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339B1 -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339B1
KR102290339B1 KR1020190128115A KR20190128115A KR102290339B1 KR 102290339 B1 KR102290339 B1 KR 102290339B1 KR 1020190128115 A KR1020190128115 A KR 1020190128115A KR 20190128115 A KR20190128115 A KR 20190128115A KR 102290339 B1 KR102290339 B1 KR 102290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eye tracking
information
rehabilitation
dizz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530A (ko
Inventor
박무영
김종진
Original Assignee
그리드스페이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리드스페이스(주) filed Critical 그리드스페이스(주)
Priority to KR102019012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3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61B5/1114Tracking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23Evaluating sense of bal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3Measuring or inducing nystag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Abstract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이 장착되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는 재활운동 콘텐츠의 영상정보와 치료장치의 외부 주변에 대한 공간정보를 모두 제공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며,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거치부; 상기 하부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착용자의 안구의 이동을 추적하고, 추적한 안구 추적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안구 추적 카메라; 상기 안구 추적 카메라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안구 추적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안구 추적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고, 착용자의 어지럼증 정도에 따라 가장 적합한 재활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재활운동 콘텐츠에 따라 어지럼증의 치료가 진행되는 경우, 착용자의 보행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 데이터에 따라 착용자 맞춤형 재활운동 콘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재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VR type wearabl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안구 추적 및 동공의 위치를 파악하여 어지럼증 재활을 위한 안질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안구 추적 카메라가 구성되며, 착용자의 보행을 분석하여 착용자 맞춤별 어지럼증 재활을 위한 재활운동 콘텐츠를 포함하는 토탈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어지럼증 재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인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Benign paroxymal positional vertigo; BPPV)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 증상은 인체의 반고리관 내에 이석이 침착되어 생기는 질환으로, 체위성 현훈으로 나타나는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는 두부의 각도를 정확히 측정하거나 유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8679호에는, 재활훈련자의 두부에 착용되고,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여 움직이는 캐릭터가 표시되며, 훈련방향이 표시되는 훈련영상을 제공하는 훈련영상제공부재와, 훈련영상제공부재에 구비되고, 재활훈련자가 머리를 동작시킴에 따라 기울어지는 훈련영상제공부재의 기울어지는 방향을 감지하는 기울기감지부재와, 기울기감지부재에서 감지되는 기울기방향으로 캐릭터가 이동되도록 캐릭터를 조작하는 캐릭터조작부와, 캐릭터조작부에서 조작되는 캐릭터의 이동방향이 기울기감지부재에서 감지되는 기울기방향에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재활훈련판단부로 구성되어 가상현실을 통해 스스로 머리를 회전시켜서 어지럼증에 대한 재활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어지럼증 재활훈련 장치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의자형태로 이루어져서 어지럼증 환자가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환자의 머리와 몸체를 강제로회전시키는 것으로 장치의 부피가 커서 휴대가 어려우며, 운동방법이 복잡하고 스스로 운동하기에 흥미가 없기 때문에 잘 행해지고 있지 않고 또한 효과 역시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8679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착용자의 안구 추적 및 동공의 위치를 파악하여 어지럼증 재활을 위한 안질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안구 추적 카메라가 구성되며, 착용자의 보행을 분석하여 착용자 맞춤별 어지럼증 재활을 위한 재활운동 콘텐츠를 포함하는 토탈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어지럼증 재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부 전방으로 재활운동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어지럼증에 대한 재활 치료 뿐만 아니라, 이석증에 대한 교육 정보, 어지럼증 정도에 대한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울의 반사 구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는 재활운동 콘텐츠 영상정보를 확인하면서도 외부 환경 정보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행을 하면서도 어지럼증 재활 치료가 가능한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장착되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는 재활운동 콘텐츠의 영상정보의 광을 굴절시키는 굴절렌즈 및 굴절된 상기 영상정보의 광을 확대하여 출사하는 확대렌즈가 구성된 상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영상정보와 치료장치의 외부 주변에 대한 공간정보를 모두 표시하는 커버부재가 구성된 하부 케이싱을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상부 케이싱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스마트폰의 후방부에 밀착되는 제1거치패널과, 상기 제1거치패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가이드 블럭과, 상기 가이드 블럭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제1거치패널을 상부 케이싱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스마트폰의 하부면이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제2거치패널과, 상기 제2거치패널의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거치부; 상기 하부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착용자의 안구의 이동을 추적하고, 추적한 안구 추적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안구 추적 카메라; 상기 안구 추적 카메라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안구 추적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안구 추적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고, 착용자의 어지럼증 정도에 따라 가장 적합한 재활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재활운동 콘텐츠에 따라 어지럼증의 치료가 진행되는 경우, 착용자의 보행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 데이터에 따라 착용자 맞춤형 재활운동 콘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재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재는, 내면부를 이루며, 상기 확대렌즈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정보가 표시되도록 태양광을 일정 비율로 반사하는 차양시트부와, 외면부를 이루며,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태양광의 투광에 의해 주변 공간의 사물이나 위치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시부와, 상기 투시부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암막시트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활 제어부는, 재활운동 콘텐츠를 통해 어지럼증 치료가 진행되는 경우, 착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대한 트랙킹 정보와, 보행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센서부; 상기 안구 추적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지럼증 정도 및 예후에 대한 어지럼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어지럼증 데이터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한 분석 결과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정보 분석부; 상기 정보 분석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재활운동 콘텐츠를 착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활운동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케이싱은, 상기 안구 추적 카메라가 장착되며, 상기 재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구 추적 카메라의 위치 이동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고정부와, 착용자의 안면이 밀착되는 안면 밀착부와, 상기 커버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착용자의 안구 추적 및 동공의 위치를 파악하여 어지럼증 재활을 위한 안질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안구 추적 카메라가 구성되며, 착용자의 보행을 분석하여 착용자 맞춤별 어지럼증 재활을 위한 재활운동 콘텐츠를 포함하는 토탈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어지럼증 재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부 전방으로 재활운동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앉은 상태, 또는 서 있는 상태에서도 어지럼증에 대한 재활 치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석증에 대한 교육 정보, 어지럼증 정도에 대한 자가 진단의 수행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활용할 수 있어 재활 치료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거울의 반사 구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는 재활운동 콘텐츠 영상정보를 확인하면서도 외부 환경 정보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행을 하면서도 어지럼증 재활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의 거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의 렌즈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재활운동 콘텐츠, 또는 재활운동 콘텐츠로 이루어진 영상정보를 실행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서버일 수 있으며, 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서버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수단인 단말로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는 내부에 확대렌즈(130)를 구비하는 케이싱(100), 케이싱(100)의 상부 전방에 구성되며,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장치의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거치부(200), 케이싱(100)의 하부에 구성되며, 착용자의 안구 추적 및 동공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안구 추적 카메라(300), 안구 추적 카메라(300) 및 단말장치와 각각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착용자의 보행 여부를 감지하고, 보행시 생성되는 보행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하여 착용자 상태에 적합한 재활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는 재활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100)은 전방으로 스마트폰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거치부(200)가 구성되고,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를 표시 방향을 절곡시키는 상부 케이싱(102)과, 이 상부 케이싱(102)의 하부에 일체로 구성되고, 후방으로 사용자의 안면이 밀착되고, 전방으로는 스마트폰의 영상정보와 치료장치의 외부 주변에 대한 공간정보를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하부 케이싱(104)으로 구성된다.
상부 케이싱(102)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정보의 입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착부(200)가 결합되는 전방으로 개방되게 구성되는 표시홀(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케이싱(102)은 전방부가 수직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후방부가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그 대략적인 형상이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표시홀(112)을 통해 제공되는 스마트폰의 영상정보가 상부 케이싱(102)의 후방부 면과 접촉 한 후 반사에 의한 하향 절곡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 케이싱(102)은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는 재활운동 콘텐츠의 영상정보에 대한 광이 하향 절곡을 이루도록 반사시켜 하부 케이싱(104)의 내부에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굴절렌즈(120)가 장착되고, 하부면으로는 굴절렌즈(120)를 통해 굴절된 영상정보의 광에 대한 입사 및 출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입사된 영상정보를 확대시켜 하부 케이싱(104) 내에서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확대렌즈(130)가 결합되는 렌즈 장착부(114)가 형성된다.
이때, 확대렌즈(130)는 후술할 재활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영상정보의 확대 배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영상정보가 표시될 위치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확대렌즈(130)는 굴절렌즈(120)로부터 굴절된 영상정보를 하부 케이싱(104)에 장착되는 커버부재(140)의 내면부를 이루는 굴절부(142)로 출사하되, 출사 이루어질 위치를 재활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다수개의 렌즈들의 결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부 케이싱(102)에는 표시홀(112)이 형성된 전방 양측부에 각각 스마트폰의 고정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거치부(2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거치부(200)에 구성되는 고정수단(240)이 나사 체결되면서 스마트폰이 거치부(200)에 의해 상부 케이싱(10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나사공(116)이 더 형성된다.
하부 케이싱(104)은 상부 케이싱(102)의 하부면에 일체로 구성되며, 내부에 확대렌즈(130)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내부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사용자의 안구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안구 추적 카메라(300)가 장착되는 카메라 고정부(115)가 구성된다.
여기서, 카메라 고정부(115)는 일면에 레일이 형성되어 안구 추적 카메라(300)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착용자의 안구 추적을 위한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재활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안구 추적 카메라(300)의 위치 이동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싱(104)에는 후방측 하부면으로 사용자의 안면이 밀착되는 안면 밀착부(119)가 형성되고, 후방 양측부에는 본 발명의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를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가 결합되는 관통홀(117)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케이싱(104)의 전방측에는 개방된 양측부에 각각 구성되며, 커버부재(1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장착부(113)가 형성된다.
커버 장착부(113)는 하부 케이싱(104)의 전방측을 따라 커버부재(140)의 내면부가 안착되면서 끼움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결합을 가이드 하기 위해 커버부재(140)의 양측 내면이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커버부재(140)는 하부 케이싱(104)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를 밀폐시켜 착용자의 안구를 보호함과 동시에 내면으로는 확대렌즈(130)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정보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외면으로는 착용자의 주변 환경을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버부재(140)는 내면부를 이루며, 확대렌즈(130)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정보가 표시되어 착용자가 영상정보를 시청할 수 있도록 태양광 등을 일정 비율로 반사하는 차양시트부(142)와, 커버부재(140)의 외면부를 이루며,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태양광의 투광에 의해 주변 공간의 사물이나 위치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시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차양시트부(142)는 유입되는 태양광의 70%의 비율로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영상정보의 시청 뿐만 아니라, 투시부(144)를 통해 투시되는 착용자의 주변 사물이나 공간 및 위치에 대한 주변 환경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커버부재(140)는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주변 환경에 대한 용이한 식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이와 동시에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는 재활운동 콘텐츠를 표시함으로써, 어지럼증 치료 검사시 수행되는 보행 검사를 수행하면서 안구의 안질검사 및 어지럼증 치료, 또는 재활운동을 동시에 수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커버부재(140)는 별도의 암막시트부(146)를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암막시트부(146)는 투시부(144)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착용자는 앉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으로부터 제공되는 재활운동 콘텐츠 만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암막시트부(146)를 투시부(144)에 부착시켜 태양광의 유입의 완전한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거치부(200)는 상부 케이싱(102)의 양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상부 케이싱(102)의 전방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스마트폰의 양측부를 상부 케이싱(102)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거치부(200)는 상부 케이싱(102)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그 선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스마트폰의 후방부에 밀착되는 제1거치패널(210)과, 상부 케이싱(102)의 양측면에 구성되며, 제1거치패널(2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편, 제1거치패널(2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가이드 블럭(220)과, 제1거치패널(210)의 외면에 돌출되게 구성되며, 가이드 블럭(220)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는 고정블럭(230)과, 고정블럭(230)에 나사 체결되며, 제1거치패널(210)을 상부 케이싱(102)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거치패널(210)은 내면부가 상부 케이싱(102)의 양측 외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외면으로 고정블럭(230)이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거치패널(210)은 고정수단(240)에 의해 상부 케이싱(102)과의 고정이 이루어질 때, 절곡 형성된 선단부가 스마트폰의 후방부를 가압하면서 스마트폰 역시 상부 케이싱(102)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블럭(220)은 상부 케이싱(102)의 양측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끝단부가 상부 케이싱(102)과 일체로 구성되면서 제1거치패널(210)이 삽입되는 삽입홈(222)을 형성하여 제1거치패널(21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블럭(220)에는 제1거치패널(210)에 구성되는 고정블럭(230)이 삽입되며, 이 고정블럭(23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며, 제1거치패널(210)이 고정수단(240)이 풀린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상부 케이싱(10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용홈(224)이 형성된다.
한편, 고정수단(240)은 통상의 고정 스크류, 고정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블럭(230)과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관통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고정수단(240)이 고정블럭(230)을 관통하여 상부 케이싱(102)에 형성되 나사홀(116)과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되면서 제1거치패널(210)과 상부 케이싱(102)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수단(240)이 상부 케이싱(102)의 양측부 외면을 가압하면서 소정의 고정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거치패널(21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거치부(200)에는 스마트폰의 하부면이 안착되며, 소정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마트폰이 상부 케이싱(102)에 안정적으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거치패널(250)과, 이 제2거치패널(250)의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잡이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거치패널(250)은 하단부에 상부 케이싱(102)의 전방측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며,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패널(252)과, 외면에 형성되며, 손잡이부(260)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연결축(254)이 구성된다.
손잡이부(260)는 제2거치패널(2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착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외력을 가해 제2거치패널(250)이 탄성패널(252)의 탄성력에 의해 스마트폰의 안착이 이루어질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2거치패널(250)의 연결축(254)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262)이 형성된다.
이때, 힌지축(262)에는 그 선단부에 연결축(254)과 끼움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는 연결클립(264)이 더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안구 추적 카메라(300)는 하부 케이싱(104)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착용자가 본 발명의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으로부터 제공되는 재활 운동 콘텐츠의 영상정보를 따라 안구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추적하고, 추적한 결과 데이터를 재활 제어부(400)로 전송하여 안질의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어지럼증 검사, 치료 및 재활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각각 구성되는 안구 추적 카메라(300)가 독립적으로 사용되어 안구의 2개의 수직 횡축을 따른 동공의 운동을 추적한다.
재활 제어부(400)는 안구 추적 카메라(3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안구 추적 카메라(300)로부터 전송되는 안구 추적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고, 착용자의 어지럼증 정도에 따라 가장 적합한 재활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며, 재활운동 콘텐츠에 따라 어지럼증의 치료가 진행되는 경우, 착용자의 보행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하여 이에 대한 결과 데이터에 따라 착용자 맞춤형 재활운동 콘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통신부(410), 센서부(420), 정보 분석부(430), 콘텐츠 DB(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410)는 안구 추적 카메라(300) 및 센서부(42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제어부(450)의 제어에 따라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신호의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안구 추적 카메라(300) 및 센서부(42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결과 데이터의 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부(420)는 재활운동 콘텐츠를 통해 어지럼증 치료가 진행되는 경우, 착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대한 트랙킹 정보와, 보행 정보를 획득하여 정보 분석부(430)로 전송하는 것으로, 통상의 IMU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정보 분석부(430)는 안구 추적 카메라(300)로부터 전송되는 안구 추적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지럼증 정도 및 예후에 대한 어지럼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어지럼증 데이터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여 착용자에게 최적화된 재활운동 콘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정보 분석부(430)는 안구 추적 결과 데이터의 분석시 안질검사 알고리즘에 의한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분석 결과 정보를 제어부(450)로 전송하여 콘텐츠 DB(440)에 미리 저장된 재활운동 콘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정보 분석부(430)는 콘텐츠 DB(440)에 상기 분석 결과 정보에 대응하는 재활운동 콘텐츠가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450)의 제어에 따라 안질검사 알고리즘에 의해 최적화된 재활운동 콘텐츠 템플릿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정보 분석부(430)는 센서부(420)와 통신부(410)에 의해 네트워크로 연결되게 구성되며, 이 센서부(420)로부터 전송되는 착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대한 트랙킹 정보와, 보행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착용자의 어지럼증 치료 상황에 대응하는 맞춤형 재활운동 콘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콘텐츠 DB(440)는 어지럼증 치료를 위한 안구 운동 정보, 시자극 추적 운동 정보, 물체 주시 운동 정보, 머리 운동 정보, 시선 고정 정보 및 시선 고정 머리 회전 운동 정보, 보행운동 정보로 이루어지는 재활운동 콘텐츠가 저장되며, 정보 분석부(430)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대응하는 재활운동 콘텐츠를 제어부(450)의 제어에 따라 착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제어부(450)는 재활 제어부(4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부(410)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정보 분석부(430)로부터 전송되는 분석 결과 정보에 대응하는 재활운동 콘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450)는 착용자가 본 발명의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를 착용한 후, 의자에 앉은 상태 또는 서 있는 상태에서 재활치료가 이루어지도록 안내하고, 재활운동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정보들에 대한 메뉴항목을 체크리스트 제공하여 체크리스트의 순서대로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즉, 재활운동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싱 102: 상부 케이싱
104: 하부 케이싱 120: 굴절렌즈
130: 확대렌즈 140: 커버부재
200: 거치부 210: 제1거치패널
220: 가이드 블럭 230: 고정블럭
240: 고정수단 250: 제2거치패널
260: 손잡이부 300: 안구 추적 카메라
400: 재활 제어부 410: 통신부
420: 센서부 430: 정보 분석부
440: 콘텐츠 DB 450: 제어부

Claims (4)

  1. 스마트폰이 장착되며,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는 재활운동 콘텐츠의 영상정보의 광을 굴절시키는 굴절렌즈 및 굴절된 상기 영상정보의 광을 확대하여 출사하는 확대렌즈가 구성된 상부 케이싱과, 상기 상부 케이싱의 하부에 구성되며, 상기 영상정보와 치료장치의 외부 주변에 대한 공간정보를 모두 표시하는 커버부재가 구성된 하부 케이싱을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상부 케이싱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스마트폰의 후방부에 밀착되는 제1거치패널과, 상기 제1거치패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가이드 블럭과, 상기 가이드 블럭의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제1거치패널을 상부 케이싱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스마트폰의 하부면이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제2거치패널과, 상기 제2거치패널의 탄성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는 거치부;
    상기 하부 케이싱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착용자의 안구의 이동을 추적하고, 추적한 안구 추적 결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안구 추적 카메라;
    상기 안구 추적 카메라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안구 추적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안구 추적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고, 착용자의 어지럼증 정도에 따라 가장 적합한 재활운동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재활운동 콘텐츠에 따라 어지럼증의 치료가 진행되는 경우, 착용자의 보행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 데이터에 따라 착용자 맞춤형 재활운동 콘텐츠의 제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재활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는,
    내면부를 이루며, 상기 확대렌즈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정보가 표시되도록 태양광을 일정 비율로 반사하는 차양시트부와,
    외면부를 이루며,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태양광의 투광에 의해 주변 공간의 사물이나 위치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시부와,
    상기 투시부의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암막시트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제어부는,
    재활운동 콘텐츠를 통해 어지럼증 치료가 진행되는 경우, 착용자의 머리 움직임에 대한 트랙킹 정보와, 보행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는 센서부;
    상기 안구 추적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지럼증 정도 및 예후에 대한 어지럼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어지럼증 데이터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한 분석 결과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정보 분석부;
    상기 정보 분석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재활운동 콘텐츠를 착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재활운동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싱은,
    상기 안구 추적 카메라가 장착되며, 상기 재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구 추적 카메라의 위치 이동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고정부와, 착용자의 안면이 밀착되는 안면 밀착부와, 상기 커버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
KR1020190128115A 2019-10-16 2019-10-16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 KR102290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15A KR102290339B1 (ko) 2019-10-16 2019-10-16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115A KR102290339B1 (ko) 2019-10-16 2019-10-16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530A KR20210045530A (ko) 2021-04-27
KR102290339B1 true KR102290339B1 (ko) 2021-08-19

Family

ID=7572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115A KR102290339B1 (ko) 2019-10-16 2019-10-16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834A1 (ko) * 2021-12-22 2023-06-2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측정을 통한 어지럼증 진단방법, 장치,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929B1 (ko) * 2021-11-30 2023-06-22 고큐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혼합 현실 기반 재활 치료 시스템 및 방법
CN114668640B (zh) * 2022-03-24 2023-08-18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体式主观视觉垂直感知康复训练仪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3621A1 (en) 2014-05-30 2015-12-0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Head mounted display (hmd) system having interface with mobile computing device for rendering virtual reality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385B1 (ko) * 2012-07-09 2014-07-01 김성민 스마트폰을 악기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1828679B1 (ko) 2016-05-31 2018-02-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어지럼증 재활훈련 장치
KR101978548B1 (ko) * 2017-03-16 2019-05-1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 움직임 측정을 통한 어지럼 진단 서버,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360204B1 (ko) * 2017-03-28 2022-02-0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어지럼증 재활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3621A1 (en) 2014-05-30 2015-12-0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Head mounted display (hmd) system having interface with mobile computing device for rendering virtual reality con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834A1 (ko) * 2021-12-22 2023-06-2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 측정을 통한 어지럼증 진단방법, 장치,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530A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110B1 (ko)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2290339B1 (ko) Vr 타입 웨어러블 치료장치
US9824698B2 (en) Wearable emotion detection and feedback system
KR102300390B1 (ko) 착용식 식품 영양 피드백 시스템
CN106471419B (zh) 管理信息显示
US9311718B2 (en) Automated content scrolling
JP6083880B2 (ja) 入出力機構を有する着用可能な装置
US9519640B2 (en) Intelligent translations in personal see through display
US9696547B2 (en) Mixed reality system learned input and functions
US9213163B2 (en) Aligning inter-pupillary distance in a near-eye display system
US8928558B2 (en) Gaze detection in a see-through, near-eye, mixed reality display
US9025252B2 (en) Adjustment of a mixed reality display for inter-pupillary distance alignment
US20130050432A1 (en) Enhancing an object of interest in a see-through, mixed reality display device
CN108604116A (zh) 能够进行眼睛追踪的可穿戴设备
US20130114043A1 (en) See-through display brightness control
CN108139806A (zh) 相对于可穿戴设备跟踪穿戴者的眼睛
CN104216118A (zh) 具有远程控制件的头部安装式显示器
CN105900141A (zh) 将闪光映射到光源
CN103558909A (zh) 交互投射显示方法及交互投射显示系统
JP2013510491A (ja) ビデオ信号源が組み込まれた自由水平線双眼鏡型表示装置
KR20190089627A (ko) Ar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CN110045501A (zh) 显示装置组件
KR2015011029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CN109758108A (zh) 一种ar眼镜式视觉功能检查装置
KR20160008677A (ko) 영상 몰입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몰입 유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