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944A -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944A
KR20170110944A KR1020160035397A KR20160035397A KR20170110944A KR 20170110944 A KR20170110944 A KR 20170110944A KR 1020160035397 A KR1020160035397 A KR 1020160035397A KR 20160035397 A KR20160035397 A KR 20160035397A KR 20170110944 A KR20170110944 A KR 20170110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e
drum
opening
housing cover
coffee ro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2992B1 (ko
Inventor
한영준
Original Assignee
한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준 filed Critical 한영준
Priority to KR102016003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9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커피 로스터의 설치 환경에 따른 연도의 길이 변화에 구애됨이 없이 드럼 내의 공기 흐름양을 최적으로 조절할 드럼에서 연소 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채프에 의해 연소 가스의 배출에 영향이 없는 구조를 갖는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는 버너의 연소에 의한 화염에 의해 내부에 넣어진 생두를 볶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연도가 설치된 로스터 본체와; 상기 연도에 상부가 결합되며, 상기 연도를 통한 연소가스를 내부로 유입하여 그에 포함된 채프를 분리하여 하부의 수집통으로 낙하시키는 사이클론과; 송풍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일측 개구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블로어 하우징(blower housing)과, 상기 사이클론의 상부의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외측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조절가이드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블로어 하우징의 개구면에 결합된 판형상의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 포개지는 개폐조절구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설치된 조절핀이 상기 하우징 커버의 조절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조절핀를 가지는 디스크 댐퍼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핀이 상기 조절가이드를 따라 이동 시 상기 유입구와 개폐조절구가 겹쳐져 형성되는 유체통로의 크기를 조절하는 배출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exhaust of drum combustion gases in coffee roaster}
본 발명은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로스터의 설치시 연도(煙道 : exhaust tube)의 길이에 구애됨이 없이 드럼 내의 공기 흐름양을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드럼에서 연소 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채프(chaff)에 의해 연소 가스의 배출에 영향이 없는 구조를 갖는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 로스터는 생두(Green Bean)가 넣어지는 드럼을 열로 가하여 일정시간 동안 볶아 원두로 만드는 볶음기로서, 생두를 최적의 상태로 볶아주어 커피의 신선도를 높이고, 맛과 향을 살리기 위한 것이다. 생두는 로스팅(볶는 과정) 시간과 열을 가하는 방식 및 드럼 내부의 열량과 가압 공급의 변화, 드럼 내부의 공기 흐름 량에 따라 맛이 변화됨으로 커피 본연의 맛이 달라지지 않도록 드럼내의 공기양과 흐름을 제어하여야 한다.
위와 같이 드럼 내의 공기양과 공기 흐름을 제어하여 드럼에 넣어진 생두를 로스팅하는 종래의 기술은 아래 특허문헌에 개시(開示)된 '커피로스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위 특허문헌에는 내부에 넣어진 생두를 버너의 화염에 의해 가열하여 볶는 로스트 챔버 또는 드럼의 연도(연소가스 배기관)에 설치된 댐퍼(dmaper : 배기 송풍 조절기)를 통해 연도의 개폐량을 제어하여 드럼 내부의 열량과 기압공급이 균일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은 커피가 볶아지는 단계마다 작업자 댐퍼의 개도량을 수등으로 조작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커피 로스팅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로스팅된 커피의 맛이 균일하지 못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한 또 다른 커피 로스터는 아래 비특허문헌에 개시된 비특허문헌에 개시된 "커피 로스팅에서의 연소 가스"의 기술 구성을 들 수 있다. 위 비특허문헌에 개시된 "커피 로스팅에서의 연소 가스"의 기술 구성은 커피 로스터 버너를 전문적으로 제조, 판매하는 독일 "프로밧"사의 제품 브로셔 "Probat25Roaster_Brochure"에 개재된 것으로,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커퍼 로스터(1)는 주지된 바와 같이, 로스팅 본체(10), 냉각기(20) 및 분리기(30)로 구성된다.
로스팅 본체(10)는 연료를 연소하여 화염을 발생하는 버너(11), 상기 버너(11)의 화염에 의해 내부에 넣어진 생두를 볶는 드럼(또는 로스트 챔버)(12), 상기 드럼(1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12)을 회전시키는 드럼모터(13), 상기 드럼(12)에 생두를 공급하는 호퍼(14), 상기 드럼(12) 내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연도(15), 상기 드럼(12)의 일측에 결합되어 볶아진 원두를 배출하는 배출구(16)로 구성되어 있다.
냉각기(20)는 상기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된 원두를 수용하는 트레이(21) 및 상기 트레이(21)를 회전시키는 냉각모터(22)와 이들을 지지하는 스탠드(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트레이(21)의 내부에는 냉각모터(22)의 회전에 의해 트레이(21)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블레이드(2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21)의 하부에는 트레이(21)의 바닥에 뚫어진 다수의 구멍을 통해 트레이(21)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냉각팬(25)이 설치된다.
분리기(30)는 상기 연도(15)에 설치되어 연소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댐퍼(31), 상기 연도(15)의 종단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12)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채프(chaff)를 수거하여 아래의 채프수집통(32)으로 분리하는 사이클론(33) 및 송풍팬(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커피 로스터의 커피 로스팅의 동작과 볶아진 원두를 냉각하는 냉각 동작은 주지된 것이므로, 그 동작은 생략되며, 드럼(12)의 연소가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구성 및 그 동작만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로스트 본체(10)가 작동되면, 즉, 버너(11)가 점화되고 사이클론(33)의 상부에서 연도(15)과 배출관(35)의 사이에 설치된 송풍기(34)가 작동되면 버너(11)로부터 제공되는 화염의 열기에 의해 드럼(12)에 넣어진 생두가 볶아진다. 이때 버너(11)의 연소에 의한 연소가스와 드럼(12)의 회전에 의해 볶아지는 생두로부터 분리되는 채프(chaff)가 혼합되어 연도(15)로 배출된다. 즉, 연도(15)로는 연소가스와 채프가 동시에 배출된다. 상기 드럼(12)의 연소온도는 연소가스의 공기흐름양에 따라 크게 변화된다.
예를 들어, 드럼(12) 내 연소가스의 배출량이 많아지면 드럼(12)의 연소온도는 떨어지고, 연소가스의 배출량이 적어지면 드럼(12)의 연소온도는 올라간다. 즉, 드럼(12) 내의 연소온도는 드럼(12)으로부터 연도(15) 및 댐퍼(31)를 통하여 배출관(35)으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에 따라 크게 변화된다. 이때, 상기 연도(15)과 배출관(35)의 사이에 설치된 송풍기(34)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됨으로써 연소가스의 배출량은 연도(15)에 설치된 댐퍼(31)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댐퍼(31)은 수동으로 조작되는데, 통상 댐퍼(31)의 회전축에 결합된 조절핸들(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에 의해 개도량이 조절되거나 연도(15)에 설치된 개도량 조절레버의 작동에 의해 연도(15)으로 흐르는 유체량을 조절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커피 로스터는 연소가스와 채프가 동시에 배출되는 연도(15)의 중간에 또는 종단 부분에 판형상의 댐퍼(31)를 설치함으로써 연도(15)의 내부에 설치된 댐퍼(31)에 채프가 달라붙는다. 상기 댐퍼(31)에 달라붙은 채프는 높은 온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댐퍼(31)에 고착화되면서 부피가 커짐으로써 연소가스의 배출제어가 원활하게 되지 않아 종국에는 드럼(12)의 연소온도를 변화시키게 되어 로스팅된 원두의 맛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30547호(2012. 03. 06. 등록)
http://www.home-barista.com/home-roasting/combustion-gases-in-coffee-roasting-t13237.html(Combustion Gases in Coffee Roasting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피 로스팅 시 드럼의 연소가스를 최적의 상태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피 로스터의 연소가스 배출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배출제어기를 갖는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블로어에 연소가스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디스크 밸브를 설치하여 채프와 연소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드럼의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연도에 채프가 쌓여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럼 내의 공기 흐름양을 최적 상태로 조절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너의 연소에 의한 화염에 의해 내부에 넣어진 생두를 볶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연도가 설치된 로스터 본체와; 상기 연도에 상부가 결합되며, 상기 연도를 통한 연소가스를 내부로 유입하여 그에 포함된 채프를 분리하여 하부의 수집통으로 낙하시키는 사이클론과; 송풍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일측 개구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블로어 하우징(blower housing)과, 상기 사이클론의 상부에 있는 유체(연소가스)를 유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외측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조절가이드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블로어 하우징의 개구면에 결합된 판형상의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 포개지는 개폐조절구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설치된 조절핀이 상기 하우징 커버의 조절가이드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조절핀를 가지는 디스크 댐퍼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핀이 상기 조절가이드를 따라 이동 시 상기 유입구와 개폐조절구가 겹쳐져 형성되는 유체통로의 크기를 조절하는 배출제어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클론은 상부의 측면에 연도가 연통되어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수집통의 방향으로 삽입된 애로관(arrows tube)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의 유입구는 상기 애로관의 상부에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커버와 상기 디스크 댐퍼는 중심부를 관통하여 삽입 결합된 고정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로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와 개폐조절구의 형상은 반원형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는 로스터의 연도가 상부 측면에 결합된 사이클론의 상부에 수동조절에 의해 유체통로의 크기를 가변 하는 배출제어기를 결합함으로써 연소가스를 배출시 채프가 연도 및 댐퍼에 달라붙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도의 내부에 채프가 쌓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드럼내의 연소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제어할 있어 드럼 내부의 열량과 가입 공급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로스팅된 원두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커피 로스터에 적용된 드럼 배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로스터의 드럼 배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로스터의 측면도.
도 4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배기 제어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기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a와 도 6b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배기 제어 장치의 개폐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기 제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과자의 초콜릿 함침 장치(1)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로스터(1)는 로스팅 본체(10), 냉각기(20) 및 분리기(30)로 구성된다. 로스팅 본체(10)는 도 1에서 기술한 버너, 드럼 및 연도가 내부에 설치된 로스터 하우징(18)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에서, 참조부호 10 내지 15는 도 1의 기술적 구성과 동일하거나 등가적인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차이점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로스터(1)는 로스터 본체(10)의 연도(15)에 설치된 댐퍼(31)의 구성이 없고, 사이클론(33)과 배출관(35)의 경로에 설치된 송풍기(34) 대신에 작업자가 유체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배출제어기(50)가 설치된 점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도면부호 "CNT"는 제어반으로, 로스트의 점화, 배출제어기(50)의 송풍모터(60)의 구동 등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피 로스터(1)의 분리기(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스터 하우징(18)의 연도(15)이 측면에 연통되어 그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채프를 분리하여 하부 수집통(32)으로 낙하시키는 사이클론(33)과, 상기 사이클론(33)의 상부에 배출제어기(5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배출제어기(50)의 유입구(71)는 사이클론(33)의 상부면에서 그 내부로 삽입된 애로관(후술하는 설명 참조)에 연통된다.
상기 배출제어기(5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모터(6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73)를 내부에 가지는 블로어 하우징(70)을 갖는다. 상기 블로어 하우징(70)의 일측은 개구된 면으로 형성되며, 임펠러(70)에 의해 개구면으로부터 유입된 유체, 예를 들면 공기는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72)로 배출된다.
상기 블로어 하우징(70)의 개구면에는 상기 사이클론(33)의 상면에서 그 내부로 삽입 설치된 애로관(37)에 유입구(71)가 연통된 디스크 댐퍼(80)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댐퍼(80)는 유입구(71)에 의해 형성된 유체통로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디스크 밸브이다. 상기 디스크 댐퍼(80)는 크게 상기 블로어 하우징(70)의 개구면을 막는 하우징 커버(85)와 그 상부에서 회동 가능케 결합된 회전디스크(8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85)는 원판형 디스크로서, 일측면에는 유입구(71)가 형성되어 하부로 돌출된 돌출관(8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관(88)의 양측 또는 양측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조절가이드(86)가 관통 형성되며, 조절가이드(86)의 옆 부분에는 눈금이 표시된 조절양 눈금판(87)이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 커버(85)의 상부에서 회동 가능케 결합된 회전디스크(81)는 일측면, 즉 아랫면에 상기 돌출관(88)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출개구관(8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개구관(82)에는 개폐조절구(8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디스크(81)의 돌출개구관(82)이 하우징 커버(85)의 돌출관(88)의 내부로 삽입되면 개폐조절구(83)가 상기 유입구(71)의 위에 포개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디스크(81)의 양측에 취부된 조절핀(84)는 하우징 커버(85)에 형성된 조절가이드(8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유입구(71)와 그 상부에 포개지는 개폐조절구(83)의 형상은 돌출관(88)의 중심축을 기준하여 150° 내지 210°의 크기로 동일한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론 120°의 크기로 절개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상기 유입구(71)와 개폐조절구(83)의 절개 형상과 크기는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커버(85)의 돌출관(88)과 그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디스크(81)의 돌출개구관(82)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구멍들에는 헤드를 갖는 고정핀(90)이 끼워지고, 상기 고정핀(90)의 타측은 로커 와셔 등으로 체결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 커버(85)의 아랫부분으로 돌출된 조절핀(84)을 수평 이동시키면, 도 6과 같이 겹쳐진 유입구(71)와 개폐조절구(83)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통로의 크기(개도량)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유체통로의 개도량은 최소 0° 내지 210°의 범위를 갖는다. 또한, 유입구(71)와 개폐조절구(83)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통로의 크기의 조절은 쉽게 할 수 있다. 즉, 조절가이드(86)의 옆에 부착된 조절량 눈금자(87)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의 개수로서 유체통로의 크기가 얼마인지를 계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85)의 아랫부분으로 돌출된 조절핀(84)은 나사선을 갖는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핀(84)의 몸체에 나사선을 형성하는 경우, 조절핀(84)의 머리부는 그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디스크(81)에 용접하여 움직임이 없도록 하여 블로어 하우징(70)에 넣어지는 임펠러(73)와의 간섭이 없도록 하는 것이 좋다.
조절핀(84)을 볼트로 하는 경우, 이에 결합되는 조절손잡이(89)는 너트 또는 나비너트로 하여 조절된 유체통로의 크기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제어기(50)의 블로어 하우징(70)의 저면에 결합된 조절손잡이(89)를 조절가이드(86)를 따라 이동시키면, 회전디스크(81)의 개폐조절구(83)와 이에 겹쳐진 유입구(71)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통로의 크기가 변환됨으로써 사이클론(33)의 애로관(37)으로부터 배출구(72)로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배출유량이 조절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배출제어기(50)를 사이클론(33)의 애로관(37)에 연결시킨 커피 로스터(1)의 연소가스 배출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어반(CNT)을 조작하여, 버너(11)를 점화시킨 후, 드럼모터(13), 배출제어기(50)의 송풍모터(60)를 작동시키면 로스팅이 시작된다.
로스팅이 시작되면, 드럼(12)에 넣어진 생두는 버너(11)의 높은 연소가스에 의해 볶아지며, 드럼(12)의 회전에 의해 볶아지는 생두의 껍질이 벗겨져 채프가 연소가스에 포함된다. 상기 버너(11)의 연소에 의한 화염과 연소가스는 도 7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로스트 하우징(18) 내의 챔버와 드럼(12) 및 그에 연통된 연도(15)를 통하여 사이클론(33)의 상부로 공급된다. 사이클론(33)의 상부 측면으로 공급된 연소가스에 포함된 채프는 애로관(37)의 측면을 부딪어 분리되어 수집통(32)으로 들어간다.
채프가 분리 수거된 연소가스는 사이클론(33)의 애로관(37)의 저면 유입구를 통해 그 상부에 결합된 배출제어기(50)의 유입구(71)로 유입된다. 이때, 작업자가 블러어 하우징(71)의 저면에 결합된 디스크 댐퍼(80)를 조절하여 유입구(71)와 배출구(72)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통로의 크기를 조절하면, 유체통로의 열린 면적으로 연소가스가 배출됨으로써 연소가스의 배출량이 조절된다. 이때, 상기 배출제어기(50)로 유입되는 연소가스는 사이클론(33)의 애로관(37)에 의해 채프가 제거된 것이 유입됨으로써 연도에 채프가 달아 붙는 문제가 일어나지 않아 연소가스의 배출제어를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펠러(73)가 내장된 블로어 하우징(70)의 커버에서 직접 연소가스의 배기량을 조절함으로써 배출제어기(50)의 배출구(72)에 연결되는 배출관(35)의 길이가 긴 경우에도 드럼(12) 내부의 연소압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1 : 커피 로스터, 10 : 로스트 본체, 11 : 버너, 12 : 드럼, 13 : 드럼모터, 14 : 호퍼, 15 : 연도, 16 : 배출구, 18 : 로스터 하우징, 20 : 냉각기, 21 : 트레이, 22 : 냉각모터, 23 : 스탠드, 24 : 블레이드, 25 : 냉각팬, 26 : 냉각연도, 30 : 분리기, 31 : 댐퍼, 32 : 채프수집통, 33 : 사이클론, 34 : 냉각팬, 35 : 배출관, 37 : 애로관(arrows tube), 50 : 배출제어기, 60 : 송풍모터, 61 : 회전축, 70 : 블로어 하우징, 71 : 유입구, 72 : 배출구, 73 : 임펠러, 80 : 디스크댐퍼, 81 : 회전디스크, 82 : 돌출개구관, 83 : 개폐조절구, 84 : 조절핀, 85 : 하우징커버, 86 : 개폐가이드, 87 : 조절량 눈금자, 88 : 돌출관, 89 : 조절손잡이, 90 : 고정핀.

Claims (4)

  1.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에 있어서,
    버너의 연소에 의한 화염에 의해 내부에 넣어진 생두를 볶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연도가 설치된 로스터 본체와;
    상기 연도에 상부가 결합되며, 상기 연도를 통한 연소가스를 내부로 유입하여 그에 포함된 채프를 분리하여 하부의 수집통으로 낙하시키는 사이클론과;
    송풍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일측 개구면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로 배출하는 블로어 하우징과, 상기 사이클론의 상부의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외측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조절가이드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블로어 하우징의 개구면에 결합된 판형상의 하우징 커버와, 상기 하우징 커버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 포개지는 개폐조절구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설치된 조절핀이 상기 하우징 커버의 조절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조절핀를 가지는 디스크 댐퍼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핀이 상기 조절가이드를 따라 이동 시 상기 유입구와 개폐조절구가 겹쳐져 형성되는 유체통로의 크기를 조절하는 배출제어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은 상부의 측면에 연도가 연통되어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수집통의 방향으로 삽입된 애로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의 유입구는 상기 애로관의 상부에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와 상기 디스크 댐퍼는 중심부를 관통하여 삽입 결합된 고정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로 결합되며, 상기 개폐조절구는 상기 조절손잡이의 이동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유입구와 개폐조절구 간의 유체통로의 크기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가이드를 통해 상기 하우징 커버를 관통하여 돌출된 조절핀은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돌출된 조절핀에는 조절손잡이가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
KR1020160035397A 2016-03-24 2016-03-24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 KR101802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397A KR101802992B1 (ko) 2016-03-24 2016-03-24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397A KR101802992B1 (ko) 2016-03-24 2016-03-24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944A true KR20170110944A (ko) 2017-10-12
KR101802992B1 KR101802992B1 (ko) 2017-12-08

Family

ID=6014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397A KR101802992B1 (ko) 2016-03-24 2016-03-24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9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961A (ko) * 2019-01-10 2020-07-20 강창환 로스팅기기용 배기장치
CN111685350A (zh) * 2020-06-16 2020-09-22 昆山亿政食品有限公司 一种高效深烘焙工艺及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658B1 (ko) * 2019-05-20 2020-02-0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보성코퍼레이션 알갱이 로스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211B1 (ko) 2005-12-14 2007-03-12 동우당제약(주) 한약재용 법제 장치
KR100963695B1 (ko) * 2007-11-28 2010-06-14 한영준 커피 로스터
KR100973471B1 (ko) 2010-04-26 2010-08-03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커피원두 볶음장치
KR101448008B1 (ko) * 2013-03-06 2014-10-13 권제성 곡물 로스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961A (ko) * 2019-01-10 2020-07-20 강창환 로스팅기기용 배기장치
CN111685350A (zh) * 2020-06-16 2020-09-22 昆山亿政食品有限公司 一种高效深烘焙工艺及其装置
CN111685350B (zh) * 2020-06-16 2021-06-22 昆山亿政咖啡有限公司 一种高效深烘焙工艺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992B1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63481B1 (en) Pellet smoker
KR101626517B1 (ko) 커피 배전기
US7681493B2 (en) Outdoor smoking system
KR101802992B1 (ko) 커피 로스터의 드럼 연소 가스 배출 제어 장치
EP0470254A1 (en) Device for roasting coffee beans
KR101782417B1 (ko) 커피 로스터
EP0359515B1 (en) Coffee bean roasting device
KR101953873B1 (ko) 원두 로스팅 장치
US11209169B2 (en) Smoke functionality in electric grill-type appliance
US10765137B1 (en) Fluid bed coffee roasting system
JP3683877B2 (ja) コーヒー豆焙煎機
JPH02603B2 (ko)
KR101802321B1 (ko) 저온 방식으로 로스팅되는 직화식 커피 로스팅 장치
KR101955265B1 (ko) 커피 로스터기용 소연기
JP2550227Y2 (ja) コーヒー豆焙煎器
JP3683876B2 (ja) 焙煎機
JP2001263948A (ja) 農畜産物の乾燥装置
KR102562594B1 (ko) 개별 로스팅이 가능한 커피 블렌딩 장치
CN211657355U (zh) 咖啡豆烘焙装置
KR20160048046A (ko) 커피 배전기
KR102225702B1 (ko) 커피 로스팅 장치
KR101393723B1 (ko) 샘플링용 커피 생두 볶음장치
US703508A (en) Coffee-roaster.
KR20150130627A (ko) 커피 로스터
JPH1175797A (ja) コーヒー豆焙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