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408A -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408A
KR20170116408A KR1020160044103A KR20160044103A KR20170116408A KR 20170116408 A KR20170116408 A KR 20170116408A KR 1020160044103 A KR1020160044103 A KR 1020160044103A KR 20160044103 A KR20160044103 A KR 20160044103A KR 20170116408 A KR20170116408 A KR 20170116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andle
inner space
battery modu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5753B1 (ko
Inventor
김재환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75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납장치에는, 내부공간에 손잡이부가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과, 제3하우징으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서, 하나의 일면이 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커버하는 손잡이하우징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하우징은 적어도 일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납장치의 제조 방법은, 판재를 다수의 하우징 및 손잡이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와, 절단된 판재의 일부분을 다수의 하우징 및 손잡이부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절곡하는 단계와, 다수의 하우징 및 손잡이부의 일부분을 가공하는 단계와, 다수의 하우징 중 일 하우징에 손잡이부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를 압입하여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하우징 및 손잡이부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서로 접하는 부분을 용접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하우징을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소재의 낭비를 방지 및 재료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제작공정이 간소화되어,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압입공정함으로써, 손잡이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 방법{Battery Storage Device and Making Method}
본 발명은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있어서, 석유나 석탄, 천연가스와 같은 에너지 자원이 점차 고갈되고, 환경오염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면서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수많은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을 들 수 있다.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는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 등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 모듈에 저장한 후,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선택적,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이용하면 시간대 및 계절별 변동이 큰 전기부하를 평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반적인 부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전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전력설비증설에 필요한 투자비와 운전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기요금을 인하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는 배터리 모듈이다.
배터리 모듈은 저장방식에 따라 크게 물리적 에너지 저장과 화학적 에너지 저장으로 구분된다. 물리적 에너지 저장으로는 양수발전, 압축 공기 저장, 플라이휠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그리고, 화학적 에너지 저장으로는 리튬이온 배터리, 납축전지, Nas 전지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최근에는,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하고, 에너지의 저장이 가능한 이차 전지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반복적으로 에너지의 저장이 가능한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차 전지는 사용되는 소비처의 소비전력에 따라서 다수의 이차 전지를 하나의 모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의 장점을 이용하여,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양한 배터리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배터리 모듈은 사용되는 소비처의 소비전력에 따라서 대용량의 전력을 취급함으로써,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은 전기적 에너지와 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주변환경의 변화에 반응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요인 및 안전문제로부터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납장치 등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0650호, "배터리 수납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서브 수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하여 측면플레이트와 지지바를 결합하는 서브 수납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 수납장치를 적층하여 하나의 수납장치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또한, 하나로 형성된 수납장치는 별도의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하여만 고정이 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플레이트와, 지지바 및 서브 수납장치 각각을 형성하여야 함으로써, 제조공정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조공정이 증가됨에 따라서 제조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플레이트, 지지바 및 서브 수납장치 각각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재가 증가됨으로써, 소재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0650호, "배터리 수납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서브 수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의 도 9 내지 도 10, 및 그와 관련되는 설명.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작공정을 간소화하여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이 감소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작공정에서 사용되는 소재를 알맞게 사용하여 소재의 낭비를 방지하는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납장치에는, 내부공간에 손잡이부가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면 및 상면을 커버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배터리모듈의 후면 및 양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하여 커버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배터리모듈이 지지되는 제3하우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일면이 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은 적어도 일면의 양측 단부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3하우징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및 상기 제3하우징 각각에는 단부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연장부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면은 서로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를 커버하는 손잡이하우징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하우징은 적어도 일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납장치의 제조 방법은, 판재를 다수의 하우징 및 손잡이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단된 판재의 일부분을 다수의 하우징 및 손잡이부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하우징 및 손잡이부의 일부분을 가공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하우징 중 일 하우징에 손잡이부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를 압입하여 형성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하우징 및 손잡이부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서로 접하는 부분을 용접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하우징을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사용되는 소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하우징 및 손잡이부를 하나의 소재로 제작 가능함으로써, 재료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제작공정이 간소화됨으로써,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압입공정함으로써, 손잡이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절곡된 일부분을 용접하여 연결함으로써, 하우징의 완성도 및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수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배터리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배터리모듈의 사시도,
도 4는 제1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제2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제3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손잡이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고정부의 단면도,
도 9는 손잡이하우징의 사시도,
도 10은 손잡이부의 단면도,
도 11은 하우징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손잡이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손잡이하우징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실시예 임에도 불구하고,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되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수납장치(1)에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는 배터리모듈(11)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수납장치(1)는 실내공간 또는 실외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수납장치(1)는 상기 배터리수납장치(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상기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공간에는 건물, 가옥 등의 내부에 제공되는 방 또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10)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11)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실내공간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적층되어 제공됨으로써,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에너지 저장용량도 증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10)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이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경우, 상기 배터리모듈(11)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유지보수작업 및 상기 하우징(10)의 조립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배터리모듈(11)을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을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하우징(10)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공간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물방울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손잡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배터리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내부공간(s)에는 배터리모듈(11)이 수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내부공간의 전면 및 상면을 커버하는 제1하우징(20)과, 상기 내부공간의 후면과 양측면을 커버하는 제2하우징(30)과, 상기 내부공간의 하면과 전면 일부를 커버하는 제3하우징(40)으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체결부재(6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60)에는 제1체결부재(61), 제2체결부재(62), 및 제3체결부재(6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60)는 상기 하우징(10)의 결합을 위하여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체결부재(61), 상기 제2체결부재(62), 및 상기 제3체결부재(63)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른 측면으로, 상기 제1하우징(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전면 및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기 배터리모듈(11)의 후면 및 양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40)은 상기 배터리모듈(11)의 하면 및 전면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20)은 상기 제1체결부재(61)에 의하여 상기 제2하우징(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40)은 상기 배터리모듈(11)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제3체결부재(63)에 의하여 상기 제3하우징(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기 제2체결부재(62)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모듈(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제1체결부재(61), 상기 제2체결부재(62), 및 상기 제3체결부재(63)에 의하여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손잡이부(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는 결합부재(70)에 의하여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20), 상기 제2하우징(30), 및 상기 제3하우징(40)이 결합됨으로써, 외부공간과 구획되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공간과 구획된 내부공간에 상기 배터리모듈(11)이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배터리수납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배터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모듈(11)은 다수개의 배터리가 하나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배터리가 수요처의 용량에 맞게 구성된 다량의 셀(Cell)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에는, 리튬이온베터리(LiB), 납축전지, 나트륨유황전지(NaS), 레독스흐름전지(RFB), 수퍼캐패시터(SuperCapaci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11)은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제3하우징(4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는 후술할 제2체결부재(62)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두 면을 고정하는 "ㄱ"형상의 프레임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결합홈(121)이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의 하단에는 후술할 지지부재(411)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411)에는 상기 제3체결부재(63)가 결합되는 제3체결부재결합홈(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411)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제1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하우징(20)은 상기 내부공간의 전면을 커버하는 제1전면부(21)와, 상기 내부공간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부(23)와, 상기 제1전면부(21)와 상기 상면부(23)를 연결하는 제1벤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면부(21)와, 상기 상면부(23)와, 상기 제1벤딩부(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면부(21)의 일부분이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어, 상기 상면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20)은 좌측면에서 바라보면, "ㄱ"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상기 제1전면부(21)와 평행한 면과 상기 상면부(23)와 평행한 면이 만나는 부분은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면부(21)와 상기 상면부(23)가 이루는 일정한 각도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에 고이는 물방울의 이동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정한 각도가 90도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에 고이는 물방울은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반면, 상기 일정한 각도가 90도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에 고이는 물방울은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전면부(21)와 상기 상면부(23)가 이루는 일정한 각도는 90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작공정이 편리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20)에는 상기 제2하우징(30)과 결합하기 위한 제1연장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양측면 및 후면에서 상기 제2하우징(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제1전면부(21)의 양측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상면부(23)의 양측면에서 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상면부(23)의 후면에서 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제1하우징(20)이 상기 제2하우징(30)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20)의 각 단부에서 상기 제2하우징(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하우징(20)이 상기 제2하우징(30)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에 고이는 물방울이 상기 제1하우징(20)과 상기 제2하우징(3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24)에는 상기 제1하우징(20)을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61)가 관통하는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은 다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은 상기 제1연장부(24)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은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1체결부재결합홈(36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부재(61)가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을 관통한 후, 상기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에 체결되면, 상기 제1하우징(20)과 상기 제2하우징(30)은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제2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기 내부공간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부(31)와, 상기 내부공간의 좌측면을 커버하는 좌측면부(33)와, 상기 내부공간의 우측면을 커버하는 우측면부(35)와, 상기 후면부(31)와 상기 좌측면부(33)를 연결하는 제2벤딩부(32)와, 상기 후면부(31)와 상기 우측면부(35)를 연결하는 제3벤딩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부(31), 상기 좌측면부(33), 상기 우측면부(35), 상기 제2벤딩부(32), 및 상기 제3벤딩부(3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면부(31)의 일부분이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어, 상기 좌측면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31)의 타부분이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우측면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면에서 바라보면,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면부(31)로부터 상기 좌측면부(33)와 상기 우측면부(35)가 벤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하우징(30)을 제작하는 공정이 간편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면, 전면, 및 저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30)의 개구된 상면, 전면은 상기 제1하우징(20)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하우징(30)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부(23)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3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전면부(21)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20)의 각 단부에서 상기 제2하우징(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4)의 내면은 상기 제2하우징(30)의 외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상기 제1연장부(24)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연장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연장부(36)는 상기 후면부(31), 상기 좌측면부(33), 및 상기 우측면부(35)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부(33) 및 상기 우측면부(35)에서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전면부(21)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연장부(36)는 상기 제1연장부(24)와 결합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20)은 상기 제2하우징(30)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제1하우징(20)의 내측으로 상기 제2하우징(30)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20)과 상기 제2하우징(30)의 결합부분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물방울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상기 제1하우징(20)을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61)가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은 상기 후면부(31), 상기 좌측면부(33), 및 상기 우측면부(35)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은 상기 제1연장부(24)에 의하여 커버되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은 상기 제2연장부(36)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은 상기 후면부(31), 상기 좌측면부(33), 및 상기 우측면부의 테두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연장부(24)가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2연장부(36)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제2연장부(36)의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연장부(24)의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재(61)는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을 관통한 후 상기 제2체결부재결합홈(1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0)의 좌측면부(33) 및 우측면부(35)에는 손잡이부(50)가 장착되기 위한 손잡이설치홀(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은 상기 좌측면부(33) 및 상기 우측면부(35)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이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하우징(10)의 무게를 효율적으로 분산하기 위하여 설정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은 상대적으로 상기 좌측면부(33) 및 상기 우측면부(35)의 상방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설치홀(39)에 설치되는 상기 손잡이부(50)를 잡기 위하여 사용자가 몸을 숙이는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하우징(30)의 좌측면부(33) 및 우측면부(35) 각각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을 고정하는 제2체결부재(62)가 관통할 수 있는 제2체결부재관통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62)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관통홀(331)은 상기 제2체결부재결합홈(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체결부재(62)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2체결부재관통홀(331)을 관통한 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의 제2체결부재결합홈(12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3하우징(4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제2체결부재(62)에 의하여 상기 제2하우징(30)의 좌측면부(33) 및 우측면부(3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31)에는 외부공간에서 상기 배터리모듈(11)로 연결되는 전선, 케이블 등이 관통할 수 있는 전선관통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관통홀(311)의 상방에는 상기 전선관통홀(311)로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재(37)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전선관통홀(311)로 물방울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선관통홀(311)을 기준으로 양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후면부(3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37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371)는 상기 후면부(31)에서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부(23)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전선관통홀(311)이 차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부(23)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면부(23)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1연장부(24)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제2하우징(30)에서 상기 제1하우징(20)을 분리할 경우, 상기 제1하우징(20)과 함께 분리됨으로써, 조립과정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외관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은 전도되는 문제에 취약한 점이 있다. 이때,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돌출부(371)에서 상기 후면부(31)와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3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372)는 상기 제1돌출부(371)의 단부에서 상기 후면부(31)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372)는 실내공간의 벽, 또는 지지대 등에 스크류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돌출부(372)에는 상기 스크류부재(미도시)가 상기 제2돌출부(372)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돌출부(372)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미도시)가 제공되어 상기 스크류부재(미도시)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부재(미도시)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미도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돌출부(372)가 실내공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도를 방지하는 전도방지부재로도 이해할 수 있다.
도 6은 제3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하우징(40)은 상기 내부공간의 하면을 커버하는 하면부(41)와, 상기 내부공간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는 제2전면부(42)와, 상기 하면부(41)와 상기 제2전면부(42)를 연결하는 제4벤딩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면부(41), 상기 제2전면부(42), 및 상기 제4벤딩부(4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면부(41)의 일부분이 상면을 항햐는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어, 상기 제2전면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하우징(40)은 우측면에서 바라보면, "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면부(41)로부터 상기 제2전면부(42)가 벤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3하우징(40)을 제작하는 공정이 간편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면부(41)의 상면에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41)의 상면에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을 지지하기 위한 배터리모듈고정부(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가 고정되는 상기 하면부(41)의 상면에는 지지부재(41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11)는 상기 배터리모듈(11) 또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와 상기 하면부(41)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411)는 와셔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셔는 고무, 금속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모듈(11) 또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하면부(41)로부터 상기 지지부재(411)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 또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이 상기 하면부(4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하면부(41)의 상면에 침투된 물방울이 상기 배터리모듈(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41)의 저면에는 패킹부재(41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12)는 상기 하면부(41)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상기 제3체결부재(63)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면부(41)의 저면에는, 상기 제3체결부재(63)가 관통할 수 있는 제3체결부재관통홀(4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41)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411)에는 상기 제3체결부재결합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12)는 상기 제3하우징(40)의 하면부(41)를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12)는 고무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412)는 상기 고무재질과 상기 금속재질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킹부재(412)의 내부는, 상기 제3체결부재(63)가 체결되는 부분은 금속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412)의 내부를 감싸는 외부에는 상기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패킹부재(412)는 상기 제3체결부재(63)에 의하여 상기 제3체결부재결합홈(122)에 결합됨으로써, 제3하우징(40)의 저면에서 물방울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41)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됨으로써, 상기 하면부(41)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재(63)는 상기 하면부(41)의 상면에 지지되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와 상기 하면부(41)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411)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와 상기 지지부재(41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는 상기 제3체결부재(63)가 결합될 수 있는 제3체결부재결합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체결부재(63)는 상기 하면부(41), 상기 지지부재(411)에 형성된 상기 제3체결부재관통홀(413)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3체결부재(63)는 상기 하면부(41)와 상기 지지부재(411)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의 제3체결부재결합홈(122)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하면부(41), 상기 지지부재(411), 및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를 상기 제3체결부재(63)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을 조립과정에서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2전면부(42)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전면부(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전면부(42)는 상기 제1전면부(21)를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면부(21)의 일 단부와 상기 제2전면부(42)의 일 단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방향의 외부에서,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물방울이 튀어올라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41)의 양측면 및 후면에서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는 제3연장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연장부(44)는 상기 제3하우징(40)의 양측면 및 후면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30)이 상기 제3하우징(40)에 결합되면, 상기 제3연장부(44)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기 제3하우징(40)보다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하우징(30)의 후면부(31), 좌측면부(33), 및 우측면부(35)는 상기 제3하우징(40)의 하면부(41) 보다 하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하우징(40)은 상기 제2하우징(30)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 및 후면방향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물방울이 튀어올라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면부(42)의 상단에서 상기 제1전면부(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연장부(45)는 상기 제2전면부(42)보다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연장부(45)는 상기 제1전면부(21)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연장부(45)는 상기 제1전면부(21)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2전면부(42)의 제4연장부(45)가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전면부(21)의 내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전면부(21)와 상기 제2전면부(42)의 사이로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전면부(42)의 양측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연장부(46)가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5연장부(46)는 상기 제3하우징(40)의 하면부(41)와 상기 제4연장부(45)의 사이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5연장부(46)는 상기 하면부(41)와 상기 제2전면부(42)의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4벤딩부(43)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20), 상기 제2하우징(30), 및 상기 제3하우징(40)이 결합될 때 발생되는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연장부(46)는 상기 제3연장부(44)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손잡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50)는 제2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좌측면부(33)와 상기 우측면부(35)의 내면에는 상기 손잡이부(5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8)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상하 방향에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8)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에서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상방에 형성되는 고정부(38)를 제1고정부(381)로,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하방에 형성되는 고정부(38)를 제2고정부(382)라 칭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8)에는 상기 손잡이부(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손잡이(51)와, 상기 손잡이(51)를 커버하는 손잡이하우징(5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상기 제2하우징(30)에 일부분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하우징(52)과 상기 제2하우징(30)이 접촉하는 사이공간에 방수부재(5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51)에는 상기 제1고정부(381)에 지지되는 연결부(511)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그립부(51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11)와 상기 그립부(512)는 서로 다른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512)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11)는 상기 손잡이(51)를 제2하우징(30)의 제1고정부(381)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11)와 상기 그립부(5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511)의 일부분을 벤딩(Bending)하여 상기 그립부(5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512)는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51)를 잡는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립부(512)의 두께는 연결부(511)의 두께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는 상기 손잡이(51)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피로감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11)를 벤딩하여 상기 그립부(512)를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511)에는 상기 고정부(38)에 고정되는 제1관통홀(5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511)에는 상기 제1고정부(381)과 대응되는 크기의 상기 제1관통홀(51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11)의 제1관통홀(513)은 상기 제1고정부(38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11)의 제1관통홀(513)이 상기 제1고정부(381)에 삽입되면, 상기 손잡이(51)는 상기 제1고정부(38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38)의 제2고정부(382)에는 상기 방수부재(53)가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방수부재(53)에는 상기 제2고정부(382)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3관통홀(5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부재(53)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을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방수부재(53)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1방수부재(531)와,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양측방에 배치되는 제2방수부재(53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양측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수부재(531)에는 상기 제3관통홀(53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방수부재(531)는 상기 제2고정부(38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방수부재(531)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상기 제1방수부재(5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양측방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방수부재(531)와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수부재(531)와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3방수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수부재(53)는 제1방수부재(531)와 상기 제2방수부재(532)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2하우징(30)과 상기 손잡이부(50)의 사이공간에 상기 방수부재(53)가 제공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하우징(30)과 상기 손잡이부(50)의 사이공간으로 물방울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상기 손잡이(51)와 상기 방수부재(53)가 상기 고정부(38)에 고정되면, 상기 손잡이(51)와 상기 방수부재(53)를 커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하우징(52)에는 상기 제1고정부(381)에 대응되는 제2관통홀(52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하우징(52)에는 상기 제2고정부(382)에 대응되는 제4관통홀(52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상기 손잡이(51)와 상기 방수부재(53)를 커버한 상태로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38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이 상기 제1고정부(381) 및 상기 제2고정부(382)에 결합되면,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제2관통홀(525)은 상기 제1고정부(38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제4관통홀(526)은 상기 제2고정부(38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하우징(52)과 상기 제2하우징(30)의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51) 및 상기 방수부재(53)가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정부(38)에 결합부재(70)를 체결하여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을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은 상기 손잡이하우징(52)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에 손을 투입하여, 상기 손잡이(51)를 잡을 수 있다.
도 8은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8)는 상기 제2하우징(30)이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8)는 상기 손잡이부(5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8)는 상기 손잡이부(50)를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50)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0)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8)는 일정한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38)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양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8)에는 상기 손잡이부(5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38)에는 하우징(10) 및 배터리모듈(11)의 무게가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8)는 일정한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8)는 상기 하우징(10)의 무게를 분산하기 위하여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38)는 압입공정, 용접공정 등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정부(38)의 일부분에는 결합부재결합홈(38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에는 결합부재(70)가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은 상기 결합부재(7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8)에 상기 손잡이부(50)가 장착되면,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에 상기 결합부재(70)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70)가 체결되면, 상기 손잡이부(50)는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70)는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은 상기 고정부(38)의 일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고정부(381)에는 상기 손잡이(51)의 제1관통홀(513) 및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제2관통홀(525)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382)에는 상기 방수부재(53)의 제3관통홀(533) 및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제4관통홀(526)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은 상기 손잡이부(50)가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일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반면,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은 상기 고정부(38)의 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은 상기 고정부(38)의 일부 표면을 가공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50)가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일부분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는 손잡이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하우징(52)에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고정부(38)에 고정되는 지지부(521)와, 사용자의 손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21)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521)는 상기 제2하우징(30)에 일면이 접촉되는 판(Boar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21)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21)에는 상기 제2관통홀(525) 및 상기 제4관통홀(52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관통홀(525) 및 상기 제4관통홀(526)은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1고정부(381) 및 제2고정부(38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521)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21)에는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가 장착되는 연결부장착홈(5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은 상기 지지부(521)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은 상기 연결부(5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의 일면은 상기 연결부(511)의 두께만큼 상기 지지부(521)의 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은, 상기 제2하우징(30)과 마주보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21)의 타면은,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521)에는 상기 연결부(51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11)가 삽입되는 공간을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이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11)가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는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513)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제2관통홀(525)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은 상기 연결부(5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은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은, 상기 제2하우징(30)과 마주보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21)의 타면은,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의 함몰되는 깊이는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는 상기 연결부(51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11)가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511)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513)과 상기 지지부(521)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525)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제2관통홀(525) 및 상기 제4관통홀(52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지지부(521)의 일부가 상기 제2하우징(30)의 고정부(38)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하우징(30)의 손잡이설치홀(39)을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22)가 돌출되면, 상기 지지부(521)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공간이 생길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공간을 그립공간(g)이 칭할 수 있다. 상기 그립공간(g)은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손잡이부(50)가 설치되면,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공간(g)은 상기 지지부(521)와 상기 커버부(522)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공간(g)에는 상기 손잡이(51)의 그립부(512)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상기 지지부(521)에는 일부분이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21)의 관통된 일부분을 상기 커버부(522)가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지지부(521)의 관통된 일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522)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적어도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52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21)에는 사각형으로 관통된 일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22)는 사각형으로 관통된 일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522)에 형성된 공간은 상기 지지부(521)의 관통된 일부분과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22)에 형성된 공간을 그립공간(g)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521)와 상기 커버부(5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부(521)와 상기 커버부(522)는 용접 등의 결합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손잡이부(50)를 편리하게 잡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부(521)와 상기 커버부(522)의 사이에 그립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51)를 잡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설치홀(39)로 손을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설치홀(39)로 손을 투입하며 발생될 수 있는 문제, 즉 손가락의 끼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연결부장착홈(524)과 연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부(521)에는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522)에는 상기 그립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는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립공간(g)에는 상기 손잡이(51)의 그립부(51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51)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1고정부(38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 상기 연결부(511)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공간(g)에는 상기 그립부(512)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하우징(30)의 고정부(38)에 상기 손잡이(51)가 장착된 후,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이 상기 손잡이(5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51)가 상기 손잡이하우징(52)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51)와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커버부(522)는 사용자의 손을 상기 손잡이(51)의 그립부(512)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523)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면(523)은 상기 그립부(512)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523)은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하단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523)의 단면은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523)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 예에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523)의 일부분은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설치홀(39)로 투입되는 사용자의 손을 상기 경사면(523)을 통하여 상기 그립부(512)를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경사면(523)을 따라서 손을 이동시켜 상기 그립부(512)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523)의 일부분이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하단과 인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손잡이설치홀(39)로 유입될 수 있는 물방울은 상기 경사면(523)을 따라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손잡이부(50)가 결합되는 순서를 단면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손잡이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하우징(30)의 내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고정부(381) 및 제2고정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381) 및 상기 제2고정부(382)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손잡이설치홀(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1고정부(381) 및 제2고정부(382)에 고정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고정부(381)에는 상기 손잡이부(50)의 손잡이(51)를 장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에 형성된 제1관통홀(513)이 상기 제1고정부(38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관통홀(513)은 상기 제1고정부(381)와 동일한 크기 또는 상기 제1고정부(38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관통홀(513)은 상기 제1고정부(38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382)에는 방수부재(53)를 장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방수부재(53)의 제1방수부재(531)에 형성된 제2관통홀(525)이 상기 제2고정부(38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부재(53)의 제2방수부재(532)는 상기 제1방수부재(531)의 양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상기 제1방수부재(531)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수부재(531)와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고정부(381)에 상기 손잡이(51)가 장착되고, 상기 제2고정부(382)에 상기 방수부재(53)가 장착되면, 상기 제1고정부(381)와 상기 제2고정부(382)에는 손잡이하우징(52)을 장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 하우징(10)의 연결부장착홈(524)에는 상기 제1고정부(381)가 삽입될 수 있는 제3관통홀(5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지지부(521)에는 상기 상기 제2고정부(382)가 삽입될 수 있는 제4관통홀(52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상기 제1고정부(381) 및 상기 제2고정부(382)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커버부(522)는 상기 제2하우징(30)에 형성된 손잡이설치홀(39)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는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에는 상기 방수부재(53)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381) 및 상기 제2고정부(382)에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이 장착되면, 결합부재(70)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이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고정부(381) 및 상기 제2고정부(382)에는 상기 결합부재(7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결합홈(38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70)를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에 결합하면,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과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과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사이에 상기 방수부재(53)가 배치됨으로써, 물방울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38)에 대응되는 상기 제1관통홀(513), 상기 제2관통홀(525), 상기 제3관통홀(533), 및 상기 제4관통홀(526)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조립작업이 간편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하우징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10)은 적어도 하나의 판재(Boar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재는 적어도 금속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판재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판재을 일정한 치수로 절단하는 절단단계(S1), 절단된 판재를 절곡하는 절곡단계(S2), 절곡된 판재의 일부분을 접합하는 용접단계(S3), 절곡된 판재에 관통홀, 표면처리, 라운딩 등의 수행하는 가공단계(S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작공정의 순서는 필요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절단단계(S1)는 상기 판재를 상기 하우징(10)의 크기로 절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의 제1하우징(20), 제2하우징(30), 및 제3하우징(40) 각각의 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판재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공정은 절단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절단기에는 레이저 절단기, 가스절단기, 플라즈마절단기, 프레스 절단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하우징(20)의 경우, 제1전면부(21) 및 상면부(23)의 길이를 고려하여 상기 판재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면부(21) 및 상기 상면부(23)에 제공되는 상기 제1연장부(24)의 길이를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면부(21) 및 상기 상면부(23)의 폭을 고려하여 상기 판재의 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면부(21) 및 상기 상면부(23)에 제공되는 상기 제1연장부(24)의 폭을 추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판재를 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절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단계(S2)는 상기 절단단계(S1)에서 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절단된 판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하우징(20)은 배터리모듈(11)의 전면 및 상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기 배터리모듈(11)의 후면 및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하우징(40)은 상기 배터리모듈(11)의 하면 및 전면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공정은 절곡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하우징(20)의 경우, 상기 제1전면부(21), 상기 상면부(23), 상기 제1연장부(24)를 고려한 길이 및 폭으로 절단된 판재는 설정된 위치에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위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전면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전면의 길이보다 높은 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판재를 절곡하여 상기 제1전면부(21) 및 상기 상면부(23)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1전면부(21)와 상기 상면부(23)의 사이에 절곡된 부분을 제1벤딩부(22)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제1전면부(21), 상기 상면부(23)의 각 단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절곡단계(S2)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20), 상기 제2하우징(30) 및 상기 제3하우징(40)각각이 커버하는 하우징(10)에 따라서 상기 판재에서 절곡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기 제1하우징(20)에 의하여 커버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20)은 상기 제2하우징(30)의 외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절곡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3하우징(40)은 상기 제2하우징(30)에 의하여 커버됨으로써, 상기 제3하우징(40)은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용접단계(S3)는 상기 절곡단계(S2)에서 상기 판재가 절곡되며 발생되는 절곡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단계(S3)는 상기 절곡단계(S2)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연장부를 중 일부 연장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부 연장부에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연장부(24), 상기 제3하우징(40)의 제3연장부(4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접단계(S3)는 용접기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용접기기에는 가스용접, 아크용접, 산소용접 등 다양한 용접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3하우징(40)에는 하면부(41)가 절곡되어 제2전면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면부(43)의 양측 단부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5연장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하우징(40)에는 상기 하면부(41)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는 제3연장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연장부(44)와 상기 제5연장부(46)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연장부(44)와 상기 제5연장부(46)가 만나는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가공단계(S4)는 상기 절곡단계(S2)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상기 하우징(10)에 관통홀, 개구부, 모따기, 라운딩 등과 같은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공단계(S4)는 수치제어공작기계(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치제어공작기계에는 머시닝센서(MCT), 밀링머신, 선반머신, CNC공작기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하우징(30)의 경우, 상기 제2하우징(30)에 형성되는 손잡이설치홀(39), 및 전선관통홀(311) 등이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20), 상기 제2하우징(30) 및 상기 제3하우징(40)을 결합하는 제1체결부재결합홈(361), 제1체결부재관통홀(241), 제2체결부재결합홈(121), 제2결합부재관통홀(331), 제3체결부재결합홈(122), 및 제3체결부재관통홀(413) 등이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20), 상기 제2하우징(30), 및 상기 제3하우징(40)의 모서리부분, 절단면 등에 모따기, 라운딩 등의 가공을 할 수 있다.
상기 압입단계(S5)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부(38)를 형성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38)가 설치될 상기 제2하우징(30)의 일면에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미도시)에 상기 고정부(38)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38)는 클린칭볼트, 압입볼트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정부(38)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38)를 상기 제2하우징(30)에 압입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38)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외면에서 상기 홀(미도시)에 삽입된 상태에서 압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30)에 압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8)는 상기 하우징(10)의 무게를 용이하게 견딜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입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고정부(38)는 적어도 30Kg을 견딜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8)는 양측면에 적어도 8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는 240Kg의 무게를 견딜 수 있다.
이러한 제작공정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0)은 판재를 절단단계(S1), 절곡단계(S2), 가공단계(S4), 용접단계(S3), 압입단계(S5)를 통하여 제작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재료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절단공정, 절곡공정, 가공공정, 용접공정, 압입공정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함으로써, 고비용의 금형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하우징(10)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작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2는 손잡이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손잡이(51)는 적어도 하나의 판재(Boar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재는 적어도 금속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판재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손잡이(51)는 상기 판재을 일정한 치수로 절단하는 절단단계(S11), 절단된 판재를 절곡하는 절곡단계(S12), 절곡된 판재에 관통홀, 표면처리, 라운딩 등의 수행하는 가공단계(S1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작공정의 순서는 필요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절단단계(S11)는 상기 판재를 상기 손잡이(51)의 크기로 절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판재는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 및 그립부(512)를 고려하여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1)는, 상기 손잡이(51)가 설치되는 손잡이설치홀(39)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51)의 폭은 상기 손잡이설치홀(39)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공정은 절단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절단기에는 레이저 절단기, 가스절단기, 플라즈마절단기, 프레스 절단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판재는 상기 연결부(511) 및 상기 그립부(512)를 고려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재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과 동일한 폭으로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절곡단계(S12)는 상기 절단단계(S11)에서 설정된 길이 및 폭으로 절단된 판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판재의 일부분을 절곡하여 서로 다른 두께의 손잡이(5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공정은 절곡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절단단계(S11)에서 절단된 판재는 상기 연결부(511)와 상기 그립부(512)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11)의 일부분을 절곡시켜 상기 연결부(511)의 일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511)의 절곡된 부분을 상기 그립부(512)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512)는 상기 연결부(511)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공단계(S13)는 상기 절곡단계(S12)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상기 손잡이(51)에 제1관통홀(513), 모따기, 라운딩 등과 같은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공단계(S13)는 수치제어공작기계(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치제어공작기계에는 머시닝센서(MCT), 밀링머신, 선반머신, CNC공작기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측면으로, 상기 손잡이(51)는 상기 그립부(512)의 두께의 판재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재에서 일부분이 가공되어 연결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치제어공장기계에 의하여 상기 판재의 일부분을 절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관통홀(513)따라서, 상기 손잡이(5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손잡이(51)에 상기 제1관통홀(513), 모따기, 라운딩 등과 같은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51)는 상기 절단단계(S11)와 상기 가공단계(S13)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작공정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51)는 판재를 절단단계(S11), 절곡단계(S12), 가공단계(S13)를 통하여 제작 가능함으로써, 제작공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재료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절단공정, 절곡공정, 가공공정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함으로써, 제작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3는 손잡이하우징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적어도 하나의 판재(Boar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재는 적어도 금속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판재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손잡이(51)는 상기 판재을 일정한 치수로 절단하는 절단단계(S21), 절단된 판재를 절곡하는 절곡단계(S22), 절곡된 판재의 일부분을 접합하는 용접단계(S23), 절곡된 판재에 관통홀, 표면처리, 라운딩 등의 수행하는 가공단계(S2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작공정의 순서는 필요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절단단계(S21)는 상기 판재를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크기로 절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판재는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지지부(521)를 고려하여 고려하여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21)는 상기 손잡이부(50)가 설치되는 손잡이설치홀(39)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521)는 상기 고정부(38)가 배치되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521)는 상기 고정부(38)가 장착되는 제2관통홀(525) 및 제4관통홀(526)이 형성되는 공간을 고려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공정은 절단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절단기에는 레이저 절단기, 가스절단기, 플라즈마절단기, 프레스 절단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을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판재를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재는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지지부(521)의 크기를 고려하여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521)의 크기는 상기 제2하우징(30)에 배치되는 손잡이설치홀(39) 및 고정부(38)에 삽입될 제2관통홀(525) 및 제4관통홀(526)의 크기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단단계(S21)에서 상기 판재의 일부분을 절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지지부(521)와 커버부(522)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지지부(521)에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522)는 상대적으로 상기 지지부(521)의 내측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521)에서 상기 커버부(522)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521)의 일부분을 절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521)에서 절개된 부분은 상기 지지부(5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21)의 절개된 면은 후술할 절곡단계(S22)에서 절곡되어 상기 커버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절단기에는 레이저 절단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개된 부분은 상기 지지부(521)의 내측 방향에 "I"형상의 절개된 부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절곡단계(S22)는 상기 절단단계(S21)에서 절단된 판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곡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부(521)의 일부분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된 부분은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공정은 절곡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521)의 절개된 부분은 상기 지지부(5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된 부분의 일부분은 상기 지지부(521)와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절개된 부분의 타부분은 상기 지지부(521)와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된 일부분 및 타부분은 상기 커버부(522)의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절개된 부분의 일부분이 상기 지지부(521)와 경사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된 일부분은 상기 커버부(522)의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절곡단계(S22)에서는 상기 지지부(521)의 일부분을 절곡하여 상기 커버부(522)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용접단계(S23)는 상기 절곡단계(S22)에서 상기 판재가 절곡되며 발생되는 절곡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단계(S23)는 상기 절곡단계(S22)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에 새로운 판재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접단계(S23)는 용접기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용접기기에는 가스용접, 아크용접, 산소용접 등 다양한 용접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절곡단계(S22)를 수행하여 상기 커버부(522)의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절곡단계(S22)를 수행하여 상기 커버부(522)의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22)는 일부분이 개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된 부분에 대응되는 판재를 상기 커버부(522)에 용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522)의 내부에는 그립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22)는 손잡이설치홀(39)을 바라볼 일 부분만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522)의 타부분은 차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522)는 일면이 개구된 다면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공단계(S24)는 상기 절곡단계(S22) 또는 상기 용접단계(S23)에서 형성된 상기 손잡이하우징(52)에 제2관통홀(525), 제4관통홀(526), 모따기, 라운딩 등과 같은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공단계(S24)는 수치제어공작기계(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치제어공작기계에는 머시닝센서(MCT), 밀링머신, 선반머신, CNC공작기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작공정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판재를 절단단계(S21), 절곡단계(S22), 용접단계(S23), 가공단계(S24)를 통하여 제작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재료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절단공정, 절곡공정, 용접공정, 가공공정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함으로써, 고비용의 금형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을 제작할 수 있다. 즉, 제작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장치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배터리의 유지보수작업이 편리한 배터리 수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납장치의 제작공정이 간소해짐으로써,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장치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배터리 수납장치에 한층 더 접근할 수 있다.
10 하우징 20 제1하우징
30 제2하우징 40 제3하우징
50 손잡이부 60 체결부재
70 결합부재

Claims (15)

  1. 적어도 일부분을 절곡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손잡이부가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모듈; 이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공간에서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손잡이부를 잡을 수 있도록 개구되는 손잡이설치홀; 및
    상기 손잡이설치홀과 인접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를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부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에 압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부분에는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결합부재결합홈이 제공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내부공간의 전면 및 상면을 커버하는 제1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의 후면 및 양측면을 커버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내부공간의 하면 및 전면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제3하우징이 포함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의 전면 또는 상면 중 하나의 면을 커버하는 일면이, 다른 하나의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각 단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연장부가 포함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의 후면을 커버하는 일면의 일측 단부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양측면 중 일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내부공간의 후면을 커버하는 일면의 타측 단부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양측면 중 타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양측면 각각에는 상기 다수의 고정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일부 단부에서, 상기 일부 단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연장부가 포함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은,
    상기 배터리모듈을 지지하는 일면의 일측 단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의 각 단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연장부가 포함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의 저면에는 상기 제3하우징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을 상기 내부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배터리모듈고정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의 일부분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납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일정한 두께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커버하고,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손잡이하우징이 포함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공간에는 방수부재가 포함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과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되는 전선관통홀; 및
    상기 전선관통홀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전선관통홀에 물방울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14. 판재를 다수의 하우징 및 손잡이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판재의 일부분을 상기 다수의 하우징 및 상기 손잡이부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절곡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하우징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부분을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하우징 중 일 하우징에 상기 손잡이부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를 압입하는 단계; 가 포함되는 배터리 수납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하우징 및 상기 손잡이부를 절곡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하우징 및 상기 손잡이부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서로 접하는 부분을 용접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배터리 수납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60044103A 2016-04-11 2016-04-11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485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103A KR102485753B1 (ko) 2016-04-11 2016-04-11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103A KR102485753B1 (ko) 2016-04-11 2016-04-11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408A true KR20170116408A (ko) 2017-10-19
KR102485753B1 KR102485753B1 (ko) 2023-01-09

Family

ID=6029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103A KR102485753B1 (ko) 2016-04-11 2016-04-11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7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2191A (zh) * 2018-11-16 2019-02-19 苏州德锐朗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发电设备的机壳结构
KR102585706B1 (ko) * 2022-12-27 2023-10-06 주식회사 은성테크 판금가공장치를 통해 제조된 배터리 거치용 배전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488Y1 (ko) * 1995-04-08 1998-08-17 전성원 배터리 고정구
KR20120120650A (ko) 2011-04-25 2012-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수납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서브 수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KR20130036512A (ko) * 2011-10-04 2013-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369044B1 (ko) * 2013-04-16 2014-03-03 세방전지(주) 자동차 배터리용 외함
WO2015029619A1 (ja) * 2013-08-30 2015-03-05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20150042463A (ko) * 2013-10-11 2015-04-21 세방전지(주) 전지모듈 하우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488Y1 (ko) * 1995-04-08 1998-08-17 전성원 배터리 고정구
KR20120120650A (ko) 2011-04-25 2012-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수납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서브 수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KR20130036512A (ko) * 2011-10-04 2013-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369044B1 (ko) * 2013-04-16 2014-03-03 세방전지(주) 자동차 배터리용 외함
WO2015029619A1 (ja) * 2013-08-30 2015-03-05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20150042463A (ko) * 2013-10-11 2015-04-21 세방전지(주) 전지모듈 하우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2191A (zh) * 2018-11-16 2019-02-19 苏州德锐朗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发电设备的机壳结构
KR102585706B1 (ko) * 2022-12-27 2023-10-06 주식회사 은성테크 판금가공장치를 통해 제조된 배터리 거치용 배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753B1 (ko)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5894C2 (ru)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батарея и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ручная машина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EP2416402B1 (en) Battery pack with reinforcement member
KR102046506B1 (ko) 조전지 및 전원 장치
JP5288853B2 (ja) 電池パック
US10003054B2 (en) Power source pack
JP6091968B2 (ja) 電動工具用電池パック
RU268550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EP2615664A1 (en) Power source unit
JP6186716B2 (ja) 電源装置
JP2017033721A (ja) 蓄電装置
JP2014203747A (ja) 蓄電素子モジュール
KR20170116408A (ko) 배터리 수납장치 및 제조 방법
JP2010050044A (ja) 電池パック
JP2011171125A (ja)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190435A1 (ja) 蓄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池ユニット
KR101844014B1 (ko) 배터리 수납장치
JP4792697B2 (ja) 二次電池
EP2538468B1 (en) Terminal for module
KR20200052676A (ko) 배터리 모듈
KR101893961B1 (ko) 배터리팩
WO2017068876A1 (ja) 電池パック
JP6418283B2 (ja) 電源装置
KR102485751B1 (ko) 배터리 수납장치
CN113097626B (zh) 电池包、储能系统及用电设备
CN214411314U (zh) 电池包壳体及电池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