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954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954A
KR20170107954A KR1020177007310A KR20177007310A KR20170107954A KR 20170107954 A KR20170107954 A KR 20170107954A KR 1020177007310 A KR1020177007310 A KR 1020177007310A KR 20177007310 A KR20177007310 A KR 20177007310A KR 20170107954 A KR20170107954 A KR 20170107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centration
blinking
light source
de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키 사토
Original Assignee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발뮤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F21V21/28Pivoted arms adjustable in more tha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05B37/02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집중력을 측정하여, 집중력의 저하 시에 그 취지를 자극 등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력의 유지·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책상(D) 위를 비추기 위한 광원(62)과, 광원(62)을 책상(D)의 상방에 유지하는 아암과, 사용자(H)의 눈을 검출하는 페이스 카메라(21)와, 페이스 카메라(21)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H)의 눈 깜박임 횟수를 산출하는 화상 처리부(120)와, 화상 처리부(120)에서 구해진 눈 깜박임 횟수를 카운트하여, 예정된 미리 정해진 빈도를 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연산 장치(130)와, 눈 깜박임 횟수가, 소정 빈도를 넘은 경우에, 광원(62)의 조도의 변화 등에 의해 사용자(H)에게 통지를 행하는 제어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ILLU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집중력이 저하하였을 때에, 경고를 행함으로써 집중력의 지속을 재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소위 데스크 라이트라고 불리는 조명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3 참조). 이러한 조명 장치는, 사용자가 적절하게 위치를 움직여, 원하는 위치가 적절한 조도가 되도록 조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데스크 라이트는 여러 가지로 개량되어, 조명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가동 부분에 모터를 마련한 조명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가령이나 피로로 눈의 핀트 조정 기능이 저하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색을 조정하거나, 조사 범위를 제어하는 조명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문자 사이즈나, 컬러/모노크롬을 판정하여, 광을 조정하는 조명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04-14400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2559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86311호 공보
전술한 조명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사용자는 장시간에 걸쳐 조명 장치를 사용하여 학습이나 작업 등을 행하는 경우, 점차로 집중력이 저하하여, 능률이 저하한다. 조명 방향을 변화시키거나, 색이나 조사 범위를 변화시키거나, 조사하는 광을 조정하여도, 사용자의 집중력과 관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집중력의 향상에 반드시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집중력을 측정하고, 집중력의 저하 시에 그 취지를 자극 등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력의 유지·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책상 위를 비추기 위한 광원과, 이 광원을 상기 책상의 상방에 유지하는 아암과, 사용자의 눈을 검출하는 페이스 센서와, 상기 페이스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를 산출하여, 예정된 미리 정해진 빈도를 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연산부와, 상기 눈 깜박임 횟수가, 상기 소정 빈도를 넘은 경우에, 사용자에게 통지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집중력을 측정하고, 집중력의 저하 시에 그 취지를 자극 등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력의 유지·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가 설치된 책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동(同)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동조명 장치에 삽입된 헤드부를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4는 동조명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동조명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10) 및 조명 장치(10)가 설치된 책상(D)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명 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조명 장치(10)에 삽입된 헤드부(60)를 나타내는 하면도이고, 도 4는 조명 장치(10)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는 조명 장치(10)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조명 장치(10)는, 책상(D)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부(20)와, 이 베이스부(20)를 책상(D)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클램프(25)와, 베이스부(20)에 그 기단측이 부착되어 광원(62)의 위치를 결정하는 아암 기구(30)와, 이 아암 기구(30)의 선단측에 마련된 헤드부(6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20) 내에는, 후술하는 제어 장치(100)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부(20)의 전방에는, 사용자(H)의 눈을 검출하여, 페이스 화상을 출력하는 페이스 카메라(페이스 센서)(2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20)의 상면에는 모드 스위치(22)가 마련되어 있다.
아암 기구(30)는, 아암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부(40)는, 베이스부(20)에 내장된 회전축(23)에 마련되며, 도면 중 화살표(α1) 방향 및 화살표(α2)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 아암(41)과, 제1 아암(41)의 선단측에 수평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화살표(α3)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아암(42)과, 제2 아암(42)의 선단측에 수평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화살표(α4) 방향으로 회동하는 앙각 조정 부재(43)와, 이 앙각 조정 부재(43)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화살표(α5) 방향으로 회동하는 요잉 부재(44)와, 이 요잉 부재(44)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화살표(α6) 방향으로 회동하는 헤드 부착부(45)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부착부(45)에는 헤드부(60)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각 부는 사용자(H)가 적절하게 방향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헤드부(60)는, 직사각 형상의 헤드 베이스(61)와, 이 헤드 베이스(61)의 하면에 마련되며, 책상(D) 위를 비추기 위한 광원(62)과, 이 광원(62)측에 마련되며, 책상(D) 위에 레이저에 의한 사인을 표시(경고 마크 등을 묘화)하는 레이저 포인터(63, 64)와, 헤드 베이스(61)의 상면에 마련된 스피커(6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100)는, 각 부를 연휴 제어하는 제어부(110)와, 이 제어부(110)에 접속된 화상 처리부(120), 연산 장치(13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처리부(120)에는, 페이스 카메라(21)의 출력이 접속되어, 페이스 카메라(21)로 얻어진 페이스 화상을 처리하여, 사용자(H)의 눈의 깜박임 횟수를 산출한다.
연산 장치(130)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사용자(H)의 눈의 깜박임 군발 횟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A) 및 기준값(B)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눈 깜박임 군발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각성 수준을 정량화하기 위한 생리적 지표로서, 눈 깜박임 빈도가 알려져 있다. 특히, 눈 깜박임의 발생 간격이 1초 이하이며, 그것이 2회 이상 연속 발생한 경우를 눈 깜박임 군발로 정의하였을 때, 이 눈 깜박임 군발의 발생 빈도를 각성 수준의 평가 지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눈 깜박임 발생 패턴을 지표로 한 각성 수준 평가의 일방법", 인간 공학, Vol.19, No.3, pp.161-167, 1983.). 따라서, 각성 수준과 집중력이 대응하기 때문에, 연산 장치(130)에서는, 눈 깜박임 군발을 축차 계측하여,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H)의 집중력의 정량화를 행한다.
제어부(110)는, 또한 광원(62), 레이저 포인터(63, 64), 스피커(65)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원(62)의 점멸, 레이저 포인터(63, 64)에 의한 문자·기호·마크 등의 책상(D) 위에의 묘화, 스피커(65)로부터의 경고음·아나운스 등의 경고를 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명 장치(10)는, 다음과 같이 하여 사용한다. 전원을 투입하면, 시스템이 초기화된다(ST10). 다음에, 눈 깜박임 군발 횟수의 측정이 행해진다(ST11). 다음에, 과거 1분간의 눈 깜박임 군발 횟수와 기준값(A) 및 기준값(B)의 비교를 행한다(ST12).
ST12에 있어서, 과거 1분간의 눈 깜박임 군발 횟수가 기준값(A)보다 크며 기준값(B)보다 작은 경우는, 집중력 저하 방지 액션을 실행하고(ST13), ST1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집중력 저하 방지 액션이란, 광원(62)의 조도나 색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H)에게 시각으로부터의 자극을 부여하여, 집중력의 회복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환경 노이즈음 등에 의한 귀로부터의 자극 등을 부여하여도 좋다.
한편, ST12에 있어서, 과거 1분간의 눈 깜박임 군발 횟수가 기준값(A)보다 크며 기준값(B)보다 작다고 할 수 없는 경우는, ST20으로 진행하여, 눈 깜박임 군발 횟수가 기준값(B) 이상이 된 경우는 경고를 행한다. 즉 스피커로부터의 경고음이나 광의 명멸 등의 강한 자극으로 경고를 실시하여(ST21), 사용자(H)의 집중력을 강제적으로 회복시키고, ST11로 되돌아간다. ST20에서 눈 깜박임 군발 횟수가 기준값(B) 이상이 아닌 경우는, 눈 깜박임 군발 횟수가 기준값(A) 이하로 사용자(H)의 집중력은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사용자(H)에게 자극을 부여하는 일없이 ST11로 되돌아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10)에 따르면, 눈 깜박임 횟수가 증가하여, 눈 깜박임 군발 횟수가 기준값(A)을 넘은 경우에, 사용자(H)에게 시청각으로부터의 자극을 부여하여 집중력이 저하되고 있음을 통지하고, 눈 깜박임 군발 횟수가 기준값(B) 이상이 된 경우에, 사용자(H)에 의해 강한 자극을 부여하여 집중력이 상당 정도 저하되고 있음을 경고한다. 사용자(H)는, 휴식하는 등에 의해 집중력의 회복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전술한 예에서는, 눈 깜박임 군발 횟수를 계측하고 있었지만, 눈 깜박임 횟수로부터 직접 집중력의 저하를 판정하여도 좋다. 또한, 페이스 센서의 일례로서 페이스 카메라를 들었지만, 적외선 LED 등의 센서류여도 좋다. 또한, 체온의 변화나 체동의 경향, 시선 이동의 경향 등으로부터 집중력의 저하를 판정하여도 좋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조명 장치 20 : 베이스부
21 : 페이스 카메라 30 : 아암 기구
40 : 아암부 60 : 헤드부
61 : 헤드 베이스 62 : 광원
63, 64 : 레이저 포인터 65 : 스피커
100 : 제어 장치 110 : 제어부
120 : 화상 처리부 130 : 연산 장치
H : 사용자 D : 책상

Claims (2)

  1. 책상 위를 비추기 위한 광원과,
    이 광원을 상기 책상의 상방에 유지하는 아암과,
    사용자의 눈을 검출하는 페이스 센서와,
    상기 페이스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눈 깜박임 횟수를 산출하고, 예정된 미리 정해진 빈도를 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연산부와,
    상기 눈 깜박임 횟수가, 상기 미리 정해진 빈도를 넘은 경우에, 사용자에게 통지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조도 혹은 색 온도의 변화, 광원의 명멸, 사인의 표시 또는 소리의 발생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KR1020177007310A 2015-01-20 2016-01-20 조명 장치 KR20170107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08842 2015-01-20
JP2015008842 2015-01-20
PCT/JP2016/051558 WO2016117594A1 (ja) 2015-01-20 2016-01-20 照明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954A true KR20170107954A (ko) 2017-09-26

Family

ID=5641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310A KR20170107954A (ko) 2015-01-20 2016-01-20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70330440A1 (ko)
EP (1) EP3250006A1 (ko)
JP (1) JPWO2016117594A1 (ko)
KR (1) KR20170107954A (ko)
CN (1) CN107211512A (ko)
AU (1) AU2016210245A1 (ko)
CA (1) CA2972350A1 (ko)
RU (1) RU2017123362A (ko)
SG (1) SG11201705457UA (ko)
WO (1) WO2016117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565B1 (ko) * 2016-10-18 2019-02-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세 및 작업 감지를 통한 안구 건조증 경고 시스템
CN108799903A (zh) * 2018-08-29 2018-11-13 浙江建林电子电气股份有限公司 台灯
CN112949372A (zh) * 2019-04-02 2021-06-11 中国计量大学上虞高等研究院有限公司 工作区域设定单元及其在学习注意力检测与预判中的用法
WO2021020477A1 (ja) * 2019-07-31 2021-02-04 京セラ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
CN111678084A (zh) * 2020-05-11 2020-09-18 刘正阳 一种桌面照明方法和设备
CN114623400B (zh) * 2022-03-22 2023-10-20 广东卫明眼视光研究院 一种基于远程智能监测的坐姿识别台灯系统及识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2331A (ja) * 1990-06-21 1992-08-03 Mitsubishi Denki Eng Kk 眠り検出装置
JP4755032B2 (ja) * 2006-06-28 2011-08-24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照明式覚醒装置
JP2012014650A (ja) * 2010-07-05 2012-01-1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心身状態管理装置
JP6145871B2 (ja) * 2013-05-28 2017-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視作業用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6259619B2 (ja) * 2013-09-20 2018-01-10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の調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705457UA (en) 2017-08-30
EP3250006A1 (en) 2017-11-29
RU2017123362A (ru) 2019-02-21
CN107211512A (zh) 2017-09-26
WO2016117594A1 (ja) 2016-07-28
JPWO2016117594A1 (ja) 2017-12-21
AU2016210245A1 (en) 2017-07-13
CA2972350A1 (en) 2016-07-28
US20170330440A1 (en)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7954A (ko) 조명 장치
JP6723931B2 (ja) 照明装置
DE60327798D1 (de) Installation zum nachweis und zur verfolgung eines auges und seiner blickrichtung
CN109414167B (zh) 视线检测装置以及视线检测方法
ATE485758T1 (de) Ophthalmologische vorrichtung und ophthalmologisches messverfahren
JP2018519601A5 (ko)
CN105705094A (zh) 阈值的测试和确定
DE502006009447D1 (de) Künstliches akkommodationssystem
JP4977856B2 (ja) 覚醒状態検知方法および覚醒状態検知装置
US10874357B2 (en) Eye movement measuring device and eye movement analysis system
JP2008243031A (ja) 漫然運転判定装置
JP6476546B2 (ja) 覚醒維持装置及びプログラム
CA2915166A1 (en) Focal length adjustment
EP1560014A3 (en) Lens-refracting characteristic measuring apparatus
KR20170135573A (ko) 운전자 시선 방향 검출 장치
Bhaskar EyeAwake: A cost effective drowsy driver alert and vehicle correction system
RU2009113443A (ru) Способ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засыпания водите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9268783A (ja) 車両用眼疲労回復支援装置
US7377644B2 (en) Fixation light indicator for slit lamp
US11266307B2 (en) Evaluation device, evalu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2009028268A (ja) 光照射美容器具
KR101113744B1 (ko) Led 란돌트 링을 이용하여 안구의 조절력을 측정하는 검안 장치 및 방법
KR20160135470A (ko) 웨어러블 졸음방지장치
JP2010167092A (ja) 眼疲労測定装置
KR20170071037A (ko) 거북목 교정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