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959B1 -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착된 광학 부품과 공업 제품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착된 광학 부품과 공업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959B1
KR101429959B1 KR1020120120302A KR20120120302A KR101429959B1 KR 101429959 B1 KR101429959 B1 KR 101429959B1 KR 1020120120302 A KR1020120120302 A KR 1020120120302A KR 20120120302 A KR20120120302 A KR 20120120302A KR 101429959 B1 KR101429959 B1 KR 101429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rend
film
protective film
surface prot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058A (ko
Inventor
마스시 하야시
켄지 치시마
히로유키 미야사카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2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착체 밀착층의 점착력을 낮추어도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피착체 밀착층과 그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인 커버 필름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지 않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표면이 평활한 피착체 밀착층을 갖고,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가볍게 뗄 수 있지만, 제조 공정에서의 사용 중에는 피착체에 단단히 밀착하여 피착체를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며,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의 피착체 표면의 오염이 적은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투명 기재(1)의 적어도 한쪽 면에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이 평활한 피착체 밀착층(2)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피착체 밀착 필름(5)을 구비하고, 피착체 밀착층(2)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기재(4)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3)이 형성된 커버 필름(6)이 피착체 밀착층(2)의 표면에 점착제층(3)을 개재하여 첩합된 표면 보호 필름(10)이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착된 광학 부품과 공업 제품{SURFACE PROTECTION FILM AND OPTICAL COMPONENT ATTACHED AND INDUSTRIAL PRODUCTS WITH THE FILM}
본 발명은 렌즈 등의 광학 부품, 편광판, 확산판, 도광판 등의 광학 필름, 반도체 관련 기기 등의 정밀 기계 등등의 각종 공업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착체에 밀착하고 박리 시에는 가볍게 뗄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피착체에 단단히 밀착하여 피착체를 보호하며,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의 피착체 표면의 오염이 적은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착(貼着)된 광학 부품과 공업 제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로는, 상세하게는 카메라 렌즈, 안경 렌즈, 차량용 헤드 램프 렌즈, 광섬유 등의 광학 부품, 각종 디스플레이(PDP, LCD, 유기 EL 등)의 화상 표시체, 렌즈 어레이 시트, 터치 패널 시트, 편광판, 확산판, 위상차판, 도광판 등의 각종 광학 필름, 스테인리스판,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판, 아크릴판 등의 플라스틱판, 유리판 등의 건축 자재 및 공업 재료, 의료 기기, 반도체 제조 관련 기기 등의 정밀 기기 등등의 표면 보호에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을 들 수 있다.
많은 공업 제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공업 제품의 표면을 오손(汚損)이나 파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의 화상 표시체, 광학 유리, 각종 광학 필름 등의 광학 부품을 제조, 반송할 때에는, 당해 광학 부품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첩착하여, 후공정에서의 표면의 오염이나 흠집을 방지한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을 첩착한 채로, 각종 광학 필름 등의 광학 부품의 외관 검사 등 제품 검사가 행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貼合)한 채로, 조립 공정을 행하는 등 공정용으로서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일반적인 표면 보호 필름의 구성은 가요성을 갖는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한쪽 면에 미(微)점착력의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 표면 보호 필름에 사용되고 있는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표면, 유리, 각종 광학 필름 등에 첩착하기 위한 접착성을 갖는 층이다. 또한, 점착제층을 미점착성으로 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표면, 유리, 각종 광학 필름 등의 표면에 첩합시킨 보호 필름을 사용이 끝난 후에, 첩합시킨 표면으로부터 박리 제거할 때에 원활히 박리할 수 있으며, 또한 점착제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표면 보호 필름에 사용되는 점착제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의 각종 점착제 및 폴리에틸렌 초산비닐수지 등의 접착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따라, 표면 보호 필름을 대면적 디스플레이 화면에 첩합하여 사용할 때에도 가볍게 뗄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한 표면 보호 필름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박리 시에 가볍게 뗄 수 있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 하는 것에 대한 요구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아크릴 점착제에 실리콘계 화합물을 함유시킨 점착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실리콘계 화합물이 오일 형상의 성상이기 때문에, 표면 보호 필름을 떼었을 때 피착체의 표면을 오염시킨다.
또한, 제조 공정용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로부터 박리 후에, 그 피착체 표면에 광학 필름을 첩합할 때 또는 출하용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할 때, 피착체의 표면에 오염에 의한 잔류물이 있으면, 피착체 표면과 광학 필름이나 출하용 표면 보호 필름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박리되는 문제가 생긴다.
특허문헌 2에서는, 소정의 기능을 갖는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평활면에 밀착하는 실리콘층을 형성한 평활면 밀착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실리콘 수지를 피착체와의 밀착층으로서 사용하면,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후에 피착체의 표면을 오염시킨다.
또한, 제조 공정용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로부터 박리 후에, 그 피착체 표면에 광학 필름을 첩합할 때 또는 출하용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할 때, 피착체의 표면에 오염에 의한 잔류물이 있으면, 피착체 표면과 광학 필름이나 출하용 표면 보호 필름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박리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3에서는, 피착체 밀착층에 의한 피착체의 표면 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해, 피착체 밀착층인 실리콘층의 표면에 밀착시키는 세퍼레이터 필름을 적어도 1회 이상 교체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번잡한 세퍼레이터 필름의 교체 공정이 필요한데다, 세퍼레이터 필름의 교체 횟수의 증감에 따라 피착체 밀착층의 오염성이 저감되는 정도가 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리콘 수지를 피착체 밀착층에 사용한 종래의 표면 보호 필름에서는, 밀착층의 점착력을 낮추면 세퍼레이터 필름에 대한 밀착성도 저하되고, 그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피착체 밀착층과 그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인 커버 필름(특허문헌 3에서는 세퍼레이터 필름)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여, 들뜬 부분의 피착체 밀착층을 형성하는 수지가 변형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피착체 밀착층이 변형된 경우, 피착체에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할 때에 기포가 들어가는 등의 현상이 일어나 깨끗이 첩합할 수 없는 원인이 되어, 표면 보호 필름을 첩합했을 때의 외관의 악화나 디스플레이의 화상이 일그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089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9507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55858호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피착체 밀착층의 점착력을 낮추어도,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피착체 밀착층과 그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인 커버 필름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지 않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표면이 평활한 피착체 밀착층을 갖고,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에는 가볍게 뗄 수 있지만, 제조 공정에서의 사용 중에는 피착체에 단단히 밀착하여 피착체를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며,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의 피착체 표면의 오염이 적은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착된 광학 부품과 공업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밀착력이 약해도,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피착체 밀착층과 커버 필름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피착체 밀착층으로부터 실리콘 이행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합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커버 필름을 표면 보호 필름의 피착체 밀착층의 표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하는 것을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명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착체 밀착층이 적층된 피착체 밀착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피착체 밀착층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커버 필름이 당해 피착체 밀착층의 표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피착체 밀착층의 두께가 2~2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 필름의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으로부터 상기 커버 필름을 박리하여 얻은 상기 피착체 밀착 필름이 상기 피착체 밀착층을 개재하여 첩합된 광학 부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으로부터 상기 커버 필름을 박리하여 얻은 상기 피착체 밀착 필름이 상기 피착체 밀착층을 개재하여 첩합된 디스플레이, 광학 필름, 건축 자재, 공업 재료, 의료 기기, 정밀 기기 등의 공업 제품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업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피착체 밀착층의 표면에 당해 피착체 밀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합성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커버 필름을 첩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점착력·피착체 밀착력이 매우 낮은 피착체 밀착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이라도, 그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피착체 밀착층과 커버 필름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지 않고, 표면이 평활한 피착체 밀착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을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수지를 피착체 밀착층에 사용했을 때에 문제가 되는, 저분자량 실리콘의 이행에 의한 피착체의 오염이 일어나는 문제도, 상기 커버 필름을 박리 제거할 때,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커버 필름의 점착제층이 실리콘 수지의 표면에 표출되어 있는 저분자량 실리콘을 제거함으로써, 피착체의 오염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해, 표면이 평활한 피착체 밀착층을 갖고, 박리 시에는 가볍게 뗄 수 있지만, 제조 공정에서의 사용 중에는 피착체에 단단히 밀착하여 피착체를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이며,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후 피착체 표면의 오염이 적은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사용의 형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표면 보호 필름(10)은 투명 기재(1)의 적어도 한쪽 면에,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이 평활한 피착체 밀착층(2)이 적층된 피착체 밀착 필름(5)과, 기재(4)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3)이 형성된 커버 필름(6)으로 이루어진다. 피착체 밀착 필름(5)은 투명 기재(1)의 적어도 한쪽 면에 피착체 밀착층(2)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필름(6)은 수지 필름이나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4)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3)이 형성되어 있다. 피착체 밀착층(2)의 표면에 점착제층(3)이 접하도록 피착체 밀착 필름(5)과 커버 필름(6)이 첩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10)의 투명 기재(1)로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좋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에 따라, 표면 보호 필름을, 예를 들면 광학 부품의 피착체에 첩착한 채로 광학 부품의 외관 검사를 행할 수 있다. 투명 기재(1)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외에, 필요한 강도를 가지며, 또한 광학 적성을 갖는 것이라면 다른 플라스틱 필름도 사용 가능하다. 투명 기재(1)는 무연신 필름이어도, 1축 또는 2축 연신되어 있어도 좋으며, 또한 연신 배율이나 연신의 결정화에 따라 형성되는 축 방향의 각도를 제어한 플라스틱 필름이어도 좋다.
투명 기재(1)의 두께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면 두께 12~125㎛정도가 바람직하고, 특히 두께 20~75㎛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기재(1)의 두께가 12㎛ 이하이면, 투명 기재의 강성이 약하고 취급이 곤란하다. 또한, 투명 기재(1)의 두께가 125㎛를 넘으면, 강성이 너무 강해져 취급이 어려워진다. 또한, 가격이 비싸지게 되어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투명 기재(1)에는, 필요에 따라 피착체 밀착층(2)의 반대측 면(도 1 및 도 2의 최상면)에 표면의 오염을 방지할 목적의 방오층, 대전 방지층, 흠집 방지 하드 코트층 등을 적층할 수 있다. 또한, 투명 기재(1)의 피착체 밀착층(2)과 접하는 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나 앵커 코트 처리 등의 접착 용이성을 실시하는 처리를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10)의 피착체 밀착층(2)은 투명한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고, 피착체의 표면 오염을 억제하기 위해, 상온에서 고체이며 실리콘 폴리머를 가교한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실리콘 폴리머의 가교 형태는 Si-H기와 Si-비닐기의 반응인 부가 반응형, Si-H기와 Si-OH기의 반응인 축합 반응형, 메르캅토기와 비닐기의 반응인 엔티올 반응형, 지환식 에폭시기의 양이온 중합형, 과산화물 경화형 등 공지된 가교 반응인 것이 좋다. 표면 보호 필름의 피착체 밀착층(2)으로부터 피착체로의 실리콘의 이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부가 반응형, 엔티올 반응형 혹은 양이온 중합형이 바람직하다.
가교 반응시키기 전의 실리콘 폴리머는 제품 형태로서, 용제 타입, 에멀젼 타입, 무용제 타입 등이 있지만, 광학 용도 등으로 사용되는 점에서 용제 타입 또는 무용제 타입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10)의 피착체 밀착층(2)에 사용되는 실리콘 수지의 두께는 2~250㎛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2㎛ 미만에서는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된다. 두께가 250㎛ 이상에서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는 사용할 수 있지만, 재료 비용의 상승이나 실리콘 수지의 가공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피착체 밀착층(2)에 사용되는 실리콘 수지의 두께는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 및 제조 비용의 관점에서 두께가 5~30㎛ 정도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피착체 밀착층(2)인 실리콘 수지층은 표면 보호 필름의 피착체 밀착 필름(5)을 구성하는 투명 기재(1)와 마찬가지로 투명인 것이 필요하다. 피착체 밀착 필름(5)의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착체 밀착층(2)은 유연성이 풍부한 것이 바람직하고, 저장 탄성률로는, 예를 들면 25℃에서 1.0×105㎩~5.0×107㎩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착체 밀착층(2)의 표면은 피착체와 피착체 밀착층(2) 사이에 생기는 공기층을 줄여서 밀착력을 안정시키기 위해, 가능한 한 요철이 적고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피착체 밀착층(2)의 표면은 표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가 0.05~1.2㎛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가 0.05~0.6㎛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표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가 0.05~0.2㎛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10)에 있어서, 피착체 밀착층(2)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밀착성을 적당한 값으로 설정하려면, 피착체 밀착층(2)에 사용하는 실리콘 수지의 점탄성이나 가교 밀도를 조정한다. 실리콘 폴리머 중의 관능기의 양이나, 메틸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등의 가교제의 첨가량 등을 가감 조정함으로써, 점착력·밀착성을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필요에 따라, 실리콘 레진 등 실리콘 폴리머와 상용성이 좋고, 상온에서 고체인 첨가제를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10)의 투명 기재(1)와,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착체 밀착층(2)의 밀착성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 등을 실리콘 수지에 첨가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10)의 투명 기재(1)에 피착체 밀착층(2)을 형성하기 위해 실리콘 수지를 적층하는 방법으로는 이미 공지된 방법으로 행하면 좋다. 일반적으로는, 콤마 코트법, 메이어 바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슬롯 다이 코트법, 커텐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기재(1)에 도공한 실리콘 수지는 가열 경화, 자외선 경화, 전자선 경화 등의 방법에 의해 경화 반응시킴으로써 실리콘 수지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10)의,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착체 밀착층(2)의 표면을 보호하는 것 및 피착체로 이행되는 실리콘의 유리(遊離)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피착체 밀착층(2)의 표면에는 기재(4)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3)이 형성된 커버 필름(6)이 첩합된다. 커버 필름(6)은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의 기재(4)에 점착제를 공지된 방법으로 도포하여 점착제층(3)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 필름(6)의 점착제층(3)에 사용하는 점착제의 점착력은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으며, 미점착에서 강점착인 것까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필름(6)에 사용하는 점착제층(3)의 도포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점착 특성 및 비용의 관점에서 두께가 1~4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필름(6)에 사용하는 점착제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의 점착제, 및 폴리에틸렌 초산비닐 수지 등의 접착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피착체 밀착층(2)의 표면으로부터 피착체로 이행되는 실리콘의 유리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및 커버 필름(6)의 점착제층(3)으로부터 피착체 밀착층(2)으로의 점착제 성분의 이행을 억제하기 위해, 커버 필름(6)에 사용되는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필름(6)에 사용하는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JIS-Z-0237에 준거하여 스테인리스판에 대해 박리 각도 180°, 박리 속도 300㎜/min에서 측정했을 때, 0.05~20N/2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필름(6)의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0.05N/25㎜ 이하이면, 피착체 밀착층으로부터 실리콘 이행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불충분하게 되어 피착체 오염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커버 필름(6)의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20N/25㎜ 이상이면, 표면 보호 필름으로부터 커버 필름을 뗄 때의 박리력이 높아져 떼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커버 필름(6)에 사용하는 기재(4)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상질지, 그라프트지, 아트 코트지, 클레이 코트지, 글라신지 등의 종이 기재, 및 상기 종이 기재에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라미네이트한 수지 라미네이트지 등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커버 필름(6)에 사용하는 기재(4)는 박리 제거되기 때문에, 투명, 반투명, 불투명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10)을 광학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커버 필름(6)에 사용하는 기재(4)로는 종이 가루가 피착체에 부착되는 것이 우려되는 종이 기재보다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10) 자체의 품질 검사로서 행하는 외관 검사 공정을 고려하면, 높은 투명성을 지니는 등의 많은 뛰어난 특징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 필름(10)으로부터 커버 필름(6)을 뗄 때의 박리 대전압이 영향을 끼치는 용도인 경우에는, 커버 필름(6)의 기재(4)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대전 방지제를 처리함으로써, 커버 필름(6)을 박리할 때의 박리 대전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기재(1)에 피착체 밀착층(2)을 적층한 피착체 밀착 필름(5)에 커버 필름(6)을 첩합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기재(4)에 점착제층(3)을 적층한 커버 필름(6)을 피착체 밀착 필름(5)의 피착체 밀착층(2) 면에 점착제층(3)을 개재하여 첩합하는 방법, 피착체 밀착 필름(5)의 피착체 밀착층(2)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점착제층(3)의 건조 후에 커버 필름(6)의 기재(4)를 첩합하여 커버 필름(6)을 완성하는 방법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을 피착체에 첩합하려면, 표면 보호 필름(10)으로부터 커버 필름(6)을 박리하여 얻어진 피착체 밀착 필름(5)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착체 밀착층(2)을 개재하여 피착체(7)에 첩합시킨다.
피착체(7)로는, 카메라 렌즈, 안경 렌즈, 차량용 헤드 램프 렌즈, 광섬유 등의 광학 부품, 각종 디스플레이(PDP, LCD, 유기 EL 등)의 화상 표시체, 렌즈 어레이 시트, 터치 패널 시트, 편광판, 확산판, 위상차판, 도광판 등의 각종 광학 필름, 스테인리스판,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판, 아크릴판 등의 플라스틱판, 유리판 등의 건축 자재 및 공업 재료, 의료 기기, 반도체 제조 관련 기기 등의 정밀 기기 등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부품, 디스플레이, 광학 필름, 건축 자재, 공업 재료, 의료 기기, 정밀 기기 등의 공업 제품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으로부터 얻은 피착체 밀착 필름을 피착면에 첩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박리 시에는 가볍게 뗄 수 있지만, 제조 공정에서의 사용 중에는 피착체에 단단히 밀착하여, 피착면(바람직하게는 평활면)을 보호한 상태로 보관, 검사, 수송 등을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피착체 밀착 필름을 박리한 후의 피착면의 오염이 적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피착체 밀착층이 투명 기재의 양면에 적층된 피착체 밀착 필름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피착체 밀착층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필름을 2매로 하여, 피착체 밀착 필름의 양면의 피착체 밀착층 각각에 첩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두께가 50㎛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양이온 중합 타입의 실리콘 수지(아라카와 화학 제조 POLY-201, 촉매 CAT-211을 주제(主劑)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첨가)를 건조 경화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기로 적산 광량 1000mJ/㎠×2회의 UV조사 처리를 하여, 실리콘 수지를 경화시켜 피착체 밀착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착체 밀착층의 표면에 아크릴계 미점착제층을 갖는 커버 필름을 당해 미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하여, 실시예 1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여기서, 상기 커버 필름은 두께가 38㎛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아크릴계 점착제[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95/5인 공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닛폰 폴리우레탄 공업 제조, 코로네이트 L-45,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첨가)를 혼합한 것]를 건조 후의 점착제층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의 열풍 순환식 오븐에서 건조하여 적층한 것이다.
(실시예 2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실리콘 수지를 메르캅토/비닐 반응 타입의 실리콘 수지(신에츠 화학 공업 제조 X-62-7028A와 X-62-7028B를 100/10의 비율로 혼합한 것)로 대신하고 건조 경화 후의 두께가 50㎛가 되도록 하여 피착체 밀착층을 형성하고, 커버 필름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15㎛로 하여 커버 필름을 제작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실리콘 수지를 부가 반응 타입의 실리콘 수지(신에츠 화학 공업 제조 X-62-1873과 촉매 PL-56을 100/2의 비율로 혼합한 것)로 대신하고 자외선 조사를 하는 대신에 120℃의 열풍 순환식 오븐에서 3분간 건조하여 피착체 밀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실리콘 수지의 도포 두께를 5㎛로 하여 피착체 밀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실리콘 수지를 부가 타입의 실리콘 점착제(신에츠 화학 공업 제조 X-40-3306과 촉매 PL-50T를 100/0.2의 비율로 혼합한 것)로 대신하고 피착체 밀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5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6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실리콘 수지를 부가 타입의 용제형 실리콘 수지(도레이 다우코닝 실리콘 제조 SD7223과 촉매 SRX-212 Cat를 100/0.6의 비율로 혼합한 것)로 대신하고 실리콘 수지의 도포 두께를 2㎛로 하여 피착체 밀착층을 형성하고, 커버 필름으로서 아크릴계 강점착제(토요켐 주식회사 제조, 올리바인 BPS-5127)를 사용해 점착제층의 두께를 15㎛로 하여 커버 필름을 제작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6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7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실리콘 수지의 도포 두께를 250㎛로 하고, 건조 시간을 5분간으로 하여 피착체 밀착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7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제작)
커버 필름의 아크릴계 미점착제층을 대신하여 고무계 강점착제(토요켐 주식회사 제조, 올리바인 BPS-2411)를 사용해 점착제층의 두께를 15㎛로 하여 커버 필름을 제작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8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의 표면 보호 필름)
실시예 1의 커버 필름 대신에 두께가 38㎛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의 표면 보호 필름)
실시예 3의 커버 필름 대신에 두께가 38㎛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의 표면 보호 필름)
실리콘 수지의 도포 두께를 1㎛로 하여 피착체 밀착층을 형성하고, 커버 필름으로서 아크릴계 강점착제(토요켐 주식회사 제조, 올리바인 BPS-5127)를 사용해 점착제층의 두께를 15㎛로 하여 커버 필름을 제작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의 표면 보호 필름)
실리콘 수지를 아크릴계 점착제[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의 95/5인 공중합체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닛폰 폴리우레탄 공업 제조, 코로네이트 L-45,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첨가)를 혼합한 것]로 대신하여 피착체 밀착층을 형성하고, 커버 필름으로서 실리콘계 박리제를 이용해 박리 처리된 세퍼레이터 필름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의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평가 시험의 방법 및 시험 결과에 대하여 나타낸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력)
표면 보호 필름을 폭 치수 25㎜로 절단하여 표면 보호 필름의 시험편을 제작하고, 첩합되어 있는 커버 필름을 뗀다. 유리판의 표면에 2㎏ 고무 롤러를 이용해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의 시험편을 첩합한다. 그 후, 23℃×50%RH의 시험 환경 하에서 1시간 방치 후, 180°방향으로 인장 시험기를 이용해 속도 300㎜/min에서 떼어 측정한 박리 강도를 점착력으로 하였다.
(젖음성)
표면 보호 필름을 폭 치수 50㎜×길이 치수 100㎜인 시험편으로 절단한다. 첩합되어 있는 커버 필름을 떼어, 유리판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의 피착체 밀착층이 폭 치수 50㎜×길이 치수 20㎜로 접하도록 밀착시킨다. 그 후, 표면 보호 필름의 시험편에서 손을 떼고, 그 시험편이 자중(自重)으로 유리판에 밀착되어 있는 경과 시간을 계측한다. 표면 보호 필름의 시험편에서 손을 떼고, 그 시험편의 길이 방향의 90㎜까지 밀착되어 있는 경과 시간을 젖음성으로 하였다.
(피착체 표면의 오염성)
표면 보호 필름을 폭 치수 50㎜×길이 치수 100㎜인 시험편으로 절단한다. 첩합되어 있는 커버 필름을 떼어, 두께가 38㎛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필름(미쓰비시 수지 주식회사 제조 T100-38)의 표면에 2㎏ 고무 롤러를 이용해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표면 보호 필름의 시험편을 첩합한다. 그 후, 23℃×50%RH의 시험 환경하에서 24시간 방치 후, 표면 보호 필름의 시험편을 떼어 내어, 표면 보호 필름의 시험편이 접촉하고 있던 피착체 표면의 수(水)접촉각을 접촉각계를 이용해 측정한다. 블랭크(PET 필름 단독의 수접촉각)와 비교함으로써, 피착체 표면의 오염 정도를 판정한다. 블랭크인 PET 필름의 수접촉각은 65°였다. 피착체 표면의 오염성 지표(K)는 K=(시험편에서의 수접촉각 측정치÷65-1)×100의 계산식으로 산정하고, 이 수치가 작을수록 피착체 표면의 오염성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표면 보호 필름 제조 공정에서의 첩합 외관)
소형의 시험용 도포 장치(이노우에 금속 공업 주식회사 제조, 품명:테스트 코터)를 사용하여 투명 기재에 실리콘 수지를 도공, 건조하고, 필요에 따라 자외선 조사를 행한 후에, 소정의 커버 필름을 첩합하고 권취한다. 권취한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커버 필름의 들뜸 유무(커버 필름과 피착체 밀착층 사이의 기포 유무)를 확인한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4의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하여,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력, 젖음성, 피착체 표면의 오염성, 표면 보호 필름 제조 공정에서의 첩합 외관 등의 시험 결과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88085668-pat00001
Figure 112012088085668-pat00002
Figure 112012088085668-pat00003
표 1~3에 나타낸 시험 결과로부터 이하를 알 수 있다.
실시예 1~8의 시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피착체 밀착층은 매우 약한 점착력이지만,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들뜸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피착체 표면의 오염성이 작고 뛰어난 성능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이 얻어졌다.
한편, 표면 보호 필름의 피착체 밀착층을 보호하는 커버 필름을 대신하여 PET 필름만을 이용한 비교예 1에서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공정에서 피착체 밀착층과 PET 필름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여 표면 보호 필름의 외관이 나쁠 뿐만 아니라, 피착체 표면의 오염성도 커지고(나쁜 결과) 있다. 또한, 비교예 1에 비해 표면 보호 필름의 피착체 밀착층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이 약간 높은 재료를 사용한 비교예 2에서는,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공정에서 피착체 밀착층과 커버 필름 사이에 들뜸은 발생하지 않지만, 피착체 표면의 오염성은 더욱 커졌다.
표면 보호 필름의 피착체 밀착층의 두께를 1㎛로 한 비교예 3에서는, 피착체 밀착층이 피착체에 접착하지 않아,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는 것이 되었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의 피착체 밀착층에 아크릴계 미점착제를 사용한 비교예 4에서는, 점착력이 높으며, 또한 피착체 표면에 대한 젖음성도 결과가 나빴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용도로는, 상세하게는 카메라 렌즈, 안경 렌즈, 차량용 헤드 램프 렌즈, 광섬유 등의 광학 부품, 각종 디스플레이(PDP, LCD, 유기 EL등)의 화상 표시체, 렌즈 어레이 시트, 터치 패널 시트, 편광판, 확산판, 위상차판, 도광판 등의 각종 광학 필름, 스테인리스판,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판, 아크릴판 등의 플라스틱판, 유리판 등의 건축 자재 및 공업 재료, 의료 기기, 반도체 제조 관련 기기 등의 정밀 기기 등등의 표면 보호에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을 들 수 있다. 특히, 광학 부품, 디스플레이 표면, 유리, 각종 광학 필름 등의 광학 제품 등의 생산 공정 등에 있어서, 당해 광학 제품 등의 표면에 첩착하여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1…투명 기재, 2…피착체 밀착층, 3…점착제층, 4…기재, 5…피착체 밀착 필름, 6…커버 필름, 7…광학 부품(피착체), 10…표면 보호 필름

Claims (5)

  1. 투명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 Ra가 0.05~1.2㎛인 평활한 피착체 밀착층이 적층된 피착체 밀착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피착체 밀착층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된 커버 필름이 당해 피착체 밀착층의 표면에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된 표면 보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착체 밀착층의 두께가 2~250㎛인 표면 보호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필름의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부터 상기 커버 필름을 박리하여 얻은 상기 피착체 밀착 필름이 상기 피착체 밀착층을 개재하여 첩합된 광학 부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부터 상기 커버 필름을 박리하여 얻은 상기 피착체 밀착 필름이 상기 피착체 밀착층을 개재하여 첩합된 디스플레이, 광학 필름, 건축 자재, 공업 재료, 의료 기기, 정밀 기기 등의 공업 제품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업 제품.
KR1020120120302A 2012-01-10 2012-10-29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착된 광학 부품과 공업 제품 KR101429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2003A JP5855465B2 (ja) 2012-01-10 2012-01-10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工業製品
JPJP-P-2012-002003 2012-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058A KR20130082058A (ko) 2013-07-18
KR101429959B1 true KR101429959B1 (ko) 2014-08-14

Family

ID=4871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302A KR101429959B1 (ko) 2012-01-10 2012-10-29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착된 광학 부품과 공업 제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55465B2 (ko)
KR (1) KR101429959B1 (ko)
CN (1) CN103194152B (ko)
TW (2) TWI4957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58552A (ja) * 2014-02-24 2015-09-03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表示パネル用部材及び表示パネル用部材の製造方法
JP2016003301A (ja) * 2014-06-18 2016-01-12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透明導電フィルム
JP6243313B2 (ja) * 2014-10-15 2017-12-06 藤森工業株式会社 異方粘着性シート
JP6400430B2 (ja) * 2014-10-21 2018-10-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コート層用硬化性組成物およびシリコーンコートシート
JP6377541B2 (ja) * 2015-01-20 2018-08-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積層体
JP6587811B2 (ja) * 2015-02-24 2019-10-09 日東電工株式会社 熱剥離型粘着シート
JP6226904B2 (ja) * 2015-03-26 2017-11-08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
AT517266B1 (de) * 2015-05-27 2017-03-15 Zkw Group Gmbh Verbundanordnung zur abdeckung einer flächigen leuchte
KR20170023717A (ko) * 2015-08-24 2017-03-0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을 갖는 광학 부재
CN105868737B (zh) * 2016-04-29 2021-12-07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光学指纹识别装置及其形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648A (ja) 2000-05-29 2001-12-04 Toyobo Co Ltd 高分子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KR20080039292A (ko) * 2006-10-31 2008-05-0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KR100838461B1 (ko) 2007-01-24 2008-06-16 율촌화학 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959A (ja) * 2003-09-01 2005-03-24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粘着性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シート
JP4953659B2 (ja) * 2006-02-28 2012-06-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ウレタン系塗膜の保護シート
JP2008217859A (ja) * 2007-02-28 2008-09-18 Tomoegawa Paper Co Ltd 光ピックアップ受光素子用保護フィルム
WO2009038183A1 (ja) * 2007-09-20 2009-03-2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粘着シート、タッチパネル用上部電極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956384B2 (ja) * 2007-11-08 2012-06-20 東洋紡績株式会社 表示画面用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83879B1 (ko) * 2010-01-13 2017-10-10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실리콘계 재박리성 접착제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재박리성 접착 층을 지닌 시트형 기재, 및 보호 필름 또는 고정 시트로서의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648A (ja) 2000-05-29 2001-12-04 Toyobo Co Ltd 高分子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KR20080039292A (ko) * 2006-10-31 2008-05-0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 부착 광학 필름
KR100838461B1 (ko) 2007-01-24 2008-06-16 율촌화학 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95706B (zh) 2015-08-11
CN103194152B (zh) 2015-10-28
KR20130082058A (ko) 2013-07-18
CN103194152A (zh) 2013-07-10
JP5855465B2 (ja) 2016-02-09
JP2013141761A (ja) 2013-07-22
TW201514274A (zh) 2015-04-16
TWI518165B (zh) 2016-01-21
TW201329186A (zh)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959B1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착된 광학 부품과 공업 제품
KR101614732B1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용 박리 필름
JP5986242B2 (ja) 転写印刷のための無基材粘着転写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37940B1 (ko) 투명 도전성 필름용 표면 보호 필름의 롤체의 제조 방법
JP200923748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偏光板の製造方法
JP2003240951A (ja) 偏光板保護用透明粘着フィルム
KR20160044409A (ko) 이방 점착성 시트
KR101927085B1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용 박리 필름
KR101841967B1 (ko) 투명 도전성 필름용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투명 도전성 필름
JP647644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被着体密着フィルムが貼着された工業製品
JP6130476B2 (ja) 被着体密着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工業製品
KR101804227B1 (ko) 투명 도전성 필름용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투명 도전성 필름
JP2010284947A (ja) 離型フィルム、該離型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および該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
TWI828799B (zh) 表面保護膜及貼附有該表面保護膜的光學部件
JP2022170028A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
JP2019014257A (ja)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用剥離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