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68U - 방향기구 - Google Patents

방향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68U
KR20170001968U KR2020150007757U KR20150007757U KR20170001968U KR 20170001968 U KR20170001968 U KR 20170001968U KR 2020150007757 U KR2020150007757 U KR 2020150007757U KR 20150007757 U KR20150007757 U KR 20150007757U KR 20170001968 U KR20170001968 U KR 201700019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aroma agent
fragrance
aroma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아
Original Assignee
김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아 filed Critical 김주아
Priority to KR2020150007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968U/ko
Publication of KR20170001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non-organic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향기 발산을 위한 방향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고체방향제로서 향을 발산하는 방향기능을 가지며, 몰드 성형에 의해 다양한 형체로 구비될 수 있는 석고방향제(110); 상기 석고방향제(110)의 일측면에 일부분이 박힌 상태로 되어 돌출 구조로 일체 결합되는 공병(120); 상기 공병(120)에 삽입 배치되며, 장식 및 관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드라이플라워 또는 생화(130); 상기 석고방향제(110)의 방향과 함께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병(120) 내에 일정 수위로 투입되며, 방향기구에 대한 방향기능을 향상시키면서 뛰어난 발향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퓨져액(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형체 및 크기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 효과 및 방향 효과의 활용도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향이 잘되거나 좋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기구{implement for providing fragrance}
본 고안은 향기의 발산을 위한 방향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고방향제와 공병(空甁)을 이용한 디퓨져가 결합되는 새로운 구성을 갖도록 하며, 방향기능에 장식성을 가미하여 인테리어 효과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방향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기구는 특정의 향기를 발산하는 향료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식물 등에서 향 발산물질을 추출한 향료를 용기 등에 담아 놓인 공간 내에 향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기구는 사용자가 직접 살포하여 향기를 발산토록 하는 방식과 스스로 향기를 발산토록 하는 방식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다양한 형태 또는 모델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향료를 이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때로는 향 발산물질을 추출한 향료를 이용하지 않고 향기가 나는 꽃 등의 식물 자체를 건조시키고 이를 바구니나 용기 등에 담아 향기를 발산토록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공기 중에 발산되는 향기를 통해서는 주변의 악취 등을 제거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거나 또는 향기 요법효과로 신체를 자극하여 치료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 방향기구에 대한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면, 국내등록특허 제10-1108430호에서는 디스크플레이어의 턴테이블에 안착되어서 이와 함께 회전되는 하판; 하판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하판의 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되는 상판; 하판 및 상판 사이에 결합되어서 하판 및 상판이 회전될 때에 이와 함께 회전되고, 하판 및 상판의 둘레로 펼쳐지거나 하판 및 상판의 내측으로 접히도록 작동되며, 내부의 수납공간에 방향제가 구비되어서, 하판 및 상판의 둘레로 펼쳐진 상태로 회전될 때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 후 배출되면서 방향제의 향이 주변으로 확산되도록 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 씨디형 방향장치에 대한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8430호
본 고안은 석고방향제와 공병(空甁)을 이용한 디퓨져가 결합되는 새로운 구성을 갖도록 하며,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기능에 장식성을 가미하여 인테리어 효과 및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방향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석고방향제에 공병을 박아 결합하고 공병에 드라이플라워나 생화를 삽입하여 장식 및 관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석고방향제와 함께 공병에 디퓨져액을 넣어 디퓨져로 동시에 사용토록 구성함으로써 방향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뛰어난 발향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방향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벽에 걸거나 탁자에 배치하는 등 인테리어 효과 및 방향기능을 위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방향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향기구는, 고체방향제로서 향을 발산하는 방향기능을 가지며, 몰드 성형에 의해 다양한 형체 및 크기로 구비될 수 있는 석고방향제(110); 상기 석고방향제(110)의 일측면에 일부분이 박힌 상태로 되어 돌출 구조로 일체 결합되는 공병(120); 상기 공병(120)에 삽입 배치되며, 장식 및 관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드라이플라워 또는 생화(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석고방향제(110)의 방향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병(120) 내에 일정 수위로 투입되며, 방향기구에 대한 방향기능을 향상시키면서 뛰어난 발향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퓨져액(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석고방향제(110)는 석고가루 : 정제수 = 10 : 2~3의 중량 또는 부피 비율로 조성된 혼합물로 몰드 성형한 석고성형물에 향료를 스프레이하여 흡수시킨 타입의 고체방향제이거나, 석고가루 : 향료 : 정제수 = 10 : 1 : 2~3의 중량 또는 부피 비율로 조성된 혼합물로 몰드 성형한 고체방향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석고방향제(110)는, 상단부 중심에 관통된 고리연결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고리연결공(111)에는 내구성 및 장식성을 위해 아일렛심을 삽입하여 고정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석고방향제와 공병을 이용한 디퓨져가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방향기구를 제공할 수 있고,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기능에 장식성을 가미함으로써 실내에 은은한 향기를 발산시킴과 함께 인테리어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석고방향제를 몰드 성형시 공병을 박아 일체 결합한 구성에 공병으로 드라이플라워나 생화를 삽입 배치할 수 있어 방향기구에 대해 장식 및 관상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석고방향제를 통한 방향과 더불어 공병에 디퓨져액을 넣어 디퓨져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방향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뛰어난 발향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방향기구를 벽에 걸거나 탁자에 배치하는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인테리어 효과 및 방향기능을 위한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방향기능에 대한 리필 적용이 가능하며, 석고를 이용한 몰드 성형으로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공병을 간단하게 일체 결합할 수 있어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방향기구를 제작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구에 대한 일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기구(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고방향제(110)와 공병(120), 드라이플라워 또는 생화(130), 디퓨져액(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석고방향제(110)는 고체 방향제로서 향을 발산하는 방향기능을 가지며, 몰드 성형을 이용하므로 다양한 형체 및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석고방향제(110)는 석고가루와 향료, 유화제 및 정제수(물)를 일정 비율로 조성하여 혼합한 석고혼합물로 이루어지며, 몰드를 이용한 성형체로 제작된다.
즉, 상기 석고방향제(110)는 사용하는 몰드의 형체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석고방향제(110)는 석고가루 : 정제수 = 10 : 2~3의 중량 또는 부피 비율로 조성된 혼합물을 몰드에 부어 성형함으로써 석고성형물을 만들고 이러한 석고성형물에 향료를 스프레이하여 흡수케 한 구성일 수 있으며, 때로는 석고가루 : 향료 : 정제수 = 10 : 1 : 2~3의 중량 또는 부피 비율로 조성된 혼합물을 몰드에 부어 경화시킴으로써 몰드 성형한 구성일 수도 있다.
이때, 석고가루와 향료 및 정제수를 조성하여 혼합하는 경우에는 향료와 정제수(물)가 서로 잘 섞이게 하기 위하여 올리브리퀴드 등의 유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석고방향제(110)는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전자의 방식이 후자의 방식에 비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석고방향제(110)는 다양한 색상 표출을 위해 색소가 소량으로 추가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석고가루는 경화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석고방향제의 일정한 형체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주재료이다.
상기 향료는 천연물로부터 추출 또는 분리해낸 천연향료나 프레그렌스오일 등의 인공향료 등 개인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석고방향제(110)는 상단부 중심에 관통된 고리연결공(111)을 형성함으로써 방향기구(100)에 대한 다양한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등 인테리어적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리연결공(111)을 통해 연결줄(150)이나 고리부재 등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벽체에 박힌 못에 걸어 방향기구(100)를 고정할 수 있는 등 방향기구(110)에 대한 인테리어적 활용 폭을 넓힐 수 있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리연결공(111)에는 방향기구(100)에 대한 내구성 및 장식성을 위해 아일렛심을 삽입하여 고정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석고방향제(110)는 실내에 향기를 은은하게 발산하는 방향기능과 더불어 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표면에 향료를 한두 방울 떨어뜨림으로써 리필 사용 또한 가능하다.
상기 공병(120)은 상기 석고방향제(110)의 일측면에 일부분이 박힌 상태로 되어 돌출 구조로 일체 결합시킨 것으로서, 공병(120)의 결합을 통해 방향기구(100)의 활용성 및 인테리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공병(120)은 상술한 석고방향제(110)를 위한 석고혼합물을 몰드에 붇고 성형 처리시 석고혼합물이 완전히 굳기 이전에 박아 배치함으로써 아주 간단하게 돌출 구조로 결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공병(120)은 내부가 비어있는 병(甁)으로서 유리병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나, 다양한 색상 표출이 가능한 플라스틱병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할 것이며, 상기 석고방향제(110)의 형체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드라이플라워 또는 생화(130)는 상기 석고방향제(110)에 결합되는 공병(120)에 꽂아 삽입 배치되는 것으로서, 방향기구(100)에 대한 전반적인 장식 및 관상 효과를 높여주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드라이플라워 또는 생화(130)는 상기 공병(120) 내에 줄기 부분이 삽입되고 공병(120)의 외부로 꽃잎 부분이 노출되는데, 상기 디퓨져액(140)을 공병(120) 내에 투입시 줄기 부분을 통해 액을 끌어올려 향을 발산시키는 기능을 발휘할 수도 있다.
상기 디퓨져액(140)은 상기 석고방향제(110)의 방향과 함께 동시에 디퓨저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병(120) 내에 일정 수위로 투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디퓨져액(140)을 공병(120)에 투입하여 석고방향제(110)와 함께 동시에 향을 발산케 하므로 방향기구에 대한 발향을 더욱 좋게 할 수 있으며, 방향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때로는, 상기 디퓨져액(140)을 상기 석고방향제(110)와 함께 사용하지 않고 상기 석고방향제(110)의 향이 날아가 미약해지거나 또는 완전하게 없어졌을 때 상기 공병(120)에 투입하는 형태로 하여 디퓨져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인데, 방향기구(100)에 대한 뛰어난 발향성을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석고방향제(110)와 함께 디퓨져로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디퓨져액(140)은 리필이 가능하므로 연속 사용이 가능하고, 방향기구(100)에 대해 계속적인 방향기능의 발휘를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 편리성 및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퓨져액(140)은 향료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에탄올용액 : 향료 = 7 : 3의 중량 또는 부피 비율로 조성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퓨져액(140)은 상기 공병(120)에 투입하여 디퓨져로 사용함과 더불어 석고방향제(110)의 방향을 위한 리필액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방향기구(100)는 다음과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제작할 수 있다.
먼저, 석고가루 : 정제수 = 10 : 2~3의 중량 또는 부피 비율로 조성된 혼합물을 몰드에 부어 성형 및 경화함으로써 석고성형물을 만들고 이러한 석고성형물에 향료를 스프레이하여 흡수케 함으로써 석고방향제(110)를 만든다.
여기에서, 향료는 상기 디퓨져액(140)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석고성형물을 위한 혼합물에는 다양한 색상 표출을 위해 색소가 추가로 투입될 수 있다.
이때, 몰드 내에 부어져 경화되는 석고성형물에는 이것이 완전하게 굳기 이전에 공병(120)의 일부가 박히도록 배치한다.
이에 따라, 방향기능을 갖는 석고방향제(110)를 제조함과 더불어 공병(120)이 돌출 구조로 일체 결합된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때, 석고방향제(110)에는 몰드를 이용하여 상단부 중심에 고리연결공(111)을 갖는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어, 드라이플라워 또는 생화(130)를 구비하여 석고방향제(110)에 박힌 공병(120)에 꽂아 배치함으로써 방향기구(100)에 대한 장식 및 관상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병(120)에는 석고방향제(110)의 방향기능과 함께 디퓨져로서 동시 사용할 수 있도록 디퓨져액(140)을 투입한다.
이에 따라, 방향기구(100)에 대한 발향성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이때, 디퓨져액(140)은 향료로만 구성할 수 있으며, 때로는 에탄올용액 : 향료 = 7 : 3의 중량 또는 부피 비율로 조성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디퓨져액(140)은 공병(120)에 리필하거나 또는 석고방향제(110)의 리필에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방향기구(100)에 대해 방향기능을 계속해서 발휘토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방향기구(100)는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형체 및 크기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 효과 및 방향 효과의 활용도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향이 잘되거나 좋게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방향기구 110: 석고방향제
120: 공병 130: 드라이플라워 또는 생화
140: 디퓨져액

Claims (4)

  1. 고체방향제로서 향을 발산하는 방향기능을 가지며, 몰드 성형에 의해 다양한 형체 및 크기로 구비될 수 있는 석고방향제(110);
    상기 석고방향제(110)의 일측면에 일부분이 박힌 상태로 되어 돌출 구조로 일체 결합되는 공병(120);
    상기 공병(120)에 삽입 배치되며, 장식 및 관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드라이플라워 또는 생화(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방향제(110)의 방향과 함께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병(120) 내에 일정 수위로 투입되며, 방향기구에 대한 방향기능을 향상시키면서 뛰어난 발향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퓨져액(14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방향제(110)는,
    석고가루 : 정제수 = 10 : 2~3의 중량 또는 부피 비율로 조성된 혼합물로 몰드 성형한 석고성형물에 향료를 스프레이하여 흡수시킨 타입의 고체방향제이거나,
    석고가루 : 향료 : 정제수 = 10 : 1 : 2~3의 중량 또는 부피 비율로 조성된 혼합물로 몰드 성형한 고체방향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방향제(110)는,
    상단부 중심에 관통된 고리연결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고리연결공(111)에는 내구성 및 장식성을 위해 아일렛심을 삽입하여 고정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구.
KR2020150007757U 2015-11-27 2015-11-27 방향기구 KR201700019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57U KR20170001968U (ko) 2015-11-27 2015-11-27 방향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757U KR20170001968U (ko) 2015-11-27 2015-11-27 방향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68U true KR20170001968U (ko) 2017-06-07

Family

ID=5909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757U KR20170001968U (ko) 2015-11-27 2015-11-27 방향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96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405A (ko) * 2018-06-19 2019-12-30 김효진 석고 방향제의 제조 방법
KR102113953B1 (ko) * 2019-09-19 2020-05-21 박진하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KR20210033875A (ko) * 2019-09-19 2021-03-29 박진하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430B1 (ko) 2010-09-27 2012-01-31 (주)옵티스 씨디형 방향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430B1 (ko) 2010-09-27 2012-01-31 (주)옵티스 씨디형 방향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3405A (ko) * 2018-06-19 2019-12-30 김효진 석고 방향제의 제조 방법
WO2020256296A1 (ko) * 2019-06-19 2020-12-24 김효진 석고 방향제의 제조 방법
KR102113953B1 (ko) * 2019-09-19 2020-05-21 박진하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KR20210033875A (ko) * 2019-09-19 2021-03-29 박진하 다공성 표면을 갖는 캔들 또는 석고방향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1968U (ko) 방향기구
KR200488419Y1 (ko) 세라믹 디퓨저
JP3227052U (ja) 芳香ディフューザー機能を有するスノードーム
US7981470B1 (en) Interior chemical treatments for inflatable balloons
KR101669892B1 (ko) 기본향초 둘레에 기포밀랍을 채워 제조되는 기포향초
US7686668B1 (en) Interior scenting of latex balloons
WO2019197824A2 (en)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liquid
KR20140136872A (ko) 조립식 발향스틱
KR102364014B1 (ko) 향기나는 화기 방향제
US20070125874A1 (en) Aromatic dispenser container
KR200238695Y1 (ko) 향기가 나는 조화셋트
CN202715064U (zh) 多用途香味散发器
KR20170011267A (ko) 스노우볼 양초
KR20160000204U (ko) 향기 캡슐
CN202151178U (zh) 香氛瓶的改良结构
KR20160107732A (ko) 한지 석고 방향제 및 그의 제조 방법
CN202406609U (zh) 插花座
KR101822734B1 (ko)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JP2010137027A (ja) 人工爪
KR200484187Y1 (ko) 식물생육용기
CN104477008A (zh) 旗杆散香型汽车香水座
KR200235834Y1 (ko) 방향성 세라믹 장식체가 수용된 장식용 방향용구
KR20190038532A (ko) 방향 화합물에 따라 용기 색상이 변하는 자동차용 방향제
KR20150003328U (ko) 다용도 수용 홀더
KR101721954B1 (ko) 오뚝이형 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334;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33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725

Effective date: 2017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