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856A -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 Google Patents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856A
KR20170117856A KR1020160094138A KR20160094138A KR20170117856A KR 20170117856 A KR20170117856 A KR 20170117856A KR 1020160094138 A KR1020160094138 A KR 1020160094138A KR 20160094138 A KR20160094138 A KR 20160094138A KR 20170117856 A KR20170117856 A KR 2017011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voice
control command
command information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경태
명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로테크
Priority to KR102017004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97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신저 통신 기능이 내장된 장치를 사물에 삽입하여 제3자에 의하여 접촉되는 RF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사람이 사물을 통하여 제3자와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도록 하거나 제3자에게 특정상황에 대한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 정보가 코드화되어 있는 복수개의 RF카드; 사물에 내장되어 있으며, RF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메신저 통신 모듈; 및 미리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INTERACTIVE SYSTEM OF OBJECTS USING RF C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과 사물과 사물과 사물간의 대화 또는 통신 등에 있어서, 서로 다른 규칙 및 규약 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대화 또는 통신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술한 통신을 위하여, 놀이문화로서 유아나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형태로서 제공되는 완구에는 음성 칩을 내장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음성 칩을 내장한 완구의 경우에는 제조사가 획일적인 음성 정보만을 저장한 후 제공하는 관계로, 이를 오래 사용할 경우 유아나 어린이가 그 음성 정보에 대한 실증을 쉽게 느끼는 단점을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내용의 책을 읽어 주거나 동요를 듣거나 또는 원하는 대로 완구를 통하여 제3자에게 원하는 음성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제3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이 없는 관계로 완구에 대한 친밀도가 극히 낮았다.
즉, 종래 음성 칩을 내장한 완구의 경우, 완구를 만지거나 완구의 특정 부위를 누를 때 미리 정해진 음성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제조사가 사전에 음성 칩에 저장시킨 음성 메시지만이 반복 출력되도록 할 뿐 제3자와의 대화나 문자 송수신의 기능은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10-091381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신저 통신 기능이 내장된 장치를 사물에 삽입하여 제3자에 의하여 접촉되는 RF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사람이 사물을 통하여 제3자와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도록 하거나 제3자에게 특정상황에 대한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신저 통신 기능이 내장된 장치를 사물에 삽입하여 제3자에 의하여 접촉되는 RF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제3자에게 음악 재생, 녹음 재생, 텍스트 리딩, 수신 음성 따라하기, 번역 및 위험 상황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 정보가 코드화되어 있는 복수개의 RF카드; 사물에 내장되어 있으며, RF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메신저 통신 모듈; 및 미리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어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제1사용자 단말; 및 미리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과 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메신저 통신을 수생하는 제2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은, 사물의 외면에 구비된 음성 버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RF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를 판독하는 RF카드 판독기; 및 상기 RF카드 판독기를 통해 판독된 제어 명령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 단말과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RF카드의 판독과 상기 음성 버튼의 1회 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마이크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된 제어 명령 정보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은, 복수개의 제어 명령 정보가 저장된 제어 명령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버튼의 2회 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명령 정보들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며, 제어 명령 정보들이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되는 동안 RF카드가 판독되는 순간의 제어 명령 정보를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정보는, 채팅 기능, 음악 재생 기능, 텍스트 리딩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정보가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음성 버튼이 눌리어지는 동안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 또는 성별을 변조한 변조 음성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정보가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음성 버튼이 눌리어지는 동안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이 미리 설정된 위험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위험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정보가 채팅 기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외부 음성을 감지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 채팅 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성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 채팅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메신저 연락처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송신 채팅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메신저 연락처로 전송하며,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 또는 문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메신저 연락처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 채팅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메신저 연락처로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수신 음성 데이터로서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은 메신저 통신 기능이 내장된 장치를 사물에 삽입하여 제3자에 의하여 접촉되는 RF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사람이 사물을 통하여 제3자와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도록 하거나 제3자에게 특정상황에 대한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신저 통신 기능이 내장된 장치를 사물에 삽입하여 제3자에 의하여 접촉되는 RF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제3자에게 음악 재생, 녹음 재생, 텍스트 리딩, 수신 음성 따라하기, 번역 및 위험 상황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통신 모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판독되는 RF카드에 따라서 달라지는 제어 명령 정보의 예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 버튼의 눌리어짐에 의하여 음성의 제어 명령 정보가 입력되는 예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 버튼과 RF카드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 명령 정보가 입력되는 예시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채팅 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채팅 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은 각각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 정보가 코드화되어 있는 복수 개의 RF카드; 사물에 내장되고, RF카드의 접촉에 의하여 해당 RF카드에 각각 코드화된 제어 명령 정보를 리딩하며, 상기 리딩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메신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메신저 통신 모듈; 및 미리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과 메신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사물의 외면에는 음성 버튼과 음성 입출력 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음성 버튼에 대한 누름 동작에 의하여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은 상기 음성 입출력수단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음성 정보를 감지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출력하거나, 혹은 상기 RF카드에 코드화되어 있는 음성 명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정보는 외부 음성에 대한 녹음 및 전송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텍스트 변환 및 전송 기능, 미리 설정된 음악 재생 기능, 미리 설정된 텍스트 리딩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또는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에 대한 텍스트 변환 및 출력 기능,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에 대한 출력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미리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메신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연락처 목록과 메신저 통신 모듈의 어드레스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의 동작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은 각각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 정보가 코드화되어 있는 복수 개의 RF카드와, 사물에 내장되고, RF카드의 접촉에 의하여 해당 RF카드에 각각 코드화된 제어 명령 정보를 리딩하며, 상기 리딩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메신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메신저 통신 모듈과, 미리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메신저 통신 모듈과 연결되고, 메신저 통신 모듈과 메신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에 구비된 메신저 통신 모듈은 본 메신저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부(wifi/Bluetooth module), 제어부(MCU), RFID 리더기(RFID RECEIVER), 안테나(Ant), 배터리, USB 잭, 스피커 및 엘이디(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메신저 통신 모듈의 구성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메신저 통신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설계자의 변경에 의하여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메신저 통신 모듈이 삽입되는 사물은 인형, 장난감, 물놀이 용품(튜브, 오리인형 등) 등과 같은 완구 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의 외면에는 음성 버튼과 이와 연결된 음성 입출력 수단(마이크와 스피커 등)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음성 버튼에 대한 누름 동작에 의하여 메신저 통신 모듈은 음성 입출력수단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음성 정보를 감지하거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출력하거나, 혹은 RF카드에 코드화되어 있는 음성 명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물의 외면에는 사람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이나 도영상 또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명령 정보는 외부 음성에 대한 녹음 및 전송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텍스트 변환 및 전송 기능, 미리 설정된 음악 재생 기능, 미리 설정된 텍스트 리딩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또는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에 대한 텍스트 변환 및 출력 기능,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에 대한 출력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메신저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제1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후술하는 엄마의 스마트 폰)과, 미리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제1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메신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제2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후술하는 아빠의 스마트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연락처 목록과 메신저 통신 모듈의 어드레스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메신저 통신 모듈의 동작을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명령을 내리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메신저 통신 모듈은 사물에 삽입하거나 외부에 장착하여 사람이 사물을 통하여 제3자와 음성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하에서는 본체로 명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가 음성 버튼을 한번 누르면 음성 명령을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가 음성 버튼을 두 번 누르게 되면 명령이 순차적으로 돌아가며 선택된 명령을 본체에서 스피커부를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는 RF카드를 본체의 카드 리더기에 태그하여 카드 리더기에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는 해당 명령을 받으면 제1 사용자 단말의 대화형 앱으로 해당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본체 옆에 엄마가 있다고 가정한 경우, 아이들이 아빠에게 음성을 보낼 때는 엄마의 스마트폰(즉, 제1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으로 1차 전송된 후, 다시 아빠의 스마트폰(즉, 제2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고, 아빠의 스마트폰에 미리 설치되거나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에 내장된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음성과 STT(Speak to Text)로 변환된 문자를 표시하게 된다.
그런 다음, 아빠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즉, 제2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자를 보내면 엄마의 스마트폰(즉,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고, 엄마의 스마트폰을 통하여 본체로 전송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RF카드는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에서 명령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제어 명령이 코드화되어 있고, 이중 네비게이션 RF카드가 있어서 본체를 터치하면 음성 버튼을 두 번 클릭한 것과 같은 효과가 생겨 다음 명령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에 따르면, 메신저 통신 기능이 내장된 장치를 사물에 삽입하여 제3자에 의하여 접촉되는 RF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사람이 사물을 통하여 제3자와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도록 하거나 제3자에게 특정상황에 대한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신저 통신 기능이 내장된 장치를 사물에 삽입하여 제3자에 의하여 접촉되는 RF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제3자에게 음악 재생, 녹음 재생, 텍스트 리딩, 수신 음성 따라하기, 번역 및 위험 상황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9과 함께 좀 더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통신 모듈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판독되는 RF카드에 따라서 달라지는 제어 명령 정보의 예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 버튼의 눌리어짐에 의하여 음성의 제어 명령 정보가 입력되는 예시 그림이며,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 버튼과 RF카드의 조합에 의하여 제어 명령 정보가 입력되는 예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채팅 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채팅 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카드(300), 사용자 단말(200), 및 메신저 통신 모듈(100)을 포함한다.
RF카드(300)는, RF IC칩을 구비하여,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 정보가 코드화되어 RF IC칩에 기록된 카드이다. RF카드(30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RF카드(300)에는 각각 다른 제어 명령 정보가 코드화되어 기록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데스크탑PC, 태블릿 PC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이동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미리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메신저 통신 모듈(100)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메신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메신저 통신 모듈(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어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제1사용자 단말(200a)과, 미리 설치된 대화형 어프리케인션의 실행에 의하여 제1사용자 단말(200a)과 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메신저 통신을 수생하는 제2사용자 단말(20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사용자 단말(200a)은 제2사용자 단말(200b)의 메신저 연락처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2사용자 단말(200b)은 제1사용자 단말(200a)의 메신저 연락처를 저장하고 있다.
메신저 통신 모듈(100)은, 인형, 로봇장난감, 욕조용품 등의 사물에 삽입되는 통신 모듈이다. 사물은 목걸이형, 휴대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메신저 통신 모듈(100)은, 슬롯형, 단자형 등의 다양한 삽입 모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메신저 통신 모듈(100)은, RF 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제1사용자 단말(200a)과 메신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판독되는 RF 카드에 기록된 제어 명령 정보가 채팅 기능이라면, 메신저 통신 모듈(10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제1사용자 단말(200a)로 전송하며, 반대로 제1사용자 단말(200a)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메신저 통신 모듈(1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신저 통신 모듈(1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물의 외면에 구비된 음성 버튼(120)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30)와,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140)와, 제1사용자 단말(200a)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50)와, RF 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를 판독하는 RF 카드 판독기(160)와, RF카드 판독기(160)를 통해 판독된 제어 명령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제1사용자 단말(200a)과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 통신 등의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RF카드 판독기(160)를 통해 판독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제1사용자 단말(200a)과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제어 명령 정보는 각각의 RF 카드마다 각각 다른 제어 명령 정보가 판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 제1카드에는 채팅 기능의 제어 명령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 RF 제1카드를 판독하면 채팅 기능의 제어 명령 정보가 판독된다. 또한 RF 제2카드에는 음악 재생 기능의 제어 명령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 RF 제2카드를 판독하면 음악 재생 기능의 제어 명령 정보가 판독된다. 또한 RF 제3카드에는 텍스트 리딩 기능의 제어 명령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 RF 제3카드를 판독하면 텍스트 리딩 기능의 제어 명령 정보가 판독된다. 또한 RF 제4카드에는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의 제어 명령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 RF 제4카드를 판독하면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의 제어 명령 정보가 판독된다. 또한 RF 제5카드에는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이 기록되어 있어, RF 제5카드를 판독하면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의 제어 명령 정보가 판독된다. 또한 RF 제6카드에는 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의 제어 명령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 RF 제6카드를 판독하면 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의 제어 명령 정보가 판독된다.
이밖에, RF카드 판독기(160)를 통해 제어 명령 정보를 판독하는 것은, 복수개의 RF 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를 판독하는 방식이 아니라 단일의 RF 카드를 판독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인식의 제어 명령 정보를 가지는 RF를 판독하고 음성 버튼(120)의 1회 눌림이 있는 경우, 메신저 통신 모듈(100)은, 마이크(140)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근거리 무선 통신부(150)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200a)에 전송한다. 제1사용자 단말(200a)은,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된 제어 명령 정보를 수행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RF 카드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일의 1개의 RF 카드만을 활용하고, 음성 입력을 통하여 다양한 제어 명령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밖에, RF카드 판독기(160)를 통해 제어 명령 정보를 판독하는 것은, 메신저 통신 모듈(100)에 미리 저장된 제어 명령 정보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신저 통신 모듈(100)은, 복수개의 제어 명령 정보가 저장된 제어 명령 정보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버튼(120)의 2회 눌림이 있는 경우, 제어 명령 정보 저장부(170)에 저장된 제어 명령 정보들을 스피커(130)를 통해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 명령 정보들이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되는 동안 RF카드(300)가 판독되는 순간의 제어 명령 정보를 선택하여 제1사용자 단말(200a)에 전송하며, 제1사용자 단말(200a)은 수신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음성 버튼(120)의 2회 눌림이 있어, 채팅 기능, 음악 재생 기능, 텍스트 리딩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의 제어 명령 정보의 종류가 1초 간격을 두고 차례로 스피커(130)를 통해 음성 출력되며, 음성 출력되는 도중에서 사용자가 RF카드(300)를 메신저 통신 모듈(100)에 갖다대어 판독되는 순간의 제어 명령 정보가 제1사용자 단말(200a)에 전송된다.
한편, 메신저 통신 모듈(100)에서 선택되어 제1사용자 단말(200a)로 전송되는 제어 명령은, 음악 재생 기능, 텍스트 리딩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 채팅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사용자 단말(200a)은 수신되는 기능에 맞추어 동작하게 된다.
제어 명령 정보가 음악 재생 기능인 경우, 제1사용자 단말(200a)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악을 재생한다. 예를 들어, 자장가 등의 노래가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명령 정보가 텍스트 리딩 기능인 경우, 제1사용자 단말(200a)은 미리 저장된 텍스트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동화책의 본문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어린이 등이 들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제어 명령 정보가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인 경우, 제어부(110)은, 음성 버튼(120)이 눌리어지는 동안 마이크(140)를 통하여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근거리 무선 통신부(150)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200a)에 전송하며, 제1사용자 단말(200a)은,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 또는 성별을 변조한 변조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남자 어린이의 음성이 메신저 통신 모듈(100)을 통해 입력되어 제1사용자 단말(200a)에서 여자 아이 음성 등으로 변조되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명령 정보가 번역 기능인 경우, 제어부(110)은, 음성 버튼(120)이 눌리어지는 동안 상기 마이크(140)를 통하여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근거리 무선 통신부(150)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200a)에 전송하며, 제1사용자 단말(200a)은, 수신한 음성을 번역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영어가 제1사용자 단말(200a)에서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명령 정보가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인 경우, 제어부(110)은, 음성 버튼(120)이 눌리어지는 동안 마이크(140)를 통하여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근거리 무선 통신부(150)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200a)에 전송하며, 제1사용자 단말(200a)은,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이 미리 설정된 위험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위험 알람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자기방에서 위험에 직면하여 울고 있는 경우,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이 선택되면 어린이의 울음 소리가 문 밖에 있는 엄마의 단말기인 제1사용자 단말(200a)로 전송되어, 제1사용자 단말(200a)에서 위험 알람을 발생시켜 엄마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명령 정보가 채팅 기능인 경우, 제어부(110)은, 마이크(140)를 통하여 외부 음성을 감지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150)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200a)에 전송하는 송신 채팅 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제1사용자 단말(200a)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성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 채팅 모드로 동작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송신 채팅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메신저 통신 모듈(100)은 마이크(140)를 통하여 어린이의 음성을 감지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엄마의 단말기인 제1사용자 단말(200a)로 전송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200a)은 메신저 통신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어린이 아빠의 단말기인 제2사용자 단말(200b)의 메신저 연락처로 전송한다. 제2사용자 단말(200b)은, 제1사용자 단말(200a)로부터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 또는 문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메신저 통신 모듈(100)의 옆에 엄마가 있다고 가정한 경우, 아이들이 아빠에게 음성을 보낼 때는 엄마의 스마트폰인 제1사용자 단말(200a)에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으로 1차 전송된 후, 다시 아빠의 스마트폰인 제2사용자 단말(200b)에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고, 아빠의 스마트폰에 미리 설치되거나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에 내장된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음성과 STT(Speak to Text)로 변환된 문자가 표시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여 수신 채팅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2사용자 단말(200b)은, 입력되는 음성을 제1사용자 단말(200a)의 메신저 연락처로 전송한다. 제1사용자 단말(200a)은 제2사용자 단말(200b)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수신 음성 데이터로서 메신저 통신 모듈(100)로 전송하게 되고, 메신저 통신 모듈(100)은, 수신한 수신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빠가 자신의 스마트폰인 제2사용자 단말(200b)에 구비된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하여 문자를 보내면 엄마의 스마트폰인 제1사용자 단말(200a)로 전송되고, 엄마의 스마트폰인 제1사용자 단말(200a)을 통하여 메신저 통신 모듈(100)로 전송되게 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와 아빠는 원거리에서도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메신저 통신 모듈 110:제어부
120:음성 버튼 130:스피커
140:마이크 150:근거리 무선 통신부
160:RF카드 판독기 170:제어명령정보 저장부
200:사용자 단말기 300:RF 카드

Claims (11)

  1.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 정보가 코드화되어 있는 복수개의 RF카드;
    사물에 내장되어 있으며, RF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메신저 통신 모듈; 및
    미리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한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어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제1사용자 단말; 및
    미리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과 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메신저 통신을 수생하는 제2사용자 단말;
    을 포함한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은,
    사물의 외면에 구비된 음성 버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RF카드의 제어 명령 정보를 판독하는 RF카드 판독기; 및
    상기 RF카드 판독기를 통해 판독된 제어 명령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제어 명령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사용자 단말과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
    을 포함한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RF카드의 판독과 상기 음성 버튼의 1회 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마이크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된 제어 명령 정보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은, 복수개의 제어 명령 정보가 저장된 제어 명령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버튼의 2회 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명령 정보들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며, 제어 명령 정보들이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되는 동안 RF카드가 판독되는 순간의 제어 명령 정보를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제어 명령 정보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정보는,
    채팅 기능, 음악 재생 기능, 텍스트 리딩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정보가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음성 버튼이 눌리어지는 동안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 또는 성별을 변조한 변조 음성으로서 출력하는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정보가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음성 버튼이 눌리어지는 동안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이 미리 설정된 위험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위험 알람을 발생시키는 RF 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정보가 채팅 기능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외부 음성을 감지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 채팅 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성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 채팅 모드로 동작하는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메신저 연락처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송신 채팅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메신저 연락처로 전송하며,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 또는 문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메신저 연락처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 채팅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메신저 연락처로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수신 음성 데이터로서 상기 메신저 통신 모듈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KR1020160094138A 2016-04-14 2016-07-25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KR20170117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750A KR101954977B1 (ko) 2016-04-14 2017-04-14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800 2016-04-14
KR20160045800 2016-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856A true KR20170117856A (ko) 2017-10-24

Family

ID=602995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138A KR20170117856A (ko) 2016-04-14 2016-07-25 Rf카드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KR1020170048750A KR101954977B1 (ko) 2016-04-14 2017-04-14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750A KR101954977B1 (ko) 2016-04-14 2017-04-14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117856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1714B2 (ja) * 2003-11-12 2011-03-02 ソニー株式会社 遠隔監視システム
KR100913817B1 (ko) 2008-11-27 2009-08-26 주식회사 지팡이 대화형 완구에 있어서의 메시지전달 장치 및 방법
KR20140127962A (ko) * 2013-04-26 2014-11-05 최보윤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난감 장치
KR20150000615U (ko) * 2013-07-31 2015-02-10 얄리주식회사 음성대화장치가 구비된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977B1 (ko) 2019-04-08
KR20170117896A (ko)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34602A1 (en) Figurin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o harness external computing power
US20090275408A1 (en) Programmable interactive talking device
US85913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US20160121229A1 (en) Method and device of community interaction with toy as the center
US20130059284A1 (en) Interactive electronic toy and learning device system
Gárate et al. GENIO: an ambient intelligence application in home automation and entertainment environment
KR101855178B1 (ko) 휴대 단말과 통신 가능한 캐릭터 완구 및 이를 이용한 어린이 교육시스템
US20160184724A1 (en) Dynamic App Programming Environment with Physical Object Interaction
US20180272240A1 (en) Modular interaction device for toys and other devices
US11267121B2 (en) Conversation output system, conversation output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KR20100044779A (ko) 오디오 애니메이션 장치
KR20080085049A (ko) 메시지 전송 방법,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디바이스
KR101966914B1 (ko) 코딩 교육을 위한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KR20150017691A (ko) 근거리 무선통신, NFC/RFID Tag 리더가 내장된 스토리텔링을 위한 어린이용 전자매트 및 그 동작방법
KR101954977B1 (ko)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KR20110010865U (ko) 이동통신기기의 음성처리기능과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한 대화형 음성작동 완구
KR102063389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캐릭터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US202200479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Smart Device
US201600777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Smart Device
CN108055655A (zh) 一种语音设备加好友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00206645A1 (en) Portable children interactive system
TW202123189A (zh) 包含機器人之互動平台
WO2019043716A1 (en) METHODS, UNITS AND SYSTEMS FOR RETRIEVING DATA STREAMS
KR20170117857A (ko) 휠 스위치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KR20170122616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한글학습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