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388A -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388A
KR20170106388A KR1020177022497A KR20177022497A KR20170106388A KR 20170106388 A KR20170106388 A KR 20170106388A KR 1020177022497 A KR1020177022497 A KR 1020177022497A KR 20177022497 A KR20177022497 A KR 20177022497A KR 20170106388 A KR20170106388 A KR 20170106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emergency
armature
pilot valve
damp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망어
루카스 루만
슈테판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7010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4Control of valve bias or pre-stress, e.g. electromagne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16K31/0679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with more than one energising c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6Stiffness
    • F16F2228/066Variable stiff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24Detecting or preventing malfunction, e.g. fail saf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 액추에이터(7)에 의해 구동 가능한, 파일럿 밸브 바디(59)를 가진 파일럿 밸브(13)에 의해 제어되는 메인 밸브(15)를 포함하는, 진동 댐퍼를 위한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1)에 관한 것으로, 비상 작동 시 비상 작동 밸브가 메인 밸브(15)를 제어하며, 비상 작동 전기자(53)가 비상 작동 스프링(57)에 의해 파일럿 밸브(13)의 파일럿 밸브 바디(59)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파일럿 밸브(13)가 비상 작동 밸브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 10 2012 210 460 B3호로부터, 파일럿 밸브 및 메인 밸브를 포함하는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파일럿 밸브에 직렬로 비상 작동 밸브가 연결되며, 이 비상 작동 밸브는 댐핑 밸브 장치의 액추에이터에 대한 에너지 공급부의 고장 시, 비상 작동 상태를 취한다. 비상 작동 밸브에는 다시 하나 이상의 과압 밸브가 병렬로 연결되며, 이 과압 밸브는 댐핑 밸브 장치의 제어 챔버 내의 과압 시 개방됨으로써 최대 댐핑력 조정을 결정한다. 그럼으로써 댐핑 밸브 장치는, 서로 조정되어야 하고 상당한 제조 비용을 야기하는 4개 이상의 개별 밸브를 포함한다.
비상 작동 밸브는 환형 비상 작동 밸브 바디를 포함하고, 이 비상 작동 밸브 바디는 비상 작동 밸브 스프링에 의해 파일럿 밸브와 관련하여 분리된 밸브 시트면 상으로 가압된다.
DE 10 2010 063 386 B4호는 한 대안적 해결책을 개시하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과압 밸브가 마찬가지로 비상 작동 밸브 내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비상 작동 밸브 내로 나사 결합되는, 설치 공간 수요가 적은 과압 밸브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형의 과압 밸브들은 구성 유닛으로서 제공되며 비교적 저렴하다. 그러나 상기 유형의 과압 밸브들은 작은 구조 형상으로 인해, 예를 들어 폐쇄 스프링의 경우 제조 공차와 관련하여 비교적 민감하다. 이러한 문제는 폐쇄 스프링을 위한 조정 가능한 지지면에 의해 보상될 수는 있으나, 단일 과압 밸브를 통해 구현 가능한 용적 흐름이 비교적 적다. 그 결과, 복수의 과압 밸브가 제공되어야 하고, 그로 인해 조립 복잡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에 비해 전체 구성이 더 간단한 비상 작동 기능을 가진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비상 작동 전기자가 비상 작동 스프링에 의해 파일럿 밸브의 파일럿 밸브 바디로 가압되어, 상기 파일럿 밸브가 비상 작동 밸브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해결된다.
파일럿 밸브/비상 작동 밸브의 이중 기능에 의해 2개의 밸브, 다시 말해 기존의 비상 작동 밸브와 하나 이상의 과압 밸브가 생략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조적 복잡성 외에, 축방향 설치 공간 이점도 달성될 수 있다.
잠재적인 제조 부정확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 작동 전기자의 가장자리 측이 파일럿 밸브 바디의 커버면 위에 지지된다. 비상 작동 전기자와 파일럿 밸브 바디 사이의 접촉원이 클수록, 치수 오류의 영향이 더 적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커버면은 비상 작동 전기자를 위한, 단차가 있는 접촉면을 가진 계단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작은 면적만 정밀하게 제조되면 되기 때문에 가공 복잡성이 감소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비상 작동 전기자가 파일럿 밸브 바디의 커버면을 향해 단차가 있는 받침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면이 절삭 형상(cutting geometry)을 갖는다. 절삭 형상은 비상 작동 전기자와 파일럿 밸브 바디 사이의 선형 접촉을 목적으로 하며, 그럼으로써 비상 작동 전기자와 파일럿 밸브 바디 사이의 각도 에러가 간단히 보상될 수 있다.
비상 작동 전기자의 가동성을 촉진하기 위해, 비상 작동 전기자는 상기 비상 작동 전기자에 의해 서로 분리된 댐핑 밸브 장치의 챔버들을 서로 연결하는 유동 연통부를 갖는다. 그럼으로써 부압 또는 동압(dynamic pressure)을 유발할 수도 있는, 유압적으로 차단된 공간들이 형성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비상 작동 전기자는 받침면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유동 통로를 가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비상 작동 전기자의 강도가 약화되지 않게 된다.
대안적으로 비상 작동 전기자는 그의 외표면에 하나 이상의 유동 연통부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의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댐핑 밸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피스톤 로드 상의 댐핑 밸브 장치의 도면이다.
도 1은 임의 구조 형태의 진동 댐퍼를 위한, 축방향으로 두 부분으로 구성된 댐핑 밸브 하우징(3)을 갖는 댐핑 밸브 장치(1)를 도시한다. 본 구성에서, 댐핑 밸브 장치(1)는 진동 댐퍼의 외측 실린더와 관련하여 외측 배치를 위한 것이나, 이러한 구성 원리는 예를 들어 피스톤 로드 상의 댐핑 밸브 장치에 간단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댐핑 밸브 하우징 섹션(5) 내에는 이미 공지된 액추에이터(7)가 배치되며, 이 액추에이터는 전기자(11)를 통해 파일럿 밸브(13)에 작용하는 스풀(9)을 포함한다. 파일럿 밸브(13)에 의해, 진동 댐퍼 내에서 댐핑력을 생성하는 메인 밸브(15)가 제어된다. 파일럿 밸브 및 메인 밸브(13; 15)는 중간벽이 없는 관형 기본 형태를 가진 제2 댐핑 밸브 하우징 섹션(17) 내에 배치된다.
메인 밸브(15)는, 댐핑 밸브 하우징(3)에 대해 분리된 하우징 삽입체(21) 내에서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형성된 메인 밸브 바디(19)를 포함한다. 하우징 삽입체(21)는 컵 형태로 구현되고 제어 챔버(23)를 형성하며, 이 제어 챔버를 통해 메인 밸브(15)가 파일럿 밸브(13)에 의해 제어된다. 하우징 삽입체(21)의 바닥(25)은 개구(27)를 가지며, 이 개구 내에서 메인 밸브 바디(19)의 안내 샤프트(29)가 안내된다. 안내 샤프트(29) 내에는 축방향 채널(31) 및 횡방향 채널(33)이 연장되고, 이들 채널은 제어 챔버(23)를 관통구(35)를 통해 바닥(25)에서 파일럿 밸브(13)와 연결한다.
하우징 삽입체(21)는 외부면에 프로파일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 댐핑 밸브 하우징(3)과 하우징 삽입체(21)의 서로를 향한 면들이 댐핑 밸브 장치(1) 내부의 댐핑 매체 흐름을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동 채널(37)을 형성하며, 외측에서는 바닥(25)에 반경 방향 채널(55)이 제공되고, 이들 반경 방향 채널은 유동 채널들(37)로 이어진다.
메인 밸브(15)가 시트 밸브로 형성됨으로써, 메인 밸브 바디(19)는 메인 밸브 시트면(39) 상에 지지된다. 반경 방향으로 메인 밸브 시트면(39)의 외측에 하나 이상의 관류 채널(41)이 형성되고, 이 관류 채널은 반경 방향으로 댐핑 밸브 하우징(3) 내부에 배치된다. 하우징 삽입체(21)의 외측에 제공되는 유동 채널(37)은 하나 이상의 관류 채널(41)에 연결된다.
메인 밸브 시트면(39)은 다시 밸브 코어(43)에 의해 형성되고, 댐핑 밸브 하우징(3) 내에서 축방향으로 상기 밸브 코어의 상부에 하우징 삽입체(21)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 코어(43)는 하나 이상의 밸브 디스크(47)와 상호 작용하는 댐핑 채널(45)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선택적이다.
하우징 삽입체(21)는 스프링 와셔 형태의 스프링 부재(49)에 의해 축방향으로 댐핑 밸브 하우징(3)의 지지면(51)에 대해 가압된다. 스프링 부재(49)는 다시 밸브 코어(43)에 지지된다.
기본적으로, 댐핑 밸브 장치(1)는 메인 밸브(15) 및 파일럿 밸브(13)에 의해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액추에이터(7)가 에너지를 더 이상 공급받을 수 없는 경우, 상기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1)가 비상 작동 기능을 담당한다.
제2 댐핑 밸브 하우징 섹션(17) 내에는 비상 작동 전기자(53)가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압축 스프링 형상의 비상 작동 스프링(57)이 파일럿 밸브(13)의 파일럿 밸브 바디(59) 상으로 비상 작동 전기자(53)를 가압한다. 비상 작동 스프링(57)은 하우징에 고정된 부품에 지지되고, 비상 작동 전기자(53)는 그 가장자리가 파일럿 밸브 바디(59)의 커버면(61)에 직접 접촉하여 지지된다.
커버면(61)은 비상 작동 전기자(53)를 위한, 단차가 있는 접촉면(63)을 가진 계단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비상 작동 전기자(53)도 파일럿 밸브 바디(59)의 커버면(61)의 방향으로 단차가 있는 받침면(65)을 가지며, 이때 상기 받침면(65)은 절삭 형상을 갖는다.
비상 작동 전기자(53)는 공간적으로 액추에이터(7)의 요크 바디(67)와 하우징 삽입체(21)의 바닥(25)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비상 작동 전기자의 2개의 행정 챔버(69; 71)를 나눈다. 행정 챔버들(69; 71) 중 하나에 동압이 형성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비상 작동 전기자(53)는 댐핑 밸브 장치(1)의 서로 분리된 두 행정 챔버(69; 71)를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유동 연통부(73)를 갖는다.
유동 연통부(73)는 선택적으로 받침면(65)의 영역에 예컨대 간단한 엠보싱 형태의 유동 통로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상 작동 전기자가 그 외표면에 유동 연통부(73)를 가질 수 있다.
단면의 좌측 반부에는 종래기술에 필적하는 비상 작동 전기자의 전체 길이가 도시되어 있다. 단면의 우측 반부는, 본 발명에 의해 좁은 비상 작동 전기자(53)로 인해 달성될 수 있는 장착 공간 이점을 명료화한다.
댐핑 밸브 장치를 구비한 진동 댐퍼의 작업 운동 시, 댐핑 매체가 밸브 코어(43)의 관 연결부를 통해 댐핑 밸브 장치(1) 내로 침투된다. 이때, 댐핑 매체는 하나 이상의 댐핑 채널(45) 및 하나 이상의 밸브 디스크(47)를 통과한다. 이로 인해, 메인 밸브 바디(19)에 상승력이 작용한다. 댐핑 매체는 관통구(35)를 통해 제어 챔버(23)에 도달하고, 이로써 메인 밸브 바디(19)에 폐쇄력을 가한다. 파일럿 밸브(13)는 제어 챔버(23)로부터, 하우징 삽입체(21)와 제2 댐핑 밸브 하우징 섹션(17) 사이의 유동 채널(37) 내로의 방출 단면을 제어한다. 정상적인 에너지 공급 시 비상 작동 전기자(53)가 비상 작동 스프링(57)의 힘에 반하여 상승함으로써, 파일럿 밸브 바디(59)의 하중이 경감된다. 그러면 파일럿 밸브 바디(59)에 작용하는 폐쇄력은 이제 파일럿 밸브(13)의 전기자(11)에 작용하는 액추에이터(7)의 스프링 장치(75)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전기자(11)의 스프링 장치(75)와 비상 작동 스프링(57)은 기능상 병렬로 연결된다.
방출되는 댐핑 매체는 반경방향 채널(55) 및 유동 채널(37)을 통해, 제2 댐핑 밸브 하우징 섹션(17)과 밸브 코어(43) 사이의 환형 챔버에 도달하고, 상기 밸브 코어의 하나 이상의 관류 채널(41)을 통해 파일럿 밸브(13)의 댐핑 매체가 방출된다.
액추에이터(7)에 대한 에너지 공급에 장애가 있을 경우, 비상 작동 전기자(53)와 파일럿 밸브 바디(59) 간의 접촉을 통해 비상 작동 스프링(57)의 전체 폐쇄력이 작용한다. 스프링 장치(75)와 비상 작동 스프링(57)의 스프링 힘이 합쳐져서 파일럿 밸브 바디(59)에 작용하는 폐쇄력을 결정한다.
축방향 채널(31) 내 압력이 개방 방향으로 작용하여 파일럿 밸브 바디(59)를 상승시킨다. 이때, 제어 챔버(23) 내에 메인 밸브 바디(19) 상으로의 폐쇄 압력이 형성된다. 그 결과, 액추에이터(7)로의 전력 공급 장애 시에도 파일럿 밸브(13)가 비상 작동 기능을 수행한다.
메인 밸브 바디(19)가 메인 밸브 시트면(39)으로부터 상승 운동을 하면 댐핑 매체가 반경 방향 외부로 흐르고,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관류 채널(41)을 통해 댐핑 밸브 하우징(3)으로부터 방출된다.
그런 다음, 댐핑 매체는 도시되지 않은 보상 챔버 또는 작동 챔버 내로 흘러간다.
본 발명은 일측 관류 방향을 갖는 댐핑 밸브에서의 적용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는 댐핑 매체로 채워진 2개의 작업 챔버(79; 81) 사이의 피스톤 로드(77)에 적용된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1)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13)와 메인 밸브(15)의 구조는 DE 10 2012 210 460 B3호로부터 상세히 공지되어 있다. 이와 달리, 마찬가지로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파일럿 밸브 바디(59) 상에 직접 지지되는 도 1에 따른 비상 작동 전기자(53)가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파일럿 밸브(13)가 비상 작동 밸브의 기능을 담당한다.
1: 댐핑 밸브 장치
3: 댐핑 밸브 하우징
5: 제1 댐핑 밸브 하우징 섹션
7: 액추에이터
9: 스풀
11: 전기자
13: 파일럿 밸브
15: 메인 밸브
17: 제2 댐핑 밸브 하우징 섹션
19: 메인 밸브 몸체
21: 하우징 삽입체
23: 제어 챔버
25: 바닥
27: 개구
29: 안내 샤프트
31: 축방향 채널
33: 횡방향 채널
35: 관통구
37: 유동 채널
39: 메인 밸브 시트면
41: 관류 채널
43: 밸브 코어
45: 댐핑 채널
47: 밸브 디스크
49: 스프링 부재
51: 지지면
53: 비상 작동 전기자
55: 반경 방향 채널
57: 비상 작동 스프링
59: 파일럿 밸브 바디
61: 커버면
63: 접촉면
65: 받침면
67: 요크 바디
69: 행정 챔버
71: 행정 챔버
73: 유동 연통부
75: 스프링 장치
77: 피스톤 로드
79: 작업 챔버
81: 작업 챔버

Claims (8)

  1. 전자기 액추에이터(7)에 의해 작동 가능한, 파일럿 밸브 바디(59)를 가진 파일럿 밸브(13)에 의해 제어되는 메인 밸브(15)를 포함하는, 진동 댐퍼를 위한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1)이며, 비상 작동 시 비상 작동 밸브가 메인 밸브(15)를 제어하는,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에 있어서,
    비상 작동 전기자(53)가 비상 작동 스프링(57)에 의해 파일럿 밸브(13)의 파일럿 밸브 바디(59)로 가압되어, 상기 파일럿 밸브(13)가 비상 작동 밸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비상 작동 전기자(53)의 가장자리 측이 파일럿 밸브 바디(59)의 커버면(61) 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커버면(61)은 비상 작동 전기자(53)를 위한, 단차가 있는 접촉면(63)을 가진 계단형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비상 작동 전기자(53)가 파일럿 밸브 바디(59)의 커버면(61)을 향해 단차가 있는 받침면(6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받침면(65)이 절삭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상 작동 전기자(53)는 상기 비상 작동 전기자(53)에 의해 서로 분리된 댐핑 밸브 장치(1)의 챔버들(69; 71)을 서로 연결하는 유동 연통부(7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비상 작동 전기자(53)는 받침면(65)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유동 통로(7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비상 작동 전기자(53)는 그의 외표면에 하나 이상의 유동 연통부(7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KR1020177022497A 2015-01-13 2015-12-15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KR201701063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00348.5 2015-01-13
DE102015200348.5A DE102015200348A1 (de) 2015-01-13 2015-01-13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PCT/EP2015/079697 WO2016113056A1 (de) 2015-01-13 2015-12-15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388A true KR20170106388A (ko) 2017-09-20

Family

ID=5502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497A KR20170106388A (ko) 2015-01-13 2015-12-15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60637B2 (ko)
EP (1) EP3245420B1 (ko)
KR (1) KR20170106388A (ko)
CN (1) CN107110276B (ko)
DE (1) DE102015200348A1 (ko)
WO (1) WO2016113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1896A1 (de) 2016-11-24 2018-05-24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US10554684B2 (en) * 2017-03-29 2020-02-04 Juniper Networks, Inc. Content-based optimization and pre-fetching mechanism for security analysis on a network device
DE112018004751B4 (de) * 2017-09-05 2022-07-21 Hitachi Astemo, Ltd. Stossdämpfer
DE102017216922A1 (de) * 2017-09-25 2019-03-28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r Schwingungsdämpfer
DE102018206840A1 (de) 2018-05-03 2019-11-07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verstellbarem Dämpfventil
DE102018207757A1 (de) 2018-05-17 2019-11-21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verstellbarem Dämpfventil
KR20200113807A (ko) * 2019-03-26 2020-10-07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DE102020201457A1 (de) 2020-02-06 2021-08-12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DE102020123249A1 (de) * 2020-09-07 2022-03-1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Plattenanker-Dämpfungseinrichtung für ein Kippankerventil, Plattenanker sowie Kippankerventil mit einer Plattenanker-Dämpfungseinrichtung
KR20230124398A (ko) 2022-02-18 2023-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솔레노이드 밸브
DE102022205228B3 (de) 2022-05-25 2023-11-30 Zf Friedrichshafen Ag Dämpfventileinrichtung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4110A1 (de) * 1991-02-11 1992-08-13 Fichtel & Sachs Ag Vorgesteuertes daempfungsventil mit schwingungsdaempfer-gerechten kennlinien
DE4208886A1 (de) * 1992-03-19 1993-09-23 Fichtel & Sachs Ag Daempfkraftveraenderbarer schwingungsdaempfer mit notbetriebseinstellung
DE4213803A1 (de) 1992-04-27 1993-10-28 Teves Gmbh Alfred Vorgesteuertes Ventil für Fahrwerksregelungssysteme
DE102009061003B4 (de) 2009-04-04 2014-12-18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DE102010063386B4 (de) * 2010-12-17 2012-09-20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DE102011079144B4 (de) * 2011-07-14 2013-02-07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mit einem Notbetriebventil
DE102012210460B3 (de) 2012-06-21 2013-10-10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DE102012210459B3 (de) * 2012-06-21 2013-10-10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JP6130684B2 (ja) * 2013-02-15 2017-05-17 Kyb株式会社 ソレノイドバルブ
DE102014215199A1 (de) * 2014-08-01 2016-02-04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DE102014225702A1 (de) * 2014-12-12 2016-06-16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DE102016205651A1 (de) * 2016-04-06 2017-10-12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 Dämpfventileinrichtung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DE102017209609B4 (de) * 2017-06-07 2021-11-25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verstellbarer Dämpfk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3056A1 (de) 2016-07-21
EP3245420B1 (de) 2020-01-29
CN107110276B (zh) 2019-05-17
US10760637B2 (en) 2020-09-01
DE102015200348A1 (de) 2016-07-14
US20180003259A1 (en) 2018-01-04
EP3245420A1 (de) 2017-11-22
CN107110276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6388A (ko)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KR101756471B1 (ko) 완충기
KR101850337B1 (ko) 완충기
JP6188598B2 (ja) シリンダ装置
KR102588959B1 (ko) 완충기
KR101769148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2224607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US9310810B2 (en) Adjustable damping valve device
US11118648B2 (en) Damping force adjustable shock absorber
KR20170038887A (ko) 조정 가능 댐핑 밸브 장치
US10634207B2 (en) Damping force control type shock absorber
CN110475985B (zh) 缓冲器
US11614140B2 (en) Damping valve and shock absorber
CN111051730B (zh) 缓冲器
KR20150032479A (ko) 조절 가능한 감쇠 밸브 장치
JP6351443B2 (ja) 緩衝器
JP2015034618A (ja) 緩衝器
JP2021514451A (ja) 弁装置及び弁装置中でパイロット圧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KR20240042665A (ko) 완충기의 제조 방법
WO2018216716A1 (ja) 緩衝器
JP7171495B2 (ja) 緩衝器
JP2014009760A (ja) 緩衝器
JP2015068479A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2016070421A (ja) 緩衝器
JP2015028353A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