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224A -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224A
KR20170113224A KR1020170037337A KR20170037337A KR20170113224A KR 20170113224 A KR20170113224 A KR 20170113224A KR 1020170037337 A KR1020170037337 A KR 1020170037337A KR 20170037337 A KR20170037337 A KR 20170037337A KR 20170113224 A KR20170113224 A KR 20170113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group
stitches
stitch row
sta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4740B1 (ko
Inventor
가즈야 우에미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113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25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or reinforcements for cables or h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본 발명은, 편성시작부가 두꺼워지지 않고, 또한 편성폭방향으로 넓어지기 어려운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편성한다(공정A).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에서 보아서 홀수번째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그룹과 짝수번째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 나누고, 어느 일방의 그룹을 제1그룹(G1), 타방의 그룹을, 후공정에서 제1그룹(G1)의 이면측으로 교차하는 제2그룹(G2)이라고 규정하고, 제1그룹(G1)과 제2그룹(G2)을 편성폭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인접하는 홀수번째의 스티치와 짝수번째의 스티치를 편성폭방향으로 교차시켜서, 제1그룹(G1)과 제2그룹(G2)으로 구성되는 편성시작부(2)를 형성한다(공정B).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드로 스레드(draw thread)로 구성되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draw thread stitch列)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속하여 편성되는 편성시작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시작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횡편기의 니들베드(needle bed)에 드로 스레드를 사용하여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을 편성하고, 그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시작부를 편성한다. 편성시작부의 편성에는, 드로 스레드와는 다른 편사를 사용한다. 그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편성포의 본체가 되는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를 편성한다. 편성시작부를 편성함으로써, 베이스 편성포부의 스티치가 풀어지지 않도록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은,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기 위한 기점(起點)으로서 편성되는 것으로, 편성포의 편성을 종료한 후에 편성포로부터 빼낸다. 즉 완성된 편성포에 있어서는, 편성시작부가 편성포의 시단(始端)이 된다.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전후의 니들베드에 지그재그(zigzag) 모양으로 스티치를 편성하고, 그 지그재그 모양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열에 자루편성(tubular knitting)을 하여 편성시작부를 형성하고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60-194154호 공보
종래의 편성시작부는, 2층 상태의 자루편성에 의하여 편성된 부분을 갖기 때문에, 베이스 편성포부보다 편성시작부가 두꺼워지기 쉽다. 또한 자루편성으로 편성된 부분에 의하여 편성시작부가 수축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편성포부를 리브조직(rib structure) 등의 편성폭방향으로 수축하기 쉬운 편성조직으로 하였을 경우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시작부측이 편성폭방향으로 넓어지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편성시작부가 두꺼워지지 않고, 또한 편성폭방향으로 넓어지기 어려운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얇고, 편성폭방향으로 넓어지기 어려운 편성시작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표면측』이라는 것은 편성포를 사용할 때에 편성포의 표면이 되는 측, 『이면측』이라는 것은 편성포를 사용할 때에 편성포의 이면이 되는 측이다. 예를 들면 통모양 편성포의 경우에, 통의 외측이 『표면측』, 통의 내측이 『이면측』이다. 또한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라는 것은, 편성포를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을 향하여 구스티치(old stitch)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 『백 스티치(back stitch)』라는 것은, 편성포를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하여 구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이다.
본 발명은, 대향하는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이하의 공정A, 공정B를 하여 상기 편성시작부를 형성하고, 상기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을 시작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상기 제1니들베드 및 상기 제2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을 편성하는 공정A.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을,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에서 보아서 홀수번째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그룹과 짝수번째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 나누고, 어느 일방의 그룹을 제1그룹, 타방의 그룹을 후공정에서 상기 제1그룹의 이면측으로 교차하는 제2그룹이라고 규정하고,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을 편성폭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인접하는 홀수번째의 스티치와 짝수번째의 스티치를 편성폭방향으로 교차시켜서,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으로 구성되는 상기 편성시작부를 형성하는 공정B.
여기에서 제1그룹과 제2그룹을 편성폭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순서로서, 다음 순서를 들 수 있다. 이하의 예시는 모두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편성시작부를 일방의 니들베드에 형성하는 예이다.
·일방의 니들베드에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을 편성하고, 제1그룹을 일방의 니들베드로부터 움직이지 않고, 제2그룹을 타방의 니들베드를 경유시켜서, 일방의 니들베드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 혹은 타단측으로 이동시킨다.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을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로 하고, 그 상태로부터 일방의 니들베드에 제1그룹, 제2그룹의 순서로 이동시킨다. 그 때에 제1그룹의 편성폭방향의 결합위치를 편성폭방향의 일단측(타단측)으로 비키어 놓고, 제2그룹의 편성폭방향의 결합위치를 편성폭방향의 타단측(일단측)으로 비키어 놓는다.
·편성시작 스티치열이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일방의 니들베드에 제1그룹, 제2그룹의 순서로 이동시킨다. 그 때에 제1그룹의 편성폭방향의 결합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제2그룹의 편성폭방향의 결합위치를 편성폭방향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으로 비키어 놓는다.
·편성시작 스티치열이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일방의 니들베드에 제1그룹, 제2그룹의 순서로 이동시킨다. 그 때에 제1그룹의 편성폭방향의 결합위치를 편성폭방향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으로 비키어 놓고, 제2그룹의 편성폭방향의 결합위치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편성시작 스티치열이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로부터, 일방의 니들베드에 제1그룹, 제2그룹의 순서로 이동시킨다. 그 때에 제1그룹의 편성폭방향의 결합위치를 편성폭방향의 일단측(타단측)으로 비키어 놓고, 제2그룹의 편성폭방향의 결합위치를, 제1그룹과 같은 방향으로 제1그룹보다 많이 비키어 놓거나 또는 적게 비키어 놓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를 리브조직으로 할 때에, 상기 리브조직의 프론트 스티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편성시작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그룹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편성포부를 1×1의 리브조직이나 1×3의 리브조직으로 하는 경우에, 리브조직의 모든 프론트 스티치가 제1그룹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편성할 수 있다. 베이스 편성포부를 2×2의 리브조직이나 2×3의 리브조직, 3×1의 리브조직으로 하는 경우에, 홀수번째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그룹과 짝수번째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1그룹으로 선택하더라도, 리브조직의 프론트 스티치의 적어도 일부는 제1그룹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2니들베드의 각각에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이 결합된 상태일 때에, 상기 제1니들베드 및 상기 제2니들베드의 어느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한 후에,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제1니들베드에 형성되는 상기 편성시작부와 상기 제2니들베드에 형성되는 상기 편성시작부를 통모양으로 연결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그 경우에 상기 제1니들베드측의 상기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제2니들베드측의 상기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를 통모양으로 편성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는, 편성시작부와, 상기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베이스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로서, 상기 편성시작부는, 복수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편성시작 스티치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에서 보아서,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홀수번째의 스티치와 짝수번째의 스티치가 편성폭방향으로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유닛이 복수 배열됨으로써 상기 편성시작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편성시작부를 편성할 때에 자루편성을 할 필요가 없어, 편성시작부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자루편성에 의하여 편성된 부분을 갖지 않는 편성시작부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편사가 8자 모양으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축성이 우수하다. 신축성이 우수한 편성시작부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의 수축에 따라 수축하기 때문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편성시작부측이 편성폭방향으로 넓어지기 어렵다.
편성포를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편성폭방향으로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소정의 패턴으로 반복되는 리브조직에서는, 편성폭방향으로 인접하는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의 경계에 전후 차이에 의한 요철이 생긴다. 한편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제1그룹과 제2그룹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제1그룹의 스티치를 제2그룹의 스티치의 표면측으로 교차시키고 있기 때문에, 제1그룹의 스티치가 제2그룹의 스티치보다 편성포의 표면측으로 돌출되어, 제1그룹의 스티치와 제2그룹의 스티치의 사이에 요철이 생긴다. 그 때문에, 베이스 편성포부를 리브조직에 의하여 편성하는 경우에 제1그룹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리브조직의 프론트 스티치의 적어도 일부를 편성함으로써 리브조직의 요철에 따른 편성시작부가 되어, 편성시작부가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통모양의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경우에 편성시작부도 통모양으로 편성한다. 이 통모양의 편성시작부를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함으로써, 통모양의 베이스 편성포부의 시단부(始端部)(편성시작부가 있는 단부)가 나팔모양으로 넓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시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된 편성시작부는 얇고, 편성폭방향으로 넓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편성시작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는, 외관이 미려하다.
도1은,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편성공정도이다.
도2는, 도1의 편성공정도에 따라 편성된 편성시작부를 포함하는 편성포의 루프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2에 나타내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편성공정도이다.
<실시형태1>
실시형태1에서는, 4베드 횡편기(4bed 橫編機)를 사용하여 통모양의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또 편성에 사용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고, 또한 편성시작부도 통모양이 아니더라도 상관없다.
도1은, 편성시작부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공정도이다. 도1에 있어서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내고, 역삼각표시는 급사구(給絲口)(9)를, FD는 하측 앞쪽 니들베드(lower front needle bed)를, FU는 상측 앞쪽 니들베드(upper front needle bed)를, BD는 하측 뒤쪽 니들베드(lower back needle bed)를, BU는 상측 뒤쪽 니들베드(upper back needle bed)를 나타낸다. 대문자 알파벳은 편침(編針)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는 스티치(stitch)의 이동을 나타내고, 각 편성공정에서 실제로 편성동작이 이루어지는 부분은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
S0에는, FD의 편침(A∼L)과 BD의 편침(A∼L)에 각각, 드로 스레드(draw thread)에 의하여 편성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draw thread stitch列)(1, 1)이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상태로부터 BD의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편성시작부(2)(S3을 참조)를 편성한다.
S1에서는, BD(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을 대향(對向)하는 FU(타방(他方)의 니들베드)로 이동시킨 후에, 급사구(給絲口)(9)를 지면(紙面)의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계속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편성한다(공정A에 상당). 편성시작부(2)를 형성하기 위하여 편성하는 스티치열은 이 편성시작 스티치열(10)만이며, 이 S1의 이후에 종래기술과 같이 자루편성(tubular knitting)을 할 필요는 없다.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편사는, 드로 스레드와는 다른 편사이다. 여기에서 BD에서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편성한 후에,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FU로 이동시켜도 상관없다. 다만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스티치는 후공정에서 복수 회 이동되기 때문에,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스티치에 걸리는 부담을 경감하는 의미에서, S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을 FU로 이동시킨 후에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의 후에 S2를 실시함에 있어서, 개념상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눈다. 구체적으로는,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편성폭방향의 일단측(一端側)(지면의 좌측)에서 보아서 홀수번째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그룹과, 짝수번째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 나눈다. 본 예에서는, FU의 편침(A, C, E, G, I, K)에 결합되는 홀수번째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제1그룹(G1)이라고 규정하고, FU의 편침(B, D, F, H, J, L)에 결합되는 짝수번째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제2그룹(G2)이라고 규정한다. 제2그룹(G2)은, 후공정에서 제1그룹(G1)의 BD측에서 본 이면측으로 교차된다.
S2에서는, FU의 편침(A, C, E, G, I, K)에 결합되는 제1그룹(G1)을 BD의 편침(B, D, F, H, J, L)으로 이동시킨다(공정B의 일부). 즉 제1그룹(G1)의 스티치를 편성폭방향의 타단측(他端側)(우측)으로 1바늘분 이동시키고 있다.
S3에서는, 제1그룹(G1)과 제2그룹(G2)을 편성폭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편성시작 스티치열(10)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홀수번째의 스티치와 짝수번째의 스티치를 편성폭방향으로 교차시킨다(공정B의 나머지부). 구체적으로는, FU의 편침(B, D, F, H, J, L)에 결합되는 제2그룹(G2)을 BD의 편침(A, C, E, G, I, K)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즉 제2그룹(G2)의 스티치를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으로 1바늘분 이동시키고 있다. 이 S3에 의하여, 편성시작 스티치열(10)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홀수번째의 스티치와 짝수번째의 스티치의 편성폭방향의 위치가 교체되어, 홀수번째의 스티치와 짝수번째의 스티치가 편성폭방향으로 교차한다. 이 인접하는 스티치가 교차된 제1그룹(G1)과 제2그룹(G2)에 의하여 편성시작부(2)가 형성된다.
S3이 종료되면, 이번에는 FD에 결합되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에 대하여 편성시작부(2)를 편성한다. 구체적으로는 FD, FU를 일방의 니들베드, BD, BU를 타방의 니들베드로 간주하고, S1∼S3과 동일한 편성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에 의하여, 통모양으로 연결된 편성시작부(2)가 편성된다. 이후에는, 편성시작부(2)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베이스 편성포부를 편성한다. 본 예에서는, 베이스 편성포부를 2×2의 리브조직(rib structure)으로 하였다. 베이스 편성포부를 리브조직으로 하는 경우에 리브조직의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의 적어도 일부를, 제1그룹(G1)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도록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의 편성공정도에 따라 편성된 편성시작부(2)를 구비하는 편성포(100)의 루프도(loop diagram)를 도2에 나타낸다. 도2에는, 통모양의 편성포(100) 중에서, 도1의 S3에 나타내는 편성시작부(2)를 포함하는 부분을 통모양의 편성포(100)의 외측(표면측)에서 본 상태가 나타나 있고, 지면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구스티치(old stitch)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이고,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구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가 백 스티치(back stitch)이다. 도2에 있어서 대문자 알파벳은, 도1의 편침의 위치와 대응하고 있다. 도2(A)는, 편성 직후의 편성포(100)의 루프도로서,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의 웨일방향으로 편성시작부(2)가 편성되고, 그 편성시작부(2)의 웨일방향으로 2×2의 리브조직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편성포부(3)가 편성되어 있다.
도2(A)의 상태로부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을 편성시작부(2)로부터 빼내면, 도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시작부(2)의 스티치가 변형되고, 최종적으로 도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편성포부(3)가 풀어지지 않도록 베이스 편성포부(3)의 싱커루프(sinker loop)의 위치에 편성시작부(2)의 스티치가 휘감긴다. 편성시작부(2)는, 복수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편성시작 스티치열(10)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지면의 우측)에서 보아서, 편성시작 스티치열(10)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홀수번째의 스티치(도1의 제1그룹(G1)의 스티치)와 짝수번째의 스티치(도1의 제2그룹(G2)의 스티치)가 편성폭방향으로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유닛(unit)(20)이 복수 배열됨으로써 편성시작부(2)가 형성되어 있다.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은 1가닥의 편사로 편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각 유닛(20)은 편사로 연결되어 있다.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을 떼어내더라도 편성시작부(2)가 풀어져 버리지 않고 지지되고 있는 것은, 편성시작부(2)를 구성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10)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홀수번째의 스티치와 짝수번째의 스티치가 교차하고, 그 교차하고 있는 스티치 상호간이 서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본 예와는 달리,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인접하는 스티치가 교차되지 않아 서로 얽혀 있지 않으면,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1)을 제거할 때에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이 직선모양으로 풀어져 버린다.
도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편성시작부(2)는 얇게 마무리되어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편성포(100)의 미려함이 향상된다. 또한 편성시작부(2)는 신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통모양의 베이스 편성포부(3)가 편성폭방향으로 수축되더라도, 베이스 편성포부(3)의 수축에 따라 편성시작부(2)도 수축되므로 베이스 편성포부(3)의 편성시작부(2)측이 나팔모양으로 넓어지기 어렵다. 여기에서 도2의 루프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편성시작부(2)의 각 스티치를 구분할 수 있도록 각 스티치를 크게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각 스티치는 도면에 나타내는 상태보다 작은 상태로 되어 있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편성포부(3)를 구성하는 2×2의 리브조직 중에서, 편침(A, D, E, H, I, L)에 의하여 편성되는 스티치는 프론트 스티치이고, 편침(B, C, F, G, J, K)에 의하여 편성되는 스티치는 백 스티치이다.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의 경계(편침(A-B), (C-D), (E-F), (G-H), (I-J), (K-L)의 경계)에는 요철이 생긴다. 한편 편성시작부(2)의 제1그룹(G1)의 스티치가 제2그룹(G2)의 스티치보다 편성포(100)의 표면측으로 돌출되어, 제1그룹(G1)의 스티치와 제2그룹(G2)의 스티치 사이에 요철이 생긴다. 본 예의 리브조직의 프론트 스티치 중에서, 편침(D, H, L)에 의하여 편성된 프론트 스티치는 제1그룹(G1)의 스티치에 연속하여 편성되기 때문에, 편침((C-D), (G-H), (K-L))의 경계에서 리브조직의 요철과 편성시작부(2)의 요철이 맞추어져서, 편성시작부(2)가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여기에서 베이스 편성포부(3)를, 제1그룹(G1)에 연속되는 프론트 스티치와 제2그룹(G2)에 연속되는 백 스티치로 구성되는 1×1의 리브조직으로 하면, 리브조직의 요철과 편성시작부(2)의 요철이 완전하게 일치되어, 편성시작부(2)가 매우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여기에서 실시형태1에서는, N을 1 이상의 자연수로 하였을 때에, 2N―1번째(홀수번째)의 스티치와 2N번째(짝수번째)의 스티치를 편성폭방향으로 교차시켰지만, 2N번째(짝수번째)의 스티치와 2N+1번째(홀수번째)의 스티치를 편성폭방향으로 교차시켜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1과는 달리, 도1의 S0의 후에, FD와 BD에 통모양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편성한 후, BD(또는 FD)의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인접하는 스티치의 교체를 하고 나서, FD(또는 BD)의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의 인접하는 스티치의 교체를 하더라도 좋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1의 편성시작 스티치열(10)을 복수 회로 나누어서 편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1의 S1에 있어서, 급사구(9)로부터 편사를 급사시켜서 BU의 편침(A, C, E, G, I, K)에 제1스티치열을 편성한다. 계속하여 급사구(9)로부터 편사를 급사시키거나 혹은 급사구(9)와는 다른 급사구로부터 편사를 급사시켜서 편침(B, D, F, H, J, L)에 제2스티치열을 편성한다. 제1스티치열을 제1그룹(G1)이라고 하고, 제2스티치열을 제2그룹(G2)이라고 생각하면, 이들 제1스티치열과 제2스티치열을 합한 것을 편성시작 스티치열(10)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에는 S2, S3을 하면 좋다.
실시형태2의 편성포(100)의 루프도를 도3에 나타낸다. 이 도3에서는, 도2와 달리 편성포(100)를 이면측(통의 내측)에서 보고 있다.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스티치열(21)의 스티치와 제2스티치열(22)의 스티치가 편성폭방향으로 교차함으로써, 제1스티치열(21)과 제2스티치열(22)이 서로 얽혀서 풀어지지 않는 편성시작부(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에, 인접하는 제1스티치열(21)의 스티치와 제2스티치열(22)의 스티치에 의하여, 편성시작부(2)의 하나의 유닛(20)이 형성된다. 이 편성시작부(2)는 종래의 편성시작부와 비교하여 얇지만, 견고한 편성시작부(2)이다.
본 예에서는, 베이스 편성포부(3)를 1×1의 리브조직으로 구성하고 있고, 제1그룹(G1)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프론트 스티치를, 제2그룹(G2)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백 스티치를 편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리브조직의 편성폭방향의 요철과 편성시작부(2)의 편성폭방향의 요철이 완전하게 일치하기 때문에, 편성시작부(2)의 근방이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또 도3은 편성포(100)를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기 때문에, 지면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구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구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가 백 스티치이다.
100 : 편성포
1 :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
2 : 편성시작부
20 : 유닛
21 : 제1스티치열
22 : 제2스티치열
3 : 베이스 편성포부
10 : 편성시작 스티치열
G1 : 제1그룹
G2 : 제2그룹

Claims (4)

  1. 대향(對向)하는 제1니들베드(第1needle bed)와 제2니들베드를 갖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종료 후에 편성포로부터 제거되는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draw thread stitch列)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연속하여 편성되는 편성시작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베드 및 상기 제2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편성시작 스티치열을 편성하는 공정A와,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을, 편성폭방향의 일단측(一端側)에서 보아서 홀수번째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그룹과 짝수번째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 나누고, 어느 일방의 그룹을 제1그룹, 타방(他方)의 그룹을 후공정에서 상기 제1그룹의 이면측으로 교차하는 제2그룹이라고 규정하고,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을 편성폭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인접하는 홀수번째의 스티치와 짝수번째의 스티치를 편성폭방향으로 교차시켜서, 상기 제1그룹과 상기 제2그룹으로 구성되는 상기 편성시작부를 형성하는 공정B를
    하고,
    상기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의 편성을 시작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를 리브조직(rib structure)으로 할 때에,
    상기 리브조직의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편성시작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그룹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2니들베드의 각각에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이 결합된 상태일 때에,
    상기 제1니들베드 및 상기 제2니들베드의 어느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한 후에,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드로 스레드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편성시작부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제1니들베드에 형성되는 상기 편성시작부와 상기 제2니들베드에 형성되는 상기 편성시작부를 통모양으로 연결시키고,
    그 후에 상기 제1니들베드측의 상기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제2니들베드측의 상기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를 통모양으로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4. 편성시작부와, 상기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속되는 베이스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에 있어서,
    상기 편성시작부는, 복수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편성시작 스티치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에서 보아서, 상기 편성시작 스티치열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홀수번째의 스티치와 짝수번째의 스티치가 편성폭방향으로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유닛(unit)이 복수 배열됨으로써 상기 편성시작부가 형성되어 있는 편성포.
KR1020170037337A 2016-03-29 2017-03-24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KR101844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66664 2016-03-29
JP2016066664A JP6526594B2 (ja) 2016-03-29 2016-03-29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224A true KR20170113224A (ko) 2017-10-12
KR101844740B1 KR101844740B1 (ko) 2018-04-03

Family

ID=5988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337A KR101844740B1 (ko) 2016-03-29 2017-03-24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26594B2 (ko)
KR (1) KR101844740B1 (ko)
CN (1) CN107385652B (ko)
DE (1) DE102017204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3060B2 (ja) * 2017-09-19 2021-06-23 株式会社大一商会 遊技機
JP7204414B2 (ja) * 2018-10-23 2023-01-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接合方法及び接合された編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93965A (ko) * 1949-02-19
JPS60194154A (ja) 1984-03-07 1985-10-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袋編地の編成方法
WO2002101133A1 (fr) * 2001-06-12 2002-12-19 Shima Seiki Mfg., Ltd. Textile a tricoter ayant une structure etablie et procede permettant de le tricoter
JP5032872B2 (ja) * 2007-03-29 2012-09-2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横編された編地
JP5695862B2 (ja) * 2010-08-25 2015-04-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出し方法
CN102465383A (zh) * 2010-11-14 2012-05-23 赵寿广 一种针织物连续编织的起底方法
CN103866482B (zh) * 2014-03-05 2015-09-23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由双针床横编机编织织可穿2×2罗纹组织织物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79637A (ja) 2017-10-05
JP6526594B2 (ja) 2019-06-05
CN107385652B (zh) 2019-06-18
DE102017204262A1 (de) 2017-10-05
CN107385652A (zh) 2017-11-24
KR101844740B1 (ko)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029B1 (ko) 통 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KR101537943B1 (ko) 리브풍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리브풍 편성포
JP6526554B2 (ja) 編地の編成方法
KR101903572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101022353B1 (ko) 스트라이프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및 스트라이프 패턴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
JPWO2008136185A1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160388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4852092B2 (ja) 増し目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編地の編幅方向端部よりも内側に増し目が形成されている編地
JP5702576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1844740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KR101754145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JP5479048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CN104746224A (zh) 针织物的编织方法
KR101985842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903584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019189984A (ja)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
WO2016059879A1 (ja) 編地の編成方法
CN109208161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CN104831459A (zh) 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
EP2463420A2 (en) Bind-off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4814078B2 (ja) 編地の端部を伏せ目処理する方法および伏せ目処理された編地
JP7233205B2 (ja)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
JP2024034121A (ja) 編成方法
JP2022074960A (ja) 編成方法、及び編地
JP2022181310A (ja) 編地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