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044A - 향미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미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044A
KR20170120044A KR1020170051055A KR20170051055A KR20170120044A KR 20170120044 A KR20170120044 A KR 20170120044A KR 1020170051055 A KR1020170051055 A KR 1020170051055A KR 20170051055 A KR20170051055 A KR 20170051055A KR 20170120044 A KR20170120044 A KR 20170120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weight
flavor
parts
perfum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진수
김후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7012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0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미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향미의 향취 성분; 및 데칸알(Decanal), 1-옥텐-3-올(1-Octen-3-ol) 및 2-헵탄온(2-Heptan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미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관능 평가 결과 향미 고유 향취와의 유사도가 높고 및 향의 만족도가 우수하여 향료 조성물,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향미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JAPONICA AROMATIC RICE}
본 발명은 향미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향미의 향취 성분; 및 데칸알(Decanal), 1-옥텐-3-올(1-Octen-3-ol) 및 2-헵탄온(2-Heptan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미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에 관한 것이다.
쌀(Oryza sativa L.)은 벼과 벼속의 일년생 초본 식물로 옥수수, 밀과 함께 3대 곡류 중 하나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다.
쌀은 크게 일본형과 인도형으로 분류하며, 쌀알의 모양과 맛, 식감에 차이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주로 먹는 일본형 쌀은 쌀알이 둥글고 굵으며, 밥을 지었을 때 끈기가 강하다.
아시아인은 쌀로부터 열량의 대부분과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일부를 섭취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이후 생산량이 크게 늘어 쌀밥이 주식으로 자리 잡아 한국인에게 가장 친근한 작물이 되었으며,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과 쌀의 기능이 새롭게 밝혀짐에 따라 일반 쌀 이외에 향기 나는 쌀인 향미와 같은 특수미가 각광을 받게 되었다.
향미는 밥을 지을 때 옥수수를 튀기거나 콩을 삶을 때처럼 진한 냄새를 풍기며, 향기나는 쌀로 불리운다. 향미의 구수한 냄새는 갓 찧은 쌀이나 현미 상태에서도 나고 벼의 잎이나 줄기, 꽃가루에서도 강하게 난다. 향미는 파키스탄, 인도, 스리랑카, 네팔, 타이, 필리핀, 중국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오랫동안 재배해 왔으며, 이슬람교 국가에서는 종교적 행사의식이 있을 때 향미를 쓰기도 한다. 향미벼는 타이나 일본의 재래벼에서도 발견되는데 재래 품종에서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으나,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향미벼 1호", "향남벼", "향미벼 2호" 및 "가찰향 1호"가 개발되어 보급되었다(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36186호).
한편, 향미는 낮은 기온에서 벼 알이 여물 때 향기가 강하다고 하는데, 향미의 향취성분은 대부분 휘발성 성분으로 오래 두면 증발되므로, 저온상태에서 벼 상태로 저장해 두었다가 조금씩 갓 찧어서 출하하거나 찐쌀 형태로 만들어 향취 물질의 증발을 막을 수 있다.
향미는 일반 쌀에 비해 고가이며, 낟알로부터의 직접적인 향 추출이 어려우므로 천연상태에서 그 고유 향취를 산업적 규모로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미의 향기를 그대로 재현하여 차별화되고 새로운 특징을 갖는 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향미 고유의 차별화된 향취를 재현하기 위하여, 향미의 향취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상기 분석된 성분을 분석된 함량으로 인공적으로 혼합하여도 고유의 향취와 유사한 향취를 얻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고, 천연 상태의 향미에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향취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향미의 고유 향취를 거의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음을 밝혀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미 고유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갖는, 향미의 향취 성분; 및 데칸알(Decanal), 1-옥텐-3-올(1-Octen-3-ol) 및 2-헵탄온(2-Heptan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미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향미의 향취 성분; 및 데칸알(Decanal), 1-옥텐-3-올(1-Octen-3-ol) 및 2-헵탄온(2-Heptan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향미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향미"는 밥을 지을 때 옥수수를 튀기거나 콩을 삶을 때처럼 진한 냄새를 풍기는 쌀로서, 향기나는 쌀로 불리운다. 향미의 구수한 냄새는 갓 찧은 쌀이나 현미 상태에서도 나고 벼의 잎이나 줄기, 꽃가루에서도 강하게 난다. 향미는 파키스탄, 인도, 스리랑카, 네팔, 타이, 필리핀, 중국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오랫동안 재배해 왔으며, 이슬람교 국가에서는 종교적 행사의식이 있을 때 향미를 쓰기도 한다. 향미벼는 타이나 일본의 재래벼에서도 발견되는데 재래 품종에서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으나,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향미벼 1호", "향남벼", "향미벼 2호"가 개발되어 보급되었다. 향미는 낮은 기온에서 벼 알이 여물 때 향기가 강하다고 하는데, 향취성분은 보통 휘발성 물질이어서 쌀을 찧어 오래 두면 거의 증발되어 버리므로, 저온상태에서 벼 상태로 저장해 두었다가 조금씩 갓 찧어서 출하하거나 찐쌀 형태로 만들어 향취물질의 증발을 막아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향취"는 오취의 하나로서, 향기로우면서 약간 고소한 냄새로 코로 들어가는 냄새를 말한다. 본 발명의 향취는 향미의 향취로서, 갓 찧은 쌀이나 현미, 벼의 잎이나 줄기, 꽃가루에서 나는 구수한 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향료"는 화장품, 식료품 등의 생활용품에 향기를 가하기 위해 첨가하는 향기가 강한 유기물질로서, 상온에서 휘발성이 우수하다. 향료는 장미·레몬 등에서 얻는 천연향료, 값이 싼 천연향료·콜타르 등의 원료로부터 분리·정제한 단리향료, 화학반응을 거쳐 합성시킨 합성향료 등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단리향료와 합성향료를 합하여 인조향료라고도 한다. 용도별로는 화장품 향료와 식품 향료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화장품향료는 단지 향기 부여를 목적으로 하지만 식품향료는 냄새에 맛을 가미한 플레이버(flavor)를 주체로 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미의 향취를 재현하는 향료 조성물로서, 향미의 향취 성분에 데칸알(Decanal), 1-옥텐-3-올(1-Octen-3-ol) 및 2-헵탄온(2-Heptanone)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향미의 향취와 유사도 및 만족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상기 조성물에 헥산올(Hexanol) 및 구아이아콜(Guaia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시, 향미 고유의 향취와 높은 유사도 및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4, 표 7 및 표 8).
본 발명에 있어서, 향미의 향취 성분은 향미의 향취를 채취하여 분석된 성분을 총칭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기를 채취하는 방법으로는 용매를 사용한 추출법(extraction), 수증기를 이용한 증류법(distillation) 등이 사용되어지나, 상기의 방법들은 향기 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 가열, 감압 등에 의한 향기 성분의 소실, 변화 등을 초래하여 원 물질이 가지는 향기 특징과 많은 차이가 있다. 또한 곡물인 향미의 경우 쉽게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헤드스페이스(Headspace)법과 SPME (Solid-Phase MicroExtraction)법 등이 개발되었다. 이 두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시료의 전 처리도 필요 없으므로 다량의 시료가 필요 없고 시료자체를 가지고 향기 성분을 분석할 수 있어 시료가 가지는 본래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향미의 향취 성분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2-펜탄온(2-Pentanone), 옥탄올(Octanol), 노난올(Nonanol), 헥세인산(Hexanoic acid), 노난산(Nonanoic acid),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옥탄산(Octanoic acid), 노난알(Nonanal) 및 헥산알(Hexana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펜탄온(2-Pentanone)은 케톤의 일종으로 재배담배(Nicotiana tabacum)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메틸 프로필 케톤(methyl propyl ketone, MPK)라고도 불린다. 상기 옥탄올(Octanol)은 지방 알코올의 일종으로 에스터를 이용하여 합성되어 향수와 향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노난올(Nonanol)은 시트러스 향이 나는 무색의 지방 알코올이며, 오렌지 오일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 헥세인산(Hexanoic acid)은 헥세인(hexane)으로부터 유도된 카복실산의 일종으로 카프로익산(Caproic acid)라고도 불리우며, 지방, 치즈, 밀랍과 같은 냄새를 가진 무색의 유성 액체이다. 상기 노난산(Nonanoic acid)은 말단이 카복실산인 9 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유기 화합물이다. 상기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는 방향족 알데히드 중의 가장 간단한 것으로 특수한 향내가 나는 무색의 액체이며, 비교적 값싼 향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옥탄산(Octanoic acid)은 8 개의 탄소로 이루어진 포화 지방산의 일반명으로 카프릴릭산(Caprylic acid)이라고도 불리우며, 다양한 동물의 우유에서 발견된다. 상기 노난알(Nonanal)은 무색의 유성 액체로 향수의 성분으로 포함되는 알킬 알데히드의 일종이며, 노난알데하이드(nonanaldehyde), 알데하이드 C-9라고도 불린다. 상기 헥산알(Hexanal)은 과일 향을 내는 데에 사용되는 알킬 알데하이드의 일종으로 신선한 잘려진 잔디와 같은 향기가 나며, 헥산알데하이드(hexanaldehyde)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헤드스페이스(Headspace)법을 이용하여 향미에 속한 향취 성분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향미의 향취 성분에 2-펜탄온(2-Pentanone), 옥탄올(Octanol), 노난올(Nonanol), 헥세인산(Hexanoic acid), 노난산(Nonanoic acid),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옥탄산(Octanoic acid), 노난알(Nonanal) 및 헥산알(Hexanal)이 주요 성분으로 포함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및 표 1).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상기 향미의 향취 성분에 데칸알(Decanal), 1-옥텐-3-올(1-Octen-3-ol) 및 2-헵탄온(2-Heptan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향미 향취를 재현할 수 있다.
상기 데칸알(Decanal)은 무색 또는 엷은 황색의 투명한 액체로 신선한 지방과 같은 특이한 향기가 있으며, 만다린, 레몬글라스, 코리안다, 네로리, 장미, 레몬, 그레이프프루트 등 많은 천연 정유류 성분으로서 존재하는 것 외에, 우유, 치즈, 햄 등 동물성 식품에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바나나, 오렌지 등의 향을 조합하는 데 사용한다. 상기 1-옥텐-3-올(1-Octen-3-ol)은 송이버섯 같은 냄새가 있는 액체로, 아밀 비닐 카르비놀(Amyl vinyl carbinol)라고도 불린다. 또한, 식용 버섯 및 레몬 밤(Lemon balm)과 같은 식물과 균류로부터 만들어지며, 곰팡이 또는 고기와 같은 냄새를 가지고 있어 향수에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2-헵탄온(2-Heptanone)은 바나나 같은 과일향이 나는 무색 액체로, 메틸 아밀 케톤(Methyl amyl ketone)라고도 불린다. 또한, 인간이 소비하는 식품에 직접 첨가가 허용된 FDA의 식품 첨가물 리스트에 포함되며(21 CFR 172.515), 맥주, 버터, 다양한 치즈와 같은 음식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헥산올(Hexanol) 및 구아이아콜(Guaia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헥산올(Hexanol)은 달콤한 과일향 및 기름 또는 찌르는 냄새가 나는 무색의 액체로 알코올 C-6라고도 불린다. 또한, 야채와 과일 등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며 음료, 차, 유제품, 빵 등에 감미료로 사용된다. 상기 구아이아콜(Guaiacol)은 특유의 향기와 단맛이 있는 백색-담황색의 결정 또는 무색-담황색의 액체로, O-메톡시 페놀(O-methoxy phenol)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바닐라 향료의 원료나 치과용 진통소담제로 사용되며, 카테콜을 메틸화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향미의 향취 성분에 데칸알, 1-옥텐-3-올 및 2-헵탄온을 추가한 향료의 경우, 향미 향취와의 유사도 및 만족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상기 데칸알, 1-옥텐-3-올 및 2-헵탄온이 추가된 향료 조성물에 헥산올(Hexanol) 및 구아이아콜(Guaiacol)을 더 추가한 향료의 경우, 향미 향취와의 유사도 및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하였다(실험예 4, 표 7 및 표 8).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함량의 성분을 포함하는 향미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랑부에 대하여, 2-펜탄온 0.01 내지 10 중량부, 옥탄올 5 내지 10 중량부, 노난올 3 내지 12.5 중량부, 헥세인산 3 내지 15 중량부, 노난산 3 내지 15 중량부, 벤즈알데히드 0.01 내지 5 중량부, 옥탄산 2.5 내지 12.5 중량부, 노난알 1 내지 5 중량부, 헥산알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칸알, 1-옥텐-3-올 및 2-헵탄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각각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펜탄온 0.01 내지 1 중량부, 옥탄올 5 내지 10 중량부, 노난올 5 내지 10 중량부, 헥세인산 10 내지 15 중량부, 노난산 10 내지 15 중량부, 벤즈알데히드 0.01 내지 1 중량부, 옥탄산 7.5 내지 10 중량부, 노난알 1 내지 5 중량부, 헥산알 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고, 데칸알 0.5 내지 2 중량부, 1-옥텐-3-올 0.1 내지 0.5 중량부 및 2-헵탄온 0.1 내지 0.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펜탄온 0.01 내지 10 중량부, 옥탄올 5 내지 10 중량부, 노난올 3 내지 12.5 중량부, 헥세인산 3 내지 15 중량부, 노난산 3 내지 15 중량부, 벤즈알데히드 0.01 내지 5 중량부, 옥탄산 2.5 내지 12.5 중량부, 노난알 1 내지 5 중량부, 헥산알 0.1 내지 2 중량부, 데칸알 0.01 내지 10 중량부, 1-옥텐-3-올 0.01 내지 10 중량부, 2-헵탄온 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헥산올 및 구아이아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펜탄온 0.01 내지 1 중량부, 옥탄올 5 내지 10 중량부, 노난올 5 내지 10 중량부, 헥세인산 10 내지 15 중량부, 노난산 10 내지 15 중량부, 벤즈알데히드 0.01 내지 1 중량부, 옥탄산 7.5 내지 10 중량부, 노난알 1 내지 5 중량부, 헥산알 0.1 내지 0.5 중량부, 데칸알 0.5 내지 2 중량부, 1-옥텐-3-올 0.1 내지 0.5 중량부, 2-헵탄온 0.1 내지 0.5 중량, 헥산올 0.5 내지 2 중량부 및 구아이아콜 0.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홈 케어 제품"은 부엌 및 욕실에서와 같이 표면 세정 또는 위생 상태 유지를 위해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제품(예를 들어, 경질 표면 클리너, 수동 및 자동 접시 케어, 변기 클리너 및 소독제, 주방세제), 섬유 케어 및 세정 등과 같은 세탁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예를 들어, 세제, 섬유유연제, 전처리 얼룩 제거제), 방향 화합물을 발산해 악취를 제거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향수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방향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향료가 투입되는 홈 케어 조성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케어 제품에는 세탁 세제, 세탁 세제 첨가제, 세탁바, 섬유 유연제, 주방세제, 목재 및 가구 광택제, 마루 광택제, 욕조 및 타일 클리너, 변기 클리너, 경질 표면 클리너, 윈도우 클리너, 김서림 방지제, 배수구 클리너, 자동-식기 세척제 및 쉬팅제(sheeting agent), 카페트 클리너, 애벌 빨래 스파터(prewash spotter), 녹 얼룩 클리너, 스케일 제거제, 탈취제 및 방향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홈 케어 제품, 예컨대 세탁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은 상기 향료 조성물과 양이온성 폴리머,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섬유 케어 제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섬유 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양이온성 구아,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P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산-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미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및 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섬유 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 알킬디메틸베타인, 알킬모노암포아세테이트,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 사코시네이트 및 알킬 암포디아세테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홈 케어 제품, 예컨대 상기 세탁 용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품은 수개의 클리닝 부가물을 필요로 하지만, 특정한 단순 제형품, 예컨대 표백 첨가제는 산소 표백제 및 계면활성제만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부가물은 빌더, 효소,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촉매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리닝 부가물은 거품 촉진제, 거품 억제제(소포제), 분산제 중합체, 컬러 스펙클, 실버케어제, 항변색제 및/또는 항부식제, 염료, 충전제, 살균제, 알칼리원, 향수성 물질, 항산화제, 효소 안정화제, 프로(pro)-항료, 항료, 가용화제, 담체, 가공 보조제, 안료와 같은 다양한 활성 성분 또는 특화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액체 제형물의 경우에는 용매, 킬레이트제, 염료 전이 저해제, 분산제, 광택제, 거품 억제제, 염료, 구조 탄성화제, 섬유 연화제, 항마모제, 향수성 물질, 가공 보조제, 및 기타 섬유 케어제, 표면 및 피부 케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홈 케어 제품, 예컨대 방향제는 본 발명의 겔 형상 또는 고형화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휘발식 방향제일 수 있고, 액상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분무식 방향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제는 전체 제품의 중량 중 0.001 내지 30 중량%, 구체적으로 1 내지 3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10 중량%의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 조성물이 전체 조성물 중 0.00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발향성이 매우 낮아 향을 음미하기 힘들며, 30 중량% 초과로 첨가하면 방향제로 사용하기에는 향이 너무 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방향제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향미제 또는 방향제에 유용한 임의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하나 이상의 광범위한 천연, 합성, 합성화학물질, 천연 방향제, 향미제 물질, 향미제 또는 방향제 분야에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과 혼합될 수 있다. 추가로, 방향제는 향미제 및 방향제와 함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 또는 부형제, 예를 들어 담체 물질, 농후화제, 향미 증강제 및 기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고 사용되는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퍼스널 케어 제품"은 인간 및 동물의 피부, 모발, 두피, 및 손톱을 포함하는 신체에 적용되는 화장품, 헤어 케어 제품, 세면용품,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s), 뷰티 보조용품, 방충제, 개인 위생 및 클렌징 제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향료가 투입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오도런트, 발한억제제, 스프레이, 스틱 및 롤-온 제품, 쉐이빙제, 스킨 로션, 모이스쳐라이져, 토너, 목욕제, 클렌징제, 샴푸, 컨디셔너, 조합된 샴푸/컨디셔너, 무스, 스타일링 겔, 헤어스프레이, 모발염색제, 모발색제, 모발표백제, 웨이빙제, 헤어스트레이트너, 네일폴리시, 네일폴리시 리무버, 네일 크림 및 로션, 각질 연화제, 썬스크린, 방충제, 노화방지제, 립스틱, 파운데이션, 페이스 파우더,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블러쉬(blushes), 메이크업, 마스카라, 모이스쳐라이징 조제, 바디 및 핸드 조제, 스킨케어 조제, 페이스 및 넥 조제, 토닉, 드레싱, 헤어 그루밍 에이드, 에어로졸 픽사티브, 향 조제, 애프터쉐이브, 메이크-업 조제, 소프트 포커스 용품, 밤 및 낮 스킨케어 조제, 비-착색 모발 조제, 태닝 조제, 합성 및 비-합성 비누바, 핸드 리퀴드, 노우즈 스트립, 퍼스널 케어용 부직포 용품, 베이비로션, 베이비 배스 및 샴푸, 베이비 컨디셔너, 쉐이빙 조제, 큐컴버 슬라이스, 스킨 패드, 메이크업 리무버, 페이셜 클렌징제, 콜드크림, 썬스크린제, 무스, 스프리츠, 페이스트 마스크 및 머드, 페이스 마스크, 콜로뉴 및 화장수, 헤어 큐티클 코트, 샤워겔, 페이스 및 바디 워시, 퍼스널 케어 린스-오프제, 겔, 포움 배스, 스크러빙 클렌저, 아스트린젠트, 네일 컨디셔너, 아이쉐도우 스틱, 페이스 또는 아이용 파우더, 립밤, 립글로스, 헤어케어 펌프 스프레이 및 기타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헤어-프리즈-컨트롤 겔, 헤어 리브-인 컨디셔너, 헤어포마드, 헤어 디탱글링제, 모발 고정제, 헤어 블리치제, 스킨 로션, 프리쉐이브 및 프리일렉트릭 쉐이브, 무수크림 및 로션, 유/수형, 수/유형, 멀티플 매크로 및 마이크로 에멀젼, 내수성 크림 및 로션, 여드름피부용 조제, 구강세척제, 마사지 오일, 치약, 클리어 겔 및 스틱, 연고 베이스, 국부 상처치유제, 에어로졸 탈크, 배리어 스프레이, 비타민 및 노화방지 조제, 허브추출물 조제, 배스 솔트, 배스 및 바디 밀크, 헤어 스타일링 에이드(hair styling aids), 헤어-, 아이-, 네일- 및 스킨-소프트 용품, 방출 조절 퍼스널 케어제, 헤어 컨디셔닝 미스트, 스킨 케어 모이스쳐라이징 미스트, 스킨 와이프, 포어 스킨 와이프, 포어 클렌저, 블레미시 리듀서, 스킨 엑스폴리에이터, 박피개선제, 스킨 타월레트 및 클로스, 제모제, 퍼스널 케어 윤활제 및 네일 착색 조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 제품, 예컨대 화장품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일반 피부 화장품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품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제형에 따라 상기 향료 조성물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로 들면,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은 비교적 높은 농도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를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 제품, 예컨대 헤어 케어 제품은 샴푸(투-인-원(two-in-one) 컨디셔닝 샴푸와 같은 복합 샴푸를 포함), 헤어 컨디셔너, 샴푸 후 헹굼액, 염모제, 셋팅, 스타일링 및 스타일 유지제(젤 및 스프레이와 같은 셋팅 보조제, 및 포마드, 컨디셔너, 퍼머액, 이완제와 같은 그루밍 보조제를 포함), 헤어 스무딩 제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헤어 케어 제품은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헤어 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트리모니움클로라이드,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디세틸디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 및 에스테르 쿼트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헤어 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및 코코암포카르복시프로피오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헤어 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및 야자유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헤어 케어 제품에 사용되는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이드록시프로필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클로라이드 및 4급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즈로 이루어진 천연 양이온성 폴리머 군; 및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폴리머, 크릴아미드디메틸이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코폴리머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합성 양이온성 폴리머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염모제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과 프리커서 및 커플러를 포함하는 염모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 제품, 예컨대 바디 케어 제품은 배스 및 샤워 첨가제, 향기 및 향미 물질 함유 제제, 헤어 케어 제품, 탈취제 및 지한제, 장식용 제제, 활성 성분 함유 광보호 제형 및 제제용으로 단일 성분 또는 다른 안정화제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케어 제품은 바디 오일, 바디 로션, 바디 겔, 트리트먼트 크림, 피부 보호 연고, 면도용 제제, 예컨대 쉐이빙 폼 또는 겔, 스킨 파우더, 예컨대 베이비 파우더, 모이스쳐라이징 겔, 모이스쳐라이징 스프레이, 리바이탈라이징 바디 스프레이, 셀룰라이트 겔 및 필링 제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배스 및 샤워 첨가제로는 샤워 겔, 배스-솔트, 버블 배스 및 비누가 있다. 향기 및 향미 물질 함유 제제는 향수, 화장수 및 쉐이빙 로션(애프터쉐이브 제제)가 있다. 상기 바디 케어 제품은 크림, 연고, 페이스트, 폼, 겔, 로션, 분말, 메이크업, 스프레이, 스틱 또는 에어로졸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바디 케어 제품은 또한, 안정화 혼합물, 및 임의로 추가의 UV 흡수제, 입체 장애 아민, 착화제, 및 페놀성 또는 비-페놀성 항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관능 평가 결과 향미 고유 향취와의 유사도가 높고 및 향의 만족도가 우수하여 향료 조성물,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헤드스페이스(Headspace)법을 이용한 향미의 향취 성분 분석
헤드스페이스 분석방법은 자연 상태 그대로의 시료 향취 성분을 채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본 발명에서는 헤드스페이스 분석법을 사용하였고,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향미 낟알에 밀폐가 가능한 랩을 씌우고, 동력 장치로 외부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면서 순환된 공기가 tenax 컬럼을 통과하게 하여 향취 성분을 포집하였다.
향취가 포집된 tenax 컬럼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분석 장치에 연결하여 포집된 향취 성분의 종류와 함량을 분석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분석 조건>
GC : agilent 7890A
GC/MSD : Agilent 7890B/5977A
컬럼 : HP-INNOWAX (60m x 0.25mm)
오븐 온도 : 80 ℃ - (2 ℃/min) -> 240 ℃ (20 min)
주입부 온도 : 260 ℃
검출기 : FID, Temp. 270 ℃
이동상기체 : He gas, 0.8 ㎖/min (Constant flow)
Sprit ratio : Spritless
SPME fiber : 50/30 ㎛ DVB/CAR/PDMS
교반 : Time 15 min, Temp. 70 ℃
흡착 시간 : 15 min
탈착 시간 : 15 min
향미의 향취 성분 분석 결과
향료명 중량(%)
이소페놀 26.50
리모넨 9.95
2-펜탄온 9.32
2,5-헥산디온 8.76
옥탄올 6.85
노난올 5.86
헥세인산 5.41
노난산 5.28
벤즈알데히드 4.49
옥탄산 3.14
노난알 3.07
헥실아세트산 1.60
헥산알 0.95
2-헥산온 trace
2-에틸 헥세인산 trace
기타 8.81
총 함량 100.00
분석 결과,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향미의 향취 성분은 이소페놀 26.50%, 리모넨 9.95%, 2-펜탄온 9.32%, 2,5-헥산디온 8.76%, 옥탄올 6.85%, 노난올 5.86%, 헥세인산 5.41%, 노난산 5.28%, 벤즈알데히드 4.49%, 옥탄산 3.14%, 노난알 3.07%, 헥실아세트산 1.60%, 헥산알 0.95%, 미량의 2-헥산온, 미량의 2-에틸 헥세인산이며, 전체 향기 성분의 약 91.19% 를 차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향미 향취 재현 향료의 제조 및 이에 대한 묘사분석
상기 실험예 1의 헤드스페이스 분석 결과(표 1)를 기반으로 하기 표 2의 조성 및 함량을 갖는 향미 향취 성분을 가지는 재현 향료(비교예 1)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하기 표 2의 재현 향미 향취 성분의 재현 향료에 대해 하기와 같이 묘사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관능평가 대상자는 향료업계 종사자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제 향미와 하기 표 2 의 향미 향취 재현 향료를 비교하여 묘사분석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2 의 향미 향취 성분을 가지는 재현 향료와 실제 향미 향취와의 유사성에 대한 평가는 5점 평점법으로 평가(표 5 참조)하였고, 만족도 또한 5점 평점법으로 평가(표 6 참조)하였다.
향미 향취 성분의 재현 향료(비교예 1)
향료명 중량(%)
2-펜탄온 9.32
옥탄올 6.85
노난올 5.86
헥세인산 5.41
노난산 5.28
벤즈알데히드 4.49
옥탄산 3.14
노난알 3.07
헥산알 0.95
DPG(Dipropylene Glycol) 55.63
총 함량 100.00
향미 향취 성분의 재현 향료(비교예)의 유사도 및 만족도
번호 나이 성별 유사도 만족도
1 25 2 2
2 28 3 3
3 26 1 2
4 30 2 2
5 30 1 1
6 30 1 2
7 33 2 1
8 29 1 1
9 29 1 2
10 34 2 3
11 35 2 2
12 34 2 2
13 37 1 1
14 40 1 2
15 46 1 1
16 42 2 2
17 45 3 1
18 56 1 1
19 57 2 2
20 32 1 1
평균 35.9 1.6 1.70
분석 결과,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표 2의 향미 향취 성분으로 조합된 재현 향료 비교예 1 과 실제 향미의 향취 간에는 유사성과 만족도가 미흡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이로써, 단순히 분석 결과 만으로 향미의 향취를 재현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향취 성분을 추가하여 향미 향취를 재현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새로운 향취 성분을 추가한 향미 향취 재현 향료의 제조
향미로 밥을 지을 때 풍기는 특유의 구수하고 진한 향은 일반적인 쌀과는 다른 새로운 특징을 지닌다. 상기 실험예 2의 주요 향기 성분의 함량을 조정하고, 기존에 향미의 향취 성분으로 알려진 데칸알, 1-옥텐-3-올 및 2-헵탄온을 추가로 적용한 향료 조성물(제조예 1)과, 상기 추가 성분을 적용한 항료 조성물에 향미와 유사한 향기 특징을 가지는 헥산올 및 구아이아콜을 더 적용한 향료 조성물(제조예 2 내지 5)의 향미 향취 재현 향료를 새롭게 제조하였다. 참고로, 비교예 1은 실험예 2에서 제조된 향미 향취 재현 향료이다.
향미 재현 향취 조성표(단위: 중량%)
향료명 비교예1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2-펜탄온 9.32 0.84 0.84 0.06 0.01 0.06
옥탄올 6.85 8.42 8.42 6.25 5.05 6.25
노난올 5.86 10.94 10.94 9.38 4.44 9.38
헥세인산 5.41 14.76 14.76 12.50 10.56 12.50
노난산 5.28 14.76 14.76 12.50 10.56 12.50
벤즈알데히드 10% DPG 4.49 1.06 1.06 0.19 0.03 0.19
옥탄산 3.14 9.77 9.77 9.38 7.45 9.38
노난알 3.07 4.17 4.17 3.13 1.11 3.13
헥산알 0.95 0.51 0.51 0.31 0.12 0.31
데칸알 1% DPG - 1.89 1.89 1.56 0.54 1.56
1-옥텐-3-올 1% DPG - 0.50 0.50 0.31 0.12 0.31
2-헵탄온 1% DPG - 0.47 0.47 0.31 0.12 0.31
헥산올 - - 1.94 1.30 0.56 2.60
구아이아콜 1% DPG - - 5.03 0.31 0.05 0.62
DPG(Dipropylene Glycol) 55.63 31.91 24.94 42.51 59.28 40.90
총 함량 100.00 100.01 100.00 100.00 100.00 100.00
실험예 4. 관능평가
상기 실험예 3에서 제조된 향미 향취 재현 향료의 향미 향취와의 유사성 및 만족도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 대상자는 20 ~ 57세의 신체 건강한 일반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상기 비교예 1, 제조예 1 내지 7의 향미 향취 재현 향료 각각에 대한 유사성에 대한 평가는 5점 평점법으로 평가(표 5 참조)하였고, 만족도는 5점 평점법으로 평가(표 6 참조)하였다. 평가실과 시료 준비실은 분리하여 평가자가 시료의 사전 인지가 없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 및 표 8과 같다.
점수 유사도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조금 유사하다
5 매우 유사하다
점수 만족도
1 매우 좋지 않다
2 조금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조금 좋다
5 매우 좋다
평가결과 - 유사도
번호 나이 성별 비교예1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1 25 2 3 4 4 3 3
2 28 3 3 3 3 4 2
3 26 1 3 4 5 3 5
4 30 2 3 3 4 3 4
5 30 1 3 3 4 3 3
6 30 1 2 4 5 4 3
7 33 2 3 3 4 3 4
8 29 1 2 3 4 3 3
9 29 1 3 3 3 3 3
10 34 2 2 3 4 2 4
11 35 2 3 3 3 3 2
12 34 2 2 4 5 4 4
13 37 1 2 3 4 3 4
14 40 1 3 4 4 3 4
15 46 1 3 3 5 4 5
16 42 2 3 3 4 3 4
17 45 3 3 4 4 4 4
18 56 1 3 5 4 3 3
19 57 2 3 4 2 4 3
20 32 1 2 3 3 3 3
평균 35.9 1.6 2.7 3.45 3.9 3.25 3.5
평가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5.9세이고 남자 5명, 여자 15명이었다.
유사도 평가 결과, 상기 표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험예 1에서 분석된 향미의 주요 향취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제조된 재현 향료인 비교예 1의 향료 조성물은 전술한 대로 낮은 유사도를 나타났다.
반면, 향미 향취 주요 성분에 데칸알, 1-옥텐-3-올 및 2-헵탄온을 혼용한 제조예 1의 경우 유사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기 제조예 1에 헥산올과 구아이아콜을 더 추가적으로 혼용한 제조예 2 내지 5의 향료 조성물은 비교예 1 대비 유사도가 매우 증가하였으며, 데칸알, 1-옥텐-3-올 및 2-헵탄온만이 혼용된 제조예 1보다도 유사도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결과 - 만족도
번호 나이 성별 비교예1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1 25 2 3 4 5 4 4
2 28 3 3 3 3 3 3
3 26 2 2 3 4 4 4
4 30 2 2 3 4 3 4
5 30 1 3 4 4 4 5
6 30 2 3 3 3 3 4
7 33 1 3 5 5 5 5
8 29 1 2 4 4 4 3
9 29 2 3 3 3 3 5
10 34 3 3 3 3 4 5
11 35 2 3 4 4 4 3
12 34 2 2 3 3 3 4
13 37 1 3 3 4 4 4
14 40 2 3 3 5 4 5
15 46 1 3 4 4 4 5
16 42 2 3 3 4 3 4
17 45 1 3 3 3 3 5
18 56 1 3 3 3 3 3
19 57 2 3 3 4 4 4
20 32 1 2 3 4 3 4
평균 35.9   1.70 2.75 3.35 3.80 3.60 4.15
만족도 평가결과, 상기 표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험예 1에서 분석된 향미의 주요 향취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제조된 재현 향료인 비교예 1은 전술한 대로 향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 1의 향미 향취 성분에 데칸알, 1-옥텐-3-올 및 2-헵탄온을 혼용한 제조예 1의 경우 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상기 제조예 1에 헥산올과 구아이아콜을 추가적으로 혼용한 제조예 2 내지 5는 비교예 1 대비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조예 1의 향료 조성물보다도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로부터 분석된 향미의 향취 주요 성분 외에 데칸알(Decanal), 1-옥텐-3-올(1-Octen-3-ol) 및 2-헵탄온(2-Heptanone)을 추가한 향료 조성물의 향미 향취 유사도 및 향의 만족도는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데칸알, 1-옥텐-3-올(1-Octen-3-ol) 및 2-헵탄온에 헥산올(Hexanol) 및 구아이아콜(Guaiacol)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조성물은 향미 향취 유사도 및 향의 만족도가 현저히 높아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은 향미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로서, 홈 케어 제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향미의 향취 성분; 및 데칸알(Decanal), 1-옥텐-3-올(1-Octen-3-ol) 및 2-헵탄온(2-Heptan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향미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의 향취 성분은 2-펜탄온(2-Pentanone), 옥탄올(Octanol), 노난올(Nonanol), 헥세인산(Hexanoic acid), 노난산(Nonanoic acid),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옥탄산(Octanoic acid), 노난알(Nonanal) 및 헥산알(Hexan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인 것인,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헥산올(Hexanol) 및 구아이아콜(Guaia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인, 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랑부에 대하여, 2-펜탄온 0.01 내지 10 중량부, 옥탄올 5 내지 10 중량부, 노난올 3 내지 12.5 중량부, 헥세인산 3 내지 15 중량부, 노난산 3 내지 15 중량부, 벤즈알데히드 0.01 내지 5 중량부, 옥탄산 2.5 내지 12.5 중량부, 노난알 1 내지 5 중량부, 헥산알 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고, 데칸알 0.01 내지 10 중량부, 1-옥텐-3-올 0.01 내지 10 중량부 및 2-헵탄온 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전체 향료 조성물 100 중랑부에 대하여, 헥산올(Hexanol) 0.01 내지 10 중량부 및 구아이아콜(Guaiacol) 0.0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홈 케어 제품.
  7. 제 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제품.
KR1020170051055A 2016-04-20 2017-04-20 향미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1200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320 2016-04-20
KR20160048320 2016-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044A true KR20170120044A (ko) 2017-10-30

Family

ID=6030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055A KR20170120044A (ko) 2016-04-20 2017-04-20 향미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00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1302B2 (ja) 体臭抑制剤
JP6283156B2 (ja) ジケトン作用抑制剤
TWI554287B (zh) A deodorant containing a polyol
EP3725941A1 (en) Perfume composition for inhibiting odor
KR102114893B1 (ko) 향료 조성물
KR102397919B1 (ko) 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CN114384161B (zh) 香料的残香性评价方法、残香性赋予剂和残香性改良方法
KR101928986B1 (ko) 나도풍란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1668B1 (ko) 섬말나리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27909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 자극 및 뇌파 조절용 향료 조성물
KR20170120044A (ko) 향미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66256B1 (ko) 사위질빵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81669B1 (ko) 길마가지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77624B1 (ko) 셀로지네 니티다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80094364A (ko) 밀싹 주스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4711336B2 (ja) 香粧品用香料組成物
KR102567074B1 (ko) 무궁화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30592B1 (ko) 마누카 꿀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81063B1 (ko) 살구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79977B1 (ko) 등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62427B1 (ko) 생분해성 향료 조성물
KR102166517B1 (ko) 황매화의 향취 재현 조성물
EP3446676B1 (en) Aroma composition
KR20230092511A (ko) 백차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6130472B2 (ja) 体臭抑制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