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286A - 의장지 - Google Patents

의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286A
KR20170106286A KR1020177004880A KR20177004880A KR20170106286A KR 20170106286 A KR20170106286 A KR 20170106286A KR 1020177004880 A KR1020177004880 A KR 1020177004880A KR 20177004880 A KR20177004880 A KR 20177004880A KR 20170106286 A KR20170106286 A KR 20170106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ating layer
coating
printing
pu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쿠레누마
유스케 사카이
카즈오 니시카와
히데야 나이토
Original Assignee
도쿠슈 도카이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슈 도카이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15737A external-priority patent/JP64801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83678A external-priority patent/JP6571372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쿠슈 도카이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슈 도카이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쿠슈 도카이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71572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121148A1/ja
Publication of KR20170106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28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22Addition to the formed paper
    • D21H23/46Pouring or allowing the fluid to flow in a continuous stream on to the surface, the entire stream being carried away by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장지는, 초기 열유속 최대치(Qmax)가 0.300~0.377W/㎠이다. 본 발명의 의장지의 바람직한 한 실시형태로서, 원지와 그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도공층을 가지며, 도공층의 표면에서의 Qmax가 상기 특정 범위 내에 있는 특정 도공지를 들 수 있다. 상기 특정 도공지에서, 원지의 밀도는 0.55~0.67g/㎤이 바람직하고, 또한 도공층은 비접촉 도공 방식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특정 도공지의 한 실시형태로서,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에 의해 형성된 상기 도공층을 1층 이상 가지면서, 밀도가 0.65~0.75g/㎤, JISP8151에 기초하여 소프트 배킹을 이용하여 클램프압 980㎪로 측정한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가 8.0㎛ 미만, 도공층 표면의 MMD값이 0.011 이상인 인쇄 용지를 들 수 있다.

Description

의장지{DESIGN PAPER}
본 발명은, 독특한 감촉을 가지는 고품질의 의장지에 관한 것이다.
의장지는, 책의 표지, 면지, 상업미술 인쇄, 패키지, 포장 재료, 건재 등 다방면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사용자 니즈의 다양화 등에 따라, 의장지에는 감촉 등의 촉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 감각적인 종이의 품위를 나타내는 말로서 "감촉"이라는 말이 다용된다. 종이의 감촉은, 종이의 가벼움, 감촉 등의 촉감적인 감각을 종합하여 평가된다. 촉감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로서, 사람이 물건을 만졌을 때에 느끼는 냉온감(열이동)이 알려져 있고, 이는 초기 열유속 최대치로서 수치화된다. 이 초기 열유속 최대치는 Qmax라고도 불리며, 수치가 작을수록 따뜻하게 느끼고, 클수록 차갑게 느끼는 특성이다.
Qmax에 착안한 기술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내의에 사용되는 섬유 제품으로서의 옷감의 편면(片面)의 Qmax를 120W/㎡ㆍ℃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W/㎡ㆍ℃ 이상 190W/㎡ㆍ℃ 이하로 함으로써, 상기 옷감에 접촉한 순간 차갑고 시원하게 느끼는 것이 가능해져 바람직한 취지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물티슈용 보습 부직포에서, 그 Qmax를 0.08~0.30[J/㎠/sec]으로 함으로써 매끄러움, 탄력성, 촉촉한 감이 충분히 얻어지는 취지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0024]에는, 보습 부직포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Qmax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도 기재되어 있으며, 보습 부직포에 부드러움, 매끈매끈한 감촉이 좋은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Qmax를 0.09~0.115[J/㎠/sec]으로 하고, 보습 부직포에 촉촉한 감이나 피부에 대한 보습 효과를 추구하는 경우에는 Qmax를 0.115~0.20[J/㎠/sec]으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Qmax는, 특허문헌 1 및 2의 기재와 같은 천뿐만 아니라, 종이에도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엠보스 가공된 크레이프지(crepe paper) 제품에서, 그 Qmax를 0.17[J/㎠/sec]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의하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크레이프지 제품은, Qmax가 이러한 범위에 있음으로써, 보습 성분을 함유하여 수분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불쾌한 차가움을 느끼는 일이 없다고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크레이프지 제품은, 두루마리 화장지, 티슈 페이퍼 등의 위생지로서 주로 닦아내기 위해 사용되는 종이이며, 인쇄 적성은 특별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
또한 감촉과 인쇄 적성을 양립시키기 위해, 저밀도이며 요철이 비교적 있는 원지(原紙)에 도공액을 도공하는 수단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지는 많은 공극(空隙)을 가지기 때문에, 도공액이 원지에 침투하기 쉽고, 또한 원지에 요철이 있음으로써 도공층 두께가 일정해지기 어렵기 때문에, 인쇄 시 잉크의 침투 차가 발생하여 잉크 농도 얼룩이나 광택 얼룩에 의해 양호한 인쇄면이 얻어지기 어렵다.
특허문헌 4 및 5에서 제안되고 있는 도공지는 감촉과 인쇄 적성을 어느 정도양립하고 있지만, 최근 인쇄기의 고(高)세밀화에 따라, 종이의 인쇄 재현성의 새로운 향상 및 잉크 농도 얼룩이나 광택 얼룩의 새로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인쇄기의 고세밀화에 대응하기 위해 특허문헌 3에서 제안되고 있는 바와 같이, 원지를 평활화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평활화 처리에 의해 인쇄 용지의 밀도가 높아져 버리기 때문에 감촉의 저하로 연결된다.
특허문헌 4 내지 6에서 들고 있는 에어나이프 코터, 블레이드 코터, 바 코터, 롤 코터, 로드 코터, 그라비어 코터 등은 접촉 도공 방식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이들 접촉 도공 방식은, 원지 상에 도공액을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공급, 계량하는 도공 방식이기 때문에, 특히 저밀도의 원지에 도공하는 경우, 원지 내부로의 도료 침투의 불균일화가 일어나기 쉽고, 또한 요철이 비교적 큰 원지에 도공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에어나이프 코터나 블레이드 코터 등으로 공기류나 블레이드로 도공액을 긁어낼 때에는, 오목부에 비하여 볼록부의 도공액이 많이 벗겨지기 쉽기 때문에 도공량의 불균일화가 일어나기 쉽다. 그 결과, 인쇄 시 잉크의 침투 차가 발생하여, 잉크 농도 얼룩이나 광택 얼룩에 의해 양호한 인쇄면이 얻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접촉 도공 방식에 대하여, 커튼 도공법 등의 비접촉 도공 방식이 알려져 있다. 커튼 도공법은, 도공액의 막을 형성시키고 그 막에 원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원지 상에 도공층을 마련하는 도공 방법이며, 원지 상의 도공액에 물리적인 접촉을 하지 않고 계량을 실시하는, 이른바 전(前)계량 방식의 도공 방법이다. 이 때문에 커튼 도공법은, 도공량 및 두께가 균일한 도공층이 얻어지기 쉽다는 특징을 가진다.
커튼 도공법을 이용한 인쇄 용지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면 특허문헌 7에는, 평활화 처리를 실시한 원지에 도공액을 커튼 도공법에 의해 도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7에서, 평활화 처리를 실시한 원지를 사용한 이유는 인쇄 용지를 고광택으로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7의 기재에 따라 제작되는 인쇄 용지는, 밀도가 1.06g/㎤ 이상으로 감촉을 잃어버렸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3935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849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59706호 일본 특허 제257806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298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639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84981호
본 발명은, 초기 열유속 최대치가 0.300~0.377W/㎠인 의장지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 열유속 최대치가 0.300~0.377W/㎠인 상기 의장지에서, 원지와 그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도공층을 가지며, 상기 초기 열유속 최대치가 상기 도공층의 표면에 관한 것이고,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에 의해 형성된 상기 도공층을 1층 이상 가지면서, 밀도가 0.65~0.75g/㎤, JIS P8151에 기초하여 소프트 배킹(soft backing)을 이용하여 클램프압 980㎪로 측정한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Parker Print Surf roughness)가 8.0㎛ 미만, 도공층 표면의 MMD값이 0.011 이상인 의장지(인쇄 용지)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감촉이 양호하여,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부드러움, 폭신한 감, 따뜻함이 느껴지는 특유의 촉감에 의해 고급감이 있는 의장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인쇄 용지에는, 인쇄 품질에 관하여 인쇄 균일성이 뛰어나며, 피인쇄부에서 잉크의 흡수 얼룩이 없고, 잉크 발색성이 뛰어난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인쇄 용지의 외관이나 감촉과 같은 질감도 중요하며, 특히 최근에는, 손에 닿았을 때에 종이의 주원료인 섬유를 느낄 수 있는 바와 같은 부드러운 감촉, 독특한 볼록감, 광택이 없는 표면 등으로 대표되는, 부드러운 질감이 요망되고 있다. 부드러운 질감이면서 고수준의 인쇄 균일성을 가지며, 고급감이 있는 인쇄 품질이 얻어지는 인쇄 용지는 아직 제공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부드러운 질감이면서 고수준의 인쇄 균일성을 가지며, 고급감이 있는 인쇄 품질이 얻어지는 인쇄 용지로서의 의장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장지는, 초기 열유속 최대치(Qmax)가 0.300~0.377W/㎠이다. 의장지의 Qmax가 이러한 특정 범위에 있음으로써, 부드러움, 폭신한 감, 따뜻함이 있는 촉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의장지의 Qmax는, 바람직하게는 0.310~0.377W/㎠, 더 바람직하게는 0.320~0.377W/㎠이다.
초기 열유속 최대치(Qmax)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Qmax의 측정은, 온도 센서가 장착된 금속판 등의 열판에 열을 축적하여 상기 열판의 온도를 측정 대상보다 고온으로 설정해 두고, 상기 열판을 측정 대상의 표면에 접촉시키며, 그 접촉 직후에 상기 열판에 축적된 열량이 저온 측의 측정 대상으로 이동할 때의 열유속의 피크값을 측정함으로써 실시된다. Qmax의 수치가 작을수록 측정 대상이 따뜻하게 느껴지고, Qmax의 수치가 클수록 측정 대상이 차갑게 느껴진다. Qmax의 측정은, 시판 측정 장치,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카토테크 가부시키가이샤제의 "KES-F7 사모라보 II형 정밀 신속 열물성 측정 장치" 또는 "FR-07 핑거로봇 사모라보"를 이용하여 하기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초기 열유속 최대치(Qmax)의 측정 방법>
측정 대상(의장지)을 실온 23℃, 상대습도 50%의 환경하에 1시간 방치한 후, 이러한 환경하에서 상기 카토테크사제 KES-F7 또는 FR-07을 이용하여, 카토테크사제의 측정 메뉴얼에 따라 측정 대상의 Qmax를 측정한다. 예를 들면 KES-F7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측정 대상과 접촉시키는 상기 열판으로, 면적 9㎠, 질량 9.79g의 순 동판을 사용하고, 상기 동판의 초기 온도를 33℃(측정 대상의 표면온도보다 10℃ 높은 온도), 상기 동판의 측정 대상에 대한 접촉압을 0.981㎪로 하여 측정 대상의 표면(의장지의 편면)에 상기 동판을 접촉시키고, 접촉 후 0.2초 경과 후의 열유속의 피크값을 측정한다. 이 측정을 측정 대상면에 대해 3회 실시하고, 그들 복수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해당 측정 대상면의 Qmax로 한다. 또한 상기의 "접촉 후0.2초 경과"는, 손가락을 물건에 대고 나서 그 냉온감을 느끼는 데에 요하는 시간을 고려한 것이다. FR-07을 이용한 측정 방법도, KES-F7을 이용한 상기 측정 방법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단, FR-07을 이용한 측정 방법은, 측정자가 FR-07을 손으로 파지하고 그 접촉자를 측정 대상으로 밀어붙여 실시하기 때문에, 측정 대상에 대한 접촉압은 측정자에 의한 임의의 가압력이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한 Qmax의 수치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FR-07을 이용한 측정 방법에 기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장지의 바람직한 한 실시형태로서, 원지와, 상기 원지 중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도공층을 가지는 특정 도공지를 들 수 있다. 이 특정 도공지는, 그 도공층의 표면에서의 Qmax가 상기와 같이 0.300~0.377W/㎠의 범위에 있고, 도공층이 없는 통상지와 비교하여 인쇄 적성이 향상됨과 함께 도공층 표면의 촉촉한 감이 부여되어 도공층 표면의 촉촉한 감이 더해짐으로써, 도공층 표면의 촉감이 한층 향상된 것이 될 수 있다. 도공층의 형성에 의해 특정 도공지(의장지)에 촉촉한 감이 부여되는 이유는, 도공층의 형성에 기인하는 종이 전체의 통풍성의 저하에 따라, 도공층 표면에 닿은 손가락 피부의 불감증설(不感蒸泄)에 의한 증발 수분이, 상기 피부와 종이 상기 도공층 표면 사이에 체류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이하, 이 특정 도공지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특정 도공지를 구성하는 원지로는, 기본적으로, 도공층을 도공 설치 가능한 시트이면 사용 가능하며, 상질지, 중질지, 판지, 일본 고유의 종이 등의 펄프를 주체로 하는 종이 외에, 합성지, 부직포, 수지제 필름, 합성 섬유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도공층 표면에서의 Qmax를 상기 특정 범위로 하는 관점에서, 펄프를 주체로 하는 종이가 바람직하다. 원지에 배합되는 펄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NBKP), 활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LBKP), 침엽수 표백 설페이트 펄프(NBSP), 서모메커니컬(thermomechanical) 펄프(TMP), 쇄목 펄프(GP) 등의 목재 펄프; 삼, 대나무, 짚, 케나프(kenaf), 삼지닥나무, 닥나무, 목면 등의 비목재 펄프; 양이온화 펄프, 머서화(mercerization) 펄프 등의 변성 펄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도공지를 구성하는 원지의 밀도는, 도공층 표면에서의 Qmax에 큰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의 감촉은 종이의 가벼움, 감촉 등의 촉감적인 감각을 종합하여 평가되고, 본 발명의 의장지에서 추구하는 "부드러움, 폭신한 감, 따뜻함이 있는 촉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종이의 밀도는 낮은 편이 낫고, 요철이 적당히 느껴지는 편이 낫다. 그러나 종이의 밀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중량감의 저하에 기인하여 품위, 고급감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또한 인쇄 등의 가공 적성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 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도공층 표면에서의 Qmax를 상기 특정 범위로 확실하게 설정하는 관점에서, 원지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55~0.67g/㎤, 더 바람직하게는 0.57~0.67g/㎤이다. 여기서 말하는 원지의 밀도는, JIS P8118에 준하여 측정되는 밀도이다.
상기 특정 도공지를 구성하는 원지의 밀도를 상기 범위 내로 하는 관점에서, 원지에 포함되는 펄프의 여수도(freeness)(CSF)는, 바람직하게는 280~500㎖, 더 바람직하게는 330~450㎖이다. 여수도란, JIS P8121에 규정되는 펄프의 여수도 시험 방법 중 캐나다 표준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여수도의 조정은, 펄프의 고해(叩解; beating) 정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상기 특정 도공지를 구성하는 원지에는, 펄프 이외에 필요에 따라, 중질(重質) 탄산칼슘, 경질(輕質) 탄산칼슘, 카올린, 소성 카올린, 클레이, 탤크, 실리카, 산화티탄, 화이트 카본, 산화알루미늄, 플라스틱 피그먼트 등의 충전제 혹은 이들의 복합체; 전분,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민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의 지력(紙力) 증강제 또는 정착제 또는 내수화제; 로진, 알킬케텐 다이머, 알케닐무수숙신산, 스티렌아크릴 수지 등의 사이즈제, 여수 수율 향상제, 황산 밴드 등의 정착제, 염료, 형광 증백제, 소포제, 슬라임 컨트롤제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특정 도공지를 구성하는 원지의 초지(抄紙)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장망식 초지기, 갭 포머(gap former)형 초지기, 원망식 초지기, 단망식 초지기 등의 공지의 초지기를,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밀도이며 감촉이 뛰어난 원지를 얻기 위해서는 캘린더(calender)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의장지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도공층 형성 전의 원지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해도 되고, 그 경우의 엠보스 가공의 방식은 특별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일단 원지를 초조(抄造)하고 나서, 모양을 조각한 롤 사이로 가압 부형하는 드라이 엠보스법이나, 원망 초지기의 웨트 파트(wet part) 또는 장망 초지기의 댄디롤(dandy roll)로 부형하는 워터마크법, 프레스 파트로 부형하는 프레스 마크법, 프레스 파트 후에 부형하는 웨트 엠보스법 등 중 어느 방식이어도 된다. 초지 방식으로는, 산성 초지, 중성 초지, 약알칼리 초지 등 중 어느 방식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원지의 평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0~300g/㎡이다.
본 발명의 의장지에서 원지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의 일례로서, "펄프와, 소성 카올린 및/또는 실리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펄프의 7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 유칼리를 원료로 하는 표백 크라프트 펄프인 원지"(이하, 특정 원지라고도 함)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원지를 사용함으로써, 도공층 표면에서의 Qmax를 상기 특정 범위에 의해 확실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특정 원지의 펄프 원료가 되는 유칼리로는, 예를 들면, E. camaldulensis, E. citriodora, E. deglupta, E. globulus, E. grandis, E. maculata, E. punctata, E. saligna, E. terelicornis, E. urophylla, 혹은 이들 교잡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원지의 주성분인, 유칼리를 원료로 하는 표백 크라프트 펄프는, 이들 유칼리를 사용하여 공지의 크라프트 증해법(蒸解法), 펄프 표백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원지 중에는, 소성 카올린 및 실리카의 양쪽이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어느 한쪽만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특정 원지 중에서의 소성 카올린 및 실리카의 합계 함유량은, 상기 특정 원지의 전(全)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13질량%이다. 소성 카올린은, 천연으로 산출되는 카올린을 고열처리(예를 들면, 킬른 등을 사용하여 800℃ 정도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카올린의 결정 구조 중에 존재하는 결정수를 방출시킨 것이며, 결정 구조가 붕괴되어 비정질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실리카로는, 합성 비정질 실리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합성 비정질 실리카는, 건식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과, 습식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크게 구별되며, 전자에는 건식 실리카가 있고, 후자에는 습식 실리카, 실리카겔, 콜로이달 실리카가 있다. 소성 카올린의 1차 평균 입경 및 실리카의 2차 평균 입경은, 각각 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 카올린의 1차 평균 입경, 실리카의 2차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충분한 저밀도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소성 카올린의 1차 평균 입경, 실리카의 2차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크면, 도공층 표면의 평활성이 현저하게 악화되어 인쇄 균일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특정 도공지를 구성하는 도공층으로는, 인쇄 적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하여 종이의 표면에 도공에 의해 형성 가능한 것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공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한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어나이프 코터, 블레이드 코터, 바 코터, 롤 코터, 로드 코터, 그라비어 코터 등의 접촉 도공 방식; 커튼 코터, 스프레이 코터, 슬롯 다이코터 등의 비접촉 도공 방식을 들 수 있다. 이들 도공 방식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은, 원지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도공액을 공급하는 비접촉 도공 방식이며, 특히 커튼 코터를 사용하여 도공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튼 코터는, 도공액을 커튼형상으로 유하(流下)시켜 커튼 도공막을 형성시키고, 그 커튼 도공막에 원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원지 상에 도공층을 마련하는 도공 장치이며, 원지의 피도공면의 요철에 따른 윤곽 도공이 생긴다는 특징을 가진다. 밀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바와 같은 저밀도이며 적당한 요철이 있는 원지 상에, 비접촉 도공 방식, 특히 커튼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층을 형성함으로써, 원지의 요철과 같이 적당한 요철을 가진 도공층이 얻어지고, 그 결과, 종이와 피부의 접촉 면적이 적어져, 도공층 표면에서의 Qmax를 상기 특정 범위에 의해 확실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에 의해 원지에 도공되는 도공액의 고형분 농도는, 통상 30~70질량%이다.
즉, 본 발명의 의장지의 한 실시형태인 상기 특정 도공지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JIS P8118에 준하여 측정되는 원지의 밀도가 0.55~0.67g/㎤이면서, 도공층이 비접촉 도공 방식, 보다 바람직하게는 커튼 코터에 의해 형성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특정 도공지를 구성하는 도공층은, 통상, 충전제 및 접착제를 함유한다. 도공층용 충전제로는, 이 종류의 도공지의 도공층에 통상 함유되는 충전제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탤크, 수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아연, 새틴 화이트, 황산칼슘 등의 무기 안료; 플라스틱 피그먼트 등의 유기 안료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질 탄산칼슘은 칼사이트, 아라고나이트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한 형상에 대해서도 침상(針狀), 주상(柱狀), 방추상, 구상, 입방 형상, 로제타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들 도공층용 충전제 중에서도, 특히 탄산칼슘은, 저렴하면서 백색도가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의장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공층 중에서의 충전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도공층의 전 질량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10~95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공층용 접착제로는, 이 종류의 도공지의 도공층에 통상 함유되는 물 분산성 또는 수용성 접착제를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고, 이들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 분산성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등의 공역 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아크릴산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라텍스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라텍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중합체 라텍스 등의 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혹은 이들 각종 중합체 라텍스를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로 변성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산화 전분, 양성 전분, 에스테르화 전분, 덱스트린 등의 전분류를 들 수 있다. 도공층 중에서의 접착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도공층의 모든 충전제 100질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5~50질량부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도공지에서의 도공층에는, 충전제 및 접착제 이외의 다른 성분, 예를 들면, 이 종류의 도공층에 통상 함유되는 도공 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약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특히, 커튼 코터 등의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도공층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에 의해 형성된 도공층에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도공 장치로 도공하는 도공액에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어 있다는 것인 바, 이에 따라 도공액의 동적 표면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커튼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액을 원지에 도공한 경우에 커튼 도공막이 한층 더 안정된다. 특히, 요철이 있는 원지에 대한 도공에서는, 도공액의 레벨링성이 한층 높아지고, 원지의 요철에 따른 윤곽 도공이 생긴다. 따라서 도공층이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음으로써, 도공층 표면의 촉촉한 감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공층에 함유 가능한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특히, 카르복실산염, 술폰 산염, 황산에스테르염, 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도공액과의 상용성이 좋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의장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공층 중에서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도공층의 전 질량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0.03~0.3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0.05~0.20질량%이다. 도공층 중에서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소정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으면, 도공액의 원지에 대한 침투성이 지나치게 높아진 결과, 도공지의 인쇄 균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의장지는, 초기 열유속 최대치가 상기 특정 범위에 있으면 되고, 도공층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장지가 상기 특정 도공지와 같은 도공층을 가지는 경우, 그 도공층은, 원지의 편면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면 각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또한 단층 구조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 적층된 다층 구조이어도 된다. 원지의 편면 측에 관한 도공층의 평량은, 상기 도공층이 단층 구조인지 다층 구조인지를 불문하고 상기 도공층 전체의 평량으로서 고형분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5~20g/㎡, 더 바람직하게는 7~16g/㎡이다.
본 발명의 의장지는, 그 독특한 감촉을 살려 다양한 용도에 적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인쇄 용지, 포장지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의장지의 한 실시형태로서의 인쇄 용지에 대해 설명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인쇄 용지는, 상기 특정 도공지의 한 실시형태이며, 원지와 그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도공층을 가지며, 상기 도공층 표면의 초기 열유속 최대치(Qmax)가 0.300~0.377W/㎠이다.
본 발명의 인쇄 용지는, 원지 중 적어도 편면에 도공층을 1층 이상 가지는 이른바 인쇄용 도공지이며, 밀도 그리고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 및 MMD값이, 각각 하기 특정 범위에 있는 것을 주된 특징 중 하나로 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밀도는, 원지 및 도공층을 포함한 인쇄 용지 전체의 밀도를 의미한다. 또한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 및 MMD값의 측정 대상이 되는 것은, 인쇄 용지에서의 도공층의 최표면으로서, 원지의 표면이 아니며, 또한 측정 대상의 도공층이, 2층 이상의 도공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인 경우는, 상기 다층 구조의 최표면이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 및 MMD값의 측정 대상이다.
상기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는, 후술하는 측정 방법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소정의 인쇄압(통상의 오프셋압)을 가했을 때의 도공층 표면의 요철 상태(인쇄 시 평활성)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상기 수치가 클수록 인쇄 시의 도공층 표면의 요철의 정도가 큰 경향이 있고, 이 때문에, 상기 수치가 지나치게 크면 감촉은 향상되지만, 인쇄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MMD값은, 후술하는 측정 방법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인쇄 전의 자연상태에서 도공층 표면을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의 감촉이 좋음을 나타내는 수치로서, 상기 수치가 클수록, 도공층 표면의 요철이 크고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부드러운 질감이 얻어져 감촉이 뛰어난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는, 감촉과 인쇄 적성의 양립을 목표로 한 결과 도공층 표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에 적절한 지표로서,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와 MMD값의 조합에 착안한 것이다. 즉,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의 결과, 원지 표면에 도공 설치된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를 8.0㎛ 미만, MMD값을 0.011 이상의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면서도 오프셋에서의 인쇄의 잉크 착육성이 뛰어나고, 감촉이 뛰어난 오프셋 인쇄물을 제공할 수 있는 인쇄 용지가 얻어지는 것을 찾아냈다.
1) 인쇄 용지의 밀도: 0.65~0.75g/㎤, 바람직하게는 0.66~0.74g/㎤, 더 바람직하게는 0.67~0.74g/㎤.
2)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 8.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6.5㎛ 미만.
3) 도공층 표면의 MMD값: 0.011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2~0.030, 더 바람직하게는 0.012~0.028.
인쇄 용지의 밀도,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인쇄 시 평활성) 및 MMD값(감촉 지수)이 각각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손에 닿았을 때에 함유되어 있는 섬유를 느낄 수 있는 바와 같은 부드러운 감촉, 독특한 볼록감, 광택이 없는 표면 등으로 대표되는 부드러운 질감이 얻어지게 되고, 도공층의 특징과 더불어, 고급감이 있는 인쇄 품질이 얻어지게 된다. 인쇄 용지의 밀도가 0.65g/㎤ 미만에서는, 인쇄 균일성의 저하 및 인쇄 강도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고, 0.75g/㎤를 초과하면, 충분한 부피가 얻어지지 않아 감촉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가 8.0㎛ 이상에서는, 인쇄 용지의 표면이 거칠어 잉크 착육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고, 도공층 표면의 MMD값이 0.011 미만에서는, 인쇄 용지의 부드러운 질감의 부여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는 JIS P8151에 기초하여 측정되고, 측정 대상면에 대해 10점 이상 측정하여, 그들의 평균값을 그 측정 대상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로 한다. 측정 장치로는, 예를 들면 Lorentzen&Wettre제의 "PPS TESTER SE165"를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의 측정에서는, 배킹의 재질 및 클램프압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조건에서 측정 대상의 평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는, 측정 시의 배킹으로서 소프트 배킹을 선택하면서 측정 시의 클램프압을 980㎪로 설정한다. 이러한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의 측정 조건은, 오프셋 시의 블랭킷의 탄력성과 인쇄압을 상정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 도공층 표면의 MMD값은 시판의 MMD 측정 장치(카토테크 가부시키가이샤제 "마찰감 테스터 KES-SE")를 사용하여 측정되고, 온도 23℃, 습도 50% RH의 환경하에서 마찰자로서, 피아노 와이어를 사용한 10㎜ 각(횡단면이 10㎜ 사방인 사각형 형상)의 상기 장치 부속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도 H, 시험대 이동 속도 1.00㎜/초, 마찰 정하중(靜荷重) 50gf의 조건에서, 측정 대상면에 대해 5회 이상 측정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그 측정 대상면의 MMD값으로 한다. 이 MMD값의 측정에서 마찰자로서 이용하는 상기 센서는, 인간의 손가락 끝을 모방한 마찰자이다. MMD값의 측정에서는, 시험대 이동 속도나 마찰 정하중, 마찰자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조건에서 측정 대상의 감촉 지수를 측정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 채용한 상기 측정 조건은, 사람이 손가락 끝으로 종이 인쇄 용지의 도공층 표면을 따라 덧쓰는 등 하여 감촉을 느낄 때의, 손가락 끝의 이동 속도, 압력을 상정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용지는, JIS P8148에 준거한 측광기의 광로에 420㎚ 컷오프 필터를 마련하여 측정한 백색도(이하, "UV-CUT 백색도"라고 함)가 88% 이상, 특히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인쇄 용지는 형광 증백제를 첨가함으로써 백색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도 형광 증백제를 첨가하는 것은 가능한 바, 만일 형광 증백제의 첨가에 의해 설계상은 고백색의 인쇄 용지로 되어 있었다고 해도, 예를 들면 창문이 없는 실내와 같은, 자외선량이 충분하지 않은 환경에서는, 그 인쇄 용지에 대해 외견상으로 고백색을 느낀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는, 인쇄 용지의 백색도의 지표로서, 일상에 이용되는 형광등 등의 광원하에서의 백색도를 상정한 지표인, UV-CUT 백색도를 채용한 것이다. UV-CUT 백색도의 측정 장치로는, 예를 들면 Lorentzen&Wettre사제의 "SE071"을 이용할 수 있다. 인쇄 용지의 UV-CUT 백색도가 88% 이상임에 따라, 자외선량이 많은 광원하에 한하지 않고, 자외선량이 적은 일상에 이용되는 형광등 등의 광원하에서 본 경우에도, 인쇄의 색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인쇄 용지의 밀도 그리고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 및 MMD값이 각각 상기 범위인 것과 더불어, 인쇄 용지의 질감, 인쇄 품질이 한층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용지는 형광 증백제를 포함해도 되고, 그 경우 자외선량이 많은 광원하에서 인쇄의 색 콘트라스트가 더 높아지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 형광 증백제는 원지 및 도공층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함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 원지로는, 기본적으로 도공층을 도공 설치 가능한 시트이면 사용 가능하고, 상질지, 중질지, 판지, 일본 고유의 종이 등의 펄프를 주체로 하는 종이 외에, 합성지, 부직포, 수지제 필름, 합성 섬유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상기 각 특성(인쇄 용지의 밀도,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 및 MMD값, UV-CUT 백색도)을 만족하고, 부드러운 질감, 고급감이 있는 인쇄 품질을 보다 확실하게 얻는 관점에서, 펄프를 주체로 하는 종이가 바람직하다. 원지에 배합되는 펄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NBKP), 활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LBKP), 침엽수 표백 설페이트 펄프(NBSP), 서모메커니컬 펄프(TMP), 쇄목 펄프(GP) 등의 목재 펄프; 삼, 대나무, 짚, 케나프, 삼지닥나무, 닥나무, 목면 등의 비목재 펄프; 양이온화 펄프, 머서화 펄프 등의 변성 펄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인쇄 용지의 UV-CUT 백색도를 상기 범위로 하는 관점에서, 원지에 배합되는 펄프는 표백 펄프가 바람직하다. 펄프의 표백법은 특별한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알칼리 처리, 염소 표백, 차아염소산 표백, 이산화염소 표백, 과산화 수소 표백, 산소 표백, 오존 표백, 이산화티오요소 표백 등의 단독 표백,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병용에 의한 다단 표백을 들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원지의 UV-CUT 백색도는,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또한 특히, 인쇄 용지의 밀도를 상기 범위 내로 하는 관점에서, 원지에 포함되는 펄프의 여수도(CSF)는, 바람직하게는 280~500cc, 더 바람직하게는 330~450cc이다. 여수도란, JIS P8121에 규정되는 펄프의 여수도 시험 방법 중 캐나다 표준형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여수도의 조정은, 펄프의 고해 정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원지에는, 펄프 이외에 필요에 따라, 중질 탄산칼슘, 경질 탄산칼슘, 카올린, 소성 카올린, 클레이, 탤크, 실리카, 산화티탄, 화이트 카본, 산화알루미늄, 플라스틱 피그먼트 등의 충전제 혹은 이들의 복합체; 전분,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민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 등의 지력 증강제 또는 정착제 또는 내수화제;황산 밴드, 로진, 알킬케텐 다이머, 알케닐무수숙신산, 스티렌아크릴 수지 등의 사이즈제, 여수 수율 향상제, 정착제, 염료, 형광 증백제, 소포제, 슬라임 컨트롤제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원지의 초지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장망식 초지기, 갭 포머형 초지기, 원망식 초지기, 단망식 초지기 등의 공지의 초지기를,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밀도이며 감촉이 뛰어난 원지를 얻기 위해서는 캘린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지 방식으로는, 산성 초지, 중성 초지, 약알칼리 초지 등 중 어느 방식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원지의 평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0~300g/㎡이다.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 원지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의 일례로서, "펄프와, 소성 카올린 및/또는 실리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펄프의 7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 유칼리를 원료로 하는 표백 크라프트 펄프인 원지"(이하, 특정 원지라고도 함)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원지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각 특성(인쇄 용지의 밀도,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 및 MMD값, UV-CUT 백색도)을 만족하고, 부드러운 질감, 고급감이 있는 인쇄 품질이 보다 확실하게 얻어지게 된다.
상기 특정 원지의 펄프 원료가 되는 유칼리로는, 예를 들면, E. camaldulensis, E. citriodora, E. deglupta, E. globulus, E. grandis, E. maculata, E. punctata, E. saligna, E. terelicornis, E. urophylla, 혹은 이들 교잡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원지의 주성분인, 유칼리를 원료로 하는 표백 크라프트 펄프는, 이들 유칼리를 사용하여 공지의 크라프트 증해법, 펄프 표백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원지 중에는, 소성 카올린 및 실리카의 양쪽이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어느 한쪽만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특정 원지 중에서의 소성 카올린 및 실리카의 합계 함유량은, 상기 특정 원지의 전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13질량%이다. 소성 카올린은, 천연으로 산출되는 카올린을 고열처리(예를 들면 킬른 등을 사용하여 800℃ 정도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카올린의 결정 구조 중에 존재하는 결정수를 방출시킨 것이며, 결정 구조가 붕괴되어 비정질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실리카로는, 합성 비정질 실리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합성 비정질 실리카는, 건식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과, 습식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크게 구별되며, 전자에는 건식 실리카가 있고, 후자에는 습식 실리카, 실리카겔, 콜로이달 실리카가 있다. 소성 카올린의 1차 평균 입경 및 실리카의 2차 평균 입경은, 각각 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 카올린의 1차 평균 입경, 실리카의 2차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작으면, 충분한 저밀도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소성 카올린의 1차 평균 입경, 실리카의 2차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크면, 도공층 표면의 평활성이 현저하게 악화되어 인쇄 균일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의 도공층은,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에 의해 형성된 도공층을 1층 이상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인쇄 용지가 원지의 편면 또는 양면에, 2층 이상의 도공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 그 다층 구조를 구성하는 도공층의 일부 또는 전부가,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는, 원지 상에 도공액을 물리적인 접촉을 하지 않고 공급 및 계량을 실시하는 도공 장치이며, 구체예로는 커튼 코터, 스프레이 코터, 슬롯 다이코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 중에서도 특히 커튼 코터가 바람직하다. 커튼 코터는, 도공액을 커튼형상으로 유하시켜 커튼 도공막을 형성시키고, 그 커튼 도공막에 원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원지 상에 도공층을 마련하는 도공 장치이다.
원지 표면의 도공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비접촉 도공 방식 외에, 에어 나이프 도공법이나 블레이드 도공법, 롤 도공법 등으로 대표되는 접촉 도공 방식이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는, 상술한 인쇄 용지의 제(諸)특성을 고려한 결과, 접촉 도공 방식이 아니라, 비접촉 도공 방식을 채용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는, 부드러운 질감이며 고급감이 있는 인쇄 품질이 얻어지는 인쇄 용지의 중요 특성으로서, 밀도 그리고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인쇄 시 평활성) 및 MMD값(감촉 지수)에 착안하여, 이들 3개의 특성이 각각 상기 범위에 있는 것, 즉 밀도가 낮은 것, 그리고 도공층의 표면 평활성이 적당히 낮은 것, 및 도공층의 감촉이 비교적 거친 촉감인 것의 필요성을 알고 있지만, 그러한 저밀도이면서 거친 촉감의 인쇄 용지에는, 인쇄 균일성이 낮고, 피인쇄부에서 잉크의 흡수 얼룩이 생기기 쉽다는 과제가 있다. 커튼 코터 등의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는, 이러한 인쇄 균일성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인쇄 용지의 밀도 그리고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 및 MMD값을 각각 상기 범위로 설정함과 함께, 그 도공층의 형성을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에 의해 실시함으로써, 부드러운 질감이면서 인쇄 균일성이 뛰어나고, 고급감이 있는 인쇄 품질이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의 도공층은, 통상, 충전제 및 접착제를 함유한다. 도공층용 충전제로는, 이 종류의 인쇄 용지의 도공층에 통상 함유되는 충전제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클레이, 카올린, 실리카, 탤크, 수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아연, 새틴 화이트, 황산칼슘 등의 무기 안료; 플라스틱 피그먼트 등의 유기 안료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질 탄산칼슘은 칼사이트, 아라고나이트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또한 형상에 대해서도 침상, 주상, 방추상, 구상, 입방 형상, 로제타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들 도공층용 충전제 중에서도, 특히 탄산칼슘은, 저렴하면서 백색도가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인쇄 용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공층 중에서의 충전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도공층의 전 질량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10~100질량%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공층용 접착제로는, 이 종류의 인쇄 용지의 도공층에 통상 함유되는 물 분산성 또는 수용성 접착제를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고, 이들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 분산성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 등의 공역 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아크릴산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라텍스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라텍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중합체 라텍스 등의 비닐계 중합체 라텍스, 혹은 이들 각종 중합체 라텍스를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로 변성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라텍스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산화 전분, 양성 전분, 에스테르화 전분, 덱스트린 등의 전분류를 들 수 있다. 도공층 중에서의 접착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도공층의 모든 충전제 100질량부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5~50질량부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의 도공층에는, 충전제 및 접착제 이외의 다른 성분, 예를 들면, 이 종류의 도공층에 통상 함유되는 도공 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약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의 도공층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에 의해 형성된 도공층에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어 있다는 것은, 상기 도공 장치로 도공하는 도공액에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어 있다는 것인 바, 이에 따라 도공액의 동적 표면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커튼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액을 원지에 도공한 경우에 커튼 도공막이 한층 더 안정된다. 특히, 요철이 있는 원지에 대한 도공에서는, 도공액의 레벨링성이 한층 높아지고, 원지의 요철에 따른 윤곽 도공이 생긴다. 따라서 도공층이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음으로써, 인쇄 용지의 인쇄 균일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공층에 함유 가능한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특히, 카르복실산염, 술폰 산염, 황산에스테르염, 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도공액과의 상용성이 좋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인쇄 용지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공층 중에서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도공층의 전 질량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0.03~0.3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0.05~0.20질량%이다. 도공층 중에서의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소정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으면, 도공액의 원지에 대한 침투성이 지나치게 높아진 결과, 오히려 인쇄 균일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인쇄 용지에서의 도공층은, 원지의 편면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양면 각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또한 단층 구조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 적층된 다층 구조이어도 된다. 원지의 편면 측에 관한 도공층의 평량은, 상기 도공층이 단층 구조인지 다층 구조인지를 불문하고 상기 도공층 전체의 평량으로서 고형분 환산으로, 바람직하게는 5~20g/㎡, 더 바람직하게는 7~16g/㎡이다. 또한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에 의해 원지에 도공되는 도공액의 고형분 농도는, 통상 30~70질량%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A]
펄프로서, 유칼리를 원료로 하는 표백 크라프트 펄프 100질량%를 사용하여, 더블디스크 리파이너로 캐나다 표준 여수도에 의한 고해도가 380㎖인 원료 펄프 슬러리를 조제했다. 이 원료 펄프 슬러리에, 소성 카올린(BASF사제, 안시렉스 93) 7질량%, 습식 실리카(그레이스사제, 사일로이드 74X4500) 5질량%, 로진 사이즈제를 고형분 농도로 0.2질량% 첨가하여 원료 슬러리를 조제하고(소성 카올린, 습식 실리카, 로진 사이즈제의 상기 첨가량은 모두 대(對)펄프 질량당 첨가량), 이 원료 슬러리를 상법에 따라 습식 초지하여 밀도 0.60g/㎤, 평량 100g/㎡의 원지를 얻었다.
또한 별도로, 고형분 농도 45질량%의 도공액을 조제했다. 충전제로서 경질 탄산칼슘(상품명: 타마팔 TP221GS, 오쿠타마코교사제) 50질량부 및 중질 탄산칼슘(상품명: FMT-OP2A, 파이마테크사제) 50질량부를 함유하고, 접착제로서 인산에스테르화 전분(상품명: MS#4600, 니혼쇼쿠힝카코사제) 5질량부 및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상품명: PA3803, 닛폰에이앤엘사제) 15질량부, 계면활성제(상품명: SURFYNOL PSA336, AIR PRODUCTS사제) 0.10질량부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조제했다.
그리고 커튼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지의 양면 각각에 상기 도공액을 도공하여 도공층을 형성하고, 원지의 양면 각각에 단층 구조의 도공층을 가지는 도공지를 얻었다. 도공량은 원지의 양면 측에서 서로 동일하며, 각각 고형분 환산으로 10g/㎡이었다.
[실시예 2A]
실시예 1A에서,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인 커튼 코터로 바꾸고, 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인 에어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A와 동일하게 하여, 원지의 양면 각각에 도공량 10g/㎡의 단층 구조의 도공층을 가지는 도공지를 얻었다.
[비교예 1A]
실시예 1A에서, 원지 중에서의 습식 실리카의 함유량을 15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A와 동일하게 하여, 원지의 양면 각각에 도공량 10g/㎡의 단층 구조의 도공층을 가지는 도공지를 얻었다.
[비교예 2A]
실시예 1A에서, 원지 중에서의 습식 실리카의 함유량을 12질량%로 하면서, 도공 전 원지의 전체를 캘린더에 의해 평활화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A와 동일하게 하여, 원지의 양면 각각에 도공량 10g/㎡의 단층 구조의 도공층을 가지는 도공지를 얻었다.
[비교예 3A]
실시예 1A에서, 도공 전 원지의 전체를 캘린더에 의해 평활화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A와 동일하게 하여, 원지의 양면 각각에 도공량 10g/㎡의 단층 구조의 도공층을 가지는 도공지를 얻었다.
[평가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공지(의장지)에 대해, 상기 방법에 의해 도공층의 표면에서의 Qmax를 측정함과 함께, 하기 방법에 의해 촉감 및 인쇄 적성(인쇄 강도)을 각각 평가했다.
[촉감의 평가 방법]
평가 대상의 도공지의 표면(도공층 표면)을 10명의 패널리스트에게 손가락으로 직접 만지게 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게 했다. 그 평가 결과(10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균점)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촉감의 평가 기준: 4점 이상이 합격)
5점: 부드러움, 폭신한 감, 따뜻함이 충분히 있어, 매우 양호.
4점: 부드러움, 폭신한 감, 따뜻함이 있어, 양호.
3점: 부드러움, 폭신한 감, 따뜻함이 거의 없어, 불가.
2점: 부드러움, 폭신한 감, 따뜻함이 없어, 불량.
1점: 부드러움, 폭신한 감, 따뜻함이 전혀 없어, 매우 불량.
[인쇄 적성의 평가 방법]
평가 대상의 도공지 10,000장 각각의 도공층 표면에 대하여, 오프셋 매엽 인쇄기를 이용하여 인쇄 속도 8,000매/시(時)로 4색 인쇄를 실시한 후, 블랭킷의 오염 상태를 눈으로 관찰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인쇄 적성의 평가 기준: ◎ 및 ○가 합격)
◎: 블랭킷 오염이 전혀 보이지 않아, 매우 양호.
○: 블랭킷 오염이 거의 보이지 않아, 양호.
△: 블랭킷 오염이 보여, 불량.
×: 블랭킷 오염이 상당히 눈에 띄어, 불량.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Qmax가 0.300~0.377W/㎠의 특정 범위 내에 있는 각 실시예의 도공지는, Qmax가 이러한 특정 범위 내에 없는 각 비교예에 비하여, 촉감 및 인쇄 적성의 양(兩) 특성이 보다 높은 수준으로 양립되어 있다. 이로부터, 1) 도공지의 도공층 표면에서의 Qmax에 착안함으로써 도공지의 촉감 및 인쇄 적성의 양쪽을 평가할 수 있는 것, 그리고 2) 인쇄 적성이 양호하면서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부드러움, 폭신한 감, 따뜻함이 느껴지는 특유의 촉감을 가지는 도공지(의장지)를 얻기 위해서는, 도공층 표면에서의 Qmax를 각 실시예와 동일한 정도(0.300~0.377W/㎠)로 조정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A 및 3A의 Qmax가 상기 특정 범위 내에 없는 이유는, 원지의 밀도가 0.55~0.67g/㎤의 특정 범위에서 벗어나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비교예 3A에서의 원지의 밀도가 상기 특정 범위보다도 높은 이유는, 캘린더에 의한 평활화 처리 때문이다.
한편, 비교예 1A에서의 원지의 밀도가 상기 특정 범위보다도 낮은 이유는, 원지 중의 특정 충전제의 함유량의 영향에 의한 것이라고 추측된다. 즉, 각 실시예에서의 원지는, 소성 카올린 및 실리카의 합계 함유량이 12질량%(=소성 카올린 7질량%+습식 실리카 5질량%)인 것에 반해, 비교예 1A에서의 원지는, 상기 합계 함유량이 22질량%(=소성 카올린 7질량%+습식 실리카 15질량%)이며, 이에 기인하여 각 실시예에서의 원지보다도 부피가 크고 저밀도이다. 이로부터, 도공층 표면에서의 Qmax를 상기 특정 범위 내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원지 중에서의 소성 카올린 및 실리카의 합계 함유량은, 상기와 같이 7~13질량% 정도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A는, 원지의 밀도가 상기 특정 범위 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Qmax가 상기 특정 범위 내에 없다. 그 이유는, 원지의 캘린더에 의한 평활화 처리에 의해, Qmax의 측정 대상면인 도공층 표면의 평활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그렇다면, 비교예 3A의 결과도 가미하여, 도공층 표면에서의 Qmax를 상기 특정 범위 내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원지에 캘린더 등의 평활화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편이 나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A는, 원지 중의 소성 카올린 및 실리카의 합계 함유량이 19질량%(=소성 카올린 7질량%+습식 실리카 12질량%)로 비교적 많기 때문에, 그 상태로는 원지의 밀도가 지나치게 낮아지기 때문에, 캘린더 처리에 의해 원지의 밀도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조정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의장지의 한 실시형태로서의 인쇄 용지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인쇄 용지는 상기 특정 도공지의 한 실시형태이고, 원지와 그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도공층을 가지며, 상기 도공층 표면의 초기 열유속 최대치(Qmax)가 0.300~0.377W/㎠이다.
[실시예 1B]
펄프로서, 유칼리를 원료로 하는 표백 크라프트 펄프 100질량%를 사용하여, 더블디스크 리파이너로 캐나다 표준 여수도에 의한 고해도가 380㎖인 원료 펄프 슬러리를 조제했다. 이 원료 펄프 슬러리에, 소성 카올린(BASF사제, 안시렉스 93) 7질량%, 습식 실리카(그레이스사제, 사일로이드 74X4500) 5질량%, 로진 사이즈제를 대펄프 질량당 고형분 농도로 0.2질량% 첨가하여 원료 슬러리를 조제하고, 이 원료 슬러리를 상법에 따라 습식 초지하여 평량 100g/㎡의 원지를 얻었다.
또한 별도로, 고형분 농도 45질량%의 도공액을 조제했다. 충전제로서 경질 탄산칼슘(상품명: 타마팔 TP221GS, 오쿠타마코교사제) 70질량부 및 중질 탄산칼슘(상품명: FMT-OP2A, 파이마테크사제) 30질량부를 함유하고, 접착제로서 인산에스테르화 전분(상품명: MS#4600, 니혼쇼쿠힝카코사제) 5질량부 및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상품명: PA3803, 닛폰에이앤엘사제) 15질량부, 계면활성제(상품명: SURFYNOL PSA336, AIR PRODUCTS사제) 0.10질량부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조제했다.
그리고 커튼 코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지의 양면 각각에 상기 도공액을 도공하여 도공층을 형성하여, 원지의 양면 각각에 단층 구조의 도공층을 가지는 인쇄 용지(의장지)를 얻었다. 도공량은, 원지의 양면 측에서 서로 동일하며, 각각 고형분 환산으로 10g/㎡이었다.
[실시예 2B]
실시예 1B에서, 원지 중에서의 습식 실리카의 함유량을 9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B와 동일하게 하여, 원지의 양면 각각에 도공량 10g/㎡의 단층 구조의 도공층을 가지는 인쇄 용지(의장지)를 얻었다.
[실시예 3B]
실시예 1B에서, 인쇄 용지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가 6.13㎛가 되도록 원지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B와 동일하게 하여, 원지의 양면 각각에 도공량 10g/㎡의 단층 구조의 도공층을 가지는 인쇄 용지(의장지)를 얻었다.
[실시예 4B]
실시예 1B에서, 원료 펄프 슬러리에 청색 염료를 적정량 첨가하여 백색도를 저하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B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B와 동일한 구성의 인쇄 용지(의장지)를 얻었다.
[비교예 1B]
실시예 1B에서, 원지 중에서의 습식 실리카의 함유량을 12질량%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B와 동일하게 하여, 원지의 양면 각각에 도공량 10g/㎡의 단층 구조의 도공층을 가지는 인쇄 용지(의장지)를 얻었다.
[비교예 2B]
실시예 1B에서, 원지 중에서의 습식 실리카의 함유량을 12질량%로 하고, 인쇄 용지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가 8.89㎛가 되도록 엠보스 가공을 원지에 실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B와 동일하게 하여, 원지의 양면 각각에 도공량 10g/㎡의 단층 구조의 도공층을 가지는 인쇄 용지(의장지)를 얻었다.
[비교예 3B]
실시예 1B의 인쇄 용지를 캘린더에 의해 평활화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B와 동일하게 하여, 원지의 양면 각각에 도공량 10g/㎡의 단층 구조의 도공층을 가지는 인쇄 용지(의장지)를 얻었다.
[비교예 4B]
실시예 1B에서, 캘린더에 의해 원지를 평활화하고, 그 평활화한 원지에 에어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B와 동일하게 하여, 원지의 양면 각각에 도공량 10g/㎡인 단층 구조의 도공층을 가지는 인쇄 용지(의장지)를 얻었다.
[평가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쇄 용지(의장지)에 대해, JIS P8118에 준거하여 밀도를 측정함과 함께,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 및 MMD값 그리고 UV-CUT 백색도를 각각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쇄 용지에 대해, 잉크 착육성, 인쇄 균일성 및 인쇄 강도를 각각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함과 함께, 감촉 및 인쇄의 색 콘트라스트를 각각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그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잉크 착육성의 평가 방법>
평가 대상의 인쇄 용지에 대하여, 오프셋 매엽 인쇄기를 이용하여 남색 잉크를 민인쇄(solid printing)한 부분을 눈으로 관찰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잉크 착육성은 인쇄 얼룩과 밀접하게 관련되고, 잉크 착육성이 양호할수록 인쇄 얼룩이 저감되어 인쇄 균일성의 수준이 향상한다.
<인쇄 균일성의 평가 방법>
평가 대상의 인쇄 용지에 대하여, 번아웃 처리 등이라고도 불리는 이하의 가열 처리를 실시한다. 즉, 이온 교환물 500g과 에탄올 450g의 혼합 용액에 염화 암모니아 50g을 용해시켜 번아웃 용액을 조제하고, 이 번아웃 용액 중에 평가 대상의 인쇄 용지를 1시간 침지시킨 후, 오븐으로 상기 인쇄 용지를 190~200℃에서 30분간 가열 처리한다. 가열 처리 후의 인쇄 용지를 눈으로 관찰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인쇄 균일성을 평가한다. 인쇄 용지를 번아웃 처리하면, 인쇄 용지 중의 유기물은 탄화되어 검게 되고, 도공층 중의 충전제는 하얗게 보이게 되므로, 그 흰 부분의 균일성, 즉 충전제 분포의 균일성을 시각적으로 판단한다. 충전제 분포의 균일성이 높을수록, 도공 얼룩이 적어 인쇄 균일성이 뛰어나 고평가가 된다.
<인쇄 강도의 평가 방법>
평가 대상의 인쇄 용지 10,000장에 대하여, 오프셋 매엽 인쇄기를 이용하여 인쇄 속도 8,000매/시로 4색 인쇄를 실시한 후, 블랭킷의 오염 상태를 눈으로 관찰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1. 잉크 착육성의 평가 기준(○ 이상이 합격)
◎: 민인쇄부의 얼룩이 전혀 보이지 않아, 매우 양호.
○: 민인쇄부의 얼룩이 거의 보이지 않아, 양호.
△: 민인쇄부의 얼룩이 보여, 불량.
×: 민인쇄부의 얼룩이 상당히 눈에 띄어, 불량.
2. 인쇄 균일성의 평가 기준(○ 이상이 합격)
◎: 도공 얼룩이 전혀 보이지 않아, 매우 양호.
○: 도공 얼룩이 거의 보이지 않아, 양호.
△: 도공 얼룩이 보여, 불량.
×: 도공 얼룩이 상당히 눈에 띄어, 불량.
3. 인쇄 강도의 평가 기준(○ 이상이 합격)
◎: 블랭킷 오염이 전혀 보이지 않아, 매우 양호.
○: 블랭킷 오염이 거의 보이지 않아, 양호.
△: 블랭킷 오염이 보여, 불량.
×: 블랭킷 오염이 상당히 눈에 띄어, 불량.
4. 감촉의 평가 기준
손에 의한 관능 시험에 의해 감촉을 5점법으로 평가하고, 4점 이상을 합격으로 했다.
5. 인쇄의 색 콘트라스트의 평가 기준(○ 이상이 합격)
◎: 획선부와 비획선부의 콘트라스트가 상당히 명료하여, 매우 양호.
○: 획선부와 비획선부의 콘트라스트가 명료하여, 양호.
△: 획선부와 비획선부의 콘트라스트가 불명료하여, 불량.
×: 획선부와 비획선부의 콘트라스트가 상당히 불명료하여, 불량.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B, 2B, 3B의 인쇄 용지는 5개의 평가 항목 모두가 양호한 결과였다. 이에 반해 실시예 4B의 인쇄 용지는, 잉크 착육성, 인쇄 균일성, 감촉과 같은, 본 발명에서 특히 중시되는 평가 항목에 대해서는 실시예 1B, 2B, 3B와 동일했지만, 인쇄의 색 콘트라스트 면에서 실시예 1B, 2B, 3B에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이는, UV-CUT 백색도가 낮은 것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비교예 1B의 인쇄 용지는, 밀도가 지나치게 낮기 때문에, 인쇄 강도 및 인쇄 강도가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2B의 인쇄 용지는,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가 지나치게 크기(인쇄 시 평활성이 지나치게 낮기) 때문에, 잉크 착육성이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3B의 인쇄 용지는, 밀도가 지나치게 높음과 함께, 도공층 표면의 MMD값의 값이 지나치게 작기(반들반들한 촉감을 느끼기) 때문에 감촉이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4B의 인쇄 용지는, 캘린더 처리를 실시한 고평활성의 원지에 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에 의해 도공액을 도공 했기 때문에, 고밀도이면서 저(低)MMD값이 되어 인쇄 특성은 향상되었지만, 감촉이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이상으로부터, 인쇄 용지의 밀도를 0.65~0.75g/㎤로 하면서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를 8.0㎛ 미만, MMD값을 0.011 이상으로 함과 함께, 원지에 도공층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를 이용하는 것은, 부드러운 질감이면서 인쇄 균일성이 뛰어나고, 고급감이 있는 인쇄 품질이 얻어지는 인쇄 용지를 얻음에 유효한 것이 명백하다. 또한 인쇄 용지의 UV-CUT 백색도를 88% 이상으로 하는 것은, 인쇄의 색 콘트라스트를 개선하여 질감이나 인쇄 품질을 한층 향상시킴에 유효한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촉이 양호하여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부드러움, 폭신한 감, 따뜻함이 느껴지면서, 그들 특유의 촉감에 의해 고급감이 있는 의장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의장지에는, 원지와 그 편면에 형성된 도공층을 가지는 형태가 포함되는 바, 특히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그 도공층에 의해 인쇄 적성이 향상됨과 함께 촉촉한 감이 부여되므로, 감촉이 한층 향상되어 고급감이 증가한 고품위의 의장지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장지에는, 밀도,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 도공층 표면의 MMD값이 각각 특정 범위에 있는 인쇄 용지가 포함되는 바, 이러한 인쇄 용지로서의 의장지에 의하면, 부드러운 질감이면서 고수준의 인쇄 균일성을 가지며, 고급감이 있는 인쇄 품질이 얻어진다.

Claims (8)

  1. 초기 열유속 최대치가 0.300~0.377W/㎠인 의장지.
  2. 제1항에 있어서,
    원지(原紙)와 그 적어도 편면(片面)에 형성된 도공층을 가지며, 상기 초기 열유속 최대치가 상기 도공층의 표면에 대한 것인 의장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의 밀도가 0.55~0.67g/㎤이면서, 상기 도공층이 비접촉 도공 방식에 의해 형성된 것인 의장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비접촉 도공 방식의 도공 장치에 의해 형성된 상기 도공층을 1층 이상 가지면서, 밀도가 0.65~0.75g/㎤, JIS P8151에 기초하여 소프트 배킹(soft backing)을 이용하여 클램프압 980㎪로 측정한 도공층 표면의 파커 프린트 표면 조도(Parker Print Surf roughness)가 8.0㎛ 미만, 도공층 표면의 MMD값이 0.011 이상인 의장지.
  5. 제4항에 있어서,
    JIS P8148에 준거한 측광기의 광로에 420㎚ 컷오프 필터를 마련하여 측정한 백색도가 88% 이상인 의장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공 장치가 커튼 코터인 의장지.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지는 펄프와, 소성 카올린 및/또는 실리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펄프의 70질량% 이상이 유칼리를 원료로 하는 표백 크라프트 펄프인 의장지.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공층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의장지.
KR1020177004880A 2015-01-29 2015-07-30 의장지 KR20170106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5737A JP6480199B2 (ja) 2015-01-29 2015-01-29 印刷用紙
JPJP-P-2015-015737 2015-01-29
JPJP-P-2015-073486 2015-03-31
JP2015073486 2015-03-31
JPJP-P-2015-083678 2015-04-15
JP2015083678A JP6571372B2 (ja) 2015-03-31 2015-04-15 意匠紙
PCT/JP2015/071572 WO2016121148A1 (ja) 2015-01-29 2015-07-30 意匠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286A true KR20170106286A (ko) 2017-09-20

Family

ID=60034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880A KR20170106286A (ko) 2015-01-29 2015-07-30 의장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62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27340A (ja) 軟らかい手触りの上質塗工紙
JP7348251B2 (ja) 新聞用紙
WO2017039015A1 (ja) 塗工紙、塗工基材、およびインキ乾燥性の評価方法
JP2004027443A (ja) 嵩高塗工紙
JP6480199B2 (ja) 印刷用紙
JP6041755B2 (ja) 印刷用塗工紙
JP6967465B2 (ja) 片艶クラフト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6633251B2 (ja) 印刷用塗工紙
KR20170106286A (ko) 의장지
JP2016035123A (ja) 化粧板用薄葉紙
JP3680929B2 (ja) グラビア印刷用高光沢紙
JP6571372B2 (ja) 意匠紙
KR20180067526A (ko) 도공지, 도공 기재, 및 잉크 건조성의 평가 방법
WO2016121148A1 (ja) 意匠紙
JP6513537B2 (ja) 印刷用塗工紙
JP7232786B2 (ja) 印刷用塗工紙
JP2020056117A (ja) 段ボールシート用ライナー、段ボールシートおよび印刷物の製造方法
JP4284108B2 (ja) 印刷用嵩高塗工紙
JP3797070B2 (ja) 低密度塗工板紙の製造方法
TWI781183B (zh) 印刷用塗覆紙
TWI782042B (zh) 印刷用塗覆紙及信封用紙
JP2018178277A (ja) クリア塗工紙
JP200629778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62605A (ja) グラビア印刷用塗工紙の製造方法及びその塗工紙
JP6793909B2 (ja) 塗工印刷用紙の製造方法及び塗工印刷用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