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708A -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 Google Patents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708A
KR20170107708A KR1020160031374A KR20160031374A KR20170107708A KR 20170107708 A KR20170107708 A KR 20170107708A KR 1020160031374 A KR1020160031374 A KR 1020160031374A KR 20160031374 A KR20160031374 A KR 20160031374A KR 20170107708 A KR20170107708 A KR 20170107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body
function
molding
fragrance
refil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2734B1 (ko
Inventor
강혜정
Original Assignee
강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혜정 filed Critical 강혜정
Priority to KR1020160031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73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non-organic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물질을 포함하여 석고몰드를 제작할 때 다각형 석고몰드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다양한 장식부재가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맞춤식 방향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석고몰드의 방향기능이 소진된 후 방향제를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갖추어져 제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석고와 방향물질을 혼합하여 석고몰딩에 의해 제작된 방향제에 있어서, 석고와 방향물질을 혼합하여 다면체형태로 형성되어 방향기능과 실내 장식기능을 갖는 몰딩본체와; 상기 몰딩본체가 형성될 때 몰딩주형 내에서 미리 배치되어 몰딩본체가 제작된 후 몰딩본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결합되는 장식부재와; 상기 몰딩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방향제가 충진되어 몰딩본체의 방향기능이 소진되면 방향기능이 수행되도도록 하기 위한 리필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Freshener for plaster mold}
본 발명은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방향물질을 포함하여 석고몰드를 제작할 때 다각형 석고몰드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다양한 장식부재가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맞춤식 방향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석고몰드의 방향기능이 소진된 후 방향제를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갖추어져 제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에 관한 것이다.
석고는 실내장식품을 제작하기 위한 재료로 많이 사용되어지며, 이와 같은 석고를 실내장식품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특정의 주형에 석고를 주입하여 몰딩함에 의해 목적하는 형태의 실내장식품으로 제작하도록 함은 주지된 것과 같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4-0072593호(방향제 리필용 석고방향제, 이하 기출원발명)에는 석고에 방향제를 함유하여 석고방향제를 제작하기 위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기출원발명의 방향제 리필용 석고방향제는「기초 조형재와 알콜 및 오일을 포함하고 여기에 색소를 첨가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초 조형재는 일정크기의 입도를 가지는 일정량의 석고분과 일정량의 화선지를 일정량의 물에 불리는 화선지액 및 일정량의 화장솜을 포함하는 방향제 리필용 석고방향제를 제공하여, 석고방향제에 향을 흡수시키고, 흡수된 향이 석고방향제로부터 공기 중으로 일정기간 발산하도록 하되, 향 발산이 감소되면 동일 또는 다른 종류의 향을 가지는 방향제를 반복적으로 리필하여 반영구적으로 동일 또는 다른 종류의 향을 발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고, 석고방향제에 인성을 부가하여 취급시 파손과 훼손 위험이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되며, 또한 석고방향제의 몸체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석고방향제가 굳는 시간을 단축하며, 동일한 량의 방향제를 흡수시켜 향이 발산되는 기간을 증가시키도록 한」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기출원발명의 석고방향제는 방향제 기능을 갖는 석고조형물을 제작하는 것으로, 석고조형의 특성상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는 있지만, 사소한 외력에 쉽게 파손되며, 특히, 단순 석고조형에 의해서만 그 외부디자인이 결정되기 때문에 실내장식기능에 한계가 노출된다.
특히, 상기 석고방향제에서 방향제를 리필하기 위해서는 기초조형제, 알콜, 오일로 된 재료가 요구되어 리필자체가 불편하기도 하려니와, 상당한 숙련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일부 매니아층의 소비자 외에는 그 판매효율이 낮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방향물질을 포함하여 석고몰드를 제작할 때 다각형 석고몰드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다양한 장식부재가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한 맞춤식 방향제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석고몰드의 방향기능이 소진된 후 방향제를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갖추어져 제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석고와 방향물질을 혼합하여 석고몰딩에 의해 제작된 방향제에 있어서, 석고와 방향물질을 혼합하여 다면체형태로 형성되어 방향기능과 실내 장식기능을 갖는 몰딩본체와; 상기 몰딩본체가 형성될 때 몰딩주형 내에서 미리 배치되어 몰딩본체가 제작된 후 몰딩본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결합되는 장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발명은 상기 몰딩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방향제가 충진되어 몰딩본체의 방향기능이 소진되면 방향기능이 수행되도도록 하기 위한 리필용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식부재는 몰딩본체 육안으로 구분되도록 하기 위해 이질의 재질로 제작되고, 음각 또는 양각의 장식모양이 형성된 판재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리필용기는 몰딩본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된 보관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몰딩본체의 방향기능이 소진되기 이전에 방향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방부에 마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관홈에는 바닥면에서 더 함몰된 리필홈이 형성되어 상기 리필용기가 보관홈에 체결된 여부에 관계없이 방향제가 투입되어 방향기능이 소진된 몰딩본체에서 방향기능이 다시 부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리필용기는 개방부에 리필액 장식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리필액 장식부재는 리필용기 내부의 방향제를 흡수하여 외부로 방향시킬 수 있도록 한 방향부재로 적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각형 석고몰드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장식부재가 결합되어 방향제 기능의 석고몰드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에 부합되도록 하므로써 보다 높은 판매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석고몰드에 방향기능이 소진된 후 방향제의 리필이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사용수명 연장에 따른 소비자의 경제적이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제의 제작과정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제의 사용상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제의 제작과정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제는 몰딩본체(10), 장식부재(20), 리필용기(30)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제시되는 방향제는 탁상에 얹혀져 거치되는 형태로 예시되었지만, 벽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하거나 차량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몰딩본체(10) 또는 장식부재(20)에 행거에 걸려지기 위한 고리 또는 차량에 장착되기 클립 등의 구성이 별도로 결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몰딩본체(10)는 석고와 방향물질을 혼합하여 다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방향기능과 실내 장식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다면체는 도면에서 육면체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석고를 몰딩하기 위한 몰딩주형(P)의 형태에 따라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부재(20)는 도 3에서와 같이 몰딩본체(10)가 형성될 때 몰딩주형(P) 내에서 미리 배치되어 몰딩본체(10)가 제작된 후 몰딩본체(10)의 적어도 어느 일면(도면에서는 양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장식부재(20)는 몰딩본체(10)와 육안으로 구분되도록 하기 위해 이질의 재질, 예로써, 목재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 등으로 제작되며, 외관을 장식하기 위해 음각 또는 양각의 장식모양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장식부재(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적정두께의 판체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몰딩본체(10)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몰딩본체(10) 측으로 1이상 개수의 결합돌기 등이 형성되거나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필용기(30)는 내부에 방향제가 충진되어 몰딩본체(10)의 방향기능이 소진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몰딩본체(10)에 액상의 방향제를 재공급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리필용기(30)는 몰딩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몰딩본체(10)에는 리필용기(30)가 결합되어 보관되기 위한 보관홈(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필용기(30)는 몰딩본체(10)의 적어도 어느 일면(도면에서는 상면)에 형성된 보관홈(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몰딩본체(10)의 방향기능이 소진되기 이전에 방향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방부에 마개(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관홈(11)은 몰딩본체(10)의 표면에서 일정깊이로 함몰된 홈이며, 상기 보관홈(11)에는 바닥면에서 더 함몰된 리필홈(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리필홈(12)은 보관홈(11) 보다 적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보관홈(11)이 체결된 후에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리필홈(12)은 리필용기(30)가 보관홈(11)에 체결된 여부에 관계없이 방향제를 투입되어 방향기능이 소진된 몰딩본체(10)에서 방향기능이 다시 부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개(31)는 리필용기(30)의 개방부를 밀폐시키도록 하여 몰딩본체(10)의 방향기능이 유지될 때에는 리필용 방향제를 보관하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방향기능이 소진되면 리필용 방향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상기 마개(31)는 특정한 외관으로 형성되어 장식부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리필과정은 도 4에서와 같이 리필용기(30)를 보관홈(11)에서 꺼낸 후, 마개(31)를 열고 리필용기(30)에 보관된 액상의 리필용 방향제를 리필홈(12)에 투입시키면, 리필홈(12)에 투입된 액상의 리필용 방향제는 다공성 재료인 석고로 된 몰딩본체(10)의 내부로 확산되어 몰딩본체(10)의 방향기능이 다시 유지될 수 있는 것임은 주지된 것과 같다.
추가되는 구성으로, 상기 상기 마개(31)를 대신하여 몰딩본체(10)의 개방부에 리필액 장식부재(32)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리필액 장식부재(32)는 리필용기(30) 내부의 방향제를 흡수하여 외부로 방향시킬 수 있도록 한 방향부재(디퓨져)의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10: 몰딩본체
20: 장식부재
30: 리필용기

Claims (6)

  1. 석고와 방향물질을 혼합하여 석고몰딩에 의해 제작된 방향제에 있어서,
    석고와 방향물질을 혼합하여 다면체형태로 형성되어 방향기능과 실내 장식기능을 갖는 몰딩본체(10)와; 상기 몰딩본체(10)가 형성될 때 몰딩주형(P) 내에서 미리 배치되어 몰딩본체(10)가 제작된 후 몰딩본체(10)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결합되는 장식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방향제가 충진되어 몰딩본체(10)의 방향기능이 소진되면 방향기능이 수행되도도록 하기 위한 리필용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재(20)는
    몰딩본체(10)와 육안으로 구분되도록 하기 위해 이질의 재질로 제작되고, 음각 또는 양각의 장식모양이 형성된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기(30)는
    몰딩본체(10)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된 보관홈(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몰딩본체(10)의 방향기능이 소진되기 이전에 방향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방부에 마개(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홈(11)에는
    바닥면에서 더 함몰된 리필홈(12)이 형성되어 상기 리필용기(30)가 보관홈(11)에 체결된 여부에 관계없이 방향제가 투입되어 방향기능이 소진된 몰딩본체(10)에서 방향기능이 다시 부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기(30)는
    개방부에 리필액 장식부재(32)가 결합되고, 상기 리필액 장식부재(32)는 리필용기(30) 내부의 방향제를 흡수하여 외부로 방향시킬 수 있도록 한 방향부재로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KR1020160031374A 2016-03-16 2016-03-16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KR101822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374A KR101822734B1 (ko) 2016-03-16 2016-03-16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374A KR101822734B1 (ko) 2016-03-16 2016-03-16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708A true KR20170107708A (ko) 2017-09-26
KR101822734B1 KR101822734B1 (ko) 2018-01-29

Family

ID=6003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374A KR101822734B1 (ko) 2016-03-16 2016-03-16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405A (ko) * 2018-06-19 2019-12-30 김효진 석고 방향제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8960B2 (ja) 1992-06-30 2000-11-13 京セラ株式会社 光空間伝送装置
JP3199669B2 (ja) 1997-09-24 2001-08-20 旭化成株式会社 極細マルチフィ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法
KR200479369Y1 (ko) * 2015-08-24 2016-01-21 최지선 방향 인테리어소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405A (ko) * 2018-06-19 2019-12-30 김효진 석고 방향제의 제조 방법
WO2020256296A1 (ko) * 2019-06-19 2020-12-24 김효진 석고 방향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734B1 (ko) 201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604349A (pt) distribuidor portátil para lìquido
EP1819600A4 (en) THERMOGEFORMED PLASTIC CONTAINER FOR CHOCOLATE
US7614876B1 (en) Two in one candle
CN210813912U (zh) 具有香薰机功能的雪花玻璃球
JP2022537210A (ja) ディフューザを備えた芳香剤ボトル
KR101822734B1 (ko)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KR20140136872A (ko) 조립식 발향스틱
KR20170001968U (ko) 방향기구
KR101943980B1 (ko) 폴리에스테르 발향체
JP3168816U (ja) 吊下型の芳香具
KR20190038532A (ko) 방향 화합물에 따라 용기 색상이 변하는 자동차용 방향제
KR200256875Y1 (ko) 방향액이 함침된 도자기 장식물
KR200488676Y1 (ko) 레진-석고방향제
KR20170065105A (ko) 케이크 장식용 꽃꽂이 틀
KR20190000489U (ko) 실내용 방향제 인형
KR102102509B1 (ko) 방향제 케이스
KR101721954B1 (ko) 오뚝이형 장식품
CN206375115U (zh) 一种双层装饰容器
CN209776340U (zh) 一种车用装饰件
ITMI20091982A1 (it) Dispositivo deodorante
CN210283752U (zh) 一种多功能房屋状陶瓷摆件
ITUA20164616A1 (it) Diffusore per essenze
KR101119062B1 (ko) 장식품 겸용 방향제 케이스
KR20170004191U (ko) 노리개
KR20200127337A (ko) 장식용 딥 튜브를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