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857A - 휠 스위치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 Google Patents

휠 스위치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857A
KR20170117857A KR1020160094139A KR20160094139A KR20170117857A KR 20170117857 A KR20170117857 A KR 20170117857A KR 1020160094139 A KR1020160094139 A KR 1020160094139A KR 20160094139 A KR20160094139 A KR 20160094139A KR 20170117857 A KR20170117857 A KR 20170117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voice
mode
command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경태
명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로테크
Priority to KR1020170048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7897A/ko
Publication of KR20170117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04W4/006
    • H04W4/008
    • H04W4/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 스위치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완구 등과 같은 사물에 음성 입출력 기반의 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유아기의 아이들도 원거리에 있는 제3자와 쉽게 대화할 수 있고, 위험 상황을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인지하는데 있다.
일례로, 아이가 가지고 노는 완구에 음성 인식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완구를 통해 입력되는 아이의 음성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아이와 근거리에 있는 제3자의 휴대 통신 기기로 전송한 후 이를 매개로 하여 무선 인터넷 통신이나 이동 통신을 통해 아이와 원거리에 있는 제3자의 휴대 통신 기기로 전송하고, 원거리의 제3자가 다시 근거리의 제3자의 휴대 통신 기기를 통해 완구로 응답함으로써 아이와 원거리의 제3자가 대화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대화형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휠 스위치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COMMUNICATION TYPE SYSTEM USING WHEEL SWITCH}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휠 스위치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통신부기가 발달되고 폭 넓게 보급됨에 따라 다양한 연령 층은 저마다 스마트 폰이나 휴대 전화기 등 개인 통신 기기를 소지하게 되면서 쌍방간에 자유로운 연락과 대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략 3세에서 6세에 이르는 유아기의 아이들의 경우 아직은 복잡한 전자기기를 다루는데 어려움이 있어 개인용 통신 기기를 소지하지 않거나 자유로이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아이들이 스스로 원거리에서 가족 구성원들과 대화하기를 원하거나 혹은 부모가 인지할 수 없는 위치에서 순간적인 위험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다른 가족 구성원의 개인용 통신 기기를 이용하여 아이가 원하는 구성원과 대화를 하거나, 아이들의 위험 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3720호(2008.04.17.) '통신망을 이용한 센서완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완구 등과 같은 사물에 음성 입출력 기반의 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유아기의 아이들도 원거리에 있는 제3자와 쉽게 대화할 수 있고, 위험 상황을 외부의 제3자가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사물 대화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대화형 시스템은, 아이가 가지고 노는 완구에 음성 인식 기능과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완구를 통해 입력되는 아이의 음성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아이와 근거리에 있는 제3자의 휴대 통신 기기로 전송한 후 이를 매개로 하여 무선 인터넷 통신이나 이동 통신을 통해 아이와 원거리에 있는 제3자의 휴대 통신 기기로 전송하고, 원거리의 제3자가 다시 근거리의 제3자의 휴대 통신 기기를 통해 완구로 응답함으로써 아이와 원거리의 제3자가 대화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완구 등과 같은 사물에 음성 입출력 기반의 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유아기의 아이들도 원거리에 있는 제3자와 쉽게 대화할 수 있고, 위험 상황을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사물 대화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대화형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대화형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스위치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휠 스위치의 우측 버튼의 눌림과 확인 버튼의 눌림의 예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휠 스위치의 좌측 버튼의 눌림과 확인 버튼의 눌림이 눌리어지는 예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순 입력 버튼이 마련된 휠 스위치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휠 스위치의 확인 버튼만 활성화되어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채팅 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채팅 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대화형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대화형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물 대화형 시스템(1000)은, 명령 입력부(100), 대화형 완구(200), 제1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0) 및 제2사용자 어플리케이션(400)을 포함한다.
상기 명령 입력부(100)는 대화형 완구(200)에 입력되는 명령 모드를 무선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외관은 유아기 아이들이 착용할 수 있는 시계나 팔찌, 목걸이 또는 마법봉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명령 입력부(100)는 휠 스위치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 스위치 다이얼 회전 방식으로 조작 가능하며 다이얼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명령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채팅, 음악 재생, 녹음 재생, 텍스트 리딩, 음성 따라 하기, 음성 번역, 특정 음성 인식 등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음성 채팅은 대화형 완구(200)에 음성을 입력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음성이 출력되는 형태로 동작되는 것으로, 음성 응답은 원거리에 있는 제2사용자 단말의 소지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녹음 재생은 대화형 완구(2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대화형 완구(200)가 녹음한 후 필요 시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음악 재생은 대화형 완구(2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대화형 완구(200)에 미리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드일 수 있다.
상기 따라 하기는 대화형 완구(200)의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였다가 그대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음성 번역은 대화형 완구(200)의 사용자의 음성을 미리 설정된 외국어로 번역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드일 수 있다.
상기 특정 음식 인식은 대화형 완구(200)의 사용자의 특정 음성 예를 들어 비명소리, 우는소리 등을 인지하여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드일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는 대화형 완구(200)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되어, 휠 스위치 통해 선택된 기능 모드에 대한 정보를 대화형 완구(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명령 입력부(100)는 대화형 완구(20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나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대화형 완구(200)에 직접 설치 또는 장착된 유선 통신 방식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상기 대화형 완구(200)는 명령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기능 모드 정보에 따라 기능 모드가 설정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정보 등을 제1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대화형 완구(200)는 완구(210)와 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완구(210)는 일반적인 인형, 로봇 장난감, 놀이용 욕조 용품 등 아이들이 가지고 놀 수 있는 사물을 의미하며, 본체(2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정보를 소정의 형태로 변환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30)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20)는 완구(210)에 삽입 또는 외부에 장착되는 형태로 완구(210)와 결합하여 대화형 완구(20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220)는 마이크(223), 스피커(222), MCU(micro control unit), 음성-텍스트 변환부(STT: Sound to Text), 메모리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223)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22)는 제1사용자 단말기(30)을 통해 제2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MCU는 명령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기능 모드로 설정되어 그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음성-텍스트 변환부(STT: Sound to Text)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스피커(222)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로 전달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스피커(222)로 전달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는 상기 본체(22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와 무선 접속되어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0)은 제1사용자 단말기(30)에 설치되는 본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전용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기본적으로 채팅 기능을 지원하며, 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사람들의 연락처가 저장되고, 데이터 수신 대상자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30)는 제1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0)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 이동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사용자 단말기(3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가 탑재되어 대화형 완구(200)와 무선 통신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인터넷 통신부 또는 이동 통신부가 탑재되어 제2사용자 단말기(40)와 통신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 어플리케이션(400)은 제2사용자 단말기(30)에 설치되는 본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전용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기본적으로 채팅 기능을 지원하며, 본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사람들의 연락처가 저장되고, 데이터 수신 대상자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40)는 제2사용자 어플리케이션(400)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이동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사용자 단말기(40)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인터넷 통신부 또는 이동 통신부가 탑재되어 제1사용자 단말기(30)와 통신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기(40)는 필요에 따라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가 탑재되어 대화형 완구(200)와 무선 통신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제2사용자 단말기(40)가 제1사용자 단말기(30)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 대화형 시스템(1000)의 동작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물 대화형 시스템(1000)은 가족 구성원이 이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명령 입력부(100)와 대화형 완구(200)는 아이, 제1사용자 단말기(30)는 엄마, 제2사용자 단말기(40)는 아빠가 이용하며, 대화형 완구(200)와 제1사용자 단말기(30)는 근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명령 입력부(100)를 통해 음성 채팅 기능이 설정되면, 이에 따른 기능 모드 정보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대화형 완구(200)로 전송되고, 대화형 완구(200)는 음성 채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후 아이가 대화형 완구(200)로 예를 들어 "아빠 보고 싶어요"라는 멘트의 음성을 입력하면, 대화형 완구(200)는 입력된 음성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한 후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1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되거나, 음성 정보 그대로가 제1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사용자 단말기(30)에 설치된 제1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0)에는 메시지 전송 가능한 연락처와 해당 연락처 중 음성을 수신할 대상자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미리 설정된 대상자 즉 제2사용자 단말기(40)로 텍스트 메시지 정보 또는 음성 메시지 정보를 무선 인터넷 통신 또는 이동 통신 등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2사용자 단말기(40)는 제1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텍스트 또는 음성 메시지 정보를 수신하고, 제2사용자 어플리케이션(400)을 통해 문자 메시지 형태로 아이가 말한 내용을 확인하거나, 별도의 음성 메시지로 저장한 후 아빠가 확인 가능한 시간에 아이의 음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사용자 단말기(40)는 아이의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음성 또는 문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 또는 문자 정보를 무선 인터넷 통신 또는 이동 통신 등을 이용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고, 제1사용자 어플리케이션(300)은 수신된 정보를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대화형 완구(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화형 완구(200)는 제1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해 제2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받은 음성 정보를 스피커(222)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아이가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와 아빠는 원거리에서도 대화가 가능하다.
한편, 대화형 완구(200)는 미리 설정된 아이의 특정 음성 예를 들어 비명소리나 우는소리 등을 인식하면, 인식된 음성 또는 별도의 경고 메시지를 제1사용자 단말기(30)를 통하여 제2사용자 단말기(40)로 바로 전송하여 제2사용자 단말기(40)의 소지자가 해당 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원거리에 있는 제2사용자 단말기(40)의 소지자(제3자)가 아이에게 어떠한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음악 재생, 녹음 재생, 텍스트 리딩, 따라 하기, 번역 등의 기능은 대화형 완구(200)의 본체(220)에서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0과 함께 좀 더 자세히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스위치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휠 스위치의 우측 버튼의 눌림과 확인 버튼의 눌림의 예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휠 스위치의 좌측 버튼의 눌림과 확인 버튼의 눌림이 눌리어지는 예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순 입력 버튼이 마련된 휠 스위치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휠 스위치의 확인 버튼만 활성화되어 동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채팅 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채팅 모드로 동작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명령 입력부(100), 사용자 단말기(30,40), 및 본체(220)를 포함한다.
명령 입력부(100)는 휠 스위치로 구현되어, 휠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명령 모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본체(220)에 전송한다. 휠 스위치로 된 명령 입력부(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버튼(120), 좌측 버튼(140), 상측 버튼(110), 하측 버튼(130), 및 확인 버튼(15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버튼(120)은, 현재의 명령 모드에서 다음 번째의 명령 모드들을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할 것을 요청받는 버튼이다. 따라서 우측 버튼(120)이 눌리어지면, 현재의 명령 모드로부터 다음 번째의 명령 모드의 음성이 차례로 본체(220)를 통해 출력된다.
좌측 버튼(140)은, 현재의 명령 모드에서 이전의 명령 모드들을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할 것을 요청받는다. 따라서 좌측 버튼(140)이 눌리어지면, 현재의 명령 모드로부터 이전의 명령 모드의 음성이 차례로 본체(220)를 통해 출력된다.
상측 버튼(110)은, 음악 재생 기능 모드로 동작시에 제1사용자 단말기(30)의 음악 출력을 높일 것을 요청받는다. 따라서 상측 버튼(110)이 눌리어지면, 제1사용자 단말기(30)에서 출력되는 음악이 커지게 된다.
하측 버튼(130)은, 음악 재생 기능 모드로 동작시에 제1사용자 단말기(30)의 음악 출력을 낮출 것을 요청받는다. 따라서 하측 버튼(130)이 눌리어지면, 제1사용자 단말기(30)에서 출력되는 음악이 작아지게 된다.
확인 버튼(150)은, 명령 모드를 선택받는 확인 버튼(150)을 구비할 수 있다. 우측 버튼(120)이나 좌측 버튼(140)이 눌리어져 명령 모드의 음성이 순차적으로 출력될 때, 확인 버튼(150)이 눌리어지는 순간의 명령 모드가 선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우측 버튼(120), 좌측 버튼(140), 상측 버튼(110), 하측 버튼(130), 및 확인 버튼(150)을 구비한 휠 스위치로 명령 입력부(100)는, 다양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기능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30,4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 데스크탑PC, 태블릿 PC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이동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40)는, 미리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본체(220)로부터 명령 모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여, 본체(220)로부터 제공된 명령 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40)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본체(22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어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제1사용자 단말기(30)와, 미리 설치된 대화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30)와 이동 통신이나 인터넷 통신하여 메신저 통신을 수생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사용자 단말기(30)는 제2사용자 단말기(40)의 메신저 연락처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2사용자 단말기(40)는 제1사용자 단말기(30)의 메신저 연락처를 저장하고 있다.
본체(220)는, 인형, 로봇장난감, 욕조용품 등의 사물에 삽입되는 통신 모듈이다. 사물은 목걸이형, 휴대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220)는, 슬롯형, 단자형 등의 다양한 삽입 모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체(220)는, 명령 입력부(100)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 명령 모드에 따라 제1사용자 단말기(30)와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휠 스위치로 된 명령 입력부(100)를 통해 수신한 명령 모드가 채팅 기능 모드라면, 본체(22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제1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며, 반대로 제1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본체(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2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22)와,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223)와, 명령 입력부(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명령 모드를 수신하며 제1사용자 단말기(3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명령 모드를 제1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와, 명령 모드별로 명령 모드 음성이 저장된 명령 모드 음성 저장부(225)와, 명령 입력부(100)로부터 수신한 명령 모드에 따라 제1사용자 단말기(30)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 통신 등의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21)는, 휠 스위치의 명령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 모드에 따라 동작 제어되는데, 휠 스위치를 통한 명령 모드의 입력은 휠 스위치의 우측 버튼(120)과 확인 버튼(15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와 같이 우측 버튼(120)이 눌리어진 경우, 제어부(221)는, 현재의 명령 모드에서 하나씩 증가시켜 가며 명령 모드 음성을 출력하며, 명령 모드 음성 출력 중에 확인 버튼(150)이 눌리어지는 순간의 명령 모드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30)와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명령 모드가 채팅 기능 모드, 음악 재생 기능 모드, 텍스트 리딩 기능 모드,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 모드,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모드,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 모드가 있다고 가정할 때, 현재의 명령 모드가 텍스트 리딩 기능 모드로 동작 중에 우측 버튼(120)이 눌리어지면,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 모드 ->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모드 ->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 모드 -> 채팅 기능 모드 -> 음악 재생 기능 모드 -> 텍스트 리딩 기능 모드->....의 순서대로 음성이 차례로 일정 간격(예컨대, 2초)을 두고 출력되며,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모드'의 음성 출력 구간에서 확인 버튼(150)이 눌리어지면, 제어부(221)는,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모드'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30)와의 동작을 제어한다.
반대로, 도 6과 같이 좌측 버튼(140)이 눌리어진 경우 현재의 명령 모드에서 하나씩 감소시켜 가며 명령 모드 음성을 출력하고, 명령 모드 음성 출력 중에 확인 버튼(150)이 눌리어지는 순간의 명령 모드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30)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명령 모드가 텍스트 리딩 기능 모드로 동작 중에 좌측 버튼(140)이 눌리어지면, 음악 재생 기능 모드 -> 채팅 기능 모드 ->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 모드 ->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모드 ->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 모드->...의 순서대로 음성이 차례로 일정 간격(예컨대, 2초)을 두고 출력되며, '채팅 기능 모드'의 음성 출력 구간에서 확인 버튼(150)이 눌리어지면, 제어부(221)는, '채팅 기능 모드'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30)와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 명령 입력부(100)인 휠 스위치의 버튼이 많거나, 조작 방식이 복잡하게 되면, 휠 스위치의 사용을 올바르게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횔 스위치로 된 명령 입력부(100)에, 본체(220)의 확인 버튼(150)만 활성화시키는 단순 입력 버튼(160)을 구비한다. 단순 입력 버튼(160)의 눌림이 있는 경우, 확인 버튼(150)만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우측 버튼(120), 좌측 버튼(140), 상측 버튼(110), 및 하측 버튼(130)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제어부(221)는, 도 8과 같이 확인 버튼(150)이 연달아 두 번 눌리어진 경우 명령 모드 음성 저장부(225)에 저장된 명령 모드 음성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며, 명령 모드 음성 출력 중에 확인 버튼(150)이 다시 한번 눌리어지는 순간의 명령 모드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30)와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부모가 단순 입력 버튼(160)을 눌려놓은 상태로 한 후에, 어린이는 휠 스위치의 조작을 단순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휠 스위치에 의해 선택되어 본체(220)와 제1사용자 단말기(30)간에 동작이 이루어지는 명령 모드는, 음악 재생 기능 모드, 텍스트 리딩 기능 모드,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 모드,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모드,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 모드, 채팅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사용자 단말기(30)는 수신되는 명령 모드 기능에 맞추어 동작하게 된다.
명령 모드가 음악 재생 기능 모드인 경우, 제1사용자 단말기(3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악을 재생한다. 예를 들어, 자장가 등의 노래가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명령 모드가 텍스트 리딩 기능 모드인 경우, 제1사용자 단말기(30)는 미리 저장된 텍스트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동화책의 본문을 음성으로 출력하여 어린이 등이 들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명령 모드가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 모드인 경우, 제어부(221)는, 음성 버튼이 눌리어지는 동안 마이크(223)를 통하여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하며, 제1사용자 단말기(30)는,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 또는 성별을 변조한 변조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남자 어린이의 음성이 본체(220)를 통해 입력되어 제1사용자 단말기(30)에서 여자 아이 음성 등으로 변조되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명령 모드가 번역 기능 모드인 경우, 제어부(221)는, 음성 버튼이 눌리어지는 동안 마이크(223)를 통하여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하며, 제1사용자 단말기(30)는, 수신한 음성을 번역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영어가 제1사용자 단말기(30)에서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명령 모드가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 모드인 경우, 제어부(221)는, 음성 버튼이 눌리어지는 동안 마이크(223)를 통하여 감지되는 외부 음성을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하며, 제1사용자 단말기(30)는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의 데시벨이 미리 설정된 위험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 위험 알람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어린이가 자기방에서 위험에 직면하여 울고 있는 경우,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이 선택되면 어린이의 울음 소리가 문 밖에 있는 엄마의 단말기인 제1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되어, 제1사용자 단말기(30)에서 위험 알람을 발생시켜 엄마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명령 모드가 채팅 기능 모드인 경우, 제어부(221)는, 마이크(223)를 통하여 외부 음성을 감지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224)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하는 송신 채팅 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제1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222)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 채팅 모드로 동작한다.
우선, 도 9를 참조하여 송신 채팅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체(220)는 마이크(223)를 통하여 어린이의 음성을 감지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엄마의 단말기인 제1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기(30)의 제1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본체(220)로부터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어린이 아빠의 단말기인 제2사용자 단말기(40)의 메신저 연락처로 전송한다. 제2사용자 단말기(40)는, 제1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 또는 문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본체(220)의 옆에 엄마가 있다고 가정한 경우, 아이들이 아빠에게 음성을 보낼 때는 엄마의 스마트폰인 제1사용자 단말기(30)에 설치된 제1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1차 전송된 후, 다시 아빠의 스마트폰인 제2사용자 단말기(40)에 설치된 제2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고, 아빠의 스마트폰에 미리 설치되거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내장된 메신저 프로그램에서 음성과 STT(Speak to Text)로 변환된 문자가 표시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여 수신 채팅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2사용자 단말기(40)는, 입력되는 음성을 제1사용자 단말기(30)의 메신저 연락처로 전송한다. 제1사용자 단말기(30)는 제2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수신 음성 데이터로서 본체(220)로 전송하게 되고, 본체(220)는, 수신한 수신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222)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아빠가 자신의 스마트폰인 제2사용자 단말기(40)에 구비된 제2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문자를 보내면 엄마의 스마트폰인 제1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되고, 엄마의 스마트폰인 제1사용자 단말기(30)의 제1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본체(220)로 전송되게 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와 아빠는 원거리에서도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사물 대화형 시스템
100: 명령 입력부
200: 대화형 완구
210: 완구
220: 본체
300: 제1사용자 어플리케이션
400: 제2사용자 어플리케이션
30: 제1사용자 단말기
40: 제2사용자 단말기

Claims (10)

  1. 휠 스위치로 구현되어, 휠 스위치조작에 의해 명령 모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본체에 전송하는 명령 입력부;
    사물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한 명령 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와의 동작을 제어하는 본체; 및
    미리 설치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본체로부터 명령 모드를 수신하여, 상기 본체로부터 제공된 명령 모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한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본체와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되어 메신저 통신을 수행하는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인터넷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메신저 통신을 수생하는 제2사용자 단말기;
    을 포함한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명령 입력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명령 모드를 수신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명령 모드별로 명령 모드 음성이 저장된 명령 모드 음성 저장부; 및
    상기 명령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명령 모드에 따라 제1사용자 단말기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명령 모드는,
    채팅 기능 모드, 음악 재생 기능 모드, 텍스트 리딩 기능 모드, 외부 음성에 대한 따라하기 기능 모드, 외부 음성에 대한 번역 기능 모드, 외부 음성에 대한 위험 상황 인식 기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휠 스위치,
    현재의 명령 모드에서 다음 번째의 명령 모드들을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할 것을 요청받는 우측 버튼;
    현재의 명령 모드에서 이전의 명령 모드들을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할 것을 요청받는 좌측 버튼;
    상기 음악 재생 기능 모드로 동작시에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출력 소리를 높일 것을 요청받는 상측 버튼;
    상기 음악 재생 기능 모드로 동작시에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출력 소리를 낮출 것을 요청받는 하측 버튼; 및
    명령 모드를 선택받는 확인 버튼;
    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측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현재의 명령 모드에서 하나씩 증가시켜 가며 명령 모드 음성을 출력하며, 상기 좌측 버튼이 눌리어진 경우 현재의 명령 모드에서 하나씩 감소시켜 가며 명령 모드 음성을 출력하고,
    명령 모드 음성 출력 중에 상기 확인 버튼이 눌리어지는 순간의 명령 모드로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휠 스위치, 상기 본체의 확인 버튼만 활성화시키는 단순 입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단순 입력 버튼의 눌림이 있는 경우, 상기 확인 버튼만 활성화시키고 나머지 우측 버튼, 좌측 버튼, 상측 버튼, 및 하측 버튼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 버튼이 연달아 두 번 눌리어진 경우 상기 명령 모드 음성 저장부에 저장된 명령 모드 음성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며, 명령 모드 음성 출력 중에 상기 확인 버튼이 눌리어지는 순간의 명령 모드로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와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명령 모드가 채팅 기능 모드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외부 음성을 감지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감지 음성 데이터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송신 채팅 모드로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음성 데이터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 채팅 모드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의 메신저 연락처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송신 채팅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의 메신저 연락처로 전송하며,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감지 음성 데이터를 음성 출력 또는 문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메신저 연락처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 채팅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의 메신저 연락처로 전송하며,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수신 음성 데이터로서 상기 본체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위치를 이용한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KR1020160094139A 2016-04-14 2016-07-25 휠 스위치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KR20170117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751A KR20170117897A (ko) 2016-04-14 2017-04-14 휠리모콘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45803 2016-04-14
KR1020160045803 2016-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857A true KR20170117857A (ko) 2017-10-24

Family

ID=6029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139A KR20170117857A (ko) 2016-04-14 2016-07-25 휠 스위치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78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21229A1 (en) Method and device of community interaction with toy as the center
JP2016076799A (ja) 家電管理システム、家電、リモコン装置、ロボット
JP2019534492A (ja) 通訳装置及び方法(device and method of translating a language into another language)
KR20100007386A (ko) 휴대 단말기와 동기화된 로봇의 이벤트 실행 방법 및 그시스템
GB2575530A (en) System interacting with smart audio
CN109262606B (zh) 装置、方法、记录介质以及机器人
CN105528074A (zh) 智能信息交互方法、装置及用户终端
US20200372918A1 (en) Plush toy audio controller
EP3413304A3 (en) Method for operating home appliance and voice recognition server system
US20160057384A1 (en) Device and system for facilitating two-way communication
WO2016157993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64049B1 (ko) 이동통신단말장치의 가상 로봇과 동기화되는 애완 로봇
US10847007B1 (en) Interactive monitoring system
KR20170117857A (ko) 휠 스위치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US201600777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Smart Device
US20060154560A1 (en) Communication device
KR102063389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캐릭터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US202200479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Smart Device
KR20170117897A (ko) 휠리모콘 이용한 사물 대화형 시스템
KR20110010865U (ko) 이동통신기기의 음성처리기능과 무선통신기능을 이용한 대화형 음성작동 완구
KR101954977B1 (ko) 사물의 대화형 시스템
KR102197411B1 (ko) 인형에 부착 가능한 스마트스피커
US20200206645A1 (en) Portable children interactive system
CN108055655A (zh) 一种语音设备加好友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5378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and a smart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