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799A - 외국어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외국어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799A
KR20170107799A KR1020160031572A KR20160031572A KR20170107799A KR 20170107799 A KR20170107799 A KR 20170107799A KR 1020160031572 A KR1020160031572 A KR 1020160031572A KR 20160031572 A KR20160031572 A KR 20160031572A KR 20170107799 A KR20170107799 A KR 20170107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classification unit
semantic classification
displaying
seman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니에리 세고비아
Original Assignee
레니에리 세고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니에리 세고비아 filed Critical 레니에리 세고비아
Priority to KR1020160031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7799A/ko
Publication of KR2017010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6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with answer indicating cards, bloc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A63F2003/040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 A63F2003/0405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relating to specific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외국어 학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은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기 복수의 객체 중 하나의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을 의미 구분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순서대로 배열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국어 학습 방법{METHOD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본 발명은 외국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 형식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외국어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사용자 단말의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에서 즐길 수 있는 게임 사용자 역시 급증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언어를 학습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단순한 단어장, 학습 컨텐츠 재생 정도에 그치기 때문에, 사용자가 흥미를 빨리 떨어뜨려 지속적인 학습 효과가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언어 학습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2015-0142295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능동적인 학습 참여가 가능한 외국어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인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외국어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외국어 학습 방법은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객체 중 하나의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을 의미 구분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순서대로 배열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상기 문장의 어순과 무관한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단어 또는 단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의미 구분 단위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을 의미 구분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장에 포함되는 의미 구분 단위 및 상기 문장과 무관한 의미 구분 단위를 임의의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문장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의미 구분 단위 배열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장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의미 구분 단위 배열이 일치하며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미 구분 단위 배열을 입력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요된 시간에 대응되는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외국어 학습 방법에 따르면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표현, 어휘, 말하기, 문법, 쓰기 듣기 능력을 통합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을 의미 구분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데스크탑 PC와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외국어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범용적인 전자 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외국어 학습 방법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장치는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화면을 표시한다(S110). 여기에서, 화면에 포함된 객체는 그 형태나 모습 등이 외국어 표현으로 묘사될 수 있는 각종 사물, 동?식물, 인물 등일 수 있다.
이후,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S12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마우드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객체들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화면에 포함된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을 의미 구분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S130). 여기에서,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이란 화면에 표시된 객체의 모습, 형태, 현재 상태 등을 표현하는 문장을 의미한다.
또한, 의미 구분 단위란 의미를 가지는 최소한의 단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에서 외국어가 영어인 경우 문장을 구성하는 각 영단어가 의미 구분 단위가 될 수 있다.
이때, 각 의미 구분 단위는 문장의 어순과 무관하게 임의의 순서대로 배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의미 구분 단위를 어법에 맞는 어순으로 배열하게 함으로써 외국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한다(S140). 음성은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한 후 자동으로 재생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을 하여야만 재생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음성을 청취한 사용자가 임의의 순서대로 나열된 의미 구분 단위를 순서대로 배열하면, 이를 수신하여(S150) 입력 결과에 따라 소정의 점수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의미 구분 단위의 배열이 정답인 경우 그에 대응되는 점수를 부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점수를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정답을 입력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여 그 시간에 대응되는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게 되는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정답에 따라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을 즐기듯이 외국어 학습에 몰입할 수 있게 한다는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화면,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을 의미 구분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객체(210, 220, 230)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객체(210, 220, 230)로는 그 형태나 모습 등이 외국어 표현으로 묘사될 수 있는 각종 사물, 동?식물, 인물 등이 있을 수 있다.
화면에 포함된 객체(210, 220, 230)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면, 도 3과 같은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을 의미 구분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복수의 객체 중 하나의 객체를 선택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객체의 대응되는 문장(310) 의미 구분 단위(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의미 구분 단위(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는 단어 또는 단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의미 구분 단위는 문장의 어순과 무관하게 임의의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임의의 순서대로 나열된 의미 구분 단위(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를 문장 순서대로 배열하게 함으로써 외국어를 학습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가 “닭”이었다면, 도 3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인 “The chicken is yellow”가 음성으로 출력된다.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을 청취한 사용자가 의미 구분 단위(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를 문장의 어순대로 배열하면 그 결과에 따라 소정의 점수가 부여된다.
이때,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의미 구분 단위(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 구분 단위를 선택하면 선택된 의미 구분 단위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의미 구분 단위(311)를 선택하면 해당 영단어가 음성 데이터로 출력되고 제2 의미 구분 단위(312)를 선택하면 “펭귄”에 대응되는 영단어가 음성 데이터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화면에서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전체 문장을 청취한 후, 화면에 표시된 표시된 복수의 의미 구분 단위(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를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의미 구분 단위 각각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청취하여 문장의 어순대로 의미 구분 단위를 배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학습 방법은 임의의 순서대로 나열된 의미 구분 단위를 문장의 어순대로 배열하기까지 소모된 시간을 측정하여, 그 시간에 대응되는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답을 맞추기까지 소요된 시간이 짧을수록 높은 점수가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들과의 경쟁심을 유발하여 사용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그에 따라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이 음성으로 출력되고 그 문장의 구성 성분인 의미 구분 단위를 배열함으로써 외국어를 학습하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어의 스펠링을 배열하도록 하거나 어법에 맞는 단어의 형태(과거형, 현재형, 미래형 등) 등을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복수의 객체가 포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객체 중 하나의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을 의미 구분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순서대로 배열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상기 문장의 어순과 무관한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단어 또는 단어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의미 구분 단위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의미 구분 단위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문장을 의미 구분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문장에 포함되는 의미 구분 단위 및 상기 문장과 무관한 의미 구분 단위를 임의의 순서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장과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의미 구분 단위 배열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장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상기 의미 구분 단위 배열이 일치하며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미 구분 단위 배열을 입력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요된 시간에 대응되는 점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
KR1020160031572A 2016-03-16 2016-03-16 외국어 학습 방법 KR20170107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72A KR20170107799A (ko) 2016-03-16 2016-03-16 외국어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72A KR20170107799A (ko) 2016-03-16 2016-03-16 외국어 학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799A true KR20170107799A (ko) 2017-09-26

Family

ID=60036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572A KR20170107799A (ko) 2016-03-16 2016-03-16 외국어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77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442A (ko) * 2018-11-21 2020-05-29 심은용 그림을 이용한 영어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4121A (ko) *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442A (ko) * 2018-11-21 2020-05-29 심은용 그림을 이용한 영어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34121A (ko) *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기출문제 학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0319B2 (en) Interactive multimedia story creation application
Cheng et al. A corpus-driven study of discourse intonation: the Hong Kong corpus of spoken English (prosodic)
US117792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ining artificially-intelligent classifier
US100898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CN109741641A (zh) 基于生词检测的语言学习系统
KR20150126176A (ko)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2145278B1 (ko)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언어학습방법
KR20170107799A (ko) 외국어 학습 방법
CN112165627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终端及系统
JP6656529B2 (ja) 外国語の会話訓練システム
CN116881412A (zh) 汉字多维信息匹配训练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Ali et al. A bilingual interactive human avatar dialogue system
CN115963963A (zh) 互动小说生成方法、呈现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660388A (zh) 一种语音交互点读装置
KR20140075994A (ko) 의미단위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28527A (ko) 단어의 음절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20140087951A (ko) 이미지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영어 문법 학습장치 및 방법
WO2015115701A1 (ko) 멀티미디어 외국어 학습교재
KR100884826B1 (ko) 페이지 인덱스를 이용한 반복 학습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3768A (ko) 의미단위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KR102453876B1 (ko) 외국어 스피킹 훈련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140074459A (ko) 단어의 음절와 이미지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단어 학습장치 및 방법
KR102656262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중국어 연상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15546B1 (ko) 반복 학습과 복수 항목 동시 노출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KR20140074457A (ko) 의미단위와 이미지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