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371A -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371A
KR20170122371A KR1020160051207A KR20160051207A KR20170122371A KR 20170122371 A KR20170122371 A KR 20170122371A KR 1020160051207 A KR1020160051207 A KR 1020160051207A KR 20160051207 A KR20160051207 A KR 20160051207A KR 20170122371 A KR20170122371 A KR 20170122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material
unit
transfer
arrangement stat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텍
조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텍, 조준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텍
Priority to KR102016005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2371A/ko
Publication of KR2017012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5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with rotary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은, 유연한 플렉서블 소재를 정형화된 형태로 재단하는 가공유닛 및 상기 가공유닛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전달받아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안착되도록 음압 흡착하여 대상위치에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FLEXIBLE MATERIAL TRANSFER APPARATUS AND FLEXIBLE MATERIAL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공정에서 생산되는 플렉서블 소재를 제2 공정에서 요구하는 배치상태로 정렬하여 전달하는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정한 기능을 가진 플렉서블 소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정형화된 크기로 재단된 플렉서블 소재를 합지기로 전달하는 과정은 합지기가 요구하는 플렉서블 소재의 정렬상태가 정확해야 합지기에서 플렉서블 소재가 합지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사람이 제1 공정에서 생산된 플렉서블 소재를 직접 받아 제2 공정과정 중의 하나인 합지기가 요구하는 플렉서블 소재의 배치상태로 정렬한 후 합지기로 넣어 주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은 사람이 수동으로 제1 공정에서 생산된 플렉서블 소재를 받아 합지기로 넣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소재 이송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제1 공정과 합지기 사이에서 사람이 플렉서블 소재를 운반하는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사람이 특정한 기능을 가진 플렉서블 소재를 합지기로 미세하게 넣는 과정을 반복하면 일정한 정렬상태로 넣는 정밀함이 떨어져 합지기가 불규칙하게 정렬된 플렉서블 소재를 합지하여 불량품을 생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제1 공정에서 생산되는 플렉서블 소재를 제2 공정에서 요구하는 배치상태로 정렬하여 전달하는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은, 유연한 플렉서블 소재를 정형화된 형태로 재단하는 가공유닛 및 상기 가공유닛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전달받아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안착되도록 음압 흡착하여 대상위치에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유닛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안착되도록 정렬하는 정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유닛은, 일면에 복수 개의 타공을 가지며 음압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부 및 일측에 상기 흡착부가 구비되며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상기 이송유닛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흡착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플렉서블 소재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재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플렉서블 소재의 흡착 시 복수 개의 상기 타공 각각에 대한 압력 변화를 통해 흡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의 배치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회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안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는 상기 이송유닛의 타측에 배치된 라미네이팅유닛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정형화된 형태로 플렉서블 소재를 재단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전달받아 이송유닛의 일측에서 기 설정된 배치상태가 유지되도록 흡입하는 안착단계,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안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배치상태가 유지되며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및 상기 이송유닛의 타측에서 흡입을 중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단계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정렬하여 상기 이송유닛으로 전달하는 세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팅단계는, 상기 흡착단계에서 흡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의 초기 배치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배치상태를 정렬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공유닛에 위치한 플렉서블 소재를 정렬유닛이 흡착하여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변경하여 사람의 도움 없이 플렉서블 소재를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변경할 수 있어 인건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이송유닛은 기 설정된 상태로 정렬유닛에 흡착되어 있는 플렉서블 소재를 기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송유닛에 흡착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가공유닛과 라미네이팅유닛 사이에 정렬유닛이 구비되어 가공유닛과 라미네이팅유닛 사이의 이격거리를 줄여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흡착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흡착부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정렬유닛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이송유닛이 플렉서블 소재를 흡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은 필름이나 시트 등과 같은 박막 형태의 플렉서블 소재를 가공하고 대상위치로 이송시키는 장치로, 상기 플렉서블 소재의 이송 시 정렬하여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이송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흡착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흡착부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형화된 형태로 재단되는 유연한 플렉서블 소재(10)를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정렬하여 전달하는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는 가공유닛(100), 정렬유닛(200), 이송유닛(300), 라미네이팅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가공유닛(100)은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정형화된 형태로 재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인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전달받아 정형화된 형태로 재단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공유닛(100)은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재단하여 이송한다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상기 가공유닛은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이송되지 않고 재단된 위치에 있을 수 있음을 명시한다.
상기 정렬유닛(200)은 상기 가공유닛(100)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상기 이송유닛(300)의 일측에 안착되도록 정렬하는 구성으로 구동부(210)와 흡착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210)는 일측에 상기 흡착부(230)가 구비되며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흡착부(23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회전축(211)과 이동부재(213)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11)은 상기 가공유닛(100)과 상기 이송유닛(3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213)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흡착부(230)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부재(213)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211)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11)에 의해 수평면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이동부재(213)의 타단과 결합되는 상기 흡착부(230)가 상기 가공유닛(100)과 인접하거나 상기 이송유닛(300)과 인접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13)는 상기 회전축(211)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이동부재(213)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어 상기 흡착부(230)가 상기 가공유닛(100) 또는 상기 이송유닛(300)과 마주보는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인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다.
상기 흡착부(230)는 일면에 복수 개의 타공(231)을 가지며 음압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선택적으로 흡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착부(230)는 내부가 음압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음압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조절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절밸브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타공(231)이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흡착하거나 비흡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부(230)는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흡착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이 요구하는 배치상태로 재배치되어 상기 이송유닛(3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230)는 상기 플렉서블 소재(10)의 흡착 시 복수 개의 상기 타공(231) 각각에 대한 압력 변화를 통해 흡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의 배치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회전 각도가 조절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착부(230) 내부에서 상기 타공(231)의 압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복수 개의 상기 타공(231)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흡착되면 상기 감지센서가 각각의 타공(231)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타공(231)에 흡착된 플렉서블 소재(10)의 크기 및 배치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감지센서는 복수 개의 상기 타공(231)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흡착되는 흡입영역과 복수 개의 상기 타공(231)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흡착되지 않는 비흡입영역의 압력을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흡입영역의 압력과 상기 비흡입영역의 압력을 각각 감지하고, 상기 흡립영역의 압력과 상기 비흡입영역의 압력차이를 감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10)의 크기나 배치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가공유닛(100)에 위치한 플렉서블 소재(10)가 불규칙한 자세로 위치하여도 상기 흡착부(230)가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흡착하면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플렉서블 소재(10)의 배치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기 설정된 배치상태가 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배치상태는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이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라미네이팅 또는 합지하기 위해 요구하는 배치상태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라미네이팅 또는 합지하기 위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의 배치상태로써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상기 흡착벨트(350)와 수직상태로 형성되는 제1 상태(A),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상기 흡착벨트(350)와 각도를 이루는 제2 상태(B) 또는 제3 상태(C)가 될 수도 있다.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제1 상태(A), 제2 상태(B), 제3 상태(C)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기 설정된 배치 상태는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이 요구하는 배치상태라면 어떠한 배치상태도 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흡착부(230)는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흡착한 후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소재(10)의 배치상태를 확인하고 기 설정된 배치상태가 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210)가 상기 회전축(211)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될 수 있거나 상기 흡착부(230)가 회전 가능하다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상기 구동부(210)와 결합되는 상기 흡착부(230)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될 수도 있고 상기 회전부가 아닌 상기 구동부(210)가 회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가공유닛(100)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상기 정렬유닛(200)에 의해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안착되도록 음압 흡착하여 대상위치에 이송시키는 것으로 배관(310), 베이스프레임(330), 흡착벨트(350), 개폐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310)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311)가 상기 배관(3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310)의 내부는 음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30)은 길게 형성되며, 내부는 상기 배관(310)과 연통되는 진공관로(미도시)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330)은 상기 진공관로 내부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333)을 더 포함한다.
상기 흡착벨트(35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30)을 감싸며 상기 진공관로와 연통되어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흡착되도록 복수 개의 흡착공(미도시)을 가진다.
또한 상기 흡착벨트(35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30)의 양 끝단에 구비된 기어부(미도시)도 감싸 상기 기어부가 구동되면 연속하여 순환한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배관(310)과 상기 진공관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310)의 개방여부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배관(310)과 상기 진공관로가 연통되는 부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배관(310)과 상기 진공관로가 연통되는 부분을 개방하면 상기 진공관로가 음압 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흡착공이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배관(310)과 상기 진공관로가 연통되는 부분을 폐쇄하면 상기 진공관로가 음압 상태를 전달받지 못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상기 흡착공에서 비흡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격벽(333)으로 인하여 상기 진공관로 내부가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곳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진공관로를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상기 영역에 상기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밸브의 제어에 의해 상기 배관(310)의 음압을 선택적으로 각각의 상기 진공관로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밸브의 개방으로 상기 배관(310)의 음압 상태가 상기 진공관로에 전달되는 영역은 흡착영역(α)이고, 상기 개폐밸브의 폐쇄로 상기 배관(310)의 음압 상태가 상기 진공관로에 전달되지 못하는 영역은 비흡착영역(β)다.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은 상기 이송유닛(300)에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흡착되는 복수 개의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라미테이팅 과 합지를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은 상기 이송유닛(30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이송유닛(300)의 일측에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흡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상기 이송유닛(300)의 타측으로 이송되면서 라미네이팅되고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로 전달되어 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은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라미네이팅과 합지를 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은 상기 플렉서블 소재(10)의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필요로 하는 공정이라면 어떠한 것도 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지금부터 도 4 내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작동모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정렬유닛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이송유닛이 플렉서블 소재를 흡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유닛(100)에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재단되면 상기 구동부(210)가 회전되어 상기 흡착부(230)가 상기 가공유닛(100)과 인접한 위치로 위치한다.
즉, 상기 구동부(210)의 타단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흡착부(230)가 상기 플렉서블 소재(10)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착부(230)에 구비된 상기 조절밸브가 상기 흡착부(230) 내부를 음압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흡착부(230)가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흡착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상기 흡착부(230)에 흡착되면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플렉서블 소재(10)의 배치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흡착벨트(350)의 상면에서 기 설정된 배치상태가 될 수 있도록 회전한다.
동시에 상기 구동부(210)가 회전하여 상기 흡착부(230)를 상기 흡착벨트(350) 일측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흡착부(230)가 상기 흡착벨트(350)의 상면과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부(210)가 상기 흡착부(230)를 상기 흡착벨트(350) 일측의 상면과 접하기 직전까지 하강시킨다.
상기 흡착부(230)가 상기 흡착벨트(350) 일측의 상면과 접하기 직전까지 이동되면 상기 흡착부(230)에 구비된 상기 조절밸브가 상기 흡착부(230) 내부를 음압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흡착부(230)에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분리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흡착벨트(350)의 일측은 상기 개폐밸브가 상기 배관(310)과 상기 진공관로가 연통되는 부분을 개방하여 상기 진공관로가 음압 상태를 전달받아 상기 흡착벨트(350)의 일측은 흡착영역(α)이 된다.
때문에 상기 흡착부(230)에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흡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흡착벨트(350) 일측에 흡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유닛(300)은 상기 흡착벨트(350) 일측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흡착되면 상기 흡착벨트(350)를 상기 기어부에 의해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착벨트(350)는 흡착영역(α)과 비흡착영역(β)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흡착벨트(350)의 일측은 상기 흡착부(230)에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흡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흡착할 수 있는 흡착영역(α)이다.
상기 흡착벨트(350)의 타측은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전달되는 지점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상기 흡착벨트(350)에서 분리되어야 한다.
때문에 상기 흡착벨트(350)의 타측은 비흡착영역(β)가 되어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는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흡착벨트(350)의 타측까지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흡착벨트(350)의 일측에서 흡착되어 상기 흡착벨트(350)의 타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의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단계는 상기 가공유닛(100)에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정형화된 형태로 재단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공유닛(100)에서 정형화된 형태로 상기 서브스트레인트(10)가 재단되면 상기 구동부(210)가 회전되어 상기 흡착부(230)가 상기 가공유닛(100)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하는 단계이다(S100).
세팅단계는 상기 가공단계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정렬하여 상기 이송유닛(300)으로 전달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공유닛(100)에 위치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상기 가공유닛(100) 상부에 위치한 상기 흡착부(230)의 상기 조절밸브가 상기 흡착부(230)를 음압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상기 흡착부(230)에 흡착된다(S200).
상기 흡착부(230)에 흡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상기 감지센서가 상기 흡착공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흡착된 부분인 흡입영역과 상기 흡착공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흡착되지 않는 비흡입영역의 압력차이를 감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10)의 배치상태를 확인한다(S300).
이때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소재(10)의 초기 배치상태를 확인한 상기 흡착부(230)는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기 설정된 배치상태가 되도록 회전한다(S400).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210)가 회전되어 상기 가공유닛(100)의 상부에 위치한 흡착부(230)가 상기 흡착벨트(350) 상부에 위치한다.
즉, 배치상태가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조절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상기 흡착벨트(350)로 이송되기 위해 상기 흡착벨트(350)와 마주보는 상부에서 상기 흡착부(230)에 흡착된다(S500).
안착단계는 상기 가공단계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전달받아 이송유닛(300)의 일측에서 기 설정된 배치상태가 유지되도록 흡입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흡착하고 있는 상기 흡착부(230)가 상기 구동부(210)의 구동으로 상기 흡착벨트(350)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흡착부(230)의 상기 조절밸브가 상기 흡착부(230)를 비흡입상태로 변경하고 동시에 상기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배관(310)의 음압 상태가 상기 진공관로로 전달되어 상기 흡착벨트(350)의 일측에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흡착된다(S600).
이송단계는 상기 이송유닛(300)의 일측에 안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배치상태가 유지되며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착벨트(350) 일측에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흡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가 상기 기어부에 의해 상기 흡착벨트(350) 타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흡착벨트(350) 타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는 상기 흡착벨트(350)의 타측 상면에 위치한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에 의해 라미네이팅되고, 상기 흡착벨트(350)의 타측 끝단으로 이동되면 상기 흡착벨트(350) 타측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로 전달된다(S700).
그리하여 사람의 도움 없이 상기 가공유닛(100)에 위치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이 요구하는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에 전달할 수 있다.
때문에 기존에 사람이 직접 상기 가공유닛(100)에서 정형화된 형태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이 요구하는 배치상태로 재배치하여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으로 전달함으로써 발생되었던 인건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이 요구하는 배치상태로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재배치하는 과정은 매우 미세하게 작업되어야 함으로 사람이 상기 플렉서블 소재(10)를 미세한 배치상태로 재배치하는 과정을 반복하다보면 정밀함이 떨어져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이 요구하는 배치상태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못하는 배치상태로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으로 전달되어 불량품이 생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가공유닛(100)과 상기 라미네이팅유닛(400) 사이에 상기 정렬유닛(200)과 상기 이송유닛(300)이 구비됨으로써, 사람의 작업공간이 필요했던 기존의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보다 크기를 줄여 공간확보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플렉서블 소재 300: 이송유닛
100: 가공유닛 310: 배관
200: 정렬유닛 311: 진공펌프
210: 구동부 330: 베이스프레임
211: 회전축 333: 격벽
213: 이동부재 350: 흡착벨트
230: 흡착부 α: 흡착영역
231: 타공 β: 비흡착영역

Claims (9)

  1. 플렉서블 소재를 정형화된 형태로 재단하는 가공유닛; 및
    상기 가공유닛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전달받아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안착되도록 음압 흡착하여 대상위치에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유닛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안착되도록 정렬하는 정렬유닛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닛은,
    일면에 복수 개의 타공을 가지며 음압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흡착부; 및
    일측에 상기 흡착부가 구비되며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상기 이송유닛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흡착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플렉서블 소재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재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플렉서블 소재의 흡착 시 복수 개의 상기 타공 각각에 대한 압력 변화를 통해 흡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의 배치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기 설정된 배치상태를 유지하며 안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는 상기 이송유닛의 타측에 배치된 라미네이팅유닛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7. 정형화된 형태로 플렉서블 소재를 재단하는 가공단계;
    상기 가공단계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전달받아 이송유닛의 일측에서 기 설정된 배치상태가 유지되도록 흡입하는 안착단계;
    상기 이송유닛의 일측에 안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배치상태가 유지되며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 및
    상기 이송유닛의 타측에서 흡입을 중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분리하는 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단계에서 재단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기 설정된 배치상태로 정렬하여 상기 이송유닛으로 전달하는 세팅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단계는,
    상기 흡착단계에서 흡착된 상기 플렉서블 소재의 초기 배치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배치상태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
KR1020160051207A 2016-04-27 2016-04-27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 KR20170122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207A KR20170122371A (ko) 2016-04-27 2016-04-27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207A KR20170122371A (ko) 2016-04-27 2016-04-27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371A true KR20170122371A (ko) 2017-11-06

Family

ID=6038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207A KR20170122371A (ko) 2016-04-27 2016-04-27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23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3136A (zh) * 2020-05-20 2020-08-25 济南和拓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物料输送装置
CN113478966A (zh) * 2021-07-08 2021-10-08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电气协同控制的高效覆膜机
CN114261757A (zh) * 2021-12-06 2022-04-01 芜湖东旭光电装备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的转移装置及液晶面板的输送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3136A (zh) * 2020-05-20 2020-08-25 济南和拓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物料输送装置
CN111573136B (zh) * 2020-05-20 2022-01-07 济南和拓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物料输送装置
CN113478966A (zh) * 2021-07-08 2021-10-08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电气协同控制的高效覆膜机
CN114261757A (zh) * 2021-12-06 2022-04-01 芜湖东旭光电装备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的转移装置及液晶面板的输送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2371A (ko) 플렉서블 소재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소재 이송방법
JP4851282B2 (ja) 切削装置
JP4534876B2 (ja) 被処理物供給装置及び被処理物供給方法
US8297568B2 (en) Sucking and holding device
JP6121384B2 (ja) 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40051784A (ko) 반도체 웨이퍼의 마운트 방법 및 반도체 웨이퍼의 마운트 장치
JPH0767033B2 (ja) 自動装着装置
JP4268318B2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搬送方法
KR101509660B1 (ko) 고정밀도 전자동 라미네이팅 장치
CN106198387A (zh) 真空吸平装置及含其的料片检测/移载设备
JP2015013737A (ja) ワーク吸着装置およびワーク吸着方法
TW201420319A (zh) 基板貼合裝置以及基板貼合方法
TW201934457A (zh) 真空吸附方法及真空吸附裝置
JP6498101B2 (ja) 実装ヘッド、表面実装機および吸着ノズルの吸引状態の検出方法
JP4812660B2 (ja) 基板等の取扱装置及び基板等の取扱方法
JP4069576B2 (ja) ガラス板の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5895127B2 (ja) 吸着ツール及び部品実装装置
JP2019046982A (ja) テープ貼着装置およびテープ貼着方法
JP2006318944A (ja) 基板保持装置
JPH0745692A (ja) 基板の吸着保持装置
CN110554574B (zh) 工件台、物料姿态自动调节装置及调节物料姿态的方法
KR102111123B1 (ko) 에어튜브를 이용한 곡면형 커버 글라스용 라미네이터
JP2004203507A (ja) 積層ワークの分離装置
JP6420815B2 (ja) 剥離装置
JP2002120936A (ja) 物品供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