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820B1 -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 Google Patents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820B1
KR101015820B1 KR1020080070064A KR20080070064A KR101015820B1 KR 101015820 B1 KR101015820 B1 KR 101015820B1 KR 1020080070064 A KR1020080070064 A KR 1020080070064A KR 20080070064 A KR20080070064 A KR 20080070064A KR 101015820 B1 KR101015820 B1 KR 101015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fabric
yarn
inso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247A (ko
Inventor
박정식
Original Assignee
(주)핼릭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핼릭스케어 filed Critical (주)핼릭스케어
Priority to KR102008007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8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92Conjugate, i.e. bi- or multicomponent,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10Bamboo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섬유사의 심사(芯絲)에 대나무사인 부사(副絲)를 2~5가닥 교차시켜 엮은 합사(合絲)를 이용하여 직조한 대나무사 원단을 신발용 내피 또는 인솔용 원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에 관한 것으로, 내마모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켜 신체의 하중이 직접 전달되는 발과 직접 접촉하는 신발용 내피나 또는 인솔용 원단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이를 내피에 적용시킨 신발이나 또는 인솔은 천연소재인 대나무의 차가운 성질을 이용하여 발에 차가운 느낌을 주고, 통기성이 우수하고, 발에서 발산하는 땀을 잘 흡수하며, 대나무에 다량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에 의해 항균성이 우수한 친환경적 특성을 갖고, 또한 본체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제에 함유된 황토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발의 피로감을 쉽게 풀어주며, 소나무 분말에 함유된 피톤치드(phytoncid)에 의해 항균력의 더욱 향상된 것이 장점이다.
대나무사 원단, 신발 내피, 인솔, 심사(芯絲), 부사(副絲), 합사(合絲)

Description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Bamboo fiber for shoes inside lining and Insole therof}
본 발명은 합성섬유사의 심사(芯絲)에 대나무 원사인 부사(副絲)를 교차시켜 엮은 합사(合絲)를 이용하여 직조한 대나무사 원단을 신발용 내피 또는 인솔용 원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대나무에 다량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에 의해 항균성이 우수하고, 천연섬유의 사용으로 통기성과 땀 흡수성이 우수하고, 합성섬유사의 심재 사용으로 내마모성이 우수한 친환경적 특성을 갖는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능성 신발 시장이 크게 활성화되면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신발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신발로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마사이족 신발의 형상을 본뜬 신발인 워킹화가 유행하면서 그동안 침체된 국내 신발산업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고 있는 것과 같이 새로운 기능성 신발의 개발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동안 개발되었던 종래의 기능성 신발들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0060호와 같이 마사이족 신발의 형상을 본뜬 신발인 워킹화와,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157576호와 같이 중창과 밑창에 다수개의 통기공을 형성시켜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육상용 신발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71944호에 항균 탈취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나무 숯을 첨가한 인솔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는 등 다양한 성능의 기능성이 부여된 신발들이 특허 등록된 바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기능성 신발들은 사용 목적에 따른 기능성의 부여와 함께 땀 흡수용이성, 통기성, 항균성, 내충격성 등과 같은 성능들이 함께 부여되고 있지만 그동안 개발되었던 종래의 기능성 신발들의 대부분은 신발의 내피나, 또는 인솔의 원단을 주로 합성섬유 원단을 사용함에 따라 땀 흡수성이나 통기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유행하고 있는 대나무사 원단은 비스코스(Viscose) 공법을 이용하여 습식 방사하면 대나무 솜(bamboo fiber)이 나오고 이후 방적, 제직, 염색가공을 거쳐 실크처럼 부드러운 대나무 원사가 생산되고, 이 원사를 이용하여 직조시킨 것이다. 대나무 원사는 실크와 같은 광택과 질감 및 우수한 복원력을 나타내며, 흡습성이 뛰어나 땀의 흡수성이 우수하고, 천연소재로서 통기성이 있고, 대나무에 다량의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어 항균성과 항진드기성 및 소취성능이 대단히 뛰어 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최근 속옷, 티셔츠, 스타킹, 여성의류, 침구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대나무사 원단은 신발의 내피나 또는 인솔 원단에 적용시키면 대나무의 차가운 성질에 의해 발바닥에서 발생하는 열을 억제하고, 통기성, 땀 흡수성, 항균성, 소취기능 등이 우수하지만 천연소재인 대나무사 원단의 내구성이 약해 신체의 하중을 직접 전달받는 부위인 신발용 내피나 또는 인솔용 원단으로 사용할 경우 대나무사 원단이 쉽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나무사 원단의 원사를 합성섬유사의 심사(芯絲)에 대나무사인 부사(副絲)를 교차시켜 감싼 상태의 합사(合絲)를 이용하여 직조한 대나무사 원단을 개발하여 신발용 내피 또는 인솔용 원단에 적용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합성섬유사의 심사(芯絲)에 대나무 원사인 부사(副絲)를 교차시켜 엮은 합사(合絲)를 이용하여 직조한 대나무사 원단을 신발용 내피나 또는 인솔용 원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내마모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켜 신체의 하중이 직접 전달되는 발과 직접 접촉하는 신발의 내피나 또는 인솔의 원단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친환경적 특성을 갖는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솔용 원단에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시킴으로써, 천연소재인 대나무의 차가운 성질을 이용하여 발에 차가운 느낌을 주고, 통기성이 우수하고, 발에서 발산하는 땀을 잘 흡수하며, 대나무에 다량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에 의해 항균성이 우수하고, 또한 본체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제에 함유된 황토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발의 피로감을 쉽게 풀어주며, 소나무 분말에 함유된 피톤치드(phytoncid)에 의해 항균력의 더욱 향상되어 쾌적한 착화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시킨 인솔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나무사 원단(10)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사 원단(10)은 합성섬유사인 심사(11)에 대나무 원사인 부사(12)를 교차시켜 엮은 합사(合絲)를 이용하여 직조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단, 상기 합성섬유사인 심사(11)는 대나무사 원단(10)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일론사. 폴리에스테르사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나무사인 부사(12)는 2~5가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시킨 신발용 인솔은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한 인솔은 본체와 그 상부에 접착된 원단으로 이루어진 인솔(20)에 있어서,
상기 원단(21)은 대나무사 원단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본체(22)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시킨 인솔을 다른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단 상기 본체(22)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체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 중량부, 황토 분말 10~15 중량부, 소나무 분말 5~10 중량부, 발포제 5~10 중량부, 가교제 1~3 중량부, 산화아연 1~5 중량부 및 안료 0.5~5 중량부를 혼합시킨 조성물을 이용하여 발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합성섬유사의 심사(芯絲)에 대나무 원사인 부사(副絲)를 2~5가닥 교차시켜 엮은 합사(合絲)를 이용하여 직조한 대나무사 원단을 신발용 내피 또는 인솔용 원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신체의 하중이 직접 전달되는 발과 직접 접촉하는 신발의 내피나 또는 인솔의 원단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이를 내피에 적용시킨 신발이나 또는 인솔은 천연소재인 대나무의 차가운 성질을 이용하여 발에 차가운 느낌을 주고, 통기성이 우수하고, 발에서 발산하는 땀을 잘 흡수하며, 대나무에 다량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에 의해 항균성이 우수하여 쾌적한 착화감을 느낄 수 있는 친환경적 특성을 갖는 것이 장점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을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나무사 원단(10)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사 원단(10)은 합성섬유사인 심사(11)에 대나무 원사인 부사(12) 를 교차시켜 엮은 상태의 합사(合絲)를 이용하여 직조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부사(12)인 대나무 원사는 실크와 같은 광택과 질감 및 우수한 복원력을 나타내며, 흡습성이 뛰어나 땀의 흡수성이 우수하고, 천연소재로서 통기성이 있고, 대나무에 다량의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어 항균성과 항진드기성 및 소취성능이 대단히 뛰어난 특성을 있어 최근 속옷, 티셔츠, 스타킹, 여성의류, 침구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심사(11)는 대나무사 원단(10)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일론사. 폴리에스테르사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에서 열거한 종류와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갖는 원사일 경우에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대나무사 원단(10)에 사용하는 대나무사는 합성섬유사인 심사(11)에 2~5가닥의 대나무 원사인 부사(12)를 교차시켜 엮은 합사(合絲)로서, 요구되는 물성의 정도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섬유사의 심사(11)에 3가닥의 대나무 원사인 부사(12a, 12b, 12c)를 서로 교차시켜 엮은 합사(合絲)를 제조하거나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섬유사의 심사(11')에 4가닥의 대나무 원사인 부사(12'a, 12'b, 12'c 및 12'd)를 서로 교차시켜 엮은 합사(合絲)를 제 조한다.
상기 부사(12)의 가닥 수는 2~5가닥으로 한정하고 있으나 상기에서 정한 가닥 수에만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사(副絲)의 가닥 수는 상기 범위의 가닥 수에만 반드시 한정되지않고 필요에 따라서는 그 가닥 수가 적절히 조정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한 인솔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시킨 신발용 인솔을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신발용 안창의 본체와 원단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며, 또한 도 4는 도 2의 신발용 안창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한 인솔은 본체와 그 상부에 접착된 원단으로 이루어진 인솔(20)에 있어서,
상기 원단(21)은 대나무사 원단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본체(22)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인솔용 원단으로 사용하는 대나무사 원단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가 있어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솔용 본체로 사용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체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 중량부, 황토 분말 10~15 중량부, 소나무 분말 5~10 중량부, 발포제 5~10 중량부, 가교제 1~3 중량부, 산화아연 1~5 중량부 및 안료 0.5~5 중량를 혼합시킨 조성물을 이용하여 발포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을 발포 성형시키는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가열하여 발포시킨 발포체를 재단한 다음 유압 프레스 금형에 압착 성형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황토는 분말의 상태로서,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발바닥의 피로감을 풀어주고, 발에서 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황토의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황토의 사용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에 무기분말인 황토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발포체의 탄성감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소나무 분말은 다량의 피톤치드(phytoncid)가 함유되어 있고, 이 피톤치드에 함유된 휘발성분인 테레핀 정유에 의해 항균력의 성능이 좋아지며, 소나무 분말의 사용량이 5 중량부 미만이 될 경우에는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성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소나무 분말의 사용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에 소나무 분말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발포체의 탄성감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로서, 발포제 5~10 중량부, 가교제 1~3 중량부, 산화아연 1~5 중량부 및 안료 0.5~5 중량부를 상기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첨가하여 발포시키며, 상기와 같은 첨가제는 본 발명의 특징이 되지는 않는다.
참고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제는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아미드계, 디아조미노엑소벤젠계,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계, P,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계, P-톨루엔술포닐하이드라지드계 또는 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교제는 유기과산화물인 디큐밀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벤졸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나 또는 디테트라부틸퍼옥사이 드(DTBP)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료의 경우에는 소비자의 요구나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솔의 원단에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시킴으로써, 천연소재인 대나무의 차가운 성질을 이용하여 발에 차가운 느낌을 주고, 통기성이 우수하고, 발에서 발산하는 땀을 잘 흡수하며, 대나무에 다량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에 의해 항균성이 우수하며, 또한 본체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제에 함유된 황토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발의 피로감을 쉽게 풀어주며, 소나무 분말에 함유된 피톤치드(phytoncid)에 의해 항균력의 더욱 향상시킨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아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한 인솔
(실시 예 1)
EVA 100kg, 황토 분말 10kg, 소나무 분말 5kg, 아조디카본아미드 발포제 5kg, 디큐밀퍼옥사이드 가교제 1kg, 산화아연 1kg 및 안료 0.5kg을 110℃의 로울밀에서 10분간 배합한 후, 금형에 충전하여 온도 130℃, 압력 150kgf/의 프레스에서 50분간 경화, 발포시켜 EVA 발포체를 제조한 다음 컷팅기를 이용하여 재단한 다음 냉각프레스 금형에 넣고, 그 상부에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일론사의 심사에 3가닥의 대나무 원사인 부사를 서로 교차시켜 엮은 합사(合絲)를 이용하여 직조한 원단을 적층시킨 다음 300kgf/의 압력을 가하여 압착 성형하여 인솔을 제조하였다. .
(실시 예 2)
상기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한 인솔을 제조하되, EVA 발포체는 EVA 100kg, 황토 분말 15kg, 소나무 분말 10kg, 아조디카본아미드 발포제 10kg, 디큐밀퍼옥사이드 가교제 3kg, 산화아연 5kg 및 안료 5kg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의 방법에 따라 발포시킨 다음 인솔을 제조하였다.
(비교 예 1)
상기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인솔을 제조하되, 인솔의 원단을 면과 폴리에스테르사가 혼합된 혼방섬유를 사용하고, 인솔 본체에 황토분말과 소나무 분말을 혼합하지 않은 조성물을 이용하여 발포시켰다.
(비교 예 2)
상기 실시 예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인솔을 제조하되, 인솔의 원단을 면과 폴리에스테르사가 혼합된 혼방섬유를 사용하고, 인솔 본체에 황토분말과 소나무 분 말을 혼합하지 않은 조성물을 이용하여 발포시켰다.
2. 인솔의 평가
상기 실시 예 1, 2 및 비교 예 1, 2에 대한 착화감, 항균시험, 소취성 시험 및 흡수율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1]의 내용과 같다.
검사항목 단위 및 기준 실시 예 비교 예
1 2 1 2
착화감1 ) 관응시험(성인남녀 각 5명) 5 5 3 3
항균시험(%) Stat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99.9 99.9 48.5 47.3
소취성 시험(%) NH3, 가스검지관법
(120min)
99.9 99.9 51.3 50.7
흡수율 시험(%) 비교예 대비 137.2 138.6 100 100
1) 착화감은 성인남녀 각 5명을 선발하여 신을 신어본 후 착화감이 아주 부드럽고 시원한 느낌이 있으면 5, 약간 부드럽고 시원한 느낌이 있으면 4, 착화감과 시원한 느낌이 보통이면 3, 착화감이 약간 나쁘면 2, 착화감이 아주 나쁘면 1로 평가한 다음 합산 후 정수로 표기한 것임.
상기 표 1의 내용에 따르면, 실시 예 1, 2의 경우에는 인솔에 대나무사 원단을 사용함에 따라 비교 예 1, 2에 비해 항균성, 소취성 및 흡수율(땀 흡수성)의 성능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 예 1, 2가 비교 예 1, 2에 비해 모든 검사항목이 월등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인솔의 원단을 대나무사 원단을 사용하였음은 물론이고, 인솔 본체의 발포체 조성물로서 황토와 소나무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상기의 성능들이 더욱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 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우수성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히 설명하였으며,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시킨 신발용 인솔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신발용 안창의 본체와 원단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신발용 안창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나타낸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대나무사 원단 11, 11' : 심사(芯絲)
12, 12' : 부사(副絲) 20 : 인솔
21 : 인솔용 원단 22 : 본체

Claims (5)

  1. 대나무사 원단(10)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사 원단(10)은 합성섬유사인 심사(11)에 대나무 원사인 부사(12)를 교차시켜 엮은 상태의 합사(合絲)를 이용하여 직조한 원단으로써,
    상기 대나무인 부사(12)는 2~5 가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사인 심사(11)는 합성섬유사는 나일론사. 폴리에스테르사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3. 삭제
  4.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한 인솔은 본체와 그 상부에 접착된 원단으로 이루어진 인솔(20)에 있어서,
    상기 원단(21)은 대나무사 원단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본체(22)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발포체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 중량부, 황토 분말 10~15 중량부, 소나무 분말 5~10 중량부, 발포제 5~10 중량부, 가교제 1~3 중량부, 산화아연 1~5 중량부 및 안료 0.5~5 중량부를 혼합시킨 조성물을 이용하여 발포시킨 것을 특징으로 대나무사 원단을 적용한 인솔.
  5. 삭제
KR1020080070064A 2008-07-18 2008-07-18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KR101015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064A KR101015820B1 (ko) 2008-07-18 2008-07-18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064A KR101015820B1 (ko) 2008-07-18 2008-07-18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47A KR20100009247A (ko) 2010-01-27
KR101015820B1 true KR101015820B1 (ko) 2011-02-22

Family

ID=4181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064A KR101015820B1 (ko) 2008-07-18 2008-07-18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8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5056B (zh) * 2012-09-04 2015-02-25 福建鑫华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型竹原纤维鞋垫材料及其生产方法
CN109965454A (zh) * 2019-03-25 2019-07-05 白相如 一种新型环保鞋垫及其生产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7905A (ja) * 2002-12-11 2004-07-08 Toray Ind Inc 敷物類
US20070251206A1 (en) 2006-04-27 2007-11-01 Ann Margaret Kline Recyclable chenille yarn
JP2008069482A (ja) * 2006-09-14 2008-03-27 Unitika Textiles Ltd 複合紡績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7905A (ja) * 2002-12-11 2004-07-08 Toray Ind Inc 敷物類
US20070251206A1 (en) 2006-04-27 2007-11-01 Ann Margaret Kline Recyclable chenille yarn
JP2008069482A (ja) * 2006-09-14 2008-03-27 Unitika Textiles Ltd 複合紡績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47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127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proof and breathable shoes, and shoe upper structure of waterproof and breathable shoes
KR101686896B1 (ko) 양모섬유를 이용한 신발 및 신발의 제조에 이용되는 갑피의 제조방법
KR101151483B1 (ko) 대마를 이용한 신발깔창 및 그 제조방법
KR101605119B1 (ko) 냉감지속성이 우수한 하계 의류용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3071679A1 (zh) 棕榈保健鞋
KR101015819B1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콩 섬유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CN103564664A (zh) 一种具有缓冲脚掌压力的丝袜及其生产工艺
KR100652145B1 (ko) 기능성 압박 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101015820B1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신발 내피용 대나무사 원단 및 이를 적용한 인솔
CN113303548A (zh) 一种天然抗菌汉麻休闲运动鞋
CN202697896U (zh) 一种透气吸汗的运动鞋
CN212488743U (zh) 一种防水透气运动鞋
KR101673376B1 (ko) 투습방수기능을 가진 신발
KR102636007B1 (ko) 한지를 이용한 신발용 갑피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신발용 갑피
KR101752712B1 (ko) 한지양말 및 그 제조 방법
CN215303083U (zh) 一种透气防臭型袜子
CN217644668U (zh) 一种高透气性的飞织运动鞋
WO2019100401A1 (zh) 一种防脚臭的袜子
CN220000975U (zh) 一种休闲皮鞋
KR200439364Y1 (ko) 스포츠 양말
CN220275042U (zh) 一种具有立体装饰层的复合针织鞋面
CN213604418U (zh) 一种吸湿透气型汉麻纤维袜子
CN214317183U (zh) 一种调节温度的防护鞋靴
CN214317178U (zh) 一种透气型运动鞋
CN217851391U (zh) 一种抗起球防勾丝的运动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