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990A -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990A
KR20170121990A KR1020160050984A KR20160050984A KR20170121990A KR 20170121990 A KR20170121990 A KR 20170121990A KR 1020160050984 A KR1020160050984 A KR 1020160050984A KR 20160050984 A KR20160050984 A KR 20160050984A KR 20170121990 A KR20170121990 A KR 20170121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upport
hollow drain
cervical
drai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737B1 (ko
Inventor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도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도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도비전
Priority to KR102016005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737B1/ko
Priority to EP16900580.8A priority patent/EP3449968B1/en
Priority to PCT/KR2016/006300 priority patent/WO2017188506A1/ko
Publication of KR20170121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2017/4216Operations on uterus, e.g. endometrium
    • A61B2017/4225Cervix uter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33Ute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자궁경관에 삽입되는 중공형 배액관;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자궁입구에 걸쳐지도록 구성된 지지캡; 및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자궁 내에서 펼쳐져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레그(Leg)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후 환부의 회복을 도와 회복 후에 자궁경부의 유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며, 보다 간단하게 시술이 가능하며, 사용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배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INSTRUMENT FOR PREVENTING ADHESION OF UTERINE CERVIX}
본 발명은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궁경부 수술 후 자궁경부의 유착 및 막힘을 방지하고 환부의 회복을 도와주기 위하여 자궁경관에 삽입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생식기는 크게 난소, 자궁 및 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가장 질병의 빈도가 높은 곳이 자궁이다. 자궁은 다시 자궁체부, 자궁내막, 자궁경관으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궁과 질 사이에 있는 통로 전체를 자궁경관이라 지칭하고, 자궁과 질 사이에 있는 통로에 해당하는 부분이 외적으로 보이는 부위를 흔히 자궁경부라 일컫는다. 자궁의 세부구조 중 가장 질환의 빈도가 높은 곳은 자궁경부이다.
자궁경부는 성적 접촉으로 인한 직접적인 바이러스 감염, 손상 및 여러 자극에 의한 자궁경부 이형성증, 상피내암, 침윤성 자궁경부암 등의 질병에 노출되어 있다.
자궁경부 질환이 육안적 및 조직 생검으로 발견되면 자궁경부를 꼬깔 모양으로 절제하는 자궁경부 원추절제술을 시행하여 이 부분에 발생하는 조직학적 변화를 현미경으로 확대 관찰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게 된다.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후 통상 4 ∼ 6주의 회복기간이 필요하다. 자궁경부 원추절제술과 같은 자궁경부 수술 후에는 계속적인 출혈이 발생하거나, 염증이 발생하여 손상된 자궁경부의 회복을 더디게 하고, 과도한 염증은 손상된 조직의 불규칙한 재생과 재생조직의 상흔 조장 및 과도한 조직재생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자궁경부 치유 후 자궁경부 내구의 협착 및 막힘이 발생하여 불임을 야기할 수 있다. 불임 이외에도 생리 혈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여 생리 혈이 자궁에 축적되어 주기적인 복통 및 생리통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이 자궁경부의 유착, 막힘 등과 같은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하면 날카로운 기구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자궁경부 내구를 개통시키거나 직경을 넓히는 수술 또는 시술을 시행하게 된다. 이러한 개통 및 넓힘을 위한 수술을 시행하더라도 처음 손상된 조직이 재생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자궁경부 유착 및 막힘이기 때문에 일시적인 개통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고, 이러한 개통 및 넓힘을 위한 수술 및 시술이 있은 후에도 지속적인 협착 및 막힘 증상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빈번한 추가 시술이 필요하고 이러한 추가 시술은 환자에게 많은 고통을 주고, 특히 자궁경부 조직은 인체 다른 부위보다 높은 강도의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시술에 따른 고통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적지 않은 경제적인 부담도 부가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종래에는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후 자연적인 회복을 기다리거나, 수술부위의 마감 및 치료를 위해 지혈, 소작, 소독 정도를 시행하는 정도였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특허문헌 1에서는 자궁경관에 삽입되는 경관튜브와 상기 경관튜브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연결되어 환부를 차단하여 원래의 경부와 같은 형상으로 새로운 피부가 생성되도록 유도하는 후육캡으로 구성되는 자궁경부수술 후 회복도구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환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삽입된 회복 도구가 위치를 이탈하거나 빠져나와 조직에 손상을 가져오거나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환부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기능하고 작동하기에는 부적합한 점이 많았다.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1435661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궁경부 수술 후 자궁 유착을 방지하고, 시술이 용이하고 간편하며, 자궁에 위치를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궁경관에 삽입되는 중공형 배액관;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자궁입구(또는 자궁경부)에 걸쳐지도록 구성된 지지캡; 및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자궁 내에서 펼쳐져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레그(Leg)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후 환부의 회복을 도와 회복 후에 자궁경부의 유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며, 환부의 상처가 없도록 안전하게 장착이 되며, 부드럽게 제거가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배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의 지지캡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에 지지 외관이 삽입되어 고정 레그가 펼쳐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레그가 펼쳐지기 전의 지지 외관이 삽입된 배액관의 단면도와 지지 외관을 제거하면서 고정 레그가 펼쳐지는 모양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레그에 추가적인 레그가 연결되고, 지지 외관이 제거되기 전 후의 고정 레그와 추가적인 레그의 모양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 내관이 구비된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액관에 지지 내관이 삽입되어 고정 레그를 밀어 펼치는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가 자궁에 삽입되어 설치된 모양을 도시한 그림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자궁경부 수술 후 자궁경부의 상처부위의 회복을 도와주고 자궁경부의 유착 및 막힘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는, 자궁경관에 삽입되는 중공형 배액관(120, 220);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자궁입구(또는 자궁경부)에 걸쳐지도록 구성된 지지캡(110, 210); 및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자궁 내에서 펼쳐져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레그(Leg)(130, 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는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복기간 동안 유지되는 것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실리콘,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 중 일종 이상이 포함된 복합소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과 지지캡(110, 210)을 실리콘재질로 일체 성형하여 구성하는 형태 또는, 중공형 배액관(120, 220)은 실리콘재질로 구성하고 지지캡(110, 210)은 봉합사재질로 구성하여 서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형태 또는 중공형 배액관(120, 220)과 지지캡(110, 210)을 모두 봉합사재질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봉합사재질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의료 수술이나 시술과정에서 절개부위를 봉합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환부의 치료가 있은 후 봉합사를 제거하게 되나, 흡수가 가능한(Absorbable) 재료, 예를 들어,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이나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 락틱산(Lactic Acid)과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등을 사용하여 시술 후 이를 제거하지 않아도 생체내에 흡수 가능하도록 하여도 될 것이다.
상기 배액관(120, 220)은 자궁경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자궁으로부터 생성된 분비물들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143)를 가진 중공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은 측부에 상기 분비물들의 배액을 위한 배액구(142, 242)를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의 외경부에는 회복 기간 동안 자궁과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외형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자궁경관의 내벽면과 긴밀한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캡(110, 210)은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자궁입구(경부)에 걸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을 중심축으로 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캡(110, 210)의 중앙부와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상기 지지캡(110, 210)은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액구(141, 241)를 구비하여, 환부가 회복되면서 발생하는 염증물질과 같은 이물질을 외부로 순조롭게 배출시켜 회복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캡(110, 210)의 배액구(141, 241)의 경우에도, 상기 지지캡(110, 210)이 실리콘 재질인 경우에는 성형 과정에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배액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면 될 것이며, 봉합사재질로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캡(110, 210)을 메쉬(Mesh) 타입으로 구성(직조)하여 자연스럽게 하나 또는 복수의 배액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캡(110, 210)은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을 중심축으로 사방으로 일정한 길이로 확장된 형태이며, 원형, 다각형, 별 모양 또는 방사형을 이루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지캡(110, 210)의 모양의 몇 가지 예시는 도 1 외에 도 2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캡(110, 210)은 전체적인 단면이 완만한 산 형상이거나, 사각형상, 타원형상 등 환자의 원래 자궁과 근접한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형상을 어느 하나로 제한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캡(110, 210)은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경사를 이루게 하여 원활한 배액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캡(110, 210)은 자궁경부와의 밀착방지를 위하여 상부면에 돌기나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레그(Leg)(130, 230)는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자궁 내에서 펼쳐져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의 위치를 잡아주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레그(Leg)(130, 230)는 유연한(Flexible)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레그(130, 230)는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 220)으로부터 복수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중간부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날개 부분을 포함하여, 자궁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레그(130)의 선단부에 추가적인 레그(131)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추가적인 레그(131)도 상기 고정 레그(130)와 마찬가지로 중간부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날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좌측 도면은 고정 레그(130)와 날개 부분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레그(131)가 지지 외관(160) 내에 감싸인 단면도이고, 도 4의 우측 도면은 상기 지지 외관(160)이 아래로 제거되면서 상기 고정 레그(130)와 추가적인 레그(131)가 펼쳐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상기 날개 부분은 상기 고정 레그(130) 또는 상기 추가적인 레그(131)과 함께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쪽으로 접혀서 지지 외관(160) 내에 감싸인 형태로 자궁경관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의 일단부의 외경과 상기 지지캡(110)이 연결되는 위치에 삽입홀(hole)(150)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의 외경부를 따라 지지 외관(16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100)는 상기 삽입홀(150)로 삽입되는 지지 외관(16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외관(160)은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의 외경을 따라 삽입되므로, 직경이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보다 큰 관 형태의 일부를 취할 수 있으며, 삽입홀(150)로 삽입되므로, 삽입되는 길이만큼 관이 길이방향으로 선형으로 갈라져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레그(130)는 상기 중공형 배액관(120)과 함께 상기 지지 외관(160)에 감싸여 자궁경관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지지 외관(160)을 제거하면서 자궁 내에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100)에 지지 외관(160)이 삽입되는 과정을 시간 순서대로 표현한 것이며, (c)에서와 같이 고정 레그(130)가 상기 지지 외관(160) 속으로 감싸이게 된다.
만일, 상기 고정 레그(130)의 선단부에 추가적인 레그(131)가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레그(131)는 고정 레그(130)의 안쪽으로 접힌 상태로 상기 지지 외관(160)에 감싸여 자궁경관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외관(160)을 제거하면서 상기 고정 레그(130)와 함께 자궁 내로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외관(160)이 너무 깊게 삽입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외관(160)에는 삽입 정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탑퍼(stopper)(16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탑퍼(161)는 홈이나 돌출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공형 배액관(220)은 외관의 기능을 하고, 상기 중공형 배액관(220)의 내경을 따라 삽입되는 지지 내관(260)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레그(230)는 상기 중공형 배액관(220) 단부에 고정된 채로 자궁경관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중공형 배액관(220)의 내경을 따라 삽입된 지지 내관(260)이 상기 고정 레그(230)를 밀어서 자궁 내에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 레그(230)는 상기 중공형 배액관(220)의 내부에 배치된 채로 자궁경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삽입된 지지 내관(260)에 의해 자궁 내로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고정 레그(230)의 선단부에 상술한 바와 같은 추가적인 레그가 연결되어 연장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미도시).
이 경우, 상기 지지 내관(260)이 너무 깊게 삽입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내관(260)은 고정 홈(261)을 구비하고 상기 배액관(220)은 고정부(232)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지지 내관(260)의 삽입 정도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삽입되던 지지 내관(260)이 상기 배액관(220)의 고정부(232)에 걸리고, 상기 고정 홈(261)에 의해 정지되면서 상기 고정 레그(230)를 밀어서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의 사용 상태는 도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자궁의 모습을 간략하게 표현한 것이며, 질(340)과 자궁내부(330) 사이에 위치하는 자궁경관(310)에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100)가 삽입되어 있고, 자궁입구(320)에 지지캡이 걸쳐지고, 자궁내부(330)에 고정 레그가 펼쳐져 위치를 잡아주고 있다.
자궁경부 원추절제술이 완료된 후에는 자궁경관(310)을 통해 삽입되어 시술된 본 발명의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100)는 자궁경부가 협착 또는 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기본적으로 자궁에서 생성된 분비물은 배액관(120, 220) 및 상기 배액관(120, 220)의 측부에 형성된 배액구(142, 242)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지지캡(110, 2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액구(141, 241)를 통해서는 환부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환부가 감염되거나 이물질에 의하여 회복이 더뎌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빠른 회복을 도울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자궁 내에서 배액관(120, 220)의 위치를 잡아주는 고정 레그(130, 230)를 구비함으로써,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가 빠지거나 위치를 이탈함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 및 회복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장치를 시술할 수 있고, 환부에 상처가 없도록 안전하게 장착이 될 수 있으며, 자궁 내 별도 조치 없이 고정이 되는 구조이므로 회복 후에는 부드럽게 제거가 가능하고, 사용상 안정성을 배가할 수 있다.

Claims (15)

  1. 자궁경관에 삽입되는 중공형 배액관;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자궁입구에 걸쳐지도록 구성된 지지캡; 및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자궁 내에서 펼쳐져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위치를 잡아주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레그(Leg)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배액관은 측부에 배액을 위한 배액구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외경부에 형성되어 상기 자궁경관의 내벽면과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외형돌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은 배액을 위한 배액구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은 상기 중공형 배액관을 중심축으로 사방으로 일정한 길이로 확장된 형태이며, 원형, 다각형, 별 모양 또는 방사형을 이루는 것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은 상기 중공형 배액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작아지도록 경사를 이루는 것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캡은 자궁경부와의 밀착방지를 위하여 상부면에 돌기나 요철을 형성한 것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외경부를 따라 지지 외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일단부의 외경과 상기 지지캡이 연결되는 위치에 삽입홀(hole)이 형성되는,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는 상기 삽입홀로 삽입되는 지지 외관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고정 레그는 상기 중공형 배액관과 함께 상기 지지 외관에 감싸여 자궁경관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지지 외관을 제거하면서 자궁 내에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그는 상기 중공형 배액관으로부터 복수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중간부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날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그의 선단부에 추가적인 레그가 연결되어 있는 것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레그는 상기 고정 레그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중간부에 좌우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날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외관은 삽입 정도를 제어하기 위한 스탑퍼(stopper)를 구비하는 것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는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내경을 따라 삽입되는 지지 내관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고정 레그는 상기 중공형 배액관 단부에 고정된 채로 자궁경관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중공형 배액관의 내경을 따라 삽입된 지지 내관이 상기 고정 레그를 밀어서 자궁 내에 펼쳐지도록 구성된 것인,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내관은 고정 홈을 구비하며, 상기 배액관은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지지 내관의 삽입 정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KR1020160050984A 2016-04-26 2016-04-26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KR101851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984A KR101851737B1 (ko) 2016-04-26 2016-04-26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EP16900580.8A EP3449968B1 (en) 2016-04-26 2016-06-14 Uterine cervix adhesion prevention device
PCT/KR2016/006300 WO2017188506A1 (ko) 2016-04-26 2016-06-14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984A KR101851737B1 (ko) 2016-04-26 2016-04-26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990A true KR20170121990A (ko) 2017-11-03
KR101851737B1 KR101851737B1 (ko) 2018-04-24

Family

ID=6015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984A KR101851737B1 (ko) 2016-04-26 2016-04-26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449968B1 (ko)
KR (1) KR101851737B1 (ko)
WO (1) WO20171885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456A1 (ko) * 2019-01-11 2020-07-16 주식회사 엔도비전 드레싱재가 포함된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KR20220090271A (ko) *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엔도비전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4627B (zh) * 2019-10-17 2022-08-12 储萍 一种宫颈管孔防黏连器
CN110680520B (zh) * 2019-10-25 2021-01-08 无锡市儿童医院 一种儿童肠道吻合术防粘连辅助操作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171B1 (ko) * 1981-03-09 1985-03-04 유니버시티 페이턴트, 인코포레이티드 주문맞춤의 자궁경부용 캪을 제작하기 위한 평판소재
US6027518A (en) * 1995-05-30 2000-02-22 Gaber; Benny Seizing instrument
DE10112630C2 (de) * 2000-12-21 2003-03-27 Gernot Martin Pfaff Drainagevorrichtung
KR100508818B1 (ko) * 2002-06-11 2005-08-17 이우동 자궁내막의 유착재생 방지 장치
JP2004298293A (ja) * 2003-03-31 2004-10-28 Sumitomo Bakelite Co Ltd 子宮操作具
JP4995811B2 (ja) * 2005-04-29 2012-08-08 クック・バイオテ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瘻治療用容積式移植片並びに関連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8568374B2 (en) * 2009-05-04 2013-10-29 Merck Sharp & Dohme B.V. Intrauterine system
US8568308B2 (en) * 2009-08-14 2013-10-29 Alan M. Reznik Customizable, self holding, space retracting arthroscopic/endoscopic cannula system
EP2953558B1 (en) * 2013-02-06 2019-08-28 Sillender, Mark Embryo transfer catheter
KR101435661B1 (ko) * 2014-02-18 2014-08-28 주식회사 인코어 자궁경부수술 후 회복도구
US9801660B2 (en) * 2014-07-31 2017-10-31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Implantable fluid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456A1 (ko) * 2019-01-11 2020-07-16 주식회사 엔도비전 드레싱재가 포함된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KR20200087574A (ko) * 2019-01-11 2020-07-21 주식회사 엔도비전 드레싱재가 포함된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KR20220090271A (ko) *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엔도비전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WO2022139046A1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엔도비전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9968A1 (en) 2019-03-06
EP3449968B1 (en) 2022-08-17
KR101851737B1 (ko) 2018-04-24
EP3449968A4 (en) 2019-12-25
WO2017188506A1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9404B2 (en) Surgical prosthesis-forming device used to implant an organ support in a mammal
US10039666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of intravaginal support and/or distension
US7105007B2 (en) Cervical medical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851737B1 (ko)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US201102201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ccluding A Lumen
BRPI0617115A2 (pt) dispositivo para circuncisão de pênis
WO2006047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bnormal uterine bleeding
DK2863811T3 (en) BLOOD VESSEL CONCLUSION DEVICES
WO2013079077A1 (en) The anatomical circumcision ring
JP2013537434A (ja) 胆石を治療するデバイス及び方法
KR100508818B1 (ko) 자궁내막의 유착재생 방지 장치
US20180206876A1 (en) Circumcision device
KR101435661B1 (ko) 자궁경부수술 후 회복도구
US20150164629A1 (en) Surgical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ment of prolapsed uterus
EP2648642B1 (en) Medical device for the prevention and/or correction of phimosis through the static progressive dilatation of scar ring
KR102569268B1 (ko) 자궁경부 유착 방지 장치
RU214377U1 (ru) Фиксатор насадок медицинских инструментов
EP2916741B1 (en) Medical device for the treatment of anal fistula
RU2810273C1 (ru) Способ оперативного лечения паховых грыж у детей
US1148430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occlusion of blood vessels
RU2808368C1 (ru) Способ моделирования синдрома Ашермана на крысах
JP5353733B2 (ja) 体内留置用カテーテル
RU18780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рабочих насадок медицинских инструментов
RU195383U1 (ru) Стенд для эндоскоп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псевдокист поджелудочной железы
RU182975U1 (ru) Иглодержатель хирургическ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