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049A - 메시지 전송 방법,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메시지 전송 방법,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5049A
KR20080085049A KR1020087017690A KR20087017690A KR20080085049A KR 20080085049 A KR20080085049 A KR 20080085049A KR 1020087017690 A KR1020087017690 A KR 1020087017690A KR 20087017690 A KR20087017690 A KR 20087017690A KR 20080085049 A KR20080085049 A KR 20080085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tion control
control content
rendering devic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포텔
피터 조셉 레오나르더스 안토니우스 스윌렌즈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85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신자로부터 수신자에게 메시지(M)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메시지(M)의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는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로 보충되고 기록된다. 상기 메시지(M)는 상기 송신자의 전송 디바이스(10)로부터 상기 수신자의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는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에 따라 제어되어, 규정된 움직임을 메시지(M)의 상기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의 프리젠테이션에 동기되어 수행한다. 나아가, 적절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 적절한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 및 메시지 전송 시스템(1)이 설명된다.
Figure P1020087017690
메시지 전송 시스템,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 움직임, 움직임 제어 콘텐트, 메시지

Description

메시지 전송 방법,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Method of sending a message, message transmitting device and message rendering device}
본 발명은 송신자로부터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이러한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십 년 전 온라인 사용자-그룹들 및 채팅방들의 개발 이후, 사용자들이 메시지를 교환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징 시스템들은 사용자들이 특히 월드 와이드 웹 및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과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다. 다른 메시징 시스템들은 사용자들이 예컨대, 전화 또는 휴대전화를 통해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키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메시지를 타이핑하고, 이어 메시지가 대상 사용자의 PC에 필기체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포함하는 초기 메시징 시나리오는, 메시징 시스템들이 오디오뿐만 아니라 비디오 메시지 콘텐트를 전송할 수 있는 증가된 대 역폭을 이용함에 따라 빠르게 구식이 되어가고 있다. 오늘날, 포함된 아이템들과 함께 메시지들이 폭넓은 용도로 예컨대, 포함된 이미지들과 함께 HTML 포맷의 이메일들,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영화들을 포함하는 이메일들, MMS 메시지들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부가적인 특징들은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하는데 이용되는 매체 즉, 전화 메시지들 내의 임베딩된 음향, 컴퓨터 스크린 상에 보여지는 이메일 내의 이미지들 등에 밀접하게 결합된다. 과거에는, 메시지를 수신할 때 경험(experience)을 강화하기 위해 거의 모든 가능한 메시징 매체가 이용되었다. 일 예가 WO 2004/0795390A1에 개시된 메시지의 콘텐트에 따라 스크린상에서 이동하는 아바타이다. 이 개념에서, 아바타는 메시지에 따라 미리 규정된 다수의 애니메이션들 중에서 선택된 애니메이션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 및 메시지 전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나아가 메시지를 수신할 때 수신인을 위해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송신자로부터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기록 콘텐트가 기록되어 움직임 제어 콘텐트로 보충되고, 상기 메시지는 상기 송신자의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수신자의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는 -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하는 동안 -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관련된 메시지의 상기 기록 콘텐트의 프리젠테이션에 동기되어 규정된 움직임을 수행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의 "기록 콘텐트"는 청취가능한 음성 출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또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내기 위한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와 같은, 기본적으로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움직임과 관계없는 임의의 콘텐트일 수 있다. 기록 콘텐트는 또한 기록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컨대, 마이크로폰, 웹캠 또는 유사한 것을 이용하여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기록된 것일 수 있다. "기록"은 또한 메시지가 제어 명령들(예컨대, 아웃-오브-오피스 메시지)에 의해 송신자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또는 전부 자동으로 생성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움직임"이란 용어는 전체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또는 - 여러 부분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경우- 디바이스 또는 로봇 부분이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하는 이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로봇 부분"의 임의의 움직임을 의미할 수 있다. "움직임"이란 용어는 또한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 또는 로봇 부분의 특정 부분들의 움직임을 의미할 수 있는데, 즉 특정 제스처들이 수행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메시지 콘텐트의 나머지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들의 동기된 출력은 안무의 구성요소들(choreographic elements)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해, 메시지 수신의 경험은 더욱 향상된다. 이 방법으로, 예를 들어, 실제 포옹 또는 절과 같은 예의를 갖춘 제스처들이 메시지와 함께 통신될 수 있다. 이것은 메시지 전송에서 완전히 새로운 차원을 여는 것이며, 여기에서 사람들의 상호 움직임시에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모든 통신 모드들이 고려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들을 수행할 수 있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적절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의 기록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한 메시지 기록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움직임 제어 콘텐트 생성기,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를 상기 메시지의 상기 기록 콘텐트에 임베딩하기 위한 움직임 제어 콘텐트 임베딩 유닛,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를 포함해야 한다. 이에 의해,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하는 동안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에 따라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가 제어되어 상기 메시지의 상기 기록 콘텐트의 프리젠테이션에 동기되어 규정된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가 생성되어 상기 메시지의 상기 기록 콘텐트에 임베딩되도록,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 생성기 및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 임베딩 유닛이 구현된다.
나아가, 적절한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는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상기 메시지의 기록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한, 예컨대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수단, 및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본체의 및/또는 상기 본체의 부분들의 움직임들을 수행하기 위한 움직임 수단을 포함해야 한다. "본체"란 용어는 임의 종류의 하우징을 의미할 수 있고, "본체 부분"이란 용어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하우징의 임의의 이동가능한 부분 또는 - 여러 부분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경우 - 이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로봇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에서 움직임 제어 콘텐트를 검출하기 위한 메시지 분석 유닛, 및 상기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하는 동안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에 따라 상기 움직임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관련 메시지를 프리젠테이션하는 동안 상기 관련 메시지의 상기 기록 콘텐트의 프리젠테이션에 동기되어 규정된 움직임들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움직임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움직임에 대한 능력을 갖는 시스템들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로서, 소니사의 AIBO 강아지 로봇, NEC사의 ASIMO와 같은 다른 로봇들, 또는 RoboSapiens를 들 수 있다. 이 디바이스들은 네트워크들을 통해 원거리의 기계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또는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정한 방법에 따라 특정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BO의 특징들 중 하나는 새로운 이메일이 도착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적절한 부가를 통해, 이러한 디바이스는 비교적 쉽게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통신을 위해 변환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특히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메시지 분석 유닛 및 움직임 제어 유닛뿐만 아니라,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내의 움직임 제어 콘텐트 생성기 및 움직임 제어 콘텐트 임베딩 유닛은 관련 디바이스들의 적절한 프로세서들 상에서 움직임하는 프로그램들 또는 알고리즘들 형태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적어도 메시지를 렌더링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응하는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를 포함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이러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를 다수 포함할 것이다.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는 통합된 메시지 전송/렌더링 디바이스의 형태로 바람직하게 구현된다. 즉,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는 또한 메시지 기록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 생성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 임베딩 유닛, 및 적절한 송신기를 포함하고, 반면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는 적절한 수신기, 출력 수단, 움직임 수단, 메시지 분석 유닛, 및 움직임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시지 전송/렌더링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메시지들은 수신뿐만 아니라 전송될 수도 있다.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이러한 결합된 메시지 전송/렌더링 디바이스를 다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시스템이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들을 배타적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들을 배타적으로 포함한다는 것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특히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가 또한 공간적으로 분리된 구성요소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된다. 예를 들어, 수신된 메시지의 완전한 분석은 분리된 디바이스에서 먼저 수행되는데, 이는 움직임 제어 콘텐트를 식별하고, 이어 적절한 명령들을 로봇 유닛에 촉진하고(further), 로봇 유닛은 나머지 메시지 콘텐트에 수반된 움직임들을 실행하며, 이에 의해 나머지 메시지 콘텐트는 또한 재생을 위해 로봇에 촉진될 수 있다. 그러나, 나머지 메시지 콘텐트는 상이한 디바이스 예를 들어, 수신자 측에서 가용한 스피커들이 구비된 스테레오 시스템 또는 텔레비전 스크린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상에서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움직임들을 렌더링하는 것은 음향 메시지 또는 비디오 또는 이미지 메시지 콘텐트의 렌더링과 분리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하에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임의의 방식으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로봇들 또는 로봇들과 유사한 디바이스들로 가정될 것이다.
종속항들 및 이하의 설명들은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들 및 특징들을 개시한다. 디바이스의 청구항들 및 종속적인 방법 청구항들에 대응하는 시스템 청구항의 개선은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움직임 제어 콘텐트는 메시지 내에 임의의 방식으로 반드시 포함될 수 있고 기록 콘텐트에 링크되어, 움직임은 기록 콘텐트의 출력에 동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 콘텐트 및 움직임 제어 콘텐트의 출력 시점은 공통의 시작 시점과 관련될 수 있다.
로봇 움직임들은 일반적으로 자동적인 움직임들(즉, 직립 유지)과 외적으로 제어된 움직임들(예컨대, 팔을 전방으로 이동)의 혼합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는 원격 제어, 제어 컴퓨터, 또는 로봇 자체 상에서 운영되는 스크립트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은 예컨대, XML 언어(RoboML 등)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더 높은 수준의 제어를 지원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 일반적인 유형의 메시징 방법들이 구현되고, 확립된 방법들에 기초하고, 일관된 표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높은 수준의 로봇 제어와 결합된다. 움직임 제어 콘텐트는 따라서 특히 텍스트 형태로 또는 음향 음성 출력 형태로 출력될 수 있는 텍스트 콘텐트에 대해, 소위 "태그들"의 형태로 기록 콘텐트에 임베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RoboML와 같은 로봇 제어 언어들에 의해 규정되는 것들과 유사한 태그들이 메시지 텍스트에 임베딩되는 메시지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태그들은 추가적인 형태 양상들(modalities)을 어드레싱하는 다른 태그들 예컨대, 이미지들에 대한 태그들,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SMIL-같은 태그들, 실내의 외부 디바이스들에 대한 필립스 PML-태그들 등과 함께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메시지 내에 움직임 제어 콘텐트를 기술하는 다양한 가능성들이 있다.
바람직하게,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는, 예컨대 조합된 메시지 전송/렌더링 디바이스의 경우, 또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움직임 제어 콘텐트는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의 설비 및 움직임 성능에 따라 기술된다.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까지의 경로 중 어떤 지점에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에 관해 구성된 제어 콘텐트가 움직임 렌더링 디바이스의 설비 및 움직임 성능에 관한 설명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변환에서(이하에서 "번역"이라고도 함), 예를 들어,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의 성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움직임에 대한 제어 명령들이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에 가용한 성능에 의해 대신 수행될 수 있는 제어 명령들로 대체된다. 이러한 경우의 예는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가 머리를 끄덕일 수 있는 로봇이고,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가 머리를 끄덕일 수 없으나 "눈꺼풀"을 움직여 사용자에게 "윙크"할 수 있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승인으로 해석되는 머리의 끄덕임이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에 대해서 동일한 해석으로 눈의 깜박거림으로 변환될 수 있다.
어떤 제어 명령들이 실현될 수 없거나 다른 형태로 변환될 수 없다면, 송신자가 그 시점에서 일정 움직임이 수행되도록 의도하였다는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이것들은 또한 생략되거나 적절한 텍스트 또는 음성 출력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제어 콘텐트의 번역은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설비 및/또는 움직임 성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자 측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설비 및/또는 움직임 성능에 관한 정보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수신자 프로파일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움직임 콘텐트로 메시지들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들의 모든 설비 및/또는 성능이 저장되고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몇몇 방식으로 액세스될 수 있다. 식별 번호 또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유형 사양이 알려져 있다는 것과, 수신 디바이스들의 설비 또는 움직임 성능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인터넷과 같은 다른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얻거나 검색될 수 있다는 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다양한 움직임들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은 또한 역할을 하고, 이것은 번역시에 알려지기 때문에,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움직임 제어 콘텐트의 번역은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의 설비 및 움직임 성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자 측에서 수행된다. 여기에서 또한, 요구된 정보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여러 개의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의 설비 및/또는 움직임 성능에 관한 정보는 메시지 자체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의 "성능 기술"은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 또는 임베딩될 수 있다.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는 먼저 이 성능 기술을 판독하고, 이것을 움직임 제어 콘텐트의 번역에 이용한다. 성능 기술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이후의 전송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해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일 측에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의 설비 및/또는 움직임 성능에 관한 정보와 타 측에서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설비 및/또는 움직임 성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규정될 수 있는, 특정 움직임 제어 콘텐트의 번역에 대한 규칙들이 동일한 성능 기술을 갖는 동일한 유형의 전송 디바이스들 또는 상기 전송 디바이스와의 이후의 통신들을 위해 저장될 수 있다.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움직임들을 메시지 자체의 출력과 동기하기 위하여, 움직임 제어 콘텐트는 움직임이 수행되어야 할 기간을 지정하는 대응하는 지속 시간뿐만 아니라, 메시지 기록 콘텐트의 프리젠테이션에 상대적인 특정 움직임에 대한 시작 시점을 포함한다. 택일적으로, 재생시에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이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시작 시점 외에, 종료 시점뿐만 아니라 지속 시간이 움직임에 대해 규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선택된 지속 시간이 하한 또는 상한으로 규정될 수 있다. 즉, 움직임은 어떤 이벤트가 먼저 일어나는가에 따라 종료 시점에 도달한 후에 또는 일정 지속 시간이 경과된 후에 종료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움직임은 두 이벤트들이 모두 일어날 때 종료될 수 있는데 즉, 마지막 이벤트가 움직임의 유효한 지속 시간을 결정한다.
움직임 제어 콘텐트가 태그들의 형태로 메시지 텍스트에 임베딩될 때, 시작 시점은 메시지 텍스트 내의 원하는 위치에 관련 태그의 시작을 삽입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규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속 시간의 종료-시점은 그와 같은 단순한 방법으로 규정될 수 있다.
움직임 제어 콘텐트 특히, 태그들을 생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기존 로봇 제어 툴들이, 예를 들어, Brisbane에서 2003년에 개최된 Proceeding Australasian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에서 Biggs & MacDonald.에 의한 "Survey of robot programming system"에서 소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메시지는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자 측에서, 본체 또는 본체 부분들이 수동으로 또는 원격 제어로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의 움직임들은 기록될 수 있고, 태그들과 같은 원하는 형태로 변환될 수 있고, 메시지 콘텐트에 임베딩될 수 있다. 동기는 먼저 메시지 기록 콘텐트를 기록한 후, 로봇으로 하여금 메시지 내의 원하는 위치들에서 관련 움직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동안 동시에 이것을 재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도면들은 본 발명의 한계들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며, 예시를 목적으로 도시된 것이다.
도1은 두 개의 상이한 메시지 전송/렌더링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개략도.
도2는 텍스트 기록 콘텐트에 임베딩된 태그들의 형태로 움직임 제어 콘텐트를 포함하는 메시지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1에 도시된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2개의 메시지 전송/렌더링 디바이스들(10,40)을 포함하며, 모두 로봇들로 구현되어 있다. 이하에서, 좌측 메시지 전송/렌더링 디바이스(10)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로서 움직임하는 우측 메시지 전송/렌더링 디바이스(40)에 메시지(M)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로 기능한다. 당연히, 그들의 역할들은 바뀔 수 있는데,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두 디바이스들(10,4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메시지를 수신 및 전송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는 측면에 조인트에 의해 부착된 팔들(12)과 팔들(12)의 말단에 부착된 손들로 기능하는 갈고리들(claws)(13)을 갖는 블록-형태의 본체(11)을 갖는 로봇으로 구현된다. 또한, 로봇은 본체(11)에 부착된 다리들(14)을 가지며, 여기에는 발들(15)이 구비되어 있다. 그림은 매우 간략화된 표현이며, 이러한 로봇은 물론 무릎, 팔꿈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머리(16)는 본체(11)의 위에 부착되어 있다. 머리(16)는 눈으로 움직임하는 두 개의 카메라(17)와 귀로 움직임하는 두 개의 마이크로폰들(21)을 가지고 있다. 로봇은 또한 아래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하부 턱(19)이 구비된, 기본적인 입 움직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입(18)을 갖는다. 입의 일부는 스피커(20)로서, 이를 통해 로봇은 말을 출력할 수 있다.
다수의 제어 구성요소들이 로봇을 움직이고, 시각적 및 청각적 소리를 기록하고, 및 스피커(20)를 통해 음향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하여 로봇의 내부에 포함된다. 로봇을 구현하고 제어하는 많은 방식이 있고, 이것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일 것이다.
도1에서 점선들로 표시된 다음의 구성요소들은 또한 로봇의 본체(11)에 통합되고, 본 발명의 방법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우선, 로봇은 메시지 기록 유닛(25)을 포함한다. 메시지 기록 유닛(25)으로 예컨대, 사용자(송신자)의 음성 메시지(Ms)가 기록될 수 있다. 이 메시지 기록 유닛(25)은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음성 메시지(Ms)가 텍스트 형태로 변환된다. 또한, 로봇은 움직임 제어 콘텐트 생성기(24)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움직임 제어 콘텐트가 생성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Ms)를 구술할 때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록하기 위하여 카메라들(17)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미지들은 적절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음)에서 분석될 수 있고, 움직임들은 움직임 제어 콘텐트 생성기(24)에 의 해 움직임 제어 콘텐트로 변환될 수 있다. 기록 콘텐트 및 움직임 제어 콘텐트는 움직임 제어 콘텐트 임베딩 유닛(23)으로 전달되고, 상기 유닛(23)은 움직임 제어 콘텐트를 음성 메시지 내의 적절한 위치들에 임베딩한다.
이때, 이상 및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수의 구성요소들은 여러 개의 하위-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또는 여러 개의 구성요소들은 단일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움직임 제어 콘텐트 생성기(25) 및 임베딩 유닛(23)은 단일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 임베딩된 움직임 제어 콘텐트가 구비된 완성된 메시지가 전송기(22)로 전달되고, 전송기(22)는 메시지(M)를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로 전달한다. 이것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 예컨대, 일반적인 유형의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또는 우선 무선 LAN(WLAN)으로, 그리고 다음으로 인터넷을 경유하여 수신기의 범위 내에 있는 WLAN으로, 그리고 다음으로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로 수행될 수 있다. 메시지가 케이블을 통해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달되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가 또한 로봇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와 다른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는 아래에 다리들(44)이 부착되어 있는 둥근 본체(41)을 가지며, 다리들(44)에는 발들(45)이 구비되어 있다. 이 로봇은 또한 본체(41)의 위를 향하여 부착된 팔들(42)을 가지며, 팔들(42)에는 손들(43)이 구비되어 있다. 다시, 로봇은 매우 간략한 방법으로만 도시되었지만, 사실 임의 개수의 수족들이 구비될 수 있다.
로봇의 머리(46)는 반구체로 구현되고, 본체(41)에 바로 붙어있다. 머리는 360°회전이 가능하다. 두 개의 카메라들(47)이 머리의 일측에 위치하고, 눈으로 기능한다. 두 개의 마이크로폰들이 머리 위에 안테나(49)의 형태로 구현된다. 일 측에, 반구형 머리(46)는 입 움직임을 시뮬레이트하기 위해 베이스(50)로부터 위로 약간 뾰족해질 수 있다. 스피커(51)가 음성 출력을 위해 여기에 통합된다.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M)가 먼저 수신기(56)에 의해 수신되고, 이어서 분석 유닛(57)으로 전달되어, 여기에서 메시지(M)의 텍스트가 움직임 제어 콘텐트 예컨대, 일정 태그들의 형태에 대해 조사된다. 나머지 텍스트는 그 다음 텍스트-음성 유닛(60)으로 전달되고, 이 유닛(60)은 텍스트를 다시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다.
검출된 움직임 제어 콘텐트는 해석 유닛(58)으로 전달되고, 이 유닛(58)은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의 성능을 기술하는 성능 프로파일(CP')의 도움으로 움직임 제어 콘텐트를 해석한다. 이 성능 프로파일(CP')은 메모리(61)에 저장되어 있고, 여기에 여러 개의 성능 프로파일들(CPT')이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가 빈번하게 통신하는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들을 위해 저장되어 있다.
이어서, 움직임 제어 콘텐트는 해석 유닛(58)에서 적절한 형태로 변환되어,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가 움직임 제어 콘텐트에서 지정된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움직임 제어 콘텐트는 움직임 제어 유닛(59)으로 전달되고, 이 유닛(59)은 다양한 수족들 또는 조인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들 또는 모터들과 같은 움직임 수단을 제어하며, 여기에서는 블록(62)으로 간단히 도시되어 있다. 텍스트-음성 유닛(60)은 스피커(51)로 움직임들에 동기된 음성 형태로 텍스트 메시지(Ms)를 출력한다.
메시지에 응답하기 위해,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는 또한 메시지 기록 유닛(55), 움직임 제어 콘텐트 재생기(54), 움직임 제어 콘텐트 임베딩 유닛(53), 및 송신기(52)를 포함한다.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는 또한 수신기(26), 메시지 분석 유닛(27), 텍스트-음성 생성기(30), 해석 유닛(28), 움직임 제어 유닛(29), 및 대응하는 움직임 수단(32)을 포함한다. 동등하게, 이 디바이스(10)는 또한 그 자신의 성능 프로파일(CP)과 예컨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어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한 다수의 성능 프로파일들(CPT)이 메모리(31)를 포함한다. 메시지가 수신될 때, 적절한 성능 프로파일(CPT 또는 CPT')이 메시지의 헤더에 있는 송신자 ID에 기초하여 메모리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도2는 도1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사한 유형의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메시지(M)를 포함하는 메시지 문서의 짧은 예를 보여주고 있다.
메시지(M)는 메시지 헤더(MH) 및 메시지 본문(MB)으로 구성된다. 명백하게, 메시지 헤더(MH)는 반드시 메시지(M)의 앞에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메시지(M) 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것이 수신자에 의해 메시지 헤더(MH)로서 인식되기만 하면 족하다.
이 메시지 헤더(MH)에,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설비 및/또는 움직임 성능들에 관련된 정보를 태그들(H1,H2,H3,H4,H5)의 형태로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의 성능 기술이 포함된다. 다음, 수신 디바이스는 메시지 헤더(MH)에 기초하고 그 자체의 성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수반된 메시지 본문(MB) 및 움직임 콘텐트에 관한 임베딩된 태그들(T1,T2,T3,T4,T5)의 변환 또는 번역을 수행한다. 텍스트내의 태그들(T1,T2,T3,T4,T5)의 배치는 대응하는 움직임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텍스트 또는 음성 출력에서의 지점들을 자동으로 규정한다.
메시지 헤더(MH) 내의 제1 태그(H1)는 20×20×15cm 크기의 머리를 기술한다. 제2 태그(H2)는 턱을 기술하고, 제3 태그(H3)는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의 본체를 기술한다. 제4 태그(H4)는 하부 턱 조인트가 머리와 하부 턱을 연결한다는 것을 기술하며, 이에 따라 머리가 고정되고, 하부 턱이 머리에 대해 0°및 30°사이에서 Y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마지막 태그(H5)는 목 조인트를 기술하며, 이는 본체를 머리에 부착시킨다(로봇은 실제로 그와 같은 목을 가지지 않으며, 목은 본체 또는 머리의 일 부분이다). 머리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회전할 수 있고, 위로 -40°및 아래로 50°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끄덕임 또는 하부-턱 움직임과 같은 움직임들은 메시지 본문(MB)에서 규정될 수 있다.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로서 움직임하는 로봇이 또한 음성 출력 동안 하부 턱을 움직일 수 있는 하부-턱 제어부를 갖는 경우, 로봇의 실제 구현은 규정된 행동들이 실제로 수행되는 정도까지 결정한다.
메시지 본문(MB) 즉, 실제 메시지는 구술된 문장(S1) "Hi Peter"로 시작한다. 동시에, 로봇은 제1 태그(T1)에 의해 지정되는 바와 같이 아래 방향으로 쳐다본다.
음성 출력의 나머지는 다음과 같다: 제2 문장(S2)에 의해 주어지는 바와 같이, "I am truly sorry that my resent mail caused you grief. I apologize."이다. 바로 다음 이어지는 태그(T2)는 로봇이 다시 0.5초 동안 위를 쳐다보는 것을 지정한다. 그리고, 다음 문장(S3)은 "But let's forget it"이다.
다음 태그(T3)는 2 부분들(T3a,T3b)로 나뉘고, 단순한 다음 문장(S4) "Hey!"를 커버한다. 이것들은 로봇이 "Hey!"라고 말해지는 동안 위를 쳐다보는 것을 보장한다. 태그의 제1 부분(T3a)은 태그(T3a)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시작하는 지속시간 및 움직임을 규정한다. 태그의 다음 부분(T3b)은 메시지 내의 이 움직임에 대한 종료 시점을 규정한다. 이 예에서, 메시지의 구조는 로봇이 적어도 0.5초 동안 그러나 "Hey!"라는 단어가 말해지고 및 태그(T3b)가 실행될 때까지만 위를 올려다보고 움직임을 종료하는 것을 보장한다.
또다른 문장(S5)는 다음과 같다: "I have an idea - let me invite you to a dinner this weekend." 다음의 태그들(T4,T5,T6, 및 T7)은 로봇이 분명하게 볼 수 있을 정도로 입을 열고 닫으면서 두 번 웃는 것을 보장하며, 여기에서 태그들 T4 및 T6는 태그들 T4a, T4b, T6a, T6b로 나누어져 문장들 S6, S7을 커버한다.
도2의 도움으로 앞서 설명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가 더 간단한 유형의 로봇이라면, 예를 들어 머리가 움직일 수 있으나 움직일 수 있는 하부 턱은 없는 로봇이라면, 턱과 관련한 모든 움직임들은 번역 단계에서 무시된다. 상기 기술은 수반된 행동의 유형을 나타내어, 예를 들어 머리의 움직임들이 재생된 메시지 내에 포함된다. 로봇이 지정된 시작 및 종료 시점들 또는 지속시간을 다룰 수 없다면, 이것들 또한 무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체 움직임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2에서 설명된 메시지(M)의 생성은 음성 메시지(Ms)가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여타의 수반한 움직임 없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고, 음성으로 출력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음성 메시지(Ms)가 말해지고 있는 동안, 사용자는 원하는 방법으로 그의 로봇 또는 로봇의 일부들을, 이 경우에는 로봇의 턱과 머리를 움직일 수 있다. 로봇은 이 움직임들을 기록한다. 움직임 제어 콘텐트 생성기 및 움직임 제어 콘텐트 임베딩 유닛을 포함하는 적절한 메시지 프로그램이 움직임들을 기록하고, 대응하는 움직임 제어 명령들을 생성하고, 및 이것들을 메시지 텍스트 내의 정확한 위치들에 태그들의 형태로 임베딩 한다.
메시지(M)는 다음으로 메시지 헤더(MH) 및 메시지 본문(MB)을 포함하는 메시지 문서로서 전송된다(예로 도2 참조). 수신기 측에서는, 메시지 헤더(MH) 및 메시 지 렌더링 디바이스의 알려진 성능들을 이용하여, 전송 디바이스의 성능들 및 렌더링 디바이스의 성능들에 기초하여 번역이 수행되는데, 여기에서 일정한 번역 규칙들이 적용된다. 이들 번역 규칙들은 디바이스들 사이에 통신이 추가로 이루어진다면 성능 프로파일과 함께 저장될 수 있고, 또는 성능 프로파일을 대신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이 번역 규칙들을 저장하는 것은 특히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가 동일한 헤더를 갖는 더 많은 메시지를 동일한 송신자가 아닌 다른 송신자들로부터 즉, 동일한 성능들을 나타내는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할 때 적절하다.
번역 규칙들에 따라, 헤더에서 지정되는 움직일 본체 부분들의 명칭들과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 로봇의 본체 부분들 사이의 관계가 우선 확립된다(예컨대,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의 "본체(body)"라는 용어는 "본체(trunk)"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명칭이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조인트"="턱 조인트"가 있는 모든 소자들은 지워질 수 있다. 도1의 예에서, 도2에서 설명된 메시지에 대해, 하부 턱 움직임들이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의 베이스(50)로부터 반구형 머리(46)의 상향 기울임 움직임들로 번역될 수 있다. 나아가, 시간에 대한 모든 참조들이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가 그것들을 다룰 수 없다면 제거될 수 있다.
번역 규칙들은 다음으로 메시지 문서에 적용되고, "새로운", 번역된 메시지 문서가 생성되어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에 의해 렌더링될 수 있다.
번역은 예를 들어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실제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 사이의 경로에서 발견되는 개별적인 디바이스 즉, 로봇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앞서 묘사된 방법에서, 움직임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메시지에 대한 간단한 프로토콜이 설명되었다. 이러한 움직임들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봇들이 수반하는 메시지를 프리젠테이션하는 동안 이 움직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프로토콜은 간단한 방법으로 메시지 콘텐트 재생과 동시에 동기된 움직임을 지원한다.
비록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그 변형의 형태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추가적인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메시지 전송/렌더링 디바이스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보충되거나 수정될 수 있는 간단한 예들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이 명세서에서 이용된 단수 표현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으며, "포함한다"는 표현은 기타 다른 단계들 또는 소자들을 배제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송신자로부터 수신자에게 메시지(M)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M)의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가 기록되어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로 보충되고,
    상기 메시지(M)는 상기 송신자의 전송 디바이스(10)로부터 상기 수신자의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는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메시지(M)의 상기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의 프리젠테이션에 동기되어 규정된 움직임을 수행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는 태그들(T1,T2,T3,T4,T5,T6,T7)의 형태로 상기 메시지(M)의 상기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에 임베딩되는,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는 또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는 상기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의 설비 및 움직임 성능들에 따라 기술되고,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는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의 설비 및 움직임 성능들에 따른 기술(description)로 번역되는,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의 번역은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의 설비 및/또는 움직임 성능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자 측에서 수행되는, 메시지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의 설비 및/또는 움직임 성능들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의 수신자 프로파일 메모리(31)에 저장되는, 메시지 전송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의 번역은 상기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의 설비 및/또는 움직임 성능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자 측에서 수행되는, 메시지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M)는 상기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의 상기 설비 및/또는 움직임 성능들에 관한 정보(H1,H2,H3,H4,H5)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의 설비 및/또는 움직임 성능들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의 송신자 프로파일 메모리(61)에 저장되는, 메시지 전송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는 상기 메시지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의 상기 프리젠테이션과 관련한 특정 움직임에 대한 시작 시점과 상기 특정 움직임에 대한 종료 시점 및/또는 지속 시간을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M)의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는 상기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메시지 전송 방법.
  11. 움직임들을 수행할 수 있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로 메시지(M)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M)의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를 기록하기 위한 메시지 기록기(25),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를 생성하기 위한 움직임 제어 콘텐트 생성기(24),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를 상기 메시지(M)의 상기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에 임베딩하기 위한 움직임 제어 콘텐트 임베딩 유닛(23), 및
    상기 메시지(M)를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22)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하는 동안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에 따라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가 제어되어 상기 메시지(M)의 상기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의 프리젠테이션에 동기되어 규정된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 트(T1,T2,T3,T4,T5,T6,T7)가 생성되어 상기 메시지(M)의 상기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에 임베딩되도록,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 생성기(24) 및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 임베딩 유닛(23)이 구현되는,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12.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에 있어서,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로부터 메시지(M)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56),
    상기 메시지(M)의 기록 콘텐트의 적어도 일부를 프리젠테이션하기 위한 출력 수단(51),
    상기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의 본체의 및/또는 상기 본체의 부분들의 움직임들을 수행하기 위한 움직임 수단(62),
    상기 메시지(M)에서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를 검출하기 위한 메시지 분석 유닛(57), 및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에 따라 상기 움직임 수단(62)을 제어하여, 상기 메시지(M)의 상기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의 프리젠테이션에 동기되어 규정된 움직임들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움직임 제어 유닛(59)을 포함하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M)의 기록 콘텐트를 기록하기 위한 메시지 기록기(55),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를 생성하기 위한 움직임 제어 콘텐트 생성기(54),
    상기 메시지(M)의 상기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 내에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를 임베딩하기 위한 움직임 제어 콘텐트 임베딩 유닛(53), 및
    상기 메시지(M)를 다른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57)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게 프리젠테이션하는 동안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에 따라 상기 다른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가 제어되어 상기 메시지(M)의 상기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의 프리젠테이션에 동기되어 규정된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T1,T2,T3,T4,T5,T6,T7)가 생성되어 상기 메시지(M)의 상기 기록 콘텐트(S1,S2,S3,S4,S5,S6,S7)에 임베딩되도록,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 생성기(24) 및 상기 움직임 제어 콘텐트 임베딩 유닛(23)이 구현되는,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
  14.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제11항에 따른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10) 또는 제13항에 따른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를 포함하고, 제12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메시지 렌더링 디바이스(40) 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
KR1020087017690A 2005-12-20 2006-12-13 메시지 전송 방법,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디바이스 KR20080085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12499.8 2005-12-20
EP05112499 2005-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049A true KR20080085049A (ko) 2008-09-22

Family

ID=3813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690A KR20080085049A (ko) 2005-12-20 2006-12-13 메시지 전송 방법,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263164A1 (ko)
EP (1) EP1985097A2 (ko)
JP (1) JP2009520296A (ko)
KR (1) KR20080085049A (ko)
CN (1) CN101346976A (ko)
TW (1) TW200800526A (ko)
WO (1) WO20070723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8987B2 (ja) * 2005-12-12 2011-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移動ロボット
FR2947923B1 (fr) * 2009-07-10 2016-02-05 Aldebaran Robotics Systeme et procede pour generer des comportements contextuels d'un robot mobile
CN104698996A (zh) * 2013-12-05 2015-06-10 上海能感物联网有限公司 汉语文本现场控制的机器人系统
CN104698995A (zh) * 2013-12-05 2015-06-10 上海能感物联网有限公司 外语自然语文本现场控制的机器人系统
CN104698993A (zh) * 2013-12-05 2015-06-10 上海能感物联网有限公司 汉语文本遥控的机器人系统
CN104698989A (zh) * 2013-12-05 2015-06-10 上海能感物联网有限公司 汉语文本现场控制机器人的控制器装置
TWI571365B (zh) * 2014-05-02 2017-02-21 國立高雄第一科技大學 互動感知載具控制系統
CN105759669A (zh) * 2014-12-19 2016-07-13 青海汉拉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外语自然语文本遥控集群机器人的方法
USD872768S1 (en) 2016-02-19 2020-01-14 Sony Corporation Robot having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7109207B2 (ja) * 2018-02-23 2022-07-29 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相互作用装置、相互作用方法、相互作用プログラム及びロボット
KR102295836B1 (ko) * 2020-11-20 2021-08-31 오로라월드 주식회사 성장형 스마트 토이 장치 및 스마트 토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3765A (en) * 1997-01-07 1999-02-23 Mattel, Inc. Toy having data downloading station
CA2225060A1 (en) * 1997-04-09 1998-10-09 Peter Suilun Fong Interactive talking dolls
IL127569A0 (en) * 1998-09-16 1999-10-28 Comsense Technologies Ltd Interactive toys
JP2000135384A (ja) * 1998-10-30 2000-05-16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及び擬似生物機器
US6947893B1 (en) * 1999-11-19 2005-09-20 Nippon Telegraph & Telephone Corporation Acoustic signal transmission with insertion signal for machine control
US6292714B1 (en) * 2000-05-12 2001-09-18 Fujitsu Limited Robot cooperation device, and robot cooperation program storage medium
AU2001280115A1 (en) * 2000-08-23 2002-03-04 Access Co., Ltd. Electronic toy, user registration method therefor, information terminal, and toyservice server
KR100360722B1 (ko) * 2000-12-18 2002-11-13 주식회사 이플래닛 컴퓨터와 연동되는 완구 시스템
US20020196262A1 (en) * 2001-06-26 2002-12-26 Asko Komsi System and method for entity visualization of text
AU2004216758A1 (en) 2003-03-03 2004-09-16 America Online, Inc. Using avatars to communicate
TWM282465U (en) * 2004-12-03 2005-12-01 Ho-Yu Chang Portable device changeable to a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00526A (en) 2008-01-01
CN101346976A (zh) 2009-01-14
EP1985097A2 (en) 2008-10-29
JP2009520296A (ja) 2009-05-21
WO2007072328A2 (en) 2007-06-28
WO2007072328A3 (en) 2007-09-27
US20080263164A1 (en)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5049A (ko) 메시지 전송 방법, 메시지 전송 디바이스 및 메시지 렌더링디바이스
CN110609620B (zh) 基于虚拟形象的人机交互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7440819B2 (en) Animation system for a robot comprising a set of movable parts
TWI436808B (zh) Input support device, input suppor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6163530A1 (ja) ロボット及びロボット制御方法並びにロボットシステム
US20010051535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imation and server as well as terminal device used therefor
CN109521927B (zh) 机器人互动方法和设备
KR20090065212A (ko) 로봇 채팅 시스템 및 방법
GB2532141A (en) Method and device of community interaction with toy as the center
JPWO201815511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902607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mercemoji
JP5020593B2 (ja) 外国語学習通信システム
WO2022193635A1 (zh) 客服服务系统、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1055483A (ja) 番組画像配信システム、番組画像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06604B1 (ko) 발화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CN109168017A (zh) 一种基于智能眼镜的视频直播互动系统及直播互动方式
KR20060102603A (ko) 로봇 메일 서비스 시스템, 장치 및 방법
TWI731496B (zh) 包含機器人之互動平台
CN212588503U (zh) 一种嵌入式音频播放装置
CN113157241A (zh) 交互设备、交互装置及交互系统
JP2005321443A (ja) 発音学習支援方法、学習者端末及び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2546532B1 (ko) 발화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KR100645823B1 (ko) 캐릭터를 이용한 음성호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음성통신장치
TWI680660B (zh) 即時通訊系統及動表情表現裝置
JP2004098252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端末、口唇ロボットの制御方法及び口唇ロボット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