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535B1 -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535B1
KR102001535B1 KR1020180104508A KR20180104508A KR102001535B1 KR 102001535 B1 KR102001535 B1 KR 102001535B1 KR 1020180104508 A KR1020180104508 A KR 1020180104508A KR 20180104508 A KR20180104508 A KR 20180104508A KR 102001535 B1 KR102001535 B1 KR 102001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reporting
user terminal
scanner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규삼
조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디
Priority to KR1020180104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의약품 공급내역 입력을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직접 입력, QR 코드 및/또는 바코드 또는 RFID 스캐너를 통하여 자동으로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접속을 통하여 가급적이면 직접 입력을 피하면서 용이하고 정확하게 보고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SUPPLY DETAILS OF MEDICINES}
본 발명은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 기술 기반으로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서 작성 자동화 및 재고/출하/출고/거래처 관리를 자동화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의 생산, 수입, 공급 및 사용내역 등 의약품 유통정보의 수집, 조사, 가공, 이용 및 제공을 위하여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가 설립되었다. 또한, 관련 법령에 따라 생산자 또는 도매상의 의약품 공급내역의 보고가 의무화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소규모 도매상까지 의약품 공급내역의 보고의무가 확대되었다.
의약품의 공급내역 보고 방법은 의약품정보센터 홈페이지에 등록하여 판매내역을 홈페이지에 수작업으로 입력하거나 정해진 양식의 엑셀을 내려 받아 수작업으로 작성 후 업로드 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연계 에이전트(ESB Agent)를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정시간에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의 의약품관리종합정보 센터 홈페이지에 공급내역을 직접 입력하는 경우, 의약품 각각의 최대 20글자의 일련번호 혹은 최대 250자리의 묶음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해야 하는 어려움이 존재하며, 상당한 오입력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이경우, 의약품 제조사 또는 도매상은 오입력에 대한 책임(벌금 및 영업정지)이 뒤따르므로, 공급내역 입력자는 큰 부담을 가지고 공급내역을 입력하게 된다.
한편, 연계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경우, 서버 및 방화벽을 구비해야 하며, 서식파일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연계 에이전트 사용을 위하여, 연계 에이전트를 재고시스템 및 ERP시스템과 연결하는 방안이 일반적으로 준비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상용 재고/ERP시스템은 입고되는 물품을 시스템에 입력하여야 기본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모든 약품의 개별 바코드를 모두 입력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출하시에도 모든 약품의 개별 바코드를 입력하여 기존의 시스템에 연결하고 보고하는 일은 고가의 전용 스캔장비 구비 혹은 전용 데스크탑에 설치를 요구하게 된다.
특히, 소도매상인 경우 고가의 장비의 필요 등으로 인하여 보고를 위한 양식/재고 관리 인력의 준비가 매우 어렵지만, 의무적인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확대로 인하여 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오입력의 가능성을 줄이면서 의약품 각각의 최대 20글자의 일련번호 혹은 최대 250자리의 묶음번호를 자동으로 입력하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하여 PC 및 모바일 장치에서 1 인 소도매상도 용이하게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를 할 수 있도록 보고서 자동 작성 및 입출고/재고/출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은, 바코드 스캐너, QR 코드 스캐너 또는 RFID 스캐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을 보고 대상 서버에 보고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 받는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 및 상기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을 통해 입력된 거래 품목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내역 보고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보고 대상 서버에 전송하는 공급 내역 보고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존 거래를 저장하는 기존 거래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등록된 거래처 정보를 저장하는 거래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거래 품목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은 상기 입력부로부터 하나의 숫자 또는 문자가 입력되면, 데이터 검증 로직이 실행되는지 확인한 후, 상기 데이터 검증 로직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의 입력 이전에 수행되던 입력 프로세스를 취소한 후, 상기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를 최초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초 저장 후 지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 받아 다시 저장하고, 상기 최초 저장된 숫자 또는 문자와 상기 다시 저장된 숫자 또는 문자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다시 저장된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웹서버는 상기 보고 대상 서버의 에이전트 프로그램 또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 대상 서버에 기 보고된 타 도매상 또는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제조사들의 입력 보고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 내역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할 수 있는 상기 보고 대상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을 통하여 PC 및 모바일 장치에서 1 인 소도매상도 용이하게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보고를 할 수 있도록 보고서 자동 작성 및 입출고/재고/출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은, ERP 및 재고 관리 기반의 종래 전용 프로그램 및 장비를 대체하여 웹 기반으로 자동 보고 시스템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보고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은 바코드 정보로부터 보고서의 항목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연계 에이전트 및 API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이용할 입력 항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보고의 가이드라인이 자동으로 생성되며, 보고의 편의성 향상, 정확도 향상 및 오류 최소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소도매상들의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제도의 빠른 정착 및 지속적인 이행이 가능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자동 작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자동 작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고 양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캔 입력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스캔의 입력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이 향후, 의료기기에도 동일한 시스템과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10)은,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200) 및 입력 기기(210)를 포함한다.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 받은 공급내역 정보 및/또는 보고 대상 서버(300)에 입력된 타 도매상 단말 또는 제약사 단말(400, 이하 '타 도매상 단말')의 의약품 공급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내역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보고 대상 서버에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고 대상 서버(300)에 입력된 타 도매상 단말(400)의 의약품 공급내역 정보는 보고 대상 서버에서 제공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 또는 API를 활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보고 대상 서버는 예컨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버가 될 수 있다.
한편,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의약품 공급내역 입력을 위한 웹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웹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도매상)는 직접 입력, QR 코드 및/또는 바코드 식별기(210) 또는 RFID 식별기(220)를 통하여 자동으로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웹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바코드 입력기 등을 제어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도매상이나 제조사는 공급 내역 정보 입력의 자동화를 위해서 보고서 생성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고가의 장비 및 프로그램을 구매해야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도매상)는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동 보고 시스템에 접속하기만 하면 가급적이면 직접 입력을 피하면서 용이하고 정확하게 보고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직접 사용자가 입력할 항목들이 최소화되게 된다.
이 때, 바코드/QR 코드 식별기(210) 또는 RFID 식별기(220), 특히 바코드 스캐너(210)는 바코드/QR 코드 또는 RFID를 스캔하여 생성한 문자 또는 숫자를 불규칙한 간격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도 8 참조). 이러한 불규칙한 간격으로 인하여 소도매상에서 바코드/QR 코드 또는 RFID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입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는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한다.
보고 대상 서버(300)는 도매상 및 제약사 단말로부터 의약품 공급내역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에이전트 프로그램 또는 API를 운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서버(100)는 보고 대상 서버(300)의 에이전트 프로그램 또는 API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전체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중 일부 내역만 입력하더라도 제약사 및 타 도매상 단말(400)에서 입력한 보고 내용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약사 및 타 도매상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200)과 같이 의약품 공급내역 정보를 보고 대상 서버에 보고해야 할 의무가 있는 다른 단말들이다.
기존의 상용 재고/ERP시스템은 입고되는 물품을 시스템에 입력하여야 기본적으로 작동된다. 또한, 모든 약품의 개별 바코드를 모두 입력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출하시에도 모든 약품의 개별 바코드를 입력하여 기존의 시스템에 연결하고 보고하는 일은 고가의 전용 스캔장비 구비 혹은 전용 데스크탑에 설치를 요구하게 된다.
특히, 소도매상인 경우 고가의 장비의 필요 등으로 인하여 보고를 위한 양식/재고 관리 인력의 준비가 매우 어렵지만, 의무적인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확대로 인하여 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웹페이지 접속을 통하여 PC 및 모바일 장치에서 1 인 소도매상도 용이하게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를 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은, ERP 및 재고 관리 기반의 종래 전용 프로그램 및 장비를 대체하여 웹 기반으로 자동 보고 시스템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은 바코드 정보로부터 보고서의 항목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연계 에이전트 및 API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이용할 입력 항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의 가이드라인이 자동으로 생성되며, 보고의 편의성 향상, 정확도 향상 및 오류 최소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소도매상들의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제도의 빠른 정착 및 지속적인 이행이 가능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서버(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서버(100)는 보고 대상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10), 사용자 프로파일(120), 인증 모듈(130) 및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웹 서비스는 의약품 공급 내역 입력을 위한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또한 자동으로 심평원의 양식에 맞도록 데이터를 가공하여 심평원에 인터넷으로 의약품 공급내역을 보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서 모듈은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보고 대상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보고 대상 서버의 연계 에이전트 및 API를 사용하여, 보고 대상 서버에 저장된 타 공급내역 보고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보고 대상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140)에 사용자(도매상)가 입력한 일부 내용에 기초하여 보고서 양식에 대응되는 내용들을 보고 대상 서버에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조사에서 묶음으로 의약품을 판매하는 경우에 도매상에서 묶음 단위를 달리하여 다른 도매상에 판매하거나 또는 기타 기 입력된 공급내역 보고에 있는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보고 대상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통하여 직접 입력을 최소화하면서 입력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120)는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했던 이력들(거래처 정보, 공급 의약품 등)을 저장하여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사용자 프로파일(120)은 거래처 데이터베이스(125) 및 기존 거래 데이터 베이스(125)를 구비하며, 거래처 등록 단계에서 등록된 거래처 및 거래 내역을 사용자 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인증 모듈(130)은 각 사용자가 본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서버(100)를 이용할 수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해 주는 모듈이다. 각 사용자는 해당 사용자 단말(200)에 인증 키를 발급받아 인증키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으며, 또는 인증 모듈(130)이 각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를 암호화하여 로그인 시 확인하는 방법으로 각 사용자가 서비스에 접속할 수도 있다.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에게 UI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로서, 공급 내역을 처리하는 공급내역 보고 모듈(145) 및 바코드 입력 처리 모듈(147)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듈의 공급 내역 보고 및 바코드 입력 처리 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서버(100)의 공급 내역 자동 보고 서비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의약품의 공급 주문을 접수하게 되면, 접수된 거래처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단계 S310)
보다 상세하게 도 4를 참조하면, 최초에 의약품 공급 주문을 접수하게 되면(단계 S312),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서버(100)는 거래처가 거래처 DB(125)에 있는 기존 거래처인지 확인한다(단계 S313). 기존 거래처인 경우에는 거래처 DB(125)의 정보를 활용하고, 기존 거래처가 아닌 경우에는 거래처 등록 절차(단계 S314)를 거쳐서 주문 등록 필요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315).
이 경우, 시스템을 통하여 주문이 접수되었을 때에는 별도의 주문 등록이 필요 없으므로, 출하 주문 선택 및 확정 단계(단계 S318)로 바로 진입하여 시스템에 접수된 주문 중 현재 입력하고자 하는 주문을 선택하게 된다. 한편, 시스템 이외의 방법(이메일, 전화 등)으로 주문이 접수되게 되는 경우에는 출하 주문 등록(S316) 및 출하 주문 확인 단계(S317)를 통하여 출하 주문 선택 및 확정 단계(단계 S318)로 진입하게 된다.
거래처 정보에 대한 등록이 확정되면, 거래 정보를 등록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QR 코드, 바코드, RFID 입력 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거래 정보를 등록하게 된다(단계 S320).
사용자 입력 시, 사용자는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로 일부 물품 정보를 수기로 등록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보고 대상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에이전트 또는 API를 통하여 입력되지 않은 나머지 정보들을 자동으로 입력 받게 된다. 자동 입력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QR코드, 바코드 또는 RFID의 스캔을 통하여 거래 정보 등 물품 정보를 등록하게 되는 경우에는 거래정보들이 도 5의 프로세스에 따라 입력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최초에 제품이 QR코드, 바코드 또는 RFID를 통해서 스캐닝 되면, 표준코드, 명칭, 포장 내 수량 및 전문의약품/일반의약품 구분에 대한 코드들이 입력되게 된다(단계 S322). 입력이 완료되면, 먼저 전문 의약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23).
전문 의약품이 아닌 경우에는 판매가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단계 S324), 판매가 정보가 없을 때에는 판매가 정보(공급 단가)를 입력한 후에 출하량 입력단계(단계 S332)에 진입하게 된다. 판매가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판매가 정보 확인 단계(단계 S324)에서 직접 출하량 입력단계(단계 S332)에 진입하게 된다. 출하량 입력 단계(S332)까지 완료되면, 공급 단가, 제조번호, 유효기간, 공급 수량까지 입력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전문 의약품인 경우에는 판매가 확인 및 등록 절차(S325, S328)를 거쳐서 기존 판매 정보 또는 재고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기존 재고의 유효기간 등을 확인하여 출하 가능 여부(단계 S329)를 확인한 후, 공급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단계 S333). 기존 판매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스캐닝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신규 정보로서 거래 데이터 베이스(127)에 등록한 후, 공급 정보 생성 단계(단계 S333)로 진입하게 된다.
공급 정보 생성 단계(S333)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파악된 정보들에 일련번호, 비고 정보들이 추가로 입력되게 된다.
거래 정보의 등록이 완료되면, 검수 후 출하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검수는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140)을 통하여 화면에 생성된 내용에 대한 검수가 사용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검수 후 사용자의 확인이 이루어지면, (예컨대, 사용자가 확인 버튼 클릭) 주문에 대한 유효기간 및 일련번호 구분(갑/을) 정보가 추가되어 보고 양식 데이터가 생성된다. (데이터 포멧팅, 단계 S360)
이 때, 생성된 보고 양식 데이터는 도 6과 같은 형식의 데이터이다. 데이터에 포함되는 항목은 연번, 공급자 사업자등록번호, 공급자 영업형태, 계약 방법 등 도 6에 기재된 바와 같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보고 양식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 양식에 기초하여 심평원 보고용 파일로 변환이 된 후, 보고 대상 서버(300)에 전송되어 보고가 완료된다. (단계 S360) 단, 파일로 변환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심평원의 API를 통하여 보고될 수 있다.
보고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확인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에 심평원 보고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하게 된다. 이 경우, 통지는 이메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통지 플랫폼 (Notification Platform)을 통하여 메시지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제품 스케닝 단계에서 스캔에 의한 오기재를 줄이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서버(100)는 바코드, QR 코드 스캐너(210) 또는 RFID 스캐너(220)에 대한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의약품 자동 보고용 웹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스캐너 모듈을 사용하기 때문에 개발과정에서 스캐너 입력 중 스캔 되는 숫자, 문자들이 누락되는 에러들이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공급내역에 해당하는 의약품의 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 의약품 각각의 최대 20글자의 일련번호 혹은 최대 250자리의 묶음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해야 한다. 즉, 입력할 의약품의 코드 자체가 25 문자부터 250 문자까지 다양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가변적인 의약품 코드를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약품 코드 입력시, 상당한 오입력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캐너 입력 데이터 검증 로직을 사용하여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먼저,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147)는 스캐너(210, 220, 입력부)에서 스캔을 수행하게 되면(단계 S710), 문자(숫자 또는 문자, 캐릭터 1개)를 하나씩 입력 받게 된다(단계 S720).
문자가 하나 입력되면,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147)는 스캐너 입력 데이터 무결성 검증 로직(로직 1)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로직 1이 수행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전의 진행 과정을 취소하고(단계 S740), 현재 입력 받은 문자 1개를 로직 1의 입력으로 스캐너 입력 레지스터의 값(값 A)을 호출하여 저장하게 된다(단계 S753).
로직 1이 수행 중인 경우에는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147)는 이전 진행 과정 취소 단계(단계 S74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스캐너 입력 레지스터에 입력 받은 문자 1개를 로직 1의 입력으로 입력하게 된다(단계 S753).
그 후 일정 시간을 경과한 후(S755) 다시 스캐너 입력 레지스터의 값(값 B)을 다시 한 번 호출하여 저장한다(S756).
최초 저장된 스캐너 입력 레지스터 값(값 A)과 다음으로 저장된 스캐너 입력 레지스터 값(값 B)을 비교(S758)한 후, 값이 다른 경우에는 계속 입력 값들이 들어오고 있는 상태이므로 다시 최초 스캐너 입력 레지스터 저장 단계로 이동하게 된다.
계속 반복하여 최초 스캐너 입력 레지스터 저장 단계로부터 비교 단계까지 반복하다가 값이 동일해지는 경우에는 새로운 값이 입력되지 않고 입력이 종료된 상태로 가정하여 값을 전송하게 된다(S759).
항상 글자의 최초 입력 시, 이전 입력을 클리어 하는 단계(S740)가 수행되므로, 오 입력이 방지되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코드, QR 코드 스캐너(210) 또는 RFID 스캐너(220)들은 불규칙한 속도로 글자를 입력하기 때문에 문자가 누락될 가능성이 있었고, 오 입력으로 인하여 실용화가 어려웠다. 또한, 사용자가 공급내역에 해당하는 의약품의 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 의약품 각각의 최대 20글자의 일련번호 혹은 최대 250자리의 묶음번호를 수동으로 입력해야 한다. 즉, 입력할 의약품의 코드 자체가 25 문자부터 250 문자까지 다양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가변적인 의약품 코드를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약품 코드 입력시, 상당한 오입력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검증 로직으로 인하여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을 통하여 PC 및 모바일 장치에서 1 인 소도매상도 용이하게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를 할 수 있도록 보고서 자동 작성 및 입출고/재고/출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은, ERP 및 재고 관리 기반의 종래 전용화된 프로그램 및 장비를 대체하여 웹 기반으로 자동 보고 시스템의 웹페이지에 접속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띠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은 바코드 정보로부터 보고서의 항목을 자동으로 분류하여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연계 에이전트 및 API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이용할 입력 항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의 가이드라인이 자동으로 생성되며, 보고의 편의성 향상, 정확도 향상 및 오류 최소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소도매상들의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제도의 빠른 정착 및 지속적인 이행이 가능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한편, 향후에는 의약품 공급 내역 외에도 의료기기 또한 유통단계별로 공급내역을 보고하는 시스템이 도입 예정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의약품 공급내역에 대해서만 언급했으나, 의료기기에도 바코드가 부착되고, 유통 단계별로 묶음 코드, 단품 코드 등의 가변적인 코드를 가지는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이 도입됨에 따라서, 의약품 외에도 의료기기 공급내역에 대한 보고도 본 발명과 동일한 시스템 및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Claims (8)

  1. 바코드 스캐너, QR 코드 스캐너 또는 RFID 스캐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을 보고 대상 서버에 보고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 받는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 및 상기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을 통해 입력된 거래 품목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내역 보고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보고 대상 서버에 전송하는 공급 내역 보고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존 거래를 저장하는 기존 거래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등록된 거래처 정보를 저장하는 거래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거래 품목 정보를 입력 받으며,
    상기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은 상기 입력부로부터 하나의 숫자 또는 문자가 입력되면, 스캔 데이터 무결성 검증 로직이 수행 중인지 확인한 후, 상기 스캔 데이터 무결성 검증 로직의 수행 중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의 입력 이전에 수행되던 입력 프로세스를 취소한 후, 상기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를 저장하고,
    상기 스캔 데이터 무결성 검증 로직은 상기 저장 후 지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 받아 재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숫자 또는 문자와 상기 재저장된 숫자 또는 문자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경우에 상기 재저장된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수행되며, 상기 스캔 데이터 무결성 검증 로직은 상기 저장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저장된 숫자 또는 문자를 전송할 때까지 수행되는,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보고 대상 서버의 에이전트 프로그램 또는 API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 대상 서버에 기 보고된 타 도매상 또는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제조사들의 입력 보고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 내역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할 수 있는 상기 보고 대상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자동 보고 시스템.
  5. 바코드 스캐너, QR 코드 스캐너 또는 RFID 스캐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을 보고 대상 서버에 보고하는 웹 서버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 받는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 및 상기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을 통해 입력된 거래 품목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내역 보고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보고 대상 서버에 전송하는 공급 내역 보고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웹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존 거래를 저장하는 기존 거래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등록된 거래처 정보를 저장하는 거래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결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거래 품목 정보를 입력 받으며,
    상기 스캐너 입력 처리 모듈은 상기 입력부로부터 하나의 숫자 또는 문자가 입력되면, 스캔 데이터 무결성 검증 로직이 수행 중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의 입력 이전에 수행되던 입력 프로세스를 취소한 후, 상기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를 저장하고,
    상기 스캔 데이터 무결성 검증 로직은 상기 저장 후 지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 받아 재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숫자 또는 문자와 상기 재저장된 숫자 또는 문자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경우에 상기 재저장된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수행되며, 상기 스캔 데이터 무결성 검증 로직은 상기 저장 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저장된 숫자 또는 문자를 전송할 때까지 수행되는,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 서버.
  6. 삭제
  7. 삭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보고 대상 서버의 에이전트 프로그램 또는 API를 사용하여 상기 보고 대상 서버에 기 보고된 타 도매상 또는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제조사들의 입력 보고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 내역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할 수 있는 상기 보고 대상 서버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공급내역 자동 보고 웹 서버.
KR1020180104508A 2018-09-03 2018-09-03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001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08A KR102001535B1 (ko) 2018-09-03 2018-09-03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08A KR102001535B1 (ko) 2018-09-03 2018-09-03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535B1 true KR102001535B1 (ko) 2019-07-17

Family

ID=6751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508A KR102001535B1 (ko) 2018-09-03 2018-09-03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222B1 (ko) * 2022-05-18 2023-05-15 주식회사 케어라이브 의료기기 유통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유통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882A (ko) * 2006-07-25 2008-01-30 대덕대학산학협력단 의약품 업무관리를 위한 erp 시스템
KR20100137868A (ko) * 2009-06-23 2010-12-31 (주)코리아컴퓨터 상품의 전자 유통계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7058A (ko) * 2010-11-03 2012-05-11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제품 관리 시스템
KR20170126322A (ko) * 2016-05-09 2017-11-17 (주)우주텔레콤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882A (ko) * 2006-07-25 2008-01-30 대덕대학산학협력단 의약품 업무관리를 위한 erp 시스템
KR20100137868A (ko) * 2009-06-23 2010-12-31 (주)코리아컴퓨터 상품의 전자 유통계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7058A (ko) * 2010-11-03 2012-05-11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제품 관리 시스템
KR20170126322A (ko) * 2016-05-09 2017-11-17 (주)우주텔레콤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222B1 (ko) * 2022-05-18 2023-05-15 주식회사 케어라이브 의료기기 유통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유통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8676B2 (en) Computerized apparatus for secure serialization of supply chain product units
US201202782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data collection, monitoring, and tracking
US20160371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managing medical device inventory
US2019025899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querying the distribution path of product units within a supply chain
JP4820953B2 (ja) 医薬品の開発と製造を管理するシステムと方法
KR101562534B1 (ko) Qr코드를 이용한 모바일 기자재 검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물류관리시스템
US10642812B1 (en) Database system,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message construction, processing and storage dependent upon satisfaction of predefined requirements
US20170076065A1 (en) System, device, and automated method for verification of medication integrity and chain of custody
US20150149351A1 (en) Transaction management system and transaction management program
US11216776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transaction
US95525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oss-selling
CN111242477A (zh) 一种erp商品管理系统和方法
CN110852816A (zh) 基于区块链的自动开具发票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Agarwal et al. Tracking health commodity inventory and notifying stock levels via mobile devices: a mixed methods systematic review
CN108960745A (zh) 一种wms系统与erp系统对接方法
KR100432400B1 (ko) 인터넷기반 체인약국 관리 및 업무지원 시스템과 그 방법
JP2017134768A (ja) 紙文書管理システム
KR102001535B1 (ko) 의약품 공급내역 보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0136A (ko) Qr 페이 연동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04515A (ko) 약품 주문 시스템 및 방법
US11972862B2 (en) Blockchain-based technologies for tracking product lifecycle
US20090276669A1 (en) Method for processing and redirecting misdirected advanced shipping notices (ASNs)
US20060009999A1 (en) Contract term updates
CN111415238A (zh) 基于区块链的税务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US20230153471A1 (en)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for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