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756A - 쌍안 디스플레이용 비틀림 서포트 - Google Patents

쌍안 디스플레이용 비틀림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756A
KR20150143756A KR1020157032622A KR20157032622A KR20150143756A KR 20150143756 A KR20150143756 A KR 20150143756A KR 1020157032622 A KR1020157032622 A KR 1020157032622A KR 20157032622 A KR20157032622 A KR 20157032622A KR 20150143756 A KR20150143756 A KR 20150143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ocular
eye piece
binocular eye
brace
to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161B1 (ko
Inventor
데이빗 디. 본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14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2Adjusting pupillary distance of binocular pai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제1 비틀림 브레이스를 포함하는 제1 쌍안 아이 피스 및 제1 비틀림 브레이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비틀림 브레이스를 포함하는 제2 쌍안 아이 피스를 포함한다.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조정가능한 동공간 거리(interpupillary distance)에서 제1 쌍안 아이 피스 및 제2 쌍안 아이 피스를 홀딩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또한 포함한다.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비틀림 브레이스 및 제2 비틀림 브레이스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비틀림 서포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맞물림은 제2 쌍안 아이 피스에 대한 제1 쌍안 아이 피스의 회전 이동을 견딘다.

Description

쌍안 디스플레이용 비틀림 서포트{TORSIONAL SUPPORT FOR BINOCULAR DISPLAY}
컴퓨터 애니메이션은 사용자가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상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된 오브젝트들 및 환경들을 시청하게 한다. 컴퓨터 생성 환경으로의 사용자의 몰두의 느낌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를 통해 컴퓨터 생성 환경을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컴퓨터 생성 환경에 완벽하게 몰두하는 느낌을 갖도록 사용자의 현실 세계의 인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현실 세계에 대한 연결을 유지하면서 완벽한 몰두의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가 증강 현실 이미지들을 현실 세계의 사용자의 실제뷰(view)로 통합할 수 있다.
본 개요는 상세한 설명에서 더 후술하는 단순한 형태의 개념들의 선택을 도입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요는 청구물의 중요한 특징들 또는 본질적인 특징들을 식별하려는 것이 아니고 청구물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물들은 본 개시의 임의의 부분에 언급되는 임의의 또는 모든 단점들을 해결하는 구현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제1 비틀림 브레이스를 포함하는 제1 쌍안 아이 피스 및 제1 비틀림 브레이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비틀림 브레이스를 포함하는 제2 쌍안 아이 피스를 포함한다.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조정가능한 동공간 거리(interpupillary distance)에서 제1 쌍안 아이 피스 및 제2 쌍안 아이 피스를 홀딩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또한 포함한다. 프레임 어셈블리는 제1 비틀림 브레이스 및 제2 비틀림 브레이스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비틀림 서포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맞물림은 제2 쌍안 아이 피스에 대한 제1 쌍안 아이 피스의 회전 이동을 견딘다.
도 1은 예시적인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도 2는 사용자의 헤드상의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배향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프레임 어셈블리의 격리도(isolated view)를 도시한다.
도 4a는 도 1의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우측 아이 피스의 격리도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1의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좌측 아이 피스의 격리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프레임 어셈블리의 로드에 맞물리는 아이 피스 슬라이드들의 격리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3의 프레임 어셈블리의 로드에 맞물리는 오버랩된 아이 피스 슬라이드들의 격리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의 사용을 위한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증강 현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들이 개별 광원들로부터 발생하는 상보적 쌍안 이미지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쌍안 이미지들은 사용자의 좌우안들에 의한 단일의 통합된 이미지의 인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상에서 정밀하게 정렬되어야 한다(즉, 정밀한 수평, 수직, 및 회전 정렬). 이미지들이 정밀하게 정렬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방향감각을 혼란시킬 수 있는 이중 이미지를 인지할 것이다. 본 개시는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동공간 거리를 조정되게 하면서 이미지들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하는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증강 현실 이미지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시적인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도시한다.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는 프레임 어셈블리(102), 제1(즉, 우측) 쌍안 아이 피스(104), 및 제2(즉, 좌측) 쌍안 아이 피스(106)를 포함한다. 프레임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얼굴에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포지셔닝하고, 제1 쌍안 아이 피스(104) 및 제2 쌍안 아이 피스(106)를 조정가능한 동공간 거리에서 홀딩한다.
제1 쌍안 아이 피스 및 제2 쌍안 아이 피스는 사용자에게 상보적 증강 현실 이미지들을 제공한다. 제1 쌍안 아이 피스(104)는 제1 도파관(108) 및 제1 광 엔진(110)을 포함한다. 제1 광 엔진(110)은 제1 증강 현실 이미지(112)로서 보이도록 변조 광을 제1 도파관(108)으로 투사하도록 구성된다. 제2 쌍안 아이 피스(106)는 제2 도파관(114) 및 제2 광 엔진(116)을 포함한다. 제2 광 엔진(116)은 제2 증강 현실 이미지(118)로서 보이도록 변조 광을 제2 도파관(114)으로 투사하도록 구성된다.
제1 증강 현실 이미지(112) 및 제2 증강 현실 이미지(118)는 도파관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가시적인 장면을 증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파관들을 통해 빈 공간을 볼 수 있지만, 유니콘이 그 공간에 있도록 나타나는 증강 현실을 인지할 수 있다. 시청가능한 이미지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거나 완전히 불투명하도록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투명 이미지가 장면에서 현실 세계 오브젝트들의 사용자의 시청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잠재적 착용자들이 상이한 동공간 거리들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제1 쌍안 아이 피스가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동공간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해 제2 쌍안 아이 피스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쌍안 아이 피스(104) 및 제2 쌍안 아이 피스(106)의 이동은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착용하는 헤드의 정의된 배향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를 착용하는 헤드(200)는 헤드의 정면을 헤드의 후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관상면(coronal plane)(202), 헤드의 좌측을 헤드의 우측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정중면(sagittal plane)(204), 및 헤드의 상면을 헤드의 저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횡단면(206)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동공간 축(208)이 정중면(204)에 대해 수직일 수 있고, 시각 축(210)이 관상면(202)에 대해 수직일 수 있으며, 횡축(212)이 횡단면(206)에 대해 수직일 수 있다.
여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아이 피스들 사이의 거리는 상이한 사용자들의 상이한 해부학적 구조들을 수용하기 위해 동공간 축을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쌍안 이미지들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하기 위해, 개시된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동공간, 시간, 및 횡 축들 중 임의의 것에 관하여 우측 아이 피스에 대한 좌측 아이 피스의 회전을 방지한다.
도 3은 도 1의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프레임 어셈블리(102)의 격리도를 도시한다. 프레임 어셈블리(102)는 브로우 피스(brow piece)(300), 노즈 피스(nose piece)(302), 및 안경다리 암들(304)을 포함한다. 브로우 피스(300)의 중앙에 위치된 노즈 피스(302)는 사용자의 코 상에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포지셔닝한다. 브로우 피스(300)의 측면들상에 위치된 안경다리 암들은 사용자의 귀들상에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포지셔닝한다.
프레임 어셈블리(102)는 동공간 축에 평행하게 놓인 로드(306)를 포함한다. 노즈 피스(302)는 로드(306)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어서, 노즈 피스(302)는 로드(306)를 이등분한다. 로드(306)는 도 1의 제1 쌍안 아이 피스 및 제2 쌍안 아이 피스의 부착을 위한 공통 기준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로드(306)는 조정가능한 동공간 거리에서 제1 쌍안 아이 피스 및 제2 쌍안 아이 피스를 정렬할 수 있다. 로드(306)는 원형 또는 다른 적합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금속, 금속 합금, 및/또는 다른 충분하게 강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로드(30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피스 로드일 수 있거나, 로드는 프레임 어셈블리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 홀딩된 2개 이상의 개별 피스들로 세그먼트화될 수 있다.
도 4a는 도 1의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제1 쌍안 아이 피스(104)의 격리도를 도시한다. 제1 쌍안 아이 피스(104)는 도 3의 로드와 조정가능하게 짝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들(400)을 포함한다. 제1 쌍안 아이 피스(104)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들(400)은 노즈 피스로부터의 제1 쌍안 아이 피스(104)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로드를 따라 조정가능하게 이동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들(400)은 로드의 형상을 보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b는 도 1의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제2 쌍안 아이 피스(106)의 격리도를 도시한다. 제2 쌍안 아이 피스(106)는 도 3의 로드와 조정가능하게 짝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들(402)을 또한 포함한다. 제2 쌍안 아이 피스(106)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들(402)은 노즈 피스로부터의 제2 쌍안 아이 피스(106)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로드를 따라 조정가능하게 이동가능하다.
함께 고려할 때, 제1 쌍안 아이 피스의 슬라이드들 및 제2 쌍안 아이 피스의 슬라이드들은 조정가능한 동공간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해 제1 쌍안 아이 피스 및 제2 쌍안 아이 피스가 로드를 따라 이동하게 한다.
제1 쌍안 아이 피스(104)는 제2 쌍안 아이 피스(106)에 조정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제1 쌍안 아이 피스(104)는 로드(306)를 따라 제2 쌍안 아이 피스(106)를 동일하고 그리고 반대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노즈 피스와 쌍안 아이 피스들 사이에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리드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쌍안 아이 피스(104)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들(400) 및 제2 쌍안 아이 피스(106)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들(402)은 제1 쌍안 아이 피스(104) 및 제2 쌍안 아이 피스(106)가 로드(306)에 관하여 함께 회전하게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조정 메커니즘에서 허용오차(tolerance)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쌍안 아이 피스들은 아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증강 현실 이미지들의 적절한 정렬이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좌측 아이 피스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들(400) 및 로드(306)와 맞물리는 우측 아이 피스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들(402)의 격리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배열로, 각 아이 피스의 2개의 슬라이드들은 거리(d1) 만큼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도 6은 좌측 아이 피스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들(400') 및 로드(306)와 맞물리면서 서로 오버랩하는 우측 아이 피스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들(402')의 격리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배열로, 각 쌍안 아이 피스의 2개의 슬라이드들은 증가된 거리(d2) 만큼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각 아이 피스의 슬라이드들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은 시각 축 및/또는 횡 축에 평행한 축에 관한 회전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 어셈블리(102)는 노즈 피스(302)로부터 떨어져 연장하고 로드(306)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갖는 비틀림 서포트(torsional support)(308)를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쌍안 아이 피스(104)는 제1 비틀림 브레이스(404)를 포함하고,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쌍안 아이 피스(106)는 제2 비틀림 브레이스(406)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틀림 서포트(308)는 제1 비틀림 브레이스(404)에 직접적으로 맞물릴 수 있고, 제1 비틀림 브레이스(404)를 통해 제2 비틀림 브레이스(406)에 간접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맞물림은 제2 쌍안 아이 피스(106)에 대한 제1 쌍안 아이 피스(104)의 회전 이동을 기계적으로 견딘다. 그 결과, 비틀림 서포트는 로드(306)에 관하여 제2 쌍안 아이 피스(106)에 대한 제1 쌍안 아이 피스(104)의 회전 이동을 한정하고 통합한다. 쌍안 아이 피스들 사이의 회전 이동의 이러한 결합은 동공간 축에 관한 한정되지 않은 회전들로 인한 증강 현실 이미지들에서의 오정렬의 감소를 돕는다.
비틀림 서포트(308), 제1 비틀림 브레이스(404), 및 제2 비틀림 브레이스(406)는 임의의 적합한 방향으로 로드로부터 임의의 적합한 거리 떨어져 연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장이 더 길수록 더 많은 비틀림 서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용들을 위해 15 내지 20mm의 연장이 적절한 비틀림 서포트를 제공한다고 여겨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비틀림 서포트 및 비틀림 브레이스들은 로드 위에서 연장한다. 이러한 포지셔닝은 충분하게 긴 레버 암을 허용하면서 시야 장애를 회피한다. 다른 포지션들이 기능적 및/또는 심미적 이유들로 사용될 수 있다. 비틀림 서포트 및 비틀림 브레이스들은 비틀림 서포트를 유지하면서 동공간 조정을 허용하는 임의의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비틀림 서포트 및 비틀림 브레이스들은 서로 인터페이싱하는 평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 쌍안 아이 피스(104)의 제1 비틀림 브레이스(404)는 제2 쌍안 아이 피스(106)의 제2 비틀림 브레이스(406)와의 직접적인 포인트 접촉을 유지하는 도 4a에 도시된 베어링(40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어셈블리(102)의 비틀림 서포트(308)는 제1 쌍안 아이 피스(104)의 제1 비틀림 브레이스(404)와의 직접적인 포인트 접촉을 유지하는 도 3에 도시된 베어링(310)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들은 쌍안 아이 피스들의 한정된 이동 이상을 감소시킨다. 더 많은 베어링들 또는 다른 포인트 접촉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또한, 베어링들의 위치는 예시된 바 이외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바이어싱 메커니즘이 제1 비틀림 브레이스(404)를 향해 제2 비틀림 브레이스(406)를 바이어싱하고 비틀림 서포트(308)를 향해 제1 비틀림 브레이스(404)를 바이어싱하여, 로드에 관하여 제1 도파관(108) 및 제2 도파관(114)의 회전 이동을 한정하고 통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바이어싱 메커니즘은 각각의 컴포넌트들을 적절하게 바이어싱할 수 있는 스프링, 클립,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7의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의 컴퓨팅 시스템(700)의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컴퓨팅 시스템(700)은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에 집적될 수 있거나,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100)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주변 제어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700)은 로직 머신(702), 저장 머신(704), 및 도 1의 제1 광 엔진(110) 및/또는 제2 광 엔진(116)과 같은 하나 이상의 광 엔진들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서브시스템(706)을 포함한다. 컴퓨팅 시스템(700)은 입력 서브시스템(708), 통신 서브시스템(710), 및/또는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옵션으로 포함할 수 있다.
로직 머신(702)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로직 머신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 서비스들, 프로그램들, 루틴들, 라이브러리들, 오브젝트들, 컴포넌트들, 데이터 구조들, 또는 다른 논리적 구성들의 일부인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어들은 작업을 수행하고, 데이터 타입을 구현하고,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의 상태를 변환하고, 기술적 효과를 달성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결과에 도달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로직 머신은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로직 머신은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 로직 머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로직 머신의 프로세서들은 단일-코어 또는 멀티-코어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들상에서 실행된 명령어들은 순차적, 병렬, 및/또는 분산 프로세싱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로직 머신의 개별 컴포넌트들은 원격으로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조정된 프로세싱을 위해 구성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개별 디바이스들 중에 옵션으로 분포될 수 있다. 로직 머신의 양태들은 클라우드 컴퓨팅 구성에서 구성된 원격으로 액세스가능한 네트워킹된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의해 가상현실화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저장 머신(704)은 여기에 설명한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을 구현하기 위해 로직 머신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홀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물리적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이 구현될 때, 저장 머신(704)의 상태가 예를 들어, 상이한 데이터를 홀딩하기 위해 변환될 수 있다.
저장 머신(704)은 착탈식 및/또는 내장형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머신(704)은 다른 것들 중에서, 광학 메모리(예를 들어, CD, DVD, HD-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반도체 메모리(예를 들어, RAM, EPROM, EEPROM 등), 및/또는 자기 메모리(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MRAM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머신(704)은 휘발성, 비휘발성, 동적, 상태, 판독/기록, 판독 전용, 랜덤 액세스, 순차적 액세스, 위치-어드레스가능한, 파일-어드레스가능한, 및/또는 콘텐츠-어드레스가능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머신(704)이 하나 이상의 물리적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설명한 명령어들의 양태들은 대안으로는 유한 지속기간 동안 물리적 디바이스에 의해 홀딩되지 않는 통신 매체(예를 들어, 전자기 신호, 광학 신호 등)에 의해 전파될 수 있다.
로직 머신(702) 및 저장 머신(704)의 양태들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로직 컴포넌트들로 함께 집적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로직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PASIC/ASICs(program-and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PSSP/ASSPs(program-and application-specific standard products), SOC(system-on-a chip), 및 CPLDs(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s)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서브시스템(706)은 도 1의 제1 광 엔진(110) 및 제2 광 엔진(116)을 통해 저장 머신(704)에 의해 홀딩된 데이터의 시각 표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표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이미지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한 방법들 및 프로세스들이 저장 머신에 의해 홀딩된 데이터를 변화시켜서 저장 머신의 상태를 변환시키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서브시스템(706)의 상태가 유사하게 변환될 수 있고 광 엔진들로 하여금 기반 데이터에서의 변화들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게 할 수 있다.
포함되는 경우에, 입력 서브시스템(708)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거나 그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서브시스템은 선택된 NUI(natural user input) 구성부분을 포함하거나 그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부분은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또는 컴퓨팅 시스템에 집적되거나 그에 대한 주변에 있을 수 있고, 입력 액션들의 변환 및/또는 프로세싱이 온 또는 오프-보드 핸들링될 수 있다. 예시적인 NUI 구성부분이 스피치 및/또는 음성 인식을 위한 마이크로폰; 머신 비전 및/또는 제스처 인식을 위한 적외선, 컬러, 입체, 및/또는 깊이 카메라; 모션 검출 및/또는 의도된 인식을 위한 헤드 트랙커, 아이 트랙커, 가속도계, 및/또는 자이로스코프를 포함할 수 있다.
포함되는 경우에, 통신 서브시스템(710)은 컴퓨팅 시스템(700)을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과 통신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710)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과 호환가능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하지 않는 예로서, 통신 서브시스템은 무선 전화 네트워크, 또는 유선 또는 무선 로컬 또는 광역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서브시스템은 컴퓨팅 시스템(700)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들로 그리고/또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메시지들을 전송하고 그리고/또는 수신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한 구성들 및/또는 접근방식들이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이고, 이들 특정한 실시예들 및 예들은 다수의 변형들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한하는 관점으로서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 설명한 특정한 루틴들 또는 방법들은 임의의 수의 프로세싱 전략들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시되고 그리고/또는 설명된 다양한 행위들은 예시되고 그리고/또는 설명된 시퀀스로, 다른 시퀀스들로, 병렬로 수행될 수 있거나, 생략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술한 프로세스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한 구성들 및/또는 접근방식들이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이고, 이들 특정한 실시예들 및 예들은 다수의 변형들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한하는 관점으로서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 설명한 특정한 루틴들 또는 방법들은 임의의 수의 프로세싱 전략들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시되고 그리고/또는 설명된 다양한 행위들은 예시되고 그리고/또는 설명된 시퀀스로, 다른 시퀀스들로, 병렬로 수행될 수 있거나, 생략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술한 프로세스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내용(subject matter)은, 완전히 새롭고 알기 쉽지 않은 다양한 프로세스, 시스템과 구성, 및 여기에 개시된 다른 피처(feature), 펑션(function), 동작(act), 및/또는 특성뿐만 아니라 임의의 모든 등가물을 포함한다.

Claims (10)

  1.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binocular head mounted display)에 있어서,
    제1 비틀림 브레이스(torsional brace)를 포함하는 제1 쌍안 아이 피스(eye piece);
    상기 제1 비틀림 브레이스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비틀림 브레이스를 포함하는 제2 쌍안 아이 피스; 및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 및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를 조정가능한(adjustable) 동공간 거리(interpupillary distance)에서 홀딩(holding)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에 대한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의 회전 이동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1 비틀림 브레이스 및 상기 제2 비틀림 브레이스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게 하기 위한 비틀림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는 제1 도파관 및 제1 광 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엔진은 상기 제1 도파관을 통해 증강 현실 이미지로서 보이도록 변조 광을 제1 도파관으로 투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는 제2 도파관 및 제2 광 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엔진은 상기 제2 도파관을 통해 증강 현실 이미지로서 보이도록 변조 광을 상기 제2 도파관으로 투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는,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가 로드(rod)를 따라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와 동일하게 그리고 반대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에 조정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로드(ro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는 상기 로드와 조정가능하게 짝을 이루는(mate with)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는 상기 로드와 조정가능하게 짝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및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는, 상기 조정가능한 동공간 거리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 및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가 상기 로드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것인,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의 상기 제1 비틀림 브레이스 및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의 상기 제2 비틀림 브레이스는, 상기 로드로부터 15 mm 내지 20 mm 떨어져 각각 연장되는 것인,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 및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는,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 및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가 상기 로드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는 것인,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서포트는, 상기 로드에 대한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 및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의 회전 이동을 한정하고(constrain) 통합하기(unify) 위해 상기 제1 비틀림 브레이스와 상기 제2 비틀림 브레이스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것인,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상기 비틀림 서포트는,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의 상기 제1 비틀림 브레이스와의 직접적인 포인트 접촉을 유지하는 베어링(bearing)을 포함하는 것인,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쌍안 아이 피스의 상기 제1 비틀림 브레이스는, 상기 제2 쌍안 아이 피스의 상기 제2 비틀림 브레이스와의 직접적인 포인트 접촉을 유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인,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노즈 피스(nose piece)를 포함하고,
    상기 비틀림 서포트는 상기 노즈 피스로부터 떨어져 연장되는 것인, 쌍안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1020157032622A 2013-04-15 2014-04-14 쌍안 디스플레이용 비틀림 서포트 KR102194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63,176 2013-04-15
US13/863,176 US9638920B2 (en) 2013-04-15 2013-04-15 Torsional support for binocular display
PCT/US2014/033907 WO2014172219A1 (en) 2013-04-15 2014-04-14 Torsional support for binocular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756A true KR20150143756A (ko) 2015-12-23
KR102194161B1 KR102194161B1 (ko) 2020-12-22

Family

ID=5079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622A KR102194161B1 (ko) 2013-04-15 2014-04-14 쌍안 디스플레이용 비틀림 서포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38920B2 (ko)
EP (1) EP2987020B1 (ko)
KR (1) KR102194161B1 (ko)
CN (1) CN105247403B (ko)
WO (1) WO20141722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814A (ko) * 2016-03-14 2017-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6396A (ja) * 2013-12-26 2015-07-06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EP3097448A1 (en) * 2014-01-21 2016-11-30 Trophy Method for implant surgery using augmented visualization
WO2016127140A1 (en) 2015-02-05 2016-08-11 Duke University Compact telescope configurations for light scanning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238279B2 (en) * 2015-02-06 2019-03-26 Duke University Stereoscopic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surgical data and information in a surgical microscope
WO2016191950A1 (zh) * 2015-05-29 2016-12-0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显示调节的方法及头戴式显示设备
CN106199968A (zh) * 2016-08-26 2016-12-07 深圳多哚新技术有限责任公司 Vr 眼镜的瞳距调节结构
KR102541662B1 (ko) 2016-11-08 2023-06-13 루머스 리미티드 광학 컷오프 에지를 구비한 도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9077614A1 (en) * 2017-10-22 2019-04-25 Lumus Ltd. ENHANCED REALITY DEVICE MOUNTED ON THE HEAD AND USING AN OPTICAL BENCH
JP2019082531A (ja) * 2017-10-30 2019-05-30 ソニー株式会社 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
KR20200096274A (ko) 2017-12-03 2020-08-11 루머스 리미티드 광학 장치 정렬 방법
TWI791728B (zh) 2018-01-02 2023-02-11 以色列商魯姆斯有限公司 具有主動對準的增強現實顯示裝置及其對準方法
KR20210022708A (ko) 2018-06-21 2021-03-03 루머스 리미티드 도광체 광학소자의 플레이트들 사이의 굴절률 불균일성에 대한 측정 기술
CN114746797A (zh) 2019-12-08 2022-07-12 鲁姆斯有限公司 具有紧凑型图像投影仪的光学系统
CN111381377B (zh) * 2020-04-24 2023-12-08 深圳珑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近眼显示设备
TW202223465A (zh) 2020-11-18 2022-06-16 以色列商魯姆斯有限公司 內部小平面的取向的基於光學的驗證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975A (ja) * 1994-09-20 1996-04-02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KR100280860B1 (ko) * 1993-09-14 2001-02-01 이데이 노부유끼 화상 표시 장치
JP2006108868A (ja) * 2004-10-01 2006-04-20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20080042038A1 (en) * 2006-06-15 2008-02-21 Pombo Stephen A Binocular display having an adjustment system
JP2008299043A (ja) * 2007-05-31 2008-12-1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ホログラム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映像表示装置
JP2011233958A (ja) * 2010-04-23 2011-11-17 Olympus Corp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7400A (en) 1993-05-06 1994-09-13 Ken Hunter Optical system for virtual reality helmet
US7310072B2 (en) 1993-10-22 2007-12-18 Kopin Corporation Portable communication display device
US20030083134A1 (en) * 2001-10-26 2003-05-01 Day Stanley J. Flexible coupling device
TW594658B (en) 2002-07-01 2004-06-21 Leadtek Research Inc Helmet-mounted display
US6879443B2 (en) * 2003-04-25 2005-04-12 The Microoptical Corporation Binocular viewing system
FR2891922B1 (fr) 2005-10-06 2007-12-07 Essilor Int Dispositif binoculaire d'affichage d'informations
US7675678B2 (en) * 2005-11-08 2010-03-09 Perioptix Locking inter-pupillary distance and convergence adjustment mechanism
US10908421B2 (en) * 2006-11-02 2021-02-02 Razer (Asia-Pacific)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viewing devices
US8004769B2 (en) 2009-03-05 2011-08-23 Nabes, Llc Binocular apparatus and system
JP5333067B2 (ja) 2009-08-31 2013-11-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
US20120038543A1 (en) 2010-08-16 2012-02-16 Martin H Lee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Miniature Image Displays
JP2012065242A (ja) 2010-09-17 2012-03-29 Olympus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用シールドおよび頭部装着型表示装置
JP2012138654A (ja) 2010-12-24 2012-07-19 Sony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JP2012141461A (ja) 2010-12-29 2012-07-26 Sony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860B1 (ko) * 1993-09-14 2001-02-01 이데이 노부유끼 화상 표시 장치
JPH0886975A (ja) * 1994-09-20 1996-04-02 Olympus Optical Co Ltd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2006108868A (ja) * 2004-10-01 2006-04-20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20080042038A1 (en) * 2006-06-15 2008-02-21 Pombo Stephen A Binocular display having an adjustment system
JP2008299043A (ja) * 2007-05-31 2008-12-1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ホログラム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映像表示装置
JP2011233958A (ja) * 2010-04-23 2011-11-17 Olympus Corp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814A (ko) * 2016-03-14 2017-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US11575878B2 (en) 2016-03-14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R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47403A (zh) 2016-01-13
US20140307315A1 (en) 2014-10-16
CN105247403B (zh) 2018-01-02
EP2987020B1 (en) 2017-05-17
EP2987020A1 (en) 2016-02-24
KR102194161B1 (ko) 2020-12-22
US9638920B2 (en) 2017-05-02
WO2014172219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161B1 (ko) 쌍안 디스플레이용 비틀림 서포트
EP2992383B1 (en) Spherical interface for binocular display
US10740971B2 (en) Augmented reality field of view object follower
US10241329B2 (en) Varifocal aberration compensation for near-eye displays
EP3714318B1 (en) Position tracking system for head-mounted displays that includes sensor integrated circuits
US11683470B2 (en) Determining inter-pupillary distance
KR20170041862A (ko) 유저 안경 특성을 결정하는 눈 추적용 디바이스를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CA2954727A1 (en) Anti-trip when immersed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20160363763A1 (en) Human factor-based wearable display apparatus
CN112655202B (zh) 用于头戴式显示器的鱼眼镜头的减小带宽立体失真校正
US10288889B2 (en) Smart eyewear with movable display
US11150470B2 (en) Inertial measurement unit signal based image reprojection
US20230273433A1 (en) Stereo alignment assessment for head-mounted display
WO2023168399A2 (en) Extended reality display system with vision correction
WO2023146882A1 (en) Display system with machine learning (ml) based stereoscopic view synthesis over a wide field of 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