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100A - 광경화성 슬러리를 이용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슬러리를 이용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100A
KR20170122100A KR1020160182452A KR20160182452A KR20170122100A KR 20170122100 A KR20170122100 A KR 20170122100A KR 1020160182452 A KR1020160182452 A KR 1020160182452A KR 20160182452 A KR20160182452 A KR 20160182452A KR 20170122100 A KR20170122100 A KR 20170122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urable
slurry
photo
ceramic
ceramic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642B1 (ko
Inventor
고영학
이정빈
안민경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122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65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a combination of solid and fluid materials, e.g. a powder selectively bound by a liquid binder, catalyst, inhibitor or energy absor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29C64/129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characterised by the energy source therefor, e.g. by global irradiation combined with a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14Doct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64Arrangements for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20Post-treatment, e.g. curing, coating or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70/10Composites of different types of material, e.g. mixtures of ceramics and polymers or mixtures of metals and bio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은, 광경화성 슬러리가 제조되는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 및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슬러리로부터 다공성 지지체를 성형시키는 다공성 지지체 성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에서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는 세라믹 분말,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분산제 및 광경화개시제의 혼합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세라믹 분말의 부피는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총 부피의 40 내지 45vol%로 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슬러리를 이용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SYSTEM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POROUS SCAFFOLDS USING PHOTOCURABLE SLUR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CURABLE SLURRY}
본 발명은 광경화성 슬러리를 이용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우 높은 세라믹 함량을 가짐과 동시에 3D 프린팅 기술에 적합한 흐름성과 광경화 특성을 갖는 광경화성 슬러리를 이용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 소재는 의료용 임플란트, 인공 뼈, 인공치아 등 바이오메디컬 분야뿐만 아니라, 구조, 환경 및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고부가가치 소재이며, 일반적으로 세라믹 분말을 액상 (고분자 등)과 혼합하여 세라믹 슬러리(slurry), 페이스트(paste) 또는 반죽(dough) 형태로 만들고 이를 다양한 성형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적 형상을 갖는 부품/소재로 제조하고 있다.
최근 환자 개개인별 특성을 반영한 3차원 형상과 성능을 갖춘 환자 맞춤형 메디컬 소재를 제조할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 개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기존의 정형화된 형상을 갖는 인공 뼈와는 달리 환자의 골 결손부를 정밀하게 모사한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어, 골 결손 부위가 크고 복잡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체내 매식 시 빠르고 완벽한 골조직 재생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최근에는 프린팅 정밀도가 매우 높은 광경화 기술 기반 3D 프린팅 기술을 세라믹 구조물 성형에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앞선 압출 기반의 3D 프린팅 기술과는 달리 세라믹 또는 글래스 분말과 광경화성 수지가 복합화된 액상의 세라믹 슬러리를 UV 등의 빔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3차원 세라믹 성형체를 성형하는 기술로서, 매우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을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6월 15일에 출원된 KR2012-0064469에는 '3차원 인공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매우 높은 세라믹 함량을 가짐과 동시에 3D 프린팅 기술에 적합한 흐름성과 광경화 특성을 갖는 광경화성 슬러리를 이용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다양한 세라믹 분말에 적용 가능하고, 3D 프린팅 기술의 원료공급 방식에 의해 발생되는 세라믹 입자의 침전 문제를 테이프 캐스팅 기술을 이용하여 해결함으로써 고품질의 세라믹 성형체를 성형할 수 있는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의료용 임플란트, 인공 뼈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와 형상을 갖는 고품질 생체세라믹 지지체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공성 세라믹 소재가 핵심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구조, 환경 및 에너지 등)에 활용될 수 있는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은, 광경화성 슬러리가 제조되는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 및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슬러리로부터 다공성 지지체가 성형되는 다공성 지지체 성형부;를 포함하고,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에서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는 세라믹 분말,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분산제 및 광경화개시제의 혼합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세라믹 분말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총 부피의 40 내지 45vol%가 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HDDA(1,6-hexanediol diacrylate)로 마련되고, 상기 희석제는 데칼린(decalin)으로 마련되며, 상기 분산제는 VARIQUAT CC 9 NS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광경화개시제는 PPO(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또는 Irgacure 184로 마련되고, 상기 광경화개시제의 중량은 상기 광경화성 수지의 중량 대비 0.5 내지 3wt%로 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는, 상기 세라믹 분말 및 광경화성 수지의 복합화를 유도하는 혼합기; 및 상기 세라믹 분말,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분산제 및 광경화개시제를 분쇄시키는 분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기에서는 상기 세라믹 분말,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및 분산제가 1차적으로 분쇄되고, 상기 광경화개시제가 첨가된 후 2차적으로 분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다공성 지지체 성형부는,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로부터 균일한 두께의 세라믹 슬러리 층을 형성하는 닥터 블레이드 성형기; 상기 세라믹 슬러리 층을 광경화 처리하는 광경화기; 및 상기 세라믹 슬러리 층에서 광경화 처리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는 세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은, 광경화성 수지 및 희석제가 혼합되는 단계;
상기 광경화성 수지 및 희석제의 혼합물에 세라믹 분말 및 분산제가 첨가되는 단계; 상기 세라믹 분말 및 상기 광경화성 수지가 복합화되는 단계; 볼밀 공정이 수행되는 단계; 및 광경화개시제가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분말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총 부피의 40 내지 45vol%가 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HDDA(1,6-hexanediol diacrylate)로 마련되고, 상기 희석제는 데칼린(decalin)으로 마련되며, 상기 분산제는 VARIQUAT CC 9 NS로 마련되고, 상기 광경화개시제는 PPO(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또는 Irgacure 184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세라믹 분말 및 상기 광경화성 수지가 복합화되는 단계에서, 세라믹 분말,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및 분산제가 혼합기에서 1000 내지 1500 rpm의 속도로 10분 내지 20분 동안 혼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볼밀 공정이 수행되는 단계에서,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세라믹 분말 및 분산제가 분쇄기에서 상온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분쇄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광경화개시제가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단계 후에, 볼밀 공정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에 의하면, 매우 높은 세라믹 함량을 가짐과 동시에 3D 프린팅 기술에 적합한 흐름성과 광경화 특성을 갖는 광경화성 슬러리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세라믹 분말에 적용 가능하고, 3D 프린팅 기술의 원료공급 방식에 의해 발생되는 세라믹 입자의 침전 문제를 테이프 캐스팅 기술을 이용하여 해결함으로써 고품질의 세라믹 성형체를 성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의료용 임플란트, 인공 뼈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와 형상을 갖는 고품질 생체세라믹 지지체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공성 세라믹 소재가 핵심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구조, 환경 및 에너지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 내지 (c)는 다공성 지지체 성형부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c)는 다양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4(a) 및 (b)는 광경화 시간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미세구조를 나타낸다.
도 5(a) 및 (b)는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미세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2(a) 내지 (c)는 다공성 지지체 성형부의 작동을 도시하고, 도 3(a) 내지 (c)는 다양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4(a) 및 (b)는 광경화 시간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미세구조를 나타내고, 도 5(a) 및 (b)는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미세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10)은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100), 다공성 지지체 성형부(200) 및 열처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100)는 광경화성 슬러리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혼합기(paste mixer; 110) 및 분쇄기(ball-milling device;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기(110)에서는 광경화성 수지 및 희석제가 혼합되고, 세라믹 분말 및 분산제가 첨가된 후에, 세라믹 분말 및 광경화성 수지의 복합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광경화성 수지는 HDDA(1,6-hexanediol diacrylate)로 마련될 수 있고, 희석제는 데칼린(decalin)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세라믹 분말은 인산칼슘계 분말 또는 알루미나 분말로 마련될 수 있고, 분산제는 VARIQUAT CC 9 NS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100)에 공급되는 광경화성 수지 및 희석제는 고충진 세라믹 슬러리 제조에 적합한 점도 및 수축율을 갖도록 선정되었다.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HDDA PGDA PNPGDA IBA Decalin
기능기 Bi-functional Bi-functional
Bi-functional Mono-functional Diluent
점도(mPa·s) 9 30 15 8 2-3
수축율(%) 22.7 3.6 11.2 0
[표 1]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고정밀 3D 프린팅에 적합한 광경화 거동을 갖는 총 4종의 광경화성 수지(HDDA, PGDA, PNPGDA, IBA)를 검토하였으며, 고충진 세라믹 슬러리 제조에 적합한 점도와 수축율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를 최종 선정하였다.
특히, PGDA(polypropylene glycol (400) dimethacrylate), PNPGDA(propoxylated neopentyl glycol diacrylate)의 경우, HDDA(1,6-hexanediol diacrylate)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아 세라믹 함량은 놓은 고충진 세라믹 슬러리를 제조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반면, IBA(isobornyl acrylate)의 경우, 점도는 낮으나 3D 프린팅된 다공성 지지체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어, 고충진 세라믹 슬러리를 제조하는 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충진 세라믹 슬러리 제조에 적합한 점도와 수축율을 갖는 광경화성 수지로서 HDDA(1,6-hexanediol diacrylate)가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고충진 세라믹 슬러리의 점도를 낮추면서 세라믹 슬러리의 3D 프린팅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희석제를 검토한 결과, HDDA에 비해 점도가 매우 낮아 세라믹 분말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Decalin(decahydronaphthalene)이 적합할 수 있다.
한편, 세라믹 분말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이 총 4종의 분산제를 검토하였다.
분산제 VARIQUAT CC 9 NS Hypermer KD4(KD4) Hypermer KD1
(KD1)
TOPO
조성 polypropoxy quaternary ammonium chloride Oligomeric polyester Polyester/polyamine condensation polymer Trioctylphosphine oxide (TOPO)
형태/색상 액상/
엷은 노란색
액상/
엷은 갈색
분말/노란색 분말/흰색
용해도
(HDDA)
매우 높음 높음 매우 낮음 높음
[표 2]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VARIQUAT CC 9 NS 분산제가 HDDA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높아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혼합기(110)에서는 HDDA로 마련된 광경화성 수지 및 Decalin으로 마련된 희석제가 혼합된 액체에 세라믹 분말 및 VARIQUAT CC 9 NS로 마련된 분산제가 첨가된 후에, 고속 전단 혼합(high shear mixing) 기술을 이용하여 매우 강한 힘으로 세라믹 분말 및 광경화성 수지/희석제를 복합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기(110)는 강한 속도의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1000 내지 1500rpm의 속도로 10 내지 20분 동안 세라믹 분말 및 광경화성 수지의 복합화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분쇄기(120)에서 ball-milling 공정을 통해 균일한 조성을 갖는 고충진 세라믹 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기(120)에서는 상온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볼밀 공정을 1차적으로 수행하여 매우 균일한 조성을 갖는 고충진 세라믹 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광경화성 슬러리 내 세라믹 분말,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및 분산제의 성분비와 관련하여, 광경화성 수지는 세라믹 분말의 중량 대비 20 내지 30wt%로 마련되고, 희석제 세라믹 분말의 중량 대비 10 내지 20wt%로 마련되고, 분산제는 4 내지 5wt%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라믹 분말의 함량이 광경화성 슬러리 총 부피의 40vol%로 되는 경우, 인산칼슘계(CaP) 분말은 44.65g, HDDA는 14g, decalin은 6g, VARIQUAT CC 9 NS은 1.86g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세라믹 분말의 함량이 광경화성 슬러리 총 부피의 40vol%로 되는 경우, 알루미나 분말은 56.83g, HDDA는 14g, decalin은 6g, VARIQUAT CC 9 NS은 2.37g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100)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슬러리의 점도는 인산칼슘계 세라믹 슬러리의 경우 1.03 Pa·s이고, 알루미나 슬러리의 경우 1.43Pa·s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세라믹 분말의 함량이 40vol%로 높음에도 불구하고, 3D 프린팅에 적합한 적절한 흐름성을 갖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세라믹 분말의 함량이 광경화성 슬러리 총 부피의 45vol%로 되는 경우, 인산칼슘계(CaP) 분말은 98g, HDDA는 24.5g, decalin은 10.5g, VARIQUAT CC 9 NS은 4.07g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광경화성 슬러리의 점도는 1.74Pa·s가 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100)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슬러리에는 광경화개시제가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개시제는 예를 들어 PPO(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또는 Irgacure 184(1-Hydroxy cyclohexyl phenyl ketone)로 마련될 수 있으며, 광경화성 수지의 중량 대비 0.5 내지 3wt%, 예를 들어 2wt%로 마련될 수 있다.
세라믹 분말,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및 분석제로 구성된 광경화성 슬러리에 광경화개시제가 첨가된 후에 분쇄기(120)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볼밀 공정이 2차적으로 수행되어 3D 프린터용 세라믹 슬러리가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광경화개시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광경화 최적 시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광경화개시제가 PPO로 마련된 경우, 광경화 최적화 파장은 370nm, 295nm 이하가 되고, 광경화개시제가 Irgacure 184로 마련된 경우, 광경화 최적화 파장은 333nm, 280nm, 246nm 이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경화개시제의 종류에 따라서 광경화 최적화 파장이 조절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광경화성 슬러리는 다공성 지지체 성형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 성형부(200)는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성형기(210), 광경화기(220) 및 세척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b)를 참조하여, 우선 광경화성 슬러리(A)가 도포된 후에, 닥터 블레이드 성형기(210)에 의해 세라믹 슬러리 층(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닥터 블레이드 성형기(210)에 의해 일정한 두께를 갖는 세라믹 슬러리 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닥터 블레이드 성형기(210)를 이용하여 세라믹 슬러리 층(B)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여, 광경화기(220)에 의해 세라믹 슬러리 층(B)이 광경화 처리되어 세라믹 성형층(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광경화기(220)는 미리 설계된 다공성 지지체의 구조에 따라서 세라믹 슬러리 층을 광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광경화기(220)에서 광경화 처리 시간은 세라믹 슬러리 층을 완벽하게 광경화시킬 수 있도록 결정될 수 있으며, 광경화 시간이 짧을 경우 세라믹 성형층 간의 결합이 매우 약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라믹 슬러리 층의 두께가 200㎛인 경우 광경화 처리 시간은 약 17초로 결정될 수 있다.
전술된 세라믹 슬러리 층의 형성 및 광경화 처리를 연속적으로 반복 시행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다공성 지지체를 성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세라믹 슬러리 층이 형성된 후에 광경화 처리되어 제1 세라믹 성형층이 형성되고, 이어서 제1 세라믹 성형층 상에 제2 세라믹 슬러리 층이 형성된 후에 광경화 처리되어 제2 세라믹 성형층이 형성되고,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세라믹 성형층 상에 제3 세라믹 슬러리 층이 형성된 후에 광경화 처리되어 제3 세라믹 성형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이스 캐스팅 기술을 이용한 세라믹 슬러리의 원료공급 방식 및 광경화 방식은 고충진 세라믹 슬러리의 높은 점성 및 점착성으로 인한 세라믹 구조물의 성형 시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 2(c)에서 형성된 세라믹 성형층 또는 다공성 지지체는 세척기(230)에 공급될 수 있고, 세척기(230)에서는 예를 들어 에탄올을 사용한 초음파 세척이 수행됨으로써 세라믹 성형층 또는 다공성 지지체 내 광경화 처리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세라믹 슬러리 층이 광경화 처리된 후에 세척기(230)에서 광경화 처리되지 않은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제1 세라믹 성형층이 형성되고, 제1 세라믹 성형층 상 적층된 제2 세라믹 슬러리 층이 광경화 처리된 후에 세척기(230)에서 광경화 처리되지 않은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제2 세라믹 성형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c)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에서는, 세라믹 슬러리를 도포하고 닥터 블레이드 성형기 및 광경화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의 세라믹 성형층을 적층함으로써, 고충진 세라믹 슬러리의 높은 점성과 점착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다양한 형상을 갖는 세라믹 구조물 성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b)를 참조하여, 광경화 시간이 10초인 경우, 광경화된 세라믹 슬러리 층간의 결합력이 매우 약하고 층간 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광경화 시간이 17초인 경우, 광경화된 세라믹 슬러리 층들이 매우 강하게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도 5(a) 및 (b)를 참조하여, 다공성 지지체의 미세 구조 분석 결과, 세라믹 분말과 광경화성 수지가 균일하게 복합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광경화된 세라믹 성형층 간의 분리가 없이 매우 강하게 결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다공성 지지체 성형부(200)에서 성형된 다공성 지지체는 열처리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부(300)에서는 다공성 지지체 내 광경화성 수지가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335℃에서 1시간, 415℃에서 2시간 및 60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세라믹 벽이 치밀화되도록 1350℃에서 3시간 동안 열처리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는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광경화성 슬러리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광경화성 수지 및 희석제가 혼합된다(S10).
이때, 광경화성 수지는 HDDA(1,6-hexanediol diacrylate)로 마련되고, 희석제는 데칼린(decalin)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 및 희석제의 혼합물에 세라믹 분말 및 분산제가 첨가된다(S20).
이때, 세라믹 분말은 인산칼슘계 분말 또는 알루미나 분말로 마련될 수 있고, 분산제는 VARIQUAT CC 9 NS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 분말의 함량이 광경화성 슬러리 총 부피의 40 내지 45vol%로 되어, 광경화성 슬러리 내에 비교적 높은 세라믹 함량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세라믹 분말 및 상기 광경화성 수지가 복합화된다(S30).
구체적으로, 세라믹 분말,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및 분산제가 혼합기(paste mixer)에서 1000 내지 1500rpm의 속도로 10분 내지 20분 동안 혼합될 수 있다.
이어서, 볼밀 공정이 수행된다(S40).
구체적으로,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세라믹 분말 및 분산제가 분쇄기(ball-milling device)에서 상온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분쇄될 수 있다.
이후에, 광경화개시제가 추가적으로 첨가된다(S50).
상기 광경화개시제는 PPO(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또는 Irgacure 184로 마련될 수 있으며, 광경화개시제의 종류에 따라서 광경화 최적 파장이 변화될 수 있고, 광경화개시제의 양에 따라서 광경화 최적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볼밀 공정이 수행되어(S60), 3D 프린터용 광경화성 슬러리가 최종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은 매우 높은 세라믹 함량을 가짐과 동시에 3D 프린팅 기술에 적합한 흐름성과 광경화 특성을 갖는 광경화성 슬러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3차원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의료용 임플란트, 인공 뼈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와 형상을 갖는 고품질 생체세라믹 지지체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공성 세라믹 소재가 핵심적인 기능을 발휘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구조, 환경 및 에너지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100: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
200: 다공성 지지체 성형부
300: 열처리부

Claims (10)

  1. 광경화성 슬러리가 제조되는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 및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슬러리로부터 다공성 지지체가 성형되는 다공성 지지체 성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에서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는 세라믹 분말,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분산제 및 광경화개시제의 혼합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세라믹 분말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총 부피의 40 내지 45vol%가 되는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HDDA(1,6-hexanediol diacrylate)로 마련되고,
    상기 희석제는 데칼린(decalin)으로 마련되며,
    상기 분산제는 VARIQUAT CC 9 NS로 마련되는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개시제는 PPO(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또는 Irgacure 184로 마련되고,
    상기 광경화개시제의 중량은 상기 광경화성 수지의 중량 대비 0.5 내지 3wt%로 되는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부는,
    상기 세라믹 분말 및 광경화성 수지의 복합화를 유도하는 혼합기; 및
    상기 세라믹 분말,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분산제 및 광경화개시제를 분쇄시키는 분쇄기;
    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기에서는 상기 세라믹 분말,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및 분산제가 1차적으로 분쇄되고, 상기 광경화개시제가 첨가된 후 2차적으로 분쇄되는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 성형부는,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로부터 균일한 두께의 세라믹 슬러리 층을 형성하는 닥터 블레이드 성형기;
    상기 세라믹 슬러리 층을 광경화 처리하는 광경화기; 및
    상기 세라믹 슬러리 층에서 광경화 처리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는 세척기;
    를 포함하는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6. 광경화성 수지 및 희석제가 혼합되는 단계;
    상기 광경화성 수지 및 희석제의 혼합물에 세라믹 분말 및 분산제가 첨가되는 단계;
    상기 세라믹 분말 및 상기 광경화성 수지가 복합화되는 단계;
    볼밀 공정이 수행되는 단계; 및
    광경화개시제가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분말의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슬러리 총 부피의 40 내지 45vol%가 되는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는 HDDA(1,6-hexanediol diacrylate)로 마련되고,
    상기 희석제는 데칼린(decalin)으로 마련되며,
    상기 분산제는 VARIQUAT CC 9 NS로 마련되고,
    상기 광경화개시제는 PPO(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또는 Irgacure 184로 마련되는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분말 및 상기 광경화성 수지가 복합화되는 단계에서,
    세라믹 분말,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및 분산제가 혼합기에서 1000 내지 1500 rpm의 속도로 10분 내지 20분 동안 혼합되는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밀 공정이 수행되는 단계에서,
    광경화성 수지, 희석제, 세라믹 분말 및 분산제가 분쇄기에서 상온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분쇄되는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개시제가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단계 후에,
    볼밀 공정이 수행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
KR1020160182452A 2016-04-26 2016-12-29 광경화성 슬러리를 이용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 KR101859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710 2016-04-26
KR20160050710 2016-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100A true KR20170122100A (ko) 2017-11-03
KR101859642B1 KR101859642B1 (ko) 2018-05-18

Family

ID=6038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452A KR101859642B1 (ko) 2016-04-26 2016-12-29 광경화성 슬러리를 이용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6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6114A (zh) * 2018-04-18 2018-09-21 武汉因泰莱激光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陶瓷3d打印的防护装置及其防护方法
KR20190100854A (ko) * 2018-02-06 2019-08-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사기능형 복합소재 제조용 다종소재 기반 3d 프린팅 기술
CN111269007A (zh) * 2020-02-12 2020-06-12 深圳市光韵达增材制造研究院 一种陶瓷光固化浆料及其制备方法
KR20200106232A (ko) * 2019-02-22 2020-09-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경화성 세라믹 3d 프린팅용 세라믹 슬러리 조성물 제조 기술
CN112500141A (zh) * 2020-11-18 2021-03-16 南京工业大学东海先进硅基材料研究院 光固化成型制备多孔石英陶瓷的方法
KR20210047428A (ko) 2019-10-21 2021-04-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투광성 및 고강도의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구조물
KR20210125659A (ko) * 2020-04-08 2021-10-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알루미나 부품 제조용 세라믹 3d 프리팅 기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5002A2 (en) * 2004-10-19 2006-04-27 Rolls-Royc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associated with anisotropic shrink in sintered ceramic items
KR101551255B1 (ko) * 2013-12-30 2015-09-09 전자부품연구원 3d 프린팅용 저점도 세라믹 슬러리 조성물
KR101562556B1 (ko) * 2015-02-16 2015-10-26 한국기계연구원 인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경조직 재생용 지지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경조직 재생용 지지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0854A (ko) * 2018-02-06 2019-08-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사기능형 복합소재 제조용 다종소재 기반 3d 프린팅 기술
CN108556114A (zh) * 2018-04-18 2018-09-21 武汉因泰莱激光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陶瓷3d打印的防护装置及其防护方法
KR20200106232A (ko) * 2019-02-22 2020-09-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경화성 세라믹 3d 프린팅용 세라믹 슬러리 조성물 제조 기술
KR20210047428A (ko) 2019-10-21 2021-04-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투광성 및 고강도의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구조물
CN111269007A (zh) * 2020-02-12 2020-06-12 深圳市光韵达增材制造研究院 一种陶瓷光固化浆料及其制备方法
CN111269007B (zh) * 2020-02-12 2022-03-08 深圳市光韵达增材制造研究院 一种陶瓷光固化浆料及其制备方法
KR20210125659A (ko) * 2020-04-08 2021-10-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알루미나 부품 제조용 세라믹 3d 프리팅 기술
CN112500141A (zh) * 2020-11-18 2021-03-16 南京工业大学东海先进硅基材料研究院 光固化成型制备多孔石英陶瓷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642B1 (ko)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642B1 (ko) 광경화성 슬러리를 이용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광경화성 슬러리 제조 방법
KR20170122101A (ko)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N113316460B (zh) 用于光固化3d打印的浆料、其制备方法及其使用方法
Khanlar et al. Additive manufacturing of zirconia ceramic and its application in clinical dentistry: A review
US1083539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one graft material and bone graft material manufactured thereby
EP3147707B1 (de) Keramik- und glaskeramikschlicker für die stereolithography
CN111716488B (zh) 一种高成品率3d打印制作空心氧化锆义齿的方法
KR102195992B1 (ko) 마이크로 기공 구조형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지지체
CN105362084A (zh) 一种牙科用多层色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053183B (zh) 用于光固化三维打印的生物陶瓷浆料的制备方法
Kim et al. Digital light processing of zirconia prostheses with high strength and translucency for dental applications
EP3659989A1 (de) Schlick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eramischen und glaskeramischen 3d strukturen
KR101658079B1 (ko) 3d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치료용 도재수복물 제조방법
CN110511002A (zh) Dlp 3d打印技术制备zta陶瓷器件的方法
CN114874402A (zh) 一种光固化树脂基体、陶瓷浆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53544B1 (ko) 치과용 알루미나 부품 제조용 세라믹 3d 프리팅 기술
Cai et al. Indirect 3D printed ceramic: a literature review
KR102381025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치과 보철물의 제조방법
Li et al. High-performance integrated manufacturing of a 3Y-TZP ceramic crown through viscoelastic paste-based vat photopolymerization with a conformal contactless support
Yang et al. Mechanical properties and wear behaviors analysis of fluorapatite glass-ceramics based on stereolithography 3D printing
Wu et al. Optimized fabrication of DLP-based 3D printing calcium phosphate ceramics with high-precision and low-defect to induce calvarial defect regeneration
Erbereli et al. 3D printing of trabecular bone-mimetic structures by vat photopolymerization of bovine hydroxyapatite as a potential candidate for scaffolds
Wang et al. Photopolymerization-based three-dimensional ceramic printing technology
Hsu et al. A comparison of the marginal fit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 zirconia dental crown using CAM and 3DSP
KR102433155B1 (ko) 고투광성 및 고강도의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슬러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