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707A -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 - Google Patents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707A
KR20170117707A KR1020160045456A KR20160045456A KR20170117707A KR 20170117707 A KR20170117707 A KR 20170117707A KR 1020160045456 A KR1020160045456 A KR 1020160045456A KR 20160045456 A KR20160045456 A KR 20160045456A KR 20170117707 A KR20170117707 A KR 20170117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insole
melamine foam
melamin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종우
김정수
이진혁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4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7707A/ko
Publication of KR20170117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에 관한 것으로, 천공된 EVA폼, 멜라민폼 및 천공된 직물 순으로 적층된 인솔을 제공하되, 상기 멜라민 폼의 외주면을 따라 SEBS 또는 SIS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를 형성시킴으로서, 장시간 착용 시에도 멜라민 폼이 가지는 오픈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INSOLE WITH EXCELLENT VENTILATION PROPERTY}
본 발명은 장시간 착용 시에도 멜라민 폼(melamine foam)이 가지는 오픈셀(open cell)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솔(insole)은 신발 내부에 삽입되어 착용감 향상, 쿠션감 제공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통상 신발 내부의 바닥면 모양에 따라 그 형성이 이루어진다.
한편, 일반적인 인솔의 경우 통기성이 미비함에 따라, 신발의 장시간 착용시 발생된 열기가 쉽게 방출되지 못하고 장시간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불쾌한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발에서 생성된 땀에 의해 각종 세균성 족부질환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보행할 때마다 공기 체크 밸브의 작용에 의해 공기호스에서 일방향으로만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신발 내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호스가 설치된 신발 인솔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실용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오픈셀 구조의 발포체를 이용하여 통기성을 구현하고자 시도가 있으며, 관련 선행기술로써 특허문헌 2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재질의 쿠션재(10)와, 상기 쿠션재(10)의 상측면에 핫멜트형 접착제(40)를 매개로 접착되는 멜라민 폼 또는 우레탄 폼(20) 및, 상기 폼부재(20)의 상측면에 핫멜트형 접착제(40)를 매개로 접착되는 족저면 접촉재(예를 들면, 직물)(30)로 구성되는 인솔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상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인솔은 실제로 단열성을 강조하였지만 폼부재(20)로 오픈셀 구조의 멜라민 폼을 사용할 경우, 통기성을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멜라민 폼을 적용한 인솔의 경우, 장시간 착용 시 인솔이 압착되어 오픈셀을 통한 공기 순환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통기성이 극히 미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43789호 "공기호스가 설치된 신발깔창"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2336호 "에어로겔 단열재가 내재된 신발용 안창 및 그 제조방법"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1647호 "멜라민 발포체가 충전된 불연성 하니컴 복합재료 및 그제조방법" 특허문헌 4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7392호 "포름알데히드 저함유 발포체" 특허문헌 5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5656호 "멜라민-알데히드 축합생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열성 발포체및 그 제조방법" 특허문헌 6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4887호 "발포폼용 에멀젼 조성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공된 EVA(ethylene vinyl acetate)폼, 멜라민폼 및 천공된 직물 순으로 적층된 인솔을 제공하되, 상기 멜라민 폼의 외주면을 따라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또는 SIS(styrene isoprene styrene)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강부재를 형성시킴으로서, 장시간 착용 시에도 멜라민 폼이 가지는 오픈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인솔에 있어서, EVA폼(10)과, 상기 EVA폼(10)의 상측면에 적층되는 멜라민폼(20) 및, 상기 멜라민폼(20)의 상측면에 적층되는 직물(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멜라민폼(20)의 외주면을 따라 보강부재(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21)는, SEBS 또는 SIS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EVA폼(10) 또는 직물(30)은 다수의 통기공(h)이 천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EVA폼(10)과 멜라민폼(20) 또는, 멜라민폼(20)과 직물(30)은 핫멜트(hotmelt) 필름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되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멜라민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보강부재에 의해 장시간 착용 시에도 멜라민 폼이 가지는 오픈셀 구조가 압착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기 순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통기성이 극히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에 따른 인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의 단면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의 단면도로써,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EVA폼(10), 멜라민폼(20) 및 직물(30)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EVA폼(10)은, 인솔의 쿠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층되는 것으로, EVA 수지를 발포시킨 발포체를 사용하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EVA폼을 적용할 수 있다. 즉, EVA폼(10)의 구체적인 조성이나 발포방법 등은 이미 공지된 다양한 조성 및 발포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특정 조성이나 발포방법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아울러, 상기 EVA폼(10)은 공기 순환 및 통기성 향상을 목적으로 다수의 통기공(h)이 천공될 수 있다.
상기 멜라민폼(20)은, 통기성 향상을 목적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상기 EVA폼(10)의 상측면에 적층된다. 상기 멜라민폼(20)은 멜라민 수지를 발포시킨 것으로, 이 역시 이미 공지된 다양한 멜라민폼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받은 특허문헌 3 내지 6과 같은 멜라민폼을 적용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조성 및 발포방법이 적용된 멜라민폼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멜라민폼(20)은 오픈셀 구조를 가지는데, '오픈셀'이란 다수의 기공들이 상호 개방된 형태로 집합된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방된 셀에 의해 공기 순환 및 이로 인한 통기성이 향상된다.
한편, 단순히 멜라민폼(20)으로만 인솔을 형성시킬 경우, 장시간 착용 시 멜라민폼(20)의 오픈셀 구조가 상호 압착되어 공기 순환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통기성이 극히 미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멜라민폼(20)의 외주면을 따라 보강부재(21)를 형성시킴으로써, 장시간 착용 시에도 멜라민 폼(20)이 가지는 오픈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21)로 사용되는 소재는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한 SEBS 또는 SIS 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지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직물(30)은, 발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그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층되는 것으로, 멜라민폼(20)의 상측면을 마감하며 적층된다.
여기서, 상기 직물(30)은 인솔의 통기성을 고려하여 각종 섬유원사를 통기성을 가지도록 직조한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 예로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또는 면사 등의 섬유원사를 편직, 메쉬, 더블라셀, 니트 등의 직조방식으로 직조한 직물을 적용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섬유원사를 다양한 직조방식을 직조하여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직물(30)은 상기와 같이 직조방식으로 통기성을 구현할 수도 있고, 또는 직물(30) 자체에 다수의 통기공(h)을 형성시켜 통기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EVA폼(10)과 멜라민폼(20) 또는, 멜라민폼(20)과 직물(30)은 통상의 핫멜트 필름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하여 적층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접착방법으로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인솔 제조방법은 천공된 EVA폼(10) 시트에 인솔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보강부재(21)를 형성시킨 후, 그 내부에 멜라민폼(20)을 충전하고, 최종 직물(30)로 마감하여 성형하는데, 제조방법 역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는 전제하에서 다양한 제조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아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인솔의 제조
(실시예 1)
다수의 통기공(h)이 형성된 3mm 두께의 EVA폼(10)의 상측면에 SEBS 수지로 이루어진 5mm 두께의 보강부재(21)를 인솔의 외주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적층한 후, 그 내부에 5mm 두께의 멜라민폼(20)을 충전하고, 그 상측면을 폴리에스터사로 직조한 두께 2mm의 직물(30)로 마감하여 인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다수의 통기공(h)이 형성된 3mm 두께의 EVA폼(10)의 상측면에 SIS 수지로 이루어진 5mm 두께의 보강부재(21)를 인솔의 외주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적층한 후, 그 내부에 5mm 두께의 멜라민폼(20)을 충전하고, 그 상측면을 나일론사 직조한 두께 2mm의 직물(30)로 마감하여 인솔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보강부재(21)를 사용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보강부재(21)를 사용하지 않았다.
2. 인솔의 통기성 평가
인솔의 통기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솔의 한쪽 편에서 공기를 주사시켜 반대편으로 빠져나오는지를 간이로 확인하였다. 이때,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따른 인솔의 제조 완료 후 바로 1차 통기성 시험을 수행하고, 해당 인솔을 75kg의 성인남자가 10일간 약 7km의 거리를 보행 후 2차 통기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초기 통기성 O O O O
7km 보행후
통기성
O O X X
O : 주입된 공기가 반대편으로 대부분 전달됨
X : 주임된 공기가 반대편으로 전혀 전달되지 않거나 극히 미비하게 전달됨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2에 따른 인솔은 오픈셀 구조를 가지는 멜라민폼에 의해 초기 통기성 뿐만 아니라, 멜라민폼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보강부재에 의해 장시간 착용 후에도 오픈셀 구조가 압착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어 지속적으로 우수한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음에 반해, 비교예 1, 2의 경우, 오픈셀 구조를 가지는 멜라민폼에 의해 초기 통기성은 구현되지만 장시간 착용 후 오픈셀 구조가 압착되어 통기성이 극히 미비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EVA폼 20 : 멜라민폼
21 : 보강부재 30 : 직물
h : 통기공

Claims (4)

  1. 인솔에 있어서,
    EVA폼(10);
    상기 EVA폼(10)의 상측면에 적층되는 멜라민폼(20);
    상기 멜라민폼(20)의 상측면에 적층되는 직물(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멜라민폼(20)의 외주면을 따라 보강부재(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21)는,
    SEBS 또는 SIS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VA폼(10) 또는 직물(30)은 다수의 통기공(h)이 천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VA폼(10)과 멜라민폼(20) 또는, 멜라민폼(20)과 직물(30)은 핫멜트 필름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
KR1020160045456A 2016-04-14 2016-04-14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 KR20170117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56A KR20170117707A (ko) 2016-04-14 2016-04-14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56A KR20170117707A (ko) 2016-04-14 2016-04-14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707A true KR20170117707A (ko) 2017-10-24

Family

ID=6029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456A KR20170117707A (ko) 2016-04-14 2016-04-14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77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522B1 (ko) * 2019-03-14 2019-09-16 (주)라쉬반코리아 통기성 프린트 의류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522B1 (ko) * 2019-03-14 2019-09-16 (주)라쉬반코리아 통기성 프린트 의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2427B1 (ko) 성형몸체와 내부 공동구조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가교발포성형체와 그 성형방법
US3616170A (en) Foamed sheet for making stiffening elements
US20140250727A1 (en) Combined midsole/insole
US20060156582A1 (en) Insole
US10131125B2 (en) Method of forming three-dimensional composite
CN105747373A (zh) 一种减震护足鞋垫
KR101705144B1 (ko) 내답판 일체형 밑창과 통기성이 우수한 중창을 구비한 안전화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223571B (zh) 一种软质布鞋及其生产工艺
KR20170117707A (ko)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
CN108024588B (zh) 透气鞋
WO2017219161A1 (zh) 复合式鞋垫及其制造方法
KR101956817B1 (ko) 기능성 인솔용 발포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접착 다층 기능성 인솔 제조방법
KR101503360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신발용 쿠션 및 그 제조 방법
TW200810915A (en) Method for making foamed sole pads
US20150201706A1 (en) Safety Boot with Protective Layer
KR102001227B1 (ko) 케나프를 이용한 친환경 인솔 및 그 인솔 제조방법
KR101015820B1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KR100707344B1 (ko) 재생 폴리에틸렌시트를 이용한 열융합 신발중창의 제조방법
KR100519098B1 (ko) 신발 창 및 굽 소재의 제조방법 및 구조
KR102130344B1 (ko) 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인솔,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75570A (ko) 신발안창의 제조방법
KR100604990B1 (ko) 신발 깔창의 제조 방법 및 그 신발 깔창
KR102636007B1 (ko) 한지를 이용한 신발용 갑피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신발용 갑피
CN214340469U (zh) 一种抗菌防臭eva片材
KR100593041B1 (ko) 코코넛 파이버를 이용한 신발깔창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