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247A -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247A
KR20170115247A KR1020160042604A KR20160042604A KR20170115247A KR 20170115247 A KR20170115247 A KR 20170115247A KR 1020160042604 A KR1020160042604 A KR 1020160042604A KR 20160042604 A KR20160042604 A KR 20160042604A KR 20170115247 A KR20170115247 A KR 20170115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torque
current value
vehicle speed
torque
feedback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0664B1 (ko
Inventor
김종성
최인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66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3Controlling the motor calculating assisting torque from the motor based on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3/00Control of linear speed; Control of angular speed; Control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g. of a prime mover
    • G05D13/34Control of linear speed; Control of angular speed; Control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g. of a prime mover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 G05D13/60Control of linear speed; Control of angular speed; Control of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g. of a prime mover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using regulating devices with proportional band, derivative and integral action, i.e. PID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60W2510/202Steering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속별 스티어링 토크를 계측하여 목표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차속별 요 레이트 신호값이 저장된 스티어링 추정 토크맵으로부터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하여 상기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반영되도록 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보상 전류값을 산출하고, 상기 보상 전류값을 MDPS 모터에 피드백하여 실제 스티어링 토크를 보상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Feedback control method of motor driving power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구가 진행되더라도 동일한 차속별 스티어링 토크 입력 상황에서 차량의 반응을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조향상태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이 적용되는데, 기존에는 유압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HPS: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이 차량에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조향력을 쉽게 해주며, 환경친화적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Motor Driving Power Steering System, 이하 MDPS)의 설치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차속센서 및 조향토크센서 등에서 감지한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unit)에서 모터를 구동시켜 저속 운행시 가볍고 편안한 조향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고속 운행시에는 무거운 조향감과 더불어 양호한 방향 안정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에서는 급속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향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은 내구 진행에 따른 프릭션 변화 또는 타이어, 서스펜션 등의 샤시 시스템의 프릭션 변화 등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가 동일한 토크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거동이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운전자가 의도한 차량 움직임과 상이한 차량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며, 그에 따라 운전자가 원하는 차량 움직임을 가지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수정 조타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조타 시 운전자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5964호(2014.03.05.)
본 발명의 목적은, 차속별 요 레이트 신호값에 따른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하여 스티어링 토크맵을 구성하고, 동일한 차속별 스티어링 토크에 대해서 항상 일정한 차량거동이 이루어지도록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프릭션 변화 시에도 차속 및 스티어링 토크 입력상황에서 차량의 반응이 이전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은 차속별 스티어링 토크를 계측하여 목표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차속별 요 레이트 신호값이 저장된 스티어링 추정 토크맵으로부터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하여 상기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반영되도록 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보상 전류값을 산출하고, 상기 보상 전류값을 MDPS 모터에 피드백하여 실제 스티어링 토크를 보상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단계는 차속별 스티어링 토크 및 차속별 요 레이트 신호값을 기초로 상기 실제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실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전류값과 상기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MDPS 모터에 피드백되는 상기 보상 전류값을 보상 제어한다.
또한, 상게 제3단계는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를 통해 상기 실제 스티어링 토크의 보상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차속별 요 레이트 신호값에 따른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하여 스티어링 토크맵을 구성하고, 동일한 차속별 스티어링 토크에 대해서 항상 일정한 차량거동이 이루어지도록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프릭션 변화 시에도 차속 및 스티어링 토크 입력상황에서 차량의 반응이 이전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프릭션 변화 등의 발생과 관계없이 언제나 운전자에게 조타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의 스티어링 추정 토크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의 스티어링 추정 토크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속별 스티어링 토크를 계측(S100)하여 목표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한다(S300).
또한, 차속별 요 레이트 신호값이 저장된 스티어링 추정 토크맵으로부터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S200)하여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반영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추정 토크맵은 요 레이트 신호값 계측을 통해 요 레이트 신호값 대비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스티어링 추정 토크맵을 통해 차속이 증가될수록 요 레이트의 신호 값 또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속별 스티어링 토크의 계측을 통해 검출되고, 스티어링 추정 토크맵을 통해 검출되는 목표 스티어링 토크는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차량 움직임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추후에 실제 스티어링 토크에 대한 피드백 제어 시 추정할 목표값으로 사용된다.
한편, 목표 스티어링 토크가 검출되면(S300),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보상 전류값을 산출하고, 이러한 보상 전류값을 MDPS 모터에 피드백 하여 실제 스티어링 토크 보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주행 중인 차량의 실제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하고(S400), 이러한 실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전류값과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비교(S500)하며, 만일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S600), 차량 또는 노면에 프릭션 변화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의 차이 만큼이 제어기에 인가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MDPS 모터에 피드백 되는 보상 전류값을 제어(S700)함으로써, 실제 스티어링 토크에 대한 보상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기는 피드백 제어에 의해 반복적으로 실제 스티어링 토크에 대한 보상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면에는 생략되었으나, 실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전류값은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전류값의 검출과 동일하게 차속별 스티어링 토크 및 차속별 요 레이트 신호값을 기초로 검출된다.
상기와 같이 실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전류값과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전류값의 비교를 통해 실제 스티어링 토크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스티어링 시스템 자체의 내구 진행에 따른 프릭션 변화 또는 주변 다른 샤시시스템(타이어, 서스펜션)의 프릭션 변화 등이 발생할 시 운전자가 동일한 스티어링 토크를 입력할 경우에도 차량의 거동이 달라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스티어링 시스템 자체의 내구 진행에 따른 프릭션 변화 시에는 운전자가 의도한 차량 움직임과 상이한 차량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노면의 프릭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원하는 차량 움직임을 가지기 위해서 계속적인 수정 조타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PID 제어를 이용한 MDPS 모터의 제어를 통해, 프릭션 변화 시 실제 스티어링 토크에서의 요 레이트 신호 값이 도 3에 개시된 스티어링 추정 토크맵에서와 동일하게 정상 상태일 때의 요 레이트 신호 값을 추종하도록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프릭션 변화 시에도 운전자로 하여금 스티어링 토크와 차량 움직임에 대해 일체감이 유지된 것으로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속별 요 레이트 신호값에 따른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하여 스티어링 토크맵을 구성하고, 동일한 차속별 스티어링 토크에 대해서 항상 일정한 차량거동이 이루어지도록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프릭션 변화 시에도 차속 및 스티어링 토크 입력상황에서 차량의 반응이 이전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프릭션 변화 등의 발생과 관계없이 언제나 운전자에게 조타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차속별 스티어링 토크를 계측하여 목표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하는 제1단계;
    차속별 요 레이트 신호값이 저장된 스티어링 추정 토크맵으로부터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하여 상기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반영되도록 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보상 전류값을 산출하고, 상기 보상 전류값을 MDPS 모터에 피드백하여 실제 스티어링 토크를 보상 제어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차속별 스티어링 토크 및 차속별 요 레이트 신호값을 기초로 상기 실제 스티어링 토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실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전류값과 상기 목표 스티어링 토크에 해당하는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MDPS 모터에 피드백되는 상기 보상 전류값을 보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게 제3단계는,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를 통해 상기 실제 스티어링 토크의 보상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
KR1020160042604A 2016-04-07 2016-04-07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 KR10244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604A KR102440664B1 (ko) 2016-04-07 2016-04-07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604A KR102440664B1 (ko) 2016-04-07 2016-04-07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247A true KR20170115247A (ko) 2017-10-17
KR102440664B1 KR102440664B1 (ko) 2022-09-05

Family

ID=6029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604A KR102440664B1 (ko) 2016-04-07 2016-04-07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6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4761B2 (en) 2018-12-11 2021-04-13 Hyundai Motor Company Steer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US11518433B2 (en) 2019-06-24 2022-12-06 Hyundai Motor Company Motor driven power steering control method and motor driven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6822A (ja) * 2003-03-18 2004-10-07 Koyo Seiko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その制御特性を設定する方法
KR20090106974A (ko) * 2008-04-07 2009-10-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WO2011062145A1 (ja) * 2009-11-20 2011-05-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40025964A (ko) 2012-08-24 2014-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조향 토크 보상 장치 및 방법
KR20150002370A (ko) * 2013-06-28 2015-0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의 조향복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27663A (ko) * 2014-09-02 2016-03-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dps 시스템의 프릭션 보상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6822A (ja) * 2003-03-18 2004-10-07 Koyo Seiko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その制御特性を設定する方法
KR20090106974A (ko) * 2008-04-07 2009-10-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
WO2011062145A1 (ja) * 2009-11-20 2011-05-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40025964A (ko) 2012-08-24 2014-03-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조향 토크 보상 장치 및 방법
KR20150002370A (ko) * 2013-06-28 2015-0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의 조향복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27663A (ko) * 2014-09-02 2016-03-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dps 시스템의 프릭션 보상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4761B2 (en) 2018-12-11 2021-04-13 Hyundai Motor Company Steer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US11518433B2 (en) 2019-06-24 2022-12-06 Hyundai Motor Company Motor driven power steering control method and motor driven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664B1 (ko)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593B2 (en) Method for compensating for drive influences on the steering system of a vehicle using a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878814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toothed rack force for a steering device in a vehicle
JP4203062B2 (ja) 車両用操舵装置
US6886656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9701337B2 (en)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steering control method
JP4380697B2 (ja) 車両用操舵制御装置
KR101288749B1 (ko) 차량 다이나믹 콘트롤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인게이지먼트에적용되는 드라이빙 컨디션
KR20180003655A (ko) 차량용 자세 제어방법
KR101997429B1 (ko) 차량의 차선 유지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차선 유지 제어 장치
KR101425751B1 (ko) 차량의 주행 제어장치 및 그의 주행제어방법
JP2008049963A (ja) 車両操舵制御装置
KR102200098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조향토크 보상 제어 방법
JP4956782B2 (ja) 車両用操舵制御装置
KR20170115247A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의 피드백 제어 방법
JP5098687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制御装置
KR102145198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컬럼토크 보상 장치 및 방법
US10501112B2 (en) Steering system with active compensation for road disturbances
JP4300103B2 (ja) 車両の操舵制御装置
KR10258508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걸림감 보상 장치 및 방법
KR102225296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토크 보상장치 및 방법
KR102548224B1 (ko) 능동형 롤 스테빌라이저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4660A (ko) 차량의 언더스티어 및 오버스티어 보상 제어 방법
JP4144759B2 (ja) 車両用操舵制御装置
JP4525257B2 (ja) 車両用操舵制御装置
JP2006111225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