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5570A - 신발안창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발안창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5570A
KR20110075570A KR1020090132054A KR20090132054A KR20110075570A KR 20110075570 A KR20110075570 A KR 20110075570A KR 1020090132054 A KR1020090132054 A KR 1020090132054A KR 20090132054 A KR20090132054 A KR 20090132054A KR 20110075570 A KR20110075570 A KR 20110075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sheet
urethane foam
mold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일
Original Assignee
김주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일 filed Critical 김주일
Priority to KR102009013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5570A/ko
Publication of KR2011007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2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3/18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preformed layer being a lining, e.g. shaped in the mould before compression moulding, or a preformed shell adapted to the shape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3/20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안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구압축줄음률이 매우 적어 복원력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높고 고탄성을 지니는 특정 소재를 사용한 신발안창을 제조함으로 높은 복원력과 고탄성으로 인한 발바닥의 통증완화와 관절보호를 통해 성장이나 퇴행성 관절염에 도움을 주며, 넓은 통기구조로 인해 발바닥 땀 및 무좀과 같은 세균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안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꺼운 패널형태의 고탄성 우레탄 폼을 적정한 두께로 절단하여 고탄성 우레탄 폼 시트를 만드는 우레탄 폼 시트 형성단계와, 상기 우레탄 폼 시트의 상면에 직물지를 적층시키는 직물지 합포공정과, 상기 직물지 합포공정 후, 상기 우레탄 폼 시트를 신발안창의 형상으로 재단하여 안창시트를 형성하는 안창 재단단계와, 상기 재단된 안창시트를 열 프레스 금형에 투입하는 금형 투입단계와, 상기 금형 투입단계 후, 상기 안창시트의 끝단부 전 둘레에만 고온 및 고압을 공급하는 열 프레스단계와, 상기 열 프레스단계 단계 후, 상기 안창시트를 열 프레스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안창 분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신발, 안창, 영구압축줄음률,

Description

신발안창의 제조방법{Process manufacture of insole}
본 발명은 신발안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구압축줄음률이 매우 적어 복원력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높고 고탄성을 지니는 우레탄 폼 소재를 사용한 신발안창을 제조함으로 높은 복원력과 고탄성으로 인한 발바닥의 통증완화와 관절보호를 통해 성장이나 퇴행성 관절염에 도움을 주며, 넓은 통기구조로 인해 발바닥 땀 및 무좀과 같은 세균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안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에 대하여 개발되는 주된 기술 내용은 걷거나 뛰는 경우 인체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특수한 소재를 사용하여 신발의 중량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신발내부에 통풍을 원활히 하여 땀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의 기술적인 사항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신발 안창(insole)의 경우 인체 발바닥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기술에 주안점을 두고 개발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땀의 흡수 및 통기, 항균작용 측면에서도 많은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안창의 소재로서는 주로 폴리우레탄(Polyurethane:PU),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VA), 라텍스(Latex)를 사용하고 있으며, 발포성형과 시트형성으로 신발안창을 제조하고 있다.
즉, 발포성형으로 신발안창을 제조할 경우에는 금형내에 폴리우레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라텍스와 같은 발포소재를 투입하여 일정한 조건에서 발포시켜 신발안창을 제조한 후, 그 발포 성형된 신발안창 상측 표면에 직물지를 합포하는 과정을 통해 완료하게 된다.
또한, 시트성형으로 신발안창을 제조할 경우에는 시트형태의 폴리우레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라텍스 소재의 상측 표면에 직물지를 합포한 후, 신발안창 형태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신발안창을 금형에 투입하여 130~180℃에서 6~12분 동안 열 컨베어를 거친 다음, 10~20℃를 유지하는 냉각 프레스를 경유시킴으로써 신발안창의 끝단부분을 신발에 맞도록 유선형태의 특정한 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신발안창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신발안창의 소재로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라텍스는 높은 영구압축줄음률로 인한 복원력과 탄성력이 낮아 보행 시 충격흡수 기능이 저하됨으로써 발바닥의 통증이 발생되고 관절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없어 발바닥에서 발생되는 땀으로 인해 무좀과 같은 세균의 발생이 높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영구압축줄음률이 매우 적어 복원력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높고 고탄성을 지니는 기포구조(Open cell)의 우레탄 폼 소재를 사용하되, 금형구조를 개선하여 신발안창을 제조함으로서 높은 복원력과 고탄성의 물성유지로 인해 보행 시 충격흡수력이 뛰어나 발바닥의 통증완화와 무릎 관절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통기구조로 인해 통기성이 뛰어나 발바닥 땀 및 무좀과 같은 세균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두꺼운 패널형태의 고탄성 우레탄 폼을 적정한 두께로 절단하여 고탄성 우레탄 폼 시트를 만드는 우레탄 폼 시트 형성단계와, 상기 우레탄 폼 시트의 상면에 직물지를 적층시키는 직물지 합포공정과, 상기 직물지 합포공정 후, 상기 우레탄 폼 시트를 신발안창의 형상으로 재단하여 안창시트를 형성하는 안창 재단단계와, 상기 재단된 안창시트를 열 프레스 금형에 투입하는 금형 투입단계와, 상기 금형 투입단계 후, 상기 안창시트의 끝단부 전 둘레에만 고온 및 고압을 공급하는 열 프레스단계와, 상기 열 프레스단계 단계 후, 상기 안창시트를 열 프레스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안창 분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열 프레스 금형은 상.하부금형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하부금형 사이에 안창시트 배치 시 상기 하부금형의 바닥면과 안창시 트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발바닥 부분에 고온 및 고압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구압축줄음률이 매우 적어 복원력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높고 고탄성을 지니는 기포구조(Open cell)의 우레탄 폼을 소재로 사용하고, 금형구조를 개선하여 신발안창을 제조함으로서 높은 복원력과 고탄성의 물성유지로 인해 보행 시 충격흡수력이 뛰어나 발바닥의 통증완화와 무릎 관절보호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통기구조로 인해 통기성이 뛰어나 발바닥 땀 및 무좀과 같은 세균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신발안창의 소재로 사용되는 기포구조(Open cell)의 우레탄 폼은 영구압축줄음률이 매우 적어 복원력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높고 고탄성을 지니는 것으로서, 일예를 들면 폴리올 48 wt%, 이소시아네이트 47 wt%, 촉매 0.05 wt%, 발포제 1.25 wt%, 실리콘 정포제 2.1 wt%, 충진제 1.1wt%, 색소 0.5 wt%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탄성 우레탄 폼의 하나의 일예를 나타낸 소재로서 상기의 조성물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조회사에 따라 다르므로 그 성분 종류와 첨가비율의 범위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조성물로 이루어진 고탄성 우레탄 폼은 복원력과 통기성 및 쾌적성, 편안함(촉감)이 종래 신발안창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PU),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라텍스에 비해 매우 월등히 높다.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탄성 우레탄 폼과 종래 수지와의 복원력, 통기성, 쾌적성, 편안함(촉감)을 비교하였다.
(표 1)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탄성 우레탄 폼과 종래 수지시트의 비교.
항목 고탄성
우레탄 폼
EVA 라텍스 PU
복원력 매우 좋음 매우 나쁨 나쁨 보통
통기성 매우 좋음 매우 나쁨 매우 나쁨 매우 나쁨
쾌적성 매우 좋음 나쁨 보통 보통
편안함(촉감) 매우 좋음 나쁨 보통 보통
상기의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탄성 우레탄 폼은 폴리우레탄(PU),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라텍스와 같은 종래 수지와의 복원력, 통기성, 쾌적성, 편안함(촉감)은 매우 좋으나, 한 가지 단점은 고온 및 고압이 공급되는 열 프레스를 경유할 경우 물성이 변화되어 복원력, 통기성, 쾌적성, 편안함(촉감)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탄성 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신발안창 제조 시 열 프레스공정의 경유는 필수적이며, 이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고탄성 우레탄 폼의 물성이 저하됨으로써 종래와 같은 공정을 통해서는 신발안창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영구압축줄음률이 매우 적어 복원력이 우수하고, 통기성이 높고 고탄성을 지니는 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신발안창을 제조 시 금형의 구조를 변경하여 발바닥과 접촉되는 부분의 고탄성 우레탄 폼에는 고온 및 고압이 전달되지 않게 하고, 신발안창의 끝단부 전 둘레에만 고온 및 고압이 전달되게 하여 곡 면 등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고탄성 우레탄 폼의 물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신발안창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발안창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안창의 제조공정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안창의 제조공정 순서도로서, 먼저 도 1의 (가)에서와 같이 두꺼운 패널형태로 제조되는 고탄성 우레탄 폼(1)을 신발안창으로서의 적정한 두께로 절단하여 우레탄 폼 시트(2)를 만드는 우레탄 폼 시트 형성단계(101)를 거친 다음, 도 1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우레탄 폼 시트(2)의 상면에 직물지(3)를 접착제로 도포하는 직물지 합포공정(102)을 수행한다.
상기 직물지 합포공정(102)이 완료되면 도 1의 (다)에서와 같이 직물지(3)가 합포된 우레탄 폼 시트(2)를 신발안창의 형상으로 재단하여 안창시트(4)를 형성하는 안창 재단단계(103)를 수행한 다음, 도 1의 (라)에서와 같이 상기 재단된 안창시트(4)를 열 프레스 금형에 투입하는 금형 투입단계(104)를 수행한다.
이때, 신발안창 형상의 우레탄 폼 시트(2)로 만들어진 안창시트(4)가 투입되는 열 프레스 금형의 구조는 도 1의 (라)에서와 보는 바와 같이 상부금형(7)과 하부금형(6) 사이에 직물지(3)가 합포된 안창시트(4)가 배치되지만, 하부금형(6) 내부의 바닥면과 안창시트(4) 사이에는 공간부(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기존 열 프레스 금형의 구조와 다른 부분이다.
상기의 하부금형(6) 내부의 바닥면과 안창시트(4) 사이에 공간부(5)가 형성 되어야 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우레탄 폼 시트(2)는 고온 및 고압이 전달될 경우 물성이 변화되어 복원력, 통기성, 쾌적성, 편안함(촉감)이 급격히 떨어지게 됨으로써 발바닥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공간부(5)에 의해 고온 및 고압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우레탄 폼 시트(2)의 물성변화를 없애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부금형(7)과 하부금형(6)에 의해 안창시트(4)의 끝단부 전 둘레에만 고온 및 고압이 전달되게 하여 곡면 등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고탄성 우레탄 폼 시트의 물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신발안창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금형 투입단계(104)가 완료되면 130~180℃에서 6~12분 동안 열 프레스단계(105)를 거침으로써 안창시트(4)의 끝단부 전 둘레에만 고온 및 고압이 전달되게 하여 곡면 등을 형성한 후, 상.하부금형(7)(6)으로부터 분리하는 안창 분리단계(106)를 수행하면 도 1의 (마)에서와 같이 고탄성 우레탄 폼 시트(2)로서 신발안창(8)의 제조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탄성 우레탄 폼 시트(2)를 사용하고,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안창(8)을 기존의 수지 즉, 폴리우레탄(PU),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라텍스를 사용하여 제조된 신발안창과의 물성(비중, 경도,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 영구압축줄음률, 반발탄성율)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본 발명의 신발안창과 기존 신발안창의 물성 비교표.
시험항목 단위 본 발명의
신발안창
EVA
신발안창
라텍스
신발안창
PU
신발안창
비중 % 0.2 0.35 0.32
경도 C-Type 22ㅁ 1 29~35 26~32 34~40
인장강도 Mpa 0.4 12 5 10
신장율 % 80 240 150 180
인열강도 N/mm 1.6 5 3 4.5
영구압축줄음률 % 2.8 80 40 20
반발탄성율 % 33
상기의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탄성 우레탄 폼 시트(2)를 사용한 본 발명의 신발안창(8)은 기존의 수지를 사용한 신발안창에 비해 중, 경도,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 영구압축줄음률, 반발탄성율 모두의 항목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탄성 우레탄 폼 시트(2)를 사용한 본 발명의 신발안창(8)에 있어 영구압축줄음률은 2.8%로서 기존의 수지에 비해 현저히 적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복원력과 탄성력이 매우 뛰어남을 뜻하는 것으로서, 보행 시 충격의 흡수가 높아 발바닥의 통증완화와 관절보호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표 2에서 고탄성 우레탄 폼 시트(2)를 사용한 본 발명의 신발안창(8)의 항목측정 결과는 도 3에 도시된 한국신발.피혁연구소에서 제출된 시험성적서에 의해 기준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안창 제조공정과 같은 성형방법을 통해 고탄성 우레탄 폼의 물성변화 없이 슬리퍼, 샌달, 안창, 방석, 매트, 가방, 파우치, 보호대 등을 제조에 적용 가능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신발안창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안창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안창의 제조공정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안창의 시험성적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탄성 우레탄 폼 2 : 우레탄 폼 시트
3 : 직물지 4 : 안창시트
5 : 공간부 6 : 하부금형
7 : 상부금형 8 : 신발안창

Claims (2)

  1. 두꺼운 패널형태의 고탄성 우레탄 폼을 적정한 두께로 절단하여 고탄성 우레탄 폼 시트를 만드는 우레탄 폼 시트 형성단계(101)와,
    상기 우레탄 폼 시트의 상면에 직물지를 적층시키는 직물지 합포공정(102)과,
    상기 직물지 합포공정(102) 후, 상기 우레탄 폼 시트를 신발안창의 형상으로 재단하여 안창시트를 형성하는 안창 재단단계(103)와,
    상기 재단된 안창시트를 열 프레스 금형에 투입하는 금형 투입단계(104)와,
    상기 금형 투입단계(104) 후, 상기 안창시트의 끝단부 전 둘레에만 고온 및 고압을 공급하는 열 프레스단계(105)와,
    상기 열 프레스단계(105) 단계 후, 상기 안창시트를 열 프레스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안창 분리단계(10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안창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프레스 금형은 상.하부금형으로 구분되고,
    상기 상.하부금형 사이에 안창시트 배치 시 상기 하부금형의 바닥면과 안창시트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신발안창의 발바닥 부분에 고온 및 고압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열 프레스 금형은 신발안창의 제조방법.
KR1020090132054A 2009-12-28 2009-12-28 신발안창의 제조방법 KR20110075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054A KR20110075570A (ko) 2009-12-28 2009-12-28 신발안창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054A KR20110075570A (ko) 2009-12-28 2009-12-28 신발안창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570A true KR20110075570A (ko) 2011-07-06

Family

ID=4491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054A KR20110075570A (ko) 2009-12-28 2009-12-28 신발안창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55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1406A (zh) * 2015-07-06 2015-09-23 陕西科技大学 一种抗真菌除臭鞋垫的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1406A (zh) * 2015-07-06 2015-09-23 陕西科技大学 一种抗真菌除臭鞋垫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5040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midsole with multiple por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276191B2 (en) Crosslinked foam which has inner-cavity structure, and process of forming thereof
JP6319944B2 (ja) 運動靴用のソール
EP2520418B1 (en) Fluid-filled chambers with foam tensile membe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chambers
US886943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oured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le structures
US4977691A (en) Shoe insole with bottom surface compression relief
KR102119615B1 (ko) 사출 성형된 전구체를 발포시키는 방법
KR102290716B1 (ko) 밀링된 전구체를 발포시키는 방법
US20140360046A1 (en) Contoured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le Structures
US20050262736A1 (en) Footwear comfort componentry
CN101031212A (zh) 可移动鞋垫及带鞋垫的鞋类用品
CN1372443A (zh) 具有多级区域性缓冲的囊状件
EP2188113A1 (en) Fluid-filled chambers with foam tensile membe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chambers
US20110277348A1 (en) Responsive insoles
KR20040004293A (ko) 각 개인의 발모양 및 운동 특성에 맞는 피팅 인솔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3533A (ko) 열성형 맞춤 인솔 및 그 제조 방법
CN107095391A (zh) 一种环保鞋垫及其制备方法
US20140173945A1 (en) Footbe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10075570A (ko) 신발안창의 제조방법
CN210492853U (zh) 一种鞋底
MX2020011117A (es) Espumas a base de elastomeros termoplasticos.
KR101675344B1 (ko) 하이브리드형 기능성 인솔
KR20170117707A (ko) 통기성이 우수한 인솔
KR102648958B1 (ko) Tpu 분말을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인솔의 제조방법
KR102649410B1 (ko) 재활용 pu 스크랩 분말을 함유하는 신발용 폼 시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