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962A -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난감 장치 - Google Patents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난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962A
KR20140127962A KR1020130046441A KR20130046441A KR20140127962A KR 20140127962 A KR20140127962 A KR 20140127962A KR 1020130046441 A KR1020130046441 A KR 1020130046441A KR 20130046441 A KR20130046441 A KR 20130046441A KR 20140127962 A KR20140127962 A KR 20140127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attern
sound signal
signal
to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보윤
Original Assignee
최보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보윤 filed Critical 최보윤
Priority to KR1020130046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7962A/ko
Publication of KR2014012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reverberation or echo s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난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신호를 일방향 송출 가능한 무선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실행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사운드 출력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 또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발생시키는 규칙을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출력할 N(N≥1)개의 사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제n(1≤n≤N) 사운드 정보를 결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됨에 의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킬지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하도록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신호에 상기 판단된 사운드 패턴을 일정 시간 동안 중첩시키는 제5 단계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 또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하지 않은 사운드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정보와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녹음된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난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 Speaking Toy by using Bluetooth and a Toy Device}
본 발명은 무선단말에 탑재된 프로그램이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일방향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지정된 장난감 장치의 사운드 출력기를 통해 지정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시키되, 별도의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 없이 상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난감 장치의 사운드 출력기를 통한 사운드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는 1994년 통신기기 제조회사인 스웨덴의 에릭슨사가 소비전력은 적으면서 휴대폰과 그 주변장치를 연결하는 무선 솔루션을 고안해 케이블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하면서 등장했으며, 근거리에서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과 함께 사운드 신호를 직접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와 같은 블루투스 기술은 그 탄생 배경부터 휴대폰과 그 주변장치를 연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보다는 사운드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데 최적화되도록 설계되었으며, 블루투스의 저전력 특성은 사운드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경우에 비로소 달성될 수 있다. 현재 블루투스 기술이 적용된 가장 대표적인 장치는 사운드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헤드셋이며, 그 외에 분야에서는 블루투스가 이용되는 예가 적다. 그만큼 블루투스는 사운드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최적화된 기술이다.
한편 이와 같은 블루투스 기술이 적용된 장난감에 대한 특허(출원번호 10-2000-0056079호, 10-2003-0022168호)가 출원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블루투스 기반 장난감에 대한 특허들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장난감을 원격 조종하는 구성을 지니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장난감과 제어단말기 사이의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기반으로 장난감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장난감을 원격 조종할 경우, 장난감에 구비되는 블루투스 장치에는 각종 데이터를 해석, 가공, 저장하기 위한 부품들(예컨대, CPU, RAM, ROM, EEPROM 등)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부품들에 의해 장난감에 탑재되는 블루투스 장치의 제조단가가 급격히 상승하여 대량 생산이 난해하고, 각 부품들에 의해 배터리 소모가 증가하여 장시간 이용할 수 없고 자주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일부 고가의 원격 조종 장난감을 제외하고 블루투스 기술이 적용된 장난감은 대량 생산되지 못하고 있으며, 고가로 생산된 일부 장난감들도 잦은 배터리 교체로 인해 그 활용성이 극히 미미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루투스 기반 장난감 장치에 구비되는 부품 중에서 데이터 통신과 이를 각종 데이터를 해석, 가공, 저장하기 위한 부품들을 배제하는 대신에 이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 각종 동작들을 상기 장난감 장치와 근거리에 위치한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장난감 장치와 무선단말이 별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않고도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를 통해 장난감 장치를 제어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난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은,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신호를 일방향 송출 가능한 무선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실행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사운드 출력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 또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발생시키는 규칙을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출력할 N(N≥1)개의 사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제n(1≤n≤N) 사운드 정보를 결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됨에 의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킬지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하도록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신호에 상기 판단된 사운드 패턴을 일정 시간 동안 중첩시키는 제5 단계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 또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하지 않은 사운드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정보와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녹음된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은,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지정된 n’(1≤n’≤N)개의 사운드 정보를 이용하여 (N-n’)개의 사운드 소스에 대한 가청 주파수 영역을 변조하는 사운드 변조 규칙을 생성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변조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제n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n 사운드 소스의 가청 주파수 영역을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변조 규칙은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지정된 n’개의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패턴으로 (N-n’)개의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패턴을 수렴시키는 사운드 변조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은,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사운드 신호를 송출 가능한 장난감 장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사운드 신호의 송출 완료 또는 중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신호의 송출 완료 또는 중지되는 경우, 상기 제5 단계,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키고,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운드 송출부를 통해 사운드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사운드 송출부를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지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난감 장치는, 근거리의 무선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처리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일방향으로 유입되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기를 구비한 장난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 가능한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가 유입되는지 확인하는 확인부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가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패턴을 판독하여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확인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출력기를 통해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인부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가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 유입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준 시간 이상 또는 기준 횟수 이상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패턴을 판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판독하여 사운드 출력 종료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확인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출력기를 통한 사운드 출력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경우, 상기 사운드 신호에 중첩된 특정 사운드 패턴이 소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루투스를 통해 말하는 장난감 장치로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상기 장난감 장치의 사운드 출력을 제어하는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켜 송출함으로써, 별도의 데이터 통신 없이도 말하는 장난감 장치의 사운드 출력을 제어하는 이점과, 이에 의해 말하는 장난감 장치의 제조 단가와 소비 전력을 현격하게 감소시키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과 프로그램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장난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장난감 장치로 송출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 중인지 확인하여 사운드 패턴의 중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무선단말(100)과 프로그램(1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무선단말(100)에 탑재된 프로그램(115)이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일방향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장난감 장치의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지정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시키되, 별도의 블루투스 기반 데이터 통신 없이 상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난감 장치의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한 사운드 출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115)의 기능 구성과 이를 구비한 무선단말(100)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100) 구성과 프로그램(115)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1의 무선단말(100)은 각종 스마트폰, 태블릿PC, PDA 및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단말제어부(101)와 메모리부(112)와 화면 출력부(102)와 키 입력부(103)와 사운드 출력부(104)와 사운드 입력부(105)와 무선망 통신부(108)와 무선랜 통신부(109)와 블루투스 모듈(110)과 USIM 리더부(111)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07)를 구비한다.
상기 단말제어부(101)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제어부(1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의 프로그램(115) 기능 구성을 본 단말제어부(1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112)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단말제어부(1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12)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11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112)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102)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제어부(101)와 연동되어 상기 단말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 입력부(103)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102)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제어부(101)와 연동되어 상기 단말제어부(101)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제어부(1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104)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스피커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제어부(101)와 연동되어 상기 단말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마이크로폰과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단말제어부(101)로 전달한다.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108)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단말제어부(101)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제어부(1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제어부(1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망 통신부(108)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랜 통신부(109)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은 상기 무선단말(100)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지원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블루투스 규격에 정의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피코넷 또는 스캐터넷 범위에 구비된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루투스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거나 또는 사운드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이 상기 블루투스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장치는 블루투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해석, 가공, 저장하기 위한 CPU, RAM, ROM, EEPROM 등 비교적 고가의 부품이 구비되어야 한다. 반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이 상기 블루투스 장치와 사운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블루투스 통신 자체가 사운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블루투스 장치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205) 이외에 상기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출력기(220)(예컨대, 스피커 등)로 전달하여 출력시키는 제어회로만으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111)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111)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115)은 앱 제공 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다운로드되고, 지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100)에 설치되며, 지정된 절차에 따라 구동되어 본 발명의 기능 구성을 구현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장난감 장치를 통해 사운드 출력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 또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발생시키는 규칙을 저장하는 패턴 저장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패턴 저장부(120)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가 상기 장난감 장치의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지정된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발생시키기 위한 사운드 발생 규칙을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은 DTMF(DTMF(Dual-Tone Multi-Frequency)) 신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운드 패턴이 DTMF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장난감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사운드의 패턴(예컨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 등)이라면 어떠한 것이 채택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패턴 저장부(120)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신호가 송출되더라도, 이와 무관하게 상기 장난감 장치의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해 지정된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을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을 발생시키기 위한 사운드 발생 규칙을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은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과 중복되지 않은 다른 DTMF 신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패턴 또는 사운드 발생 규칙은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메모리부(112)에 저장되거나, 또는 프로그램코드의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115) 내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출력할 N(N≥1)개의 사운드 소스를 획득하는 사운드 획득부(125)와, 상기 획득된 N개의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N개의 사운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운드 저장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사운드 획득부(125)는 무선단말(100)에서 이용 가능한 자원(예컨대, 사운드 입력부(105), 무선망 통신부(108), 무선랜 통신부(109) 등)을 이용하여 블루투스를 통해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N개의 사운드 소스를 획득한다. 상기 사운드 소스는 사운드를 엔코딩한 데이터의 총칭으로서, 음원 파일, 녹음 파일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획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획득부(125)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녹음하는 형태로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소스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사운드 획득부(125)는 상기 장난감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부모 또는 교사 등이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를 통해 본인의 육성으로 녹음한 사운드 소스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획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획득부(125)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 또는 음원매체에 저장된 사운드 소스의 접근권한을 획득하는 형태로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소스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사운드 획득부(125)는 각종 음원 파일 또는 책 읽어주기 교사의 책 읽어주기 음원 파일 등을 저장하는 서버 또는 음원매체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사운드 획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획득부(125)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 또는 음원매체에 저장된 사운드 소스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형태로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소스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사운드 획득부(125)는 각종 음원 파일 또는 책 읽어주기 교사의 책 읽어주기 음원 파일 등을 저장하는 서버 또는 음원매체로부터 사운드 소스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사운드 획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획득부(125)는 각종 메시지 규약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사운드 소스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형태로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소스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무선단말(100)이 부모 중 어머니의 무선단말(100)인 경우, 상기 사운드 획득부(125)는 아버지가 이용하는 단말기를 통해 녹음된 사운드 소스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획득부(125)를 통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N개의 사운드 소스가 획득되면, 상기 사운드 저장부(130)는 상기 사운드 소스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장난감 장치로 송출하기 위한 사운드 정보를 확인 또는 구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사운드 정보는 상기 사운도 소스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장난감 장치로 송출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메모리부(112)에 저장되는 정보의 총칭으로서, 상기 사운드 소스를 그 자체이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 소스를 식별 또는 설명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저장부(130)는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를 지정된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에서 지정된 i(1≤i≤N)개의 사운드 정보를 식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i개의 사운드 정보는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N-i)개의 사운드 정보와 구별하여 관리하는 사운드 정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에서 스케쥴링에 등록된 사운드 정보,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에서 부모의 육성으로 녹음된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정보, 특정 카테고리(예컨대, 동화책 읽어주기 카테고리)에 속한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제n(1≤n≤N) 사운드 정보를 결정하는 사운드 결정부(135)를 구비하며,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사운드 신호를 송출 가능한 장난감 장치를 검출하는 대상 검출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키 입력부(103)를 통한 메뉴 선택 등의 사용자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스케쥴링에 의해, 상기 사운드 결정부(135)는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특정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n 사운드 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제n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n 사운드 소스가 메모리부(112)로부터 로드되거나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지정된 서버 또는 음원매체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대상 검출부(140)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상기 장난감 장치를 검출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 또는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사운드 결정부(135)를 통해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사운드 신호를 송출 가능한 장난감 장치를 검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난감 장치가 검출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키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됨에 의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킬지 판단하는 중첩 판단부(145)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하도록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신호에 상기 판단된 사운드 패턴을 일정 시간 동안 및/또는 지정된 횟수만큼 중첩시키는 사운드 중첩부(150)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 또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하지 않은 사운드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시키는 사운드 송출부(155)를 구비하며,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사운드 신호를 송출 가능한 장난감 장치를 검출하는 대상 검출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중첩 판단부(145)는 상기 사운드 결정부(135)를 통해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 결정됨에 의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 또는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킬지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는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됨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장난감 장치로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제n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제n 사운드 소스가 생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는 상기 중첩 판단부(145)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를 통해 상기 제n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n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가 생략되고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더라도,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된 이후에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송출되는 신호라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의 범주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사운드 결정부(135)를 통해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중첩 판단부(145)는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됨에 의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키도록 판단한다. 즉,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되고 사운드 신호가 송출된다면, 상기 중첩 판단부(145)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도록 판단한다.
한편 상기 중첩 판단부(145)는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된 이후에 사운드 송출부(155)를 통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는 중에 사운드 신호의 송출이 완료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 신호의 송출이 완료되기 전에 중지(예컨대, 상기 키 입력부(103)를 통한 조작에 의해 강제 중지 또는 일시 중지)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신호의 송출이 종료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신호의 송출이 종료된다면, 상기 중첩 판단부(145)는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키도록 판단한다.
상기 중첩 판단부(145)에 의해 상기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패턴을 중첩하도록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는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를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상기 판단된 사운드 패턴을 지정된 일정 시간(예컨대, 5ms) 동안 및/또는 지정된 횟수(예컨대, 3회)만큼 중첩시킨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는 일정 시간은 상기 장난감 장치에서 상기 사운드 패턴을 인식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 시간(예컨대, 2ms) 이상의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는 지정된 횟수는 상기 장난감 장치에서 상기 사운드 패턴을 인식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 횟수(예컨대, 1회) 이상의 횟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중첩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는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를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는 상기 제n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사운드 신호가 송출되기 전에 송출될 비가청 주파수 영역(예컨대, 16Hz 미만의 잡음 영역 또는 20kHz 이상의 초음파 영역)의 사운드 신호에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킬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는 상기 사운드 신호 가청 주파수 영역에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중첩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는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를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와 무관하게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발생(예컨대, 무음에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하는 것에 해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는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사운드 중첩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는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를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는 상기 제n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사운드 신호가 송출된 이후에 송출될 비가청 주파수 영역의 사운드 신호에 상기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킨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는 상기 사운드 신호 가청 주파수 영역에 상기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사운드 중첩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는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를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와 무관하게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발생(예컨대, 무음에 상기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하는 것에 해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는 상기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이용하여 상기 대상 검출부(140)에 의해 확인된 장난감 장치로 상기 사운드 신호를 송출시킨다.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에 의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는 상기 제n 사운드 소스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사운드 중첩부(150)에 의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경우,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는 상기 제n 사운드 소스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에 상기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지정된 n’(1≤n’≤N)개의 사운드 정보를 이용하여 (N-n’)개의 사운드 소스에 대한 가청 주파수 영역을 변조하는 사운드 변조 규칙을 생성 또는 저장하는 규칙 생성/저장부(160)와,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된 경우, 상기 사운드 변조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제n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n 사운드 소스의 가청 주파수 영역을 변조하는 사운드 변조부(165)를 구비한다.
상기 규칙 생성/저장부(160)는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지정된 n’(1≤n’≤N)개의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패턴을 기준으로 (N-n’)개의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패턴을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 패턴에 수렵시키는 사운드 변조 규칙을 생성 또는 저장한다. 상기 사운드 변조 규칙은 데이터의 형태로 상기 메모리부(112)에 저장되거나, 또는 프로그램코드의 형태로 상기 프로그램(115) 내에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예를들어,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가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를 통해 녹음된 부모(예컨대, 어머니 또는 아버지)의 육성에 대응하는 사운드 소스에 대한 정보라면, 상기 사운드 변조 규칙은 부모 이외에 제3자(예컨대, 책 읽어주기 교사)의 육성에 의한 사운드 소스를 상기 부모의 육성에 대응하는 사운드 소스로 변조하는 규칙을 포함한다. 상기 사운드 변조 규칙은 (N-n’)개의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를 상기 n’개의 사운드 신호에 수렴하는 주파수로 변조하거나 또는 (N-n’)개의 사운드 신호의 진폭을 상기 n’개의 사운드 신호에 수렴하는 진폭으로 변조하는 규칙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개의 사운드 신호에 대한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분절음에 n’개의 주파수 패턴에서만 반복되는 패턴(예컨대, ‘ㅎ’음을 발성할 때 콧소리가 발성되는 패턴 등)을 추가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사운드 변조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상기 사운드 변조 규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규칙 생성/저장부(160)는 상기 사운드 저장부(130)에 의해 N개의 사운드 정보가 저장된 중에 상기 사운드 변조 규칙을 생성할 n’개의 사운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소스에 대하여 공통 또는 반복되는 주파수 패턴을 추출하고, (N-n’)개의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패턴을 상기 n’개의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주파수 패턴으로 수렴하는 수렴식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수렴식과 경계 값을 포함하는 사운드 변조 규칙을 저장한다.
상기 사운드 변조부(165)는 상기 사운드 결정부(135)에 의해 결정된 제n 사운드 정보가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에 해당하는지, 또는 (N-n’)개 사운드 정보에 해당하는지 판별한다. 만약 상기 결정된 제n 사운드 정보가 n’개의 사운드 정보에 해당한다면, 상기 사운드 신호는 변조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결정된 제n 사운드 정보가 (N-n’)개 사운드 정보에 해당한다면, 상기 사운드 변조부(165)는 상기 사운드 변조 규칙에 따라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변조 규칙에 따라 변조하며,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는 상기 변조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는 상기 변조된 사운드 신호에 지정된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킬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를 통해 사운드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사운드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를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지 분석하는 사운드 분석부(170)를 구비한다.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를 통해 사운드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분석부(170)는 운영체제로부터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의 접근 권한을 획득하여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식한다. 상기 사운드 분석부(170)는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를 통해 장난감 장치로 송출되고 있는 사운드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받아 인식된 사운드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즉, 본원의 블루투스 통신은 사운드 신호에 대한 근거리의 일방향 통신이므로, 상기 사운드 분석부(17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고 있는지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를 통해 사운드 신호가 송출되고 있음에도 상기 장난감 장치를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지 확인되지 않는다면, 상기 사운드 중첩부(150)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사운드 송출부(155)는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장난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처리하는 블루투스 모듈(205)을 구비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일방향으로 유입되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기(220)를 구비한 장난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장난감 장치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장난감 장치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05)을 통해 무선단말(100)로부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 가능한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가 유입되는지 확인하는 확인부(210)와,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가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패턴을 판독하여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확인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15)를 구비한다. 상기 확인부(210)와 제어부(215)는 사운도 신호를 판독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기(220)를 제어 가능한 회로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난감 장치는 데이터 해석, 가공, 저장하기 위한 CPU, RAM, ROM, EEPROM 등은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보다 정밀한 사운드 신호 처리를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를 제외한 CPU 또는 RAM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인부(210)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05)을 통해 무선단말(100)로부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 가능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확인부(210)는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 상기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사운드 신호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준 시간 미만의 사운드 패턴은 확인되더라도, 이는 사운드 신호의 사운드 소스에 포함된 것일 수도 있으므로, 이를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215)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205)을 통해 무선단말(100)로부터 사운드 신호가 유입되더라도, 상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초기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215)는 상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초기 값에 따라 상기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상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15)는 상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종료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지 않는 이상 상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출력하도록 초기 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215)는 상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이상 상기 초기 값에 따라 상기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상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205)을 통해 무선단말(100)로부터 사운드 신호가 유입되고, 상기 확인부(210)에 의해 상기 사운드 신호에 인식 가능한 사운드 패턴이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 중첩되어 있음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215)는 상기 설정된 초기 값 또는 최종 이전 사운드 패턴을 근거로 상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 개시할 지 또는 출력하지 않을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거나 또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블루투스 모듈(205)을 통해 무선단말(100)로부터 사운드 신호가 유입되고, 상기 확인부(210)에 의해 상기 사운드 신호에 인식 가능한 사운드 패턴이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 중첩되어 있음이 확인된 경우, 상기 제어부(215)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판독하여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다면, 상기 제어부(215)는 상기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확인부(210)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모듈(205)을 통해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에 인식 가능한 사운드 패턴이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 중첩되어 있음이 확인된 경우, 상기 제어부(215)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판독하여 사운드 출력 종료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다면, 상기 제어부(215)는 상기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15)는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경우, 상기 사운드 신호에 중첩된 사운드 패턴이 소거된 후에 상기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이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N개의 사운드 정보와 사운드 출력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을 저장하고,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됨에 따라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장난감 장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프로그램(115)의 동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로 프로그램(115)이 탑재됨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115)은 지정된 장난감 장치를 통해 사운드 출력 개시 또는 종류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 또는 사운드 발생 규칙을 저장한다(300). 상기 사운드 패턴 또는 사운드 발생 규칙은 상기 프로그램(115)에 내장되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저장된 상태이거나 또는 별도의 데이터를 통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사운드 획득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자원을 통해 지정된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N개의 사운드 소스를 획득하고(305), 상기 획득된 N개의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N개의 사운드 정보를 확인 또는 구성하여 저장한다(310).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사용자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스케쥴링에 따라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제n 사운드 정보를 결정한다(315). 만약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사운드 신호를 송출 가능한 장난감 장치를 검출하고(320), 상기 장난감 장치도 상기 무선단말(100) 측의 블루투스 페어링에 반응하여 상기 무선단말(100)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320).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이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이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결정된 제n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장난감 장치로 송출하여 출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됨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결정된 제n 사운드 정보에 의해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사운드 신호를 확인 또는 발생시키고(400),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또는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을 중첩할지 판단한다(405). 만약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새로운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된 경우라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키도록 판단한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근거로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는 중에 상기 사운드 신호의 송출이 완료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 신호의 송출이 중지되는 경우에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키도록 판단한다. 또는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고 있음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키도록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별도의 사운드 패턴을 중첩할 필요 없이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한다(410).
한편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킨다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중첩할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과 사운드 출력 종료용 사운드 패턴 중 어느 하나의 사운드 패턴을 선택적으로 확인 또는 발생시키고(415),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확인 또는 발생된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킨 후(420),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사익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한다(425).
상기 장난감 장치는 블루투스 모듈(205)을 통해 사운드 신호가 유입되는지 확인한다(430), 만약 상기 블루투스 모듈(205)을 통한 사운드 신호의 유입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장난감 장치는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한 사운드 출력을 위해 지정된 초기 값 또는 최종 확인된 이전 사운드 패턴의 동작 상태를 유지한다(435). 반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205)을 통한 사운드 신호의 유입이 확인되면, 상기 장난감 장치는 상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에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440).
만약 상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에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장난감 장치는 지정된 초기 값 또는 최종 확인된 이전 사운드 패턴을 근거로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거나 또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한다(445).
한편 상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에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의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다면, 상기 장난감 장치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중첩된 사운드 패턴을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450).
만약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다면, 상기 장난감 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해 상기 사운드 신호에 중첩된 사운드 패턴을 근거로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 개시되도록 제어한다(455).
한편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다면, 상기 장난감 장치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중첩된 사운드 패턴을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460).
만약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다면, 상기 장난감 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 종료를 위해 상기 사운드 신호에 중첩된 사운드 패턴을 근거로 사운드 출력기(220)를 통해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 종료되도록 제어한다(465).
반면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으나 상기 사운드 패턴이 출력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아니라면, 상기 장난감 장치는 지정된 초기 값 또는 최종 확인된 이전 사운드 패턴을 근거로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거나 또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한다(470).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이 장난감 장치로 송출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 중인지 확인하여 사운드 패턴의 중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이 사운드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식하여 장난감 장치로 송출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 중인지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용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켜 송출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사운드 신호가 출력 중인지 확인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사운드 신호가 송출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송출된 사운드 신호에 중첩된 사운드 패턴이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인지 확인한다(500).
만약 상기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사운드 신호가 송출되지 않았다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유지한다.
한편 상기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사운드 신호가 송출되었다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식하고(505),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장난감 장치로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와 상기 사운드 입력부(105)를 통해 인식된 사운드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지 분석한다(510).
만약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출력 중인 것이 확인되었다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유지한다.
한편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출력 중인 것이 확인되지 않았다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15)은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된 사운드 신호에 중첩할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을 확인 도는 발생시키고(515),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킨 후(520), 상기 블루투스 모듈(110)을 통해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하며(525), 상기 장난감 장치는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100 : 무선단말 105 : 사운드 입력부
110 : 블루투스 모듈 115 : 프로그램
120 : 패턴 저장부 125 : 사운드 획득부
130 : 사운드 저장부 135 : 사운드 결정부
140 : 대상 검출부 145 : 중첩 판단부
150 : 사운드 중첩부 155 : 사운드 송출부
160 : 규칙 생성/저장부 165 : 사운드 변조부
170 : 사운드 분석부 200 : 장난감 장치
205 : 블루투스 모듈 210 : 확인부
215 : 제어부 220 : 사운드 출력기

Claims (10)

  1.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장난감 장치로 사운드 신호를 일방향 송출 가능한 무선단말에 구비된 프로그램을 실행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사운드 출력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 또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발생시키는 규칙을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출력할 N(N≥1)개의 사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할 제n(1≤n≤N) 사운드 정보를 결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됨에 의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 또는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킬지 판단하는 제3 단계;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하도록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운드 신호에 상기 판단된 사운드 패턴을 일정 시간 동안 중첩시키는 제5 단계; 및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 또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하지 않은 사운드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시키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정보,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녹음된 사운드 소스에 대응하는 사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지정된 n’(1≤n’≤N)개의 사운드 정보를 이용하여 (N-n’)개의 사운드 소스에 대한 가청 주파수 영역을 변조하는 사운드 변조 규칙을 생성 또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된 경우,
    상기 사운드 변조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제n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n 사운드 소스의 가청 주파수 영역을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변조 규칙은, 상기 N개의 사운드 정보 중 지정된 n’개의 사운드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패턴으로 (N-n’)개의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 패턴을 수렴시키는 사운드 변조 규칙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사운드 정보가 결정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사운드 신호를 송출 가능한 장난감 장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사운드 신호의 송출 완료 또는 중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신호의 송출 완료 또는 중지되는 경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출력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을 중첩시키고,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장난감 장치로 송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송출부를 통해 사운드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사운드 송출부를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장난감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지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7. 근거리의 무선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처리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일방향으로 유입되는 가청 주파수 영역의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기를 구비한 장난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로부터 유입되는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 가능한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가 유입되는지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가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패턴을 판독하여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 개시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확인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출력기를 통해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장난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가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 유입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중첩한 사운드 신호가 상기 기준 시간 이상 또는 기준 횟수 이상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사운드 패턴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판독하여 사운드 출력 종료를 위해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중첩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 종료를 위한 사운드 패턴이 확인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출력기를 통한 사운드 출력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입된 사운드 신호에 사운드 패턴이 중첩된 경우,
    상기 사운드 신호에 중첩된 특정 사운드 패턴이 소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장치.
KR1020130046441A 2013-04-26 2013-04-26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난감 장치 KR20140127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441A KR20140127962A (ko) 2013-04-26 2013-04-26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난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441A KR20140127962A (ko) 2013-04-26 2013-04-26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난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962A true KR20140127962A (ko) 2014-11-05

Family

ID=5245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441A KR20140127962A (ko) 2013-04-26 2013-04-26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난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79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896A (ko) * 2016-04-14 2017-10-24 주식회사 티아로테크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US11738281B2 (en) 2021-04-22 2023-08-29 Shivani Sud Hygienic stuffed to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7896A (ko) * 2016-04-14 2017-10-24 주식회사 티아로테크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US11738281B2 (en) 2021-04-22 2023-08-29 Shivani Sud Hygienic stuffed to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8361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US20190149987A1 (en) Secondary device setup
CN105517103A (zh) 基于智能终端设备的网络接入的方法和装置
US20210360339A1 (en) Bidirectional Configuration of Sensor Nodes with Mobile Phone with No Extension
CN106550383B (zh) 网络连接方法及智能设备
CN104247484A (zh) 终端装置、通信方法、程序以及通信系统
KR20150030947A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유아용 플레이보드 동작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27962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말하는 장난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난감 장치
KR101587505B1 (ko) 근거리통신 자동 활성화를 위한 통신 단말장치
KR20180124180A (ko) 블루투스 이어셋을 이용한 거래 방법
KR20200028515A (ko) 카메라장치 등록 방법
KR20200028532A (ko) 영상 투영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장치
KR101684100B1 (ko) 엔에프씨 기반 카드의 유효한 비접촉 인터페이스 유도 방법
KR20190048263A (ko) 블루투스 이어폰을 이용한 일회용 인증코드 제공 방법
KR20180124181A (ko) 블루투스 이어셋을 이용한 거래 방법
KR20210080701A (ko) 카메라장치를 이용한 소리내는 애완동물 달래기 방법
KR102354904B1 (ko) 블루투스 이어셋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KR101632627B1 (ko) 근거리통신 자동 설정을 위한 통신 단말장치
KR101966486B1 (ko) 엔에프씨 기반 매체의 비접촉 인터페이스 유도 방법
KR101542653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시간 검증 기반 오티피 생성 방법
KR20200028523A (ko) 카메라장치를 이용한 아기 앨범 제작 방법
KR20180124179A (ko) 블루투스 이어셋을 이용한 인증 방법
KR20190048269A (ko) 블루투스 이어폰을 이용한 일회용 인증 방법
KR101491425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오티피 생성 방법
KR101491424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오티피 생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