로부터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지 않았다는 비입고 상태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보고하는 제130단계(S130)와, 상기 제130단계(S130)에서 보고한 사항이 판매취소가 되었는지, 그리고 의약품은 회수조치가 되었는지를 도매회사PC(20)로부터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보고하는 제140단계(S140)와, 제140단계(S140)에서 판매가 취소되어 회수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출고 취소에 따른 데이터를 제조/수입회사PC(10)로부터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에 보고하는 제150단계(S150)와, 상기 120단계(S120)에서 도매회사로부터 약국/병원으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가 되었다면, 입고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정보를 약국/병원PC(30)의 약국/병원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는 제160단계(S160)와, 상기 약국/병원PC(30)로 입고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소비자에게 판매 및 조제하여 제공하는 경우, 이에 따른 소비자정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정보에 따른 내역을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보고하는 제170단계(S170)를 포함한다.
상기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방법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제조 또는 수입하는 제조/수입회사는 생산 또는 수입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식약처에서 부여받은 일반명 코드, 제품코드, WHO-ATC를 RFID에 입력하거나 또는 코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인쇄한다. 상기 RFID에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정보를 입력하여 이를 제품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FID에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정보를 입력한 후, 이를 제품이 출고될 때 리더기(80)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RFID의 정보를 제조/수입회사PC(10)의 제조/수입회사데이터베이스에 일정한 규칙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한다.(S10)
그리고 상기 제조/수입회사PC(10)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생산된 수량과 수입된 수량을 제조/수입회사PC(10)에 의해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를 인가한다.(S20)
상기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제조수량과 수입수량을 식약처로 보고하므로 전국에 유통될 수 있는 수량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수량 및 RFID 또는 코드에 정보를 입력한 상태에서 도매회사 또는 약국/병원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입고를 요청하면, 그에 맞는 수량을 출고한다.(S30)
상기 제조/수입회사PC(10)를 통해 해당 도매회사 또는 약국/병원에 따른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종류 및 수량을 일정 규칙에 맞게 보고서를 작성하여 식약처서버(60)로 출고보고를 한다.(S40)
이때 상기 도매회사로 공급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부착된 RFID의 태그 또는 코드에 의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제조/수입회사PC(10)로 인가하며, 인가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식약처서버(60)에 보고한다.
상기 식약처서버(60)로 인가되는 보고서는 제조회사 또는 수입회사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제품명 및 수량을 도매회사 및 약국/병원별로 데이터를 정렬한다.
상기 제조/수입회사에서 도매회사로 공급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었는지 도매회사PC(20)와 연결된 리더기(80)를 통해 제품에 부착한 RFID의 태그 또는 코드의 촬영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일련의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추출하며, 추출한 데이터가 도매회사PC(20)의 화면에 표시되면 이를 보고자가 확인한다.(S50)
상기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입고가 확인되지 않으면, 보고자는 도매회사PC(20)를 이용하여 식약처서버(60)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지 않았다는 데이터가 포함된 보고서를 인가(S60)하고, 보고서에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정보와 판매취소, 회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S70)
그리고 상기 제조/수입회사PC(10)에서는 공급되지 않은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출고를 취소하는 데이터를 포함한 보고서를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여 취소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80) 상기 제조회사PC(10)와 도매회사PC(20)에 의한 크로스체크가 이루어지므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이동경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조/수입회사에서 공급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시에 제품에 부착된 RFID 또는 코드를 리더기(80)를 통해 읽어들인 정보를 도매회사PC(20)의 도매회사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한다.
상기 도매회사PC(20)는 리더기(80)를 통해 읽어들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도매회사PC(20)는 일정 규칙(또는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를 정렬하여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가 포함된 보고서를 인가한다.(S90)
그리고 도매회사에 입고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약국/병원PC(30)에서 공급받기를 원하는 데이터가 인가되면, 약국/병원에서 필요한 수량만큼 공급할 수 있도록 출고를 행한다.(S100)
상기 출고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부착한 RFID 또는 코드를 리더기(80)를 통해 인식하고, 인식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도매회사PC(20)에서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출고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도매회사PC(20)는 리더기(80)를 통해 읽어들인 정보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가 포함된 보고서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인가(S110)하여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출고에 따른 출고보고를 한다.(S140)
상기 도매회사에서 출고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었는지를 약국/병원PC(30)에서 판단(S120)하는데, 이때 판단은 리더기(80)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상기 일정 기간 내에 데이터가 인가되지 않으면, 약국/병원PC(30)에서는 입고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른 비입고 보고에 따른 데이터를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한다.(S130)
그리고 상기 비입고 보고에 따른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판매취소 및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데이터를 포함하여 도매회사PC(20)와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한다.(S140) 상기 판매취소 및 회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출고취소보고를 도매회사PC(20)에서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여 도매회사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출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식약처서버(6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S150)
상기 약국/병원PC(30)와 연결된 리더기(80)를 통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대한 정보가 습득되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된 것으로 약국/병원PC(30)에서 인식한다.
상기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인식에 따른 입고확인은 일례를 들어 약국/병원PC(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약품의 코드가 인식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코드에 따른 인식은 공급요청이 이루어진 후 일정 기간 내에 인식되는 데이터의 매칭에 의해 입고를 확인하는 판단이 이루어진다.
상기 약국/병원PC(30)와 연결된 리더기(80)를 통해 입고확인이 이루어지면, 약국/병원PC(30)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보고서를 작성하며, 작성한 보고서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여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입고를 보고 한다.(S160)
상기와 같이 입고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처방하기 위해서는 제품(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부착된 RFID 또는 코드를 리더기를 통해 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정보와 함께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처방된 소비자의 정보를 포함하여 식약처로 판매 및 사용 내역을 보고할 수 있도록 정보를 작성하여 식약서서버(60)로 인가한다.
상기 정보의 작성은 약국/병원PC(3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정렬하며, 이때 정렬되는 데이터에는 특정 코드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코드는 제품의 코드 또는 제조회사 또는 수입회사별 데이터가 정렬되어 이를 식약처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식약처서버(60)에서 정렬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특정코드는 제품의 코드 또는 제조회사 또는 수입회사별 데이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여기에는 약국정보, 병원정보 및 소비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제조, 수입, 유통 및 사용에 대한 모든 데이터가 식약처서버(60)에 저장되므로 시중에 유통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고, 제조회사, 수입회사, 도매회사 및 약국, 병원에 보관된 수량 또한 파악할 수 있으므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관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매취소, 회수 및 출고취소보고는 특정 코드를 통해 식약처서버(60)에서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특정코드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정보, 공급을 요구한 약국 또는 병원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일정한 규칙에 의해 정렬된다.
상기 제조/수입회사, 도매회사, 약국/병원 및 소비자에게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폐기처분의뢰시 일정한 규칙에 따라 폐기처분요청을 할 수 있도록 식약처서버(60)에서웹 또는 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폐기처분요청에 따른 데이터는 식약처서버(60)에서 폐기처분업체PC(50)로 인가되고, 인가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폐기처분업체에서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수거하여 폐기처분한다. 상기 폐기처분업체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폐기처분은 리더기(80)를 통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정보가 인식되도록 RFID의 태그 또는 코드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정보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한 데이터는 식약처서버(6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여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데이터를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다.
상기 식약처서버(60)로 인가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폐기처분수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불법적인 방법으로 유통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소비자가 인위적으로 의약품에서 마약성분 또는 향정신성 성분을 추출하여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온 입력(on input) 데이터를 동작시키고 출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특수목적 논리 회로조직,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장치는 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의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에서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모두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한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디스크들, 또는 광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 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해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조/수입회사PC 20: 도매회사PC
30: 약국/병원PC 31: 보고자PC
40: 소비자PC 또는 소비자 모바일 50: 폐기처분업체PC
60: 식약처서버 61: 식약처데이터베이스
70: 관리서버 71: 관리데이터베이스
80: 리더기

Claims (10)

  1.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제조, 수입하여 시중에 유통하기 위해 제품에 RFID 또는 코드를 부착하고, 출하시 리더기(80)를 통해 RFID 또는 코드를 인식한 데이터를 일정 규칙에 따라 정렬 및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는 제조/수입회사PC(10)와;
    제조/수입회사PC(10)와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제조/수입회사에서 공급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공급 및 반품시 제품에 부착된 RFID 또는 코드의 정보를 읽어들여 일정 규칙에 따라 정렬 및 저장하여 이를 식약처서버(60)에 인가하는 도매회사PC(20)와;
    제조/수입회사PC(10), 도매회사PC(20)와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으로 연결되어 제조/수입회사 또는 도매회사에서 공급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거나 또는 반품시 제품에 부착된 RFID 또는 코드의 정보를 읽어들여 이를 일정 규칙에 맞게 정렬 및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는 약국/병원PC(30)와;
    식약처서버(60)에서 제공하는 웹 또는 앱을 통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효능, 효과, 복용방법 및 제품의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확인하는 소비자PC 또는 소비자 모바일(40)과;
    제조/수입회사PC(10),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30) 및 소비자PC 또는 소비자 모바일(40)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폐기처분의뢰가 접수되면, 이를 수거하고, 수거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폐기처분에 따른 데이터를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는 폐기처분업체PC(50)와;
    제조/수입회사와 도매회사와 약국/병원을 통해 공급 및 반품되는 데이터와 소비자에게 지급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정보, 소비자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및 폐기처분업체에서 폐기처분되는 데이터를 제조/수입회사PC(10),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30) 및 폐기처분업체PC(50)로부터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데이터를 인가받아 제조/수입, 유통, 소비 및 폐기처분되는 양을 확인 및 관리하는 식약처서버(60)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수입회사PC(10)와 도매회사PC(20) 및 약국/병원PC(30)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형태의 보고서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여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따른 이력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수입회사PC(10)와 도매회사PC(20) 및 약국/병원PC(30)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입고 및 출고시 제품에 부착된 RFID 또는 코드에서 습득한 정보를 일정 규칙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한 데이터에 공급자 정보, 의약품 정보 및 공급을 받는 자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를 실시간보고 형태 또는 주기적 보고 형태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약처서버(60)에는
    제조/수입업체PC(10),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30) 및 폐기처분업체PC(50)에 리더기(80)와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읽어들여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데이터를 인가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하는 관리서버(7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서는
    제조 또는 수입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부착된 RFID의 정보를 제조/수입회사PC(10)와 연결된 리더기(80)를 통해 정보를 읽어들이면,
    읽어들인 정보를 토대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보고서에 따른 데이터를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30) 및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를 인가하고,
    상기 도매회사 또는 약국/병원으로 입고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정보를 리더기(80)에서 읽어들여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30)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인가된 보고서의 데이터에 따른 일련번호와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일련번호가 매칭되며,
    매칭된 데이터에 도매회사, 약국, 병원의 보고자 정보가 포함되어 가공되면서 관리정보가 생산되어 도매회사PC(20) 또는 약국/병원PC(30) 및 식약처서버(6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제조/수입회사 또는 도매회사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될 때 리더기(80)를 통해 읽어들인 정보와;
    제조/수입회사PC(10)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인가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작성되는 보고서와;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는 수량,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되는 수량,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된 회사명 또는 의약품명, 폐기처분된 수량, 반품된 수량 및 보고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정보를 통해 식약처에서 도매회사, 약국 및 병원에 공급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이력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
  6.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방법에 있어서,
    제조회사 또는 수입회사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제조 또는 수입하는 제10단계(S10)와;
    상기 제조회사 또는 수입회사에서 제조하거나 수입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생산량과 수입량을 제조/수입회사PC(10)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에 보고하는 제20단계(S20)와;
    상기 제조회사 또는 수입회사에서 제조, 수입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리더기를 통해 제품의 정보를 습득한 후 도매회사 또는 약국/병원으로 출고하는 제30단계(S30)와;
    출고시에 습득한 데이터를 도매회사 또는 약국/병원의 명칭 순으로 출고하는 의약품 정보를 제조/수입회사PC(10)의 제조/수입회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저장한 데이터를 기초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상기 제조/수입회사PC(20)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작성한 보고서를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는 제40단계(S40)와;
    상기 제조/수입회사에서 납품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었는지를 리더기(80)에서 습득한 정보를 토대로 입고 여부를 도매회사PC(20)에서 확인하는 제50단계(S50)와;
    상기 제50단계(S50)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정보가 리더기(80)를 통해 습득되지 않을 경우 입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도매회사PC(20)로부터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지 않았다는 비입고에 따른 보고서를 작성하여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보고하는 제60단계(S60)와;
    상기 제60단계에서 보고한 사항이 판매취소가 된 의약품은 회수조치에 따른 데이터를 도매회사PC(20)로부터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제조/수입회사PC(10)와 식약처서버(60)로 보고하는 제70단계(S70)와;
    상기 제70단계(S70)에서 판매가 취소되어 회수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출고 취소에 따른 데이터를 제조/수입회사PC(10)로부터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에 보고하는 제80단계(S80)와;
    상기 제50단계(S50)에서 제조/수입회사에서 입고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의약품 수량을 도매회사PC(S30)의 도매회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일정 보고서 형태로 작성하여 식약처서버(60)로 입고에 따른 의약품 정보를 보고하는 제90단계(S90)와;
    상기 제90단계(S90)에서 판매 및 출고에 대한 데이터를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를 인가한 후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약국/병원으로 출고하는 제100단계(S100)와;
    상기 제100단계(S100)에서 입고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하여 약국/병원PC(30)로부터 입고요청이 있을 시에 도매회사PC(30)는 약국/병원으로 판매가 이루어진 데이터와 출고에 따른 정보 데이터를 함께 보고서로 작성하고, 작성한 보고서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를 인가하는 제110단계(S110)와;
    상기 도매회사에서 출고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약국/병원으로 일정기간 내에 입고되었는지 리더기(80)를 통해 제품에 부착한 RFID 태그 또는 코드의 촬영에 의해 데이터가 있는지를 약국/병원PC(30)에서 판단하는 제120단계(S120)와;
    상기 제120단계(S120)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약국/병원에 입고되지 않았다면, 약국/병원PC(30)로부터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지 않았다는 비입고 보고서를 작성하고, 이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보고하는 제130단계(S130)와;
    상기 제130단계(S130)에서 보고한 사항이 판매취소가 되었는지, 그리고 의약품은 회수조치 되었는지에 대한 보고서를 도매회사PC(20)와 식약처서버(60)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데이터를 인가하는 제140단계(S140)와;
    상기 제140단계(S140)에서 판매가 취소되어 회수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출고 취소에 따른 데이터를 도매회사PC(20)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에 보고하는 제150단계(S150)와;
    상기 제120단계(S120)에서 도매회사로부터 약국/병원으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부착된 RFID태그 또는 코드의 촬영에 의해 데이터를 습득하고, 습득한 데이터를 약국/병원PC(30)로 인가하여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되면, 약국/병원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며, 저장한 데이터를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작성한 보고서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는 제160단계(S160)와;
    상기 약국/병원PC(30)으로 입고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을 소비자에게 판매 및 조제하여 제공하는 경우, 이에 따른 소비자정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정보에 따른 내역을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보고하는 제170단계(S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수입회사PC(10),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또는 EMR서버)(30) 및 식약처서버(60)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제품에 부착된 RFID 또는 코드와 이들이 함께 인식되면,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하여 대표코드, 표준코드, 업체코드, 표준기준코드, 제품코드, 일반코드, WHO-ATC코드를 포함하는 정렬코드로 데이터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수입회사PC(10)와 도매회사PC(20) 및 약국/병원PC(30)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입고 및 출고시 제품에 부착된 RFID 또는 코드를 실시간보고 형식 또는 주기적 보고 형식으로 공급자 정보, 의약품 정보 및 공급을 받는 자의 정보를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식약처서버(60)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수입회사PC(10)는,
    제조 또는 수입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부착된 RFID의 정보를 리더기(80)를 통해 정보를 읽어들이면,
    읽어들인 정보를 토대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공급하는 도매회사 또는 병원의 도매회사PC(20), 약국/병원PC(30) 및 식약처서버(60)로 데이터를 인가하고,
    상기 도매회사 또는 병원으로 입고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정보를 도매회사PC(20) 또는 약국/병원PC(30)와 연결된 리더기(80)에서 읽어들이면 인터넷망을 통해 인가된 데이터의 일련번호와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일련번호가 매칭되면서 관리정보가 생산되고, 동시에 관리정보가 포함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식약처서버(60)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제조/수입회사 또는 도매회사에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될 때 리더기(80)를 통해 읽어들인 정보와;
    제조/수입회사PC(10)에서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을 통해 인가되는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작성된 보고서와;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입고되는 수량,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되는 수량,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이 출고된 회사명 또는 의약품명, 폐기처분된 수량, 반품된 수량 및 보고자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정보를 통해 식약처에서 도매회사, 약국 및 병원에 공급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의 이력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
KR1020160056597A 2016-05-09 2016-05-09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Active KR101822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597A KR101822617B1 (ko) 2016-05-09 2016-05-09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597A KR101822617B1 (ko) 2016-05-09 2016-05-09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322A true KR20170126322A (ko) 2017-11-17
KR101822617B1 KR101822617B1 (ko) 2018-03-08

Family

ID=6080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597A Active KR101822617B1 (ko) 2016-05-09 2016-05-09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6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4889A (zh) * 2017-12-22 2018-04-20 澳优乳业(中国)有限公司 一种预包装食品罐质量安全信息追溯方法和系统
CN109509528A (zh) * 2018-10-27 2019-03-22 平安医疗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基于数据分析的药品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001535B1 (ko) * 2018-09-03 2019-07-17 주식회사 유디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64279A (ko) 2022-11-04 2024-05-13 주식회사 엠디퍼트 가정용 상비약 구독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549A (ko) 2018-09-14 2020-03-24 조현조 블록 체인을 이용한 약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93058B1 (ko) 2021-11-12 2022-04-29 신달호 약품 창고내 배치되어 향정신성 의약품 또는 생물학적 제제의 약품을 보관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5731B2 (ja) * 2009-03-10 2013-07-10 田辺三菱製薬株式会社 医薬品情報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4889A (zh) * 2017-12-22 2018-04-20 澳优乳业(中国)有限公司 一种预包装食品罐质量安全信息追溯方法和系统
KR102001535B1 (ko) * 2018-09-03 2019-07-17 주식회사 유디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 및 방법
CN109509528A (zh) * 2018-10-27 2019-03-22 平安医疗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基于数据分析的药品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9509528B (zh) * 2018-10-27 2024-05-24 平安医疗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基于数据分析的药品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40064279A (ko) 2022-11-04 2024-05-13 주식회사 엠디퍼트 가정용 상비약 구독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617B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617B1 (ko)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JP7381979B2 (ja) 配薬支援システム
US10192035B2 (en) Medic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and health related facilities
US8849449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drugs
CA2502290C (en) Automated drug substitution, verification, and reporting system
US8376228B2 (en) Product identification and tracking
JP6253254B2 (ja) 薬剤在庫管理システム
US20200082327A1 (en) Healthcare system for recording and monitoring transactions of system participants
US74837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cribing and conveying pharmaceuticals within the premises of a healthcare provider
KR20200031549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약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GB24896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 and secure product dispensing
KR101978449B1 (ko) 조제 의약품 판매관리 방법, 조제 의약품 판매관리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78359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to a customer a plurality of prescriptions having aligned refill dates
CN102496100A (zh) 远程药品供应系统及供应方法
KR20150116634A (ko)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Chang et al. Implement the RFID position based system of automatic tablets packaging machine for patient safety
JP2018055544A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
JP5235731B2 (ja) 医薬品情報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方法
US20140350946A1 (en) Methods for Tracking Workflow in Pharmacies Involving Compound Operations
US20210217513A1 (en) Medicinal product sales management method, medicinal product sales management system, computer program therefor, and medicinal product information sheet
JP2003118840A (ja) 医薬品の備蓄・販売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402128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items
US20220084661A1 (en) Automated Mobile Pharmacy
JP6932826B2 (ja) 放射性薬剤の受発注管理システム
AU2009101164A4 (en) Automated dispensery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