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474A -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474A
KR20170123474A KR1020160052992A KR20160052992A KR20170123474A KR 20170123474 A KR20170123474 A KR 20170123474A KR 1020160052992 A KR1020160052992 A KR 1020160052992A KR 20160052992 A KR20160052992 A KR 20160052992A KR 20170123474 A KR20170123474 A KR 20170123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adhesive tape
foam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1980B1 (ko
Inventor
김현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알이
Priority to KR1020160052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98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89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09J7/029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6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을 디스플레이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부품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발포 폼 테이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발포 폼의 표면에 패턴형 점착층을 구성하여 접착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 중에 전자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을 탈거하여 재 작업이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폼 테이프의 제거가 쉽고 재작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Foam adhesive tape for bonding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을 디스플레이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부품을 부착하는데 사용되는 발포 폼 테이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발포 폼의 표면에 패턴형 점착층을 구성하여 접착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 중에 전자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을 탈거하여 재 작업이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폼 테이프의 제거가 쉽고 재작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엘시디 디스플레이 모듈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엘시디 디스플레이 모듈은 엘시디 패널(Bare Assembly) 하부에 가이드 패널이 놓여지고, 그 하단부에는 각종 광학 시트(Optical Sheet), 엘지피(LGP), 리플렉터 필름(Reflector film), 지지체 역할을 하는 엘이디 하우징(LED Housing) 그리고 최하단부에 커버 바텀(Cover-Bottom) 등이 놓여지며, 디스플레이용 광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백라이트(Lamp or LED)가 수납되어 픽서(Fixer)와 같은 각종 고정용 브래킷으로 체결 고정된다.
여기서, 엘시디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부착을 위한 각종 고정용 브래킷을 최소화 하여 엘시디 백라이트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얇은 두께의 접착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슬림화 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모듈의 내부열 및 외부열에 의한 온도 변화에 따른 점착제 피착물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가이드 패널의 열팽창지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 경계선의 양면이 서로 다른 변형량을 가지고 이완 및 수축하며 변형되기 때문에 접착면의 점착력을 저하시켜 들뜸이 발생하게 되거나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단력에 의해 찢김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용 접착테이프가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접착용 접착테이프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204906호에서는 테이프의 폭 방향 중심부에 구획되는 중심 고정부; 및 상기 중심 고정부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구획되는 제1 측면 날개부 및 제2 측면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날개부 및 상기 제2 측면 날개부는 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설정 간격을 두고 날개들을 분할하는 다수의 절개선들이 형성되는 접착테이프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점착테이프의 사용과 적용 후 물성 유지를 위한 구조에 특징을 둔 발명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64618호에서는 고온에서의 점착력 유지, 항온항습 조건에서의 신뢰성 확보, 작업공정의 안정성 및 청정작업에 용이한 점착테이프로서, 고분자 발포 폼과, 상기 고분자 발포 폼의 양측에 형성된 표면개질용 접착제층 및 상기 표면개질용 접착제층의 양측에 형성된 감압성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고분자 발포 폼의 표면개질을 이용한 점착테이프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를 접착하는데 적용할 때 제조과정 중 재 작업 필요하여 디스플레이를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칼로 발포 폼층을 측면 방향으로 절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을 분리한 다음, 디스플레이 패널에 남아 있는 테이프 부분을 별도로 제거하여 고가의 디스플레이를 재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잔류하는 점착 폼의 잔류물을 제거가 용이하지 않게 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 솔벤트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본질적으로 양면테이프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한 이후에 재 작업을 위해 필연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탈거하여 재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고가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발포 폼 테이프의 제거가 용이한 것이 매우 필요한데, 이에 관하여 별다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것은 단순히 솔벤트 등으로 제거하면 된다는 기존의 방식을 고수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자기기와 디스플레이 패널 부착 과정에서 이러한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재 작업성과 관련하여서는 조립공정 중에 매우 흔히 일어나는 경우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가이므로 이를 재사용하여야 하는 필연적인 재 작업 과정에서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제거는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물성은 유지하면서도 재 작업시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접착테이프의 제거가 용이한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고도 시급한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204906호 2. 한국등록특허 제10-0964618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전자기기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에 있어서 그 접착테이프의 고유물성은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리한 후 재 작업(Rework)시에 접착테이프의 제거가 용이한 물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은 전자기기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에 유용한 접착테이프의 고유물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리한 후 재 작업 시에 접착테이프의 제거가 용이한 물성을 가지는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착물과 접착되는 접착면의 초기부착력과 장기 부착력 및 부재간의 부착 결합력이 우수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된 부분에서 접착테이프를 제거할 대 잔유물이 남아 있지 않고 깨끗하게 제거가 가능한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고분자 발포 폼 시트층과, 상기 폼 시트층의 일측면인 제1 표면에 형성된 제1 패턴점착층과, 상기 폼 시트층의 다른 일측면인 제2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 또는 제2 패턴점착층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폼 시트층의 제2 표면과 점착층 또는 제2 패턴점착층 사이에 보호필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폼 시트층의 제2 표면과 보호필름층 사이에 프라이머점착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폼 시트층의 제1표면과 제1 패턴점착층 사이에 프라이머점착층과 보호필름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폼 시트층의 제2 표면과 점착층 또는 제2 패턴점착층 사이에도 프라이머점착층과 보호필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는 기존의 발포 폼 접착테이프와는 달리 폼 시트층의 일측면에서 패턴점착층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패턴점착층이 구비된 부분을 디스플레이 패널 부분에 접착하여 적용하는 경우, 재 작업이 필요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자기기에서 탈거하여 분리한 다음에 그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제거하게 되면 잔유물이 남지 않고 발포 폼 접착테이프가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어서 재작업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재 작업시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발포 폼을 제거할 때 다른 도구나 솔벤트 등의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용이하게 떼어 내기만 하면 깨끗하게 제거되기 때문에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제거가 용이하고, 제거 후 디스플레이 페널의 표면 송상이 없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 폼 시트층의 일측 또는 양측 표면에 보호필름층을 적용하게 되면 발포 폼 시트층의 발포 모재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점착 특성과 온도 변화에 적응하는 물성을 더욱 좋게 하고, 또 재 작업시 작업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장 간단한 기본 구조의 구현예로서,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현예로서, 도 1의 구성에 더하여 폼 시트층의 일측면에 보호필름층을 추가로 구비한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현예로서, 도 1의 구성에 더하여 폼 시트층의 일측면에 프라이머점착층과 보호필름층을 추가로 구비한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현예로서, 도 1의 구성에 더하여 폼 시트층의 양측면에 프라이머점착층과 보호필름층을 각각 추가로 구비한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점착층의 패턴구조 적용에 대한 일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점착층의 패턴구조 적용에 대한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에서 보여주는 발포 폼 접착테이프 구조에서 보완소재층을 추가 형성한 구조의 다양한 형태의 예 (A) - (D)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전자기기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에 있어서 그 접착테이프의 고유물성은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리한 후 재 작업 시에 접착테이프의 제거가 용이한 물성을 가지도록 발포 폼 시트층의 일측면에 패턴구조를 가지는 패턴점착층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접착필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시켜 조립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자기기의 피착부의 사이에 접착을 위해 적용되는 양면 접착테이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기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구조를 가지는 접착테이프로서, 고분자 발포 폼 시트층(100)과, 상기 폼 시트층(100)의 일측면인 제1 표면에 형성된 제1 패턴점착층(10)과, 상기 폼 시트층의 다른 일측면인 제2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20) 또는 제2 패턴점착층(21)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발포 폼 접착테이프는 제1 표면에 형성된 제1 패턴 점착층(10)이 디스플레이 패널 부분에 접착되고, 그 다른 측면인 제2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20) 또는 제2 패턴점착층(21)이 다른 전자기기 피착물인 백라이트 유닛 등에 접착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양면 접착용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착부위가 아닌 백라이프 유닛과 같은 다른 피착물에 적용되는 측면은 통상의 접착층(20)을 적용하여도 되고, 상기 제1 패널접착층과 유사한 형태의 제2 패턴점착층(21)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다만, 제2 패턴점착층(21)의 경우 제1 패턴점착층(10)에 비하여 점착력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폼 시트층(100)의 제2 표면과 점착층(20) 또는 제2 패턴점착층(21) 사이에 보호필름층(30)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구현예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보호필름층(30)은 발포 폼 시트층(100)의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몰리우레탄(PU)와 같은 합성수지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발포 폼 시트층(100)과 상용성이 우수한 재질을 필름형태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폼 시트층(100)의 제2 표면과 보호필름층(30) 사이에 프라이머점착층(40)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구현예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프라이머점착층(40)의 적용은 실질적으로는 발포 폼 시트층(100)에 프라이머층을 더하여 폼 시트층(100)과 보호필름층(30) 사이의 점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추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폼 시트층(100)의 제1 표면과 제1 패턴점착층(10) 사이에 프라이머점착층(40a)과 보호필름층(30a)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폼 시트층의 제2 표면과 점착층(20) 또는 제2 패턴점착층(21) 사이에 프라이머점착층(40)과 보호필름층(30)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구현예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와 같이 발포 폼 시트층(100)의 강성을 보완하고 접착 이후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피착물 간의 열변형률의 차이 등에 따른 변화에도 견고하고 물성 변화없이 부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재 작업시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접착테이프를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발포 폼을 접착테이프의 모재로 사용하는 경우, 폼 시트층(100)의 강성이 약하다. 일반 폼 접착테이프를 부착한 이후에 이를 제거 시에는 폼이 찢어지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완전하게 제거되지 아니하고 남겨 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폼 표면에 강성이 강한 보완소재층(50)을 발포 폼 시트층(100)을 중심으로 하여 제1 표면의 일측면 한층이나 제1 및 제2 표면의 양측면에 두층을 더 추가로 형성하여 모재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그 예로서, 도 7에서 상기와 같이 발포 폼 시트층(100)의 제1 표면(위층)에 보완소재층(50)을 추가로 구성하여 강성을 보완할 수 있는 구현예들을 도시하였다. 도 7의 구현예들은 도 1 내지 도 4의 구현예에서 보여주는 발포 폼 접착테이프와 유사한 구조에서 보완소재층(50)과 프라이머점착층(40)을 추가 형성한 구조를 다양한 사례 (A) - (D)로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완소재층(50)은 PU 스킨필름, 부직포, 섬유재질 등의 질긴 소재로 이루어진 필름형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완소재층(50)으로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한 프라이머점착층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에서 폼 시트층(100)과 보완소재층(50)의 결합력은 피착물과 보완소재층(50)과의 부착력보다 약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보완소재층(50)에 적용되는 프라이머점착층(40)의 경우, Hard한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초기에 폼 시트층(100)과 보완소재층(50)의 결합에 필요한 결합력 이상의 큰 결합력을 지녀도, 순차적으로 적은 힘으로 떼어낼 수 있는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7의 구성에서 제1 패턴점착층(10)은 패턴형이 아닌 일반 점착층(20)을 적용하여도 보완소재층(50)으로 인해 재 작업시 폼 접착테이프의 제거가 용이하다.
일반적으로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다시 탈거하여 재 작업이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접착테이프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렇게 재 작업과정에서 필요한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재 작업성을 좋게 하기 위한 물성을 다음과 같은 특성에 의해 정해진다.
(1) 피착물과 접착되는 점착면의 초기 부착력
(2) 피착물과 접착되는 점착면의 장시간 방치 후의 부착력
(3) 접착테이프의 발포 폼 접착테이프 모재의 강성 및 그 모재의 층간 구조상의 결합력
(4)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된 접착테이프의 점착 잔유물이 없을 것
이와 같이,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한 전자기기의 경우, 기존의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재 작업이 필요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은 탈거하여 재 작업하고자 할 때 칼을 이용하여 발포 폼 접착제의 폼 시트층 측면을 칼로 절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과 같은 전자기기 부품을 분리한 다음에, 단가가 고가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재사용을 위하여 그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된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완전하게 제거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 경우 폼 시트층의 잔유물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잔류하게 되므로 이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 솔벤트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그러므로 재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디스플레이 페널 표면에 남게 되는 접착테이프 잔유물의 제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이용하게 되면, 상기 발포 폼 시트층(100)의 일측면인 제1 표면에 패턴접착층(10)을 적용하기 때문에 그 제1 패턴점착층(10)의 초기 부착력이 적어서 재 작업시에 디스플레 패널로부터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제거하기가 매우 용이한 특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즉, 제1 패턴점착층(10)은 초기 부착력이 적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부착한 다음 완전한 접착력을 발휘하기 전에 이를 탈거하여 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재 작업 공정에서 패턴형으로 일부에만 접착력이 발휘되기 때문에 발포 폼 시트층(100)이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에 남지 않고 모두 제거되어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포 폼 시트층(10)은 통상에 사용되었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바,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극률이 60-95%이고, 밀도가 70-1,000k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발포 폼 시트층(100)은 그 두께가 0.5-3.0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제1 패턴점착층(20)의 점착제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폼 시트층(10)의 제1 표면에 적용되는 점착층(30) 또는 제2 패턴점착층(21)의 경우는 상기 제1 패턴점착층(10)에서 적용된 점착제 성분을 사용하거나 에폭시, 우레탄, 폴리에스터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패턴점착층(1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과의 초기 부착력을 적게 하기 위해 점착 형태를 소정의 패턴(Pattern)형태로 하여 구성하여 초기 부착력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그 패턴의 형태는 차후에 제거하기 쉬워야 하며, 패턴형상이 항상 유지되는 형태의 점도와 흐름도를 가지는 점착제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패턴형상의 크기는 사용 테이프 폭에 비례하여 제작하는데 적어도 전체 피착면 기준으로 접착면 : 비점착면이 3-6 : 1의 면적 비율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패턴 형상을 줄무늬, 물결무늬 또는 3-6각형의 격자모양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패턴점착층 또는 제2 패턴점착층의 패턴을 구성함에 있어서 선 모양을 이루는 부분이 점착제가 없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패턴점착층(10, 21)이나 점착층(20)의 두께는 30-100㎛로 적용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점착층(40, 40a)은 2-20㎛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피착물과 디스플레이 패턴을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접착한 이후에 장시간 방치 후 부착력이 강해지면, 폼 접착테이프를 절개하지 않고서는 재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손상이 없이 폼 접착테이프를 용이하게 제거하려면 일반 점착제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열을 가하여 열가소성 점착제가 유동할 때 제거해야 하며, 이때 제품에 열 손상이 있을 수 있다. 이점을 보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착되는 부분의 패턴점착층의 전체에 걸쳐서 패턴형으로 점착층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패턴점착층의 전체 면적 중 일부는 통상의 점착제를 적용하고 나머지 일부는 패턴 또는 비패턴형의 다이싱점착제(Dicing Adhesive), 또는 패턴형 점착제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전형적으로는 도 5 또는 도 6과 같은 방식으로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1 패턴점착층을 적용하게 되면, 재 작업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폼 접착테이프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UV 조사 후 부착력을 약화시켜 제거하면 폼 접착테이프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제1 패턴점착층의 구성을 접착테이프의 양 가장자리 패턴영역은 패턴형태 또는 비패턴 형태의 다이싱점착제 영역을 가지며 중간 영역은 비패턴의 점착제 영역를 가지는 구성의 패턴점착층으로 구성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은 패턴점착층을 구성함에 있어서 반복적으로 다이싱점착제 영역인 패턴영역과 비패턴 점착제 영역의 비패턴 영역으로 접착부를 구성한 패턴점착층의 구성에 따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자기기에서 탈거하여 재 작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에 폼 접착테이프의 잔유물이 남지 않고 발포 폼 접착테이프가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어서 재작업 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다. 또한, 다이싱 점착제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UV조사 방식으로 폼 접착테이프를 제거하여 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턴점착층이 적용된 발포 폼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면 재 작업시 다른 도구나 솔벤트 등의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용이하게 접착테이프를 떼어 내기만 하면 깨끗하게 제거되기 때문에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제거가 용이하고, 제거 후 디스플레이 페널의 표면 손상이 없다. 특히, 보완소재층을 추가 적용하게 되면 모재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점착 특성을 더욱 좋게 하고, 또 재 작업시 작업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과 같은 구성으로 폴리우레탄 발포 폼 시트층(공극률 90%, 밀도110kg/㎡, 두께 1.5mm)을 구성하고, 그 일측면(제1 표면)에 사각 격자형 패턴점착층(점착면 : 비점착면 = 5:1)을 형성하되 4각 격자형으로 제1 패턴점착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측(제1 표면)에는 점착층을 비패턴형으로 형성하여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이때, 패턴점착층의 구성은 폭이 2mm의 경우, 2mm 폭 안에 격자 Pattern이 3개가 존재하고 격자 크기 0.8mm x 0.8mm 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2
도 4와 같은 구조의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구성하되,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의 접착테이프 구성에 더하여 발포 폼 시트층 일측면(제1 표면)에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스킨층으로 추가하여 보호필름층을 구성하고, 다른 일측(제2 표면)에는 블랙 PET 필름층을 추가하여 보호필름층을 각각 형성하여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상기 접착테이프와 동종의 발포 폼 접착테이프로서 기존의 방식으로 발포 폼 시트층의 일측(제2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발포 폼 접착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2와 비교예에 대하여 각각 동일한 점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백라이트 유닛에 부착하되, 제1 표면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 부분으로, 제2 표면은 백라이트 유닛의 표면 부분으로 향하도록 하여 부착하고, 10분경과 후 재 작업을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탈거하여 분리한 다음,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된 접착테이프를 제거하여 잔유물이 남아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실험은 20회 반복하여 실시하고 잔유물이 남아 있는 개수를 확인하여 재 작업시 접착테이프의 제거율을 확인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접착테이프 완전제거율(%) 100 100 35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경우 디스플레이 페널의 표면 제거율이 모두 100%로서 완전 제거가 가능한데 대하여, 비교예의 종래 제품은 약 2/3 가량(20개 중에서 13개)이나 발포 폼 접착테이프의 제거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0 - 제1 패턴점착층
20 - 점착층
21 - 제2 패턴점착층
30, 30a - 보호필름층
40, 40a - 프라이머점착층
50 - 보완소재층
100 - 발포 폼 시트층
710 - 패턴영역(또는 패턴형 또는 비패턴 다이싱접착제 영역)
720 - 비패턴영역

Claims (10)

  1. 고분자 발포 폼 시트층과, 상기 폼 시트층의 일측면인 제1 표면에 형성된 제1 패턴점착층과, 상기 폼 시트층의 다른 일측면인 제2 표면에 형성된 점착층 또는 제2 패턴점착층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폼 시트층의 제2 표면과 점착층 또는 제2 패턴점착층 사이에 보호필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폼 시트층의 제2 표면과 보호필름층 사이에 프라이머점착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폼 시트층의 제1표면과 제1 패턴점착층 사이에 프라이머점착층과 보호필름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폼 시트층의 제2 표면과 점착층 또는 제2 패턴점착층 사이에도 프라이머점착층과 보호필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보호필름층은 PET 또는 PU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폼 시트층은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그 폼 시트층의 제1표면과 제1 패턴점착층 사이에 프라이머점착층과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보호필름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폼 시트층의 제2 표면과 점착층 또는 제2 패턴점착층 사이에도 프라이머점착층과 블랙 PET 필름층의 보호필름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폼 시트층의 제1 표면 또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 중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프라이머점착층과 보완소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8. 청구항 7에 있어서, 발포 폼 시트층의 제1 표면의 최외각층이 제1 패턴점착층 또는 통상의 점착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제1 패턴점착층의 패턴은 선 모양을 이루는 부분이 점착제가 없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10. 청구항 7에 있어서, 보완소재층은 PU 스킨필름, 부직포, 섬유소재 또는 프라이머점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KR1020160052992A 2016-04-29 2016-04-29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KR101821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92A KR101821980B1 (ko) 2016-04-29 2016-04-29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992A KR101821980B1 (ko) 2016-04-29 2016-04-29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74A true KR20170123474A (ko) 2017-11-08
KR101821980B1 KR101821980B1 (ko) 2018-03-08

Family

ID=6038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992A KR101821980B1 (ko) 2016-04-29 2016-04-29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201B1 (ko) * 2020-06-22 2020-10-13 주식회사 세화 프라이버시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7199B2 (en) 2018-06-07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sensor open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9569A (ja) * 2005-12-26 2007-07-05 Toyo Ink Mfg Co Ltd 発泡基材粘着シート
JP2007284496A (ja) * 2006-04-13 2007-11-01 Nitto Denko Corp 仮固定粘着テープ
KR101273673B1 (ko) * 2013-02-01 2013-06-12 문정환 기능성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201B1 (ko) * 2020-06-22 2020-10-13 주식회사 세화 프라이버시 필터
US11656827B2 (en) 2020-06-22 2023-05-23 SEWHA Co., Ltd Privacy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980B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3919B2 (en) Method for preparing structured adhesive articles
US10316226B2 (en) Method for preparing structured laminating adhesive articles
JP6322278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貼り付け方法
WO2018014548A1 (zh) 遮光胶带、应用该遮光胶带的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KR102004172B1 (ko) 이방 점착성 시트
KR101429959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착된 광학 부품과 공업 제품
KR102515728B1 (ko) 적층체
KR101821980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접착용 발포 폼 접착테이프
TW201904488A (zh) 具有圖案化黏著劑區域的黏著劑安裝裝置
KR20190003644A (ko) 박리 라이너 부착 점착 시트
EP2546316A1 (en) Masking film-attached original plate for light guide plate
KR101769014B1 (ko) 곡면부를 가진 디스플레이 부품에 부착되는 비산방지부 및 그 부착방법
JP2006208855A (ja) 貼付用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貼付方法
JP6392799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WO2016204034A1 (ja) フィルム貼り付け方法
KR102233172B1 (ko) 양면 점착 폼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KR20190073283A (ko) 매엽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324350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CN110229619B (zh) 保护结构
JPWO2018179098A1 (ja) 貼着部材
JPS6258638A (ja) 半導体ウエハの保護部材
JP6550311B2 (ja) 剥離方法
TW201310114A (zh) 板材堆疊結構及板材堆疊結構製作方法
JP2022551630A (ja) 接着剤送達システム
KR101762288B1 (ko) 필름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