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81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814A
KR20170106814A KR1020160030435A KR20160030435A KR20170106814A KR 20170106814 A KR20170106814 A KR 20170106814A KR 1020160030435 A KR1020160030435 A KR 1020160030435A KR 20160030435 A KR20160030435 A KR 20160030435A KR 20170106814 A KR20170106814 A KR 20170106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ball
image
us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822B1 (ko
Inventor
한순섭
김창용
고재우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822B1/ko
Priority to PCT/KR2016/011725 priority patent/WO2017159945A1/ko
Priority to US16/076,255 priority patent/US11575878B2/en
Publication of KR2017010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04N13/04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04N13/0468
    • H04N13/049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2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input display information or of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a corresponding inform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04N2013/04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이격 배치된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각각의 후방에 위치한 좌측, 우측 광학계(lens group);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및 상기 좌측, 우측 광학계를 감싸도록 구성된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외부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 구조물;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VR IMAGE}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VR 장치를 머리에 착용하고, 3차원 공간을 촬영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을 시청하면서 머리를 돌릴 수 있고, 사용자의 머리의 방향에 따라 VR 장치는 영상을 재생한다.
VR 장치는 머리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고, 사용자는 VR 장치를 머리에 착용한 채 VR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VR 영상은 360도 회전 가능한 영상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이격 배치된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각각의 후방에 위치한 좌측, 우측 광학계(lens group);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및 상기 좌측, 우측 광학계를 감싸도록 구성된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외부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 구조물;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VR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연결을 식별하는 단계; VR 영상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VR 영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터치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VR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VR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따라 변경된 VR 영상을 전송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VR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연결 구조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4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VR 영상을 회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VR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VR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VR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VR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VR 영상을 재생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머리에 고정시키지 않고, VR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지지하는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에 고정된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를 잡은 상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눈에 대고 VR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의 화면을 터치하여 VR 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의 방향에 따라 VR 영상의 방향을 결정한다. 전자 장치(200)는 결정된 방향에 따라 VR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머리를 회전하지 않고 터치 입력만으로 VR 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는 연결 구조물(130)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구조물(13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 연결 구조물(130) 및 메인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은 좌측 디스플레이 및 좌측 광학계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은 우측 디스플레이 및 우측 광학계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연결 구조물(130)은 전자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고정시킨다. 연결 구조물(130)은 홀더(134)를 포함하며, 홀더(134)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고정시킨다.
연결 구조물(130)은 메인 프레임(140)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연결 구조물(130)은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구조물은 메인 프레임(140)에 대해 축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연결 구조물(130)의 각도 조절 및 회전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연결 구조물(130)은 전방/후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연결 구조물(130)은 적어도 1개의 힌지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를 연결한 후, 힌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힌지는 마찰력을 갖는 마찰 부재를 포함하여, 특정 세기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만 각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힌지에 특정 세기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각도는 고정된다. 예를 들어, 마찰 부재는 마찰 패드 또는 스프링 등일 수 있다.
연결 구조물(130)이 2개의 힌지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 구조물(130)사이의 각도 및 전자 장치(200)와 연결 구조물(130) 사이의 각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를 잡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얼굴에 밀착 시켰을 때 가장 편안하도록 각도를 조절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연결 구조물(130)은 축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다. 연결 구조물(130)은 베어링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베어링 구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를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베어링의 회전 방향은 힌지의 회전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암 구조물(arm structure)을 포함한다. 암 구조물은 제1 및 제2 힌지들(131, 132)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힌지들(131, 132)은 바(133)를 통해 연결된다. 제1 힌지(131)는 바(133)와 메인 프레임(14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한다. 제2 힌지(132)는 바(133)와 전자 장치(2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한다. 제2 힌지(132)는 메인 프레임(140)과 연결된다.
홀더(13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를 고정시킨다. 홀더(134)는 전자 장치(200)의 외부를 잡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홀더(134)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는 모두 가능하다.
보조 지지대(300)는 제1 힌지(131) 또는 제2 힌지(13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2 힌지(132)와 연결된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보조 지지대(3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조 지지대(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 지지대(300)가 필요한 경우에만 연결 구조물(13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조 지지대(300)는 사용자가 장시간 VR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팔이 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접촉 구조물(contact structure, 160)를 더 포함한다. 접촉 구조물(160)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흔들리지 않게 하고, 주변의 빛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예로서, 접촉 구조물(160)은 자바라-방식(Bellow type)의 구조물일 수 있다. 또는 접촉 구조물(160)은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 구조물(160)은 좌측 광학계(112) 및 우측 광학계(122)를 둘러 쌓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접촉 구조물(160)은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 및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즈 홀(nose hole, 170)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얼굴에 밀착하였을 때, 사용자의 코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노즈 홀(170)은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과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앙에는 메인 프레임(140)이 위치한다. 메인 프레임(140)의 좌측에는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이 위치하고, 우측에는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이 위치한다.
메인 프레임(140)에는 연결 구조물(130)은 메인 프레임(14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구조물(130)은 제1 힌지(131), 제2 힌지(132), 바(133), 홀더(134) 및 베어링(136)을 포함한다. 베어링(136)은 원통 형태이거나 볼 조인트 형태일 수 있다.
연결 구조물(130)은 커넥터(135)를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커넥터(135)는 홀더(134)의 안쪽에 위치하여, 전자 장치(200)와 연결된다. 커넥터(135)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는 데이터 또는 VR 영상을 송수신한다. VR 영상은 커넥터(135)를 통해 메인 프레임(140)에 전달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 및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은 각각 90도로 접힌다.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은 제1 힌지(131)를 기준으로 90도 회전하고,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은 제2 힌지를 기준으로 90도 회전한다.
도 8은 연결 구조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홀더(134)는 양쪽에 2개 위치할 수 있다. 2개의 홀더들(134) 사이에는 커넥터(135)가 위치할 수 있다. 홀더(134)는 전자 장치(200)와 접촉하는 면에 마찰 부재(137)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 부재(137)는 홀더(134)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찰 부재(137)는 고무 등과 같이 마찰 계수가 높은 물질일 수 있다.
베어링(136)은 원통형이거나 볼 형태일 수 있고, 360도 회전 가능하다.
베어링(136)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 플렉서블 상태이거나 고정될 수 있다. 플렉서블 상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잡은 채로 미세한 움직임이 있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흔들리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베어링(136)이 고정된다는 것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메인 프레임(140)은 근접 센서에 의해 측정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의 거리 사이에 따라 베어링(136)의 상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40)의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베어링(136)을 플렉서블 상태로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가까워 지면 전자 장치(200)가 흔들리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프로세서는 베어링(136)을 플렉서블 상태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는 IR 센서일 수 있으며,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 또는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근접 센서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의 근접 센서(23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베어링(136)이 고정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가 VR 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세서는 베어링(136)이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베어링(136) 주변에 위치한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여 베어링(136)을 고정시킬 수 있다. 베어링(136)이 자성체인 경우,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면 베어링(136)과 전자석이 자기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좌측 디스플레이(121) 및 우측 디스플레이(미도시)는 소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디스플레이(121) 및 우측 디스플레이는 LCD, OLED 등일 수 있다.
좌측 광학계(122) 및 우측 광학계(미도시)는 영상을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한 렌즈부이다. 좌측 광학계(122) 및 우측 광학계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볼 조인트(ball joint, 180)는 도 7의 베어링(136)을 대체할 수 있다.
연결 구조물(130)은 볼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볼 조인트(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틸팅(tilting) 및 회전(rotation) 가능하게 한다.
볼 조인트(180)는 볼(181) 및 볼 하우징(182)을 포함한다. 볼 하우징(182)은 볼(181)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된다. 볼(181)은 볼 하우징(182)의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볼 조인트(180)의 절단면을 살펴보면, 연결 구조물(130)은 잠금 레버(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레버(183)는 볼(181)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잠금 레버(183)는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184)에 놓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또는 전지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레버(18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잠금 레버(183)는 해제 위치에 배치된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잠금 레버(183)는 잠금 위치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거리는 근접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레버(183)는 근접 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잠금 위치에 배치되거나 해제 위치에 배치된다.
잠금 위치는 도 9에서 잠금 레버(183)가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이며, 해제 위치(184)는 도 9에서 잠금 레버(183)가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다.
잠금 레버(183)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볼(181)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가 홈에 결합되면 볼(181)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볼(191)과 볼 하우징(192)은 자기력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볼(191)은 자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볼(191)의 표면이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볼 하우징(192)은 전자석을 포함한다. 전자석에 전기를 인가하여 볼(191)이 자성을 가지게 하여, 볼(191)과 볼 하우징(192)이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갖게한다. 동일한 극성을 갖는 볼(191)과 볼 하우징(192)는 반발력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계산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때,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VR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프로세서는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여 볼(191)과 볼 하우징(192)를 이격시켜, 사용자의 손 흔들림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볼(191)과 볼 하우징(192)은 조임쇠(193)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조임쇠(193)는 볼 하우징(192)은 모터(194)에 의해 풀리거나 잠길 수 있다. 조임쇠(193)가 잠기면, 볼(191)과 볼 하우징(192)이 접촉된다. 조임쇠(193)가 풀리면 볼(191)과 볼 하우징(192)이 이격된다. 모터(194)는 볼 하우징(192)에 고정되고, 조임쇠(193)가 풀리면서 볼(191)을 밀기 때문에, 볼(191)과 볼 하우징(192)이 서로 이격된다.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계산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때,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VR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프로세서는 모터를 구동하여, 볼(191)과 볼 하우징(192)를 이격시켜, 사용자의 손 흔들림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과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은 말단에 결합 구조물(assembling structure, 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구조물(400)는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과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이 접혔을 때,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과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결합 구조물은 홈과 돌기를 포함하여, 홈은 돌기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의 말단에 홈을 포함하고,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의 말단에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결합 구조물(400)은 자석 수 있다.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의 말단에는 N극의 자석이 배치되고,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의 말단에는 S극의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과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이 접히면, N극과 S극이 접촉하여,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과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이 고정될 수 있다.
홈과 돌기, 자석 등은 결합 구조물의 일 예이며, 결합 구조물은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 및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이면, 다른 형태의 구조도 가능하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은 렌즈(L) 및 마이크로 디스플레이(L)을 포함한다.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은 렌즈(L) 및 마이크로 디스플레이(L)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좌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10)은 메인 프레임(140)과 좌측 힌지(151)를 통해 연결된다.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은 렌즈(R) 및 마이크로 디스플레이(R)을 포함한다.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은 렌즈(R) 및 마이크로 디스플레이(R)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120)은 메인 프레임(140)과 우측 힌지(152)를 통해 연결된다.
메인 프레임(140)은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40)은 오디오(L), 오디오(R), 비디오 제어기, 오디오 제어기, 수신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근접 센서, 충전회로, 배터리, 연결 구조물(130) 및 커넥터(13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근접 센서, 충전회로, 오디오 제어기, 비디오 제어기, 수신 인터페이스 등을 제어한다. 수신 인터페이스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한다. 오디오 제어기는 오디오 신호를 좌측 오디오(L)과 우측 오디오(R)에 전송한다. 비디오 제어기는 비디오 신호를 좌측 디스플레이(L)와 우측 디스플레이(R)에 전송한다.
커넥터(135)는 전자 장치(200)와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넥터(135)를 통해 전자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14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VR 영상을 회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20)를 터치하여 VR 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회전된 VR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영상(1220)을 기준으로, 제1 영상(1210)은 사용자가 왼쪽으로 터치한 경우의 영상을 나타내고, 제3 영상(1230)은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터치한 경우의 영상을 나타낸다.
도 14에 도시된 방향 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방향으로 회전된 VR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5에서는 전자 장치(200)가 프로세서(210), 디스플레이(220), 근접 센서(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전자 장치(200)는 이외에 다른 전자 부품들 및 USB 단자,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220)를 제어한다.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220)가 표시할 화면을 결정한다.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을 식별하면, 디스플레이(220)에 VR 영상의 목록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을 식별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프로세서(210)는 VR 영상을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VR 영상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VR 영상을 선택할 수 있고, 프로세서(210)는 선택된 VR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VR 영상은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받거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22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프로세서(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220)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근접 센서(2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VR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근접 센서(230)는 전자 장치(2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프로세서(21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10)는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VR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때, VR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VR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1610에서,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연결을 식별한다.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되면,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1620에서,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연결되면, VR 영상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220)에 표시한다. 목록은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VR 영상들이거나 메모리(240)에 저장된 VR 영상들일 수 있다.
단계 1630에서,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VR 영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1640에서,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터치 모드로 변경한다. 디스플레이 모드는 디스플레이(220)에 컨텐츠, 영상 등을 제공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터치 모드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준비 상태를 의미한다. 터치 모드일 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은 VR 영상의 방향을 결정한다. 터치 모드일 때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20)에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도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650에서,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VR 영상을 전송하고, 터치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따라 변경된 VR 영상을 전송한다.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20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VR 영상을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때, VR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상일 때, VR 영상은 전송하지 않는다.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하이면, 사용자가 VR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얼굴에 가져간 경우일 수 있다. 측정된 거리가 임계값 이상이면, 사용자가 VR 영상을 시청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전자 장치(200)는 VR 영상을 전송하지 않는다.
도 16에서 설명된 각 단계들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메모리(240)에 저장되거나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머리에 착용하지 않고, VR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연결 구조물을 통해 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예: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부", "모듈"은 어드레싱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 "모듈" 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5)

  1. 서로 이격 배치된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각각의 후방에 위치한 좌측, 우측 광학계(lens group);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및 상기 좌측, 우측 광학계를 감싸도록 구성된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외부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결 구조물;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부품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물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틸팅 각도 조절이 가능한 힌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물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한 베어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베어링을 고정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물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한 볼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 조인트는 회전 가능한 볼 및 볼을 둘러싸는 볼 하우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물은 잠금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레버는 돌기를 포함하여, 상기 볼의 홈에 결합되어 상기 볼을 고정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표면에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볼 하우징은 전자석을 포함하고,
    VR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전자석에 전기를 인가하여 상기 볼과 상기 볼 하우징을 이격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 하우징은 모터 및 조임쇠를 포함하고,
    VR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조임쇠를 풀어서 상기 볼과 상기 볼 하우징을 이격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 각각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접힘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 각각의 말단에 결합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접혔을 때 상기 접촉 구조물에 의해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우측 디스플레이는 상기 거리에 따라 온/오프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VR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연결을 식별하는 단계;
    VR 영상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VR 영상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터치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VR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VR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터치 입력에 따라 변경된 VR 영상을 전송하는, VR 영상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VR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가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VR 영상을 전송하는, VR 영상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가 상기 임계값 이하일 때 상기 터치 모드로 변경하는, VR 영상 제공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매체.
KR1020160030435A 2016-03-14 2016-03-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KR102510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435A KR102510822B1 (ko) 2016-03-14 2016-03-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PCT/KR2016/011725 WO2017159945A1 (ko) 2016-03-14 2016-10-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US16/076,255 US11575878B2 (en) 2016-03-14 2016-10-19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R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435A KR102510822B1 (ko) 2016-03-14 2016-03-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814A true KR20170106814A (ko) 2017-09-22
KR102510822B1 KR102510822B1 (ko) 2023-03-16

Family

ID=5985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435A KR102510822B1 (ko) 2016-03-14 2016-03-14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75878B2 (ko)
KR (1) KR102510822B1 (ko)
WO (1) WO20171599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528A (ko) 2020-01-10 2021-07-20 이종근 근안형 디스플레이의 몰입도 증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6634B (zh) * 2019-01-04 2021-10-2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通信系统及通信方法
US11391962B1 (en) * 2020-12-31 2022-07-19 Lenovo (United States) Inc. Head mounted display nosepie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226A (ko) * 2001-05-18 2002-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KR20120033723A (ko) * 2010-09-30 2012-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안경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01722A (ko) * 2012-06-27 2014-01-07 최해용 카드형 입체안경
KR20150143756A (ko) * 2013-04-15 2015-12-23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쌍안 디스플레이용 비틀림 서포트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2488B2 (en) * 2004-12-22 2013-07-09 Oakley, Inc. Data input management system for wearable electronically enabled interface
US8957835B2 (en) * 2008-09-30 2015-02-17 Apple Inc.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retain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KR101692433B1 (ko) 2010-01-07 201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영상 시스템 및 이동 단말기
JP2012177897A (ja) 2011-02-03 2012-09-13 Shibakawa Mfg Co Ltd 撮影用照明増幅装置、撮影用照明増幅システム、撮影用照明システムの動作方法、及び、撮影用照明増幅装置を備えたケース
KR20130061511A (ko) 2011-12-01 201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30141993A (ko) 2012-06-18 2013-12-27 더크랙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부착용 확대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측정 방법
US10713846B2 (en) * 2012-10-05 2020-07-14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augmentation data
JP5266426B1 (ja) 2013-02-27 2013-08-21 イメージニ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50050825A (ko)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표시 방법 및 시스템
US9575319B2 (en) * 2014-03-10 2017-02-21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motion blur when experienc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TWI559730B (zh) * 2014-08-25 2016-11-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立體畫面顯示系統及其方法
US10162412B2 (en) * 2015-03-27 2018-12-25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control method of display,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226A (ko) * 2001-05-18 2002-1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두부 장착 디스플레이
KR20120033723A (ko) * 2010-09-30 2012-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안경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01722A (ko) * 2012-06-27 2014-01-07 최해용 카드형 입체안경
KR20150143756A (ko) * 2013-04-15 2015-12-23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쌍안 디스플레이용 비틀림 서포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528A (ko) 2020-01-10 2021-07-20 이종근 근안형 디스플레이의 몰입도 증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822B1 (ko) 2023-03-16
US11575878B2 (en) 2023-02-07
US20210191680A1 (en) 2021-06-24
WO2017159945A1 (ko)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7002B1 (ko) 두 개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운용 방법
JP6083880B2 (ja) 入出力機構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EP3029550B1 (en) Virtual reality system
US10534184B2 (en) Auxiliary device for head-mounted displays
KR20170033663A (ko)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JP6033866B2 (ja) 入出力構造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EP2987020B1 (en) Torsional support for binocular display
KR101977433B1 (ko) 입력 및 출력 구조들을 구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US9513482B2 (en) Heads up display systems for glasses
US20140375540A1 (en) System for optimal eye fit of headset display device
KR20160147735A (ko) 헤드부 위치 검출 장치 및 헤드부 위치 검출 방법,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표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378802B2 (en) Smart eyeglasses
JP2015509209A (ja) 入出力機構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KR20150109229A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US20080186586A1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701068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CN112655202B (zh) 用于头戴式显示器的鱼眼镜头的减小带宽立体失真校正
US20210304938A1 (en) Headband For Head-Mounted Device
US11006028B2 (en) Image capturing device
KR102269833B1 (ko) 스마트 안경
KR102290339B1 (ko)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
KR20170130148A (ko)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08070551A (ja) 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
KR20170021453A (ko) 전자 디바이스
JP2021512402A (ja) マルチビューイング仮想現実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